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118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3118A
KR20210063118A KR1020190151628A KR20190151628A KR20210063118A KR 20210063118 A KR20210063118 A KR 20210063118A KR 1020190151628 A KR1020190151628 A KR 1020190151628A KR 20190151628 A KR20190151628 A KR 20190151628A KR 20210063118 A KR20210063118 A KR 20210063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gesture
display device
processor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주
김의준
마지연
심다혜
이영아
박준용
황성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1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3118A/ko
Priority to PCT/KR2020/012108 priority patent/WO2021101039A1/ko
Publication of KR20210063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31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서; UI (User Interface)엘리먼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제1 UI 엘리먼트를 강조시키고,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된 제1 UI 엘리먼트가 이동하거나,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제2 UI 엘리먼트가 상기 제1 UI 엘리먼트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개시된 실시예는 커서와 같은 표시자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한 피드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되거나 또는 저장된 영상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출력 장치이며, 가정이나 사업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서버용 컴퓨터 등에 연결된 모니터 장치나, 휴대용 컴퓨터 장치나, 내비게이션 단말 장치나, 일반 텔레비전 장치나,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장치나, 스마트 폰,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 장치(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또는 셀룰러 폰 등의 휴대용 단말 장치나, 산업 현장에서 광고나 영화 같은 화상을 재생하기 위해 이용되는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나, 또는 이외 다양한 종류의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등이 있다.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컨텐츠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종래 디스플레이는 화면 상에 커서를 표시하는 방식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의 선택을 유도하였다. 종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제스처를 통해 화면에 커서를 이동시킴으로써 피드백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사용자에게 정밀한 제어를 요구하였고, 커서가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이동하지 않을 경우, 사용자가 수 차례 제스처를 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와 장치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지 않고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였으므로,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동일한 커서의 이동 감도 및 동일한 크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였다.
개시된 일 측면은, 커서와 같이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 결과물을 생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경을 통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도를 줄이고 피로를 감소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서; UI (User Interface)엘리먼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제1 UI 엘리먼트를 강조시키고,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된 제1 UI 엘리먼트가 이동하거나,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제2 UI 엘리먼트가 상기 제1 UI 엘리먼트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엘리먼트 및 상기 제2 UI 엘리먼트에 미리 설정된 경계를 각각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경계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를 벗어나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강조를 해제하고, 상기 이동된 제1 UI엘리먼트를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를 벗어나고 상기 제2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로 진입하면, 상기 제2 UI엘리먼트를 강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를 벗어나고 상기 제2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로 진입하면, 상기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의 색상 및 상기 제2 UI엘리먼트의 색상을 순차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의 위치 및 상기 복수 개의 UI엘리먼트의 중심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를 강조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UI엘리먼트는, 상기 복수 개의 레이어 및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레이어의 회전 또는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를 강조하거나, 상기 아이콘의 크기 또는 모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를 강조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제1 레이어의 회전 각도와 제2 레이어의 회전 각도를 다르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상기 사용자의 팔의 길이, 상기 사용자의 시야각 또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 및 상기 제2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팔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 및 상기 제2 UI엘리먼트가 가 표시되는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시야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 및 상기 제2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는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움켜짐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움켜짐과 함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상기 활성된 제1 UI엘리먼트의 설정값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선, 도형, 색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를 강조할 수 있다.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서; UI (User Interface)엘리먼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를 강조하고,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로 제2 UI 엘리먼트를 이동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개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UI (User Interface)엘리먼트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제1 UI 엘리먼트를 강조시키고; 및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된 제1 UI 엘리먼트가 이동하거나,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제2 UI 엘리먼트가 상기 제1 UI 엘리먼트로 이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UI엘리먼트 및 상기 제2 UI 엘리먼트에 미리 설정된 경계를 각각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경계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를 벗어나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강조를 해제하고, 상기 이동된 제1 UI엘리먼트를 복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를 벗어나고 상기 제2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로 진입하면, 상기 제2 UI엘리먼트를 강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를 벗어나고 상기 제2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로 진입하면, 상기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의 색상 및 상기 제2 UI엘리먼트의 색상을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 결과물을 생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경을 통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도를 줄이고 피로를 감소시킨다.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방법은 제스처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의 용이함을 제공함으로써, 빠른 좌표 인식 및 간편한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방법은 사용자의 거리, 시야각 팔의 길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크기 및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강조된 UI엘리먼트를 이동시키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UI엘리먼트를 강조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사용자의 팔의 길이에 따라 변경되는 UI엘리먼트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시야각에 따라 변경되는 UI엘리먼트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UI엘리먼트를 활성화시키는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디스플레이 패널(2)과 디스플레이 패널(2)을 지지하는 하우징(3) 및 지지대(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은 디스플레이 장치(1)의 외장을 형성하며, 내측에 디스플레이 장치(1)가 각종 화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부품을 내장시킨다. 하우징(3)는 디스플레이 패널(2)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전면 하우징 및 배면 하우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지지대(4)는 하우징(3)을 지지한다. 지지대(4)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생략될 수도 있다. 지지대(4)는 필요에 따라서 하우징(3)에 부착되거나 또는 이탈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은, 하우징(3)의 정면에 설치되고 각종 화상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2)은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을 적어도 하나 이상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은 필요에 따라서 터치 패널 등과 같이 별도의 부품을 더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에는 복수의 픽셀이 형성되며, 디스플레이 패널(2)을 통해서 표시되는 영상은 복수의 픽셀(P)로부터 출사된 광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픽셀(P)가 방출하는 광이 모자이크(mosaic)와 같이 조합됨으로써 스크린(102) 상에 하나의 영상(I)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패널(2)이 표시하는 영상은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여러 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 아이콘 및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포함되는 개별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UI(User Interface)엘리먼트(10)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가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반드시 도 1에 도시된 형상 및 모양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를 감지하고, UI엘리먼트(10)를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U)가 취하는 제스처를 감지한 결과를 사용자(U)에게 피드백한다.
도 2는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로부터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110)와, 외부의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컨텐츠 수신부(120)와, 사용자(U)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서(130)와, 컨텐츠 수신부(120)에 의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 및 사용자 입력부(110)에 의해서 수신된 입력 명령을 처리하고, 센서(130)가 감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프로세서(140)와, 프로세서(140)에 의하여 처리된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는 출력부(150)와, 프로세서(140)의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DB, 160)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사용자 입력 명령을 수신하는 입력 버튼(1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를 턴온 또는 턴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버튼,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 중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소스 선택 버튼, 디스플레이 장치(1)가 출력하는 음향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음향 조절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튼(111)이 구현하는 사용자 입력 명령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UI엘리먼트(10)를 통해 입력 버튼 대신, 표시될 수 있다.
입력 버튼(111)은 각각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프로세서(140)로 전달할 수 있으며, 푸시 스위치, 터치 스위치, 다이얼, 슬라이드 스위치, 토글 스위치 등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의 하우징(3)에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10)는 리모트 컨트롤러(112a)의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수신부(112)를 포함한다.
신호 수신부(112)는 리모트 컨트롤러(112a)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명령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 즉 리모트 컨트롤러(112a)가 전달하는 입력 명령을 프로세서(140)로 전달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12a)는 디스플레이 장치(1)와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 명령을 수신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무선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로 전송할 수 있다. 리모트 컨트롤러(112a)는 사용자(U)의 제스처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U)는 사용자의 손을 움직이는 대신, 리모트 컨틀롤러(112a)를 조작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리모트 컨트롤러(112a)가 전송하는 신호의 차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UI엘리먼트(10)를 조정할 수 있다.
컨텐츠 수신부(120)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유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유선 수신 모듈(121)과,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 모듈(122)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로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셋톱 박스, 외부 서버, 인터넷 네트워크의 중계기 등 다양한 구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유선 수신 모듈(121)은 다양한 종류의 영상 전송 케이블을 통하여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수신 모듈(121)은 컴포넌트(component, YPbPr/RGB) 케이블 또는 컴포지트 (composite video blanking and sync, CVBS) 케이블 또는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케이블 또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케이블 또는 이더넷(Ethernet, IEEE 802.3 기술 표준) 케이블 등을 통하여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유선 수신 모듈(121)을 통하여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프레임 데이터는 한 프레임의 영상을 나타내는 비트 스트림으로써 압축되지 아니한 영상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유선 수신 모듈(121)는 영상 전송 케이블을 통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데이터 전송률의 제한이 크지 않다. 따라서, 유선 수신 모듈(121)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그대로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수신 모듈은 다양한 무선 통신 표준을 이용하여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수신 모듈(122)은 와이파이(WiFi??, IEEE 802.11 기술 표준) 또는 블루투스 (Bluetooth??, IEEE 802.15.1 기술 표준) 또는 지그비(ZigBee??, IEEE 802.15.4 기술 표준)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수신 모듈(122)은 CDMA, WCDMA, GSM, LET(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등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수신 모듈(122)을 통하여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압축/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압축/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는 한 프레임의 영상 또는 복수의 프레임의 영상이 압축/인코딩된 비트 스트림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프레임 데이터는 H.264/MPEG-4 AVC (Moving Picture Experts Group-4 Advance Vide Coding) 또는 H.265/HEVC (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등의 영상 압축 표준에 의하여 압축/인코딩될 수 있다.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압축/인코딩됨으로써 압축/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는 본래의 영상 프레임 데이터보다 작은 용량(또는 크기)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수신 모듈(122)는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데이터 전송률의 제한되므로, 무선 수신 모듈(122)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압축/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컨텐츠 수신부(120)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유선으로 또는 무선으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프로세서(140)로 전달할 수 있다.
센서(130)는 사용자(U)의 제스처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센서(U)는 카메라(131)일 수 있다. 카메라(131)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생성한다. 카메라(131)의 인식 범위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서부터 사용자(U)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제스처는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신체 일부분의 움직임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31)는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프로세서(140)로 전달할 수 있다. 카메라(131)는 렌즈(미 도시) 및 이미지 센서(미 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31)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131)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131)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센서(130)는 카메라(131) 이외에도 사용자의 제스처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와 사용자(U)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초음파 센서, IR 센서 등 다양한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40)는 컨텐츠 수신부(120)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고,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하여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압축/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으며, 복원된 영상 프레임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을 렌더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영상 데이터 이외에도 출력부(150)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와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인터넷 네트워크가 지원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조시 내장된 기능 및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복수의 UI엘리먼트(10)로 출력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140)는 센서(130)가 감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복수의 UI엘리먼트(10) 중 하나의 UI엘리먼트를 강조(focus)하거나, 복수의 UI 엘리먼트(10)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UI엘리먼트를 순차적으로 강조하도록 출력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와 달리,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커서를 표시하지 않는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의 제스처가 감지되면, UI 엘리먼트(10)를 강조하고, 제스처의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도록 강조된 UI 엘리먼트(10)를 이동시키거나, 움직임 방향에 표시되는 다른 UI 엘리먼트를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한 결과를 피드백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U)는 커서에 대응되는 자신의 움직임을 정밀하게 제어하지 않고도, UI엘리먼트를 쉽게 선택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UI엘리먼트의 선, 도형, 색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킴으로써, UI엘리먼트를 강조할 수 있으며, UI엘리먼트(10)를 변경하는 다양한 실시예는 이하의 다른 도면을 통해서 후술한다.
출력부(150)는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2)과, 디스플레이 패널(2)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미도시)를 포함하는 영상 표시부(151)와 음향을 증폭하는 오디오 앰프(미도시)와, 증폭된 음향을 청각적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와, 주변의 음향을 수집하는 마이크(미도시)를 포함하는 음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2)은 영상을 표시하는 단위가 되는 픽셀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픽셀은 디스플레이 드라이버로부터 영상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광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픽셀이 출력하는 광학 신호가 조합됨으로써 영상이 디스플레이 패널(2)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LCD Panel), 발광 다이오드 패널(Light Emitting Diode Panel, LED Panel)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anel, OLED Panel)을 등 다양한 타입의 패널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달되는 영상 데이터 내에 포함된 음향 데이터를 처리하여 음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음향부(152)는 오디오 앰프를 통해서 출력된 음향 신호를 증폭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피커는 오디오 앰프에 의해서 증폭된 음향 신호를 음향(음파)으로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는 전기적 음향 신호에 따라 진동하는 박막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박막의 진동에 의하여 음파가 생성될 수 있다. 마이크는 디스플레이 장치(1)의 주변 음향을 수집하고, 수집된 음향을 전기적 음향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마이크에 의하여 수집된 음향 신호는 프로세서(140)로 전달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에 포함된 구성들을 제어하는 중에 발행하는 임시 제어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70)는 컨텐츠 수신부(120)에 의하여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와 디코딩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입체 영상을 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170)는 영상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중에 발생하거나 입체 영상을 렌더링하는 중에 발생하는 임시 영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70)는 UI엘리먼트(10)를 표시 또는 조절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인체 공학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인체 공학적 측면에서 사용자(U)가 편안한 자세로 움직일 수 있는 한쪽 팔의 최대 범위는 80cm이다. 데이터 베이스(170)는 센서(130)가 감지한 사용자(U)의 크기에 대응하는 팔의 움직임의 범위를 저장한다. 사용자(U)가 감지되면, 데이터 베이스(170)는 팔의 길이 정보를 프로세서(140)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전달된 팔의 길이에 기초하여 UI엘리먼트(10)의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고, 출력부(150)를 통해 UI엘리먼트(10)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베이스(170)는 사용자(U)의 시야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인체 공학적 측면에 따라 시야각은 사용자의 양안 중심 기준 최대 30도가 최대 인지 영역이다. 데이터 베이스(170)는 센서(130)가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와 사용자(U)와의 거리에 대응하는 사용자(U)의 시야각을 프로세서(140)로 전달한다. 프로세서(140)는 전달된 시야각에 기초하여 UI엘리먼트(10)의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고, 출력부(150)를 통해 UI엘리먼트(10)를 표시한다.
데이터 베이스(170)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로 마련될 수 있다. 데이터 베이스(170)는 프로세서(140)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140)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이하 함께 설명한다.
도 3을 먼저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 개의 UI엘리먼트(11 내지 16)을 표시할 수 있다. 복수 개의 UI엘리먼트(11 내지 16)는 기능을 짐작하게 할 수 있는 아이콘을 포함해 다양한 모습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의 입력 명령에 의해서 UI엘리먼트(11 내지 16)을 선택할 수 있는 모드로 변경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센서(130)를 통해 사용자(U)를 감지하고, 사용자(U)와의 거리, 시야각, 팔의 길이에 대응하여 UI엘리먼트(11 내지 16)의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결정된 UI엘리먼트(11 내지 16)의 크기 및 위치에 기초하여 도 3과 같이 UI엘리먼트(11 내지 16)를 표시한다.
한편, UI엘리먼트(11 내지 16)가 반드시 도 3과 같은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 배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의 제스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U)는 오른팔을 들어올리는 모션을 취할 수 있다.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커서를 표시하였다. 그러나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커서와 같은 UI 엘리먼트를 표시하지 않는다.
커서를 표시하지 않더라도,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위치를 인식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가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 결과를 가상의 커서(5)로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 결과, 즉 가상의 커서(5)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UI엘리먼트, 제2 UI 엘리먼트(12)를 강조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제2 UI엘리먼트(12)를 강조시키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 UI 엘리먼트(12)를 표시된 크기보다 큰 모양으로 변경시키거나, 레이어 내부의 색상을 변경 또는 아이콘의 모양의 이동시킴으로써, 제2 UI엘리먼트(12)를 강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U)는 커서의 이동 없이도, 디스플레이 장치(1)가 인식하는 자신의 제스처를 피드백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U)는 강조된 UI엘리먼트(12)로부터 추가적인 제스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커서를 이동시켜야 하는 정밀한 움직임을 요구받지 않을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이하 함께 설명한다.
도 6a 를 참조하면, UI엘리먼트(10)는 테두리(10a), UI엘리먼트(10b)의 중심점(10b) 및 UI엘리먼트의 경계(10c)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UI엘리먼트의 경계(10c)는 표시될 UI엘리먼트(10)의 크기에 비례하여 미리 설정된 너비를 가진다.
도 6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가상의 커서(5)와 UI엘리먼트(10)의 중심점까지의 거리에 기초하여 UI엘리먼트(10)의 강조 여부를 판단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특정한 커서를 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의 특정 제스처를 감지하자마자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위치(가상의 커서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UI엘리먼트를 강조시킨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가상의 커서(5)의 위치와 복수의 UI엘리먼트(11 내지 16)의 중심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산출된 거리가 가장 가까운 UI엘리먼트를 강조시킨다. 도 6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커서(5)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중심점을 가지는 UI엘리먼트는 제4 UI엘리먼트(14)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4 UI엘리먼트(14)를 강조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의 UI 엘리먼트 중 선택된 UI엘리먼트를 도 6c과 같이 강조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UI엘리먼트의 테두리(10a) 및 테두리 내부에 포함된 아이콘의 크기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가상의 커서(5)에 대응하는 위치로 UI엘리먼트(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UI엘리먼트(10)가 이동하는 거리는 중심점(10b)과 가상의 커서(5)와의 거리(d)에 기초하며, UI엘리먼트의 테두리(10a)가 이동하더라도 중심점(10b)의 위치는 UI엘리먼트의 경계(10c)를 벗어나지 않는다.
도 7 내지 도 9는 강조된 UI엘리먼트를 이동시키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이하 함께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강조된 UI엘리먼트(12)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추가적인 제스처를 감지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U)는 오른손의 위치에서 손을 시계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감지된 사용자(U)의 팔의 최대 범위에서 사용자의 제스처의 움직임의 범위 및 움직임의 방향을 산출한다. 사용자의 제스처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7과 같이 강조된 제2 UI엘리먼트(12)를 시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2 UI엘리먼트(12)는 중심점(10b)이 UI엘리먼트의 경계(10c)를 벗어나지 않도록 이동되며, 제2 UI엘리먼트의 아이콘(12d)도 테두리(10a)내에서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7과 달리 더 큰 범위로 움직이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사용자(U)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가상의 커서(5)는 제2 UI엘리먼트(12)의 UI엘리먼트의 경계(10c)를 벗어날 수 있다. 가상의 커서(5)가 강조된 제2 UI엘리먼트(12)보다 제3 UI엘리먼트(13)에 가까워지는 것은, 사용자(U)의 제스처 중 손의 움직임이 일정한 거리 이상으로 변경한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강조를 제3 UI 엘리먼트(13)로 이동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8의a)와 같이, 강조된 제2 UI엘리먼트(12)를 제3 UI엘리먼트(13)로 이동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8의b)와 같이, 강조된 제2 UI엘리먼트(12)의 일정 영역만의 색상을 진하게 표시하고, 제3 UI엘리먼트(13)의 일정 영역의 색상을 진하게 표시한다.
가상의 커서(5)가 더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 UI 엘리먼트(12)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제3 UI엘리먼트(13)를 크기를 변화시키고, 색상을 완전히 변화시킨다.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강조된 제2 UI엘리먼트(12)의 색상 및 제3 UI엘리먼트(13)의 색상을 순차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제스처의 움직임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 UI 엘리먼트(12)와 제3 UI엘리먼트(13)는 서로 충분한 거리를 두고, 미리 설정된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어 표시될 수 있다. 제2 UI 엘리먼트(12)가 강조된 후,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8과 같이 사용자(U)의 움직임의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강조된 제2 UI 엘리먼트(12)를 제3 UI엘리먼트(13)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상의 커서(5)는 제2 UI 엘리먼트(12)의 경계(12c)와 제3 UI엘리먼트(13)의 경계(13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강조된 제2 UI엘리먼트(12)의 색상을 변경시킨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8과 달리, 제3 UI 엘리먼트(13)의 크기 및 색상을 변경시키면서, 동시에 가상의 커서(5)에 대응되는 위치로 제3 UI엘리먼트(13)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강조된 제2 UI엘리먼트(12) 및 강조된 제3 UI엘리먼트(13)는 일정 영역에만 색상을 강조시킴으로써, 사용자(U)에게 현재의 제스처의 이동 경로를 피드백할 수 있다.
가상의 커서(5)가 제3 UI엘리먼트(13)의 경계(13c) 내부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 UI엘리먼트(12)를 강조를 해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 UI엘리먼트(12)를 원래의 위치로 다시 이동시킨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이동된 제3 UI엘리먼트(13)를 더욱 강조시킨다.
도 10a 및 도 10b는 UI엘리먼트를 강조시키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이하 함께 설명한다.
도 10a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I엘리먼트(20)는 아이콘(미도시)을 둘러싼 복수 개의 레이어(22 내지 23)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레이어(22 내지 24)는 가상의 커서(5)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및 회전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것처럼 UI 엘리먼트(20)는 중심점(20b)을 기준으로 오른편 하단에 치우친 제1 레이어(22), 가장 긴 둘레를 가지는 제2 레이어(23) 및 왼편 상단으로 치우친 제3 레이어(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의 커서(5)가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된 가상의 커서(5)로부터 가장 가까운 제1 레이어(22)는 가장 큰 회전 각도를 가지면서 조정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제2 레이어(23)는 이동 및 회전 각도를 크게 설정되고, 이동된 가상의 커서(5)에 가장 멀리 위치한 제3 레이어(24)의 이동 및 회전 각도가 가장 적을 수 있다.
도 10b는 아이콘(21)을 포함한 UI 엘리먼트(2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b의 a)는 UI 엘리먼트(20)가 강조되지 않은 상태이다.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UI 엘리먼트(20)는 도 10b의 b)와 같이 강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UI 엘리먼트(20)의 아이콘(21)은 큰 크기로 변경되고, 다수 개의 레이어(22 내지 24)가 생성된다. 사용자의 추가적인 제스처가 감지되면, UI 엘리먼트(20)는 변경된 아이콘(21)이 틀어지고, 각각의 레이어(22 내지 24)가 서로 다른 회전 각도를 가지면서 회전한다.
강조된 UI 엘리먼트(20)를 통해서 사용자(U)는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제스처를 인식한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나아가 강조된 UI엘리먼트(20)를 통해 추가적인 제스처를 손쉽게 피드백 받을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의 팔의 길이, 사용자(U)의 시야각 또는 사용자(U)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UI 엘리먼트(10)의 위치 및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와의 거리에 따라 표시되는 UI 엘리먼트(10)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U)의 시야각에 따라 UI 엘리먼트(10)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의 팔의 길이에 UI 엘리먼트(10)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와의 거리 및 시야각에 기초하여 UI 엘리먼트(10)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와의 거리 및 사용자의 팔의 길이에 기초하여 UI 엘리먼트(10)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더불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와의 거리, 시야각 및 사용자의 팔의 길이 모두를 고려하여 UI 엘리먼트(10)의 크기 및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1 및 도 12는 사용자의 팔의 길이에 따라 변경되는 UI엘리먼트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이하 함께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센서(130)를 통해 사용자(U)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131)는 사용자(U)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U)는 신체 조건에 따라 다양한 팔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과 같이 성인의 신체를 가진 사용자(U)의 팔의 길이는, 도 12와 같이 미성인의 신체를 가진 사용자(U')의 팔의 길이와 다르다.
도 11과 같이 팔의 길이가 긴 사용자(U)는 UI엘리먼트를 조작할 수 있는 범위가 도 12와 같은 사용자(U')보다 넓다. 만약 도 12의 사용자(U')에게 도 11의 사용자(U)를 위해 표시한 UI엘리먼트(11 내지 16)를 표시하면, 사용자(U')는 조작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와의 거리 및 촬영된 영상을 분석한 후, 현재 사용자(U)의 팔의 길이를 판단한다. 만약 사용자(U)의 팔의 길이가 미리 설정된 범위, 예를 들어 60㎝를 초과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 개의 UI엘리먼트(11 내지 16)의 크기를 작고 넓은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2와 같이 사용자(U')가 적은 가동 범위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11에 비해서 복수 개의 UI엘리먼트(11 내지 16)를 좁은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손의 가동 범위를 벗어나는 영역까지 사용자의 움직임을 요구하지 않게 되므로, 조작 난이도 및 피로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시야각에 따라 변경되는 UI엘리먼트의 표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이하 함께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데이터 베이스(170)는 사용자(U)의 시야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인체 공학적 특성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람의 시야각을 30°로 설정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와의 거리에 따른 시야각을 고려하여, 표시되는 복수 개의 UI엘리먼트(11 내지 16)의 크기를 조절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제스처를 취할 때, 최소한의 동작만으로 UI엘리먼트(10)를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데이터 베이스(170)에 저장된 시야각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서 변경될 수 있으며, 반드시 3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를 촬영하고, 사용자(U)가 고개를 돌려 오른쪽 상단을 바라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가 정면이 아닌 대각선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 개의 UI엘리먼트(11 내지 16)를 디스플레이 중앙이 아닌, 상단에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복수 개의 UI엘리먼트(11 내지 16)를 표시하면서, 시야각 및 팔의 길이를 함께 고려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 14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를 바라보면서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와 가까이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의 팔의 길이 및 시야각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UI엘리먼트(11 내지 16)의 위치 및 크기가 변경시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U)는 UI엘리먼트를 변경시킬 최소한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 난이도 및 피로도를 감소된다.
도 15 내지 도 17은 UI엘리먼트를 활성화시키는 실시예에 관한 도면이다.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이하 함께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제1 UI 엘리먼트(11)를 강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도 15와 같이 제1 UI 엘리먼트(11)의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현재 사용자(U)의 손의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이 제1 UI 엘리먼트(11)의 위치에 해당하는 것임을 피드백시킨다.
만약 사용자(U)가 손을 움켜지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UI엘리먼트(11)를 활성화시킨다. 즉,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11)는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한 커서의 역할을 대신하기 위해 변경되는 것일 뿐, 제1 UI엘리먼트(11)가 선택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센서(130)를 통해 사용자(U)의 움켜짐을 감지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UI엘리먼트(11)를 활성화시킨다. 예를 들어 제1 UI엘리먼트(11)가 소리 음향부(152)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소리 출력을 숫자로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17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U)가 움켜진 손을 이동하는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아이콘(11a)의 상단에 표시된 숫자를 움켜진의 손의 움직임 방향에 기초하여 변경시킴으로써, 사용자(U)에게 소리 출력의 정도가 변경됨을 피드백할 수 있다.
한편, 도 15 내지 도 17은 UI엘리먼트를 활성화시키는 일 예에 불과하고, 다양한 제스처에 의해서 UI엘리먼트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활성화된 UI엘리먼트가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한 다양할 수 있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를 감지한다(200)
디스플레이 장치(1)는 센서(130)를 통해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130)는 카메라(131)를 사용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UI엘리먼트(10)를 표시한다(210).
표시되는 UI엘리먼트(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형상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고(220), UI엘리먼트(10)를 강조한다(23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크기, 위치 및 색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킴으로써, UI엘리먼트(10)를 강조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UI엘리먼트(10)가 표시된 후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면, UI엘리먼트(100)는 아이콘의 크기 및 모양을 변경하거나 복수 개의 레이어의 회전 각도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제스처를 감지하고(240), 강조된 UI 엘리먼트(10)를 변경시킨다(240).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스처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UI 엘리먼트(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UI엘리먼트(10)는 복수 개의 레이어(22 내지 24) 및 아이콘(2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UI엘리먼트(10)는 미리 설정된 경계(10c)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가상의 커서(5)가 강조된 UI 엘리먼트(10)의 경계(10c) 근처로 이동하면, UI 엘리먼트(10)의 아이콘(21)의 위치를 경계 근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하는 가상의 커서(5)가 강조된 UI엘리먼트(10)의 경계(10c)를 벗어나면, UI엘리먼트(10)의 강조를 해제하고,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UI엘리먼트(11)를 강조한다(300).
디스플레이 장치(1)는 복수 개의 UI엘리먼트(11 내지 16)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스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제1 UI엘리먼트(11)를 강조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추가적인 제스처를 감지하고(310),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11)를 이동시킨다(320).
도 10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제스처는 사용자의 방향성을 가지는 움직임일 수 있다.
이동되는 제1 UI엘리먼트(11)의 중심점(11a)은 경계(11c)를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가상의 커서(5)는 제1 UI엘리먼트의 경계(11c)를 벗어나면서 제2 UI엘리먼트의 경계(12c)에 진입할 수 있다(330).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2 UI 엘리먼트(12)를 이동시키고(340), 제1 UI엘리먼트(11) 및 이동된 제2 UI엘리먼트(12)의 색상을 변경한다(35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UI엘리먼트(11)의 일정 영역만의 색상을 진하게 표시하고, 제2 UI엘리먼트(12) 일정 영역만의 색상을 진하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제스처에 대응되는 가상의 커서(5)는 제2 UI엘리먼트(12)의 경계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360).
경계 내부로 진입하는 것의 의미는, 가상의 커서(5)의 위치에 대응되어 이동된 제2 UI엘리먼트(12)의 중심점(12a)이 제2 UI엘리먼트의 경계(12c) 내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제1 UI엘리먼트(11)의 강조 해제 및 위치 이동시키고(370), 이동된 제2 UI엘리먼트(12)를 강조한다(380).
이를 통해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한 결과물을 생략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변경을 통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집중도를 줄이고 피로를 감소시킨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선택의 용이함을 제공함으로써, 빠른 좌표 인식 및 간편한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는 사용자의 거리, 시야각 팔의 길이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크기 및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1: 디스플레이 장치: 110: 사용자 입력부
120: 컨텐츠 수신부 130: 센서
140: 프로세서 150: 출력부

Claims (20)

  1.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서;
    UI (User Interface)엘리먼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제1 UI 엘리먼트를 강조시키고,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된 제1 UI 엘리먼트가 이동하거나,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제2 UI 엘리먼트가 상기 제1 UI 엘리먼트로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엘리먼트 및 상기 제2 UI 엘리먼트에 미리 설정된 경계를 각각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경계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를 이동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를 벗어나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강조를 해제하고, 상기 이동된 제1 UI엘리먼트를 복귀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를 벗어나고 상기 제2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로 진입하면, 상기 제2 UI엘리먼트를 강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를 벗어나고 상기 제2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로 진입하면, 상기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의 색상 및 상기 제2 UI엘리먼트의 색상을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의 위치 및 상기 복수 개의 UI엘리먼트의 중심점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를 강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UI엘리먼트는, 상기 복수 개의 레이어 및 아이콘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 개의 레이어의 회전 또는 이동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를 강조하거나, 상기 아이콘의 크기 또는 모양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를 강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레이어 중 제1 레이어의 회전 각도와 제2 레이어의 회전 각도를 다르게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팔의 길이, 상기 사용자의 시야각 또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 및 상기 제2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는 위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팔의 길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 및 상기 제2 UI엘리먼트가 가 표시되는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간의 거리 및 상기 사용자의 시야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 및 상기 제2 UI 엘리먼트가 표시되는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움켜짐 동작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를 활성화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움켜짐과 함께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면, 상기 활성된 제1 UI엘리먼트의 설정값을 조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선, 도형, 색상 또는 크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를 강조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는 센서;
    UI (User Interface)엘리먼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UI엘리먼트를 강조하고,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로 제2 UI 엘리먼트를 이동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고;
    UI (User Interface)엘리먼트를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에 기초하여 제1 UI 엘리먼트를 강조시키고; 및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된 제1 UI 엘리먼트가 이동하거나,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제2 UI 엘리먼트가 상기 제1 UI 엘리먼트로 이동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1 UI엘리먼트 및 상기 제2 UI 엘리먼트에 미리 설정된 경계를 각각 설정하고,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및 상기 미리 설정된 경계에 기초하여 상기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를 벗어나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강조를 해제하고, 상기 이동된 제1 UI엘리먼트를 복귀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를 벗어나고 상기 제2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로 진입하면, 상기 제2 UI엘리먼트를 강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것은,
    상기 제스처의 움직임이 상기 제1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를 벗어나고 상기 제2 UI엘리먼트의 미리 설정된 경계로 진입하면, 상기 강조된 제1 UI엘리먼트의 색상 및 상기 제2 UI엘리먼트의 색상을 순차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90151628A 2019-11-22 2019-11-2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63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628A KR20210063118A (ko) 2019-11-22 2019-11-2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20/012108 WO2021101039A1 (ko) 2019-11-22 2020-09-08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628A KR20210063118A (ko) 2019-11-22 2019-11-2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3118A true KR20210063118A (ko) 2021-06-01

Family

ID=7598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628A KR20210063118A (ko) 2019-11-22 2019-11-22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63118A (ko)
WO (1) WO202110103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1515B1 (en) * 1998-10-13 2002-12-31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 system
JP2011081480A (ja) * 2009-10-05 2011-04-21 Seiko Epson Corp 画像入力システム
KR20120037858A (ko) * 2010-10-12 2012-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입체영상표시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US10120540B2 (en) * 2013-03-14 2018-11-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sual feedback for user interface navigation on television system
KR102017285B1 (ko) * 2015-10-29 2019-10-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모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변경시키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1039A1 (ko) 2021-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9603B2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ve viewport for a mobile device based on viewing angle
JP5365885B2 (ja) 手持ち式電子装置、それに適用される二重像取得方法及びそれにロードされるプログラム
US925070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2626771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camera mounted on a display apparatus
CN106488090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US9075572B2 (en) Media enhancement dock
KR2017013110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733718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KR20170006559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32541B1 (ko) 이미지 촬영장치 및 방법
KR1022669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146858B1 (ko) 촬영 장치 및 촬영 장치의 비디오 생성방법
KR201600318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CN112965601A (zh) 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KR201501330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120306786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150350587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remote controller thereof
KR20170140702A (ko) 이동 단말기
KR20120059170A (ko) 휴대단말기의 화면전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71405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US9811160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631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CN115209203A (zh) 电子装置、电子装置的控制方法以及存储介质
KR20070115510A (ko) 무접점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66564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