KR20190083261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3261A
KR20190083261A KR1020180000942A KR20180000942A KR20190083261A KR 20190083261 A KR20190083261 A KR 20190083261A KR 1020180000942 A KR1020180000942 A KR 1020180000942A KR 20180000942 A KR20180000942 A KR 20180000942A KR 20190083261 A KR20190083261 A KR 20190083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flow path
washing
water suppl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239B1 (ko
Inventor
서동필
김영걸
이상업
이창우
조규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0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239B1/ko
Priority to EP18898608.7A priority patent/EP3708706B1/en
Priority to PCT/KR2018/016805 priority patent/WO2019135554A1/ko
Publication of KR20190083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2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in a liquid s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7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metering of detergents or additi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2Detergent or additive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는, 세제를 수용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및 상기 복수의 세탁조 사이에 마련되며 컨테이너로부터 세제를 복수의 세탁조에 각각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하우징과; 세제가 유로를 이동하도록 펌핑 동작을 수행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펌프와; 복수의 세탁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세제가 공급되도록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세탁기는 복수의 세탁조 각각에 대해 하나의 컨테이너로부터 세제가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이 장입되는 세탁조를 가지고 세탁공정을 수행하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세탁조 내에 물과 세제 및 유연제를 공급하는 구조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천, 의류, 이불 등의 세탁물이 수용되는 세탁조를 구비하고, 세탁조를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세탁조의 배치 형태에 따라서 드럼 세탁기 및 수직축 세탁기의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다. 드럼 세탁기에서는, 실질적인 수평하게 배치된 세탁조에 대해 수평축이 접속된다. 드럼 세탁기의 세탁조가 수평축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세탁물이 세탁조의 내주면을 따라서 상측으로 올려진 이후에 낙하함으로써, 낙하에 따른 충격에 의해 세탁물이 세탁된다. 수직축 세탁기에서는,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세탁조에 대해 수직축에 접속되며, 세탁조의 내부에 펄세이터(pulsator)가 구비된다. 수직축 세탁기의 세탁조가 수직축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이 세척된다.
또한, 세탁기는 세탁에 필요한 온수 및 냉수를 세탁조 내부로 급수하기 위한 구조와, 세제 및 유연제를 세탁조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한다. 특히, 세탁기의 상부에는 세제 및 유연제가 저장된 컨테이너가 설치되고, 컨테이너 내의 세제 또는 유연제가 급수 유로에 전달되도록 마련된다. 이로써, 컨테이너로부터의 세제 또는 유연제는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물에 섞인 상태로 세탁조에 공급된다.
종래의 세탁기는 세제 및 유연제를 컨테이너 내에 각기 분리시켜 보관한 상태에서, 각각의 행정에 따라서 펌프를 사용하여 필요한 양의 세제 또는 유연제를 빨아들이고, 빨아들인 세제 또는 유연제를 물과 함께 세탁조로 투입시킨다.
한편, 세탁기 중에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두 개의 세탁조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두 개의 세탁조가 개별적인 구동 구조를 가지며, 각기 개별적인 세탁 행정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는 두 세탁조가 각기 다른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호 분리 가능한 두 하우징을 적층시켜 결합하는 형태를 가진다. 각 세탁조에 대해 온수 및 냉수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각 세탁조로부터 물을 배출하는 배수관 또한, 각 세탁조에 대응하여 별도로 마련된다.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에 적용되는 세제 및 유연제의 공급 구조는, 두 세탁조 중 어느 하나에 대해서만 마련된다. 예를 들면, 종래의 세탁기가 제1세탁조를 수용하는 제1하우징과, 제1하우징의 상측에 적층되며 제2세탁조를 수용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한다고 하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세제 및 유연제의 공급 구조는 상측의 제2하우징에만 설치된다. 이 경우에, 제1세탁조에 대해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를 투입하여야 한다.
따라서, 두 개의 세탁조를 포함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어느 한 세탁조에 대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를 공급할 필요 없이, 각 세탁조에 대해 세제 및 유연제를 공급하는 구조의 적용이 요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세척물이 수용 및 세척되는 복수의 세탁조와; 세제를 수용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 및 상기 복수의 세탁조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세제를 상기 복수의 세탁조에 각각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하우징과; 상기 세제가 상기 유로를 이동하도록 펌핑 동작을 수행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펌프와; 상기 복수의 세탁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상기 세제가 공급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세탁기는 복수의 세탁조 각각에 대해 하나의 컨테이너로부터 세제가 공급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하우징은, 상기 유로를 이동하는 세제를 상기 복수의 세탁조 별로 각각 배출하는 복수의 유로하우징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세탁조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유로하우징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세제가 상기 공급되는 물에 섞이도록 상기 유로하우징 배출부에 결합된 급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하우징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세탁조에 각기 대응하도록 분기되는 세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유로로부터 분기된 각 유로는 상기 복수의 유로하우징 배출부로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세제를 수용하는 제1컨테이너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제2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하우징은, 상기 제2컨테이너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세탁조에 각기 대응하도록 분기되는 유연제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연제유로로부터 분기된 각 유로는 상기 세제유로로부터 분기된 각 유로가 연통된 상기 복수의 유로하우징 배출부로 연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하우징 배출부는, 상기 급수유닛에 결합된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은, 상기 세제유로 및 상기 유연제유로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된 제1관과, 상기 제1관과 격리되도록 상기 제1관의 외주를 둘러싸며 상기 세제유로 및 상기 유연제유로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된 제2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로하우징 배출부는, 상기 배출관 내의 상기 제1관 및 상기 제2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구에 설치된 밸브와; 상기 펌프의 펌핑 동작에 의해 상기 밸브가 선택적으로 상기 출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상기 밸브를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제유로는, 상기 복수의 세탁조 중 제1세탁조에 공급되는 세제가 이동하는 제1세제유로와, 상기 복수의 세탁조 중 제2세탁조에 공급되는 세제가 이동하는 상기 제2세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세탁 행정에 따라서 세제가 상기 제1세제유로 및 상기 제2세제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하우징은, 상기 유로하우징의 상판면으로 역류한 세제를 상기 복수의 세탁조에 배출하도록 상기 상판면으로부터 상기 유로하우징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역류세제배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역류세제배출구를 포함하는 상기 상판면의 일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상판면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급수유닛은, 물이 이동하는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급수유닛하우징과;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물을 상기 세탁조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유로하우징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세제가 상기 물에 섞여서 상기배출구로 전달되도록 상기 급수유로 상에 설치된 세제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급수유닛하우징에 냉수가 공급되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급수유닛하우징에 온수가 공급되는 제2위치를 거쳐 상기 배출구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급수유로의 상기 제2위치 및 상기 배출구의 사이에 대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하우징은 일체형 사출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공급유닛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적용되는 세제유로하우징의 하판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급수유닛에 결합되는 제2배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적용되는 세제유로하우징의 상판의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유닛에서 제1세탁조에 물이 공급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유닛에서 제2세탁조에 물이 공급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유닛에서 유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는 메인하우징(110)과, 메인하우징(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에 대한 세탁 공정이 수행되는 제1세탁조(120)와, 메인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세탁물에 대한 세탁 공정이 수행되는 제2세탁조(130)와, 메인하우징(110) 상측에 설치되며 제1세탁조(120) 및 제2세탁조(130) 각각에 대해 세탁을 위한 세제 및 유연제를 공급하는 세제공급유닛(140)과, 메인하우징(110)의 전면 상부에 설치되며 세탁기(100)의 사용자 조작을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한다.
본 도면에서는 공간 내에서 상호 수직한 X, Y, Z의 3방향을 나타낸다. X, Y, Z의 각 방향의 반대방향은 -X, -Y, -Z로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에서 X 방향은 편의상 세탁기(100)의 전방으로, -X 방향은 세탁기(100)의 후방으로, Y 방향 및 -Y 방향은 세탁기(100)의 좌우 측방으로, Z 방향은 세탁기(100)의 상측 방향으로 각각 표현될 수 있다. 또한, 3방향의 축들 중에서 두 축에 평행한 평면에 대해서는 나머지 한 축이 법선방향이 되는 바, 예를 들면 X-Y 평면의 법선방향은 Z 방향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드럼 방식의 제1세탁조(120) 및 수직축 방식의 제2세탁조(130)의 두 개의 세탁조를 포함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세탁조의 개수 및 방식이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되는 세탁기(100)의 한 가지 예시일 뿐이다. 예를 들면, 세탁조의 개수는 셋 이상일 수도 있고, 드럼 방식 및 수직축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각 세탁조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메인하우징(110)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되며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진 캐비넷을 포함한다. 메인하우징(110)은 전방 측면에 제1세탁조(120) 내부와 통하도록 마련된 제1개구를 커버하는 제1도어(121)와, 상방 측면에 제2세탁조(130) 내부와 통하도록 마련된 제2개구를 커버하는 제2도어(131)를 가진다. 사용자는 제1도어(121)를 개방함으로써 제1개구를 통해 세탁물을 제1세탁조(120)에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으며, 제2도어(131)를 개방함으로써 제2개구를 통해 세탁물을 제2세탁조(130)에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다. 물론, 제1세탁조(120)에서 세탁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제1도어(121)가, 제2세탁조(130)에서 세탁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에는 제2도어(131)가 각각 닫힘으로써, 세탁물 또는 물 등이 제1개구 또는 제2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제1도어(121) 및 제2도어(131)는 투명 플라스틱 또는 글래스와 같은 투명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가 제1세탁조(120) 및 제2세탁조(130)의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제1세탁조(120)는 실질적으로 X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눕혀진 원통 형상을 가지며, 메인하우징(110)의 제1개구에 접하는 면이 개방된다. 제1세탁조(120)는 메인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모터에 접속되며, 세탁 공정 시에 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X 방향 축선을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제1세탁조(120)는 세탁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공급구와, 세탁이 완료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가진다.
제1세탁조(120)는 이와 같이 드럼 방식으로 마련된다. 제1세탁조(120)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혼합된 물이 공급된 이후, 회전에 의해 내부의 세탁물을 올렸다가 낙하시켜 충격을 가함으로써 세탁을 수행한다.
제2세탁조(130)는 제1세탁조(1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제2세탁조(130)는 실질적으로 Z 방향을 따라서 기립한 원통 형상을 가지며, 메인하우징(110)의 제2개구에 접하는 면이 개방된다. 제2세탁조(130)는 메인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모터에 접속되며, 세탁 공정 시에 이 모터의 구동에 의해 Z 방향 축선을 축으로 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제2세탁조(130)는 세탁을 위한 물이 공급되는 공급구와, 세탁이 완료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가진다.
제2세탁조(130)는 이와 같이 수직축 방식으로 마련된다. 제2세탁조(130)의 저면에는 펄세이터가 마련되며,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이 세척된다.
이와 같이 세탁기(100)에 제1세탁조(120) 및 제2세탁조(130)의 두 개의 세탁조를 가지는 경우는 사용상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인 사용자의 세탁 행태를 고려하면, 사용자는 세탁 시에 모든 의류를 한 번의 세탁 공정으로 세탁하기보다는, 의류의 종류, 색상, 재질 등에 따라서 몇 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각기 세탁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통상적인 사용자는 흰 색상의 의류는 검은 색상의 의류와 구분하여 세탁하며, 겉옷은 속옷과 구분하여 세탁하며, 유아의 의류는 성인의 의류와 구분하여 세탁하는 등의 사용 행태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00)는 제1세탁조(120)를 사용하여 세탁을 수행하는 동안, 제2세탁조(130)에서 별도의 세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제1세탁조(120) 및 제2세탁조(130) 각각의 용량은 특정한 수치로 한정되지는 않지만, 사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드럼 방식인 제1세탁조(120)가 수직축 방식인 제2세탁조(130)에 비해 용량이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세탁조(120)는 17kg 내지 20kg 정도의 용량을 가지며, 제2세탁조(130)는 3kg 내지 4kg 정도의 용량을 가진다.
세제공급유닛(140)은 하우징(110) 상측에 설치된다. 세제공급유닛(140)은 세제 및 유연제를 저장하며, 세탁 공정의 진행에 따라서 세제 또는 유연제를 제1세탁조(120) 및 제2세탁조(130)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세제공급유닛(14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제 또는 유연제는, 외부로부터 별도로 공급되는 물에 섞인 상태에서 제1세탁조(120) 또는 제2세탁조(130) 내로 공급된다. 세제공급유닛(140)에 관한 구체적인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 입력을 위한 전자 또는 물리 버튼과, 세탁기(100)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는 LED에 의한 숫자 또는 텍스트를 표현하는 형태일 수 있고, OLED나 액정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에 의한 입력을 수신받아서 제반 세탁 공정을 지정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하, 세탁기(100)의 제어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200)는 세탁 공정을 비롯한 세탁기(200)의 제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210)와, 사용자의 입력 지시를 제어부(210)에 전달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220)와, 제1세탁조(231)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제1모터(230)와, 제2세탁조(241)를 회전시키도록 구동하는 제2모터(240)와, 제1세탁조(231) 및 제2세탁조(24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개폐시키는 복수의 밸브를 포함하는 급수밸브유닛(250)과, 제1세탁조(231) 및 제2세탁조(241)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유로를 개폐시키는 복수의 밸브를 포함하는 배출밸브유닛(260)과, 세제공급유닛 내의 세제 및 유연제를 공급하도록 공압을 형성하는 복수의 펌프를 포함하는 펌프유닛(270)을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칩셋, 프로세서, CPU,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의 회로에 의해 구현된다. 제어부(210)는 제1모터(230), 제2모터(240)를 비롯한 다양한 세탁기(200)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제어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이들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신호의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기 설정된 값의 전압을 가진 전기신호일 수 있고, 또는 하이 및 로우의 두 가지 레벨로 구분되는 신호일 수도 있고, 단지 신호의 전송 유무만을 나타내는 토글 신호일 수도 있다.
제1모터(230) 및 제2모터(240)는 각각 제1세탁조(231) 및 제2세탁조(241)의 축에 결합됨으로써,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서 구동함으로써 제1세탁조(231) 및 제2세탁조(241)를 정역회전시킨다. 제1모터(230) 및 제1세탁조(231)의 사이, 그리고 제2모터(240) 및 제2세탁조(241)의 사이에는 각기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링크, 기어 등의 기계적인 동력전달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급수밸브유닛(250)은 외부의 수도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제1세탁조(231) 및 제2세탁조(241) 내부로 전달하는 복수의 급수유로 상에 설치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급수유로는, 제1세탁조(231)에 대한 온수 급수유로 및 냉수 급수유로와, 제2세탁조(241)에 대한 온수 급수유로 및 냉수 급수유로를 포함한다. 급수밸브유닛(250)은 이들 각 급수유로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된 복수의 밸브를 포함한다. 각 밸브의 개폐동작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된다.
배출밸브유닛(260)은 제1세탁조(231) 및 제2세탁조(241) 각각으로부터 외부로 물을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유로 상에 설치된다. 배출밸브유닛(260)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서 복수의 배출유로 각각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된 복수의 밸브를 포함한다.
펌프유닛(270)은 세제공급유닛의 컨테이너로부터 소정 양의 세제 또는 유연제를 빨아들이는 펌핑 동작을 수행한다. 세제공급유닛은 세제를 저장하는 제1컨테이너와 유연제를 저장하는 제2컨테이너가 있다. 이 경우에, 펌프유닛(270)은 제1세탁조(231)에 투입하기 위한 세제를 제1컨테이너로부터 펌핑하는 제1펌프, 제1세탁조(231)에 투입하기 위한 유연제를 제1컨테이너로부터 펌핑하는 제2펌프, 제2세탁조(241)에 투입하기 위한 세제를 제1컨테이너로부터 펌핑하는 제3펌프, 제2세탁조(241)에 투입하기 위한 유연제를 제2컨테이너로부터 펌핑하는 제4펌프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세탁 공정에 따라서 각 펌프를 개별적으로 제어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을 실현하기 위한 세탁기에 적용되는 펌프유닛(270)의 구조가 이러한 예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펌프유닛(270)은 세제에 대응하는 제1펌프 및 유연제에 대응하는 제2펌프를 포함한다. 이 경우에, 세제의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되는 밸브의 제어에 의해, 제1펌프는 세제를 제1세탁조(231) 또는 제2세탁조(241)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동일한 원리로, 유연제의 공급 경로 상에 설치되는 밸브의 제어에 의해, 제2펌프는 유연제를 제1세탁조(231) 또는 제2세탁조(241)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10)가 제어하는 구성요소들에 관해 설명하였는데, 이들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제어부(210)가 제어할 수 있는 세탁기(200)의 구성요소들 중의 일부이다.
이러한 세탁기(200)의 제어 구조 하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200)는, 복수의 세탁조(231, 241)와, 세제를 수용하는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및 복수의 세탁조(231, 241) 사이에 마련되며 컨테이너로부터 세제를 복수의 세탁조(231, 241)에 각각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하우징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부(210)는, 복수의 세탁조(231, 241)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세제가 공급되도록 펌프유닛(270)을 제어한다.
이로써, 세탁기(200)는 하나의 컨테이너에 저장된 세제를 복수의 세탁조(231, 241)에 대해 각각 선택적으로 공급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제공급유닛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세제공급유닛을 나타내는 요부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의 하우징 상측에 배치된 세제공급유닛(300)은 외형을 감싸는 커버를 벗겨내면 그 내부가 나타난다. 본 도면은 세탁기의 후방으로부터 본 세제공급유닛(300)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세제공급유닛(300)은 세제를 저장하는 제1컨테이너(310)와, 유연제를 저장하는 제2컨테이너(320)와, 제1컨테이너(310) 및 제2컨테이너(320)에 결합되며 세제 및 유연제 각각이 이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세제유로하우징(330)과, 세제유로하우징(330)의 중앙 영역에 설치되며 세제 또는 유연제가 유로를 이동하도록 공압을 형성하는 펌프유닛(340)과, 세제유로하우징(3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세제유로하우징(330)을 통해 배출되는 세제 또는 유연제를 별도 공급되는 물과 함께 제1세탁조 또는 제2세탁조에 배출하는 급수유닛(350)을 포함한다.
제1컨테이너(310) 및 제2컨테이너(320)는 각각 내부에 세제 및 유연제를 저장한다. 제1컨테이너(310) 및 제2컨테이너(320)는 각각 세제유로하우징(330) 내의 유로와 연통된 공급구를 가진다. 펌프유닛(340)의 펌핑에 의해, 소정 분량의 세제 및 유연제가 제1컨테이너(310) 및 제2컨테이너(320)로부터 공급구를 통해 유로로 이동한다. 제1컨테이너(310) 및 제2컨테이너(320)는 세제 및 유연제를 사용자가 보충할 수 있도록, 일측이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제1컨테이너(310) 및 제2컨테이너(320)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으나, 장시간 세제 및 유연제를 저장하는 특성 상, 세제 및 유연제와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종류의 플라스틱이 적용된다.
세제유로하우징(330)은 제1컨테이너(310) 및 제2컨테이너(320)와 각기 연결된 유로를 형성한다. 세제 및 유연제가 섞이면 화학반응을 일으킴으로써 굳거나, 세탁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세제유로하우징(330)은 세제와 유연제가 섞이지 않도록 서로 별개의 유로를 형성한다. 세제유로하우징(330)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제조되며, 생산의 편의를 위해 상판 및 하판이 상호 조립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세제유로하우징(330)은 도면 상에서 좌측에 세제가 이동하는 유로가, 우측에 유연제가 이동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세제가 이동하는 유로는 제1세탁조 대응 유로 및 제2세탁조 대응 유로로 분기되고, 유연제가 이동하는 유로 또한 제1세탁조 대응 유로 및 제2세탁조 대응 유로로 분기된다. 세제유로하우징(330)의 중앙부의 하측에, 제1세탁조에 대응하는 세제 및 유연제의 배출구(331)와, 제2세탁조에 대응하는 세제 및 유연제의 배출구(332)가 돌출된다. 이들 배출구(331, 332)는 급수유닛(350) 내부와 연통되도록, 급수유닛(350)의 상측에 기밀을 유지하며 결합된다.
펌프유닛(340)은 제1세탁조 및 제2세탁조 각각에 대해 세제 및 유연제 중 어느 하나를 펌핑하는 4개의 펌프를 포함한다. 각 펌프는 세제유로하우징(330)의 중앙영역에 설치되고, 대응 유로에 공압을 형성함으로써 세제 또는 유연제를 소정 분량만큼 해당 유로를 통해 빨아들인다. 각 펌프는 빨아들인 세제 또는 유연제를 대응 배출구(331, 332)를 통해 배출시킨다. 세탁조 별로 세제의 공급 및 유연제의 공급이 필요하므로, 펌프유닛(340)이 포함하는 펌프의 개수는 세탁조의 개수의 2배가 된다.
급수유닛(350)은 급수유닛하우징(351)과, 급수유닛하우징(351) 일측에 형성되며 온수가 급수되는 온수급수구(352, 353)와, 급수유닛하우징(351) 타측에 형성되며 냉수가 급수되는 냉수급수구(354, 355)를 포함한다.
급수유닛하우징(351)은 내부에 온수급수구(352, 353) 및 냉수급수구(354, 355)로부터 공급되는 온수 및 냉수가 흐르는 급수유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급수유로는 급수유닛하우징(351)의 상측면에 결합된 세제유로하우징(330)의 배출구(331, 332)와 연통된다. 이로써, 세제유로하우징(330)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제 또는 유연제는, 급수유로를 따라서 흐르는 물에 섞여서 제1세탁조 또는 제2세탁조로 공급된다.
온수급수구(352, 353)는 제1세탁조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급수구(352) 및 제2세탁조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급수구(353)를 포함한다. 이와 유사하게, 냉수급수구(354, 355)는 제1세탁조에 냉수를 공급하기 위한 냉수급수구(354) 및 제2세탁조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급수구(355)를 포함한다. 급수유닛하우징(351) 내에서 제1세탁조에 대응하는 온수급수구(352)의 유로 및 냉수급수구(354)의 유로가 합쳐지고, 합쳐진 유로는 급수유닛하우징(351)에 마련된 제1세탁조 대응 배출구에 연통된다. 이와 유사하게, 제2세탁조에 대응하는 온수급수구(353)의 유로 및 냉수급수구(355)의 유로가 합쳐지고, 합쳐진 유로는 급수유닛하우징(351)에 마련된 제2세탁조 대응 배출구에 연통된다.
이하, 세제공급유닛(300)의 세제유로하우징(33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적용되는 세제유로하우징의 하판의 내부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유로하우징은 세제 및 유연제의 유로(410, 411, 412, 420, 421, 422)를 내부에 형성한다. 세제유로하우징의 하판(400)은 대체적으로 이러한 유로의 형태에 맞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제유로하우징은 유로(410, 411, 412, 420, 421, 422)를 형성하기 위해 호스 또는 튜브 등으로 구현되지 않고, 일체형 사출물에 의한 상판 및 하판(400)의 조립에 의해 제조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며 세탁기 내부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유로(410, 411, 412, 420, 421, 422)는 세제가 이동하는 세제유로(410, 411, 412) 및 유연제가 이동하는 유연제유로(420, 421, 422)로 구분된다. 세제유로(410, 411, 412) 및 유연제유로(420, 421, 422)는 세제 및 유연제가 섞이지 않도록 상호 격리된다. 세제유로(410, 411, 412)는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Y 방향으로 연장된 세제메인유로(410)와, 세제메인유로(410)로부터 분기되며 제1배출부(430)에 연결된 제1세제분기유로(411)와, 세제메인유로(410)로부터 분기되며 제2배출부(440)에 연결된 제2세제분기유로(412)를 포함한다. 한편, 유연제유로(420, 421, 422)는 도면의 우측으로부터 -Y 방향으로 연장된 유연제메인유로(420)와, 유연제메인유로(420)로부터 분기되며 제1배출부(430)에 연결된 제1유연제분기유로(421)와, 유연제메인유로(420)로부터 분기되며 제2배출부(440)에 연결된 제2유연제분기유로(422)를 포함한다.
한편, 세제유로(410, 411, 412)는 세제가 채워져 있는 상태일 수 있으며, 세제메인유로(410)로부터 제1세제분기유로(411) 및 제2세제분기유로(412)가 분기되지 않는 구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세제에 대응하는 하나의 펌프에 의해 제1세탁조 및 제2세탁조에 선택적으로 세제가 제공되도록 마련된 경우에, 세제메인유로(410)는 제1세제분기유로(411) 및 제2세제분기유로(412)로 분기되지 않고 하나의 경로로 연장된다. 유사한 원리로, 유연제유로(420, 421, 422)는 유연제가 채워져 있는 상태일 수 있으며, 유연제메인유로(420)로부터 제1유연제분기유로(421) 및 제2유연제분기유로(422)가 분기되지 않는 구조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유연제에 대응하는 하나의 펌프에 의해 제1세탁조 및 제2세탁조에 선택적으로 유연제가 제공되도록 마련된 경우에, 유연제메인유로(420)는 제1유연제분기유로(421) 및 제2유연제분기유로(422)로 분기되지 않고 하나의 경로로 연장된다.
여기서, 제1배출부(430) 및 제2배출부(440)는 세제유로하우징의 하측에 배치된 급수유닛으로 세제 및 유연제를 배출하기 위한 구성이다. 제1배출부(430) 및 제2배출부(440)는 제1세탁조 및 제2세탁조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대응한다. 제1배출부(430) 및 제2배출부(440)의 자세한 구조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세제메인유로(410)는 세제가 저장된 제1컨테이너에 연결되며, 펌프의 펌핑동작에 의해 소정 분량의 세제가 제1컨테이너로부터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제1세탁조에 대응하는 펌프가 펌핑을 하는 경우에, 세제는 세제메인유로(410)의 분기점에서 제1세제분기유로(411)로 이동한다. 제1세제분기유로(411)로 이동하는 세제는 제1배출부(430)를 통해 세제유로하우징 하측으로 배출된다. 반면, 제2세탁조에 대응하는 펌프가 펌핑을 하는 경우에, 세제는 세제메인유로(410)의 분기점에서 제2세제분기유로(412)로 이동한다. 제2세제분기유로(412)로 이동하는 세제는 제2배출부(440)를 통해 세제유로하우징 하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유연제메인유로(420)는 유연제가 저장된 제2컨테이너에 연결되며, 펌프의 펌핑동작에 의해 소정 분량의 유연제가 제2컨테이너로부터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제1세탁조에 대응하는 펌프가 펌핑을 하는 경우에, 유연제는 유연제메인유로(420)의 분기점에서 제1유연제분기유로(421)로 이동한다. 제1유연제분기유로(421)로 이동하는 유연제는 제1배출부(430)를 통해 유연제유로하우징 하측으로 배출된다. 반면, 제2세탁조에 대응하는 펌프가 펌핑을 하는 경우에, 유연제는 유연제메인유로(420)의 분기점에서 제2유연제분기유로(422)로 이동한다. 제2유연제분기유로(422)로 이동하는 유연제는 제2배출부(440)를 통해 유연제유로하우징 하측으로 배출된다.
한편, 세제유로하우징의 하판(400) 상에는, 세제유로하우징의 상판으로 역류한 세제가 배출되는 역류세제배출구(450)와, 세제유로하우징의 상판으로 역류한 유연제가 배출되는 역류유연제배출구(460)가 형성된다. 역류세제배출구(450) 및 역류유연제배출구(460)는 모두 제1세탁조 및 제2세탁조와 연통되어 있다. 역류세제배출구(450)를 통해 배출되는 세제 및 역류유연제배출구(460)를 통해 배출되는 유연제는, 제1세탁조 및 제2세탁조 중에서 현재 세탁 공정이 수행되는 어느 하나로 배출된다. 세제 및 유연제가 세제유로하우징의 상판으로 역류하는 경우에 대비한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제1배출부(430) 및 제2배출부(44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제1배출부(430) 및 제2배출부(440)의 구조는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이하 실시예에서는 제2배출부(440)의 구조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유로하우징의 제2배출부(500)는 제2세제분기유로(511)에 연결된 세제배출구(510)와, 제2유연제분기유로(521)에 연결된 유연제배출구(520)를 포함한다. 본 도면에서의 제2배출부(500)는 세제유로하우징의 하판 위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다. 세제는 제2세제분기유로(511)를 통해서 이동하며, 유연제는 제2유연제분기유로(521)를 통해서 이동한다. 제2세제분기유로(511) 및 세제배출구(510)는, 격벽(530)에 의해 제2유연제분기유로(521) 및 유연제배출구(520)와 격리됨으로써, 세제가 유연제와 섞이지 않도록 마련된다.
세제배출구(510)는 소정 직경을 가진 원형 홀로 마련되는 반면에, 유연제배출구는 세제배출구(510)의 외주를 따라서 소정 구간 연장된 홀로 마련된다. 즉, 유연제배출구(520)는 세제배출구(51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다만, 제2배출부(500)의 구현 방식이 이러한 예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세제 및 유연제가 섞이지 않는 목적이 달성되도록 세제배출구(510) 및 유연제배출구(520)가 이격된 형태를 가진다면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연제배출구(520)가 원형 홀로 마련되고, 세제배출구(510)가 유연제배출구(520)의 외주를 따라서 연장된 홀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 급수유닛에 연통 및 결합되도록 세제유로하우징의 하측으로부터 돌출된 제2배출부(50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급수유닛에 결합되는 제2배출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배출부(600)는, 세제배출구로부터의 세제가 이동하는 제1유로(611)와, 유연제배출구로부터의 유연제가 이동하는 제2유로(612)와, 제1유로(611) 및 제2유로(612)가 합류하는 제3유로(613)를 형성하도록 세제유로하우징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된 배출관(610)과; 급수유닛에 연통되도록 배출관(610)의 제3유로(613)의 출구에 설치된 출구파이프(640)와; 제3유로(613)와 연통된 제1유로(611)의 출구에 배치되는 밸브(650)와; 출구파이프(640)에 지지되며 밸브(650)가 제1유로(611)의 출구를 막도록 바이어스를 가하는 스프링(65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세제가 공급되는 경우 및 유연제가 공급되는 경우 각각에 관해 설명한다.
세제가 공급되는 경우에, 세제에 대응하는 펌프가 펌핑 동작을 수행하면, 세제배출구로부터 세제가 제1유로(611)로 이동한다. 펌프의 동작에 따른 제1유로(611) 내의 공압의 변화에 의해, 밸브(650)는 스프링(65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출구파이프(640)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유로(611)의 출구를 개방시킨다. 세제는 이러한 밸브(650)의 개방에 의해 제1유로(611)로부터 제3유로(613)로 이동하며, 출구파이프(640)를 통해 급수유닛으로 공급된다. 펌프의 동작이 완료되면 제1유로(611) 내의 공압이 원상복귀하며, 밸브(650)는 스프링(65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제1유로(611)의 출구를 폐쇄시킨다.
한편, 유연제가 공급되는 경우에, 유연제에 대응하는 펌프가 펌핑 동작을 수행하면, 유연제배출구로부터 유연제가 제2유로(612)로 이동한다. 제2유로(612)와 제3유로(613)는 추가적인 구성의 설치 없이 연통된 상태이므로, 유연제는 제2유로(612)와 제3유로(613)를 거쳐 출구파이프(640)를 통해 급수유닛으로 공급된다. 이 때, 밸브(650)가 스프링(650)에 의해 제1유로(611)의 출구를 폐쇄하고 있으므로, 제2유로(612) 및 제3유로(613)를 이동하는 유연제는 제1유로(611)로 역류하지 않는다.
도면에 따르면, 제2유로(612)는 수직하게 연장되어 있는 것에 비해, 제1유로(611)는 절곡되게 연장됨으로써 수평한 영역이 존재한다. 설사 제2유로(612)에 세제가 역류하더라도 이 역류된 세제가 제2유로(612)에 잔류할 염려는 없는 반면, 만일 제1유로(611)에 유연제가 역류하게 되면 상기한 수평한 영역에 유연제가 잔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밸브(650)의 구조 때문에, 제1유로(611) 및 제2유로(612)를 하나의 배출관(610)으로 구성하더라도, 유연제가 제1유로(611)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650) 및 스프링(650)이 제1유로(611)의 출구에만 설치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배출관(610)의 내부 구조에 따라서는 밸브(650) 및 스프링(650)이 제2유로(612)의 출구에만 설치되는 경우나, 제1유로(611)의 출구 및 제2유로(612)의 출구 모두에 설치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650)이 코일 스프링인 것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밸브(650)를 제1유로(611)의 출구를 폐쇄하도록 바이어스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그 형태 또는 종류가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세제유로하우징의 상판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 적용되는 세제유로하우징의 상판의 모습을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유로하우징의 상판(700)은 앞서 설명한 세제유로하우징의 하판(도 4 참조)의 경우와 동일하게, 일체형의 사출물로 형성된다. 상판(700)은 하판과 조립됨으로써 세제유로하우징을 구성하므로, 호스 또는 튜브에 의한 유로 구성에 비해 생산 및 조립이 간단하고 세탁기의 내부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세제유로하우징의 상판(700)의 좌우측에는, 세제가 저장된 제1컨테이너와 연통된 제1컨테이너접속부(711)와, 유연제가 저장된 제2컨테이너와 연통된 제2컨테이너접속부(712)가 마련된다. 세제는 제1컨테이너접속부(711)를 통해 제1컨테이너로부터, 그리고 유연제는 제2컨테이너접속부(712)를 통해 제2컨테이너로부터 세제유로하우징 내의 유로를 따라서 이동한다.
세제유로하우징의 상판(700) 상에는 4개의 펌프가 각기 설치되기 위한 펌프설치부(721, 722, 723, 724)를 포함한다. 펌프설치부(721, 722, 723, 724)는 상판(700) 상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며, 각 펌프는 펌프설치부(721, 722, 723, 724)에 설치된 상태에서 세제유로하우징 내부의 유로에 공압을 형성하고 펌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대체적으로는 상판(700)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역류하는 경우는 많지 않다. 그러나, 세탁기는 모터에 의해 세탁조가 정역회전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진동이 발생하며, 이러한 진동으로 인해 펌프설치부(721, 722, 723, 724)를 통해 상판(700)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역류할 수 있다. 또는, 펌프의 펌핑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도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상판(700)으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역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류된 세제 또는 유연제를 세탁조로 배출하기 위해, 세제유로하우징은 상판(700)의 일 영역에 세제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역류세제배출구(730)와, 상판(700)의 타 영역에 유연제가 배출되도록 형성된 역류유연제배출구(740)와, 상판(70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며 상판(700) 위에 세제 또는 유연제가 상판(700)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상판(700)으로부터 기립된 유출방지리브(750)를 포함한다.
역류세제배출구(730) 및 역류유연제배출구(740)는 앞서 도 4에서 설명한 동명의 구성요소들과 연통되어 있다. 즉, 상판(700)으로 역류된 세제는 역류세제배출구(730)를 통해 세탁조로 배출되며, 상판(700)으로 역류한 유연제는 역류유연제배출구(740)를 통해 세탁조로 배출된다.
유출방지리브(750)는 역류세제배출구(730), 역류유연제배출구(740), 펌프설치부(721, 722, 723, 724)를 모두 둘러싸도록, 상판(700)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기립하여 배치된다. 유출방지리브(750)는 상판(700)으로 역류된 세제 또는 유연제가 상판(700) 바깥에 배치된 전자부품과 같은 타 구성요소들 위로 쏟아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해당 구성요소들의 고장을 방지한다.
이하, 세제유로하우징으로부터 세제 및 유연제가 공급되는 급수유닛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유닛에서 제1세탁조에 물이 공급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유닛(800)은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급수유닛하우징(810)과, 급수유닛하우징(810)의 유로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급수구(821, 822)와, 급수유닛하우징(810)의 유로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급수구(823, 824)와, 유로와 연통되며 제1세탁조에 물을 배출하는 제1배출구(831)와, 유로와 연통되며 제2세탁조에 물을 배출하는 제2배출구(832)를 포함한다.
급수유닛하우징(810)의 유로는 제1세탁조에 대한 제1급수유로(811) 및 제2세탁조에 대한 제2급수유로를 포함한다. 제1급수유로(811)는 제2급수유로와 격리됨으로써, 제1급수유로(811)를 흐르는 물, 세제, 유연제가 제2급수유로에 들어가지 않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제1급수유로(811)가 제2급수유로와 겹쳐있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이는 도면이 평면도이기 때문이며, 실제로 제1급수유로(811)는 제2급수유로와 3차원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제1급수유로(811)는 냉수가 급수되는 제1냉수급수구(821)와, 온수가 급수되는 제1온수급수구(823)와, 제1배출구(831)와 연통된다. 제1급수유로(811)에서, 제1냉수급수구(821)로부터 연장된 유로 및 제1온수급수구(823)로부터 연장된 유로는 소정 위치에서 합류하고, 제1배출구(831)로 연결된다. 즉, 제1급수유로(811)는 두 개의 입구에 하나의 출구를 가지는 형태의 속성을 가진다.
여기서, 제1급수유로(811)는 제1냉수급수구(821)로부터 제1온수급수구(823)까지 연장되고, 제1온수급수구(823)로부터 다시 제1배출구(831)로 연장된다. 즉, 제1급수유로(811)는 냉수가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온수가 공급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그 위치로부터 다시 제1배출구(831)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는,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온수보다는 냉수를 많이 사용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제1급수유로(811) 내에 물이나 세제, 유연제 등이 잔류할 수 있는 소지를 줄이기 위함이다.
제1급수유로(811)의 일측에는 세제 및 유연제가 공급되는 제1세제공급부(840)가 형성된다. 제1세제공급부(840)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세탁조에서의 세탁 공정에 대응하여 세제유로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급수유닛하우징(810) 내로 장입되는 구성이다. 제1세제공급부(840)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세제유로하우징의 제1배출부 또는 제2배출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여기서, 제1세제공급부(840)는 제1급수유로(811)에서 적어도 제1냉수급수구(821)에 의해 냉수가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하류에 해당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세제공급부(840)가 제1냉수급수구(821)보다 하류에 있다는 것은, 물이 흐르는 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제1급수유로(811) 내에서 냉수가 투입되는 위치가 세제 또는 유연제가 투입되는 위치보다 선행한다는 의미이다. 제1세제공급부(840)를 통해 제1급수유로(811)에 투입되는 세제 또는 유연제는 제1냉수급수구(821)를 통해 공급되는 냉수에 섞여서 제1급수유로(811)를 따라서 이동하며, 최종적으로 제1배출구(831)를 통해 배출된다.
또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제1세제공급부(840)는 제1급수유로(811)에서, 제1냉수급수구(821)에 의해 냉수가 공급되는 위치 및 제1온수급수구(823)에 의해 온수가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하류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유닛에서 제2세탁조에 물이 공급되는 경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유닛(900)은 내부에 유로를 형성하는 급수유닛하우징(910)과, 급수유닛하우징(910)의 유로에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급수구(921, 922)와, 급수유닛하우징(910)의 유로에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급수구(923, 924)와, 유로와 연통되며 제1세탁조에 물을 배출하는 제1배출구(931)와, 유로와 연통되며 제2세탁조에 물을 배출하는 제2배출구(932)를 포함한다.
급수유닛하우징(910)의 유로는 제1세탁조에 대한 제1급수유로 및 제2세탁조에 대한 제2급수유로(911)를 포함한다. 제1급수유로에 관한 구성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 있다.
제2급수유로(911)는 냉수가 급수되는 제2냉수급수구(922)와, 온수가 급수되는 제2온수급수구(924)와, 제2배출구(932)와 연통된다. 제2급수유로(911)에서, 제2냉수급수구(922)로부터 연장된 유로 및 제2온수급수구(924)로부터 연장된 유로는 소정 위치에서 합류하고, 제2배출구(932)로 연결된다. 즉, 제2급수유로(911)는 제1급수유로와 유사하게, 두 개의 입구에 하나의 출구를 가지는 형태의 속성을 가진다.
여기서, 제2급수유로(911)는 제2냉수급수구(922)로부터 제2온수급수구(924)까지 연장되고, 제2온수급수구(924)로부터 다시 제2배출구(9312로 연장된다. 즉, 제2급수유로(911)는 냉수가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온수가 공급되는 위치까지 연장되고, 그 위치로부터 다시 제2배출구(932)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진다.
제2급수유로(911)의 일측에는 세제 및 유연제가 공급되는 제2세제공급부(940)가 형성된다. 제2세제공급부(940)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세탁조에서의 세탁 공정에 대응하여 세제유로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급수유닛하우징(910) 내로 장입되는 구성이다. 제2세제공급부(940)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세제유로하우징의 제1배출부 또는 제2배출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된다.
제2세제공급부(940)의 위치는, 제2급수유로(911)에서, 제2냉수급수구(922)에 의해 냉수가 공급되는 위치 및 제2온수급수구(924)에 의해 온수가 공급되는 위치로부터 하류에 배치된다. 이로써 제2세제공급부(940)로부터 제2급수유로(911)에 투입되는 세제 또는 유연제는, 제2급수유로(911)를 따라서 이동하는 냉수 또는 온수에 섞인 이후에 제2세탁조로 배출된다.
이로써, 급수유닛(900)은 유로 내에 세제 또는 유연제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하, 급수유닛의 유로를 상기한 실시예와 상이하게 설계한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유닛에서 유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유닛(1000)은 급수유닛하우징(1010)과, 급수유닛하우징(1010) 내의 유로에 냉수를 공급하는 제1냉수급수구(1021) 및 제2냉수급수구(1022)와, 급수유닛하우징(1010) 내의 유로에 온수를 공급하는 제1온수급수구(1023) 및 제2온수급수구(1024)와, 제1세탁조에 공급되는 물을 배출하는 제1배출구(1031)와, 제2세탁조에 공급되는 물을 배출하는 제2배출구(1032)를 포함한다.
급수유닛하우징(1010) 내의 유로는, 제1냉수급수구(1021), 제1온수급수구(1023) 및 제1배출구(1031)와 연통된 제1유로(1011)와, 제2냉수급수구(1022), 제2온수급수구(1024) 및 제2배출구(1032)와 연통된 제2유로(1012)를 포함한다. 제1유로(1011) 및 제2유로(1012)는 상호 격리되며, 본 도면 상에서 보면 각기 Y자를 거꾸로 한 형태를 가진다.
제1유로(1011) 상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공급되는 제1세제공급부(1041)가 마련되며, 제2유로(1012) 상에는 세제 또는 유연제가 공급되는 제2세제공급부(1042)가 마련된다. 제1세제공급부(1041) 및 제2세제공급부(1042)의 역할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1세제공급부(1041)는 제1유로(1011) 상에서, 제1냉수급수구(1021)로부터 공급되는 냉수가 이동하는 유로 및 제1온수급수구(1023)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이동하는 유로가 합류하는 지점으로부터 하류에, 즉 해당 지점 및 제1배출구(1031)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제2세제공급부(1042)는 제2유로(1012) 상에서, 제2냉수급수구(1022)로부터 공급되는 냉수가 이동하는 유로 및 제2온수급수구(1024)로부터 공급되는 온수가 이동하는 유로가 합류하는 지점으로부터 하류에, 즉 해당 지점 및 제2배출구(1032) 사이에 배치된다.
세탁기는 이러한 구조 하에서, 급수유닛(1000)에 냉수 또는 온수의 급수가 수행된 이후에, 제1세제공급부(1041) 또는 제2세제공급부(1042)에 의해 세제 또는 유연제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로써, 세제 또는 유연제는 물에 섞여서 세탁조로 배출되며, 급수유닛(1000) 내에 세제 또는 유연제가 잔류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100 : 세탁기
110 : 하우징
120 : 제1세탁조
130 : 제2세탁조
140 : 세제공급유닛

Claims (12)

  1. 세탁기에 있어서,
    세척물이 수용 및 세척되는 복수의 세탁조와;
    세제를 수용하는 컨테이너와;
    상기 컨테이너 및 상기 복수의 세탁조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세제를 상기 복수의 세탁조에 각각 공급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하우징과;
    상기 세제가 상기 유로를 이동하도록 펌핑 동작을 수행하게 마련된 적어도 하나의 펌프와;
    상기 복수의 세탁조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상기 세제가 공급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하우징은, 상기 유로를 이동하는 세제를 상기 복수의 세탁조 별로 각각 배출하는 복수의 유로하우징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세탁조에 물을 공급하고, 상기 유로하우징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세제가 상기 공급되는 물에 섞이도록 상기 유로하우징 배출부에 결합된 급수유닛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하우징은, 상기 컨테이너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세탁조에 각기 대응하도록 분기되는 세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유로로부터 분기된 각 유로는 상기 복수의 유로하우징 배출부로 연통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는, 상기 세제를 수용하는 제1컨테이너 및 유연제를 수용하는 제2컨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하우징은, 상기 제2컨테이너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세탁조에 각기 대응하도록 분기되는 유연제유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유연제유로로부터 분기된 각 유로는 상기 세제유로로부터 분기된 각 유로가 연통된 상기 복수의 유로하우징 배출부로 연통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하우징 배출부는, 상기 급수유닛에 결합된 배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은, 상기 세제유로 및 상기 유연제유로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된 제1관과, 상기 제1관과 격리되도록 상기 제1관의 외주를 둘러싸며 상기 세제유로 및 상기 유연제유로 중 다른 하나와 연통된 제2관을 포함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하우징 배출부는,
    상기 배출관 내의 상기 제1관 및 상기 제2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출구에 설치된 밸브와;
    상기 펌프의 펌핑 동작에 의해 상기 밸브가 선택적으로 상기 출구를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상기 밸브를 바이어스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세탁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유로는, 상기 복수의 세탁조 중 제1세탁조에 공급되는 세제가 이동하는 제1세제유로와, 상기 복수의 세탁조 중 제2세탁조에 공급되는 세제가 이동하는 제2세제유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세탁 행정에 따라서 세제가 상기 제1세제유로 및 상기 제2세제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펌프를 제어하는 세탁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하우징은,
    상기 유로하우징의 상판면으로 역류한 세제를 상기 복수의 세탁조에 배출하도록 상기 상판면으로부터 상기 유로하우징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역류세제배출구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역류세제배출구를 포함하는 상기 상판면의 일 영역을 둘러싸도록 상기 상판면으로부터 기립 설치된 리브를 포함하는 세탁기.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닛은,
    물이 이동하는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급수유닛하우징과;
    상기 급수유로를 통해 이동하는 물을 상기 세탁조로 배출하는 배출구와;
    상기 유로하우징 배출부로부터 배출되는 세제가 상기 물에 섞여서 상기배출구로 전달되도록 상기 급수유로 상에 설치된 세제공급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유로는, 상기 급수유닛하우징에 냉수가 공급되는 제1위치로부터 상기 급수유닛하우징에 온수가 공급되는 제2위치를 거쳐 상기 배출구까지 연장된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공급부는 상기 급수유로의 상기 제2위치 및 상기 배출구의 사이에 대응하게 마련된 세탁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하우징은 일체형 사출물에 의해 형성되는 세탁기.
KR1020180000942A 2018-01-03 2018-01-03 세탁기 KR1024742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942A KR102474239B1 (ko) 2018-01-03 2018-01-03 세탁기
EP18898608.7A EP3708706B1 (en) 2018-01-03 2018-12-28 Washing machine
PCT/KR2018/016805 WO2019135554A1 (ko) 2018-01-03 2018-12-28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942A KR102474239B1 (ko) 2018-01-03 2018-01-03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261A true KR20190083261A (ko) 2019-07-11
KR102474239B1 KR102474239B1 (ko) 2022-12-05

Family

ID=67143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942A KR102474239B1 (ko) 2018-01-03 2018-01-03 세탁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708706B1 (ko)
KR (1) KR102474239B1 (ko)
WO (1) WO20191355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2792A (zh) * 2019-09-30 2022-05-13 Lg电子株式会社 添加剂供应单元及包括其的洗衣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879A (ko) * 2005-01-21 2006-07-26 주식회사 로보쓰리 원라인 다중세제 자동공급장치
EP3115498A1 (de) * 2015-07-06 2017-01-11 Michael Saier Dosiereinrichtung zur dosierung und zuführung von medien und verfahren
CN106906615A (zh) * 2015-12-22 2017-06-3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复合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2609A1 (en) * 2000-08-09 2002-02-14 Arçelik A.S. Washing machine with more than one drum
KR101435813B1 (ko) * 2007-11-27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30098450A1 (en) * 2011-10-20 2013-04-25 Dustin Frantz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Laundry Fluid Delivery
KR20150072169A (ko) * 2013-12-19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WO2017107359A1 (zh) * 2015-12-22 2017-06-29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复合洗衣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4879A (ko) * 2005-01-21 2006-07-26 주식회사 로보쓰리 원라인 다중세제 자동공급장치
EP3115498A1 (de) * 2015-07-06 2017-01-11 Michael Saier Dosiereinrichtung zur dosierung und zuführung von medien und verfahren
CN106906615A (zh) * 2015-12-22 2017-06-3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复合洗衣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02792A (zh) * 2019-09-30 2022-05-13 Lg电子株式会社 添加剂供应单元及包括其的洗衣机
CN114502792B (zh) * 2019-09-30 2024-03-29 Lg电子株式会社 添加剂供应单元及包括其的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08706A4 (en) 2020-09-16
WO2019135554A1 (ko) 2019-07-11
EP3708706B1 (en) 2024-04-10
EP3708706A1 (en) 2020-09-16
KR102474239B1 (ko) 2022-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865E1 (en)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case thereof
JP6372670B2 (ja) 洗浄剤を自動投入する機能を有する洗濯機のコントロールパネル台
US20130312463A1 (en) Detergent feed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7426932B2 (en) Spray fill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1466332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KR20070102054A (ko) 드럼세탁기
CN108457052B (zh) 洗衣机
WO2017107359A1 (zh) 复合洗衣机
KR20190083261A (ko) 세탁기
KR20130081114A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CN216786565U (zh) 一种洗涤剂切换投放装置及洗涤设备
CN111434839B (zh) 供水投放系统及洗衣机
KR102518818B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CN109082850A (zh) 壁装式洗衣机、桶一体化后面板和后面板的制造模具
KR0139656Y1 (ko) 세탁기의 급수구조
KR100460590B1 (ko) 급수장치를 갖춘 세탁기
US11946190B2 (en) Washing machine appliance with hydraulically actuated diverter valve
WO2023032587A1 (ja) 洗濯機
KR20000009638A (ko) 세탁기
KR20030009846A (ko) 드럼세탁기의 급수용 디스펜서 어셈블리
KR20220099876A (ko) 세탁기
KR20230156611A (ko) 세탁기
KR20140120547A (ko) 세탁기
KR20000009639A (ko) 세탁기
JPS5946197B2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