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611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611A
KR20230156611A KR1020220056284A KR20220056284A KR20230156611A KR 20230156611 A KR20230156611 A KR 20230156611A KR 1020220056284 A KR1020220056284 A KR 1020220056284A KR 20220056284 A KR20220056284 A KR 20220056284A KR 20230156611 A KR20230156611 A KR 20230156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rain
detergent
inlet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6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동필
조영진
소상영
이강현
김용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56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6611A/ko
Priority to PCT/KR2023/003185 priority patent/WO2023214666A1/ko
Publication of KR20230156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0Filter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D06F39/08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터브와 연결되는 배수펌프와,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 공급 장치로서, 세제함을 포함하는 세제 공급 장치와, 배수펌프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며 세제함에 장착되는 배수필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개시는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를 갖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의류, 수건, 침구류 등을 세탁하는 가전제품이다. 세탁기는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상승과 낙하를 반복함으로써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식 세탁기와, 드럼이 회전할 때 펄세이터에 의해 발생하는 수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전동식 세탁기로 분류될 수 있다.
세탁기가 수행하는 행정은 세탁기의 종류에 무관하게, 세탁물이 수용된 터브에 세제수를 공급하고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세탁 행정, 터브에 헹굼수를 공급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을 헹구어 내는 헹굼 행정, 및 터브로부터 물을 배출하고 드럼을 회전시켜 세탁물의 물기를 제거하는 탈수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 행정 및/또는 헹굼 행정을 수행할 때, 세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세탁기는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또는 탈수 행정을 수행할 때, 세탁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배수필터가 세탁기의 상측에 마련되어 교체가 용이한 배수필터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은 배수필터 내의 세탁수의 배수압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일례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와 연결되는 배수펌프와,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 공급 장치로서, 세제함을 포함하는 세제 공급 장치 및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세제함에 장착되는 배수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터브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필터를 연결시키는 연결 유로 및 상기 배수필터와 연결되며 상기 배수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필터에서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연결 유로 내에 유동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필터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연결 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구 및 상기 배수필터 내에서 필터링된 세탁수가 상기 배수 유로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수 유로와 연통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함은 상기 배수필터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필터프레임으로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필터링 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유입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가이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배수필터 내부의 배수압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상기 필터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필터바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세탁수가 유동하고, 상기 필터바디와 상기 필터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필터링된 세탁수가 유동할 수 있다.
상기 필터바디는 필터바디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바디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연결 유로를 향해 돌출되는 유입 가이더 및 상기 배출구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바디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배수 유로를 향해 돌출되는 배출 가이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유입 가이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입 실링부재 및 상기 배출 가이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배수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필터바디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터바디와 연통되는 보관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수용부 내에 유동하는 이물질이 상기 보관함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관함 측에 형성되는 연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프레임은 원통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필터부의 내면과 접촉하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필터프레임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중심축으로 상기 필터프레임 내부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배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의 하부에 마련되는 배수펌프와,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터브의 상측에 마련되는 세제 공급 장치로서,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세제함을 포함하는 세제 공급 장치와,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세제함에 장착되는 배수필터로서, 상기 세제함에 안착되는 필터바디와, 상기 필터바디 내에 수용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필터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는 배수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필터를 연결시키는 연결 유로 및 상기 배수필터와 연결되며 상기 배수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필터에서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연결 유로 내에 유동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필터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연결 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구 및 상기 배수필터 내에 유동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 유로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수 유로와 연통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구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세탁기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와, 상기 터브와 연결되는 배수펌프와,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 공급 장치로서,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 가능한 세제함을 포함하는 세제 공급 장치 및 상기 세제함에 장착되는 배수필터로서, 상기 세제함에 안착되는 필터바디와, 상기 필터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바디 내의 세탁수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의 상측에 마련되는 필터커버를 포함하는 배수필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유동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필터 내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공급 장치는, 상기 필터바디가 안착되는 안착부로서, 상기 배수필터 내에서 필터링된 세탁수가 상기 배수필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배수필터가 세제함에 장착되므로 배수필터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수필터가 배수압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므로 배수압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수필터가 터브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배수필터를 교체할 때 잔수에 대한 불쾌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례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례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제 공급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세제 공급 장치의 커버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세제 공급 장치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세제 공급 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세제 공급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일례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에서 필터바디 및 보관함 커버를 생략한 평면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세제함의 필터바디 및 보관함 커버를 점선으로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11은 일례에 따른 필터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필터바디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일례에 따른 필터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필터프레임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5는 일례에 따른 세제함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일례에 따른 보관함이 결합된 세제함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일례에 따른 보관함 커버 및 보관함 바디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다른 일례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에서 필터커버를 생략한 평면 확대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의 평면 확대도이다.
도 21은 제어부에 의한 블레이드의 구동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2는 일례에 따른 블레이드의 구동을 나타낸 Flow Chart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방" 및 "하방"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20)와, 터브(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30)와, 드럼(30)을 구동하는 구동 모터(40)를 구비한다.
캐비닛(10)의 전면부에는 드럼(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가 형성된다. 투입구(11)는 캐비닛(10)의 전면부에 설치된 도어(12)에 의해 개폐된다.
터브(20)의 상부에는 터브(20)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55)이 설치된다. 급수관(55)의 일 측은 급수밸브(56)와 연결될 수 있고, 급수관(55)의 타 측은 세제 공급 장치(100)과 연결될 수 있다.
세제 공급 장치(100)는 세제 유입관(54)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된다. 세제 유입관(54)은 세제 공급 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제 유입관(54)은 세제 펌프(58)과 연결될 수 있다. 즉, 급수관(5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 장치(100)을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터브(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터브(20)는 댐퍼(70)에 의해 지지된다. 댐퍼(70)는 캐비닛(10)의 내측 저면과 터브(20)의 외면을 연결한다.
드럼(30)은 원통부(31)와, 원통부(31)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판(32)과, 원통부(31)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면판(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면판(32)에는 세탁물의 출입을 위한 개구가 형성되고, 후면판(33)에는 구동 모터(4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샤프트(90)가 연결된다.
드럼(30)의 둘레에는 세탁수의 유통을 위한 다수의 통공(34)이 형성되고, 드럼(30)의 내주면에는 드럼(30)이 회전할 때 세탁물의 상승 및 낙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복수의 리프터(35)가 설치된다.
드럼(30)과 구동 모터(40)는 샤프트(90)를 통해 연결되는데 샤프트(90)와 구동 모터(40)의 연결 형태에 따라, 샤프트(90)가 구동 모터(40)에 직접 연결되어 드럼(30)을 회전시키는 직접 구동 타입과 구동 모터(40)와 샤프트(90) 사이에 풀리(91)를 연결하여 드럼(30)을 구동시키는 간접 구동 타입으로 나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세탁기(1)는 간접 구동 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접 구동 타입에도 본 개시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 가능하다.
샤프트(90)의 일단은 드럼(30)의 후면판(33)에 연결되고, 샤프트(90)의 타단은 터브(20)의 후측부(21)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샤프트(90)의 타단은 구동 모터(40)으로부터 구동력을 얻기 위해 샤프트 풀리(91)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40)의 회전축에는 모터 풀리(41)가 형성되어 있다. 모터 풀리(41)와 샤프트 풀리(91) 사이에는 구동벨트(92)가 마련되어 구동벨트(92)에 의해 샤프트(90)가 구동할 수 있다.
구동 모터(40)는 터브(20)의 하측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구동벨트(92)가 터브(20)의 상하 방향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샤프트(90)를 구동시킬 수 있다.
터브(20)의 후측부(21)에는 샤프트(9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베어링 하우징(96)이 설치된다. 베어링 하우징(96)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터브(20)를 사출 성형할 때 터브(20)의 후측부(21)에 인서트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에게 세탁기(1)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4)가 마련될 수 있다. 표시부(14)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는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 하부에는 배수펌프(50)를 커버하는 하부 커버(19)가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는 세제 공급 장치(100)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18)가 마련될 수 있다.
터브(20)의 하부에는 배수펌프(50)가 배치될 수 있다. 터브(20)의 세탁수가 배수펌프(5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배수펌프(50)는 터브(20)의 배수구(81)와 연결호스(8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배수펌프(50)로 유입되는 물을 터브(20)로 순환시키기 위해, 배수펌프(50)는 순환호스(83)을 통해 터브(2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순환호스(83)의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배수펌프(50)로 유입되는 물을 세탁기(1)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배수펌프(50)는 배수호스(51)에 연결될 수 있다.
배수호스(51)에 유입된 세탁수는 캐비닛(10)의 하부, 후방을 거쳐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배수호스(51)는 연결 유로(52)일 수 있다. 연결 유로(52)는 세제 공급 장치(100)의 후방부(X방향)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 유로(53)는 연결 유로(52)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세제 공급 장치(100)의 후방부(X방향)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유로(52)의 일 측은 배수펌프(50)와 연결될 수 있고, 연결 유로(52)의 타 측은 세제 공급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 유로(53)의 일 측은 세제 공급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고, 배수 유로(53)의 타 측은 배수밸브(57)와 연결될 수 있다. 배수밸브(57)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생략될 수도 있다.
배수펌프(50)에 의해 터브(20)의 세탁수가 배수호스(51)을 거쳐 연결 유로(52)를 통해 세제 공급 장치(100)의 후방으로 유입될 수 있다. 세제 공급 장치(100)에 유입된 세탁수는 배수 유로(53)을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세제 공급 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세제 공급 장치(100)의 커버를 생략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세제 공급 장치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세제 공급 장치(100)의 후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세제 공급 장치(100)는 후방(X방향)에 연결되어 있는 급수관(55)을 통해 물이 급수될 수 있다. 급수관(55)을 통해 유입되는 물은 온수관과 냉수관으로 분기될 수 있다.
세제 공급 장치(100)는 세제함(110)과 세제함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세제함 케이스(101)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세제함(110)은 세제함 케이스(101) 내로부터 전방(-X방향)으로 인출 가능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세제함 케이스(101) 내부를 향해 후방(X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세제가 보관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세제 저장부(111)와, 세제 저장부(111)의 전방(-X방향)에 배치될 수 있는 전방벽(113) 그리고 전방벽(113)의 상부에 마련되는 핸들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전방벽(113)은 세제 공급 장치(100)가 세탁기(1)의 외부에서 노출되지 않도록 마련되는 상부 커버(18)의 후방에 마련될 수 있다(도 1 참조). 세제 저장부(111)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복수의 세제 저장부(111) 사이에는 격벽(112)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세제 저장부(111)가 단일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격벽(112)이 생략될 수 있다.
세제 공급 장치(100)는 세제 저장부(111)의 후방에 마련되는 배수필터(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필터(150)는 필터장치(120)와, 보관함(13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수필터(150)는 세제함(110)에 장착될 수 있다. 배수필터(150)는 연결 유로(52)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수필터(150)에 의해 필터링 된 세탁수는 배수 유로(53)를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도 2 참조).
배수필터(150)는 터브(20)보다 상측(Z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탈수 행정이 끝나고 난 다음 배수필터(150) 내의 잔수는 배수필터(150)가 터브(20)보다 하측(-Z방향)에 배치되는 구조 보다 적게 있을 수 있으므로, 배수필터(150)의 교체 시 사용자의 불쾌감이 줄어들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수필터(150)가 터브(20) 보다 하측(-Z방향)에 있는 구조에서, 배수필터(150)의 교체시 배수필터(150) 내에 잔수가 있을 수 있다. 배수필터(150) 내의 잔수는 중력을 받아 터브(20) 로부터 배수필터(150)으로 유입된 세탁수일 수 있다.
일례에 따른 배수필터(150)는 터브(20) 보다 상측(Z방향)에 마련되므로, 탈수 행정이 끝나고 난 다음 터브(20) 내의 세탁수가 배수필터(150)로 유입되지 않을 수 있다.
세제함(101)의 후방에는 모터(105)가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모터(105)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세제함(101)의 측부에 마련될 수도 있고,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세제함(101)은 연결 유로(52) 및 배수 유로(53)과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세제함(101)은 연결 유로 커버(102)를 통해 연결 유로(52)와 연결될 수 있고, 배수 유로 커버(103)를 통해 배수 유로(53)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별도의 커버 없이 세제함(101)은 연결 유로(52) 및 배수 유로(53)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유로(52)는 배수 유로(53)에 비해 상측(Z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 유로(52)가 배수 유로(53) 보다 상측(Z방향)에 배치됨에 따라 배수필터(150)에 존재하는 잔수가 연결 유로(5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세제 공급 장치(100)와 필터장치(12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세제 공급 장치(100)와 보관함(13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세제함(110)은 세제함 케이스(101) 내에서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세제함(110)은 세제저장부(111)의 후방(X방향)에 마련될 수 있는 보관함 수용부(119) 및 안착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15)의 후방(X방향)에는 유입 지지면(116) 및 배출 지지면(117)이 마련될 수 있다. 유입 지지면(116) 및 배출 지지면(117)은 원형의 일부를 포함하는 형상일 수 있다.
필터장치(120, 도 4 참조)는 필터바디(121)와, 필터바디(121)의 일측을 통해 필터바디(121)의 내부로 삽입 가능한 필터프레임(125)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125)은 대략 원통 형상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고, 필터프레임(125)은 필터프레임(125) 내부에 마련되는 수용부(125c)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125)은 수용부(125c)를 둘러싸도록 마련되는 필터부(126)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부(126)는 메쉬 필터(Mesh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125)은 유입 지지면(116)을 향하는 일 부분에 마련되는 가이드구(125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구(125a)에는 필터부(126)와 달리, 메쉬 필터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125)의 보관함(130)을 향하는 부분에는 연결구(125b)가 마련될 수 있고, 연결구(125b)에는 가이드구(125a)와 마찬가지로, 메쉬 필터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다.
가이드구(125a)는 필터프레임(125)의 우측(-Y방향)에 마련될 수 있고, 연결구(125b)는 필터프레임(125)의 좌측(Y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구(125a)는 연결구(125b) 보다 우측(-Y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필터장치(120)는 필터프레임(125) 내부로 삽입 가능한 블레이드(127)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27)는 필터부(126)의 내주면과 접촉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필터프레임(125)은 좌우방향(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125)은 세제함(110)이 세제함 케이스(101)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125)은 세탁수가 필터장치(120)에 유입되거나 필터장치(120)으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에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블레이드(127)는 좌우방향(Y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성일 수 있다. 블레이드(127)는 필터프레임(125)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필터프레임(125) 내부에서 회전 가능할 수 있다.
블레이드(127)는 필터프레임(125) 내에 있을 수 있는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배수필터(150)의 교체 시기가 길어지거나 배수필터(150)의 내구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위해, 블레이드(127)의 중심에는 샤프트(128)가 삽입될 수 있다. 샤프트(128)의 일 측은 블레이드(127)의 대략 중심에 삽입될 수 있고, 샤프트(128)의 타 측은 샤프트기어(129)와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기어(129)는 모터기어(128)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일 수 있다. 모터기어(128)는 모터(105)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모터(105)에 의해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필터바디(121)의 유입가이더(122, 도 11 참조)를 바라보는 부분에는 유입 실링부재(142)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바디(121)의 배출 가이더(123)를 바라보는 부분에는 배출 실링부재(143)이 배치될 수 있다.
필터바디(121)의 우측(-Y방향)에는 샤프트홀(121b) 및 샤프트홀(121b)을 통해 세탁수의 누설을 막기 위한 샤프트 실링부재(148)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장치(120)에 대해 세제함(110)이 인출되는 방향에는 보관함 수용부(119)가 배치될 수 있다. 보관함 수용부(119)는 보관함(130)이 세제함(110)에 장착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보관함 수용부(119)는 안착부(115)와 달리, 홀(hole)의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안착부(115) 및 보관함 수용부(119)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필터장치(120) 및 보관함(130)이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관함(130)은 필터장치(120)의 필터바디(121)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보관함(130)은 필터바디(121)와 연통될 수 있다. 필터장치(120) 내부에 유입되는 세탁수는 린트(Lint) 및 미세 플라스틱(Micro Plasti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린트 및 미세 플라스틱 등을 이물질으로 명명할 수 있다.
보관함(130)은 수용부(125c) 내의 이물질이 보관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물질이 수용부(125c)로부터 보관함(130)으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보관함(130)은 필터바디(121)과 연결될 수 있다.
보관함(130)은 보관함 바디(134)와, 보관함 바디(134) 내에 삽입 가능하며 필터부(133a)를 포함하는 보관 필터프레임(133) 및 보관함 커버(131)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함 커버(131)는 보관함 바디(134)의 상측(Z방향)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보관 필터프레임(133)과 보관함 커버(131) 사이에는 커버 실링부재(13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보관함 바디(134)가 보관함 수용부(119) 내로 삽입되고, 보관 필터프레임(133)이 보관함 바디(134) 내로 삽입되며, 커버 실링부재(132) 및 보관함 커버(131)이 보관함 바디(134)의 상측(Z방향)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보관함(130)의 보관 필터프레임(133)은 생략될 수 있다.
도 9는 일례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100)에서 필터바디(121) 및 보관함 커버(131)를 생략한 평면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5에 도시된 세제함(110)의 필터바디(121) 및 보관함 커버(131)를 점선으로 도시한 후방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세탁수의 유동 방향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연결 유로 커버(102) 내의 연결 유로(52, 도 2 참조)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는 세제함 케이스(101)의 후방(X방향)을 통해 세제함 케이스(101)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세제함 케이스(101)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는 필터프레임(125)의 가이드구(125a)를 통해 필터프레임(125)의 내부에 유입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125)의 내부에 유입된 세탁수는 필터부(126)에 의해 필터링될 수 있다. 세탁수 중 필터링 된 물은 필터프레임(125)와 필터바디(12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고, 배수 유로(103)를 통해 세제함 케이스(101)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방향).
세탁수 중 이물질은 필터부(126)에 의해 필터프레임(125) 외부로 유출되지 못한다. 이물질은 필터프레임(125) 내부의 블레이드(127)에 의해 보관함(130, 도 7 참조)의 보관 필터프레임(13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B방향).
도 11은 일례에 따른 필터바디(121)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필터바디(121)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필터바디(121)는 필터바디 하우징(121a)과, 필터바디 하우징(121a)로부터 후방(X방향)으로 돌출되는 유입 가이더(122) 및 배출 가이더(123)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바디(121)는 유입구(122a) 및 배출구(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122a)는 연결 유로(52, 도 2 참조)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23a)는 배수 유로(53)를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22a)는 연결 유로(52) 내에 유동하는 세탁수가 배수필터(150, 도 4 참조) 내로 유입되도록 연결 유로(52)와 연통될 수 있다. 배출구(123a)는 배수필터(150) 내에서 필터링 된 세탁수가 배수 유로(53)로 배출되도록 배수 유로(53)와 연통될 수 있다.
유입 가이더(122)는 유입구(122a)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출 가이더(123)는 배출구(123a)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유입 가이더(122) 및 배출 가이더(123)는 각각 세제함 케이스(101)의 유입 지지면(116) 및 배출 지지면(11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 구성일 수 있다.
유입 가이더(122) 및 배출 가이더(123)와 연결 유로(52) 및 배수 유로(53) 사이에는 세탁수 중 적어도 일부가 새어 나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배수필터(150)는, 유입 가이더(122)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입 실링부재(142) 및 배출 가이더(123)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배출 실링부재(1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유입 실링부재(142)가 필터바디(121)와 연결 유로 커버(102)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연결 유로(52) 내의 세탁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필터바디(121) 내로 가이드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배출 실링부재(143)가 필터바디(121)와 배수 유로 커버(103)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므로 배수필터(150) 내의 필터링 된 세탁수가 누설되지 않으면서 배수 유로(53)로 가이드될 수 있다.
필터바디(121)의 전방(-X방향)에는 연통구(124)가 마련될 수 있다. 연통구(124)는 배출구(123a)와 반대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통구(124)는 필터바디(121)와 보관함(130)이 연통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연통구(124)는 수용부(125c) 내의 이물질이 이동되기 위한 린트 전달구(124a)를 포함할 수 있다. 연통구(124)는 보관함(130) 내의 세탁수가 다시 필터바디(121)을 향해 이동되도록 형성된 회수구(124b)를 포함할 수 있다.
린트 전달구(124a)는 회수구(124b)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린트 전달구(124a)는 회수구(124b)의 좌측(Y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린트 전달구(124a) 및 회수구(124b)의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을 만족하는 다양한 배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바디(121)는 배수필터(150, 도 5 참조)가 유입구(122a) 및 배출구(123a) 외에 세탁수가 유입되거나 배출되지 않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배수필터(150)가 터브(20, 도 2 참조)보다 상측(Z방향)에 마련되는 구조에 의하면, 배수펌프(50)의 압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배수필터(150)를 거친 세탁수가 배수 유로(53)를 통해 충분히 배출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터바디(121)는 유입구(122) 및 배출구(123) 외에 다른 경로를 통해 배수필터(150) 내외로 세탁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즉, 일례에 따른 필터바디(121)는 세탁수의 유출을 막음으로써 배수압의 저하를 방지하여, 충분하 세탁수가 배수 유로(53)를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도 13은 일례에 따른 필터프레임(125)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필터프레임(125)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필터프레임(125)은 좌우방향(Y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구성일 수 있다. 필터프레임(125)은 필터프레임(125)의 연장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는 대략 원통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필터프레임(125) 내부에는 수용부(125c)가 마련될 수 있다. 수용부(125c)는 연결 유로(52, 도 2 참조) 내에 유동하는 세탁수가 유동되기 위한 공간일 수 있다. 수용부(125c)는 필터프레임(125) 및 필터부(126)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필터프레임(125)의 대략 원통 형상의 일부에는 수용부(125c) 내의 세탁수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126)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부(126)는 세탁수 중 있을 수 있는 미세 플라스틱이나 린트 등 이물질을 거르는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세탁기(1, 도 1) 내부에서 배출되는 배수 유로(53, 도 2 참조)는 미세 플라스틱이나 린트 등의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세탁기(1) 외부로 세탁수를 유동시키는 배수 유로(53) 내에 이물질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배수 유로(53)가 막히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이물질이 배수 유로(53)에 유동되지 않게 함으로써, 배수 유로(53)의 막힘 문제 등이 해결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125)의 적어도 일부는 필터부(126)의 메쉬 필터가 생략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프레임(125)은, 연결 유로(52)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가이드구(125a) 및 보관함(130, 도 6 참조)을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연결구(125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구(125a)는 필터프레임(125)의 우측부(-Y방향)의 후방(X방향)을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고, 연결구(125b)는 필터프레임(125)의 좌측부(Y방향)의 전방(X방향)을 마주보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구(125a)는 연결 유로(52) 내에 부피가 큰 이물질이 수용부(125c)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연결구(125b)는 수용부(125c) 내에 유동되는 이물질이 보관함(130)으로 이동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연결 유로(52) 내 유동하는 이물질을 보관함(130)으로 가이드 함에 따라, 배수 유로(53)에 유동되는 배수는 이물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5는 일례에 따른 세제함(110)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6은 일례에 따른 보관함(130)이 결합된 세제함(110)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7은 일례에 따른 보관함 커버(131) 및 보관함 바디(134)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세제함(110)의 후방에는 안착부(115) 및 보관함 수용부(119)가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115)는 보관함 수용부(119) 보다 후방(X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부(115)는 좌측벽(115a), 베이스(115b), 우측벽(115c) 및 후방벽(115d)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벽(115a)은 필터바디(121, 도 11 참조)의 좌측부(Y방향)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고, 우측벽(115c)은 필터바디(121)의 우측부(-Y방향)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베이스(115b)는 필터바디(121)의 하측부(-Z방향)를 지지하기 위한 플레이트(Plate)일 수 있다.
우측벽(115c)은 샤프트(128, 도 7 참조)를 지지하기 위한 샤프트 지지면(118)을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 지지면(118)은 원형 일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샤프트구(118a)의 인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방벽(115d)은 유입 가이더(122) 및 배출 가이드(123)와 인접한 필터바디(121)의 후방부(X방향)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후방벽(155d)은, 유입 가이더(122, 도 10 참조)를 지지하기 위한 원형 일부로 형성되는 유입 지지면(116) 및 배출 가이더(123)를 지지하기 위한 원형 일부로 형성되는 배출 지지면(117)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 지지면(116)의 인근에는 유입 가이더 수용홀(116a)이 마련될 수 있고, 배출 지지면(117)의 인근에는 배출 가이더 수용홀(117a)이 마련될 수 있다. 즉, 유입 가이더 수용홀(116a)에 유입 가이더(122)가 삽입될 수 있고, 배출 가이더 수용홀(117a)에 배출 가이더(123)가 삽입될 수 있다.
보관함 수용부(119)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hole)의 형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관함 수용부(119)에 보관함(130)이 삽입되면서 보관함(130)은 세제함 케이스(101)의 일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관함(130)은 필터바디(121)를 바라보도록 형성되는 린트구(134a) 및 회수 전달구(134b)를 포함할 수 있다. 린트구(134a)는 필터바디(121)의 린트 전달구(124a)와 연통될 수 있고, 회수 전달구(134b)는 필터바디(121)의 회수구(124b)와 연통될 수 있다. 린트구(134a)는 회수 전달구(134b)보다 좌측(Y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린트구(134a)를 통해 필터바디(121) 내의 부피가 큰 이물질이 보관함(130) 측으로 이동될 수 있고, 회수 전달구(134b)를 통해 보관함(130) 내의 물이 다시 필터바디(121) 내로 이동될 수 있다(도 10 참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린트구(134a)와 린트 전달구(124a) 사이 그리고 회수 전달구(134b)와 회수구(124b) 사이에 물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실링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보관함 커버(131)의 둘레에 인접하게 보관함 커버(131)의 하방(-Z방향)에는 바디 결합홈(131a)이 마련될 수 있다. 보관함 바디(134)는 바디 결합홈(131a)에 삽입 가능하도록 둘레를 따라 상방(Z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결합돌기(13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다른 일례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200)에서 필터커버(221)를 생략한 평면확대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세제함(210)은 세제함 케이스(201)의 후방(X방향)을 향해 인출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세제함 케이스(201)은 연결 유로(52, 도 2 참조) 및 배수 유로(53)과 연결되기 위한 연결 유로 커버(202) 및 배수 유로 커버(203)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유로 커버(202) 및 배수 유로 커버(203)은 세제함 케이스(201)로부터 후방(X방향)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세제함(210)은 배수필터(220)이 삽입되기 위한 안착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제함(210)은 안착부(215) 보다 후방(X방향)에 배치되는 유입 가이더 수용홀(216a) 및 유입 지지면(216)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 가이더 수용홀(216a)에는 배수필터(220)의 유입 가이더(224)가 삽입될 수 있다.
세제함(210)은, 배출구(217a) 및 배출구(217a)의 둘레에 마련되는 배출구 지지면(217)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217a) 및 배출구 지지면(217)은 세제함(210)의 후방부(X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배출구(217a)는 배수 유로(53, 도 2 참조)와 연통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따른 배수필터(220)는 일례에 따른 배수필터(150)과 달리, 보관함이 별도의 구성이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배수필터(220)는 이물질이 보관되는 보관함의 구성이 별도로 생략될 수 있다.
이물질이 보관되는 보관함의 구성은 'L'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L'자 형상의 보관함의 구성은 필터부(226)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배수필터(220)는 필터바디(223) 및 필터바디(223)의 상측(Z방향)에 마련되는 필터커버(221)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커버(221)와 필터바디(223)의 사이에는 필터프레임(225)와 커버 실링부재(222)가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실링부재(222)는 필터바디(223) 내부의 세탁수가 필터커버(221)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커버 실링부재(22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필터프레임(225)과 필터바디(223)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필터프레임(225)은 상부 필터부(226a)를 포함할 수 있고, 필터바디(223)은 하부 필터부(22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필터부(226a)는 필터프레임(225)의 일부에 마련될 수 있고, 하부 필터부(226b)는 필터바디(223)의 일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필터바디(223)은 안착부(215)에 삽입될 수 있으며, 후방(X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유입 가이더(224)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가이더(224)는 연결 유로 커버(202) 내에 삽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일례에 따른 필터바디(121)과 달리 필터바디(223)는 배출 가이더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별도의 물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한 실링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배수필터(150)와 달리, 연결 유로(52)에서 필터바디(223) 내로 삽입된 세탁수는 필터부(226)를 통해 상측(Z방향) 또는 하측(-Z방향)으로 필터링되어 유출될 수 있다. 필터링된 세탁수는 필터바디(223)과 안착부(215)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배출구(217a)를 통해 배수 유로(53)로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필터바디(223) 내부의 세탁수 중 필터링된 물만 캐비닛(10, 도 2 참조)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배수 유로(53)의 막힘 문제나 세탁기(1) 외부로 이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 유로 커버(202)를 통해 배수필터(220) 내부에 유입되는 세탁수 중 필터부(226)에 의해 필터링 된 물은 배수 유로 커버(203)를 통해 세제함(210) 외부로 배출된다(A방향).
배수필터(220) 내부에 유입되는 세탁수 중 이물질은 필터부(226) 외부로 유출되지 못해 배수필터(220) 내부에 수용되거나, 별도로 마련되는 'L'형상의 보관함(미도시)에 보관될 수 있다(B방향).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별도의 블레이드 구성이나, 모터의 구성 등이 부가될 수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일례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300)의 평면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세제 공급 장치(300)는 대략 원통 형상의 배수필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수필터(320)는 세제함(310)의 후방(X방향)에 장착될 수 있다. 세탁수는 세제함 케이스(301)의 연결 유로 커버(302)와 연결되는 연결 유로(52, 도 2 참조)를 통해 배수필터(320) 내부로 유입되며, 배수 유로 커버(303)와 연결되는 배수 유로(53)를 통해 캐비닛(10) 외부로 배출된다.
세제 공급 장치(300)의 구성에도 필터링 된 물만 배수 유로(53)를 통해 배출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별도의 블레이드 및 모터의 구성이 부가될 수 있다.
도 21은 제어부에 의한 블레이드(127)의 구동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22는 일례에 따른 블레이드(127)의 구동을 나타낸 Flow Chart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일례에 따른 세제 공급 장치(100)는 제어부(60)에 따라 구동부(105)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105)란, 모터(105)가 될 수 있다.
구동부(105)의 회전에 대응하여 블레이드(127)도 회전할 수 있다. 수용부(125c, 도 7 참조) 내에서 회전하는 블레이드(127)는 필터프레임(125)의 내주면과 접촉될 수 있다.
블레이드(127)의 회전으로 인해 필터프레임(125) 내부의 수용부(125c)에 수용되는 이물질이 이동되어 보관함(130)으로 운반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22를 참조하면, 일례에 따른 세탁기(1)가 탈수 행정을 시작하면, 터브(20) 내의 세탁수는 배수펌프(50)에 의해 연결 유로(52)를 거쳐 배수필터(150) 내로 유입될 수 있다(410).
세탁기(1)가 탈수 행정을 시작하거나 세탁수가 필터장치(120) 내로 유입되면, 센서부가 이를 인식하거나(420)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을 할 수 있다(430). 별도의 입력은 On 입력일 수 있다.
센서부의 인식(420) 또는 사용자의 입력(430)에 따라 제어부(60)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440). 제어부(60)의 신호를 받은 구동부(105)가 작동할 수 있다(450). 구동부(105)의 작동(450)에 대응하여 블레이드(127)가 회전되어 수용부(125c) 내의 이물질이 보관함(130)으로 이동될 수 있다(460).
블레이드(127)의 회전은 배수필터(150) 내로부터 세탁수가 배출이 다 되는 것을 센서가 인식하거나 별도의 타이머 또는 사용자가 Off 입력을 누르게 되면 멈출 수 있고, 이로써 탈수 행정이 종료된다(460).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세탁기
10: 캐비닛
20: 터브
50: 배수펌프
52: 연결 유로
53: 배수 유로
100, 200, 300: 세제 공급 장치
101, 201, 301: 세제함 케이스
110, 210, 310: 세제함
120: 필터장치
130: 보관함
150, 220, 320: 배수필터

Claims (20)

  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연결되는 배수펌프;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 공급 장치로서, 세제함을 포함하는 세제 공급 장치; 및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세제함에 장착되는 배수필터; 를 포함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터브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세탁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필터를 연결시키는 연결 유로 및 상기 배수필터와 연결되며 상기 배수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필터에서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유로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연결 유로 내에 유동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필터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연결 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구; 및
    상기 배수필터 내에서 필터링된 세탁수가 상기 배수 유로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수 유로와 연통되는 배출구; 를 포함하는 세탁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함은 상기 배수필터가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안착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필터프레임으로서,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세탁수를 필터링 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유입구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가이드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배수필터 내부의 배수압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상기 필터프레임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필터바디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을 포함하는 세탁수가 유동하고,
    상기 필터바디와 상기 필터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수용부 내에서 필터링된 세탁수가 유동하는 세탁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바디는 필터바디 하우징과, 상기 유입구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바디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연결 유로를 향해 돌출되는 유입 가이더 및 상기 배출구의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바디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배수 유로를 향해 돌출되는 배출 가이더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유입 가이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유입 실링부재 및 상기 배출 가이더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배수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필터바디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필터바디와 연통되는 보관함을 더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수용부 내에 유동하는 이물질이 상기 보관함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보관함 측에 형성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은 원통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배수필터는 상기 필터부의 내면과 접촉하며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필터프레임이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중심축으로 상기 필터프레임 내부에서 회전 가능한 세탁기.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배출구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도록 마련되는 세탁기.
  16.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의 하부에 마련되는 배수펌프;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상기 터브의 상측에 마련되는 세제 공급 장치로서,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세제함을 포함하는 세제 공급 장치; 및
    상기 배수펌프와 연결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세제함에 장착되는 배수필터로서, 상기 세제함에 안착되는 필터바디와, 상기 필터바디 내에 수용되는 세탁수를 필터링하도록 상기 필터바디의 내측에 배치되는 필터프레임을 포함하는 배수필터; 를 포함하는 세탁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펌프와 상기 배수필터를 연결시키는 연결 유로 및 상기 배수필터와 연결되며 상기 배수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필터에서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 유로를 더 포함하는 세탁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연결 유로 내에 유동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필터 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연결 유로와 연통되는 유입구; 및
    상기 배수필터 내에 유동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 유로로 배출되도록 상기 배수 유로와 연통되는 배출구; 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프레임은 상기 유입구를 통해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구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구를 포함하는 세탁기.
  19.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는 터브;
    상기 터브와 연결되는 배수펌프;
    상기 터브에 세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세제 공급 장치로서, 상기 캐비닛으로부터 인출 가능한 세제함을 포함하는 세제 공급 장치; 및
    상기 세제함에 장착되는 배수필터로서, 상기 세제함에 안착되는 필터바디와, 상기 필터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바디 내의 세탁수를 필터링하도록 마련되는 필터부를 포함하는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의 상측에 마련되는 필터커버를 포함하는 배수필터; 를 포함하는 세탁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바디는 상기 배수펌프에 의해 유동하는 세탁수가 상기 배수필터 내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공급 장치는, 상기 필터바디가 안착되는 안착부로서, 상기 배수필터 내에서 필터링된 세탁수가 상기 배수필터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220056284A 2022-05-06 2022-05-06 세탁기 KR20230156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284A KR20230156611A (ko) 2022-05-06 2022-05-06 세탁기
PCT/KR2023/003185 WO2023214666A1 (ko) 2022-05-06 2023-03-08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6284A KR20230156611A (ko) 2022-05-06 2022-05-06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611A true KR20230156611A (ko) 2023-11-14

Family

ID=8864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6284A KR20230156611A (ko) 2022-05-06 2022-05-06 세탁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56611A (ko)
WO (1) WO202321466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2377B (it) * 1993-04-28 1997-06-23 Urbano Petito Lavabiancheria con filtro estraibile dall'alto
JP2006006631A (ja) * 2004-06-25 2006-01-12 Toshiba Corp 洗濯機
CN1873085B (zh) * 2005-05-31 2010-08-25 海尔集团公司 一种过滤器装置以及设有该过滤器装置的烘干洗衣机
KR101391735B1 (ko) * 2007-04-30 2014-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JP5903559B2 (ja) * 2012-02-20 2016-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衣類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14666A1 (ko) 2023-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4987A1 (en) Washing machine
KR201500250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122002A (ko) 세탁기
EP2295625A1 (en) Washing machine and detergent feeding device thereof
EP1990462A2 (en) Tub for drum washing machine and drum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20140046181A (ko) 의류처리장치
EP2703545B1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KR20130016932A (ko) 세탁기
KR10159001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052459A (ko) 의류처리장치
US11001953B2 (en) Washing machine
KR20180074458A (ko) 세탁기
KR101225167B1 (ko) 배수케이싱을 구비하는 세탁기
KR20230156611A (ko) 세탁기
EP3541983B1 (en) Washing machine
KR20220103280A (ko) 필터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93929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89891B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방법
US11926953B2 (en) Washing machine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4353896A1 (en) Washing machine and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CN218321996U (zh) 一种小型洗衣机
EP4083301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1976401B2 (en) Drainage passage including filte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11913161B2 (en) Washing machine
US20220228310A1 (en) Filter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