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244A -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244A
KR20190081244A KR1020170183640A KR20170183640A KR20190081244A KR 20190081244 A KR20190081244 A KR 20190081244A KR 1020170183640 A KR1020170183640 A KR 1020170183640A KR 20170183640 A KR20170183640 A KR 20170183640A KR 20190081244 A KR20190081244 A KR 201900812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casing
reinforcing net
cag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3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4078B1 (ko
Inventor
송명준
송영훈
박철수
김지영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3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0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385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removal of the outer mould-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 E02D2300/0007PVC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기 위해, 연약지반을 포함하는 지반에 케이싱을 삽입한 후,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철근 케이지에 있어서, 철근망; 및 내부로 상기 철근망이 위치되도록 상기 철근망 외측에 구비되는 관형태의 PVC mat;를 포함하고, 상기 철근 케이지 설치 후,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Steel reinforcement cage included PVC mat for keeping shape of cast­in place pile in poor subsoil}
본 발명은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토질 및 기초 분야에서 깊은 기초는 말뚝기초, 현장타설말뚝 및 케이슨 (Caisson) 기초로 나누어지고 있는 바, 상기 말뚝기초는 재료에 따라 강관, PHC 및 RC 말뚝으로 구분되고 말뚝기초에서 시공법에 따라 타입(항타)말뚝과 매입말뚝으로 구분한다.
통상적으로 구조물에서 지지력은 항타말뚝일 경우, 공사비 측면에서 경제적이고 지지력 발휘가 큰데 비하여 소음 진동의 영향으로 공사 여건이 쉽지 않다. 그리고, 지층상에 자갈이나 단단한 층이 있을 때 항타할 경우, 말뚝이 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함으로 적용 여건이 쉽지 않다.
따라서, 상기 조건에 맞지 않을 때에는 매입이나 현장 타설말뚝을 쓰게 되는 바, 상기 매입은 지반을 선굴착후 말뚝을 삽입하는데에 SIP, SDA 및 PRD등 시공방법이 발달되어 지층조건 등에 따라 적용공법이 많다. 상기 현장타설말뚝은 기성제품이 아닌 현장에서 타설하는 관계로 시공관리와 품질관리에 어려움이 많으며, 대체적으로 교량에서는 대구경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상부 초연약지반층에서의 현장타설말뚝 시공을 나타낸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부에 초연약지반이 존재하는 경우 굴착시 케이싱을 관입하면서 내부토를 굴착하고, 케이싱을 통해 공벽을 유지한 후, 철근망을 근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이때, 콘크리트가 굳기 전에 케이싱을 인발하는데, 케이싱 인발 시 초연약지반과 콘크리트 모르타르가 썩일 수 있어 현장타설말뚝의 품질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도 2는 종래 주름관을 이용하여, 상부 초연약지반 측에서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는 개념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주름관 사진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 굴착시 강관케이싱을 근입하면서 내부 흙을 굴착하며, 굴착 완료 후에 케이싱 내부에 거의 밀착하여 주름관을 근입한 후, 철근망을 근입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콘크리트 타설 직후, 주름관 바깥의 케이싱을 인발하고, 주름관을 내부에 남겨서, 콘크리트 모르타르와 초연약지반이 섞이지 않도록 분리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러한 주름관을 인발하지 않고 희생 주름관으로서 사용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주름관을 이용하여 연약지반 시공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을 유지하는 공법은 강관케이싱과 크기가 맞는 주름관을 수급하기가 어렵고, 동남아시아 등의 해외에서는 주름관의 수급자체가 어렵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4945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981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6188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2-001250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주름관의 경우 가격이 비싸며 해외 현장에서 수급이 어려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에 초연약지반이 있는 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시공시 기존에 사용하는 희생주름관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는 PVC mat를 이용하여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는 공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르면, PVC mat를 이용하여 초연약지반과,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분리하여, 서로 섞이지 않게 하고, PVC mat의 인장력에 의해 연약지반과 콘크리트 밀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에 대해 저항이 가능하며, 기존의 주름관의 경우보다 쉽고 저렴하게 초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 순서는 기존의 기술과 크게 다르지 않아 쉽게 적용 가능한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기 위해, 연약지반을 포함하는 지반에 케이싱을 삽입한 후,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철근 케이지에 있어서, 철근망; 및 내부로 상기 철근망이 위치되도록 상기 철근망 외측에 구비되는 관형태의 분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철근 케이지 설치 후,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유닛은 PVC ma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철근망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상기 철근망과 상기 PVC mat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PVC mat를 상기 철근망에 연결시키기 위한 이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철근망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철근망 간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철근망 이음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PVC mat를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PVC mat 간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기 위해, 연약지반을 포함하는 지반에 케이싱을 삽입한 후,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철근 케이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철근망의 외측으로 관형태의 PVC mat를 삽입하여 상기 철근망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의 제작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 후에, 시공될 현장타설말뚝의 직경을 고려하여 상기 철근망의 외면 일측에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 후에, 상기 스페이서에 이음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이음부재를 통해 상기 철근망과 상기 PVC mat를 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철근망 간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철근망 이음장치를 통해 복수의 철근망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연결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PVC mat 간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장치를 통해 복수의 PVC mat를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연약지반을 포함하는 지반에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현장으로 케이싱과, 앞서 언급한 제 1목적에 따른 철근 케이지를 운반하는 단계; 굴착수단을 통해 지반을 굴착하면서, 상기 케이싱을 관입하는 단계; 굴착과 케이싱 관입이 완료된 후, 상기 케이싱 내부로 상기 철근케이지와 트레미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트레미 파이프를 통해 상기 케이싱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를 이용한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PVC mat가 적용된 철근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에 따르면, 상부에 초연약지반이 있는 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시공시 기존에 사용하는 희생주름관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는 PVC mat를 이용하여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PVC mat가 적용된 철근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에 따르면, PVC mat를 이용하여 초연약지반과,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분리하여, 서로 섞이지 않게 하고, PVC mat의 인장력에 의해 연약지반과 콘크리트 밀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에 대해 저항이 가능하며, 기존의 주름관의 경우보다 쉽고 저렴하게 초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 순서는 기존의 기술과 크게 다르지 않아 쉽게 적용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상부 초연약지반층에서의 현장타설말뚝 시공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종래 주름관을 이용하여, 상부 초연약지반 측에서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는 개념도,
도 3은 주름관 사진,
도 4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의 흐름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장에 케이싱이 운반된 상태의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굴착수단에 의해 지반을 굴착하면서 케이싱을 관입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굴착 및 케이싱 관입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케이싱 내로, PVC mat가 장착된 철근 케이지와, 트레미 파이프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케이싱을 인발한 상태의 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가 장착된 철근망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VC mat가 장착된 철근케이지의 평면도와 측면도,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VC mat가 장착된 철근케이지의 측단면도,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VC mat가 장착된 철근케이지의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에 의해 PVC mat가 연결된 철근케이지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이음장치에 의해 철근망이 연결되고, 연결장치에 의해 PVC mat가 연결된 철근케이지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100)의 구성 및, 그 철근 케이지(100)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케이지(100)는 분리유닛과, 철근망(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철근망(30)과, 내부로 철근망(30)이 위치되도록 철근망(30) 외측에 구비되는 관형태의 분리유닛을 포함하여, 굴착된 천공(4)에 케이싱(10) 관입 후 내부로 철근 케이지(100)를 설치한 후,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케이싱(10)을 인발하여 현장타설말뚝(1)을 시공하게 된다. 이러한 철근 케이지(100) 외측으로 결합되는 분리유닛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PVC mat(2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100)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거이다.
먼저, 제작된 케이싱(10)과 철근케이지(100)를 현장으로 운반하게 된다(S1).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현장에 케이싱(10)이 운반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굴착수단(3)을 통해 지반을 굴착하면서 케이싱(10)을 삽입하게 된다(S2).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굴착수단(3)에 의해 지반을 굴착하면서 케이싱(10)을 관입하는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굴착과 케이싱(10) 삽입이 완료되면(S3), PVC mat(20)를 갖는 철근케이지(100)를 케이싱(10) 내부로 삽입하고 트레미 파이프(5)를 삽입하게 된다(S4).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굴착 및 케이싱(10) 관입이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케이싱(10) 내로, PVC mat(20)가 장착된 철근 케이지(100)와, 트레미 파이프(5)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VC mat(20)를 갖는 철근케이지(100)를 삽입한 후, 트레미 파이프(5)를 통해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케이싱(10)을 인발하게 된다(S5). 도 5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케이싱(10)을 인발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PVC mat(20)을 갖는 철근 케이지(10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케이지(100)는 구철근과 띠철근으로 구성되는 철근망(30)과, 관형태로 내부로 철근망(30)이 위치되도록 철근망(30) 외측에 특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PVC mat(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철근망(30)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스페이서(31)를 포함하여 철근망(30)과 PVC mat(20)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페이서(31)의 사이즈는 현장타설말뚝(1)의 직경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PVC mat(20)를 상기 철근망(30)에 연결시키기 위한 이음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음부재(32)는 콘크리트 보강용 강철봉(rebar)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음부재(32)는 일정 압력에 견딜수 있어야 하며 긴밀해야 한다.
또한, 복수의 철근망(3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철근망(30) 간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철근망 이음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PVC mat(2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PVC mat(20) 간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철근망(30)의 경우 일정 깊이로 나누어 근입하므로, 만약 연약지반 층 두께가 철근망(30) 1단면 길이보다 두꺼울 경우, 철근망(30)끼리 철근망 이음장치(40)를 통해 연결해야 하며, 이 경우 PVC mat(20)에 빈공간이 생기므로, 철근망(30) 연결 후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장치(50)를 통해 PVC mat(20)를 위 아래로 연결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앞서 언급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VC mat(20)를 갖는 철근 케이지(100)의 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철근망(30)을 제작하게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30)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철근망(30)과 같이 주철근과 띠철근이 결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공될 현장타설말뚝(1)의 직경을 고려하여 상기 철근망(30)의 외면 일측에 스페이서(31)를 설치하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이서(31)가 장착된 철근망(30)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스페이서(31)는 철근망(30)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어 철근망(30)과 PVC mat(20)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되며, 이러한 스페이서(31)의 사이즈는 시공될 현장타설말뚝(1)의 직경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스페이서(31)에 이음부재(32)를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철근망(30)의 외측으로 관형태의 PVC mat(20)를 삽입하여 철근망(30)과 연결시키게 된다. 즉, 이음부재(32)를 통해 상기 철근망(30)과 PVC mat(20)를 서로 고정시키게 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VC mat(20)가 장착된 철근케이지(100)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VC mat(20)가 장착된 철근케이지(1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VC mat(20)가 장착된 철근케이지(100)의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VC mat(20)가 장착된 철근케이지(100)는, 구철근과 띠철근으로 구성되는 철근망(30)과, 관형태로 내부로 철근망(30)이 위치되도록 철근망(30) 외측에 특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는 PVC mat(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근망(30)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스페이서(31)를 포함하여 철근망(30)과 PVC mat(20)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페이서(31)의 사이즈는 현장타설말뚝(1)의 직경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그리고 PVC mat(20)를 철근망(30)에 연결시키기 위한 이음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이음부재(32)는 콘크리트 보강용 강철봉(rebar)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이음부재(32)는 일정 압력에 견딜수 있어야 하며 긴밀해야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50)에 의해 PVC mat(20)가 연결된 철근케이지(1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망 이음장치(40)에 의해 철근망(30)이 연결되고, 연결장치(50)에 의해 PVC mat(20)가 연결된 철근케이지(100)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철근망(30)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철근망(30) 간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철근망 이음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 및 도 11에 복수의 PVC mat(20)를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PVC mat(20) 간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장치(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철근망(30)의 경우 일정 깊이로 나누어 근입하므로, 만약 연약지반 층 두께가 철근망(30) 1단면 길이보다 두꺼울 경우, 철근망(30)끼리 철근망 이음장치(40)를 통해 연결해야 하며, 이 경우 PVC mat(20)에 빈공간이 생기므로, 철근망(30) 연결 후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결장치(50)를 통해 PVC mat(20)를 위 아래로 연결하여야 한다. 이러한 연결장치(50)는 와이어 스트립(wire strip)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PVC mat(20)의 겹칩 부분에 와이어 스트립을 권취하여 PVC mat(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명된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현장타설말뚝
2:주름관
3:굴착수단
4:천공
5:트레미 파이프
10:케이싱
20:PVC mat
30:철근망
31:스페이서
32:이음부재
40:철근망 이음장치
50:연결장치
100:철근케이지

Claims (12)

  1.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기 위해, 연약지반을 포함하는 지반에 케이싱을 삽입한 후,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철근 케이지에 있어서,
    철근망; 및
    내부로 상기 철근망이 위치되도록 상기 철근망 외측에 구비되는 관형태의 분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철근 케이지 설치 후,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유닛은 PVC mat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망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상기 철근망과 상기 PVC mat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PVC mat를 상기 철근망에 연결시키기 위한 이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5. 제 4항에 있어서,
    복수의 철근망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철근망 간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철근망 이음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6. 제 5항에 있어서,
    복수의 PVC mat를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PVC mat 간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7.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기 위해, 연약지반을 포함하는 지반에 케이싱을 삽입한 후, 상기 케이싱 내에 설치되는 철근 케이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 및
    상기 철근망의 외측으로 관형태의 PVC mat를 삽입하여 상기 철근망과 연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의 제작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 후에,
    시공될 현장타설말뚝의 직경을 고려하여 상기 철근망의 외면 일측에 스페이서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의 제작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 후에, 상기 스페이서에 이음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이음부재를 통해 상기 철근망과 상기 PVC mat를 서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의 제작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망을 제작하는 단계는 상기 철근망 간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철근망 이음장치를 통해 복수의 철근망을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의 제작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PVC mat 간의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는 연결장치를 통해 복수의 PVC mat를 길이방향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의 제작방법.
  12. 연약지반을 포함하는 지반에 현장타설말뚝을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현장으로 케이싱과,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철근 케이지를 운반하는 단계;
    굴착수단을 통해 지반을 굴착하면서, 상기 케이싱을 관입하는 단계;
    굴착과 케이싱 관입이 완료된 후, 상기 케이싱 내부로 상기 철근케이지와 트레미 파이프를 삽입시키는 단계; 및
    상기 트레미 파이프를 통해 상기 케이싱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상기 케이싱을 인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를 이용한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KR1020170183640A 2017-12-29 2017-12-29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KR102044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640A KR102044078B1 (ko) 2017-12-29 2017-12-29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3640A KR102044078B1 (ko) 2017-12-29 2017-12-29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244A true KR20190081244A (ko) 2019-07-09
KR102044078B1 KR102044078B1 (ko) 2019-11-12

Family

ID=67261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3640A KR102044078B1 (ko) 2017-12-29 2017-12-29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0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456B1 (ko) 2003-05-13 2006-02-09 김명률 현장타설말뚝용 철근망 조립 구조체
KR101026188B1 (ko) 2010-06-17 2011-03-31 토양건영 주식회사 그라우팅공법을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101069815B1 (ko) 2008-12-31 2011-10-04 대림산업 주식회사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선단부 포스트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선단보강 그라우팅 방법
KR20120012502A (ko) 2010-08-02 2012-02-10 김상훈 연약지반 및 방파제, 접안시설공사의 현장 타설말뚝
KR101543209B1 (ko) * 2015-04-28 2015-08-07 박을재 지오튜브와 이의 부상방지장치를 사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및 그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456B1 (ko) 2003-05-13 2006-02-09 김명률 현장타설말뚝용 철근망 조립 구조체
KR101069815B1 (ko) 2008-12-31 2011-10-04 대림산업 주식회사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선단부 포스트그라우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선단보강 그라우팅 방법
KR101026188B1 (ko) 2010-06-17 2011-03-31 토양건영 주식회사 그라우팅공법을 이용한 현장타설 말뚝 및 그 시공방법
KR20120012502A (ko) 2010-08-02 2012-02-10 김상훈 연약지반 및 방파제, 접안시설공사의 현장 타설말뚝
KR101543209B1 (ko) * 2015-04-28 2015-08-07 박을재 지오튜브와 이의 부상방지장치를 사용한 현장타설콘크리트말뚝 및 그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4078B1 (ko)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75844A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KR20060092552A (ko) 현장타설파일을 이용한 무지보 하향골조 시공방법
KR102009077B1 (ko) 차수형 주열식 현장타설 말뚝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의 시공방법
KR102003448B1 (ko) 장지간 흙막이벽체 엄지말뚝보강장치
KR100553478B1 (ko)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및 시공장치
KR20150075432A (ko) 강관기둥과 콘크리트 기초파일의 접합구조
KR101847002B1 (ko) 내부강관으로 보강되도록 제작된 phc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102173079B1 (ko) 차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흙막이 벽체용 합성 phc 파일
KR101324231B1 (ko) 소일 시멘트벽 가시설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JP5480744B2 (ja) 構造物用基礎およびその構築方法
KR101974826B1 (ko) 인터로킹 시컨트 프리캐스트파일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흙지지 벽체의 시공방법
KR20190081244A (ko) 연약지반에서 현장타설말뚝 본체의 형상유지를 위한 분리유닛을 갖는 철근 케이지 및 이를 이용한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KR100834920B1 (ko) 흙막이 시공 파일용 피막시트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시공방법
KR102319143B1 (ko) Phc 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벽체
KR20080076015A (ko) 엄지말뚝을 구비한 확대단면 말뚝유닛을 이용한 주열식흙막이 벽체
KR20130075447A (ko) 몰드 케이스 및 트레미관을 이용한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의 시공 방법
KR200363400Y1 (ko) 토류벽 시공시 사용된 에이취형 파일을 인출하기 위한이형재
KR102021496B1 (ko) 하향식 계단형 흙막이 시공방법 및 이를 통해 시공된 흙막이 구조체
JP6292028B2 (ja) 盛土補強構造
KR102098141B1 (ko) 흙막이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 지하벽체
KR102070912B1 (ko) 흙막이 벽체용 phc 파일, 이를 제조하기 위한 몰드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60120160A (ko) 띠장지지 연결부재가 결합된 기성 말뚝
JP2007051485A (ja) 構造物基礎と矢板の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JP2007197954A (ja) 土留め壁施工法
KR20200137297A (ko) 흙막이 가시설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