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119A -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119A
KR20190080119A KR1020170182363A KR20170182363A KR20190080119A KR 20190080119 A KR20190080119 A KR 20190080119A KR 1020170182363 A KR1020170182363 A KR 1020170182363A KR 20170182363 A KR20170182363 A KR 20170182363A KR 20190080119 A KR20190080119 A KR 20190080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remote controller
image
wearable display
sourc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2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0119A/ko
Publication of KR20190080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1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Abstract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르면,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차원 입체 영상 및 360도 VR 영상을 감상하는 환경에서 영상과 함께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상 공간을 직관적으로 활용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VR(Vritual Reality)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표시부;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명령 송신부;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가상 리모컨 및 상기 VR 영상을 상기 영상 표시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상 리모컨을 통해 상기 입력 명령을 상기 제어 명령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명령 송신부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WEARABL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발명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입체 영상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하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되거나 또는 저장된 영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이며, 가정이나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서버용 컴퓨터 등에 연결된 모니터 장치나, 휴대용 컴퓨터 장치나, 내비게이션 단말 장치나, 일반 텔레비전 장치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장치나, 스마트 폰, 태블릿 피씨, 개인용 디지털 보조 장치(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셀룰러 폰 등의 휴대용 단말 장치나, 산업 현장에서 광고나 영화 같은 화상을 재생하기 위해 이용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나, 또는 이외 다양한 종류의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한 방송국, 인터넷 서버, 영상 재생 장치, 게임 장치 및/또는 휴대용 단말기 등 다양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로부터 영상과 음향을 복원(또는 디코딩)하고, 복원된 영상과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자의 시야에 고정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 HMD)가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연구와 함께, 사용자에게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3차원 입체 영상 및 360도 VR (Virtual Reality) 영상 등의 가상 현실 컨텐츠에 대한 연구가 함께 진행되고 있다.
다만,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술의 특성상, 사용자의 시야에 고정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착용하여 다른 동작이나 입력 명령을 수행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르면,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차원 입체 영상 및 360도 VR 영상을 감상하는 환경에서 영상과 함께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상 공간을 직관적으로 활용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VR(Vritual Reality)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표시부;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명령 송신부;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가상 리모컨 및 상기 VR 영상을 상기 영상 표시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상 리모컨을 통해 상기 입력 명령을 상기 제어 명령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명령 송신부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명령을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생성된 가상 리모컨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명령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리모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리모컨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손잡이 방향에 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리모컨을 표시하는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입력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입력 명령에 기초하여 포인터, 레이저 포인터, 손가락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세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세 감지부가 전달하는 상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입력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영역에 나타나도록 상기 영상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VR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전달하는 은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에서 상기 가상 리모컨이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 표시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 송신부가 상기 제어 명령을 IR 신호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입력 명령 및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가상 리모컨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VR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가상 리모컨을 통해 상기 입력 명령을 상기 제어 명령으로 생성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표시하는 것은, 상기 입력 명령을 기초로 상기 생성된 가상 리모컨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입력 명령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리모컨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손잡이 방향에 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것은, 상기 리모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리모컨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리모컨을 표시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하는 것은,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것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입력 명령에 기초하여 포인터, 레이저 포인터, 손가락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하는 것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것은, 상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영역에 나타나도록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하는 것은, 상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VR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가상 현실을 제공하기 위한 차원 입체 영상 및 360도 VR 영상을 감상하는 환경에서 영상과 함께 새로운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가상 공간을 직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유저 인터페이스를 변경시킴으로써, 편의성을 더욱 향상시킨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복수 의 다른 소스 디바이스와 연동되어 다양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호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소스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리모컨을 표시하고, 입력 명령을 인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리모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리모컨의 표시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 제어 흐름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소스 디바이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10)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내장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이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의 신체에 착용되어, 사용자(U)의 신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의 머리 또는 안면에 착용되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ead Mount Display, HMD),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es) 또는 스마트 헬멧(smart helmet) 등 다양한 제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서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가 설명되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의 신체에 착용되어 영상 신호를 시각적으로 재현(reproduce)하는 장치라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1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며,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비디오와 오디오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비디오와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10)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생 장치,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셋탑 박스)로부터 텔레비전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컨텐츠 스트리밍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 스트리밍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개시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기초하여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의 신체에 착용됨으로 인하여 3차원 입체 영상 및/또는 360도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체 영상 및/또는 360도 영상을 모두 VR 영상으로 설명한다.
소스 디바이스(10)는 VR 영상의 소스에 해당하는 영상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소스 디바이스(10)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영상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한다.
도 1에서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10)는 광디스크(1)를 재생하는 DVD 재생 장치 또는 BluRay플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소스 디바이스(10)는 광디스크에서만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이 아니라, OTT(Over The Top)와 같이 네트워크 방식으로 영상 데이터를 제공받는 모든 영상 제공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사용자(U)는 도 1에 도시된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를 통해서 소스 디바이스(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착용한 사용자(U)는 소스 리모트 컨트롤러(5)를 제어하기 위한 시야가 가려진 상태이고,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트 컨트롤러(112a)를 쥐고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는 VR 영상을 시청하는 도중,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를 조작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부품들을 수용하는 본체(101)와, 본체(101)의 일면에 마련되어 영상(I)을 표시하는 스크린(102)과, 본체(101)를 지지하고 사용자(U)의 신체에 안착되는 안착 부재(103)와, 본체(101) 및 안착 부재(103)를 사용자(U)의 신체에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104)를 포함한다.
본체(101)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본체(101)의 내부에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I)과 음향을 출력 위한 부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체(101)가 평평한 판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본체(101)의 형상이 도 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101)는 예를 들어 좌우 양단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중심부가 오목하도록 휘어진 형상일 수 있다.
스크린(102)은 본체(101)의 전면에 형성되며, 스크린(102)에는 시각 정보인 영상(I)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린(102)에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표시될 수 있으며, 2차원 평면 영상 또는 VR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스크린(102)는 3차원 입체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우안 스크린과 좌안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우안 스크린과 좌안 스크린은 각각 동일한 오브젝트를 서로 다른 위치(사람의 좌측 눈의 위치와 우측 눈의 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우안 스크린(102R)과 좌안 스크린(102L)은 사람의 시차만큼 차이가 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으며, 우안 스크린(102R)에 표시되는 영상과 좌안 스크린(102L)에 표시된 영상 사이의 차이로 인하여 사용자(U)는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우안 스크린(102R)과 좌안 스크린(102L)은 각각 별도의 디스플레이 패널로 구현될 수 있으나, 우안 스크린(102R)과 좌안 스크린(102L)은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구획될 수 있다
스크린(102)에는 복수의 픽셀(P)가 형성되며, 스크린(102)에 표시되는 영상(I)은 복수의 픽셀(P)로부터 출사된 광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픽셀(P)가 방출하는 광이 모자이크(mosaic)와 같이 조합됨으로써 스크린(102) 상에 하나의 영상(I)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픽셀(P) 각각은 다양한 밝기 및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다양한 밝기의 광을 방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픽셀(P) 각각은 직접 광을 방출할 수 있는 구성(예를 들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을 포함하거나 백 라이트 유닛 등에 의하여 방출된 광을 투과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구성(예를 들어, 액정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색상의 광을 방출하기 위하여, 복수의 픽셀(P) 각각은 서브 픽셀들(PR, PG, PB)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픽셀들(PR, PG, PB)은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적색 서브 픽셀(PR)과,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녹색 서브 픽셀(PG)과,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청색 서브 픽셀(PB)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서브 픽셀(PR)은 파장이 대략 620nm (nanometer, 10억분의 1미터)에서 750nm까지의 적색 광을 방출할 수 있고, 녹색 서브 픽셀(PG)은 파장이 대략 495nm에서 570nm까지의 녹색 광을 방출할 수 있으며, 청색 서브 픽셀(PB)은 파장이 대략 450nm에서 495nm까지의 청색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적색 서브 픽셀(PR)의 적색 광, 녹색 서브 픽셀(PG)의 녹색 광 및 청색 서브 픽셀(PB)의 청색 광의 조합에 의하여, 복수의 픽셀(P) 각각은 다양한 밝기와 다양한 색상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도 2에는 스크린(102)이 평평한 판 형상으로 도시되었으나, 스크린(102)의 형상이 도 2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크린(102)은 예를 들어 좌우 양단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중심부가 오목하도록 휘어진 형상일 수 있다.
안착 부재(103)는 본체(101)의 전방에 부착될 수 있으며, 본체(101)를 사용자(U)의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안착 부재(103)는 사용자(U)의 신체와 본체(101) 사이에 마련되며, 사용자(U)의 신체에 안착될 수 있다.
안착 부재(103)는 사용자(U)의 신체에 안착되는 곡면부(103a)를 포함할 수 있다. 곡면부(103a)는 사용자(U)의 신체 예를 들어 사용자(U)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U)의 신체와 밀착되는 부분이 최대화되도록 곡면부(103a)는 외력에 의하여 수축 및 확장이 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U)의 안면에 밀착될 때 곡면부(103a)의 형태는 사용자(U)의 안면의 형태에 따라 변화할 수 있으며, 사용자(U)의 안면으로부터 분리되면 곡면부(103a)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안착 부재(103)는 외광을 차단하고 사용자(U)의 시야를 스크린(102)으로 제한할 수 있다.
안착 부재(103)의 중심에는 사용자(U)가 스크린(102)을 볼 수 있도록 중공(103b)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U)는 안착 부재(103)의 중공(103b)을 통하여 스크린(102)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가 스크린(102)에 집중할 수 있도록, 안착 부재(103)는 외광을 차단하고 사용자(U)의 시야를 스크린(102)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안착 부재(103)가 사용자(U)의 안면에 안착됨으로 인하여 본체(101)는 사용자(U)의 안면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사용자(U)가 이동하거나 고개를 돌려도 본체(101)의 전면에 형성된 스크린(102)은 사용자(U)의 안면에 대하여 일정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고정 부재(104)는 안착 부재(103)의 양단에 부착될 수 있으며, 본체(101) 및 안착 부재(103)를 사용자(U)의 신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부재(104)는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104)의 양단은 안착 부재(103)의 양단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104)는 외력에 의하여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한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안착 부재(103)는 사용자(U)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104)는 사용자(U)의 머리를 둘러쌀 수 있다. 고정 부재(104)의 탄성에 의하여 안착 부재(103)와 는 사용자(U)의 안면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104)는 도 2에 도시된 띠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 부재(103)와 본체(101)는 사용자(U)의 신체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그 형태가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2 이외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서 VR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10)와,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120)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세를 감지하는 자세 감지부(130)와, 컨텐츠 수신부(120)에 의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해서 수신된 입력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세서(140)와, 프로세서(140)에 의하여 처리된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150)와, 프로세서(140)에 의해서 생성되는 제어 명령을 소스 디바이스(10)로 송신하는 제어 명령 송신부(160)와 프로세서(140)에 의해서 제공되는 가상 리모컨의 생성 및 표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DB, 17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 버튼(1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 중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10)를 선택하기 위한 소스 선택 버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음향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음향 조절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튼(111)은 각각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서(140)로 전달할 수 있으며, 푸시 스위치, 터치 스위치, 다이얼, 슬라이드 스위치, 토글 스위치 등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10)는 리모트 컨트롤러(112a)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112)를 포함한다.
개시된 일 예에 따른 리모트 컨트롤러(112a)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신호 수신부(112)는 리모트 컨트롤러(112a)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 즉 리모트 컨트롤러(112a)가 전달하는 입력 명령을 프로세서(14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손목 각도 등을 통해서 리모트 콘트롤러(112a)의 각도를 조정하고, 사용자가 시청하는 VR 영상의 일 부분에 포인터, 레이저 포인터, 손가락 모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러(112a)에 마련된 입력 버튼 등을 통해서 영상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응하는 입력 명령을 전달할 수도 있다.
컨텐츠 수신부(120)는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유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선 수신 모듈(121)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10)로부터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모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수신 모듈(121)은 다양한 종류의 영상 전송 케이블을 통하여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수신 모듈(121)은 컴포넌트(component, YPbPr/RGB) 케이블 또는 컴포지트 (composite video blanking and sync, CVBS) 케이블 또는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케이블 또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케이블 또는 이더넷(Ethernet, IEEE 802.3 기술 표준) 케이블 등을 통하여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유선 수신 모듈(121)을 통하여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프레임 데이터는 한 프레임의 영상을 나타내는 비트 스트림으로써 압축되지 아니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유선 수신 모듈(121)는 영상 전송 케이블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데이터 전송률의 제한이 크지 않다. 따라서, 유선 수신 모듈(121)는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그대로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수신 모듈(122)은 다양한 무선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 모듈(122)은 와이파이(WiFi™, IEEE 802.11 기술 표준) 또는 블루투스 (Bluetooth™, IEEE 802.15.1 기술 표준) 또는 지그비(ZigBee™, IEEE 802.15.4 기술 표준)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수신 모듈(122)은 CDMA, WCDMA, GSM, LET(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수신 모듈(122)을 통하여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압축/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는 한 프레임의 영상 또는 복수의 프레임의 영상이 압축/인코딩된 비트 스트림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프레임 데이터는 H.264/MPEG-4 AVC (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Advance Vide Coding) 또는 H.265/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등의 영상 압축 표준에 의하여 압축/인코딩될 수 있다.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압축/인코딩됨으로써 압축/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는 본래의 영상 프레임 데이터보다 작은 용량(또는 크기)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수신 모듈(122)는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데이터 전송률의 제한되므로, 무선 수신 모듈(122)는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압축/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컨텐츠 수신부(120)는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프로세서(140)로 전달할 수 있다.
자세 감지부(130)는 3차원 공간에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움직임 및 자세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자세 감지부(130)는 사용자(U)가 움직이는 동안 사용자(U)의 신체에 고정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선형 이동 가속도, 선형 이동 속도, 선형 이동 변위, 선형 이동 방향, 기울어짐, 회전 이동 각속도, 회전 이동 각변위 및/또는 회전 방향(회전 이동의 축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 감지부(130)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선형 이동을 감지하는 가속도 센서(131)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이동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132)와 지구 자기장을 감지하는 자자기 센서(13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31)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선형 이동에 의한 x축 가속도, y축 가속도 및/또는 z축 가속도(3축 선형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131)는 지구 중력에 의한 가속도(중력 가속도)를 기준으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선형 이동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31)는 중력 가속도와 선형 이동 가속도의 벡터 합을 측정하고, 측정 값으로부터 선형 이동 가속도를 판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31)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선형 이동 가속도로부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선형 이동 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선행 이동 속도로부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선형 이동 변위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가속도 센서(131)는 중력 가속도의 방향 변화를 기초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세를 판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32)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이동에 의한 x축 중심의 각속도, y축 중심의 각속도 및/또는 z축 중심의 각속도(3축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132)는 회전에 의한 코리올리의 힘(Coriolis force)을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이동 각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22)는 코리올리의 힘을 측정하고, 코이올리의 힘으로부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이동 각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32)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이동 각속도로부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회전 이동 변위를 산출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33)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과하는 지구 자기장의 x축 방향 성분과 y축 방향 성분과 z축 방향 성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자기 센서(133)는 홀 효과(Hall effect)를 이용하여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통과하는 지구 자기장을 측정할 수 있다. 홀 효과는 전류가 흐르는 반도체에 전류와 직각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되는 경우 전류 및 자기장의 직각 방향으로 기전력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지자기 센서(133)는 홀 효과에 의한 기전력을 측정하고, 홀 효과에 의한 기전력으로부터 지구 자기장을 산출할 수 있다. 특히, 지자기 센서(133)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향하는 방향 즉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자세를 산출할 수 있다.
이처럼, 자세 감지부(130)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선형 이동 가속도, 선형 이동 속도, 선형 이동 변위, 선형 이동 방향, 회전 이동 각속도, 회전 이동 각변위 및/또는 회전 방향(회전 이동의 축 방향) 등 움직임에 관한 정보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어짐 등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프로세서(140)로 전달한다.
프로세서(140)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는(140)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에 따라 컨텐츠 수신부(120)가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VR 영상을 처리한 후 VR 영상을 생성하고, 후술하는 영상 표시부(151)를 통해 생성된 VR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압축/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으며, 복원된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처리하여 입체 영상을 렌더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자세 감지부(130)의 출력에 따라 입체 영상의 전부 또는 일부를 영상 표시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기본적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 이외에도 개시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부(110)가 수신한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소스 디바이스(1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영상 표시부(151)에 VR 영상을 출력하면서, 동시에 소스 디바이스(10)를 제어할 수 있는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와 유사한 모양으로 구현되는 가상 리모컨(도 5a의 210)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U)는 생성된 가상 리모컨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10)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명령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고, 프로세서(140)는 상기 입력 명령을 소스 디바이스(10)로 전달하기 위한 제어 명령으로 변환한 후, 제어 명령 송신부(160)를 통해 제어 명령을 소스 디바이스(10)로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U)가 가상 리모컨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시예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U)가 가상 리모컨을 통해 입력 명령을 전달하면, 프로세서(140)는 입력 명령의 수신 결과를 표시하기 위해서 가상 리모컨을 변경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U)가 VR 영상을 중점으로 시청하는 동안, 가상 리모컨을 사용자(U)의 시야에서 은닉시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VR 영상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다른 도면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데이터 베이스(170)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는 중에 발행하는 임시 제어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베이스(170)는 컨텐츠 수신부(120)에 의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와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입체 영상을 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170)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중에 발생하거나 입체 영상을 렌더링하는 중에 발생하는 임시 영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개시된 데이터 베이스(170)는 전술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 이외에도 사용자(U)가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인지 여부와 관련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설정 데이터 베이스(DB, 171) 및 소스 디바이스(10)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디바이스 정보 데이터 베이스(DB, 17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설정 데이터 베이스(171)는 사용자(U)가 주로 사용하는 손잡이의 방향 정보(이하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U)가 오른손잡이라는 사용자 설정 정보가 사용자 설정 데이터 베이스(171)에 저장되면, 프로세서(140)는 사용자(U)에게 표시하는 가상 리모컨을 스크린(102)의 오른편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설정 정보는 사용자(U)가 리모트 콘트롤러(112a)가 전달하는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U)가 사용자 입력부(110)를 통해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 정보 데이터 베이스(172)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스 디바이스(10)에 관한 여러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 정보 데이터 베이스(172)는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10)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 ID), 소스 디바이스(1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디지털 변환 코드 및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의 모양에 관한 정보(이하 리모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 예로,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부(11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전달하는 소스 디바이스(10)의 종류를 판단하고, 판단된 소스 디바이스(10)에 대응되는 소스 리모콘 컨트롤러(5)의 모양을 디바이스 정보 데이터 베이스(172)에서 추출한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추출된 소스 리모콘 컨트롤러(5)의 모양, 즉 리모컨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리모컨을 생성하고, 영상 데이터와 함께 영상 표시부(151)를 통해 표시한다.
한편, 데이터 베이스(170)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로 마련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미도시)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부(151)와 음향을 증폭하는 오디오 앰프(미도시)와, 증폭된 음향을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와, 주변의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하는 음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가 되는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픽셀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로부터 영상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픽셀이 출력하는 광학 신호가 조합됨으로써 VR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발광 다이오드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 LED Panel)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OLED Panel)을 등 다양한 타입의 패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음향부(152)는 오디오 앰프를 통해서 출력된 음향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피커는 오디오 앰프에 의해서 증폭된 음향 신호를 음향(음파)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는 전기적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박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박막의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생성될 수 있다. 마이크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주변 음향을 수집하고, 수집된 음향을 전기적 음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에 의하여 수집된 음향 신호는 프로세서(140)로 전달될 수 있다.
제어 명령 송신부(160)는 사용자가 소스 디바이스(10)로 전달하는 입력 명령을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 대신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U)는 가상 리모컨을 통해 입력 명령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입력부(110)는 입력 명령을 수신하고, 프로세서(140)로 입력 명령을 전달한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U)가 가상 리모컨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입력 명령을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가 수신할 입력 명령과 대응시켜, 입력 명령을 소스 디바이스(10)로 전달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환한다.
제어 명령 송신부(160)는 변환된 제어 명령을 소스 디바이스(10)로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명령 송신부(160)는 IR(infra-red Ray)를 사용하여 제어 명령을 소스 디바이스(10)로 송신하는 IR 발생부(161) 및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 명령을 소스 디바이스(10)로 송신하는 네트워크 신호 발생부(162)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0)가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와 IR 모드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IR 발생부(161)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IR 신호로 생성하고, 생성된 IR 신호를 소스 디바이스(1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디바이스 정보 데이터 베이스(172)에서 관련 IR 키 코드(key code) 값을 확인하고, IR 발생부(161)를 제어하여 제어 명령에 대응한 IR 신호를 생성한다.
소스 디바이스(10)가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경우, 네트워크 신호 발생부(162)는 네트워크 송신용 키 커맨드 데이터를 생성하여 소스 디바이스(10)로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디바이스 정보 데이터 베이스(172)에서 소스 리모콘 컨트로롤(5)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송신용 키 커맨드 데이터를 추출하고, 네트워크 신호 발생부(162)를 제어하여 키 커맨드 데이터를 소스 디바이스(10)로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변경 또한 가능하다.
도 4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U)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출력하는 3차원 VR 영상(200)을 시청할 수 있다.
도 4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VR 영상(200)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생성한 가상 현실 공간으로, 야구에 관한 영상이 재생되는 스크린 영역(이하 제1 영역, 201) 및 사용자(U)에게 현실감을 3차원 영상을 제공할 목적으로 생성된 제2 영역(202)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VR 영상(200)은 소스 디바이스(10)의 설정 변경을 표시하는 인터렉티브 메뉴(Interactive menu, 203)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렉티브 메뉴(203)는 소스 디바이스(10)에서 전달하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되는 것으로, 종래 기술에서 사용자(U)는 인터렉티브 메뉴(203)의 설정 값을 변경시키기 위해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을 사용해야만 한다.
한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고정 부재(104)에 의해서 사용자(U)의 안면에 안착된다. 도 2등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안착 부재(103) 등에 의해서 사용자(U)는 VR 영상(200) 이외의 시야각이 제한된다. 따라서 사용자(U)가 VR 영상(200)을 시청하면서 동시에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안면에서 탈착시키거나, 직감에 의존해서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의 버튼을 찾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도 5a 내지 도 5c는 일 실시예에 따라 가상 리모컨을 표시하고, 입력 명령을 인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이하 함께 설명한다.
개시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4에서 설명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서 VR 영상(200)의 일 영역에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와 유사한 모양의 가상 리모컨(21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U)는 VR 영상(200)의 시청 도중, 가상 리모컨(210)에 입력 명령을 전달하여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에서 소스 디바이스(10)의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가 VR 영상(200)의 시청 도중 고개를 돌리거나 리모트 콘트롤러(112a)를 제어하는 경우, 가상 리모컨(210)를 제2 영역(2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미리 설정된 영역에 포인터(220)를 표시하여 사용자(U)에게 가상 리모컨(210)의 조작을 유도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U)가 리모트 콘트롤러(112a)를 위치를 변경시키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포인터(22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사용자(U)에게 가상 리모컨(210)의 조작을 유도하는 포인터(220)는 도 5a의 일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레이저 포인터 또는 손가락 모양 등 다양한 모양으로 출력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실시예는 리모트 콘트롤러(112a)가 사용자(U)의 입력 명령, 구체적으로 위치 이동에 기초하여 포인터(220)의 표시를 변경시키면 충분하다.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U)는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의 버튼에 대응되는 가상 리모컨(210)의 일 영역에서 포인터(220)를 위치시키고, 입력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포인터(220)가 위치된 영역에서 리모트 콘트롤러(112a)의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명령의 수신 결과를 사용자(U)에게 피드백하기 위해 가상 리모컨(210)를 도 5b와 같이 변경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버튼에 대응되는 가상 리모컨(210)은 버튼에 대응되는 부분의 밝기를 변경시킨다.
또한, 가상 리모컨(210)은 밝기 뿐만 아니라 입력 명령에 대응되는 부분의 모양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가상 리모컨(210)은 포인터(220)가 가리키는 부분이 눌러지는 모양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 경우, 리모트 콘트롤러(112a)는 사용자(U)에게 피드백하기 위하여 진동 또는 소리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상 리모컨(210)를 통해 수신한 입력 명령을 소스 디바이스(10)를 전달하는 제어 명령으로 변환한다. 즉,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한 입력 명령을 제어 명령으로 생성한다.
전환된 제어 명령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소스 디바이스(10)로 전달되고, 소스 디바이스(10)는 제어 명령에 따라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스 디바이스(10)는 영상 데이터에 사용자(U)의 의도대로 설정이 변경되었다는 피드백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c와 같이 사용자(U)가 시청하는 VR 영상(200)에서 인터렉티브 메뉴(203)가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개시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5)를 대신해 중계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U)에게 가상 공간을 직관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도 6a 및 도 6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상 리모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이하 함께 설명한다.
개시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가 VR 영상(200)의 주된 영상을 시청하는데 집중시키기 위해서 자세 감지부(130)를 통해 사용자(U)의 시청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감지 결과, 사용자(U)가 영상 자체를 집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6a와 같이, 스크린 영역(201)의 사이즈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가상 리모컨(210)의 위치를 이동시켜 사용자(U)의 시야에서 은닉시킬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상 리모컨(210)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10)로 제어 명령을 전달한 후, 사용자(U)의 은닉 명령에 기초하여 영상 표시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은닉 명령은 사용자(U)가 고개를 반대방향으로 돌리거나 리모트 콘트롤러(112a)의 버튼 입력에 의해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사용자(U)는 VR 영상(200)을 시청하는 도중, 소스 디바이스(10)를 제어할 입력 명령을 전달하기 위해 고개를 일 방향으로 돌릴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구체적으로 자세 감지부(130)가 사용자(U)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상 리모컨(210)을 VR 영상(200)의 일 영역에 나타나도록 영상 표시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트 콘트롤러(112a)를 통해서 가상 리모컨(210)을 팝업시키는 명령을 수신하고, 가상 리모컨(210)을 도 6b와 같이 나타나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사용자(U)가 리모트 콘트롤러(112a)를 통해서 가상 리모컨(210)를 팝업시키는 입력 명령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리모트 콘트롤러(112a)는 사용자(U)의 손목 각도의 변경을 감지하여 전술한 입력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상 리모컨(210)가 나타나도록 제어하면서, 동시에 스크린 영역(201)을 도 6a 보다 축소시켜 표시하여 사용자(U)의 집중을 가상 리모컨(210)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상 리코컨(210)을 출력하면서, 동시에 소스 디바이스(10)가 인터렉티브 메뉴(203)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명령을 소스 디바이스(10)로 송신할 수 있다. 즉,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가 가상 리모컨(210)과 인터렉티브 메뉴(203)를 함께 시청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6a 및 도 6b에서 설명한 동작은 개시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 동작의 일 예에 불과하며, 다양한 변형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310).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컨텐츠 수신부(120)가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수신부(120)는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소스 디바이스(1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10)의 리모컨 정보 및 사용자 설정 정보를 결정한다(311).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프로세서(140)는 데이터 베이스(170)에 저장된 리모컨 정보 및 사용자 설정 정보를 추출하고,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스 디바이스(10)에 대응되는 리모컨 정보를 결정한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데이터 베이스(17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설정 정보로부터 사용자(U)의 리모트 콘트롤러(112a)의 손잡이 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부(110)가 전달하는 리모트 콘트롤러(112a)의 각도 정보로부터 사용자 설정 정보를 결정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가상 리모컨(210)를 표시한다(312).
구체적으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VR 영상(200)이 영상 표시부(151)를 통해 출력되는 도중, 가상 리모컨(210)를 VR 영상의 일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되는 가상 리모컨(210)는 결정된 소스 디바이스(10)의 리모컨 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며, 표시되는 일 영역은 사용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의 입력 명령을 수신한다(313).
사용자(U)는 다양한 입력 명령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입력 명령은 사용자(U)가 소스 디바이스(10)를 제어하는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가상 리모컨(210)를 통해 전달하는 명령을 의미한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명령에 기초하여 가상 리모컨(210) 또는 영상 데이터를 변경한다(314).
개시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변경하는 가상 리모컨(210) 또는 영상 데이터의 실시예는 다양할 수 있다. 일 예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리모트 컨트롤러(112a)가 전달하는 입력 명령(예를 들어 위치 이동)에 기초하여 포인터, 레이저 포인터, 손가락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가 리모트 컨트롤러(112a)의 버튼을 누르면, 이동된 포인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가상 리모컨(210)내 입력 명령을 결정하고, 수신 결과를 피드백하기 위해서 가상 리모컨(210)의 모양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VR 영상의 크기 등도 변경시킬 수 있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명령을 제어 명령으로 변환한다(315).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입력 명령을 소스 디바이스(10)가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여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이때, 프로세서(140)는 결정된 리모컨 정보를 참고하여 소스 디바이스(10)가 수신할 수 있는 제어 명령을 생성한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디바이스(10)로 제어 명령을 송신한다(316).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소스 디바이스(10)가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방법, 예를 들어 IR 모드인지 유/무선 네트워크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명령 송신부(160)를 통해 제어 명령을 소스 디바이스(10)로 송신한다.
이를 통해서 개시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가 VR 영상을 시청하는 도중, 소스 리모트 컨트롤러(5)를 이용하는 불편을 줄이고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 리모컨의 표시 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40)는 자세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112a)의 입력 명령을 모니터링한다(320).
일 예로, 사용자(U)가 오른손잡이인 경우, 사용자(U)는 리모트 콘트롤러(112a)를 사용하기 위해서 자신의 오른편으로 고개를 돌리는 횟수가 많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U)가 오른손잡이라면, 리모트 콘트롤러(112a)의 이동 각도는 사용자(U)의 왼편으로 꺾이는 횟수가 많을 것이다.
프로세서(140)는 자세 감지부(130)의 감지 결과 또는 리모트 컨트롤러(112a)의 입력 명령을 지속적으로 사용자 설정 데이터 베이스(171)에 누적시킨다.
프로세서(140)는 모니터링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설정 정보를 결정한다(321).
결정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일 예는, 사용자(U)의 리모트 콘트롤러(112a)의 손잡이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결정된 사용자 설정 정보는 사용자(U)의 아이디 및 사용자(U)의 수동 입력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결정된 사용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리모컨을 표시할 영역을 데이터 베이스(170)에 저장한다(322).
예를 들어, 사용자 설정 정보에서 사용자(U)가 오른손 잡이로 결정되면, 프로세서(140)는 가상 리모컨(210)를 사용자(U)가 바라보는 VR 영상(200)의 오른편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U)는 손쉽게 리모트 콘트롤러(112a)를 조작하여 포인터를 조작할 수 있다.
가상 리모컨(210)가 표시된 후,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입력 명령의 수신여부를 판단한다(323).
만약 입력 명령이 수신되면, 프로세서(140)는 저장된 영역에 기초하여 가상 리모컨(210)를 표시한다(324). 그러나 입력 명령이 수신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40)는 가상 리모컨을 도 6a와 같이 숨기고(325), 사용자(U)가 VR 영상(200)의 메인 영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 제어 흐름에 관한 순서도이다.
프로세서(140)는 디바이스 정보 데이터 베이스(172)에서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10)에 대한 리모컨 정보를 수신한다(330).
즉, 다른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10)와 네트워크를 통해 다중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현재 연결 중인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10)에 대한 각각의 리모컨 정보를 디바이스 정보 데이터 베이스(172)에서 추출한다.
프로세서(140)는 복수 개의 리모컨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가상 리모컨을 영상 표시부(151)를 통해 표시한다(331).
즉, 개시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여러 소스 디바이스(10)와 제어 명령을 송수신하는 복수 개의 리모트 콘트롤러(5)의 그래픽을 추출하고, 이와 동일한 각각의 가상 리모컨(210)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U)의 이해를 도울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입력부(110)로부터 선택 명령을 수신한다(332).
사용자(U)는 표시되는 복수의 가상 리모컨에서 사용자(U)가 원하는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스 디바이스(10) 및 이와 관련된 가상 리모컨을 선택하는 입력 명령을 프로세서(140)로 전달한다.
프로세서(140)는 수신된 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가상 리모컨을 결정한다(333).
선택 명령에 기초하여 가상 리모컨을 결정된 후, 사용자(U)가 VR 영상을 시청하는 도중, 소스 디바이스(10)로 전달하는 입력 명령을 전달하면, 프로세서(140)는 결정된 가상 리모컨만을 VR 영상에 삽입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결정된 가상 리모컨과 관련된 제어 명령만을 생성하고, 제어 명령을 결정된 소스 디바이스(10)로 송신한다. 즉,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 중, 사용자(U)가 선택한 소스 디바이스(10)와 연결될 수 있다(334).
도 10은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9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10)와 네트워크를 통해 다중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연결된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10)에 기초한 복수 개의 가상 리모컨을 함께 표시한다(340).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10)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가상 리모컨은 각기 상이한 모양일 수 있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디바이스 정보 DB(172)에서 저장된 각각의 리모컨 정보를 기초로 복수 개의 가상 리모컨을 사용자(U)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 개의 소스 디바이스(10)가 각각 전달하는 리모컨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가상 리모컨을 사용자(U)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의 입력 명령을 수신한다(341).
구체적으로 사용자(U)는 표시되는 복수 개의 가상 리모컨 중 어느 하나의 가상 리모컨에 포인터 등을 이동시켜 입력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U)의 입력 명령에 대응하는 소스 디바이스를 선택한다(342). 또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10)에 대한 가상 리모컨을 입력 명령에 따라 변경시킨다(345).
예를 들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 중인 소스 디바이스(10)가 3개인 경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3개의 서로 다른 가상 리모컨을 출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그 중 첫 번째 가상 리모컨에 입력 명령을 전달하면,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첫 번째 가상 리모컨에 대응하는 소스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동시에 첫 번째 가상 리모컨에 모양을 변경시킨다.
이후,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10)에 따른 입력 명령을 제어 명령으로 변환하고(344), 변환된 제어 명령을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로 전달한다(345).
변환되는 제어 명령은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10)가 수신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된다. 일 예로,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10)가 IR 모드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명령을 IR 신호로 변경시켜,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10)로 전달할 수 있다.한편, 도 7 내지 10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개시된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변형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광디스크 5: 소스 리모트 콘트롤러
10: 소스 디바이스 100: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12a: 리모트 콘트롤러

Claims (21)

  1. 사용자의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VR(Vritual Reality)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 표시부;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제어 명령 송신부; 및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가상 리모컨 및 상기 VR 영상을 상기 영상 표시부가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가상 리모컨을 통해 상기 입력 명령을 상기 제어 명령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어 명령 송신부가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명령을 기초로 상기 영상 표시부가 상기 생성된 가상 리모컨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명령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리모컨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리모컨을 생성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 사용자의 손잡이 방향에 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리모컨을 표시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입력 명령을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입력 명령에 기초하여 포인터, 레이저 포인터, 손가락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동시키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결정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자세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자세 감지부가 전달하는 상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 또는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입력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영역에 나타나도록 상기 영상 표시부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VR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가 전달하는 은닉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시야에서 상기 가상 리모컨이 표시되지 않도록 상기 영상 표시부를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 명령 송신부가 상기 제어 명령을 IR 신호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사용자의 입력 명령 및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가상 리모컨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VR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가상 리모컨을 통해 상기 입력 명령을 상기 제어 명령으로 생성하고;
    상기 소스 디바이스로 상기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것은,
    상기 입력 명령을 기초로 상기 생성된 가상 리모컨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것은,
    상기 입력 명령을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수신할 수 있는 디지털 코드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디바이스의 리모컨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손잡이 방향에 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것은,
    상기 리모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리모컨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리모컨을 표시하는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것은,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것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입력 명령에 기초하여 포인터, 레이저 포인터, 손가락 모양 중 적어도 하나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것은,
    상기 리모트 컨트롤러가 전달하는 각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사용자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하는 것은,
    상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유저 인터페이스가 상기 영역에 나타나도록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것은,
    상기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상기 VR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182363A 2017-12-28 2017-12-28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900801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363A KR20190080119A (ko) 2017-12-28 2017-12-28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363A KR20190080119A (ko) 2017-12-28 2017-12-28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119A true KR20190080119A (ko) 2019-07-08

Family

ID=6725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363A KR20190080119A (ko) 2017-12-28 2017-12-28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01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441A (ko) *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r 글라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화면 및 리모컨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6441A (ko) *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Ar 글라스를 이용한 증강 현실 화면 및 리모컨 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77724A1 (en) Sedentary virtual reality method and systems
US91916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associated glasses
US201000055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video image by merging video streams
CN102223555B (zh) 图像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10948725B2 (en) Wear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three-dimensional images thereon
TWI572203B (zh) 媒體串流系統、控制方法及非暫態電腦可讀取儲存媒體
US116473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dio content in immersive reality
US20200336730A1 (en) Wearable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613429B2 (ja) 映像音響再生装置
EP3731510B1 (en) Mobile terminal for remote controlling the selection of the content source and the presentation device
KR20190080119A (ko)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Fiala Pano-presence for teleoperation
KR10183222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3106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20025275A (ja) 映像音響再生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1668245B1 (ko) 원격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1920640B1 (ko) 화상회의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3684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470974A1 (en) Selection of animated viewing angle in a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
KR202100631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20230152418A (ko) 영상표시장치
KR20130120255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2959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3060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0818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