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504A -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504A
KR20190080504A KR1020170182988A KR20170182988A KR20190080504A KR 20190080504 A KR20190080504 A KR 20190080504A KR 1020170182988 A KR1020170182988 A KR 1020170182988A KR 20170182988 A KR20170182988 A KR 20170182988A KR 20190080504 A KR20190080504 A KR 201900805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eriodontal disease
prevention
treatment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구
구본암
전효진
김예진
임순민
허웅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2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0504A/ko
Publication of KR2019008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5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6Eucommiaceae (Eucommia family), e.g. hardy rubb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충, 가자 및 죽여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다양한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개시되면, 치주질환의 치료와 개선 및 예방, 약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생활용품 등에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Periodontal Disease}
본 발명은 두충, 죽여 및 가자 추출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두충, 죽여 및 가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염증(Inflammation)은 생체 조직의 유해한 자극, 예를 들어, 미생물에 의한 감염, 병원균, 손상된 세포, 상처 등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 중 하나이다. 염증이 발생하면 조직이 빨갛게 부어 오르고, 열이 나며, 본래의 기능을 잃어 버리고 통증을 유발한다.
염증반응은 크게 급성염증반응과 만성염증반응으로 나뉜다. 급성염증반응은 유해한 자극원에 의해 초기에 일어나는 반응을 말하며, 면역반응 중 오랫동안 지속되는 염증을 만성염증이라고 일컫는다. 만성염증의 경우 건초열(Hayfever),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 류마티스 관절염, 대장염(Inflammatory bowel disease), 골반염 (Pelvic inflammatory disease) 등의 질병들을 유발할 수 있다.
치주질환은 치주 조직에 영향을 주는 염증질환이다. 치아를 둘러싸는 치조골이 점차 소실되어, 치료하지 않으면 치아를 잃게 된다. 치주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i) 항생제를 섭취하거나, ii) 치주소파술(gingival curettage)을 시행하여 염증을 치료하고 있다. 하지만 염증이 생긴 잇몸 조직을 긁어내는 방식인 치주소파술이나, 항생제의 섭취는 치주질환의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증상만을 없애는 방법이다. 치주질환이 진행되면서 염증의 범위가 치아 조직에만 국한되지 않고 치아의 신경관 내로 확대될 경우에는 신경치료까지 동반해야만 한다.
단순히 증상만을 없애면, 치주질환의 재발 가능성은 더 커지며, 또한 치료를 받는 환자들도 통증이나 불편함을 계속 겪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치주질환을 개선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음식 섭취 후, 세균의 번식을 막기 위해, 양치질을 하여 구강 내 세균을 없애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양치질을 할 때 사용하는 치약에 치주질환 개선 성분들이 포함되면 치주질환 치료시 환자들이 받는 통증이나 불편함은 줄어들 것이다.
하지만, 현재 대중화되어 있는 치약에는 화학성분들이 포함되어 있다. 최근 치약에 발암물질, 독성물질 등이 포함되어 많은 논란이 되었다. 그래서 천연성분이 포함된 치약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화학성분들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효능을 극대화한, 천연성분들을 적절한 방법으로 조합하여, 치주질환 개선용도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3-0107397 2.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03-0047613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치료,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을 위해 상기 추출물의 유효한 용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조성물과 관련한 모든 활용 가능한 이용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추출물의 조성물은, 두충, 가자 및 죽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조성물이, 상기 두충 추출물, 가자 추출물 및 죽여 추출물 중 선택되는 2개의 혼합 추출물인 경우 1~3 : 1~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충 및 가자 혼합 추출물인 경우, 각각 3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두충 및 죽여 혼합 추출물인 경우 각각 1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가자 및 죽여 혼합 추출물인 경우 각각 1 : 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두충 추출물, 가자 추출물 및 죽여 추출물의 혼합 추출물인 경우 각각 1~3 : 1~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충, 가자 및 죽여 혼합 추출물인 경우, 각각 3 : 3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두충, 가자 및 죽여의 환류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환류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일 수 있고, 상기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은 물, 에탄올, 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되어진 용매로부터 가용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비극성 용매 가용 추출물은 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에 의한 가용 추출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성용매를 사용한 환류추출물, 열수추출물, 에탄올추출물일 수 있으며, 특히, 에탄올을 사용한 추출물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30~50% 에탄올을 사용한 환류추출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30% 에탄올을 사용한 환류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추출한 것인 혼합 추출물이거나, 또는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두충으로부터 수득된 두충 추출물과 상기 가자로부터 수득된 가자 추출물과 상기 죽여로부터 수득된 죽여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물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조성물의 추출물은 20~150 에서 1~24시간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염증마커 IL-6, IL-8, iNOS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주질환은 치은염, 치수염, 치주염 및 치주낭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S100);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S200); 상기 추출액을 정제하는 단계(S300);및 상기 정제된 추출액을 건조하는 단계(S40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추출액은, 정제법, 건조법 등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의하면,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추출물은 상기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약학적 조성물, 염증성 질환, 건강기능 식품, 생활용품 등 어느 하나 이상의 용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용도는 두충, 가자 및 죽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 식품은 분말류, 과립류, 정제류, 캡슐류, 시럽류 및 음료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은 두충 추출물, 추출물 및 죽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각각 1~3 : 1~3 : 1~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도는 두충, 가자 및 죽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용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강 위생용품은 구강 세척액 및 치약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치약은 거품형, 알약형, 젤형, 페이스트형, 액체형 및 분말형 중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치약은 용제, 연마제, 방부제, 습윤제, 방향제, 착향제, 감미제, 점증제 및 계면활성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강 위생용품은 두충 추출물, 가자 추출물 및 죽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각각 1~3 : 1~3 : 1~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항염증 개선 효과, 바람직하게는 치주염 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성 질환, 바람직하게는 치주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 가공식품, 기능성식품, 식품첨가제, 기능성 음료, 또는 생활용품 등의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질환을 가진 환자, 바람직하게는 치주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 기존의 외과적(Surgical) 시술과는 다르게, 치료 시 통증이나 불편함을 해소시켜, 환자들의 스트레스를 줄여주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두충, 가자 및 죽여 추출물을 처리한 치주세포에서 IL-6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두충, 가자 및 죽여 추출물을 처리한 치주세포에서 IL-8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두충, 가자 및 죽여 추출물을 처리한 치주세포에서 iNOS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가자 추출물을 처리한 치주세포에서 산화질소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두충 추출물을 처리한 치주세포에서 산화질소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죽여 추출물을 처리한 치주세포에서 산화질소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은 물질을 용해할 수 있는 용매를 사용하여 특정 성분을 분리해내는 과정을 지칭한다. 상기 용매는 극성용매, 비극성용매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 방법은 냉침법, 온침법, 열수추출법, 발효추출법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추출의 형태는 고체, 액체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은, 필요에 따라, 정제방법, 농축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방법은 재결정, 증류법,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농축방법은 증발농축법, 감압농축법, 동결농축법, 막분리농축법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기 추출과정을 수행한 뒤 얻어진 특정 물질을 지칭한다. 상기 추출물은 조추출물(Crude extract), 열수추출물, 발효추출물, 분획추출물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의 형태는 고체, 액체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증(Inflammation)"은 생체 조직에 미생물에 의한 감염 또는 상처, 수술, 화상, 동상, 전기자극, 화학물질 등 다양한 원인에 대한 생체의 방어반응을 지칭한다. 상기 염증은 고통(Pain), 홍조(Redness), 부동성(Immobility), 종창(Swelling), 발열(Heat)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염증은 변질성 염증, 삼출성 염증, 증식성 염증, 특이성 염증 등을 포함하며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은 치주 조직에 영향을 주는 염증 질환을 지칭한다. 상기 치주질환은 치은염(gingivitis), 치주염(periodontitis)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치주 조직은 백악질(Cementum), 치근막(Periodontal Ligament), 잇몸(Gingiva), 치조골(Alveolar Bone)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사이토카인(Cytokine)"은 면역 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을 지칭한다. 상기 면역 세포는 T세포, B세포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사이토카인은 세포로부터 분비된 후 다른 세포나 분비한 세포 자신에게 영향을 줄 수 있다. 상기 사이토카인은 인터페론(Interferon, IFN),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 인터루킨(Interleukin, IL)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마커(Marker)"는 특정 실험결과를 뒷받침 해 줄 수 있는 요소, 물질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A마커, B마커는 염증 마커이다'는 A마커 또는 B마커가 염증과 관련된 요소를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요소는 유전자(Gene), 분자(Molecular), 단백질(Protein)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용어 "마커" 또는 "지표"는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발현(Expression)"은 특정 실험을 통해서 어떤 요소가 드러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요소는 유전자(Gene), 분자(Molecular), 단백질(Protein)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유전자가 발현된다', 'A유전자를 발현한다.'는 말의 의미는, A유전자에 의해 생물을 구성하는 다양한 단백질이 형성되어 나타난 결과를 의미하며, A유전자를 구성하는 유전정보를 발현된 결과에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용어 "발현" 또는 "유전자 발현"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함유"는 물질이 상기 물질 내에 적어도 하나의 다른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A물질은 B물질을 함유한다', 'B물질은 A물질에 함유되어 있다'는 말의 의미는, B물질이 A에 포함되어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용어 "함유" 또는 "포함"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Improvement)"은 기존의 상태, 기능, 효과, 형태 등의 부족한 것을 고치거나, 특정 요소를 추가, 새롭게 변형되어 좋게 된 것을 의미한다. 상기 개선을 판단하는 방법은 실험, 설문조사 등 객관적인 방법이나 주관적인 방법 모두를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조합(Combination)"은 최소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나 요소를 적절한 조건을 이용하여 혼합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물질이나 요소는 같은 물질이나 요소가 서로 다른 상태로 혼합된 것도 포함하여야 한다. 상기 물질이나 요소의 상태는 고체, 액체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조건은 비율, 비중, 중량, 온도 등을 포함하며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용어 "조합" 또는 "혼합"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유효(Effective)"는 물질, 요소 등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 효과나 작용을 나타내는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유효는 실험에 영향을 주는 수치, 양 등도 포함하여야 한다. 상기 물질이나 요소는 같은 물질이나 요소가 서로 다른 상태로 혼합된 것도 포함하여야 한다. 상기 유효는 생리학적 실험, 생화학적 실험 등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해석하는 데 사용하는 것도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유효의 효과나 작용은 상승, 억제, 감소, 증가 등을 포함하며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물질은 B에게 유효하다'는 의미는 A물질은 B에게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예를 들어,'A물질은 B실험에서 유효량이 1.0% 이다'는 의미는 A물질은 B실험에서 1.0%에서 효과를 나타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질환, 질병, 증상 등을 완화시키거나 그 진행을 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치료는 물리적 치료, 약물적 치료, 심리적 치료, 화학적 치료 등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물질, 요소 등을 일반식품에 첨가 하여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물질, 요소는 화학적, 약학적, 약리적 등으로 변형 또는 가공된 것도 포함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기능성은, 생리활성 기능, 심리학적 기능 등을 포함하며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식품의 형태는 보조제 형태, 드링킹류 형태, 환 형태 등을 포함하며 이들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효과가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포함하여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조성물이 제공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조성물, 제조방법 및 다양한 용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조성물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조성물은 식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은 분류학적으로 식물계에 속하는 생물의 총칭이다. 상기 식물은 나무, 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물은 보통 광합성을 하며 녹말 등의 광합성을 만드나, 일부 기생 식물과 공생식물처럼, 엽록소를 잃고, 대신 직접 포식하거나, 기생, 공생 등으로 양분을 얻는 종도 있다. 또한, 식물은 i) 많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ii) 셀룰로오스가 풍부한 세포벽을 가지고 있다. 상기 식물은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하기 식물의 종(Species), 속(Genus), 과(Family), 목(Order), 강(Class), 문(Phylum Division), 계(Kingdom) 등의 생물분류의 범위 모두 해당된다.
상기 조성물은 잎, 뿌리, 가지, 열매, 씨앗 등 식물의 부위는, 어느 하나 이상 혹은 이들 조합에 의한 결과물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식물을 동결건조, 고온건조, 냉풍건조, 가열건조 등 어느 하나 이상 혹은 이들 조합에 의한 결과물도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조성물은 하기 식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i) 두충(Eucommia ulmoides Oliv.)
상기 두충은 두충과(Eucommiacea)에 속하며, 라틴명은 Eucommiae Cortex이다. 상기 두충은 대개 판상이고 두께는 3~7mm이다. 바깥면은 회색 또는 어두운 회색이며 현저한 세포주름과 피공이 있고 지의류가 부착되어 있는 것도 있다. 또한, 상기, 두충은 안쪽면은 평활하고 어두운 갈색을 띄며, 꺾으면 끈기 있는 가늘고 흰 섬유질의 실이 생긴다. 상기 두충은 두중(杜仲), 사중(思仲), 사선(思仙), 목면(木棉), 석사선(石思仙), 사운피(絲運皮) 등으로 부른다.
상기 두충은 맛이 달고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다. 상기 두충은 간(Liver)과 신(Kidney)의 기능 부족으로 인한 요통, 무릎통, 몸이 차서 생기는 양위(陽萎), 하복냉감, 소변 자주 보는 증, 태동불안, 자궁출혈 등을 치료하며 혈압강하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두충은 약리작용으로, 혈압강화, 항노화, 콜레스테롤 강하, 항염, 진정, 진통, 면역 조절, 혈액응고, 자궁수축, 항알레르기, 항균작용 등이 보고 되어진다.
ii) 가자(Terminalia chebula Retz.)
상기 가자는 사군자과(Combretaceae)에 속하며, 라틴명은 Terminaliae Fructus이다. 상기 가자는 긴 난형-난형체로서 길이 25~30mm, 지름 15~20mm이다. 바깥면은 황갈색-갈색으로 광택이 있고 세로로 5개의 두드러진 주름과 그 사이에 불규칙한 주름이 있으며, 기부에는 과병과 떨어진 자국이 있다. 상기 가자의 질은 단단하고 가로로 자른 면은 어두운 갈색이며 과육의 두께는 2~5mm이고 내과피는 두께 약 5mm로 황갈색을 나타내고 그 질은 매우 단단하며 갈색의 봉합선이 있고 중앙부에 지름 약 5mm의 씨 1개가 있다. 상기 가자는 가려늑(訶黎勒), 가리늑(訶梨勒), 수풍자(隨風子), 가리(訶梨), 가려(訶黎) 등으로 부른다.
상기 가자는 약간 특이한 냄새가 나며, 약성은 쓰고 조금 시며 떫고 따뜻하다. 상기 가자는 기(氣)를 내리고 오래된 담과 기침을 삭히고, 숨이 차는 것, 오래된 설사, 이질, 탈항 등에 효과가 있다. 소화를 돕고 입맛을 돋구며 뱃속의 태아를 편안하게 하는 작용도 한다. 수렴작용(收斂作用)을 하기 때문에 내부에 습열(濕熱)로 인한 열(熱)이 있는 자는 복용을 금한다.
iii) 죽여(Phyllostachys bambusoides S.et Z.)
상기 죽여는 벼과(Gramineae)에 속하며, 라틴명은 Bambusae Caulis In Taeniam이다. 상기 죽여는 엷은 막편-띠상 또는 불규칙한 실모양으로 너비와 두께가 고르지 않으나 두께 1~11mm의 조각인 것도 있다. 상기 죽여의 바깥면은 엷은 녹색-황록색 또는 회백색이며 가루로 된 것도 있다. 또한 상기 죽여의 질은 가볍고 탄력성이 있고 섬유성이다. 상기 죽여는 강죽(剛竹), 강죽여(姜竹茹), 담죽여피(淡竹茹皮), 왕대, 죽피(竹皮), 청죽여(靑竹茹) 등으로 부른다.
상기 죽여는 맛은 달고 성질은 약간 차다. 상기 죽여는 위경(胃經), 폐경(肺經), 간경(肝經)에 작용한다. 또한, 상기 죽여는, 열을 내리고 혈분(血分)에서 사열(邪熱)을 없애며, 구토를 멎게 하고 가래를 삭이며 태아를 안정시킨다. 상기 죽여는, 위열(胃熱)로 토하는 데, 딸꾹질, 담열(痰熱)로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이 나며 숨이 찬 데, 어린아이의 경련성 질병, 토혈, 코피, 부정자궁출혈 등 혈열(血熱)로 인한 출혈, 태동불안(胎動不安) 등에 쓰인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조성물은 특히, 상기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두충 추출물, 가자 추출물, 죽여 추출물 등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상기 두충 추출물은 두충나무과(Family Eucommiaceae)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속(Genus)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가자 추출물은 사군자과(Combretaceae)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속(Genus)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죽여 추출물은 벼과(Gramineae)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속(Genus)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상기 두충, 가자, 죽여의 잎, 뿌리, 가지, 열매, 씨앗 등 추출 부위는 어느 하나 이상 혹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추출물은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극성용매, 비극성용매 등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극성용매는 분자 내부에 고정적으로 전기 쌍극자를 갖는 액체는 극성 액체라 하고 이것이 용매로 이용될 때 극성용매라고 지칭한다. 상기 극성용매로 물, 알코올, 아세톤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물은 정제수, 증류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알코올은 작용기로 히드록시기(-OH기)를 가지며 탄소수에 따라,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비극성용매는 용매분자가 영구쌍극자를 갖지 않아 그 결과로 극성의 화학종에 분자간 회합을 일으킬 수 없는 용매를 지칭한다. 상기 비극성용매로 벤젠, 사염화탄소, 사이클로헥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벤젠은 방향족 탄화수소로이며, 상기 사이클로헥산은 벤젠의 수소첨가반응에 의해 합성된다.
상기 추출용매로 정제수,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 상기 추출용매는 예를 들어, 20~100%, 20~95%, 20~90%, 20~85%, 20~80%, 20~75%, 20~70%, 20~65%, 20~65% 또는 20~60%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용매는 20~50% 농도로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용매는 30% 농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 상기 추출용매의 함량은 상기 식물의 함량보다 1~10배, 2~9배, 3~7배 또는 4~6배 등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용매의 함량은 5~10배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추출한 것인 혼합 추출물이거나, 또는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두충으로부터 수득된 두충 추출물과 상기 가자로부터 수득된 가자 추출물과 상기 죽여로부터 수득된 죽여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액을 추출하는 방법은 냉침법, 감압 추출법, 진탕 추출법, 환류 추출법, 열수 추출법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추출하는 방법은 환류추출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열수추출물, 침수추출물, 조추출물, 증류추출물, 에탄올추출물, 환류추출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물은 희석액, 정제액 등 어느 하나 이상 혹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동결건조, 고온가열건조, 자연건조, 냉동건조 등의 건조과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의 정제과정에 의해 제조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추출, 건조, 정제 등 어느 하나 이상 혹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를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추출물 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 억제 효과를 유도한다.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의 추출물을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IL-6 발현의 분석결과는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두충, 가자 및 죽여의 추출물을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IL-6 발현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치주세포(YD38 cell)에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를 각각 50ug/mL 군(각각 가자 50, 두충 50, 죽여 50으로 명명), 100ug/mL을 투여한 군(각각 가자 100, 두충 100, 죽여 100으로 명명), Lipopolysaccharide from Porphyromonas Gingivalis(LPS-PG)를 투여한 군(NC로 명명)에서 염증 마커인 인터루킨 6(Interleukin-6, IL-6)의 발현을 확인한 측정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1은, 치주세포에서 IL-6 발현의 분석결과이다. IL-6은, T림프구나 대식세포 등 다양한 세포에서 분비되어 면역반응을 촉진하는, 특히, 감염, 외상 등의 염증으로 이어지는 조직손상으로 염증반응을 촉진시키는 사이토카인(Cytokine) 이다. NC군보다 두충, 가자 및 죽여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IL-6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IL-6의 mRNA 발현양이, LPS-PG만을 처리한 NC군보다 50ug/mL 두충 처리군에서는 44.21% 정도 감소하였고, 50ug/mL 가자 처리군에서는 61.61% 정도 감소하였고, 50ug/mL 죽여 처리군에서는 53.81% 정도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두충, 가자 및 죽여를 각각 100ug/mL을 처리할 경우 50ug/mL을 처리할 경우 보다 IL-6의 mRNA 발현양이 더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두충 추출물을 투여한 치주세포에서의 IL-6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을 치주세포에 처리하면 염증성 자극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IL-6의 발현감소를 통해 염증반응의 감소효과가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의 추출물을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IL-8 발현의 분석결과는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두충, 가자 및 죽여의 추출물을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IL-8 발현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는, 치주세포(YD38 cell)에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를 각각 50ug/mL 군(각각 가자 50, 두충 50, 죽여 50으로 명명), 100ug/mL을 투여한 군(각각 가자 100, 두충 100, 죽여 100으로 명명), Lipopolysaccharide from Porphyromonas Gingivalis(LPS-PG)를 투여한 군(NC로 명명)에서 염증 마커인 인터루킨 8(Interleukin-8, IL-8)의 발현을 확인한 측정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2는, 치주세포에서 IL-8 발현의 분석결과이다. IL-8은 대식세포(macrophage)와 상피세포(epithelial cell)들이 항원과 접촉했을 때 분비하는 주 염증매개인자로써, 면역반응에 관계된 세포들을 불러들여서 염증반응을 개시(initiation)하는 역할을 한다. 대조군보다 두충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IL-8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NC군보다 두충, 가자 및 죽여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IL-8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IL-8의 mRNA 발현양이, LPS-PG만을 처리한 NC군보다 50ug/mL 두충 처리군에서는 65.22% 정도 감소하였고, 50ug/mL 가자 처리군에서는 69.28% 정도 감소하였고, 50ug/mL 죽여 처리군에서는 84.08% 정도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두충, 가자 및 죽여를 각각 100ug/mL을 처리할 경우 50ug/mL을 처리할 경우 보다 IL-8의 mRNA 발현양이 더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두충 추출물을 투여한 치주세포에서의 IL-8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험의 결과는 LPS-PG에 의한 잇몸 염증반응이 잇몸상피세포로부터 배출된 IL-8에 의해서 개시됨을 보여주며 두충, 가자 및 죽여에 의한 염증반응의 감소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을 치주세포에 처리하면 염증성 자극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IL-8의 발현감소를 통해 염증반응의 감소효과가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의 추출물을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iNOS 발현의 분석결과는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두충, 가자 및 죽여의 추출물을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iNOS 발현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는, 치주세포(YD38 cell)에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를 각각 50ug/mL 군(각각 가자 50, 두충 50, 죽여 50으로 명명), 100ug/mL을 투여한 군(각각 가자 100, 두충 100, 죽여 100으로 명명), Lipopolysaccharide from Porphyromonas Gingivalis(LPS-PG)를 투여한 군(NC로 명명)에서 염증 마커인 iNOS의 발현을 확인한 측정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3은, 치주세포에서 iNOS 발현의 분석결과이다. iNOS의 유도는 nuclear factor kappa B(NF-κB) 전사요소들을 포함한 일련의 신호전달 경로에 의해 유인 되어지거나 조절되므로 NF-κB 신호전달과 관련된 전사요소의 발현 감소 또는 NF-κB신호전달과 관련된 염증반응의 감소효가 나타난다. NC군보다 두충, 가자 및 죽여 추출물을 투여한 군에서 iNOS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iNOS의 mRNA 발현양이, LPS-PG만을 처리한 NC군보다 50ug/mL 두충 처리군에서는 90.75% 정도 감소하였고, 50ug/mL 가자 처리군에서는 95.18% 정도 감소하였고, 50ug/mL 죽여 처리군에서는 94.76% 정도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두충, 가자 및 죽여를 각각 100ug/mL을 처리할 경우 50ug/mL을 처리할 경우 보다 iNOS의 mRNA 발현양이 더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두충 추출물을 투여한 치주세포에서의 iNOS의 발현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대식세포의 활성에 의해 발현된 염증관련 단백질인 iNOS의 mRNA 발현양이 감소됨을 볼 수 있어 iNO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반응의 감소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추출물을 치주세포에 처리하면 염증성 자극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iNOS의 발현감소를 통해 염증반응의 감소효과가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가자 추출물을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억제능의 분석결과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가자 추출물을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주세포에서의 NO 발현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는, 치주세포(YD38 cell)에 상기 가자를 각각 50ug/mL 군(가자 50으로 명명), 100ug/mL을 투여한 군(가자 100으로 명명), Lipopolysaccharide from Porphyromonas Gingivalis(LPS-PG)를 투여한 군(NC로 명명)에서 NO의 발현을 확인한 측정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NO의 발현양이, LPS-PG만을 처리한 NC군보다 50ug/mL 가자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48.63% 정도 감소하였고, 100ug/mL 가자 처리군에서는 73.79% 정도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치주세포에 상기 가자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NO의 발현양의 감소가 나타났고, 가자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NO의 발현양 감소율이 더욱 높아짐을 보였다. 이를 통해 가자 추출물은 NO 생성 억제 효능이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두충 추출물을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억제능의 분석결과는 도 5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두충 추출물을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주세포에서의 NO 발현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는, 치주세포(YD38 cell)에 상기 두충을 각각 50ug/mL 군(두충 50으로 명명), 100ug/mL을 투여한 군(두충 100으로 명명), Lipopolysaccharide from Porphyromonas Gingivalis(LPS-PG)를 투여한 군(NC로 명명)에서 NO의 발현을 확인한 측정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NO의 발현양이, LPS-PG만을 처리한 NC군보다 50ug/mL 두충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16.88% 정도 감소하였고, 100ug/mL 두충 처리군에서는 30.17% 정도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치주세포에 상기 두충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NO의 발현양의 감소가 나타났고, 두충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NO의 발현양 감소율이 더욱 높아짐을 보였다. 이를 통해 두충 추출물은 NO 생성 억제 효능이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죽여 추출물을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억제능의 분석결과는 도 6에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죽여 추출물을 유효물질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치주세포에서의 NO 발현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는, 치주세포(YD38 cell)에 상기 죽여를 각각 50ug/mL 군(죽여 50으로 명명), 100ug/mL을 투여한 군(죽여 100으로 명명), Lipopolysaccharide from Porphyromonas Gingivalis(LPS-PG)를 투여한 군(NC로 명명)에서 NO의 발현을 확인한 측정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NO의 발현양이, LPS-PG만을 처리한 NC군보다 50ug/mL 죽여 추출물 처리군에서는 19.20% 정도 감소하였고, 100ug/mL 죽여 처리군에서는 34.33% 정도 감소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치주세포에 상기 죽여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NO의 발현양의 감소가 나타났고, 죽여 추출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NO의 발현양 감소율이 더욱 높아짐을 보였다. 이를 통해 죽여 추출물은 NO 생성 억제 효능이 발생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Lignans, glycosides, iridoids, cyclopentenoid, monoterpenoid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Lignans, Glycosides, Iridoids, Cyclopentenoid, Monoterpenoid 등이 활성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성분은 두충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Lignans는 현화식물(Flowering plant)에 널리 분포하며, 방향고리는 수산기(Hydroxyl Group, -OH), 메톡실기(Methoxyl Group, CH3O-), 메틸렌디옥시기(Methylene Deoxyl Group, -O-CH2-O-) 등으로 치환되고 곁사슬은 고리모양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Lignans은 i) 산화 방지 효과, ii) 항노화 효과, iii) 혈압 낮춤 효과 등을 유도한다. 상기 Lignans는 pinoresiol di-O-β-D-glucoside, pinoresinol, cycloolivil, olivil, (±)-ery hro-, (±)-threo-guia-cylglycerol, eucommin A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lycosides는 당의 헤미아세탈히드록시기(anomeric hydroxyl group)가 알코올 또는 페놀의 히드록시기(hydroxyl group)와 에테르 모양(-O-)으로 결합한 것을 지칭한다. 상기 glycosides는 i) 당의 저장 작용, ii) 삼투압 조절 작용, iii) 해독 작용, iv) 식물의 노폐물 제거 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glycosides는 hydroxypinoresinol, syringaresinol, naringin, limonin, cucurbitacin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ridoids는 시클로펜탄(cyclopentane) 고리(Ring)를 가지고 있는 모노테르펜(Monoterpene)을 지칭한다. 상기 iridoids는 i) 유해활성 산소의 제거, ii) 콜레스테롤 조절, iii) 활력증진, iv) 심장건강 향상, v) 면역체계 향상, vi) 항염 효과, vii) 세포 돌연변이 방지, viii) 두뇌활동 증진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iridoids는 geniposidic acid, chlorogenic acid, geniposide, pinoresinol diglucoside, liriodendrin, genipin, aucubin, hrpagide, acetate, ajugoside, reptoside, ulmosid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yclopentenoid는 탄소(Carbon) 원자 5개와 수소(Hydrogen) 원자 10개로 이루어진 고리 모양을 가진 탄화수소인 Cyclopentene을 생성하는 물질을 말한다. 상기 Cyclopentenoid는 eucommiol, eucommioside, bisdeoxyeucommiol, bisdeoxyeucommioside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onoterpenoid는 탄소수 10개의 테르펜(terpene)이, 선형(Linear)이거나 고리(Ring)를 가지고 산화(oxidation)와 같은 생화학적 변형으로 인해 생성된다. 상기 Monoterpenoid는 i) 항균작용, ii) 생리활성 촉진작용 등의 효과가 있다. 상기 Monoterpenoid는 상기 Monoterpenoid는 loliolid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Flavonoid류, Phenol류, Chlorogenic acid류, Sugar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lavonoid류는 i) 항산화 효과, ii) 암 예방 효과, iii) 모세혈관 강화 효과 등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Tannins, Anthraquinone, Flavonoids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Tannin, Anthraquinone, Flavonoids 등이 활성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성분은 가자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Tannins은 수렴성이 강하고 떫은맛을 가지는 화합물을 총칭한다. 상기 Tannins은 아주 떫은 맛을 내는 폴리페놀의 일종으로써 식물에 의해 합성된다. 상기 Tannins은 많은 수의 OH기를 가지며 이들이 다당류, 단백질, 알칼로이드 등의 거대 분자들과 가역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Tannins은 산(Acid), 알칼리(Alkali) 또는 효소(Enzyme)에 의해서 깨질 수 있는 페놀산과 당류(Saccharid) 등의 가수분해 가능한 Tannins과 프로안토시아니딘(poroanthocyanidin) 등의 가수분해 불가능한 Tannins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Tannins은 i) 다이어트 효과, ii) 항균 효과, iii) 활성산소 제거 효과, iv) 항산화 작용 등의 효과가 발생한다. 상기 Tannins은 Gallic acid, Chebulic acid, Punicalagin + diastereoisomer, Chebulanin, Corilagin, Neochebulinic acid, Ellagic acid, Chebulagic acid, Chebulinic acid, 1,2,3,4,6-Penta-O-galloyl-b-D-glucose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lavonoids는 페닐기(Phenyl group) 2개가 C3사슬을 매개하여 결합한 탄소골격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Flavonoids는 i) 항산화 효과, ii) 암 예방 효과, iii) 모세혈관 강화 효과 등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Flavonoids는 Luteolin, rutins, quercetin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Tannins이 20~50%의 함유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성물의 상기 Tannins은 Gallic acid (3%), Chebulic acid (4%), Punicalagin + diastereoisomer (18%), Chebulanin (6%), Corilagin (7%), Neochebulinic acid (6%), Ellagic acid (12%), Chebulagic acid (28%), Chebulinic acid (10%), 1,2,3,4,6-Penta-O-galloyl-b-D-glucose (7%) 등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Guajacol, Capric acid, Cresol, Pentosan, Lignin, Cellulose, Terephthalic acid 2-hydroxyethyl methyl ester, Friedelin, Vanillin, 4-hydroxybenzaldehyde, 4-hydroxyacetophenone, Terephthalic acid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Guajacol, Capric acid, Cresol, Pentosan, Lignin, Cellulose, Terephthalic acid 2-hydroxyethyl methyl ester, Friedelin, Vanillin, 4-hydroxybenzaldehyde, 4-hydroxyacetophenone, Terephthalic acid 등이 활성성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활성성분은 죽여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Capric acid는 탄소수가 10개인 포화지방산을 지칭한다. 상기 Capric acid는 항경련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Pentosan은 Pentose를 구성성분으로 포함하는 다당류를 지칭한다. 상기 Pentosan은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며, 식물체 중에서는 Cellulose, Pectin 등과 함께 세포막 중에 존재하며, 조직의 강도 유지에 관여할 것이라고 추측된다.
상기 Lignin은 식물의 Cellulose와 함께 주성분의 하나로 작용한다. 주로 세포 간에 개재하는 접착제로서 일부는 세포막 내에 존재하는 보강제로서 가능하다. 상기 Lignin은 식물의 줄기 내에서 물을 운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Cellulose는 다당류로 섬유소라고도 지칭될 수 있다. 상기 Cellulose는 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주성분이다.
상기 Terephthalic acid 2-hydroxyethyl methyl ester는 국화과의 뿌리에서 얻어지는 성분 중 하나로,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 화합물에 속한다.
상기 Friedelin은 트리테르펜(Triterpen)에 속한다. 상기 Friedelin은 항염증 효과, 항산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Vanillin은 방향족 화합물로, 승화성이 있고 유기용매에 잘 녹는다. 상기 Vanillin은 항산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4-hydroxybenzaldehyde은 hydroxybenzaldehyde의 3가지 이성질체(isomers) 중 하나에 속한다. 상기 4-hydroxybenzaldehyde는 GABAergic 신경조절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활성성분은 상기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활성성분은 인위적으로 합성하여 상기 조성물에 포함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혹은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조합, 성분 등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2. 제조방법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S100);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S200); 상기 추출액을 정제하는 단계(S300);및 상기 정제된 추출액을 건조하는 단계(S400);을 포함한다.
상기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두충, 죽여 및 가자를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선택하는 단계(S100)과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S200)의 순서는 교차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를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을 추출한 것인 혼합 추출물이거나, 또는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두충으로부터 수득된 두충 추출물과 상기 가자로부터 수득된 가자 추출물과 상기 죽여로부터 수득된 죽여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액은 단계(S300) 및 단계(S400)에 의해 처리된 추출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S200)은, 일반적인 식물 추출 전처리 과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S200)은, 식물의 부위를 선택하는 단계, 식물을 세척하는 단계, 식물을 건조하는 단계, 식물을 절단하는 단계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식물의 부위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하는 추출액의 효능을 최대화 할 수 있도록 하는 전단계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물의 전체 부위를 사용하는 것 보다, 뿌리에만 효능이 있는 식물이라면, 추출하는 시간도 절약할 수 있고, 추출액의 농축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물의 부위는 잎, 가지, 뿌리, 열매, 씨앗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의 재배기간은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식물의 채취시기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식물을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식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식물을 재배할 때 사용한 비료나 농약 등의 잔류물질들을 최소화함으로써, 추출액의 순도를 높이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세척하는 방법은, 기계세척, 천으로 닦아서 세척, 진공 세척, 열풍 세척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 상기 식물을 건조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액에 효과 있는 성분들을 농축시키거나, 상기 세척하는 단계에서 사용한 용액을 없애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건조하는 방법은, 자연건조, 냉풍건조, 온풍건조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식물을 절단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액에 효과 성분들이 더 잘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전단계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식물을 절단하는 두께나 형태에 따라서 식물의 표면적이 커지므로, 용매와의 접촉면이 커져서 상기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유효 성분들이 잘 추출되는 효과가 제공 될 수 있다. 상기 절단하는 방법은, 초미립자 절단법, 작두법, 원형절단법, 직각절단법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의 형태는 직편, 사편, 괴편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S200)은, 유효성분을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유효성분의 형태는 고체, 액체, 기체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유기용매, 무기용매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Ethanol, EtOH), 메탄올(Methanol, MeOH), 아세톤(Acetone), 크실렌(Xylene)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유기용매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용매의 순도(Purity)는 탄소(Carbon)가 2개, 3개, 4개, 5개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용매의 농도는 30~100%, 30~95%, 30~90%, 30~85%, 30~80%, 30~75%, 30~70%, 30~65% 또는 30~60%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의 농도는 30%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용매의 함량은 상기 식물의 함량보다 1~10배, 2~9배, 3~7배 또는 4~6배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의 함량은 5~10배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 상기 추출액을 추출하는 방법은 냉침법, 감압 추출법, 진탕 추출법, 환류 추출법, 열수 추출법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추출하는 방법은 환류추출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을 추출하는 방법은 20~150 에서 1~24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액을 추출하는 방법은 80에서 3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추출액을 정제하는 단계(S300)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유효성분의 함량을 높이기 위한 단계이다. 상기 추출액을 정제하는 방법은 원심분리법, 여과법, 침강법, 에탄올 침전법, 물 침전법, 크로마토그래피법(Chromathgraphy)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여과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추출액을 정제하는 형태는 고체, 액체, 기체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하는 단계는 농축방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축방법은 증발농축법, 감압농축법, 동결농축법, 막분리농축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감압농축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는 단계(S400)은, 추출액의 유효성분을 농축시키고, 사용하기 쉬운 형태로 변형할 수 있는 단계이다. 상기 건조의 형태는 고체, 액체, 기체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건조하는 방법은 터널식 오븐건조, 진공 건조, 분무 건조, 동결 건조, 원적외선 건조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서,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충 및 가자 혼합 추출물, 상기 두충 및 죽여 혼합 추출물, 상기 가자 및 죽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충 및 가자, 상기 두충 및 죽여, 상기 가자 및 죽여의 혼합 추출물의 중량비율은 1:1, 1:2, 1:3, 2:1, 2:2, 2:3, 3:1, 3:2 또는 3:3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두충 및 가자의 경우 3:1, 상기 두충 및 죽여의 경우 1:1, 상기 가자 및 죽여의 경우 1:3의 중량비율로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는 상기 혼합 추출물의 투여 순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로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충 및 가자 혼합 추출액, 상기 두충 및 죽여 혼합 추출액, 상기 가자 및 죽여 혼합 추출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유기용매, 염기용매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과 상기 용매의 부피량은 1 내지 30배로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매의 부피량은 상기 혼합 추출물의 부피량 5 내지 10배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로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용매로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추출법, 환류추출법, 가열추출법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로 추출하는 방법은 환류추출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는 상기 혼합 추출물과 상기 용매의 투여 순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용매로 추출하는 방법은 정제법과 건조법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제법은 원심분리법, 크로마토그래피법, 여과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여과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법은 동결건조, 자연건조, 냉풍건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구체예로서, 두충, 가자 및 죽여를 모두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충 및 가자 혼합 추출물의 중량비율은 1:1:1, 1:1:2, 1:2:1, 1:1:3, 1:3:1, 2:1:1, 2:2:1, 2:1:2, 2:1:3, 2:3:1, 3:1:1, 3:1:2 또는 3:2:1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는 상기 혼합 추출물과 상기 용매의 투여 순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로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 혼합 추출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물, 유기용매, 염기용매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유기용매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혼합 추출물과 상기 용매의 부피량은 1 내지 30배로 수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매의 부피량은 상기 혼합 추출물의 부피량 5 내지 10배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로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상기 용매로 추출하는 방법은 열수추출법, 환류추출법, 가열추출법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로 추출하는 방법은 환류추출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하는 상기 혼합 추출물과 상기 용매의 투여 순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용매로 추출하는 방법은 정제법과 건조법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제법은 원심분리법, 크로마토그래피법, 여과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여과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건조법은 동결건조, 자연건조, 냉풍건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 중 2 이상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조방법, 중량비율 등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3. 용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다양한 용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두충, 죽여 및 가자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의 약학적 조성물, 염증성 질환 조성물,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생활용품 조성물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예는 앞서 설명한 상기 두충, 죽여 및 가자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다양한 용도이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개선성분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조성된다.
염증은 급성염증, 만성염증 등 생체 조직이 자극된 상태, 증상, 질환을 총칭한다.
염증개선성분은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일 수 있다.
염증개선성분의 조성에 따라 약학적 조성물의 양태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대상에 따라 약학적 조성물의 양태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대상은 식물, 동물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에 따라,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이 달라질 수 있다.
크게 약학적 조성물의 양태를 분류하자면, 고체 제형, 겔 제형, 겔-스프레이 제형, 캡슐 제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이 분류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안정성과 편이성을 위해, 부형제, 희석제, 보존제 등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첨가제는 자일리톨, 말리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젤라틴, 마그네슘, 솔비톨, 만나톨, 벤조산나트륨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염증에 따라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 투여횟수, 투여방법 등이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투여량, 투여횟수, 투여방법 등은 제한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염증 종류, 진행정도, 대상 등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염증개선, 치료, 예방 등을 위해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수술, 생물학적 치료, 화학적 치료 등과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염증성 질환]
본 발명의 일 예는 앞서 설명한 상기 두충, 죽여 및 가자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 용도이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급성 질환, 만성 질환, 면역성 질환, 알르레기성 질환, 대사성 질환, 암, 관상동맥질환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염증성 질환은 치주질환, 장질환, 근육질환, 골반질환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주질환은 치은염, 치주염, 치주농양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염증성 질환은 미생물에 의한 감염, 상처, 화상, 동상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은 곰팡이, 세균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균은 유용세균, 유해세균, 병원성세균, 상재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원성세균은 콜레라균(Cholerae), 대장균(Escherichia coli, E.coli), 살모넬라균(Salmonella),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치주질환은 세균감염이 대표적인 원인이다. 상기 치주질환을 야기하는 세균은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Tanerella forsythensis, Prevotella intermedia, Treponema denticola, Fusobacterium nucleatum, Micromonas micros, Eikenella corrodens, Compylobacter rectus 등 약 500여 종의 세균이 치주질환의 원인균으로 보고 되어진다.
치주질환은 흔히 풍치라고도 부른다. 상기 치주질환은 병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 치주염으로 나눌 수 있다. 상기 치은염은 잇몸에만 세균이 번식한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치주염은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세균이 번식한 상태를 의미한다.
치주질환은 초기에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치료시기를 놓치기 쉽다. 대부분 치주질환 환자들은, i) 출혈, ii) 잇몸의 변색, iii) 부종, iv) 궤양 등의 증상이 생긴 뒤에 치료를 받기 위해 내원을 한다. 또한, 상기 치주질환의 치료는 상기 세균의 번식을 막기 위해 i) 항생제 치료 ii) 수술 등이 진행된다. 하지만, 상기 치주질환은 세균 번식의 재발이 높아서 예방이 필수적이다.
치주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치주질환 환자들은 통증, 심리적 스트레스 등이 동반된다. 상기 통증으로 인해, 치주질환 환자들은 음식물 섭취도 힘들고, 통증이 심해지면 음식물 섭취의 유무와 관계없이 불편감을 느끼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두충, 죽여 및 가자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은, 풍치, 치태, 치석, 충치, 치은염, 치주염, 치주낭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충, 죽여 및 가자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로, 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과 산화질소(Nitric Oxide, NO)합성 효소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세포는 치주세포일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IL-6, IL-8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산화질소합성효소는 iNOS(inducible NO synthase, iNOS) 일 수 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i) 전염증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과 ii) 항염증 사이토카인(Anti-inflammatory Cytokine)으로 나뉜다. 전염증 사이토카인은 염증 생성과 관련이 있고, 항염증 사이토카인은 염증 억제와 관련이 있다. 전염증 사이토카인은 IL-1, IL-2, IL-6, IL-8, TNF, IFN 등이 있고, 항염증 사이토카인은 IL-4, IL-5, IL-10 등이 있다.
산화질소합성 효소는 산화질소를 생성하는 것을 촉매한다. NO는 세포신호전달, 인슐린분비, 혈관생성, 신경계 발생 등에 관여한다.
iNOS는 대식세포 등 면역계 세포에서 사이토카인 자극으로 발현이 유도된다. iNOS의 유전자발현은 감염, 염증반응 등에 관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충, 죽여 및 가자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은, 치주세포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상기 두충, 죽여 및 가자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이 30% 에탄올 추출물일 때,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IL-6, IL-8 일 수 있다. 상기 IL-6은, 상기 30% 에탄올 추출물일 때, 상기 치주세포에서의 발현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L-8은, 상기 30% 에탄올 추출물일 때, 상기 치주세포에서의 발현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충, 죽여 및 가자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은, 치주세포에서 산화질소 합성 효소의 억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로, 상기 두충, 죽여 및 가자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이 30% 에탄올 추출물일 때, 산화질소 합성 효소의 억제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산화질소 합성 효소는 iNOS 일 수 있다. 상기 iNOS는, 상기 30% 에탄올 추출물일 때, 상기 치주세포에서의 발현이 억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은, 특히, 상기 치추질환을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예는 앞서 설명한 상기 두충, 죽여 및 가자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의 용도이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치주질환, 장질환, 근육질환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기능 식품은 상기 추출물을 이용한 추출과정에서 발생되는 무효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건강기능은 인체의 건강증진, 보건용도 등의 목적을 가진 통상적인 모든 것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인체의 건강증진은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학적, 생리학적, 면역학적, 치료학적, 심리학적 등 통상적인 건강증진에 해당하는 모든 것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건강기능 식품은, 상기 목적에 따라, 유용한 영양소, 기능적 성분 등을 첨가한 통상적인 모든 것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건강기능 식품의 종류는 비타민, 영양제, 캔디류, 스낵류, 분말류, 정제류, 캡슐류, 음료류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기능 식품의 제조시 첨가제, 보조제, 산화제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기능 식품은, 식품의 섭취 시, 단기적 복용, 장기적 복용 등 복용 기간에 관계 없이 건강기능 증진의 효과가 나타나는 통상적인 모든 것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건강기능 식품은 의약품, 보조의약품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과 함께 섭취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 식품 제조시, 상기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추출물의 비율, 함량 등은 제한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건강기능 식품은 대부분 화학성분의 작용으로 인하여, 건강기능성 효과가 반감, 저해, 억제 등의 부정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건강기능 식품 제조시, 상기 추출물은 천연 성분이기 때문에, 건강기능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천연 성분은 장기간 복용시에도 부작용의 초래가 거의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은, 특히, 상기 치주질환을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생활용품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예는 앞서 설명한 상기 두충, 죽여 및 가자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생활 개선, 위생 개선, 환경 개선 등 생활용품의 용도이다.
생활은 의식주(衣食住)에 필요한 통상적인 모든 것을 지칭하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생활용품은 주방용품, 위생용품, 가전용품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생용품은 구강 위생용품, 욕실 위생용품, 육아 위생용품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구강 위생용품의 사용은, 구강 내 미생물 감소 효과, 구취 제거 효과, 구강의 심미적인 효과, 구강 질환 예방 및 개선 등의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구강 내 미생물의 축적은 치석, 치태, 충치, 치은염, 치주염, 풍치 등을 유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구강 질환은 치주질환, 혀질환, 치아질환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치주질환은 치은염, 치주염, 치주낭, 치수염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구강 위생용품은 치실, 칫솔, 치간 칫솔, 구강 세정기, 치약, 구강 세척액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구강 위생용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약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약일 수 있다. 상기 치약 성분은 용제, 연마제, 방부제, 습윤제, 방향제, 착향제, 감미제, 점증제, 계면활성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용제는 용질을 녹이는데 사용하는 성분을 지칭한다. 상기 용제는 정제수, 에탄올, 크실렌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용제는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연마제는 이의 겉면을 물리적으로 닦아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탄산칼슘(Calcium Carbonate)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마제는 이산화규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는 치약에서 곰팡이나 박테리아 등의 번식을 막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트리클로산(Triclosan), 파라벤(Paraben)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습윤제는 치약의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는 소르비톨(Sorbitol), 글리세린(Glycerin)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습윤제는 D-소르비톨액, 글리세린을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제, 착향제 및 감미제는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맛, 향기 등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제, 착향제 및 감미제는 자일리톨(Xylitol), 스테비오사이드(Stevioside), 에리스리톨(Erythritol), 멘톨(Menthol), 매스틱오일(Mastic oil), 사카린나트륨(Sodium Saccharin)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제, 착향제 및 감미제는 자일리톨, 사카린나트륨수화물, 녹차추출물, L-멘톨, 매스틱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점증제는 용액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키토산(Chitosan), 잔탄검(Xanthan Gum), 함수규산(Hydrated Silicon Dioxide)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증제는 함수규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을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세정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코코일루타민산나트륨(Cocoyl Sodium Glutamate), 소듐라우릴설포아세테이트(Sodium Lauryl Sulfoacetate, SLSA),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Sodium Laureth Sulfate, SLES),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Ammonium Lauryl Sulfate, ALS)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계면활성제는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예로서, 상기 치약 성분은 정제수, 이산화규소, 일불소인산나트륨, 토코페롤아세테이트, D-소르비톨액, 글리세린, 코코일글루타민산나트륨, 함수규산,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자일리톨, 사카린나트륨수화물, 녹차추출물, L-멘톨, 매스틱오일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치약의 형태는 분말형, 거품형, 액체형, 고체형, 젤형, 페이스트형 등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치약 성분은 대부분 화학성분으로 임산부, 당뇨병 환자, 대사성 질환자, 어린이 등 면역 체계가 약한 대상자들이 사용할 경우, 유해성분의 흡수율이 높아진다는 보고가 있다. 이로 인해, 치아 불소증, 치아 경부마모증 등이 유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치약의 양은 칫솔모의 1/4의 양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생활용품 제조시, 특히, 치약 제조시, 상기 추출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상기 추출물의 비율, 함량 등은 제한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생활용품 대부분은 화학성분의 작용으로 인하여, 인체 건강에 유해한, 불편한 등의 부정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생활용품 제조시, 상기 추출물은 천연 성분이기 때문에, 인체 건강에 유해함, 불편함 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 중 어느 하나 이상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생활용품, 특히, 상기 치약으로 치주질환의 예방, 치료 및/또는 개선용 생활용품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기 일 실시예는 치주질환에 대한 상기 추출물의 제조 및 염증 저해 효과에 관한 것이나, 이들 실시에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 두충, 가자, 죽여 추출물 제조
두충, 가자 및 죽여 30g을 각각 칭량하여 두충, 가자는 시료 중량의 5배의 양인 150mL의 30% 에탄올 수용액을, 죽여는 시료 중량의 10배의 양인 300mL의 3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80℃에서 3시간 환류추출 하였으며, 수득한 추출액은 여과한 뒤 감압농축 하여 분말상태로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효과
Total RNA 분리
YD-38 세포를 지름이 60mm인 배양접시에 배양한 후, 두충, 가자 및 죽여 추출물을 50ug/mL, 100ug/mL의 농도로, 염증 유발 물질인 LPS-PG (Lipopolysaccharide from Porphyromonas gingivalis (InvivoGen)를 20ug/mL의 농도로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세포에서 RNA를 분리하기 위하여, 물질이 처리된 세포배양액을 PBS를 이용하여 씻어낸 후, Trizol 1mL을 처리하여 세포를 파괴하고, 클로로포롬(Chloroform) 200uL를 첨가하여 잘 섞어 원심분리 하였다. RNA가 포함된 상층액을 새로운 튜브로 옮겨 상층액의 0.7 볼륨에 해당하는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을 넣어 잘 섞어 상온에서 10분간 방치하였다. 이후, 원심분리를 수행하여 RNA가 포함된 침전물을 획득하였으며,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침전물을 씻어주고 공기 중에서 10분 동안 건조하였다. RNA 침전물을 핵산분해효소가 없는 DW를 이용하여 잘 녹여준 후, Nanodrop을 이용하여 RNA정량을 수행하였다.
cDNA 합성
1ug의 RNA와 역전사효소(Reverse Transcriptase) 및 올리고 dT(oligo dT), 완충액을 함께 잘 섞어주었다. 이 후, PCR기계를 이용하여 42에서 1시간, 그리고 72에서 5분간 연속적으로 반응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사이토카인 mRNA 발현량 조사
합성된 cDNA 1uL를 [표 1]에 나타낸 각 프라이머 세트와 SYBRgreen PCR 마스터 믹스 용액을 넣어 잘 섞어 준 후 real-time PCR 기계를 이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각 유전자의 증폭은 실시간으로 매 사이클 경과 시 형광의 강도가 측정하도록 프로그램을 디자인하여 CT값을 얻었다. 상대적인 mRNA 발현량은 CT 분석법을 이용하여 산출하였으며, 물질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의 각 유전자의 mRNA 발현량을 1로 하여, 물질 처리에 의한 mRNA 발현양의 증감을 비교 분석하였다(도 1, 도 2, 도 3).
각 사이토카인 mRNA 발현 확인을 위한 Primer 목록
유전자 Sense (5' 3') Antisense (5' 3')
IL-6 TGGAGTCACAGAAGGAGTGGCTAAG TCTGACCACAGTGAGGAATGTCCAC
IL-8 GTGAAGACTTTCTTTCAAACAAAG CTGCTCCACTGCCTTGCTCTTATT
iNOS CATGCTACTGGAGGTGGGTG CATTGATCTCCGTGACAGCC
GAPDH AGGGCTGCTTTTAACTCTGGT CCCCACTTGATTTTGGAGGGA
실시예 3 : 산화질소합성 효소 억제 효과
96 Well plate 에 1 X 104 cells/well 로 분주하여 24시간 배양한 인간 아랫잇몸 상피세포 (KCLB No. 60508)에 두충, 가자, 죽여를 50ug/mL, 100ug/mL을 각각 5 well 씩 처리하고, 일산화질소 생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LPS 1ug/mL을 함께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그 후, 각 well에서 세포배양액 50uL를 새 96 well plate에 옮기고 Griess reagent kit 의 시약 A, B를 각각 50uL를 첨가하여 일산화질소양에 따른 발색을 유도하였다.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TECAN, Gr, Austria)로 540nm 파장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laims (23)

  1. 두충, 가자 및 죽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상기 두충 추출물, 가자 추출물 및 죽여 추출물 중 선택되는 2개의 혼합 추출물인 경우,
    1~3 : 1~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충 추출물 및 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인 경우,
    두충 추출물 : 가자 추출물을 3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충 추출물 및 죽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인 경우,
    두충 추출물 : 죽여 추출물을 1 : 1 중량비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자 추출물 및 죽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인 경우,
    가자 추출물 : 죽여 추출물을 1 : 3 중량비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상기 두충 추출물, 가자 추출물 및 죽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인 경우,
    두충 추출물 : 가자 추출물 : 죽여 추출물을 1~3 : 1~3 : 1~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두충 추출물, 가자 추출물 및 죽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인 경우,
    두충 추출물 : 가자 추출물 : 죽여 추출물을 3 : 3 : 1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극성용매를 사용한 환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에탄올을 사용한 환류추출물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30% 에탄올을 사용한 환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마커 IL-6, IL-8, iNOS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질환은 치은염, 치수염, 치주염 및 치주낭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3. 두충, 가자 및 죽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상기 두충 추출물, 가자 추출물 및 죽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두충 추출물 : 가자 추출물 : 죽여 추출물을 1~3 : 1~3 : 1~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를 30% 에탄올을 사용한 환류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 식품은,
    분말류, 과립류, 정제류, 캡슐류, 시럽류 및 음료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17. 두충, 가자 및 죽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용품.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위생용품은
    상기 두충 추출물, 가자 추출물 및 죽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추출물을 사용할 경우,
    두충 추출물 : 가자 추출물 : 죽여 추출물을 1~3 : 1~3 : 1~3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용품.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치주질환은,
    치은염, 치수염, 치주염 및 치주낭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용품.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위생용품은,
    구강 세척액 및 치약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용품.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은,
    상기 두충, 가자 및 죽여를 30% 에탄올을 사용한 환류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용품.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은,
    거품형, 알약형, 젤형, 페이스트형, 액체형 및 분말형 중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용품.
  23.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은,
    용제, 연마제, 방부제, 습윤제, 방향제, 착향제, 감미제, 점증제 및 계면활성제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구강 위생용품.
KR1020170182988A 2017-12-28 2017-12-28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900805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988A KR20190080504A (ko) 2017-12-28 2017-12-28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988A KR20190080504A (ko) 2017-12-28 2017-12-28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504A true KR20190080504A (ko) 2019-07-08

Family

ID=6725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988A KR20190080504A (ko) 2017-12-28 2017-12-28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05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624B1 (ko) * 2019-09-20 2020-04-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타액 mmp-9 및 il-8를 이용한 치주염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예측 방법
CN115429734A (zh) * 2021-10-28 2022-12-06 斯钦 一种消炎祛火的漱口水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613A (ko) 2001-12-11 2003-06-18 오세군 항균성 님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30107397A (ko) 2012-03-22 2013-10-02 (주)한일제약 거품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7613A (ko) 2001-12-11 2003-06-18 오세군 항균성 님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20130107397A (ko) 2012-03-22 2013-10-02 (주)한일제약 거품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624B1 (ko) * 2019-09-20 2020-04-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타액 mmp-9 및 il-8를 이용한 치주염 예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주염 예측 방법
CN115429734A (zh) * 2021-10-28 2022-12-06 斯钦 一种消炎祛火的漱口水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81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KR100835899B1 (ko) 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진저롤을 포함하는치주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9256270A (ja) インスリン様成長因子−1発現促進剤
JP4948044B2 (ja) プラーク形成抑制剤、または抗う蝕菌剤
KR0176015B1 (ko)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
KR101225114B1 (ko) 봉독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90034B1 (ko) 충치 예방 및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KR20190080504A (ko)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090084435A (ko) 어성초 및 느릅나무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60083915A (ko) 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위생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8285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91399B1 (ko) 어성초, 금전초, 차전초, 느릅나무 및 상엽 혼합추출물을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및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40031512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KR101365352B1 (ko) 오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치료 및 구취 억제용 조성물
CN106692755B (zh) 一种具有止血消炎抗菌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94674B1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CN109248258A (zh) 一种口腔手术后护理用中草药含漱液
KR102553374B1 (ko) 시스타노사이드 에이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RU2618889C1 (ru) Средство, обладающее противовоспалительным, антимикробным, ранозаживляющим действием, для полоскания полости рта
RU2319499C1 (ru) Лекарственный сбор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заболевания пародонта, осложненного аллергическим состоянием
KR20160084904A (ko) 천연 약재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2132873B1 (ko) 청대, 오약, 천초 및 파고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52317B1 (ko) 탱자 및 물엿을 발효시킨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을 위한 약제, 식음료 및 화장료 조성물
KR101630829B1 (ko) 에키나코사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