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593A -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593A
KR20190081593A KR1020170184242A KR20170184242A KR20190081593A KR 20190081593 A KR20190081593 A KR 20190081593A KR 1020170184242 A KR1020170184242 A KR 1020170184242A KR 20170184242 A KR20170184242 A KR 20170184242A KR 20190081593 A KR20190081593 A KR 201900815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iot
control
iot hom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1715B1 (ko
Inventor
권예은
강학수
김수빈
호윤주
이예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184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17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5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5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1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1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사용자로부터 일괄제어그룹 생성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일괄제어그룹에 포함시킬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완료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입력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일괄제어그룹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괄제어그룹은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가 각각 설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일괄제어버튼을 포함하는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oT DEVICES}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기존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은 홈 네트워크와 연결된 가전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홈 네트워크의 게이트웨이로 접속하고, 홈 네트워크에 연결된 가전기기들에 대한 장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가전기기들에 대한 동작상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동작입력에 따라 상기 가전기기들을 제어한다.
그러나, 기존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은 개별적인 가전기기에 대한 각각의 제어입력을 통해 가전기기를 제어하므로 한 번에 복수의 가전기기를 동시에 제어하기 어렵다. 따라서, 복수의 가전기기를 보다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가전기기 제어방법은 복수의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기 위해, 제어 대상이 되는 가전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전기기의 제어동작을 설정하고, 다시 가전기기 목록으로 되돌아간 후, 다시 다른 가전기기를 선택하여 제어동작을 설정해야 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했다. 따라서, 화면전환 없이 복수의 가전기기의 제어동작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는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가전기기 제어방법은 특정 가전기기의 동작에 따라 상기 특정 가전기기와 함께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 동작을 제어해야 했다. 따라서, 특정 가전기기의 동작에 따라 상기 특정 가전기기와 함께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가 설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한 번에 복수의 가전기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하나의 가전기기 동작으로 트리거되어 다른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가전기기 제어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일괄제어그룹 생성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일괄제어그룹에 포함시킬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완료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입력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일괄제어그룹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일괄제어그룹은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가 각각 설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일괄제어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괄제어버튼을 통해 제어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가 상기 설정된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일괄제어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일괄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1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목록을 노출하기 위한 목록표시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표시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상기 제어동작이 설정된 IoT 가전기기와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일측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과 대응되는 IoT 가전기기를 상기 일괄제어그룹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순차제어 생성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순차제어그룹에 포함시킬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순차제어를 개시하기 위한 최초 IoT 가전기기의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동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될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 각각의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완료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가 포함된 순차제어그룹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가 설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입력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종속 IoT 가전기기가 각각 상기 설정된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순차제어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순차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시간정보 및 상기 순차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1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목록을 노출하기 위한 목록표시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표시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IoT 가전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는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를 통해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단말은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일괄제어그룹 생성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일괄제어그룹에 포함시킬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완료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입력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일괄제어그룹을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일괄제어그룹은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가 각각 설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일괄제어버튼을 포함한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괄제어버튼을 통해 제어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가 상기 설정된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일괄제어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일괄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1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목록을 노출하기 위한 목록표시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표시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상기 제어동작이 설정된 IoT 가전기기와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일측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과 대응되는 IoT 가전기기를 상기 일괄제어그룹에서 제외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순차제어 생성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순차제어그룹에 포함시킬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순차제어를 개시하기 위한 최초 IoT 가전기기의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중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의 제어동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될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 각각의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완료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가 포함된 순차제어그룹을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가 설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입력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종속 IoT 가전기기가 각각 상기 설정된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순차제어신호를 서버로 전1송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순차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서버는 상기 시간정보 및 상기 순차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1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목록을 노출하기 위한 목록표시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표시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IoT 가전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는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를 통해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가전기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전기기의 제어동작을 설정하고, 다시 가전기기 목록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의 반복 없이, 제어그룹에 표시되는 각각의 가전기기의 제어동작을 간편히 설정할 수 있다.
한 번의 실행입력을 통해 복수의 가전기기가 미리 설정된 각각의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정 가전기기 중 어느 하나의 동작에 따라, 상기 특정 가전기기와 함께 이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가 설정된 제어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하나의 가전기기 동작에 따라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가전기기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복수의 가전기기를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IoT 가전기기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서버 및 IoT 가전기기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일괄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일괄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일괄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5는 순차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순차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IoT 가전기기 제어방법을 수행하는 단말(100), 서버(200) 및 IoT 가전기기의 개념도를 도시한다.
단말(100), 서버(200) 및 IoT 가전기기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단말(100)은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기기 중 하나일 수 있다.
IoT 가전기기는 에어컨, 스위치, 조명, 로봇 청소기, 공기 청정기, 냉장고, IoT 가스밸브, 온도조절기, 환풍기, IoT 도어락, 블루투스 스피커, TV, IoT 디퓨저, 칫솔 살균기, 비데, 식기세척기, 시계 등 다양한 장치 중 하나로 단말(100) 및/또는 서버(200)와 연동될 수 있다.
도 2는 일괄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일괄제어그룹 생성입력을 수신한다(S100).
일괄제어는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를 한 번의 제어입력을 통해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괄제어그룹은, 상기 한 번의 제어입력을 통해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그룹을 의미한다.
도 3a는 일괄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단말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3a를 함께 참조하면, 단말(100)은 표시부의 일측(예를 들면, 하단)에 노출된 입력영역인 "일괄제어그룹 생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일괄제어그룹 생성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우리집 기기, 일괄제어 및 순차제어 등의 모드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현재 모드가 일괄제어인 경우, 표시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존 일괄제어그룹(예를 들면, "일괄제어 1") 및 상기 기존 일괄제어그룹에 대한 제어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일괄제어버튼(예를 들면, "지금 실행")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일괄제어버튼을 통해 일괄제어입력을 수신한 경우, 단말(100)은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가 상기 설정된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일괄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일괄제어신호가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경우, 상기 일괄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설정정보에 따라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괄제어 1에 대한 일괄제어버튼 "지금 실행"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제어입력이 수신된 경우, 서버(200)는 IoT 멀티탭에 연결된 IoT 가전기기를 설정된 제어정보(도시되지 않음)에 따라 제어하고, 거실등을 켤 수 있다.
표시부는 일괄제어그룹과 함께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의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더 노출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괄제어그룹 "일괄제어 1"은 "켜기"로 설정된 환풍기 및 "켜기"로 설정된 거실등을 더 노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일괄제어그룹 및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개별제어버튼을 함께 디스플레이함으로써, 복수의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기 위해 제어 대상이 되는 가전기기를 선택하고, 선택된 가전기기의 제어동작을 설정하고 다시 가전기기 목록으로 되돌아간 후, 다시 다른 가전기기를 선택하여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과정을 반복하지 않고도 복수의 IoT 가전기기의 제어동작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와 대응되는 아이콘을 더 노출할 수 있고, 상기 아이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와 연관된 도형, 텍스트, 색, 부호, 기호 및 캐릭터 중 어느 하나 또는 그것들의 조합들로 표현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일괄제어그룹에 포함시킬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한다(S110).
도 3b는 일괄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단말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3b를 함께 참조하면, 표시부는 TV, 공기청정기, 로봇청소기 및 멀티탭 등의 IoT 가전기기 각각의 명칭 및 그에 대한 개별제어버튼을 노출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TV, 공기청정기, 로봇청소기 및 멀티탭은 각각 "A", "B", "C", "D"라는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아직 어떠한 IoT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입력도 수신되지 않은 경우, 표시부는 일측에 선택된 IoT 가전기기가 없음을 시각적으로(예를 들어, 도 3b의 원형의 반투명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표시)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한다(S120).
도 3b는 일괄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표시부는 사용자로부터 TV에 대한 "끄기" 제어입력 및 공기청정기에 대한 "켜기" 제어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제어입력에 기초하여 TV를 "끄기"로 설정하고, 공기청정기를 "켜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일측에 표시된 영역(예를 들면, 우측 상단의 "완료")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완료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완료입력이 수신된 경우, 제어입력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일괄제어그룹을 표시한다(S130).
도 3c는 일괄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단말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3c를 참조하면, 표시부는 IoT 가전기기 TV 및 공기청정기를 포함하고, TV는 "끄기"로 설정되고, 공기청정기는 "켜기"로 설정된 일괄제어그룹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표시부는 일측(예를 들면, 상측)에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와 연관된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즉, TV에 대한 아이콘 "A" 및 공기청정기에 대한 아이콘 "B")를 더 노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일측에 대한 입력을 통해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상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과 대응되는 IoT 가전기기를 상기 일괄제어그룹으로부터 제외시킬 수 있다. 도 3c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A" 및 "B"는 우측 상단에 "X" 형상의 입력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입력영역에 대해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된 경우, 그 입력영역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과 연관된 IoT 가전기기는 그 IoT 가전기기가 속한 일괄제어그룹에서 제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의 우측 상단에 표시된 "X"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수신된 경우, 표시부는 일괄제어그룹에서 "A" 및 그와 대응되는 IoT 가전기기인 TV를 삭제할 수 있다.
이미 생성된 일괄제어그룹은 표시부에 노출되는 각각의 IoT 가전기기에 대한 개별제어버튼을 통해 변경할 수 있다. 일괄제어그룹을 생성하거나 변경할 때, 일괄제어그룹에 다른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1 IoT 가전기기(예를 들어, IoT 멀티탭 또는 스위치 등)가 존재할 수 있다. 제1 IoT 가전기기에 대한 표시 방법은 일반적인 IoT 가전기기에 대한 표시 방법과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00)은 일괄제어그룹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1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IoT 가전기기가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목록을 노출하기 위한 목록표시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단말(100)은 제1 IoT 가전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IoT 가전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다른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일괄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표시부는 일괄제어 1 및 일괄제어 2를 노출할 수 있다. 이 중 일괄제어 1은 제1 IoT 가전기기인 IoT 멀티탭을 포함하고, 표시부는 상기 IoT 멀티탭과 함께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목록을 노출하기 위한 목록표시버튼(예를 들면, "∨")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부는 상기 목록표시버튼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목록표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a와 함께 도 4b를 참조하면, 사용자로부터 IoT 멀티탭에 대한 목록표시 입력이 수신된 경우, 표시부는 상기 목록에 포함된 가습기와 블루투스 스피커 각각에 대한 개별제어버튼("켜기" 및 "끄기")을 노출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IoT 멀티탭과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의 제어정보를 개별적으로 설정한 후, IoT 멀티탭의 제어를 통해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IoT 멀티탭에 연결된 복수의 IoT 가전기기 각각을 선택하여 제어동작을 설정한 후, 다시 다른 IoT 가전기기를 선택하는 과정을 반복하지 않고도, IoT 멀티탭에 연결된 복수의 IoT 가전기기의 제어동작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순차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순차제어 생성입력을 수신한다(S200).
순차제어는 어느 하나의 IoT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동작이 감지될 경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상기 IoT 가전기기를 제외한 모든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순차제어그룹은, 상기 제어동작 감지대상이 되는 최초 IoT 가전기기 및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의 동작에 종속되는 종속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그룹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최초 IoT 가전기기가 거실조명인 경우, 종속 IoT 가전기기는 TV, 블루투스 스피커, IoT 디퓨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르면, 서버(200)는 최초 IoT 가전기기인 거실조명이 켜지는 것이 감지될 경우, 종속 IoT 가전기기인 TV, 블루투스 스피커 및 IoT 디퓨저가 켜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최초 IoT 가전기기라 지칭되는 어느 하나의 IoT 가전기기의 동작이 종속 IoT 가전기기라 지칭되는 다른 IoT 가전기기의 동작을 유발하도록 연동될 수 있다.
도 6a는 순차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6a를 함께 참조하면, 단말(100)은 표시부의 일측(예를 들어, 하단)에 노출된 입력영역인 "순차제어그룹 생성"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순차제어그룹 생성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우리집 기기, 일괄제어 및 순차제어 등의 모드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순차제어그룹에 포함시킬 적어도 하나의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한다(S210).
도 6b는 순차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6b를 함께 참조하면, 표시부는 IoT 밥솥, 주방 조명, IoT 가스밸브 및 로봇 청소기 및 그에 대한 개별제어버튼을 노출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IoT 밥솥, 주방조명, IoT 가스밸브 및 로봇청소기는 각각 "X", "Y", "Z", "W"라는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시될 수 있다. 단말(100)은 아직 IoT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IoT 가전기기에 대한 선택 입력을 요구하는 메시지(e.g. "순차제어를 시작할 동작을 선택")를 표시부의 일측에 노출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최초 IoT 가전기기의 제어동작이 감지되는 경우, 단말(100)은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종속 IoT 가전기기가 설정된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순차제어신호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순차제어신호가 단말(100)로부터 전송된 경우, 상기 순차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설정정보에 따라 종속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순차제어를 개시하기 위한 최초 IoT 가전기기의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한다(S220).
도 6b를 함께 참조하면, 표시부는 사용자로부터 순차제어를 개시하기 위한 최초 IoT 가전기기(예를 들여, IoT 밥솥)의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제어입력("켜기")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의 동작을 유발(즉, 트리거(trigger))하는 최초 IoT 가전기기의 동작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제어동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될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 각각의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한다(S230).
도 6c는 순차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순차제어를 개시하기 위한 최초 IoT 가전기기인 IoT 밥솥에 대한 제어입력 "켜기"에 따라, IoT 밥솥을 최초 IoT 가전기기로 설정하고, 그 제어동작을 "켜기"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표시부의 일측(예를 들면, 상단)에 최초 IoT 가전기기인 IoT 밥솥 및 그 제어동작인 "IoT 밥솥이 켜지면"을 노출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완료입력이 수신된 경우, 최초 IoT 가전기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가 포함된 순차제어그룹을 표시한다(S240).
도 6d는 순차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6d를 참조하면, 표시부는 최초 IoT 가전기기인 IoT 밥솥과 종속 IoT 가전기기인 주방조명, IoT 가스밸브, 로봇 청소기를 포함하고, IoT 밥솥이 켜지면, 주방 조명이 "켜기"로 설정되고, IoT 가스밸브가 "열기"가 설정되며, 로봇 청소기가 "끄기"로 설정된 순차제어그룹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6d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 "X", "Y", "Z" 및 "W"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는 일측에 표시된 영역(예를 들면, 우측 상단의 "완료")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완료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d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특정 IoT 가전기기의 제어동작을 다른 IoT 가전기기의 제어동작과 연관시킴으로써, 특정 IoT 가전기기와 함께 이용되는 다른 IoT 가전기기의 동작을 일일이 제어하지 않고도, 특정 IoT 가전기기의 동작에 따라 함께 이용되는 다른 IoT 가전기기가 미리 설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단말
200: 서버

Claims (21)

  1.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일괄제어그룹 생성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일괄제어그룹에 포함시킬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완료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입력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일괄제어그룹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일괄제어그룹은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가 각각 설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일괄제어버튼을 포함하는,
    일괄 제어하려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괄제어버튼을 통해 제어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가 상기 설정된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일괄제어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일괄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1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목록을 노출하기 위한 목록표시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표시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상기 제어동작이 설정된 IoT 가전기기와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일측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과 대응되는 IoT 가전기기를 상기 일괄제어그룹에서 제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
  6. 순차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순차제어 생성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순차제어그룹에 포함시킬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순차제어를 개시하기 위한 최초 IoT 가전기기의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어동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될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 각각의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완료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가 포함된 순차제어그룹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순차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가 설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입력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종속 IoT 가전기기가 각각 상기 설정된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순차제어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순차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순차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시간정보 및 상기 순차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순차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1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목록을 노출하기 위한 목록표시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표시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순차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IoT 가전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는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를 통해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일괄적으로 제어되는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
  11.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일괄제어그룹 생성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일괄제어그룹에 포함시킬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상기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완료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입력이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상기 일괄제어그룹을 표시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상기 일괄제어그룹은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가 각각 설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일괄제어버튼을 포함하는,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일괄제어버튼을 통해 제어입력을 수신한 경우,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가 상기 설정된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일괄제어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일괄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일괄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시키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1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목록을 노출하기 위한 목록표시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표시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일측에 상기 제어동작이 설정된 IoT 가전기기와 대응되는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의 일측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아이콘과 대응되는 IoT 가전기기를 상기 일괄제어그룹에서 제외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는,
    단말.
  16.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표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순차제어 생성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순차제어그룹에 포함시킬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수신된, 순차제어를 개시하기 위한 최초 IoT 가전기기의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제어입력에 따라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중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의 제어동작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어될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 각각의 개별제어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제어동작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완료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속 IoT 가전기기가 포함된 순차제어그룹을 표시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단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 IoT 가전기기가 설정된 제어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실행입력이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모든 종속 IoT 가전기기가 각각 상기 설정된 제어동작에 따라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순차제어신호를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순차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시간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더 수행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시간정보 및 상기 순차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순차제어그룹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단말.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제어버튼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제1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를 포함하는 목록을 노출하기 위한 목록표시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목록표시버튼에 대한 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목록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 각각에 대한 명칭 및 개별제어버튼을 상기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IoT 가전기기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는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다른 IoT 가전기기는 상기 제1 IoT 가전기기를 통해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단말.
  21.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184242A 2017-12-29 2017-12-29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51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42A KR102051715B1 (ko) 2017-12-29 2017-12-29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242A KR102051715B1 (ko) 2017-12-29 2017-12-29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93A true KR20190081593A (ko) 2019-07-09
KR102051715B1 KR102051715B1 (ko) 2019-12-03

Family

ID=67261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242A KR102051715B1 (ko) 2017-12-29 2017-12-29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171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033A (ko) * 2020-01-17 2021-07-27 복정제형 주식회사 스마트 안마 의자의 스마트 안마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N113778292A (zh) * 2021-09-01 2021-12-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侧边栏快速控制物联设备的方法、装置和终端
CN114265344A (zh) * 2021-11-24 2022-04-01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基于创建虚拟设备组的批量控制的方法、系统及设备
KR20230013344A (ko) * 2021-07-19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장치 및 상기 가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513A (ko) * 2013-09-23 2015-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02004A (ko)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170078106A (ko) * 2015-12-29 2017-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3513A (ko) * 2013-09-23 2015-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서비스를 위한 기기들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70002004A (ko) * 2015-06-29 2017-01-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단말,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20170078106A (ko) * 2015-12-29 2017-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3033A (ko) * 2020-01-17 2021-07-27 복정제형 주식회사 스마트 안마 의자의 스마트 안마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20230013344A (ko) * 2021-07-19 2023-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장치 및 상기 가전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CN113778292A (zh) * 2021-09-01 2021-12-1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通过侧边栏快速控制物联设备的方法、装置和终端
CN114265344A (zh) * 2021-11-24 2022-04-01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基于创建虚拟设备组的批量控制的方法、系统及设备
CN114265344B (zh) * 2021-11-24 2023-09-19 青岛海尔科技有限公司 基于创建虚拟设备组的批量控制的方法、系统及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1715B1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1715B1 (ko)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14103307A1 (ja) 制御方法
US9471053B2 (en) Notification method, notification device, notification system, storage medium, information exchange networking service providing server, and mobile terminal
AU2015326466A2 (en) Universal remote control
RU2681466C2 (ru) Типовой элемент управления для бытовых приборов, объединенных в сеть
US20140359042A1 (en) Programmable Automation with the Aid of a Social Network
Kartakis et al. Control smart homes easily with simple touch
WO2019080607A1 (zh) 一种家用电器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家用电器
KR101797812B1 (ko) 다수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실행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설정서버
US2010018021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20210232111A1 (en) Control Method for Smart Home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20190059419A (ko) IoT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N112130459A (zh) 状态信息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JP2007036394A (ja) リモコン操作端末機及びその動作プログラム
CN113934490B (zh) 设备控制页面的打开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102047594B1 (ko)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51705B1 (ko) IoT 가전기기의 동작 상태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CN107851009B (zh) 用于修改基于控制器的设备的代码的行为的方法和装置
KR101961027B1 (ko)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KR20170002333A (ko) 다수의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실행방법, 어플리케이션 및 설정서버
US2023009885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6366416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JP7291872B2 (ja) 表示装置、変更方法、プログラム
WO2022149325A1 (ja) 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機器制御装置
CN106155731B (zh) 可自动更换周边装置的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