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447A -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447A
KR20190081447A KR1020170183994A KR20170183994A KR20190081447A KR 20190081447 A KR20190081447 A KR 20190081447A KR 1020170183994 A KR1020170183994 A KR 1020170183994A KR 20170183994 A KR20170183994 A KR 20170183994A KR 20190081447 A KR20190081447 A KR 20190081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treaming
screen
soun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56142B1 (ko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전주정보문화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70183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142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4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subtit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04N5/607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for more than one sound signal, e.g. stereo, multi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이 상영되는 스크린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영상부; 상기 스크린에 상영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영상을 재생시키는 영상서버 및 증강현실 기반으로 상기 영상서버에 스트리밍되어 상기 영상의 자막을 표시하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서버는 상기 스크린에 상영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스크린에 상기 영상정보의 영상을 상영시키고 상기 스피커에 메인사운드를 재생시키는 재생부 및 상기 스트리밍 글래스로부터 수신된 언어에 상응하는 자막을 상기 스트리밍 글래스에 상기 스크린에 상영되는 영상에 맞춰 스트리밍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정보는 영상, 메인사운드, 다국어의 자막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Multi-language subtitle and sound providing system using streaming glass}
본 발명은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다국적 사람들이 외국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를 제공하여 다국적의 사람들이 동시에 하나의 영상을 자국어로 관람할 수 있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다문화사회로 발전하고 있고, 다문화 가정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한국뿐만 아니라 타국 영화관, 영화제에서 제공되는 영상은 자국민(한국=한국인)만을 대상으로 한 영상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 해당 국가에 머물러 있는 외국인들은 해당 문화 서비스를 자유롭게 관람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언어의 장벽에 가로막혀, 타국의 영화를 통한 문화 체험 및 공유하는데 어려움이 따랐다.
따라서, 외국에서 자국의 언어 및 사운드로 제공되는 서비스를 통해 전 세계인이 한공간에서 실시간으로 동시에 공감할 수 있는 문화체험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다국적 사람들이 외국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를 제공하여 다국적의 사람들이 동시에 하나의 영상을 자국어로 관람할 수 있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은 영상이 상영되는 스크린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영상부; 상기 스크린에 상영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영상을 재생시키는 영상서버 및 증강현실 기반으로 상기 영상서버에 스트리밍되어 상기 영상의 자막을 표시하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서버는 상기 스크린에 상영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스크린에 상기 영상정보의 영상을 상영시키고 상기 스피커에 메인사운드를 재생시키는 재생부 및 상기 스트리밍 글래스로부터 수신된 언어에 상응하는 자막을 상기 스트리밍 글래스에 상기 스크린에 상영되는 영상에 맞춰 스트리밍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정보는 영상, 메인사운드, 다국어의 자막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글래스는 착용자의 시점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영상의 자막이 표시되는 화면부; 상기 착용자로부터 선택된 언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착용자로부터 선택된 언어를 상기 영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상기 자막을 수신받아, 상기 화면부에 상기 자막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착용자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줌인 및 줌아웃의 설정값을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줌인 및 줌아웃의 설정값에 따라 상기 카메라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에서 상기 스크린의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스크린의 영역에 상기 자막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착용자로부터 상기 스크린의 영역에서의 가상선의 위치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가상선에 상기 자막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글래스는 상기 영상의 사운드가 출력되는 헤드셋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정보는 다국어의 사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착용자로부터 상기 사운드 서비스 여부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사운드 서비스 여부를 상기 영상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사운드 서비스를 받을 경우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선택된 언어에 상응하는 사운드를 수신받아 상기 헤드셋에 상기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리밍 글래스는 상기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단어'가 입력되면, '단어'의 언어를 추출하여 추출된 언어를 상기 영상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은 다국적 사람들이 외국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를 제공하여 다국적의 사람들이 동시에 하나의 영상을 자국어로 관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이 해당 국가의 영화를 통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글래스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글래스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싱예 따른 스트리밍 글래스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글래스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은 한국뿐만 아니라 타국 영화관, 영화제에서 제공되는 영상은 자국민만을 대상으로 한 영상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어, 해당 국가에 머물러 있는 외국인들은 해당 문화 서비스를 자유롭게 관람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를 제공하여 다국적의 사람들이 동시에 하나의 영상을 각자 자국어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러한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영상부(100), 영상서버(200) 및 스트리밍 글래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디바이스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영상부(100)는 영상이 상영되는 스크린(미도시) 및 메인사운드가 출력되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미도시)은 영상서버(200)로부터 영상을 수신받은 영상출력장치(미도시)로부터 영상이 송출되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영상이 상영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영상서버(200)로부터 영상을 전송받아 자체적으로 영상을 상영할 수도 있다.
스피커(미도시)는 영상서버(200)로부터 영상정보의 메인사운드를 수신받아 메인사운드가 재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트리밍 글래스(300)를 착용하지 않은 사람들이 자막없이 영상을 관람할 수 있다.
영상서버(200)는 스크린(미도시)에 상영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가 저장되어 영상을 재생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글래스(300)에 다국어의 자막 중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영상서버(200)는 영상부(100)에 상영되는 영상 및 메인사운드의 재생에 맞춰 스트리밍 글래스(300)에 자막을 스트리밍하여, 영상부(100)에 상영되는 영상 및 사운드와 스트리밍 글래스(300)에 제공되는 자막의 싱크가 일치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영상서버(200)는 저장부(210), 재생부(220) 및 전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10)는 스크린(미도시)에 상영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정보는 영상, 메인사운드, 다국어의 자막 및 다국어의 사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영상에 메인사운드 외에도 다국어의 자막 및 사운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저장부(210)에 저장되는 영상정보들은 영상서버(20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영상서버(200)에 접속하여 업로드를 하고 영상정보를 저장시킬 수 있다.
재생부(220)는 영상부(100)와 연결되어 스크린(미도시)에 영상정보의 영상을 상영시키고 스피커(미도시)에 메인사운드를 재생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영상출력장치(미도시)에 영상정보의 영상을 전송하여 스크린(미도시)에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하여 상영시킬 수 있다.
전송부(230)는 스트리밍 글래스(300)로부터 수신된 언어에 상응하는 자막을 선별할 수 있다.
즉, 전송부(230)는 다수개의 자막 중 스트리밍 글래스(300)로부터 수신된 언어에 일치하는 자막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230)는 선별된 자막을 스트리밍 글래스(300)에 영상부(100)에서 상영되는 영상에 맞춰 스트리밍할 수 있다.
스트리밍 글래스(300)는 증강현실 기반의 디바이스이며, 영상서버(200)에 스트리밍되어 영상의 자막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스트리밍 글래스(300)는 증강현실 기반의 화면을 착용자에게 제공하여, 착용자가 안경과 같이 착용하면 착용자에게 스크린(미도시)에 자막이 있는 것처럼 시각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트리밍 글래스(300)는 카메라(310), 화면부(320), 입력부(330), 헤드셋(340), 마이크(350), 전원공급부(36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310)는 스트리밍 글래스(300)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시점을 촬영하여 제어부(37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70)를 통해 화면부(320)에 착용자의 시점과 같은 동영상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착용자는 스트리밍 글래스(300)를 쓰고 있어도 전방을 보는 것과 같이 화면부(320)를 통해 시각적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카메라(310)는 착용자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트리밍 글래스(300)에 구비될 수 있다.
화면부(320)는 카메라(310)로 촬영된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영상의 자막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부(320)는 카메라(310)로 촬영된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부(320)에 영상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된 자막이 가상적으로 겹치게 표시되어, 스크린(미도시)에 상영되는 영상에 자막이 있는 것처럼 가상현실과 실제세계가 동시에 보여짐으로 증강현실이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330)는 착용자로부터 선택된 언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입력부(330)는 터치식, 버튼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착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예들 들어, 입력부(330)를 착용자가 누르면 화면부(320)에 언어 목록(한국어, 영어, 중국어 등)이 표시되고 착용자가 언어 목록 중에 하나를 입력부(330)를 통해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30)는 착용자로부터 카메라(310)의 줌인 및 줌아웃의 설정값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70)를 통해 카메라(310)의 줌인 및 줌아웃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화관에서 스크린(미도시)과 너무 가까운 앞좌석에 앉거나 너무 먼 뒷자석에 앉은 착용자가 관람하기 편한 크기로 화면을 조정하여 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스크린의 영역에 자막이 표시되면 스크린(미도시)과의 거리가 너무 멀어 자막이 너무 작게 표시되거나, 스크린(미도시)과의 거리가 너무 가까워 자막이 너무 크게 표시되어 착용자가 관람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어 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입력부(330)는 착용자로부터 스크린의 영역에서 가상선의 위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70)를 통해 화면부(320)에 표시되는 자막의 위치를 착용자가 자신의 시점에 맞게 조정하여 자막을 보기 편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입력부(330)를 통해 가상선의 위치를 조정하려고 할 경우, 가상선이 스크린의 영역에서 표시되어 착용자가 입력부(330)를 통해 가상선의 위치를 조정하고 완료하면 완료된 가성선의 위치가 입력(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330)는 착용자로부터 사운드 서비스 여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는 착용자가 사운드 서비스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사운드 서비스는 착용자에게 다국어의 사운드 중 착용자가 선택한 언어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헤드셋(340)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영상을 관람하면서 자신이 선택한 언어(자국어)에 해당하는 사운드를 들으면서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헤드셋(340)은 영상의 사운드가 출력될 수 있다. 즉, 영상정보의 다국어의 사운드 중 착용자가 선택한 언어에 상응하는 사운드가 헤드셋(340)을 통해 출력되어 착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헤드셋(340)은 착용자의 귀를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영상 관람시 메인사운드가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나오고 있는 상태에서 헤드셋(340)을 통해 다른 사운드가 출력되는 것이므로, 메인사운드와 헤드셋(340)을 통해 나오는 사운드가 겹쳐져 혼란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집중력을 높일 수 있다.
마이크(350)는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언어가 설정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마이크(350)는 착용자로부터 '단어'가 입력되면 이를 제어부(370)로 전송하여 '단어'의 언어가 추출되어 선택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원공급부(360)는 스트리밍 글래스(30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360)는 배터리로 구비되고 외부 전원과 연결가능하여 충전해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370)는 착용자로부터 선택된 언어를 영상서버(200)로 전송하고, 영상서버(200)로부터 언어에 상응하는 자막을 수신받아 화면부(320)에 자막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입력부(330)로부터 카메라(310)의 줌인 및 줌아웃의 설정값을 수신받아, 줌인 및 줌아웃의 설정값에 따라 카메라(3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카메라(310)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을 수신하여 화면부(32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카메라(310)로부터 수신된 동영상을 분석하여 스크린의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즉, 제어부(370)는 미리 학습되어진 스크린(미도시)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동영상에서 스크린의 영역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스크린의 영역에 영상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자막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면부(320)에서 착용자의 움직임에 의해 스크린(미도시)의 위치가 이동되고 시점이 바뀌는 것에 따라 자막의 위치 또한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착용자가 시각적으로 불편함없이 영상을 관람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입력부(330)로부터 수신된 가상선의 위치(가상선)에 영상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된 자막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착용자의 설정에 따라 스크린의 영역에서도 표시되는 자막의 위치를 제어하여 착용자의 시각적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입력부(330)로부터 사운드 서비스 여부(Yes 또는 No)를 수신받아, 영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사운드 서비스를 받는 경우(사운드 서비스 여부가 Yes인 경우), 영상서버(200)로부터 언어에 상응하는 사운드를 수신받아(스트리밍하여) 헤드셋(340)에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마이크(350)로부터 '단어'가 입력되면 '단어'의 언어를 추출하여 추출된 언어를 영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언어가 선택되는 것으로, 영상서버(200)는 수신받은 언어에 따라 다국어의 자막 또는 사운드 중 언어에 상응하는 자막 또는 사운드를 제어부(37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어'가 각 나라의 '인사말'로 설정되었을 경우, 마이크(350)에 '안녕'이 입력되면 제어부(370)가 '안녕'을 수신받아 '안녕'의 언어를 추출하여 한국어(추출된 언어)가 추출되고, 한국어(추출된 언어)를 영상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단어'는 그 나라의 표준어 또는 사전에 등록된 단어로 설정에 따라 변경 및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70)는 온/오프 스위치(미도시)의 신호를 수신받아 스트리밍 글래스(300)의 전원을 온/오프 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리밍 글래스(300)는 스트리밍 글래스(300)의 전원을 온/오프 시키는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영상부(100)에서 영상이 상영되기 전에 스트리밍 글래스(300)의 전원을 키고 언어, 가상선의 위치 등을 설정하여 영상서버(200)로 전송하면 영상부(100)에서 영상이 상영되면서 스트리밍 글래스(300)는 스트리밍되어 자막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은 다국적 사람들이 외국영상을 관람할 수 있도록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를 제공하여 다국적의 사람들이 동시에 하나의 영상을 자국어로 관람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국인이 해당 국가의 영화를 통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영상부
200: 영상서버
210: 저장부
220: 재생부
230: 전송부
300: 스트리밍 글래스
310: 카메라
320: 화면부
330: 입력부
340: 헤드셋
350: 마이크
360: 전원공급부
370: 제어부

Claims (7)

  1. 영상이 상영되는 스크린 및 스피커를 포함하는 영상부;
    상기 스크린에 상영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영상을 재생시키는 영상서버 및
    증강현실 기반으로 상기 영상서버에 스트리밍되어 상기 영상의 자막을 표시하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서버는,
    상기 스크린에 상영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스크린에 상기 영상정보의 영상을 상영시키고 상기 스피커에 메인사운드를 재생시키는 재생부 및
    상기 스트리밍 글래스로부터 수신된 언어에 상응하는 자막을 상기 스트리밍 글래스에 상기 스크린에 상영되는 영상에 맞춰 스트리밍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영상정보는,
    영상, 메인사운드, 다국어의 자막을 포함하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글래스는,
    착용자의 시점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동영상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영상의 자막이 표시되는 화면부;
    상기 착용자로부터 선택된 언어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착용자로부터 선택된 언어를 상기 영상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상기 자막을 수신받아, 상기 화면부에 상기 자막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동영상에서 상기 스크린의 영역을 인식하고, 인식된 상기 스크린의 영역에 상기 자막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착용자로부터 상기 스크린의 영역에서의 가상선의 위치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가상선에 상기 자막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글래스는,
    상기 영상의 사운드가 출력되는 헤드셋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정보는,
    다국어의 사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착용자로부터 상기 사운드 서비스 여부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상기 사운드 서비스 여부를 상기 영상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사운드 서비스를 받을 경우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선택된 언어에 상응하는 사운드를 수신받아 상기 헤드셋에 상기 사운드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글래스는,
    상기 착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로부터 '단어'가 입력되면, '단어'의 언어를 추출하여 추출된 언어를 상기 영상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KR1020170183994A 2017-12-29 2017-12-29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KR102056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994A KR102056142B1 (ko) 2017-12-29 2017-12-29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994A KR102056142B1 (ko) 2017-12-29 2017-12-29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447A true KR20190081447A (ko) 2019-07-09
KR102056142B1 KR102056142B1 (ko) 2019-12-16

Family

ID=6726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994A KR102056142B1 (ko) 2017-12-29 2017-12-29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243A (ko) * 2020-01-29 2021-08-09 이웅희 가상 관광체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03400B1 (ko) * 2021-12-17 2022-05-30 (주)유유코리아 상영관 또는 강당에서의 다국어 동시 무선 지원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0451B2 (ja) * 2004-04-23 2010-06-16 三菱電機株式会社 投写型映像表示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2011085830A (ja) * 2009-10-19 2011-04-28 Nikon Corp 映像表示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7243A (ko) * 2020-01-29 2021-08-09 이웅희 가상 관광체험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03400B1 (ko) * 2021-12-17 2022-05-30 (주)유유코리아 상영관 또는 강당에서의 다국어 동시 무선 지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6142B1 (ko) 201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0773B (zh) 字幕数据推送方法、字幕展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8605166B (zh) 一种增强现实中呈现替换图像的方法及设备
US9992400B2 (en) Real-time changes to a spherical field of view
JP6309749B2 (ja) 画像データ再生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生成装置
US20170127035A1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JP2002153684A (ja) 映画館において公開字幕及び非公開字幕を見るための頭部装着型表示装置
CN106210703A (zh) Vr环境中特写镜头的运用及显示方法和系统
KR20180001550A (ko) 가상 카메라를 이용한 개인화된 쇼핑몰 시스템
JP6271194B2 (ja) 携帯デバイスへのセカンドスクリーン情報の提供方法
JP6024002B2 (ja) 動画配信システム
KR102056142B1 (ko) 스트리밍 글래스를 이용한 다국어 자막 및 사운드 제공 시스템
JP2006319819A (ja) 複数視点映像表示方法及び複数視点映像表示装置並びに複数視点映像表示プログラム
JPWO2017187764A1 (ja) 情報処理端末装置並びに配信装置
CN106954093B (zh) 全景视频处理方法、装置及系统
JP2006086717A (ja) 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再生装置及びレイアウト制御装置
JP2011101196A (ja)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Ong et al. Smart captions: a novel solution for closed captioning in theatre settings with AR glasses
KR102258991B1 (ko) 수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0910508B (zh) 一种图像显示方法、装置和系统
KR101609755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의 영화관 상영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06865A (ko) 사용자 입력에 기초한 다중 출력 제어
TW201740738A (zh) 多路視訊顯示方法、裝置及電子設備
KR20180123408A (ko) 개인 방송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스마트단말
KR101619153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시각 또는 청각 장애인의 디지털 영상 콘텐츠 간편 시청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037290A (ja) 映像制御装置、映像表示装置、映像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