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327A -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327A
KR20190080327A KR1020170182715A KR20170182715A KR20190080327A KR 20190080327 A KR20190080327 A KR 20190080327A KR 1020170182715 A KR1020170182715 A KR 1020170182715A KR 20170182715 A KR20170182715 A KR 20170182715A KR 20190080327 A KR20190080327 A KR 20190080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rking lot
vehicle
information
cl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517B1 (ko
Inventor
정상수
이은정
안광혁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정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수 filed Critical 정상수
Priority to KR1020170182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5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방법은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차량이 진입하는 주차장의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상태확인요청을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주차장 내 주차가능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가능공간들 중 특정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주차장 내 층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실내 측위를 통해 상기 차량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까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PARKING SPACE USING PARKING LOT APPLICATION}
본 발명은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차장이 혼잡한 경우 빈 주차 공간을 찾기 위하여 여러 층의 주차장을 헤매며 돌아다니는 경우가 흔히 있다. 주차 편의를 위하여 최근에는 주차장 공유 애플리케이션이나 주차 자리를 사전 예약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고 있으나, 예약된 시간에 도착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예약이 취소되는 등의 불편을 겪을 수 있고 유동적인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전 예약된 주차장을 방문하더라도 주차장 내에서 사전 예약된 자리를 찾기 위해 헤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06372호(2006.01.19)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방법은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차량이 진입하는 주차장의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상태확인요청을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주차장 내 주차가능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가능공간들 중 특정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주차장 내 층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의 실내 측위를 통해 상기 차량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까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장 내 주차가능공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주차 가능 공간을 추천하거나 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의 실내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하는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최단거리 안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 공간 안내 시스템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 공간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의 구성 요소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 공간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 공간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의 특정 주차가능공간을 예약한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최단경로를 제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최단경로를 제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변화된 상황에 따라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새로운 경로를 제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내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층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의 층 내에서 차량의 방향 및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층 내에서 차량의 실내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와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주차장 입구에서 차량의 실내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내 직선 거리에서 차량의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내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이 바뀌는 코너 부분에서 차량의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내에서 차량이 삼거리를 마주하게 되는 경우 차량의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주차 위치를 저장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차 비용을 자동으로 결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 공간 안내 시스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차 공간 안내 시스템은 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과 관련된 클라이언트(100),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 및 주차장 서버(30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100)는 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과 관련된 것으로, 차량의 차주가 소지하고 있는 휴대폰, 태블릿PC 등의 모바일 디바이스일 수도 있고, 차량에 연결되거나 내장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1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클라이언트(100)에 설치된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관리 서버이다. 클라이언트(100)와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제휴된 주차장에 대한 정보, 주차가능공간 예약,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 등을 주차장 서버(300)로부터 제공받아 클라이언트(100)에 설치된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주차장 서버(300)는 주차장과 관련된 서버이다. 각 개별 주차장에 존재하는 로컬 서버일 수도 있고, 여러 주차장에 관한 정보를 관리하는 중앙 서버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주차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와 주차장 서버(300)의 운영 주체는 동일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 공간 안내를 제공하기 위한 클라이언트의 구성 요소의 일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100)는 메모리(110),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센서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두 개가 하나의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가 적어도 두 개의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이외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메모리(110)는 클라이언트(100)의 동작에 필요하거나 클라이언트(100)에 설치된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명령어 등을 저장하고, 클라이언트(100)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0)는 하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SSD(solid state drive), 램(RAM) 메모리, 롬(ROM) 메모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100)의 출하시 또는 OS 업그레이드 시 기본으로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고,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가 별도로 다운로드하여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메모리(110)에 설치된 주차장 애플리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클라이언트(100)의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기능들이 수행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클라이언트(100)가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 통신부(120)는 이동 통신부, 근거리 통신부 및 무선 인터넷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클라이언트(100)로 입력되는 정보,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 및 클라이언트(100) 내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한다.
센서부(140)는 클라이언트(100)의 내부 또는 외부의 상태를 센싱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가속도 센서(142), 자이로 센서(144) 및 지자기 센서(146)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2)는 클라이언트(100)의 가속도를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X축, Y축, Z축의 3축 센서일 수 있다. 자이로 센서(144)는 클라이언트(100)의 각속도를 센싱하기 위한 것으로 Rx, Ry, Rz의 3축 센서일 수 있다.
제어부(150)는 가속도 센서(142)와 자이로 센서(144)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가 향하는 방향과 클라이언트(100)의 기울임 정도(각도 변화)를 파악함으로써, 주차장 내에서 차량이 향하는 방향과 방향 회전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센서부(140)는 지자기 센서(14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46)에 의해 추출된 센서값은 위치 이동 없이 정지해 있는 경우 값의 변동 폭이 감소한다. 출력된 센서값의 변화값이 일정 기준 이하일 경우 차량이 정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50)는 가속도 센서(142)와 자이로 센서(144)의 센싱값과 함께 지자기 센서(146)의 센싱값을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이동과 회전 여부 판단 시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클라이언트(100)의 위치를 차량의 위치와 동일시하여 설명하며, 클라이언트(100)의 위치라는 표현과 차량의 위치라는 표현이 혼재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센서부(140)에서 센싱된 값을 이용하여 차량의 방향과 회전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50)는 클라이언트(100)의 동작 전반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며, 구성 요소 간의 관계 및 데이터의 이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실내 측위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측위부(152)는 센서부(140)를 통해 센싱된 값과 통신부(120)를 통해 외부에서 전송된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주차장 내에서 클라이언트(100)의 측위를 수행하고, 그에 따라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주차 공간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후술하는 도면에서는 제어부(150)와 실내 측위부(152)의 구성과 기능을 구별하지 않고 제어부(150)를 주체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 공간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차량이 특정 건물에 진입하거나 특정 건물의 주차장에 진입하였음이 감지되면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자동 실행할 수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감지되면,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차량이 진입하거나 진입하고자 하는 주차장의 주차가능공간 상태요청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해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로 전송한다(S310). 이때,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클라이언트(100)의 메모리(110)에는 차량이 진입하거나 진입하고자 하는 주차장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주차장의 층 개수, 주차 가능 대수, 주차 공간의 위치, 주차장의 도면 등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주차가능공간이란, 주차장에서 차량 한 대를 주차할 수 있도록 구획된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주차가능공간 상태확인요청이 수신되면, 주차장의 현재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상태확인요청신호를 주차장 서버(300)에 전송한다(S320).
이에 따라, 주차장 서버(300)는 주차장의 현재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를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에 전송하고(S322),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이를 그대로 또는 적어도 일부 가공하여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한다(S324). 여기서, 현재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란, 주차장의 층 별로 남아있는 주차가능공간의 개수, 위치, 예약된 주차 공간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현재 주차가 가능한 복수의 주차가능공간 중에서 차량을 주차하고자 하는 주차가능공간을 선택하는 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해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로 전송한다(S330). 구체적으로,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로부터 현재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통해 해당 정보를 출력하고, 복수의 주차가능공간 중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가 특정 주차가능공간을 선택하는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로 전송한다.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특정 주차가능공간을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선택된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상태확인요청 신호를 주차장 서버(300)에 전송한다(S340). 이는 클라이언트(100)와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와 주차장 서버(300)간 신호를 주고받는 사이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이용 현황이 달라져있는지 확인하는 절차이며,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 요청을 하기 위한 절차를 포함할 수도 있다.
주차장 서버(300)는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의 현재로서 이용 가능한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에 전송하며(S342), 실시예에 따라,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에게 예약되었음을 확인하는 정보도 함께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의 예약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350).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의 이용 가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클라이언트(100)에 전송한다(S344).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이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에게 예약되었음을 확인하는 정보도 클라이언트(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단계(S322)에서 주차장 서버(300)로부터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후,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특정 주차가능공간을 선택하여, 전체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와 함께 상기 선택된 특정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를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전체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가 클라이언트(100)로 전송되고 그 이후 소정의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가 클라이언트(100)로 전송될 수도 있고, 전체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가 실질적으로 동시에 클라이언트(1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즉, 단계들(S330~S432)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되거나 다른 단계로 대체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클라이언트(100)의 실내 측위를 통해 차량의 실내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100)의 실내 측위는 반드시 단계(S344) 이후에 수행되는 것은 아니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 임의의 시간 간격에 따라 또는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파악된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까지의 최단 경로를 생성한다(S360). 메모리(120)는 BFS(breadth-first search), DFS(depth-first search) 등의 경로 생성 알고리즘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생성된 최단 경로를 따라, 실내 측위를 통해 파악된 차량의 위치에서부터 특정 주차가능공간으로 도달할 때까지 실내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S370).
상술한 클라이언트(100)의 각 기능 및 클라이언트(100)와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 간의 데이터 송수신 등은 클라이언트(100)에 설치된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 공간을 안내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과 관련하여 설명한 것과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현재 주차가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가 수신된 경우,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에게 알맞은 주차가능공간 추천요청 신호를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에 전송한다(S410). 주차가능공간 추천요청 신호는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의 추천 요청에 의한 것일 수도 있고,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에 의해 기 저장된 추천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생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주차가능공간 상태확인요청 신호를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로 전송할 때(S310), 주차가능공간 추천요청 신호를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주차가능공간 추천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클라이언트(100)와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와 주차장 서버(300)간 신호를 주고받는 사이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이용 현황이 달라져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주차가능공간 상태확인요청 신호를 주차장 서버(300)로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주차장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340, S342).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기 저장된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차량의 차주)가 선호하는 주차가능공간 타입에 대한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에 알맞은 어느 하나의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추천 정보를 생성하고(S420), 생성된 정보를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할 수 있다(S440). 여기서, 프로파일 정보란, 주차장의 차량 입구와 가까운 주차가능공간을 선호하는지 여부, 주차장의 차량 출구와 가까운 주차가능공간을 선호하는지 여부, 주차장의 보행자 입구(또는 출구)와 가까운 주차가능공간을 선호하는지 여부, 폭이 넓은 주차가능공간을 선호하는지 여부, 현재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가능공간을 선호하는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파일 정보는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 사용자의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사용 히스토리 등을 이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추천하는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를 주차장 서버(300)와 클라이언트(100)에 각각 전송한다(S430, S440). 여기서, 추천하는 주차 가능 공간에 대한 정보는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주차장 내 층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추천하는 주차가능공간이 한 개인 경우, 상기 주차가능공간을 예약하기 위한 신호를 주차장 서버(300)에 자동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100)에서 상기 추천된 주차가능공간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선택메뉴를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추천된 주차가능공간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의 주차가능공간 중 하나를 선택하여 예약하기 위한 예약선택메뉴를 사용자가 선택한 경우, 예약선택메뉴의 선택에 대응하는 신호가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고,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예약선택메뉴의 선택에 대응하는 주차가능공간을 예약하기 위한 신호를 주차장 서버(3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추천된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예약을 수행하고(S350), 클라이언트(100)는 최단경로를 생성하고(S360), 실내 내비게이션 기능을 제공한다(S37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의 특정 주차가능공간을 예약한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주차장 서버(300)는 사용자가 복수의 주차가능공간 중 특정 주차가능공간을 선택하거나, 특정 주차가능공간이 추천되거나, 복수의 추천된 주차가능공간 중 사용자가 특정 주차가능공간을 선택한 경우, 특정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예약을 수행할 수 있다.
주차장 서버(300)는 예약된 특정 주차가능공간에 위치한 표시부에 예약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예약 알림 정보에는 표시부를 물리적으로 및/또는 시각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주차가능공간에 위치한 표시부는 주차가능공간에 대응하여 위치한 램프(510) 및 주차가능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된 주차 방지대(520)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주차장 서버(300)는 특정 주차가능공간이 예약되면, 특정 주차가능공간에 위치한 램프(510)가 빈 자리임을 나타내는 초록색에서 예약된 자리임을 나타내는 노란색으로 변경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주차장 서버(300)는 특정 주차가능공간이 예약되면, 특정 주차가능공간의 바닥면에 눕혀져서 설치된 주차 방지대(520)가 세워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다른 차량의 차주들은 해당 주차가능공간이 예약되어 있는 자리임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이 실행화면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600)을 디스플레이부(130)에 디스플레이한다.
실행 화면(600)은 차량이 진입하거나 진입하고자 하는 주차장 내부의 도면을 포함하며, 주차장에서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주차가능공간(620)에 대한 정보가 시각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주차장이 여러 층으로 이루어진 경우 실행 화면(600)을 통해 각 층 별 주차장 내부의 도면과 주차가능공간(620)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최단경로를 제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특정 주차가능공간(710)이 선택된 경우, 주차장 내에서 클라이언트(100)의 현재 위치(즉, 차량의 현재 위치)(720)에서부터 특정 주차가능공간(710)까지의 최단 경로를 생성하고, 생성된 최단 경로에 대한 정보(730)를 실행 화면(600)에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의 사용자는 안내 시작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최단 경로를 통한 실내 내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또는, 클라이언트(100)가 비콘 신호를 인식하여 자동으로 최단 경로를 통한 실내 내비게이션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최단경로를 제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7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실행 화면(600)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최단 경로에 대한 정보(730)는 차량의 위치(720)가 달라짐에 따라 또는 선택된 특정 주차가능공간(710)의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연동하여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실내 측위를 통해 차량이 현재 위치하는 주차장 내 층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차량의 현재 위치(720)에서부터 특정 주차가능공간(710)까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차량이 특정 주차가능공간(710)에 도달할 때까지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및/또는 청각적으로 경로를 실시간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변화된 상황에 따라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새로운 경로를 제시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또는 임의의 시간 간격 마다, 또는 실시간으로, 주차장 서버(300)로부터 현재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클라이언트(100)와 공유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주차장에 타 차량들이 한꺼번에 몰림으로써 주차가능공간의 상황 변화가 심한 경우에도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장의 현재 상황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고, 특정 주차가능공간이 목적지로 이미 설정된 경우라 하더라도 상황에 따라 다른 주차가능공간으로 목적지를 적절하게 대체하여 경로 안내를 할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내에서 차량이 위치하는 층을 구분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주차장의 여러 층 중에서 차량이 현재 위치하는 층의 주차장 내부 도면(1010) 또는 주차장의 여러 층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층의 주차장 내부 도면(1010)을 실행 화면(6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층선택부(700)를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층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좌우로 터치한 상태에서 슬라이딩하여 층선택부(700)의 화면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고, 특정 층을 터치(클릭)하여 해당 층의 주차장 내부 도면(1010)을 실행 화면(600)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한다.
그리고,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차량의 현재 위치가 다른 층으로 이동하였음이 감지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다른 층이 선택된 경우, 해당 층의 주차장 내부 도면(1020)을 실행 화면(6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실내 측위를 통해 차량이 현재 위치하는 층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주차장에 설치된 비콘 송신기로부터 전송되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이 현재 위치하는 층을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차장에 설치된 복수의 비콘 송신기로부터 송신되는 비콘 신호에는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메이저ID(Major ID), 마이너ID(Minor ID),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가 있으며, 그 중 같은 지역 내의 비콘 송신기를 식별하기 위한 ID 값을 구성하는 특정 자리에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비콘 송신기에 동일한 숫자를 할당함으로써, 차량이 현재 위치하는 층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일례로, 마이너ID 또는 메이저ID 또는 UUID는 세 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백의 자리에는 층 별로 고유 숫자를 할당하고(3층은 백의 자리를 1로 설정, 4층은 백의 자리를 2로 설정, 5층은 백의 자리를 3으로 설정 등)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에는 비콘 송신기 별로 고유의 숫자를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복수의 비콘 송신기로부터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로 그 값을 넘겨준다. 그 중 마이너ID 또는 메이저ID 또는 UUID 의 백의 자리에 3이라는 숫자를 가진 비콘 신호의 개수가 가장 많다면 현재 차량이 위치하는 층을 5층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의 층 내에서 차량의 방향 및 방향 전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가속도 센서(142)와 자이로 센서(144)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즉, 차량)가 향하는 방향과 각도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자이로 센서(144)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의 자세를 파악하고, 클라이언트(100)의 배면이 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차량의 방향과 각도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의 방향과 각도 변화의 기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최초 주차장 입구를 들어올 때에 방위 정보를 받아오고 이를 기준으로 이용할 수 있다. 주차장 입구에서의 차량 진행 방향과 위치는 항상 동일하므로 입구의 비콘 신호를 인식할 때에 일정한 값을 방위 정보로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의 방향과 각도 변화에 대한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콘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를 함께 이용하여 차량의 실내 측위의 정확성을 높일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비콘 신호 없이 센서부(140)의 센싱 데이터만으로 차량의 실내 측위가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이 각 층의 주차장에 진입한 경우 차량 입구의 위치가 정해져 있으므로 차량의 위치(1110)는 동쪽을 향하는 방향에 있고 각도는 90˚ 임을 알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이 때 차량의 위치(1110)를 기준으로 센서부(140)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클라이언트(100)의 가속도와 각속도 및 방위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차량의 방향과 각도 변화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의 층 내에서 차량의 실내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주차장 내 임의의 층의 주차장 내부 도면(1200)이 도시되어 있다. 각 층의 주차장 내부에는 복수의 비콘 송신기(121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2에서 세 자리 숫자로 표현된 빨간색 숫자는 비콘 송신기(1210)가 설치된 위치와 대응되고 0-22까지의 파란색 숫자는 인접한 두 비콘 사이의 공간(1220)을 가리킨다. 일례로, 빨간색 숫자는 각 비콘 송신기(1210)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마이너ID일 수 있다. 마이너ID는 세자리 숫자로 이루어지며, 백의 자리는 층을 식별하기 위한 것이고 십의 자리와 일의 자리는 각 비콘 송신기를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도 12를 참조하면, 해당 층의 주차장에는 20개의 비콘 송신기(백의 자리를 제외한 1번~20번 비콘 송신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례로, 비콘 송신기(1210)는 차량의 방향이 전환되는 지점(예를 들어 코너에 위치한 1번 비콘 송신기), 삼거리나 사거리와 같이 이동 방향이 나누어지는 지점(예를 들어 6번 비콘 송신기), 직선 이동 거리에서 인접한 두 비콘 사이의 거리가 일정 기준 이상일 경우 측위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그 사이 지점(예를 들어, 2번과 5번 사이에 있는 4번 비콘 송신기)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원하는 실내 측위의 정확도에 적합하게 비콘 신호 송신기의 설치 위치는 달라질 수도 있다.
측위에는 직선에서의 이동, 코너에서의 회전, 삼거리에서의 이동 및 회전, 사거리에서의 이동 및 회전이 있으나 사거리의 경우 삼거리에서의 이동 및 회전과 동일한 내용을 포함므로 삼거리에 대한 설명으로 해결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re_pos와 Line 변수를 사용하며, Pre_pos 변수는 차량이 현재 향하는 방향에 위치한 비콘 송신기의 번호(비콘 ID에서 특정 위치의 숫자)를 나타내고, Line 변수는 인접한 두 비콘 사이의 공간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실내 측위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차량 입구와 삼거리의 경우는 각각의 Line 변수를 할당해 주었다(예를 들어, Line=0, Line=6, Line=12106, Line=12).
클라이언트(100)의 메모리(120)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시 또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후 업데이트 과정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정 주차장의 내부 도면 정보, 주차공간 정보, 비콘 송신기의 정보, Line 변수의 정보 등을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하여 저장해둘 수 있다. 이때, 비콘 송신기의 정보는 비콘 송신기의 ID 정보, 각 층 내에서 비콘 송신기의 설치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13은 도 12와 관련하여 상술한 내용을 바탕으로 주차장 입구에서 차량의 실내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의 (a)를 참조하면, 차량이 주차장에 진입한 경우 차량은 주차장 입구(1310)를 통해서만 진입할 수 있으므로, 주차장 입구(1310)에서 차량의 위치는 Pre_pos=5, Line=0, Compass=1(동), 각도=90˚로 설정된다. 즉, 차량의 전방이 동쪽을 향하고 있으며, 5번 비콘 송신기를 향하는 방향이고 차량의 현재 위치는 Line=0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도 13의 (a)와 같은 차량의 위치에서 차량의 방향(즉, 클라이언트(100)의 방향)이 변하는지 또는 5번 비콘 송신기와의 거리가 가까워졌다가 차량 방향의 변화 없이 5번 비콘 송신기와의 거리가 멀어졌는지 등을 파악하여 차량의 다음 경로, 다음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비콘 신호의 세기에 대응하는 RSSI를 이용하여 차량과 비콘 송신기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도 13의 (b)를 참조하면, 차량이 주차장의 입구(1310)를 지나 방향의 전환 없이 직진하면 차량은 5번 비콘 송신기에 더욱 가까워진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5번 비콘 송신기에서 송신된 비콘 신호에 포함된 RSSI 값을 이용하여 계산한 거리가 기 설정된 값보다 낮아지는 경우 차량이 5번 비콘 송신기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고 차량의 위치를 5번 비콘 송신기의 설치 위치로 대체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표시되는 내 차량의 표시(1320)를 5번 비콘 송신기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5번 비콘 송신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삼거리에서 차량의 위치가 어느 쪽으로 이동하는지 판단해야 한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차량의 방위(Compass)가 변하지 않고 5번 비콘 송신기로부터의 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커진다면 5번 비콘 송신기에서 10번 비콘 송신기로 향하는 중임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Pre-pos 변수의 값은 10이 되고 Line 변수의 값은 6이 된다.
또는,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차량의 방위(Compass)가 변경된 경우 차량이 방향을 전환하여 4번 비콘 송신기를 향해 이동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Pre_pos 변수의 값은 4이고 Line 변수의 값은 4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내 직선 거리에서 차량의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14를 참조하여 차량이 직선 경로에 있는 인접한 두 개의 비콘 송신기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 차량의 위치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차량이 인접한 두 개의 비콘 송신기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이동하는 경우, 인접한 두 개의 비콘 송신기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비콘 신호에 포함된 RSSI에 기초하여 각 비콘 송신기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측정(result1, result2)하고, 주차장에서 비콘 송신기가 설치된 높이와 상기 측정 거리를 이용하여 각 비콘 송신기의 바닥 투영점으로부터 차량 사이의 거리를 계산(계산 거리1, 계산 거리 2)하고, 두 계산 거리 간의 비율을 이용하여 위 인접한 두 비콘 송신기 사이에서 차량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번 비콘 송신기와의 계산 거리와 2번 비콘 송신기와의 계산 거리의 비율이 2:3인 경우, 차량은 1번 비콘 송신기와 2번 비콘 송신기와의 사이에서 2:3의 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5번 비콘 송신기와 4번 비콘 송신기 사이를 이동하는 차량의 현재 위치를 측위하고, 차량과 4번 비콘 송신기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차량의 현재 위치를 4번 비콘 송신기의 위치로 대체하여 업데이트한다. 이후에는, 4번 비콘 송신기와 3번 비콘 송신기의 사이에서 이동하는 차량의 위치를 도 14와 관련하여 상술한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내에서 차량의 주행 방향이 바뀌는 코너 부분에서 차량의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2번 비콘 송신기에서 1번 비콘 송신기를 향하는 방향으로 차량이 이동하는 경우 차량의 방위(Compass)는 북쪽이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1번 비콘 송신기가 위치하는 코너 부분에서 차량의 방위가 변하면 차량이 방향을 전환하였음을 알 수 있고, 1번 비콘 송신기와 6번 비콘 송신기 사이에서 차량의 측위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내에서 차량이 삼거리를 마주하게 되는 경우 차량의 측위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거리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측위를 수행한다.
도 17의 (a)를 참조하면, 차량이 1번 비콘 송신기에서 6번 비콘 송신기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6번 비콘 송신기가 위치하는 지점은 삼거리에 해당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파란색 숫자는 인접한 두 비콘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고, 삼거리에서는 삼거리 지점에 대응하여 별도의 파란색 숫자가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삼거리 지점이 대응하여 할당된 파란색 숫자는 공간이라기 보다는 일 지점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6번 비콘 송신기를 향해 차량이 진행하는 상황에서 6번 비콘 송신기와의 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하로 계산되면 차량이 6번 비콘 송신기와 매우 가까워졌음을 인식할 수 있고, 이때 Line 변수의 값을 5에서 1175로 변경하고 차량의 위치(표시)를 1175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후,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차량의 방위(Compass)가 변경되지 않고 6번 비콘 송신기와의 계산 거리가 기 설정된 값 이상으로 증가하면 차량이 방향을 전환하지 않고 직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Line 변수의 값을 1175에서 11로 변경해준다.
이와 달리,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Line 변수의 값이 5나 1175인 상황에서 차량의 방위(Compass)가 틀어지면 이는 차량이 7번 비콘 송신기의 방향으로 방향을 전환한 것이므로 Line 변수의 값을 5나 1175에서 7로 변경해줄 수 있다.
도 17의 (b)를 참조하면, 차량이 7번 비콘 송신기에서 6번 비콘 송신기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6번 비콘 송신기가 위치하는 지점은 삼거리에 해당한다. 이 경우에는 차량이 직진을 할 수 없으므로 1175의 Line 변수가 반드시 이용되지는 않아도 된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차량의 방위(Compass)가 어떤 값으로 바뀌는지에 따라 차량이 좌회전을 하여 1번 비콘 송신기를 향해 이동하는지 아니면 우회전을 하여 11번 비콘 송신기를 향해 이동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7은 삼거리 지점에 대응하는 Line 변수를 이용하여 차량의 측위를 수행하는 일례를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접한 두 비콘 송신기 사이의 공간을 나타내는 Line 변수와 비콘 송신기의 Pre_pos 변수를 이용하여 삼거리에서 차량의 측위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의 주차 위치를 저장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실내 측위 방법을 이용하여 차량이 주차된 위치의 실내 측위 데이터를 알 수 있고, 주차 위치에 대응하는 실내 측위 데이터를 주차장에 마련된 주차 공간에 할당된 고유 정보(1810)와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차량의 차주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이언트(100)에서 실행하여 주차 위치(1810)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클라이언트(100)의 제어부(150)는 클라이언트(100)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차량의 주차 위치(1810)까지 보행자를 위한 경로 안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주차 비용을 자동으로 결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이용자는 주차비 결제를 온라인 결제를 통해 자동으로 납부할 수도 있다.
서버(1900)는 자동 번호판 인식 또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특정 차량의 입출을 인식하고, 기 설정된 기준에 따른 주차 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900)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1900)일 수도 있고, 주차장 서버(300)일 수도 있고,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1900) 또는 주차장 서버(300)와 제휴된 주차비용 온라인 결제를 위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서버(1900)와 관련하여 금융 정보를 미리 저장해둘 수 있으며, 기 저장된 금융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결제 서버(1910)를 통해 주차 요금을 납부할 수 있다. 온라인 결제 서버(1910)를 통한 주차 요금 납부는 주차장 이용 시마다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기 설정된 기간 마다 또는 기 설정된 요금 누적 시 마다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주차장을 빠져나갈 때 주차 요금 정산을 위하여 줄이 길게 늘어서거나 시간이 지연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주차장 내 주차 가능 공간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주차 가능 공간을 추천하거나 예약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차량의 실내 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현재 위치로부터 목적하는 주차 가능 공간까지의 최단거리 안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클라이언트
200: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
300: 주차장 서버

Claims (11)

  1.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차량이 진입하는 주차장의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상태확인요청을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주차장 내 주차가능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가능공간들 중 특정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주차장 내 층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의 실내 측위를 통해 상기 차량의 위치에서부터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까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주차가능공간의 추천을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은,
    상기 차량의 차주가 선호하는 주차가능공간 타입에 관한 기 저장된 프로파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추천된 하나 이상의 주차가능공간을 제시하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상기 주차장이 있는 건물에 진입하였음이 감지된 경우,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에 상기 주차장 내 주차가능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실내 측위를 통해 상기 차량이 현재 위치하는 주차장 내 층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차량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상기 특정 주차가능공간까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실내 측위는 상기 차량과 관련된 클라이언트에 포함된 가속도 센서의 센싱 정보, 상기 클라이언트에 포함된 자이로 센서의 센싱 정보, 상기 클라이언트에 포함된 지자기 센서의 센싱 정보 및 상기 주차장에 설치된 비콘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비콘 송신기로부터 수신되는 비콘 신호에 포함된 ID를 구성하는 특정 자리의 숫자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이 현재 위치하는 층 정보를 판단하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의 도면 정보, 상기 주차장 내 비콘 송신기의 설치 위치 및 각 비콘 송신기의 ID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차량의 실내 측위를 통해, 상기 차량이 주차장의 입구에 위치하는지 여부, 주차장의 출구에 위치하는지 여부, 특정 비콘 송신기와 대응하여 위치하는지 여부, 인접한 두 비콘 송신기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는지 여부 및 상기 차량의 방향 전환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차량이 인접한 두 비콘 송신기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이동하는 경우, 비콘 신호에 포함된 RSSI에 기초하여 각 비콘 송신기와 차량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주차장에서 비콘 송신기가 설치된 높이와 상기 측정된 거리를 이용하여 각 비콘 송신기의 바닥 투영점으로부터 차량 사이의 거리를 계산하고, 두 계산 거리 간의 비율을 이용하여 상기 인접한 두 비콘 송신기 사이에서 차량의 위치를 판단하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는, 상기 차량이 특정 비콘 송신기를 향해 이동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 상기 특정 비콘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비콘 신호 내 RSSI를 이용하여 측정된 상기 특정 비콘 송신기와 상기 차량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위치를 상기 특정 비콘 송신기의 설치 위치로 대체하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추천된 적어도 하나의 주차가능공간 중 특정주차공간을 예약하기 위한 예약선택신호를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11.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메모리;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서버와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부;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차량이 진입하는 주차장의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상태확인요청을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서버로부터 주차장 내 주차가능공간들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의 서버로부터 상기 주차가능공간들 중 특정 주차가능공간에 대한 주차장 내 층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차량의 실내 측위를 통해 상기 차량의 위치에서부터 추천 주차가능공간까지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장치.
KR1020170182715A 2017-12-28 2017-12-28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및 장치 KR102018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715A KR102018517B1 (ko) 2017-12-28 2017-12-28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715A KR102018517B1 (ko) 2017-12-28 2017-12-28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327A true KR20190080327A (ko) 2019-07-08
KR102018517B1 KR102018517B1 (ko) 2019-11-04

Family

ID=67256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715A KR102018517B1 (ko) 2017-12-28 2017-12-28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51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66622A (zh) * 2019-10-23 2020-03-06 青岛海信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地锁控制的车位预约、引导的方法及装置
KR102235486B1 (ko) * 2019-10-11 2021-04-01 김범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별 주차위치 알림 방법
KR20210035500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블루인텔리전스 주차장 자동결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157115A (ko) * 2021-05-20 2022-11-29 박지만 공공 도로면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230010312A (ko) 2021-07-12 2023-01-19 조승현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주차장 이용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6839A (zh) * 2019-12-13 2020-04-03 斑马网络技术有限公司 路边临时停车场的推荐方法、装置及服务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372A (ko) 2004-07-16 2006-01-19 (주)한국공간정보통신 주차장안내시스템
KR20110105124A (ko) * 2010-03-18 2011-09-26 주식회사 제노프릭스 주차 안내 및 주차장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
KR20120018005A (ko) * 2010-08-20 2012-0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차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장치, 주차 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KR20160110809A (ko) * 2015-03-13 2016-09-22 (주)파크인서울 최적 경로 안내 주차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2006A (ko) * 2016-01-05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위치 추정 방법 및 장치
KR20170117661A (ko) * 2016-04-14 2017-10-24 이재훈 개인 맞춤형 주차 안내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372A (ko) 2004-07-16 2006-01-19 (주)한국공간정보통신 주차장안내시스템
KR20110105124A (ko) * 2010-03-18 2011-09-26 주식회사 제노프릭스 주차 안내 및 주차장 관리를 위한 통합 시스템
KR20120018005A (ko) * 2010-08-20 2012-02-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차 관리 서비스 방법 및 장치, 주차 관리 서비스를 위한 클라이언트 단말 및 서버
KR20160110809A (ko) * 2015-03-13 2016-09-22 (주)파크인서울 최적 경로 안내 주차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82006A (ko) * 2016-01-05 201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의 위치 추정 방법 및 장치
KR20170117661A (ko) * 2016-04-14 2017-10-24 이재훈 개인 맞춤형 주차 안내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5500A (ko) 2019-09-24 2021-04-01 주식회사 블루인텔리전스 주차장 자동결제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235486B1 (ko) * 2019-10-11 2021-04-01 김범준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별 주차위치 알림 방법
CN110866622A (zh) * 2019-10-23 2020-03-06 青岛海信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地锁控制的车位预约、引导的方法及装置
KR20220157115A (ko) * 2021-05-20 2022-11-29 박지만 공공 도로면의 주차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230010312A (ko) 2021-07-12 2023-01-19 조승현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주차장 이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517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8517B1 (ko) 주차장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주차 공간 안내 방법 및 장치
US10269250B2 (en) Method for coordinating the traffic of motor vehicles in a parking environment
KR101641326B1 (ko) 주차관제 시스템
US10795359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and autonomous parking through navigation apparatus
CN107883950B (zh) 停车场导航方法、装置和系统
JP2006510904A (ja) 測量用のシステム及びそれを使用する方法
KR102471001B1 (ko) Gps 음영 지역에서의 차량 길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22605B1 (ko) 주차장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4402318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160142216A (ko)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위치 안내 시스템 및 방법
US11492013B2 (en) Vehicle fleet management having a hierarchy of priority factors
US10467894B2 (en) Method for finding a parked vehicle in a parking structure, and parking structure
KR102452504B1 (ko) 단말 및 이의 위치 측정 방법
JP2006234418A (ja) 車両位置案内装置及びシステム、並びに自動遠隔操作装置及びシステム
KR20150065127A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주차장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44616A (ko) 자율주행차량을 위한 주차장 운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8717801A (zh) 停车管理系统、停车方法以及停车管理方法
KR101576530B1 (ko) 주차위치 기록방법 및 시스템
US20180211531A1 (en) Concept for locating a body in the form of an object in a parking lot
CN113015886A (zh) 街外区域中的地图的创建和更新
KR102361582B1 (ko) 자동 주차 시스템
KR102390752B1 (ko) 주차위치 안내 시스템
KR20120140401A (ko) 경로탐색방법, 이를 수행하는 전자기기 및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1560984B1 (ko) 자동 주차 시스템
KR20190063708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