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697A -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697A
KR20190081697A KR1020170184427A KR20170184427A KR20190081697A KR 20190081697 A KR20190081697 A KR 20190081697A KR 1020170184427 A KR1020170184427 A KR 1020170184427A KR 20170184427 A KR20170184427 A KR 20170184427A KR 20190081697 A KR20190081697 A KR 20190081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product
agent
inform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647B1 (ko
Inventor
신현갑
김연찬
조해동
서영민
천종화
황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70184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6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01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facilitat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 G01N2021/0106General arrangement of respective parts
    • G01N2021/0118Apparatus with remote proces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021/8411Application to online plant, process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14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xamined
    • G01N2021/8918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프레임워크의 재설계 없이 다양한 공장제어시스템 및 다양한 카메라 설비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은, 제품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탑재된 제1 구성파일(Configuration File)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검사하여 결함정보를 생성하는 검사모듈이 탑재된 제2 구성파일을 포함하는 촬영 에이전트; 상기 촬영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결함정보를 기초로 표면결함 검사결과를 생성하는 검사 에이전트; 및 상기 검사결과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System for Surface Defect Inspection}
본 발명은 표면결함검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공장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경우 제품표면에 존재하는 결함에 검사가 요구된다. 예컨대, 제철소와 같은 공장의 냉연공정에서 생산되는 냉연제품(강판 또는 코일)의 경우 수 많은 압연작업과 롤(Roll)을 거치기 때문에 제품표면에 많은 결함이 발생할 수 있어 표면결함에 대한 검사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종래의 경우 검사자가 검사대 상에서 육안으로 냉연제품의 표면결함을 식별하였는데 냉연제품의 경우 고속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육안으로 냉연제품의 표면결함을 식별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결함등급 여부 또한 검사자의 경험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결함검출의 오차가 매우 클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표면결함이 존재하는 냉연제품이 수요가에게 그대로 공급됨으로 인해 제품신뢰도가 하락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카메라를 이용하여 냉연제품의 표면을 촬영함으로써 냉연제품의 표면결함을 검사하는 검사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카메라를 이용하여 냉연제품의 표면을 촬영함으로써 냉연제품의 표면결함을 검사하는 시스템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49331호(발명의 명칭: 냉연강판의 표면결함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함)
하지만, 선행문헌 1을 비롯하여 카메라를 이용하여 냉연제품의 표면결함을 검사하는 일반적인 검사 시스템의 프레임워크(Framework)는 해당 검사 시스템이 설치되는 공장의 제어 시스템(예컨대, PLC 등)이나 표면결함을 검사할 카메라의 타입에 따라 그 구조가 미리 결정될 수 밖에 없으므로, 해당 검사 시스템이 설치되는 공장의 제어 시스템이나 카메라의 타입이 변경되면 검사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자체를 재설계해야 하므로 검사 시스템의 유지보수 및 기능 향상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49331호(발명의 명칭: 냉연강판의 표면결함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워크의 재설계 없이 다양한 공장 제어 시스템 및 다양한 카메라 설비에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은, 제품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탑재된 제1 구성파일(Configuration File)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검사하여 결함정보를 생성하는 검사모듈이 탑재된 제2 구성파일을 포함하는 촬영 에이전트; 상기 촬영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결함정보를 기초로 표면결함 검사결과를 생성하는 검사 에이전트; 및 상기 검사결과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 시스템이 공장 제어 시스템 또는 카메라 타입이 변경되더라도 재설계가 요구되지 않는 하드웨어 독립적인 프레임워크를 구비하기 때문에 검사 시스템의 환경 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장 제어 시스템이나 카메라 타입이 변경되더라도 프레임워크의 재설계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시스템 개발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시스템 구축비용 및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의 프레임워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검사시스템의 프레임워크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에이전트(21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검사 에이전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의 프레임워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품의 표면결함 검사시스템(이하, '검사시스템'이라 함)은 연속공정을 통해 생성되는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연속공정이란 원재료를 이용하여 완제품을 생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공정들이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각 공정의 산출물들이 서로 혼합되거나 특정 공정의 산출물의 상태가 변화하여 후속 공정으로 공급되는 방식의 공정을 의미한다. 철강공정이 이러한 연속공정의 대표적인 예에 해당한다.
연속공정을 통해 생성되는 제품의 일 예로는 냉연제품이 있다. 냉연제품이란 제철소의 냉연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냉연제품은 냉연강판 또는 냉연코일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시스템의 프레임워크(100)는 측정계층(110), 관리계층(120), 및 모니터링계층(130)으로 구성된다.
측정계층(110)은 하나 이상의 측정서버(112a~112n)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측정서버(112)는 제품의 표면을 촬영함으로써 촬영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촬영영상을 기초로 제품의 표면결함여부를 판단하여 표면결함이 존재하면 결함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각 측정서버(112a~112n)들에는 제품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카메라(미도시)가 접속될 수 있다. 각 측정서버(112a~112n)에 연결되는 카메라의 개수는 검사시스템의 검사조건 및 성능조건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각 측정서버(112a~112n)에는 카메라의 제어 및 촬영영상의 획득을 위한 촬영 에이전트(미도시)가 탑재된다.
관리계층(120)은 검사서버(122)를 포함한다. 검사서버(122)는 측정서버(112a~112n)에 의해 생성된 결함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류함으로써 표면결함 검사결과를 생성한다. 검사서버(122)에는 표면결함 검사결과의 생성을 위한 검사 에이전트(미도시)가 탑재된다.
모니터링계층(130)은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132a~132n)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132a~132n)은 검사서버(122)로부터 표면결함 검사결과를 수신하고, 수신된 표면결함 검사결과를 조업자에게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132a~132n)은 현재 진행중인 검사결과 이외에도 조업자의 요청에 따라 이전의 검사결과를 제공하거나 이전의 검사결과를 리포트 형태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132a~132n)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검사시스템의 프레임워크(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검사시스템의 프레임워크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시스템의 프레임워크(100)는 측정서버(112)에 탑재되는 촬영 에이전트(210), 검사서버(122)에 탑재되는 검사 에이전트(220) 및 데이터베이스(230)를 포함한다.
촬영 에이전트(210)는 측정서버(112)에 탑재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측정서버(112)만을 도시한 것일 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측정서버(112a~112n)들이 측정계층(110)에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각 측정서버(112a~112n) 마다 촬영 에이전트(210)가 탑재될 수 있다.
촬영 에이전트(210)는 제품의 표면촬영을 위한 카메라(250a~250n)를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촬영 에이전트(2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카메라(250a~250n)가 접속될 수 있다.
촬영 에이전트(210)는 촬영 에이전트(210)에 접속된 카메라(250a~250n)를 제어하고, 카메라(250a~250n)를 통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검사함으로써 결함정보를 생성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에이전트(21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에이전트(21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촬영 에이전트(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성파일(310a~310n), 제2 구성파일(320a~320n), 모듈 활성화부(330), 제어모듈(340a~340n), 및 검사모듈(350a~350n)를 포함한다.
제1 구성파일(310a~310n)은 제품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구성파일(310a~310n)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250a~250n) 타입 별로 복수개가 포함된다. 이때, 카메라(250a~250n)의 타입은 라인(Line)타입 카메라 또는 에어리어(Area) 타입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구성파일(310a~310n)은 카메라(250a~250n)의 타입이 결정되면 결정된 카메라(250a~250n)의 타입에 해당하는 제1 구성파일(310a~310n)이 모듈 활성화부(330)에 의해 인스톨되어 제어모듈(340a~340n)로 활성화된다.
제2 구성파일(320a~320n)은 카메라(250a~250n)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검사하여 결함정보를 생성하는 검사모듈이 탑재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구성파일(320a~320n)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 알고리즘 별로 복수개가 포함된다. 제2 구성파일(320a~320n)은 검사 알고리즘이 결정되면 결정된 검사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제2 구성파일(320a~320n)이 모듈 활성화부(330)에 의해 검사모듈(350a~350n)로 활성화된다.
모듈 활성화부(330)는 저장영역(212)에 저장되어 있는 제1 구성파일(310a~310n)을 활성화시켜 제1 구성파일(310a~310n)에 탑재되어 있는 제어모듈을 활성화 영역(214) 내에 설치한다. 또한, 모듈 활성화부(330)는 저장영역(212)에 저장되어 있는 제2 구성파일(320a~320n)을 활성화시켜 제2 구성파일(320a~320n)에 탑재되어 있는 검사모듈을 활성화 영역(214) 내에 설치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활성화 영역(214)에는 각 제어모듈 별로 해당 제어모듈이 활성화될 영역과 각 검사모듈 별로 해당 검사모델이 활성화될 영역이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모듈(340a~340n)은 카메라(250a~250n)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제1 구성파일(310a~310n)내에 탑재되어 있다가 모듈 활성화부(330)에 의해 제1 구성파일(310a~310n)이 활성화 영역(214) 내에 인스톨됨으로써 활성화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모듈(340a~340n)이 각 카메라(250a~250n) 타입 별로 제1 구성파일(310a~310n)로 저장되어 있고 검사 시스템에 적용될 카메라 결정시 그에 해당하는 제1 구성파일(310a~310n)을 인스톨함으로써 제어모듈(340a~340n)을 활성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250a~250n)의 타입이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카메라 타입에 대응되는 제1 구성파일(310a~310n)만을 인스톨하여 해당 카메라의 제어를 위한 제어모듈(340a~340n)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시스템을 재설계할 필요가 없어 검사 시스템이 적용되는 현장상황에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모듈(340a~340n)은 카메라(250a~250n)의 동작을 개시함으로써 카메라(250a~250n)가 제품표면의 촬영을 개시하도록 하거나 카메라(250a~250n)의 동작을 중지시킴으로써 카메라(250a~250n)가 제품표면의 촬영을 중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340a~340n)은 검사 에이전트(220)로부터 촬영개시명령이 수신되면 카메라(250a~250n)를 동작시켜 카메라(250a~250n)가 제품표면을 촬영하도록 하고, 검사 에이전트(220)로부터 촬영중지명령이 수신되면 카메라(250a~250n)의 동작을 중지시켜 카메라(250a~250n)가 제품표면 촬영을 중단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모듈(340a~340n)은 검사 에이전트(220)로부터 촬영횟수가 수신되면 카메라(250a~250n)가 미리 정해진 기준시간 동안 촬영횟수만큼 제품표면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검사 에이전트(220)로부터 수신되는 촬영횟수는 제품의 속도정보에 비례하도록 설정된다.
상술한 제어모듈(340a~340n)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제어부(342a~342n) 및 영상획득부(344a~344n)를 포함한다. 동작제어부(342a~342n)는 촬영 에이전트(210)에 접속된 카메라(250a~250n)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동작제어부(342a~342n)은 상술한 촬영개시명령에 따라 온(ON)되어 촬영을 개시하거나 촬영종료명령에 따라 오프(OFF)되어 촬영을 중지한다. 또한, 동작제어부(342a~342n)은 조업자의 선택에 따라 회전, 틸팅, 또는 줌 기능을 수행하여 제품의 표면이 보다 세밀하게 촬영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영상획득부(344a~344n)는 카메라(250a~250n)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 중 검사모델(350a~350n)에 의해 결함이 검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촬영영상을 획득한다.
검사모듈(350a~350n)은 카메라(250a~250n)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미리 정해진 검사 알고리즘으로 검사함으로써 결함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초기에는 제2 구성파일(320a~320n)내에 탑재되어 있다가 모듈 활성화부(330)에 의해 제2 구성파일(320a~320n)이 활성화 영역(214) 내에 인스톨됨으로써 활성화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모듈(350a~350n)이 검사 알고리즘 별로 제2 구성파일(320a~320n)로 저장되어 있고 검사 시스템에 적용될 검사 알고리즘 결정시 그에 해당하는 제2 구성파일(320a~320n)을 인스톨함으로써 검사모듈(350a~350n)을 활성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검사 알고리즘이 변경되더라도 변경된 검사 알고리즘에 대응되는 제2 구성파일(320a~320n)만을 인스톨하여 해당 검사 알고리즘의 수행을 위한 검사모듈(350a~350n)을 구축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시스템을 재설계할 필요가 없어 다양한 검사조건에 대해서도 유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검사모듈(350a~350n)에 의해 생성되는 결함정보에는 결함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는 촬영영상, 해당 촬영영상에 대한 제품정보, 및 해당촬영영상에서 결함영역으로 판단되는 영역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모듈(350a~350n)은 생성된 결함정보를 검사 에이전트(220)로 전송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검사 에이전트(220)는 검사서버(122)에 설치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검사 에이전트(220)에 하나의 촬영 에이전트(210) 및 하나의 사용자 단말(132)이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하나의 검사 에이전트(220)에는 복수개의 촬영 에이전트들 및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이 접속될 수 있다.
검사 에이전트(220)는 제어시스템(240)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를 기초로 촬영 에이전트(210)를 제어하여 촬영 에이전트(210)가 제품표면을 촬영하여 결함정보를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검사 에이전트(220)는 촬영 에이전트(210)에 의해 생성된 결함정보를 처리하여 표면촬영 검사결과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에이전트(220)가 연동하는 제어시스템(2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의 생산을 위한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는 제1 조업단말(242), 제품에 부착된 마크를 센싱하여 제품의 시작지점정보를 생성하는 제2 조업단말(244), 및 제품의 속도정보를 생성하는 엔코더(246)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에이전트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검사 에이전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사 에이전트(220)는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410),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 추가부(420), 데이터 처리모듈(430), 결함정보 처리모듈(440), 내부 인터페이스 모듈(450)을 포함한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410)은 제품의 생산을 위한 제어시스템(240)으로부터 제품의 작업지시정보 및 시작지점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외부 인터페이스모듈(410)은 제어시스템(240)으로부터 제품의 속도정보를 추가로 수신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410)은 제1 인터페이스부(412), 제2 인터페이스부(414), 및 제3 인터페이스부(416)를 포함한다.
제1 인터페이스부(412)는 도 2에 도시된 제1 조업단말(242)과 연동함으로써 제1 조업단말(242)로부터 제품의 작업지시정보를 수신한다. 제1 인터페이스부(412)는 수신된 작업지시정보를 데이터 처리모듈(430)로 전달한다. 또한, 제1 인터페이스부(412)는 데이터 처리모듈(43)로부터 표면촬영 검사결과를 수신하여 제1 조업단말(242)로 제공한다.
제2 인터페이스부(414)는 도 2에 도시된 제2 조업단말(244)과 연동함으로써 제2 조업단말(242)로부터 제품의 시작지점정보를 수신한다. 제2 인터페이스부(414)는 수신된 시작지점정보를 데이터 처리모듈(430)로 전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인터페이스부(414)가 제2 조업단말(244)로부터 제품의 시작지점정보를 수신하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시스템이 냉연제품에 적용되는 경우, 냉연제품은 연속공정을 통해 연속적인 형태로 생산되기 때문에 각각의 냉연제품 별로 표면촬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냉연제품들 간의 구분이 반드시 필요하고 각 냉연제품의 구분을 위해서는 각 냉연제품의 시작지점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제3 인터페이스부(416)는 도 2에 도시된 인코더(246)와 연동함으로써 인코더(246)로부터 제품의 이동속도에 대한 속도정보를 수신한다. 제3 인터페이스부(416)는 수신된 속도정보를 데이터 처리모듈(430)로 전달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 인터페이스부(416)를 통해 속도정보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시스템(240)이 별도의 인코더(246)를 구비하지 않고 제2 조업단말(244)이 제품의 이동속도를 센싱하여 속도정보를 생성하는 경우 제2 인터페이스부(414)가 시작지점정보와 함께 속도정보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제3 인터페이스부(416)는 생략할 수 있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 추가부(420)는 새로운 제어시스템(240)이 검사 에이전트(220)에 연결되면 새롭게 연결된 제어시스템(240)과의 연동을 위한 외부인터페이스 모듈을 추가로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에이전트(220)가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 추가부(420)를 포함하는 이유는, 검사 시스템은 검사 시스템의 설치장소나 검사조건에 따라 검사 시스템이 연동하게 되는 제어시스템(240)이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변경되는 제어시스템(240)과도 연동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을 추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검사 시스템의 프레임워크(100)는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 추가부(420)를 통해 제어시스템(240)에 대한 하드웨어 종속성을 완화시킬 수 있어, 설치장소나 검사조건에 관계없이 검사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게 되어 검사 시스템의 적용범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데이터 처리모듈(430)은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410)을 통해 수신된 작업지시정보 및 시작지점정보를 기초로 촬영개시명령 및 촬영중지명령을 생성한다. 예컨대, 데이터 처리모듈(430)은 작업지시정보를 기초로 제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시작지점정보를 기초로 해당 제품이 시작지점을 특정함으로써 촬영개시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작업지시정보 및 시작지점정보가 수신되면 새로운 제품이 인입된 것으로 판단하여 이전 제품에 대한 촬영중지명령을 생성하고 새로운 제품에 대한 촬영개시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처리모듈(430)은 생성된 촬영개시명령 및 촬영중지명령을 내부 인터페이스 모듈(450)을 통해 촬영 에이전트(210)로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모듈(430)은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410)로부터 제품의 속도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속도정보를 기초로 카메라의 촬영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의 촬영횟수는 기준시간 동안의 촬영횟수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처리모듈(430)은 제품의 속도정보에 비례하도록 카메라의 촬영횟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빠르게 이동하는 제품의 경우 촬영횟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카메라가 해당 제품을 고속으로 촬영할 수 있어 제품의 표면이 정확하게 촬영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처리모듈(430)은 내부 인터페이스 모듈(450)을 통해 촬영 에이전트(210)로부터 결함정보가 수신되면 결함정보를 결함정보 처리모듈(440)로 전달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모듈(430)은 결함정보 처리모듈(440)에 의해 생성된 표면결함 감사결과를 제1 인터페이스부(412)를 통해 제1 조업단말(242)로 전달하거나 내부 인터페이스 모듈(450)을 통해 사용자 단말(312)로 제공한다.
이외에도 데이터 처리모듈(430)은 검사 에이전트(220)에 포함된 각 모듈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 각 모듈들의 스케쥴링, 및 각 모듈들의 결함 또는 상태의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모니터링 결과 결함이 있는 모듈이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처리모듈(430)은 그 결과를 내부 인터페이스 모듈(450)을 통해 사용자 단말(312)로 제공할 수 있다.
결함정보 처리모듈(440)은 데이터 처리모듈(430)로부터 결함정보가 수신되면 결함정보를 분석하여 표면촬영 검사결과를 생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결함정보 처리모듈(440)은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결함정보를 분류함으로써 표면결함 검사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결함정보 처리모듈(440)은 생성된 표면결함 검사결과를 데이터 처리모듈(430)로 제공하고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한다.
내부 인터페이스 모듈(450)은 데이터 처리모듈(430)을 촬영 에이전트(210) 및 사용자 단말(312)과 연동시킨다. 이를 위해, 내부 인터페이스 모듈(450)은 제1 링크부(452) 및 제2 링크부(454)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452)는 촬영 에이전트(210)와의 링크를 형성하여 촬영 에이전트(210)로 촬영개시명령 및 촬영중지명령을 전달하고 촬영 에이전트(210)로부터 결함정보를 수신한다. 제1 링크부(452)는 데이터 처리모듈(430)에 의해 촬영횟수가 설정되는 경우 촬영횟수를 촬영 에이전트(210)로 추가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링크부(454)는 사용자 단말(312)과 링크를 형성하여 사용자 단말(312)로 표면결함 검사결과를 전송한다. 또한, 제2 링크부(454)는 검사 에이전트(220)의 결함정보 또는 상태정보를 사용자 단말(312)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링크부(454)는 사용자 단말(132)로부터 이전의 표면결함 검사결과가 요청되면 해당 요청을 데이터 처리모듈(430)로 전달하고, 데이터 처리모듈(430)로부터 해당 요청에 상응하는 표면결함 검사결과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32)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검사 에이전트(220)가 단일 프로세스로 구동할 수 있는 하나의 소프트웨어 패키지로 구현되기 때문에 검사 에이전트(220)를 복수개의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와 비교할 때 각각의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프로세스들 간의 통신이 요구되지 않아 검사 시스템의 실시간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베이스(230)에는 결함정보 및 해당 결함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표면결함 검사결과가 저장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검사 시스템의 프레임워크 110: 측정계층
112: 측정서버 120: 관리계층
122: 검사서버 130: 모니터링 계층
132: 사용자 단말 210: 촬영 에이전트
220: 검사 에이전트 230: 데이터베이스
240: 제어시스템 250: 카메라
310a~310n: 제1 구성파일 320a~320n: 제2 구성파일
330; 모듈 활성화부 340a~340n: 제어모듈
350a~350n: 검사모듈 410: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
420: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 추가부 430: 데이터 처리모듈
440: 결함정보 처리모듈

Claims (14)

  1. 제품표면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를 제어하는 제어모듈이 탑재된 제1 구성파일(Configuration File) 및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촬영영상을 검사하여 결함정보를 생성하는 검사모듈이 탑재된 제2 구성파일을 포함하는 촬영 에이전트;
    상기 촬영 에이전트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결함정보를 기초로 표면결함 검사결과를 생성하는 검사 에이전트; 및
    상기 검사결과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파일은 카메라 타입 별로 복수개가 포함되고, 상기 제2 구성파일은 검사 알고리즘 별로 복수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에이전트는,
    상기 카메라 타입이 결정되면 복수개의 제1 구성파일들 중 결정된 카메라 타입에 해당하는 제1 구성파일을 인스톨하여 상기 제어모듈로 활성화시키고, 상기 검사 알고리즘이 결정되면 복수개의 제2 구성파일들 중 결정된 검사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제2 구성파일을 인스톨하여 상기 검사모듈로 활성화시키는 모듈 활성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에이전트는,
    상기 제1 구성파일 및 제2 구성파일이 저장되는 저장 영역; 및
    상기 제1 구성파일이 인스톨되어 상기 제어모듈로 활성화되고, 상기 제2 구성파일이 인스톨되어 상기 검사모듈로 활성화되는 활성화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작제어부; 및
    상기 촬영영상 중 결함이 검출된 촬영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에이전트는,
    상기 제품의 생산을 제어하는 제어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품의 작업지시정보 및 시작지점정보를 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결함정보를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표면결함 검사결과를 생성하는 결함정보 처리모듈; 및
    상기 작업지시정보 및 시작지점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작업지시정보 및 시작지점정보를 기초로 촬영개시명령을 생성하여 상기 촬영 에이전트로 전달하고, 상기 검사결과를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상기 제어시스템으로 전달하는 데이터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생성하는 제1 조업단말로부터 상기 작업지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로 전달하는 제1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품에 부착된 마크를 센싱하여 상기 시작지점정보를 생성하는 제2 조업단말로부터 상기 시작지점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로 전달하는 제2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은 상기 제품의 이동속도를 센싱하여 상기 제품의 속도정보를 생성하는 엔코더로부터 상기 속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로 전달하는 제3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에이전트는,
    새로운 제어시스템이 상기 검사 에이전트에 연결되면 상기 새로운 제어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외부인터페이스 모듈을 추가 설치하는 외부인터페이스 모듈 추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모듈은 상기 제어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품의 속도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속도정보에 비례하도록 상기 카메라의 촬영횟수를 설정하고,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설정된 카메라의 촬영횟수에 따라 상기 제품의 표면을 촬영하도록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 에이전트는,
    상기 촬영 에이전트와의 링크를 형성하여 상기 촬영 에이전트로부터 상기 결함정보를 수신하는 제1 링크부 및 사용자 단말과의 링크를 형성하여 상기 표면결함 검사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는 내부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라인(Line)타입 카메라 또는 에어리어(Area) 타입 카메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연속공정을 통해 생성되는 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은 냉연공정에서 생산되는 냉연제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KR1020170184427A 2017-12-29 2017-12-29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KR1021286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427A KR102128647B1 (ko) 2017-12-29 2017-12-29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427A KR102128647B1 (ko) 2017-12-29 2017-12-29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697A true KR20190081697A (ko) 2019-07-09
KR102128647B1 KR102128647B1 (ko) 2020-06-30

Family

ID=67261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427A KR102128647B1 (ko) 2017-12-29 2017-12-29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6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462A (ja) * 1993-03-16 1994-09-27 Olympus Optical Co Ltd 顕微鏡遠隔観察システム
KR20030049331A (ko) 2001-12-14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 강판의 표면 결함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100838723B1 (ko) * 2001-12-05 2008-06-1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표면 결함부의 검출 및 평점산출장치
CN104660953A (zh) * 2013-11-18 2015-05-2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网络影像监控系统及其自动分配方法
KR20170069178A (ko) * 2017-05-13 2017-06-20 주식회사 에이피에스 멀티 광학 모듈 비전 검사 시스템
CN107094244A (zh) * 2017-05-27 2017-08-25 北方工业大学 可集中管控的智能客流监测装置与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69462A (ja) * 1993-03-16 1994-09-27 Olympus Optical Co Ltd 顕微鏡遠隔観察システム
KR100838723B1 (ko) * 2001-12-05 2008-06-16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표면 결함부의 검출 및 평점산출장치
KR20030049331A (ko) 2001-12-14 2003-06-25 주식회사 포스코 냉연 강판의 표면 결함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CN104660953A (zh) * 2013-11-18 2015-05-2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网络影像监控系统及其自动分配方法
KR20170069178A (ko) * 2017-05-13 2017-06-20 주식회사 에이피에스 멀티 광학 모듈 비전 검사 시스템
CN107094244A (zh) * 2017-05-27 2017-08-25 北方工业大学 可集中管控的智能客流监测装置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647B1 (ko)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9629B2 (en) Image analytics for elevator maintenance
CN111542791B (zh) 使用设施诊断系统的设施诊断方法
CN110244666B (zh) 生产线监视装置、生产线监视系统、生产线监视方法
EP3505480B1 (en) Elevator inspection using automated sequencing of camera presets
KR101874098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신재생 에너지 설비의 진단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WO2015045851A1 (ja) 作業支援システムおよび作業者支援方法
US202202304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9661626B (zh) 用于诊断自动化系统的系统和方法
CN105205517A (zh) 一种工厂运行设备的智能巡检系统及方法
KR101685950B1 (ko) 자가 고장 진단 기능이 구비된 올인원 녹화 장치
JP6599416B2 (ja) 製造ライン監視装置、製造ライン監視プログラム、製造ライン監視方法、製造ライン監視システム
JP2008217608A (ja) 産業機械の遠隔監視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922382B1 (ko) 자동화 시스템의 검사 장치
KR20190081697A (ko) 제품의 표면결함검사 시스템
DE102016206264A1 (de) Bildmessvorrichtung, Bildmessverfahren, Informationsverarbeitungsvorrichtung, Informationsverarbeitungsverfahren und Programm
JP5367305B2 (ja) 目視検査装置および目視検査方法
EP2847676B1 (en) System and method of distributed procesing for machine-vision analysis
JP7336253B2 (ja) 据付物の施工方法
KR10187662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표시부 정상상태를 무인 검사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1015921B2 (en) Measurement system
US2021030294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storing program
CN107920207B (zh) 基于ppc软体改进aoi系统的图像传输系统及方法
KR20040092568A (ko) 차량 제조공장의 생산라인용 자기완결형 품질 관리 시스템
DE102012208364B4 (de) Vorrichtung,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Funktionskontrolle einer Komponente einer Photovoltaikanlage
WO2020044779A1 (ja) 設置環境推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