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594B1 -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594B1
KR102047594B1 KR1020170156920A KR20170156920A KR102047594B1 KR 102047594 B1 KR102047594 B1 KR 102047594B1 KR 1020170156920 A KR1020170156920 A KR 1020170156920A KR 20170156920 A KR20170156920 A KR 20170156920A KR 102047594 B1 KR102047594 B1 KR 102047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
iot home
control
information
i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9375A (ko
Inventor
권예은
강학수
김수빈
호윤주
이예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156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5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9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단말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범주 목록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범주 목록에 포함된 제어범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 설정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CATEGORY OF IoT DEVICES}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기존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은 제어 단말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동작 모드에 대한 실행 요청 메시지를 홈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며, 상기 홈 게이트웨이는 상기 실행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홈 디바이스가 해당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기존의 가전기기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물리적 배치관계를 파악하기 어렵고, 가전기기를 공간별로 제어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가전기기를 직관적으로 제어하기 어렵다.
가전기기의 물리적 배치관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공간별로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 설정방법은, 단말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범주 목록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범주 목록에 포함된 제어범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범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는 서로 동일한 속성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IoT 가전기기가 댁내에 배치된 구조와 대응되도록 상기 IoT 가전기기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팝업(pop-up) 또는 드롭 다운 방식으로 표시부에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가 IoT 플러그인 경우,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IoT 플러그에 연결된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로부터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 및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동일한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범주는 상기 제어범주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제어영역을 더 표시한다.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 및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동일한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포함된 기존 제어범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는 상기 기존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어떠한 제어범주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 및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신규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 결과,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상기 설치 장소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영역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범주는, 상기 제어범주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개별 제어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신규 설치된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단말은 표시부,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 및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범주 목록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범주 목록에 포함된 제어범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범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는 서로 동일한 속성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IoT 가전기기가 댁내에 배치된 구조와 대응되도록 상기 IoT 가전기기 정보를 노출할 수 있다.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팝업(pop-up) 또는 드롭 다운 방식으로 표시부에 노출할 수 있다.
상기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가 IoT 플러그인 경우,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IoT 플러그에 연결된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신규 설치된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단말은 표시부,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 및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로부터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 및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동일한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범주는 상기 제어범주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제어영역을 더 표시한다.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 및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동일한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포함된 기존 제어범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는 상기 기존 제어범주에 더 포함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어떠한 제어범주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 및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신규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 결과,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상기 설치 장소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영역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범주는, 상기 제어범주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개별 제어영역을 더 표시할 수 있다.
가전기기의 물리적 배치관계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동일한 공간에 설치된 복수의 가전기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서버 및 IoT 가전기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5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100), 서버(200) 및 IoT 가전기기의 개략도이다.
단말(100), 서버(200) 및 IoT 가전기기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단말(100)은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기기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100)의 블록도이다.
단말(100)은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110),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120), 서버(200)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130) 및 표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어범주 목록을 표시부(140)에 노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범주 목록에 포함된 제어범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140)에 노출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제어범주는 제어하려는 적어도 둘 이상의 IoT 가전기기를 분류 또는 카테고리화(categorizing) 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범주로 분류된 적어도 둘 이상의 IoT 가전기기는 서로 동일한 속성 정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속성 정보는, IoT 가전기기의 형태, 용도, 설치 장소, 기능, 전력 소비량, 사용기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그것들의 조합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동일한 속성 정보를 가진 복수의 IoT 가전기기들을 하나의 제어범주로 분류하여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유사한 특징을 가진 복수의 IoT 가전기기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만약 특정의 속성 정보를 가진 IoT 가전기기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IoT 가전기기는 제어범주로 분류하여 표시하지 않고, 속성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를 참조하면, 거실 스위치, 주방이라는 설치 장소의 속성 정보를 가진 둘 이상의 IoT 가전기기는 "거실 스위치", "주방"을 제어범주로 분류하여 표시될 수 있으나 화장실이라는 설치 장소의 속성 정보를 가진 비데는 동일한 설치 장소의 속성 정보를 가진 다른 IoT 가전기기가 아직 존재하지 않으므로 특정한 설치 장소(예를 들면, 화장실)의 속성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제어범주는 제어범주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의 동작을 일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1 내지 조명 3을 포함하는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가 존재하고,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에 포함된 제어영역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거실 스위치를 꺼짐으로 설정하라는 제어 입력을 수신한 경우, 단말(100)은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에 포함된 조명 1 내지 조명 3의 제어 상태를 꺼짐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복수의 IoT 가전기기를 한 번의 동작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어범주는 제어범주에 포함된 복수의 IoT 가전기기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는 조명 1 내지 조명 3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범주로 분류되지 못한 단일의 속성 정보를 가지는 IoT 가전기기는 해당 IoT 가전기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영역(예를 들면, 도 6b의 비데(화장실) 우측의 "켜짐"으로 표시된 제어 영역)을 IoT 가전기기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새로운 IoT 가전기기 정보는 서버가 전력 소비 패턴에 기초하여 판단(e.g. NILM :Non-Intrusive Load Monitoring)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서버(200)는 새로운 IoT 가전기기의 전력 소비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새로운 IoT 가전기기가 어떤 가전기기인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200)는 새로운 IoT 가전기기가 24시간 동안 전력을 소비할 경우, 상기 IoT 가전기기를 냉장고 또는 칫솔살균기라고 판단할 수 있고, 새로운 IoT 가전기기가 여름철에만 전력을 소비하는 경우, 상기 IoT 가전기기가 냉장고 또는 에어컨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새로운 IoT 가전기기가 이미 등록된 IoT 가전기기인 화장실 조명이 켜진 후 전력을 소비하는 경우, 상기 IoT 가전기기가 비데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새로운 IoT 가전기기가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e.g. 30분) 많은 양의 전력을 소비한 경우, 상기 IoT 가전기기가 다리미라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IoT 가전기기 정보는 IoT 가전기기의 제조일자 정보, 모델 정보, 가격 정보, AS 정보, 구매일자 정보, 제조사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거실등, 안방등, 화장실등, 현관등이라는 속성 정보를 가진 IoT 가전기기들은 조명이라는 제어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하나의 스위치에 속한 세부 스위치라는 속성 정보를 가진 IoT 가전기기들은 스위치라는 제어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환풍기, 비데, 칫솔살균기라는 속성 정보를 가진 IoT 가전기기들은 욕실이라는 제어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하루 평균 소비 전력이 동일한 구간(e.g. 20kWh~25kWh)에 속하는 IoT 가전기기들은 저전력 소비 또는 고전력 소비라는 제어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일정 기간 이상의 사용 기간(e.g. 5년, 10년 등)이라는 속성 정보를 가진 IoT 가전기기들은 사용기간이 오래된 가전기기라는 제어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100)은 IoT 가전기기가 댁내에 배치된 구조와 대응되도록 IoT 가전기기를 표시부(140)에 노출할 수 있다.
일례에 있어서, 거실에 설치된 제1 스위치가 주방등과 거실등을 제어하는 2개의 세부 스위치를 포함하는 경우, 단말(100)은 상기 주방등과 거실등을 제어하는 세부 스위치가 상기 제1 스위치에 포함되도록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140)에 노출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안방에 독서등, TV, 가습기 및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경우, 단말(100)은 상기 독서등, TV, 가습기 및 공기청정기가 안방 내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100)은 독서등이 침대의 일측에 있고, TV는 침대와 대향하며, 안방 문 주변에 위치하고, 공기청정기는 침대와 TV 사이에 위치하는 IoT 가전기기의 배치를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에 있어서, 복수의 IoT 가전기기가 특정한 댁내 공간(e.g. 화장실)에 배치된 경우, 단말(100)은 상기 복수의 IoT 가전기기가 상기 특정한 댁내 공간과 대응되는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부(140)에 노출할 수 있다.
다른 일례에 있어서, IoT 가전기기가 IoT 멀티탭인 경우, 단말(100)은 상기 IoT 멀티탭에 연결된 가전기기 정보가 IoT 멀티탭 정보에 포함되도록 표시부(140)에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oT 멀티탭에 블루투스 스피커 및 에어컨이 연결된 경우, 단말(100)은 블루투스 스피커 및 에어컨을 포함하는 제어범주 IoT 멀티탭을 표시부(140)에 노출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도 3은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200)는 단말(100)로 제어범주 목록 정보를 전송한다(S100).
예를 들어, 서버(200)는 단말(100)로 거실 스위치 및 주방을 포함하는 제어범주 목록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는 조명 1 내지 조명 3을 포함하고, 제어범주 주방은 환풍기, 전자레인지 및 식기세척기를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제어범주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범주 목록을 표시부(140)에 노출한다(S110).
도 4a는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4a를 함께 참조하면, 단말(100)은 서버(200)로부터, 적어도 거실스위치 및 주방이라는 제어범주를 포함하는 제어범주 목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범주 목록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범주 목록을 표시부(140)에 노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제어범주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팝업(pop-up), 드롭 다운(drop down), 회전, 나타남, 배율 확대/축소, 바운드, 진동, 깜빡임 등 다양한 시각적 방식을 통해 표시부(140)에 노출할 수 있다.
또한, 단말(100)은 제어범주와 대응되는 로고, 제어 상태를 표시부(140)에 더 노출할 수 있다. 제어범주와 대응되는 로고는 상기 제어범주와 연관된 도형, 텍스트, 색, 부호, 기호 및 캐릭터 중 어느 하나 또는 그것들의 조합으로 표시될 수 있고, 제어범주의 제어 상태는 제어범주의 일측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범주의 제어 상태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입력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른 도 4a를 참조하면,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의 로고는 "A"이고, 제어 상태는 꺼짐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제어범주 주방의 로고는 "B"이고, 제어 상태는 꺼짐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범주 목록에 포함된 제어범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한다(S120).
도 4a를 함께 참조하면,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제어범주 주방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단말(100)은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에 속하는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140)에 노출한다(S130).
도 4b는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4b를 함께 참조하면, 단말(100)은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로 분류된 조명 1, 조명 2 및 조명 3이라는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140)에 노출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의 제어 상태는 꺼짐이고, 조명 1 내지 조명 3의 제어 상태도 꺼짐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100)은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말(100)은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를 제어범주 목록의 다른 제어범주와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를 다른 색으로 표시함으로써 다른 제어범주 주방과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단말(100)은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 주방으로 분류된 환풍기,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라는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140)에 노출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도 4c는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4c는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에 대해 수신된 제어 입력에 따른 제어 상태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4b 및 도 4c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 상태가 꺼짐으로 설정된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에 대해 제어 입력이 수신될 경우,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 및 상기 제어범주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인 조명 1 내지 조명 3의 제어 상태가 일괄적으로 켜짐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100)은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에 포함된 IoT 가전기기 중 조명 3에 대한 제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d는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4d는 제어범주 거실 스위치에 포함된 조명 3에 대해 수신된 제어 입력에 따른 조명 3의 제어 상태 변화를 도시한다. 도 4c 및 도 4d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 상태가 켜짐으로 설정된 조명 3에 대해 제어 입력이 수신될 경우, 제어 입력이 수신된 조명 3의 제어 상태만 꺼짐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IoT 가전기기를 범주화(categorizing)함으로써 동일한 속성을 가진 IoT 가전기기의 제어 상태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한 번의 제어 입력을 통해 복수의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동일한 제어범주에 포함된 복수의 IoT 가전기기를 다른 제어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로부터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IoT 가전기기 정보를 수신한다(S200).
예를 들어, 단말(100)은 신규 등록된 비데, 환풍기 및 칫솔 살균기에 대한 IoT 가전기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6a는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6a를 함께 참조하면, 단말(100)은 비데, 환풍기 및 칫솔 살균기를 새로 추가할 기기로 노출할 수 있다. 단말(100)은 새로운 IoT 가전기기 정보에 대해 "New" 등과 같이 새로운 정보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100)은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 중 비데를 등록하기 위한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210).
예를 들어,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비데이고 비데의 설치 장소 정보가 화장실인 경우, 단말(100)은 화장실이라는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설치 장소 정보와 함께 표시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S220).
도 6b는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6b를 함께 참조하면, 단말(100)은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인 비데를 설치 장소 정보인 화장실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기본(default) 제어 상태는 IoT 가전기기 정보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포함된 기존 제어범주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S230).
예를 들어,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비데이고 비데의 설치 장소 정보가 화장실인 경우, 단말(100)은 화장실이라는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포함된 기존 제어범주가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단말(100)은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포함된 기존 제어범주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및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신규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S240).
도 6c는 IoT 가전기기 제어 방법의 각 단계에 따른 표시부의 변화를 도시한다.
도 6c를 함께 참조하면, 단말(100)은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인 비데의 장소 정보인 화장실에 기초하여 생성한 신규 제어범주 화장실에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인 환풍기와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인 비데가 함께 포함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되지 않았으나 환풍기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이고 설치 장소 정보는 화장실이고, 기존에 화장실에 설치된 IoT 가전기기가 환풍기 한 개 밖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화장실이 제어범주로 생성되지 않고,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환풍기는 설치 장소 정보인 화장실과 함께 표시된 상태였을 수 있다. 그러던 중, 비데가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로 인식될 경우, 비데와 환풍기의 설치 장소 정보는 모두 화장실로 일치하고 비데와 환풍기의 제어범주가 아직 생성되지 않았으므로,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인 비데의 설치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범주 화장실이 생성되고, 비데와 환풍기가 모두 제어범주 화장실에 포함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신규 제어범주는 신규 제어범주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의 동작을 일괄적으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제어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6c에서 화장실이라는 신규의 제어범주는 제어범주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인 비데와 환풍기를 일괄적으로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제어영역을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만약 기존 제어범주가 존재하지 않고, 동일한 속성 정보를 가진 기존 IoT 가전기기도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신규로 등록되는 IoT 가전기기는 단일의 속성 정보를 갖는 IoT 가전기기로 분류하여 속성 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가 기존 거실 스위치, 주방이라는 기존 제어범주가 존재하고, 신규로 "화장실"이라는 설치 장소의 속성 정보를 가지는 비데를 등록하고자 하는 상황인 경우, 비데와 동일한 설치 장소의 속성 정보를 갖는 기존 제어범주도 존재하지 않고 동일한 속성 정보를 가진 IoT 가전기기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비데는 제어범주에 포함되지 않고, 그 설치 장소의 속성 정보인 "화장실"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비데만을 제어하는 제어 영역이 추가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포함된 기존 제어범주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 단말(100)은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기존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S250).
도 6d를 함께 참조하면,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인 비데와 환풍기가 포함된 기존 제어범주 화장실이 존재하므로 단말(100)은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 칫솔 살균기가 기존 제어범주 화장실에 포함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단말
110: 메모리
120: 프로세서
130: 통신 인터페이스
140: 표시부
200: 서버
300: IoT 가전기기

Claims (19)

  1. 단말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범주 목록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범주 목록에 포함된 제어범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동일한 속성 정보를 가지는 IoT 가전기기들이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일한 속성 정보를 가지는 IoT 가전기기들이 하나의 제어범주로 분류되어 제어되고,
    특정의 속성 정보를 가진 IoT 가전기기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IoT 가전기기는 제어범주로 분류하여 표시되지 않고 속성 정보와 관련하여 표시되는,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 설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범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는 서로 동일한 속성 정보를 가지는,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 설정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IoT 가전기기가 댁내에 배치된 구조와 대응되도록 상기 IoT 가전기기 정보를 노출하는,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 설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팝업(pop-up) 또는 드롭 다운 방식으로 표시부에 노출하는,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 설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가 IoT 플러그인 경우,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IoT 플러그에 연결된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 설정방법.
  6.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로부터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포함된 기존 제어범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는 상기 기존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어떠한 제어범주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 및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신규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범주는 상기 제어범주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제어영역을 더 표시하는,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 결과,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상기 설치 장소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영역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범주는 상기 제어범주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개별 제어 영역을 더 포함하는,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표시하는 방법.
  10. 표시부;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 및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어범주 목록을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어범주 목록에 포함된 제어범주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입력이 수신된 경우, 상기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동일한 속성 정보를 가지는 IoT 가전기기들이 둘 이상 존재하는 경우, 상기 동일한 속성 정보를 가지는 IoT 가전기기들이 하나의 제어범주로 분류되어 제어되고,
    특정의 속성 정보를 가진 IoT 가전기기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상기 IoT 가전기기는 제어범주로 분류하여 표시되지 않고 속성 정보와 관련하여 표시되는,
    단말.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범주로 분류된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는 서로 동일한 속성 정보를 가지는,
    단말.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IoT 가전기기가 댁내에 배치된 구조와 대응되도록 상기 IoT 가전기기 정보를 노출하는,
    단말.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IoT 가전기기 정보를 팝업(pop-up) 또는 드롭 다운 방식으로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말.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입력이 수신된 제어범주가 IoT 플러그인 경우,
    상기 노출하는 단계는, 상기 IoT 플러그에 연결된 가전기기 정보를 표시부에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15. 표시부;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상기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 및
    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로부터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할 경우,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포함된 기존 제어범주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는 상기 기존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어떠한 제어범주에도 속하지 않는 경우,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 및 상기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가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한 신규 제어범주에 포함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범주는 상기 제어범주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의 동작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제어영역을 더 표시하는,
    단말.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하는지 판단한 결과, 상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의 설치 장소 정보와 동일한 설치 장소 정보를 포함하는 기존 등록된 IoT 가전기기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상기 설치 장소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단계; 및
    신규 등록된 IoT 가전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영역을 함께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범주는, 상기 제어범주에 포함된 모든 IoT 가전기기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개별 제어 영역을 더 포함하는,
    단말.
  19. 제1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156920A 2017-11-23 2017-11-23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47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920A KR102047594B1 (ko) 2017-11-23 2017-11-23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920A KR102047594B1 (ko) 2017-11-23 2017-11-23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375A KR20190059375A (ko) 2019-05-31
KR102047594B1 true KR102047594B1 (ko) 2019-11-21

Family

ID=6665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920A KR102047594B1 (ko) 2017-11-23 2017-11-23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5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22890A1 (ko) * 2022-12-05 2024-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가전기기 제어 어플리케이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751B1 (ko) * 2002-02-06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의 메뉴화면 표시방법
KR100789487B1 (ko) * 2005-04-18 2007-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직류 전원 버스를 이용한 네트워크 시스템과 자동 전원제어방법
US10002524B2 (en) * 2012-12-13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vices in home network system
KR102467780B1 (ko) * 2015-08-26 2022-11-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플러그에 연결된 전자 기기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514435B1 (ko) * 2015-12-22 2023-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물 인터넷 (IoT) 디바이스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9375A (ko)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5499B2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er with user-friendly installation features
US9541300B2 (en) HVAC controller with user-friendly installation features facilitating both do-it-yourself and professional installation scenarios
CN104334977B (zh) 采用压缩机早期关闭且延长风扇运行的封闭空间冷却
US8544285B2 (en) HVAC controller with user-friendly installation features facilitating both do-it-yourself and professional installation scenarios
CA3066430C (en) Hvac controller with user-friendly installation features facilitating both do-it-yourself and professional installation scenarios
CN101103611B (zh) 使用继承的配置数据自动配置网络内的装置的系统和方法
TW201347340A (zh) 智慧建築應用服務偵測系統與方法
KR20150143788A (ko) 구조의 열역학 모델들의 생성 및 구현
JP2014503878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なサーモスタット制御型hvacシステム内の柔軟な機能分割
TW200910829A (en) Networked control system using logical addresses
JP2014534405A (ja) ユーザフレンドリーな、ネットワーク接続された学習サーモスタットなら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1084474A (zh) 使用装置样式表控制嵌入式装置的系统和方法
JP5875625B2 (ja) 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システム、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コントローラ、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230039B (zh) 室内控制器以及远程控制系统
KR102047594B1 (ko) IoT 가전기기의 제어범주를 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051715B1 (ko) IoT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5975547B2 (ja) コンセントのアダプタを用いた生活見守りサーバ及び生活見守り方法
KR20190059419A (ko) IoT 가전기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052458B1 (ko) 근거리 무선 통신 기반의 빌딩 자동 제어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JP201605121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67099B1 (ko) 전원통신 통합 라인의 신규 설비 제어 자동 설정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매체
US20230375992A1 (en) Control syste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method
JP2023002801A (ja) 制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449352B2 (en) Load control system and load control method
WO2017006479A1 (ja) 表示装置、制御装置、状態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