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5510A - 무접점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접점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5510A
KR20070115510A KR1020060050059A KR20060050059A KR20070115510A KR 20070115510 A KR20070115510 A KR 20070115510A KR 1020060050059 A KR1020060050059 A KR 1020060050059A KR 20060050059 A KR20060050059 A KR 20060050059A KR 20070115510 A KR20070115510 A KR 20070115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unit
light
change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0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3586B1 (ko
Inventor
조진호
Original Assignee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텍비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텍비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0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3586B1/ko
Priority to US12/298,730 priority patent/US8217895B2/en
Priority to PCT/KR2007/002126 priority patent/WO2007126286A1/en
Publication of KR20070115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586B1/ko
Priority to US13/529,623 priority patent/US8525790B2/en
Priority to US13/789,120 priority patent/US8610667B2/en
Priority to US13/788,968 priority patent/US858752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무접점 기능 선택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각 프레임 단위의 영상 데이터에서 검출 영역의 면적을 검출하고, 연속된 둘 이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식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변화 정보에 의해 디지털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이동폭이 결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접점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의 포인터 이동폭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장치, 카메라부, 무접점, 기능 선택.

Description

무접점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Device capable of non-contact function selection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형 및 무접점 기능 모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모드의 동작 원리를 예시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형 및 무접점 기능 선택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접점 기능 모드의 실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와 정보 항목 표시 영역간의 이미지 맵핑(mapping)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이미지 맵핑 방법을 구현한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을 테이블로 예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의 이미지 맵핑 방법을 이용한 무접점 선택된 기능의 인식 방법을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 통신 단말기
110 : 표시부
111 : 정보 항목 표시 영역
120 : 카메라부
125 : 영상 처리부
130 : 키 입력부
140 : 광원부
150 : 제어부
155 : 메모리부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한 기능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무접점 기능 선택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자공학 및 통신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사용자는 컴퓨터, 디 지털 카메라 등 디지털 가전기기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을 이용하여 인터넷 검색, 화상 통신, 동영상 또는 음악 재생, 위성방송 시청 등의 다양한 기능을 향유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다양한 기능을 향유하기 위해서는 의도하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키 입력 방법이 요망된다.
종래에 기능 선택 방법으로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방법으로는 각종 장치에 구비된 키 패드(key pad)의 다수의 키 버튼을 직접 눌러서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즉, 사용자는 키 패드의 메뉴 키를 누른 뒤 다시 방향키(또는 커서 이동키)를 수회 조작하여 LCD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해당 정보 항목(Icon)으로 이동시키고, 선택키를 이용하여 이동된 위치의 정보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능 선택 방법은 사용자가 의도하는 기능을 찾기까지 수회의 버튼 조작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최근의 디지털 장치가 구비하는 방대한 기능에 비하여 실제 빈번히 사용되는 기능은 제한적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기능의 선택을 위해 사용자가 매번 상술한 바와 같은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은 번거로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결국, 종래의 기능 선택 방법은 버튼 및 메뉴 조작이 서툰 사용자들에게 기능 선택을 위한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기능 선택 방법은 기능 선택을 위한 키 버튼을 반드시 구비하여야 하므로 각 키 버튼에 대한 별도의 금형 작업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디지털 장치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그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키 패드가 차지하는 고정적인 면적으로 인해 디지털 장치의 크기 및 디자인상에 제 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기능 선택 방법으로서 표시부를 통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겠지만, 터치 스크린이 가능한 표시부의 장착에 따른 제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메뉴 기능을 원격 제어함으로써 의도하는 기능 선택을 보다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무접점 기능 선택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 버튼을 통한 기존의 단조로운 기능 선택 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 유발을 할 수 있는 무접점 기능 선택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비된 카메라를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무접점 기능 선택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키 패드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디지털 장치의 공간적 활용도를 높혀 소형화 및 디자인 상의 다양성을 기할 수 있는 무접점 기능 선택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시 수단이 이격된 거리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폭이 결정되는 무접점 기능 선택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무접점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디지털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처리 장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각 프레임 단위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검출 영역의 면적을 검출하고, 연속된 둘 이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식별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변화 정보에 의해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이동폭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촬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는 빛을 외부로 방사하는 광원부;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및 각 프레임 단위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방사된 빛 중 지시 수단에 반사되어 입력되는 빛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고, 연속된 둘 이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 및 면적 변화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식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면 적 변화에 상응하는 변화 정보에 의해 이동폭이 결정되는 포인터가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면적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해 상기 이동폭이 증감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이고, 증가 변화 및 감소 변화가 n(임의의 자연수)회 반복되는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실행 개시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면적은 상기 검출 영역의 외곽선에 의해 형성된 도형의 넓이 또는 상기 검출 영역에 포함된 픽셀 수일 수 있다.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미리 지정된 파장과 휘도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식별부는 상기 파장과 상기 휘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편광(Ploarization)된 빛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는 상기 편광된 빛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빛만을 투과시키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부는 상기 필터를 투과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키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상기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식별부가 구동 개시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식별부는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이 검출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구동 개시 및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YUV 데이터 또는 RGB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처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빛을 외부로 방사하는 광원부;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및 각 프레임 단위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방사된 빛 중 지시 수단에 반사되어 입력되는 빛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의 위치를 검출하고, 연속된 둘 이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을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식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입력부에 포함된 미세 조절 버튼의 입력 여부에 의해 이동폭이 결정되는 포인터가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식별부는 상기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를 더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검출 영역의 면적은 상기 검출 영역의 외곽선에 의해 형성된 도형의 넓이 또는 상기 검출 영역에 포함된 픽셀 수일 수 있다.
상기 입력부는 상기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식별부의 구동 개시를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식별부는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이 검출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구동 개시 및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YUV 데이터 또는 RGB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는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및 각 프레임 단위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미리 지정된 빛 성분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고, 연속된 둘 이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 및 면적 변화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식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 영역은 광원부에 의해 외부로 방사된 빛 중 지시 수단에 반사되어 입력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이동폭은 상기 면적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해 증감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상기 표시부의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이고, 증가 변화 및 감소 변화가 n(임의의 자연수)회 반복되는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상기 표시부의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실행 개시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미리 지정된 파장과 휘도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식별부는 상기 파장과 상기 휘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편광(Ploarization)된 빛일 수 있다.
상기 식별부는 상기 편광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광된 빛은 상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장치가 포함하는 상기 편광된 빛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빛만 투과시키는 필터를 투과한 빛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로부터 외부 영상 신호에 상응하도록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수신부; 및 각 프레임 단위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미리 지정된 빛 성분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고, 연속된 둘 이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 및 면적 변화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식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출 영역은 광원부에 의해 외부로 방사된 빛 중 지시 수단에 반사되어 입력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이동폭은 상기 면적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해 증감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상기 표시부의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이고, 증가 변화 및 감소 변화가 n(임의의 자연수)회 반복되는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상기 표시부의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실행 개시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미리 지정된 파장과 휘도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식별부는 상기 파장과 상기 휘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편광(Ploarization)된 빛일 수 있다.
상기 식별부는 상기 편광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편광된 빛은 상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장치가 포함하는 상기 편광된 빛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빛만 투과시키는 필터를 투과한 빛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무접점 기능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장치가 무접점 기능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은, 광원부가 빛을 외부로 방사하는 단계; 카메라부가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영상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식별부가 각 프레임 단위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방사된 빛 중 지시 수단에 반사되어 입력되는 빛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고, 연속된 둘 이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 및 면적 변화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면적 변화에 상응하는 변화 정보에 의해 이동폭이 결정되는 포인터가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면적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해 상기 이동폭이 증감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이고, 증가 변화 및 감소 변화가 n(임의의 자연수)회 반복되는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실행 개시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상기 면적은 상기 검출 영역의 외곽선에 의해 형성된 도형의 넓이 또는 상기 검출 영역에 포함된 픽셀 수일 수 있다.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미리 지정된 파장과 휘도 중 하나 이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식별부는 상기 파장과 상기 휘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편광(Ploarization)된 빛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가 상기 편광된 빛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빛만을 투과시키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필터를 투과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키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상기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식별부가 구동 개시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식별부는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이 검출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구동 개시 및 종료될 수 있다.
상기 영상 데이터는 YUV 데이터 또는 RGB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 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선택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은 카메라 기능을 구비한 일체의 디지털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TV, 냉장고, 디지털 카메라, 컴퓨터 등의 디지털 가전 기기 및 각종 디지털 통신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대표적인 디지털 장치 중 하나인 이동 통신 단말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은 카메라부를 통해 촬상된 각 프레임상에 존재하는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를 인식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이동폭을 조절함을 특징으로 한다. 각 프레임상에 존재하는 검출 영역은 그 대상이 원에 가까운 물체(예를 들어, 손가락 단부 등)인 경우 엣지 디텍션(edge detection)이나 별도의 광원에서 방사된 빛이 해당 물체에 의해 반사 입력되어 형성된 영역을 해석함으로써 인식될 수 있다. 각 프레임상에서의 검출 영역(또는 중심점)의 위치 변동은 포인터의 표시 위치 변동으로 이용될 수 있고, 각 프레임상에서의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는 포인터의 이동폭 조절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별도의 광원에서 방사된 빛이 해당 물체에 의해 반사 입력되어 형성된 영역을 해석함으로써 포인터의 이동폭을 제어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각 프레임에서 검출 영역이 미리 지정된 방법에 의해 인식될 수 모든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여기서, 도 1이 도시하는 각 블록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수행하는 각 기능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각 블록 중 2개 이상이 통합되어 하나의 칩(chip)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보다 세분화하여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표시부(110), 카메라부(120), 영상 처리부(125), 키 입력부(130), 광원부(140), 제어부(150), 메모리부(155)를 포함한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는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부 및 음성 데이터의 입력과 출력을 위한 송수화부 등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카메라부(120)와 영상 처리부(125)는 편의상 카메라부(120)라는 명칭으로 통칭될 수도 있다.
키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문자 및 숫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환경(User Interface)을 제공한다. 키 입력부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모드(즉, 광원부(140)에서 방사(放射)되어 피사체(예를 들어, 손가락 단부)에 의해 반사되어 카메라부(120)로 입력된 빛의 이동 궤적 및/또는 형성 면적을 이용한 제어 명령의 입력)의 수행을 위한 키 버튼 및/또는 메뉴 항목이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키 버튼 및/또는 메뉴 항목의 선택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무접점 기능 모드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무접점 기능 모드로 진입되면 광원부(140). 카메라부(120), 영상 처리부(125) 등이 이에 상응하도록 동작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부(120)는 렌즈부, 이미지 센서부 및 신호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미도시)는 피사체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집하고, 이미지 센서부(미도시)는 렌즈부에 의해 수집된 광학 영상 신호를 전기적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신호 처리부(미도시)는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입력된 전기적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또한, 카메라부(120)는 광원부(140)에서 방사되는 빛이 편광(Polarization)된 빛인 경우에 편광된 빛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외부 영상만을 투과 시키기 위한 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영상의 필터링은 이미지 센서부가 외부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기 이전에 이루어지거나 변환된 영상 신호에서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센서부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고,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5)는 카메라부(120)로부터 입력된 영상 데이터 또는 후술할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다양한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영상 처리부(125)는 영상 데이터의 압축 및 복원, 영상 데이터의 크기 또는 밝기(휘도)의 조정, 영상 데이터의 픽셀(fixel)간 보간(interpolation), 영상 데이터의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또는 색채 보정, RGB 영상 데이터를 YUV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포맷 변환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5)는 상술한 신호 처리부와 통합적으로 구현되어 카메라부(120)의 일 구성요소로 포함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125)는 RGB 영상 데이터 또는 YUV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광원부(140)에 의해 조사된 빛이 지시 수단(예를 들어, 렌즈부 전단에 일정 간격으로 위치한 손가락 등)에 의해 반사되어 형성한 영역(이하, '검출 영역'이라 칭함)의 이동 궤적이나 형성 면적의 변화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영역의 변화가 제어부(150)에 의해 식별되는 경우, 식별부는 제어부(150)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검출 영역은 영상 처리부(125)에 의해 처리된 각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서 광원부(140)로부터 방사되는 빛의 파장 성분만을 검출함으로써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부(140)에서 방사되는 빛의 파장은 구비된 광원의 유형에 따라 미리 결정되어야 하며, 검출의 위한 파장 대역은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40)에서 방사되는 빛이 편광된 것인 경우에, 외부 영상 중 편광된 빛과 위상이 다른 외부 영상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여 외부 영상 중 광원부(140)에서 방사된 빛과 동일한 파장 성분의 세기를 상대적으로 증가 시킴으로써 검출 영역의 인식을 더욱 명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40)에서 방사되는 광이 적외(赤外) 광인 경우 적외광만을 투과하도록 하는 필터에 의해 필터링될 수도 있다.
검출 영역 변화에 대한 식별은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프리뷰 모드(Preview mode)로 동작되는 과정에서 수행될 수 있다. 프리뷰 모드란 카메라부(120)를 통해 실시간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표시부(110)를 통해 시각(視覺) 정보로서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실행 모드를 의미한다. 사용자는 프리뷰 모드에서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각 정보를 확인한 후, 미리 지정된 버튼(예를 들어, 셔터(shutter) 버튼)을 선택하여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인코딩된 이미지 데이터가 생성되어 메모리부(155)에 기록(즉, 캡쳐(Capture) 모드의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프리뷰 모드에서 검출 영역 변화에 대한 식별을 수행하는 이유는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이나 형성 면적의 변화를 식별하기 위해서는 현재 프레임에 대한 영상 정보뿐 아니라 비교 대상이 되는 이전 프레임들에 대한 영상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125)는 각 프레임들에 대한 영상 정보(또는 해당 프레임에서의 검출 영역의 특성(예를 들어, 위치, 크기 등)을 분석한 분석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25)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와 백엔드 칩(Back End Chip,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는 카메라부(120)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YUV 데이터로 변환하여 백엔드 칩으로 출력할 수 있다. 백엔드 칩은 입력된 YUV 데이터를 미리 지정된 인코딩 방법에 의해 JPEG나 BMP 등으로 변환하여 메모리부(155)에 저장하거나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백엔드 칩은 이미지의 확대, 축소, 로테이션 등의 기능도 수행 할 수 있다. 물론, 미리 지정된 인코딩 방법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능은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술한 식별부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백엔드 칩에 포함될 수도 있다.
광원부(140)는 제어부(150)의 특정 제어 신호(예를 들어, 무접점 기능 모드의 개시를 위한 제어 신호)에 의해 특정 파장의 빛을 외부로 방사한다. 광원부(140)에서 방사하는 빛의 파장은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파장에 상응하는 빛 성분만을 투과하는 필터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검출 영역의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40)에서 방사되는 빛은 특정 파장 및/또는 특정 위상으로 편광된 빛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편광된 위상과 동일한 방향의 빛 성분만을 투과하는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검출 영역의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광원부(140)에서 방사하는 빛은 인체에 무해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결정함이 바람직하다.
광원부(140)에 의해 방사된 빛은 피사체인 지시 수단(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되어 카메라부(120)로 입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부(140)의 광 조사 각도는 조사한 광이 지시 수단에 반사되어 카메라부(120)의 렌즈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각도로 미리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 등을 이용하여 광 조사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광원부(140)로서 구현 방법에 따라 다양한 발광 소자(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 등)가 제한없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광원부(140)는 적외광 LED일 수 있다. 또한, 식별부가 편광된 빛을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에서 검출 영역의 위치를 검 출하는 경우에 광원부(140) 상기 발광 소자에서 방사된 빛을 특정 방향으로 편광시키기 위한 수단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있음은 자명하다. 광원부(140)는 제어부(150)의 특정 제어 신호(예를 들어, 무접점 기능 모드의 종료를 위한 제어 신호)에 의해 빛 방사를 종료할 수 있다.
표시부(11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 키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또는 숫자 데이터), 후술할 메모리부(155)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 등을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표시부(110)는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110)에는 각종 데이터의 표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 메모리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술한, 광원부(140) 및 표시부(120)에 대해서는 이후 도 2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메모리부(155)에는 영상 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입력 데이터,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또는 기능 구동에 필요한 다양한 프로그램, 프로그램 수행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메모리부(155)에는 사용자가 무접점 선택한 기능의 해석을 위한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부(155)는 통합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복수의 메모리부들(예를 들어,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 영상 메모리 등)로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키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데이터 또는 메모리 부(155)에 저장되어 있는 영상 데이터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불러들여 표시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카메라부(120)의 촬상, 영상 처리부(125)의 영상 처리 및 광원부(140)의 작동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예들 들어, 제어부(150)는 무접점 기능 모드로의 진입/해제를 지정하기 위한 키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무접점 기능 모드의 수행 또는 완료에 상응하도록 카메라부(120), 영상 처리부(125) 및 광원부(1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외에, 제어부(150)는 무접점 기능 모드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0.1초 간격) 카메라부(120), 영상 처리부(125) 및 광원부(140) 등이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카메라부(120) 등을 통해 지시 수단의 유효한 움직임(예를 들어, 수평 이동 또는 수직 이동)이 검출되면 그 이후 지속적으로 무접점 기능 모드가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만일 유효한 움직임이 검출되지 않으면 다음 주기의 확인 시점까지 슬립 모드(sleep mode 또는 대기)에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만일 무접점 기능 모드의 동작이 개시된 이후에는 해당 모드의 동작을 지속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미리 지정된 확인 주기(예를 들어, 10초 간격)마다 검사를 수행하여, 유효한 움직임이 입력되지 않으면, 무접점 기능 모드가 종료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자동으로 개시된 무접점 기능 모드의 동작이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의 입력에 의해 종료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입력 수단(예를 들어, 키 버튼이나 사이트 키(132) 등)을 통하여 표시부(110)상에서 이동하는 포인터의 이동폭을 제어하는 명 령(예를 들어, 포인터의 미세 이동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지시수단이 이격된 거리에 무관하게 포인터의 이동폭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부가 제어부(150)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25)에 의해 처리된 순차적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출 영역의 변화를 판별하고, 무접점 기능 모드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제어 명령에 상응하는 제어 동작(예를 들어, 메뉴 선택,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된 포인터(pointer)의 위치 이동 등)이 수행되도록 상응하는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을 불러들인 후,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무접점 선택한 위치(즉, 검출 영역의 위치)에 상응하는 메뉴 기능을 인식해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25)에 의해 처리된 순차적인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출 영역의 면적을 판별하여 검출영역이 형성된 거리(즉, 지시수단과 카메라부(120)간의 이격 거리이며, 이하 '이격 거리'라 칭함)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판별된 거리에 따라 표시부(110)상에서 이동하는 포인터의 이동폭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격 거리가 작아지는 경우(즉, 검출 영역의 면적이 증가하는 경우)에 포인터의 이동폭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격 거리가 커지는 경우(즉, 검출 영역의 면적이 감소하는 경우)에 포인터의 이동폭이 감소되도록 제어하여 미세 조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물론,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선택 해제, 또는 실행 명령과 구분하기 위하여 검출 영역의 면적이 증가 또는 감소하는 비율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비율은 사용자 에 따라 상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물론, 검출 영역의 변화에 대한 인식 정보(예를 들어, 이동 궤적이나 형성 면적의 변화에 대한 정보)는 영상 처리부(125)에 의해 인식되어 상응하는 제어 신호가 제어부(150)로 입력될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을 이용한 제어부(150) 또는 영상 처리부(125)의 무접점 선택된 기능의 인식 방법은 이하 도 8 내지 도 10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다 구체화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형 및 무접점 기능 모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폴더형의 이동 통신 단말기(100)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예를 들어, 플립형, 슬라이드형 등)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에서는 광원부(140)가 카메라부(120, 즉 외부로 노출된 렌즈부)의 양 측면에 각각 하나씩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구비가능한 광원부(140)의 수량은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광원부(140)는 카메라부(120)를 중심으로 사방에 하나씩 구비되거나, 카메라부(120)를 중점으로 하는 정삼각형의 각 꼭지점에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일정한 경우 광원부(140)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단부(端部)에 특정 파장 및/또는 휘도(이하, '파장'으로 통칭함)의 빛을 방사할 수 있는 발광부를 구비한 지시 수단(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타입으로 구현된 지시 수단 등)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모드에서의 제어 명령 입력이 가능한 경우라면 광원부(140)는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카메라부(120)를 통해 입력되어 영상 처리부(125)에 의해 처리된 각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서 지시 수단에 구비된 발광부로부터 방사된 빛의 파장에 상응하는 픽셀의 위치 및/또는 범위를 해석함으로써 검출 영역의 변화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광원부(140)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카메라부(120)가 구비되는 위치는 도 2가 예시하는 위치와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모드의 실행을 위한 용도 이외에 일반적인 영상 촬상을 위한 용도로도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경우, 카메라부(120)나 영상 처리부(125)의 동작이 무접점 기능 모드의 실행을 위한 용도인지 일반적인 영상 촬상을 위한 용도인지를 구별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영상 처리부(125)가 프리뷰 영상을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모든 처리를 수행할 필요없이 단지 검출 영역의 변화를 인식하기 위한 동작만을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력 낭비 또는 처리 효율 감소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카메라부(120) 및/또는 영상 처리부(125)로 현재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어떤 용도로 이용될 것인지에 상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접점 기능 모드의 실행을 지시한 경우 그에 따른 특정 제어 신호를 카메라부(120) 및/또는 영상 처리부(125)로 전달함으로써 일반적인 영상 촬상(예를 들어, 프리뷰 모드, 캡쳐 모드의 실행)이 아닌 무접점 기능 모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일반적인 영상 촬상을 지시한 경우, 그에 따른 특정 제어 신호를 카메라부(120) 및/또는 영상 처리부(125)로 전달함으로써 검출 영역의 해석 및 변화 인식을 위한 일련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낭비 또는 처리 효율 감소를 억제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무접점 기능 모드 수행시의 카메라부(120) 및/또는 영상 처리부(125)의 기능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표시부(110), 카메라부(120), 키 입력부(130) 및 광원부(140)를 포함한다.
광원부(140)는 외부로 특정 파장을 가지거나, 특정 파장을 가지며 동시에 특정의 위상으로 편광된 빛을 방사할 수 있다. 광원부(140)에 의해 방사된 빛은 지시 수단(200, 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단부)에 의해 반사되며, 반사된 빛은 카메라부(120)의 렌즈부를 통해 입력된다. 따라서, 광원부(140)의 광 조사 각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지시 수단(200)에 의해 반사된 빛이 카메라부(120)를 통해 입력될 수 있는 각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광원부(140)는 제어부(150)에 의한 지시가 있는 경우에만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에 구비된 키 버튼들 중 미리 지정된 버튼을 선택(예를 들어, '메뉴'버튼(131) 또는 사이드 키(132)를 일정 시간 누름)하거나 미리 지정된 메뉴 항목을 선택하는 등의 방법으로 무접점 기능 모드의 실행을 지시한 경우, 제어부(150)는 광원부(140)가 턴온(turn-on)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유사한 방식에 의해 무접점 기능 모드의 종료를 지 시한 경우, 제어부(150)는 광원부(140)가 턴오프(turn-off)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원부(140)가 항시 턴온되어 빛을 방사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무접점 기능 모드의 수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0.1초 간격) 카메라부(120), 영상 처리부(125) 및 광원부(140) 등이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카메라부(120)의 촬상 기능을 동일한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일반적인 촬상 기능이 실행(즉, 프리뷰 모드 또는 캡쳐 모드의 실행)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25) 또는 식별부에 의한 검출 영역의 해석 및 변화 인식 동작이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별도의 움직임 인식 센서(예를 들어, 모션(motion) 센서 등)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무접점 기능 모드의 선택에 이를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움직임 인식 센서의 일정 간격 앞에서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특정 동작(예를 들어, 1초 이내에 2회 손을 흔드는 동작 등)을 취하면, 움직임 인식 센서는 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150)는 전달된 감지 신호에 의해 사용자가 무접점 기능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함으로써 광원부(140), 카메라부(120) 및/또는 영상 처리부(125)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무접점 기능 선택 모드의 선택은 키 입력부(130)의 '메뉴'버튼을 통해 선택되며, 또한 무접점 기능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만 광원부(140) 및 카메라부(120)가 동작하도록 제어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물론, 영상 처리부(125) 또는 제어부(150)에 포함된 검출 영역 해석 및 변화 인식을 수행하는 식별부는 무접점 기능 모드가 실행된 경우에만 동작되도록 제어될 것이다. 이하에서는 식별부가 영상 처리부(125)에 포함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카메라부(120)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실시간 생성하여 출력한다. 영상 신호는 영상 처리부(125)로 입력되어 검출 영역의 변화에 대한 인식 정보(예를 들어, 이동 궤적이나 형성 면적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된다. 상기 변환된 영상 데이터 포맷은 예를 들어 YUV 데이터, RGB 데이터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식별부는 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검출 영역을 인식하고, 현재 프레임과 이전 프레임간의 차이점을 인식하여 변화에 대한 인식 정보(예를 들어, 이동 궤적이나 형성 면적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입력한다. 상술한 검출 영역은 프리뷰 모드 형태로 실시간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식될 수도 있으나, 연속 촬영(캡쳐 모드 형태)된 영상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다만, 후자의 경우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JPEG, MPEG 등과 같이 미리 지정된 압축 표준에 따라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처리 속도가 늦어질 수 있다.
키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문자 및 숫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환경(User Interface)을 제공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키 입력부(130)의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을 이용하여 무접점 기능 모드로의 진입/해제를 설정할 수 도 있다. 예들 들어, 무접점 기능 모드로의 진입/해제를 지정하기 위한 키 버튼은 각각 상이하도록 미리 지정될 수 있다. 물론, 무접점 기능 모드로의 진입/해제를 지정하기 위한 키 버튼은 동일한 키 버튼으로 지정되어 입력 횟수에 따라 진입 또는 해제로 교번적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미리 지정된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만 무접점 기능 모드로 동작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무접점 기능 모드로의 진입/해제가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의 누름에 의해 결정되지 않고,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이격 거리에 따른 검출 영역의 면적을 이용하여 포인터의 이동폭이 자동 제어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사용자는 키 입력부(130)의 미리 지정된 키 버튼이나 사이드 키(132)를 이용하여 표시부(110)상에서 이동하는 포인터의 이동폭을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버튼이 눌려지고 있는 동안에만 검출영역이 형성된 거리에 관계없이 포인터가 미세 이동 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100)가 무접점 기능 모드를 이용하여 표시부(110)에 디스플레이된 정보 항목(예를 들어, 도 2의 화면 111에 예시된 각 정보 항목)을 선택하고 실행 개시를 지시할 수 있으므로,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키 패드에서 정보 항목의 선택을 위한 각종 기능 버튼(예를 들어, 전화 통화 버튼, 인터넷 접속 버튼 등) 및/또는 정보 항목의 이동을 위한 방향키 버튼 등이 생략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모드의 실행을 통해 인식될 수 없는 기능(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의 턴온(turn-on) 등)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일부 기능 버튼은 키 패드에 포함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부(130)의 구성 또는 형태는 사용자의 요구, 기능 선택의 편리성,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자인 상의 효율 등을 다각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할 문제로서, 도 2에 예시된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러한 이유로 도 2에 도시된 키 입력부(130)의 경우에도 문자 및 숫자 데이터의 입력을 위한 버튼들 외에 일부 기능 버튼(예를 들어,'메뉴'버튼(131) 및 '전원'버튼(133))이 구비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모드의 실행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기능 버튼 등이 존재하던 공간만큼을 제거하거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소형화 및 디자인상의 다양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생략가능한 다양한 기능 버튼이 사용자 편의를 위해 키 패드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10)는 사용자가 무접점 기능 모드(mode)의 실행을 지시한 경우, 정보 항목들을 화면상의 전부 또는 일부(이하, '정보 항목 표시 영역(111)'이라 함)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키 입력부(130)의 미리 지정된 버튼 또는 메뉴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무접점 기능 모드의 실행을 지시하면, 표시부(110)를 통해 표시되는 초기 화면이 도 2에 예시된 정보 항목 표시 영역(111)이 포함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정보 항목 표시 영역(111)이 포함된 화면 자체가 초기 화면으로 이용되거나, 초기 화면의 구성 방법은 다양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무접점 기능 모드가 실행된 경우 표시부(110) 전체를 통해 정보 항목 표시 영역(111)이 표시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또한, 정보 항목 표시 영역(111)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구비하고 있는 모든 기능을 개별적으로 실행하도록 지정된 모든 정보 항목들이 표시될 수도 있지만, 이하에서는 도 2에서 예시하는 바와 같이 9개의 구분 영역으로 나뉘어 표시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처럼 정보 항목 표시 영역(111)이 도 2에 예시된 것과 같이 9개의 구분 영역으로 나뉘어 각 기능에 상응하는 정보 항목을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가 구비하는 각종 기능 중 사용 빈도가 잦은 9개의 기능을 선택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모드의 실행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표시부(110)에 표시되는 정보 항목 표시 영역(111)은 미리 설정된 정보 항목들이 표시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취사 선택된 정보 항목들이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키 입력부(130)가 차지하는 공간 또는 별도의 공간을 통해 정보 항목 변경을 위한 버튼 등을 구비하거나 이미 구비된 키 버튼이 해당 용도를 위해 이용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정보 항목들의 취사 선택이 가능할 것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모드의 동작 원리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사용자에 의해 무접점 기능 모드의 실행이 개시된 후, 사용자가 지시 수단(20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이 실행되도록 하 는 과정을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지시 수단(200)으로 이용될 수 있는 객체(object)는 제한되지 않으며, 광원부(140)로부터 방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카메라부(120)로 입력할 수 있으면 충분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지시 수단(200)이 사용자의 손가락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선택이 가능한 장치 중 카메라부(120)만을 별도로 도시하였다.
사용자는 무접점 기능 모드의 실행을 지시한 후, 도 3에서와 같이 카메라부(120) 앞에 손가락을 이격되도록 위치시킨다. 이 경우 광원부(140)로부터 방사된 특정 파장이나 특정 파장을 가지는 동시에 특정 방향으로 편광된 빛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반사되어 카메라부(120)로 입력된다. 카메라부(120)로 입력된 광학적 영상 정보는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영상 처리부(125)로 입력된다. 영상 처리부(125)는 입력된 영상 신호를 검출 영역의 해석 및/또는 변화 인식을 위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변환된 영상 데이터는 예를 들어 YUV 영상 데이터, RGB 데이터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메라부(120)의 뷰 앵글(view angle) 및 광원부(140)의 빛 방사 각도는 미리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20)의 뷰 앵글(view angle) 및 광원부(140)의 빛 방사 각도는 각각 120도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뷰 앵글(view angle) 및/또는 빛 방사 각도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때, 광원부(140)로부터 방사된 특정 파장의 빛이나 특정 파장을 가지는 동시에 특정 방향으로 편광된 빛 중에 손가락에 의해 반사된 빛이 렌즈부에 영상으로 맺히게 되며, 반사된 빛이 형성하는 영역은 입력 영상의 다른 부분과 구별되는 정 보(예를 들어, 파장이나 휘도가 상이함)를 가질 것이다. 각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서 반사된 빛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을 인식함으로써 순차적인 프레임간의 검출 영역의 변화 정보(예를 들어, 이동 궤적 및/또는 형성 면적 등)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검출 영역은 손가락의 이동 궤적 및/또는 이동 방향에 상응하도록 형성될 것이다.
예를 들어, 식별부는 특정 파장의 영역만이 검출되도록 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검출 영역을 특정하고 각 프레임간의 검출 영역의 변화 정보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식별부는 각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 중에서 특정 휘도 성분을 가지는 영역을 검출함으로써 검출 영역을 특정하고 각 프레임간의 검출 영역의 변화 정보를 인식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특정 방향으로 편광된 빛 또는 영상 정보의 특정 성분(예를 들어, 파장 또는 휘도)만을 필터링 한 후에 특정 파장이나 특정 휘도 성분을 가지는 영역을 검출함으로써 검출 영역을 특정하고 각 프레임간의 검출 영역의 변화 정보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검출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파장 또는 휘도의 유효 범위는 미리 지정될 수 있고, 해당 범위 내의 파장 성분 또는 휘도 성분에 상응하는 픽셀들의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검출 영역을 특정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은 예를 들어 반사된 빛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의 중심점이 각 프레임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다.
또한, 검출 영역의 형성 면적은 예를 들어 각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서 검 출 영역의 외곽선으로 형성된 도형의 면적을 이용하여 판단되거나, 검출 영역 내에 포함된 픽셀들의 수를 이용하여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검출 영역의 형성 면적이 프레임간에 상이한 경우 이를 프레스(press)/릴리스(Release)로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10)에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이 확장되어 표시(예를 들어, 도 2의 '전화기능')되거나 포인터가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을 지시하는 상태에서, 검출 영역의 면적이 짧은 시간 내에 증가(즉, 손가락이 짧은 시간내에 렌즈부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해당 메뉴 항목이 선택(프레스)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또는 표시부(110)에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이 확장되어 표시(예를 들어, 도 2의 '전화기능')되거나 포인터가 이미 선택된 메뉴 항목을 지시하는 상태에서, 검출 영역의 면적이 짧은 시간 내에 감소(즉, 손가락이 짧은 시간내에 렌즈부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 경우 해당 메뉴 항목의 선택이 해제(릴리스)된 것으로 인식될 수 있다. 검출 영역의 형성 면적의 증가 또는 감소는 각 프레임 단위로 산출된 형성 면적을 연속된 프레임간에 비교함으로써 판단될 수 있다. 다만, 판단의 정확도를 위해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검출 영역의 면적이 증가 또는 감소된 경우에만,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가 프레스 또는 릴리스 된 것으로 인식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면적 변화가 미리 설정된 비율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 면적 변화는 지시수단이 이격된 거리 변화를 인식하는 것에만 사용될 것이다. 이 경우 인식된 거리는 거리에 상응하는 포인터 이동폭 조정을 위해 사용될 것이다.
도 4의 경우, 도 3과 비교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카메라부(120)의 렌즈부 쪽으로 보다 근접되어 위치한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 손가락의 위치가 도 3의 위치에서 도 4의 위치로 이동한 것이라 가정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된 빛이 형성하는 검출 영역이 각 프레임에서 점차 증가되고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식별부는 이에 상응하는 인식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입력할 것이고, 제어부(150)는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가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 내의 검출 영역에 포함된 픽셀 수의 변화량) 이상인지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판단되면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항목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만, 미리 설정된 비율 미만인 경우에는 검출 영역이 형성된 면적에 상응하여 포인터의 이동폭을 감소 시키는 명령으로만 인식할 것이다. 또한, 선택 명령과 포인터 이동폭 감소 명령은 별개의 명령이므로 상호 중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반대의 경우로,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가 도 4의 위치에서 도3의 위치로 이동한 것이라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반사된 빛이 형성하는 검출 영역이 각 프레임에서 점차 감소되고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식별부는 이에 상응하는 인식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150)로 입력할 것이고, 제어부(150)는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가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인지 판단하여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판단되면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해제 명령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만, 미리 설정된 비율 미만인 경우에는 검출 영역이 형성된 면적에 상응하여 포인터의 이동폭을 증가 시키는 명령으로만 인식할 것이다.
또한, 검출 영역의 형성 면적이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증가 및 감소를 반복(예를 들어, 지시수단이 카메라부와의 이격거리를 연속적으로 n(임의의 자연수)회 변동)하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선택된 정보 항목의 실행 개시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하여 해당 정보 항목에 상응하는 기능(또는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손가락을 렌즈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한 상태에서 무접점 기능 모드를 이용할 때 손가락의 위치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일정 간격에서 흔들릴 수 있으므로 선택, 선택 해제 또는 실행 개시 명령으로 인식하기 위한 기준(즉, 선택 범위)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범위는 제조자에 의해 카메라부(120) 앞의 소정의 거리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카메라부(120)의 렌즈부 상방에 구현된 가상의 키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동작을 취함으로써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선택 해제 또는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선택의 원리는 이하의 도 5에 대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5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 단부를 점(point)으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참조번호 510 및 참조번호 520은 사용자에 의한 손가락 단부의 수평 이동을 나타낸 것이며, 참조번호 530은 손가락 단부의 수직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물론, 이외에도 손가락 단부가 회전 이동(시계방향 및/또는 반시계 방향)될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수평 이동(회전 이동을 포함함)이란 카메라부(120)의 렌즈부가 구비된 평면으로부터의 일정한(또는 오차 범위 이내의) 수직 거리상에서 이동되는 사용 자의 손가락 단부의 모든 움직임 궤적(locus)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5에서는 손가락 단부의 수평 이동 중 좌우 이동(참조번호 510) 및 상하 이동(참조번호 520)만을 예시하고 있지만, 수평 이동이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회전 이동 등과 같이 손가락 단부의 움직임에 따른 다양한 궤적 및 방향을 포괄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수직 이동이란 손가락 단부가 카메라부(120)의 렌즈부가 구비된 평면으로부터 가까이 또는 멀리 이동되도록 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의미한다. 즉, 수직 이동은 사용자가 카메라부(120) 앞의 선택 범위 내의 공간 상에 존재하는 기능 선택을 위한 가상의 키 버튼을 누르거나 해제하는 듯한 동작을 취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손가락 단부의 수평 이동 및 수직 이동에 따른 이동 궤적이나 형성 면적은 카메라부(120)를 통해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석된다. 즉, 식별부는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각 프레임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 및 형성 면적의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이동 궤적 분석시 예를 들어 검출 영역의 중심점이 이용될 수 있고, 형성 면적 분석시 예를 들어 외곽선이 형성한 도형의 면적 또는 검출 영역에 포함된 픽셀 수가 이용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때, 인식된 손가락 단부의 이동 궤적에 따라 표시부(110)의 정보 표시 상태가 변경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모드가 개시되면 표시부(110)에 마우스 포인터와 유사한 포인터가 디스플레이되는 경우, 인식된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에 상응하도록 포인터가 이동되어 디스플레이되 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 선택 해제,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에 대응되는 정보 항목이 위치한 방향으로 손가락 단부를 수평 이동 또는 회전 이동 시킴으로써 해당 정보 항목의 위치로 포인터가 이동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포인터의 이동폭은 상술한 바와 같이 검출 영역이 형성된 거리(예를 들어, 손가락 단부와 카메라부(120) 사이의 거리)에 상응하여 결정될 것이다.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항목을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술한 과정을 통해 원하는 정보 항목에 포인터를 위치 시킨 후 도 5의 참조번호 530과 같이 선택 범위 내로 손가락 단부를 이동 시킨다. 이러한 수직 이동 동작은 사용자가 키 버튼을 누르는 동작과 대응되는 것으로서, 이를 통해 제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정보 항목이 선택 되었음을 표시하기 위해 해당 정보 항목의 색상 또는 폰트의 크기 등이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50)가 정보 항목의 선택 명령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가 있어야 됨은 앞서 본 바와 같다.
또한, 사용자는 무접점 기능 모드를 이용하여 선택된 정보 항목 등의 선택 해제를 실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정보 항목을 선택한 후 일부를 선택 해제 하고자 하는 경우에, 선택된 정보 항목에 포인터를 위치 시킨 후 참조번호 530의 역방향으로 손가락 단부를 이동 시킴으로써 해당 정보 항목이 해제(릴리스)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연속된 프레임에서 검출 영역의 형성 면적이 점차 감소함을 인식함으로써 판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50)가 선택된 정보 항목의 선택 해제 명령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가 있어야 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사용자는 무접점 기능 모드를 이용하여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실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행을 원하는 정보 항목에 포인터를 위치 시킨 후 참조번호 530의 방향으로 손가락 단부를 이동 시킨 후 연속적으로 참조번호 530의 역방향으로 손가락 단부를 이동 시킴으로서 해당 정보 항목이 실행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연속된 프레임에서 검출 영역의 형성 면적이 점차 증가한 후에 연속적으로 감소함을 인식함으로써 판단될 수 있다. 물론, 제어부(150)가 상기의 형성 면적의 변화가 정보 항목의 실행 명령으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정보 항목의 선택, 선택 해제, 실행 명령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검출 영역이 형성된 거리의 변화가 동반하게 된다. 이 경우 검출 영역이 형성된 거리에 상응하여 포인터의 이동폭이 결정되는데, 사용자는 포인터의 수평 이동에 대한 이동폭을 조정하기 위하여 참조 번호 530의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 시킬 수 있다. 검출 영역이 형성된 거리는 연속된 프레임에서 검출 영역의 형성 면적의 변화를 인식함으로서 측정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포인터의 이동폭을 미세 조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참조 번호 530의 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 시키는 경우에 정보 항목의 선택 명령과 구분되기 위해 면적의 변화는 선택 명령으로 인식되기 위해 설정된 비율 미만이 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반대로, 포인터의 이동폭을 증가 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참조번호 530의 역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 시킴으로써 실현이 가능하다. 또한, 포인터의 이동폭의 조정은 포인터의 수평 이동과 별개로 절차이므로 동시에 수행 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폭을 제어하는 다른 방법으로 검출 영역이 형성된 거리에 무관한 포인터의 이동폭을 가지되,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입력 수단(예를 들어, 사이드 키(132))을 통하여 포인터 이동폭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만 상이한 이동폭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 구비된 사이드 키(132)를 누르고 있는 동안에는 포인터가 미세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와 반대로 포인터의 이동폭이 확장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으며, 사이드 키(132)를 1회 누른 경우에 포인터가 미세 이동이 되고, 반복하여 1회를 추가로 누른 경우에 포인터의 미세 이동이 해제 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형 및 무접점 기능 선택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도 2와 달리 카메라부(120) 및 광원부(140)가 키 입력부(130)가 형성되는 키 패드 내의 소정의 공간 상에 위치하고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선택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카메라부(120) 및 광원부(140)를 도 6a와 같이 배치시킴으로써 상술한 무접점 기능 선택 방법 중 일부 과정을 생략가능한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선택 범위 내의 공간 상에 형성되는 가상의 키 버튼과 키 패드에 실제로 형성된 각 숫자 버튼의 위치가 1 대 1로 대응되도록 카메라부(120)의 초점 및 광원부(140)의 광 방사 각도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기능(정보 항목)이 표시된 위치로 손가락 단부를 수평 이동시킬 필요가 없을 것이다. 즉, 사용자는 선택하고자 하는 정보 항목(예를 들어, 전화 통화 아이콘)의 해당 번호(도 2의 경우는 1번)와 동일한 숫자 버튼(1번 버튼) 상의 공간에 손가락 단부를 바로 위치시킴으로써 해당 기능(전화 통화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일반적으로 키 버튼을 연속적으로 누를 때, 키 버튼을 누른 후 손가락이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멀어졌다가 다음 키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이, 각 키 버튼의 위치에 대응하여 검출 영역이 일정 면적 이상인 경우에만 해당 키 버튼이 선택된 것으로 인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이 경우에도 상술한 도 3 내지 도 5의 전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나, 이 경우에도 사용자에 의한 손가락 단부의 수평 이동 궤적이 짧아져 제어부(150)의 입력 영상의 해석에 따른 부담을 많은 부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 6b는 도 6a와 달리 카메라부(120) 및 광원부(140)가 키 입력부(130)가 형성되는 키 패드 내의 소정의 공간 상에 독립적으로 위치하지 않고, 하나의 키 버튼 영역을 공유하는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카메라부(120) 및 광원부(140)가 소형화됨에 따라 하나의 키 버튼(예를 들어, 5번 버튼)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어 도 6a와 같이 별도의 영역을 점유할 필요가 없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접점 기능 모드의 실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단계 S701에서, 먼저 사용자는 키 입력부(130)의 미리 지정된 버튼(예를 들어, '메뉴'버튼)을 누르는 등의 방법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100)에서 무접점 기능 모드의 실행을 지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50)는 무접점 기능 모드로의 진입과 동시에 표시부(110), 카메라부(120), 영상 처리부(125) 및 광원부(140) 등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카메라부(120)로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 출력 개시, 광원부(140)로 턴온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10)를 통해 초기 화면이 정보 항목 표시 영역(111)이 포함된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광원부(140)는 특정 파장 및/또는 휘도의 빛을 조사하고, 카메라부(120)는 실시간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피사체를 연속 촬상하게 된다.
단계 S702에서, 사용자는 손가락 등의 지시 수단을 카메라부(120) 앞에 위치시키고, 지시 수단을 수평 이동 또는 수직 이동한다. 지시 수단의 이동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가 생성되어 영상 처리부(125)로 입력되고, 영상 처리부(125)는 검출 영역의 변화 정보(예를 들어, 이동 궤적 및/또는 형성 면적의 변화)를 해석하고 생성하기 위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단계 S703에서, 식별부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각 프레임별로 분석하여 검출 영역의 위치 및 면적을 판별한다. 검출 영역은 광원부(140)로부터 방사된 빛이 지시 수단에 의해 반사되어 카메라부(120)로 입력된 외부 영상의 분석에 의해 인식됨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여기서, 검출 영역은 광원부(140)에서 방사한 광의 특성(예를 들어, 파장 및/또는 휘도 등)을 이용하여 인식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단계 S704에서, 식별부는 입력되는 각 영상 프레임에서 앞선 단계를 통해 판별되는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 및 형성 면적의 순차적인 변화를 이용하여 지시 수단의 이동 궤적(즉, 수평 이동 또는 수직 이동)을 인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식별부는 예를 들어 검출 영역의 중심점 위치 변화를 이용하여 지시 수단의 수평 이동을 인식할 수 있고, 검출 영역의 면적 증가(또는 변화율)를 이용하여 지시 수단의 수직 이동을 인식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식별부는 메모리부(155)에 저장된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출 영역의 인식 및 변화 정보의 생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을 이용한 무접점 선택된 기능의 인식 방법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 S705에서 제어부(150)는 식별부에 의해 인식된 검출 영역의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지시 수단이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어, 단위 시간당 면적 증감율) 이상으로 수직 이동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가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이라면,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선택 해제, 실행을 위한 것이므로 제어부(150)는 S707에서 상응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포 인터가 '전화기능'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시 수단이 렌즈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였다면 '전화 기능'이 선택된 것으로 표시(예를 들어, '전화 기능' 영역의 크기를 확대 또는 글자색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화 기능'이 선택된 상태에서 지시 수단이 렌즈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였다면 '전화 기능'이 선택 해제된 것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두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실행을 위한 것이므로, 제어부(150)는 S707에서 상응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각 구성 요소를 제어 한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전화 기능 수행을 위한 기능 모드를 개시할 것이다.
만약,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가 미리 설정된 비율 미만이라면, 검출 영역이 형성된 거리에 상응하여 포인터의 이동폭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어부(150)는 S706에서 상응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지시 수단이 렌즈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였거나 수평이동을 포함하는 수직이동을 하였다면 포인터의 이동폭을 감소시켜 미세 이동이 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지시 수단이 수평 이동하였다면, 표시부(110)상에서 이동하는 포인터의 위치를 변경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제어부(150)는 S706에서 상응하는 처리가 수행되도록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표시부(110)상에서 포인터가 '전화기능' 영역에 위치한 상태에서 지시 수단이 우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한 경우, 포인터는 '메시지' 영역쪽으로 이동될 것이다. 이 경우 포인터의 이동폭은 검출 영역이 형성된 거리에 상응하여 결정된다. 또한, 포인터가 지시하는 정 보 항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포인터의 수평 이동 과정에서 포인터가 지시하는 정보 항목을 확대 되어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다만, 정보 항목이 선택된 것(예를 들어, 확대된 정보 항목의 음영처리 등)과 구분되게 표시 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단계 S708에서 제어부(150)는 무접점 기능 모드가 종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무접점 기능 모드의 종료는 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기능 버튼 또는 메뉴 항목의 입력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만일 무접점 기능 모드의 종료가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를 종료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703으로 다시 진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와 정보 항목 표시 영역간의 이미지 맵핑(mapping)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이미지 맵핑 방법을 구현한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을 테이블로 예시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8의 이미지 맵핑 방법을 이용한 무접점 선택된 기능의 인식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처리부(125)에 의해 처리된 영상 데이터는 일정한 크기(예를 들어, 수평 화소수 m개와 수직 화소수 n개)를 갖는다. 이와 같이 무접점 기능 모드에서 지시 수단의 이동에 따른 좌표 정보가 정확히 인식되도록 하기 위해, 영상 데이터를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에 의해 해석될 수 있는 규격화된 크기 및 형태(예를 들어, 정보 항목 표시 영역(111)과 동일한 화소수를 갖는 크기 및 형태)로 변환시키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영상의 변환은 제어부(150)의 제어에 의해 영상 처리부(125) 또는 식별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데이터와 함께 영상 데이터의 원점 정보가 영상 메모리에 저 장될 수 있다. 원점 정보는 식별부가 영상 데이터에서 검출 영역에 상응하는 좌표를 인식하기 위한 기준 정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원점 정보는 입력 영상의 각 꼭지점 정보 중 어느 하나로 지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검출 영역에 상응하는 좌표 정보는 인식된 검출 영역의 중심점(center point)일 수 있다.
여기서, 영상 데이터를 분할한 각 분할 영역의 좌표 정보(P11 내지 P33)는 표시부(110)의 정보 항목 표시 영역(115)에 표시되는 각 기능(정보 항목)과 1 대 1 맵핑(mapping)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9는 영상 데이터 내의 검출 영역의 좌표를 결정하기 위한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을 테이블로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할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은 일 예에 불과하며, 그 외에도 데이터 좌표 인식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 또는 프로그램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도 9의 테이블은 정보 항목 표시 영역(111)이 도 2에서 예시하는 것처럼 9개의 부분 영역(즉, 개별 기능)으로 구분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따라서, 정보 항목 표시 영역(111)에 표시되는 기능의 수에 상응하여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은 상이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의 테이블은 영상 데이터의 원점 정보로서 좌측 하단의 꼭지점 정보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한 것인 바, 다른 원점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에도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이 상이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을 통한 무접점 기능 선택의 인식 방법을 설명하되, 검출 영역의 좌표는 (x, y)로 표시하며 원점 정보에 대한 좌표(이하,'원점'이라 함)는 (0, 0)으로 한다. 여기서, x는 원점을 기준으로 수평 방향의 길이 성분 값(즉, 수평 화소수)을 나타내고, y는 원점을 기준으로 수직 방향의 길이 성분 값(즉, 수직 화소수)을 나타낸다.
x 값이 0 < x < m/3인 경우에 있어서, y 값이 0 < y < n/3인 경우에 해당하는 모든 좌표(x, y)에 대한 좌표 정보는 P11로 인식하고, y 값이 n/3 < y < 2n/3인 경우에 해당하는 모든 좌표(x, y)에 대한 좌표 정보는 P21로 인식하고, y 값이 2n/3 < y < n인 경우에 해당하는 모든 좌표(x, y)에 대한 좌표 정보는 P31로 인식한다.
또한, x 값이 m/3 < x < 2m/3인 경우에 있어서, y 값이 0 < y < n/3인 경우에 해당하는 모든 좌표(x, y)에 대한 좌표 정보는 P12로 인식하고, y 값이 n/3 < y < 2 n/3인 경우에 해당하는 모든 좌표(x, y)에 대한 좌표 정보는 P22로 인식하고, y 값이 2n/3 < y < n인 경우에 해당하는 모든 좌표(x, y)에 대한 좌표 정보는 P32로 인식한다.
또한, x 값이 2m/3 < x < m인 경우에 있어서, y 값이 0 < y < n/3인 경우에 해당하는 모든 좌표(x, y)에 대한 좌표 정보는 P13로 인식하고, y 값이 n/3 < y < 2n/3인 경우에 해당하는 모든 좌표(x, y)에 대한 좌표 정보는 P23로 인식하고, y 값이 2n/3 < y < n인 경우에 해당하는 모든 좌표(x, y)에 대한 좌표 정보는 P33로 인식한다.
따라서, 도 10의 경우에는 검출 영역(도면에서 검은 색의 점으로 표시된 부분으로 가정함)의 좌표(x, y)가 x 값이 0 < x < m/3의 범위 내에 속하고, y 값이 2n/3 < y < n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이미지 맵핑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검출 영역이 P31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식별부는 해당 분할 영역 정보(P31)에 상응하는 정보 항목이 지정되어 표시(도 2 참조)되도록 하기 위한 인식 정보를 제어부(150)로 입력할 수 있다. 해당 정보 항목이 지정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검출 영역의 면적이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식별부로부터의 인식 정보에 의해 지정된 정보 항목이 선택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정보 항목이 지정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검출 영역의 면적이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감소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식별부로부터의 인식 정보에 의해 선택된 정보 항목이 선택 해제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정보 항목이 지정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검출 영역의 면적이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증가한 후에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경우(예를 들어, 마우스의 클릭과 유사한 동작), 제어부(150)은 제어부(150)는 식별부로부터의 인식 정보에 의해 지정된 정보 항목에 상응하는 기능(도 2의 경우 전화 통화 기능)을 실행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접점 기능 선택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메뉴 기능을 원격 제어함으로써 의도하는 기능 선택을 보다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 버튼을 통한 기존의 단조로운 기능 선택 방식에서 벗어나 기능 선택에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흥미 유발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장치에 구비된 카메라를 범용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부품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키 패드 제작 비용을 절감하고, 디지털 장치의 공간적 활용도를 높혀 소형화 및 디자인 상의 다양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시 수단이 이격된 거리에 따라 포인터의 이동폭이 결정되는 무접점 기능 선택이 가능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9)

  1. 촬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및
    각 프레임 단위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검출 영역의 면적을 검출하고, 연속된 둘 이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식별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화 정보에 의해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이동폭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2. 촬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처리 장치에 있어서,
    빛을 외부로 방사하는 광원부;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및
    각 프레임 단위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방사된 빛 중 지시 수단에 반사되어 입력되는 빛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고, 연속된 둘 이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 및 면적 변화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식별부를 포함하되,
    상기 면적 변화에 상응하는 변화 정보에 의해 이동폭이 결정되는 포인터가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해 상기 이동폭이 증감되도록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이고, 증가 변화 및 감소 변화가 n(임의의 자연수)회 반복되는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실행 개시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은 상기 검출 영역의 외곽선에 의해 형성된 도형의 넓이 또는 상기 검출 영역에 포함된 픽셀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미리 지정된 파장과 휘도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파장과 상기 휘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편광(Ploarization)된 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된 빛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빛만을 투과시키는 필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식별부는 상기 필터를 투과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미리 설정된 키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상기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식별부가 구동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식별부는 상 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이 검출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구동 개시 및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YUV 데이터 또는 RGB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14. 촬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처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입력부;
    빛을 외부로 방사하는 광원부;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
    상기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및
    각 프레임 단위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방사된 빛 중 지시 수단에 반사되어 입력되는 빛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의 위치를 검출하고, 연속된 둘 이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을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식별부를 포함하되,
    상기 입력부에 포함된 미세 조절 버튼의 입력 여부에 의해 이동폭이 결정되는 포인터가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 털 처리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검출 영역의 면적 변화를 더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되,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영역의 면적은 상기 검출 영역의 외곽선에 의해 형성된 도형의 넓이 또는 상기 검출 영역에 포함된 픽셀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식별부의 구동 개시를 위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식별부는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이 검출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구동 개시 및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YUV 데이터 또는 RGB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
  20.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에 있어서,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데이터 생성부; 및
    각 프레임 단위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미리 지정된 빛 성분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고, 연속된 둘 이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 및 면적 변화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식별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출 영역은 광원부에 의해 외부로 방사된 빛 중 지시 수단에 반사되어 입력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이동폭은 상기 면적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해 증감되도록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상기 표시부의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이고, 증가 변화 및 감소 변화가 n(임의의 자연수)회 반복되는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상기 표시부의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실행 개시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미리 지정된 파장과 휘도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파장과 상기 휘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27.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편광(Ploarization)된 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편광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되,
    상기 편광된 빛은 상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장치가 포함하는 상기 편광된 빛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빛만 투과시키는 필터를 투과한 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29.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로부터 외부 영상 신호에 상응하도록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수신부; 및
    각 프레임 단위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미리 지정된 빛 성분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고, 연속된 둘 이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 및 면적 변화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식별부를 포함하되,
    상기 검출 영역은 광원부에 의해 외부로 방사된 빛 중 지시 수단에 반사되어 입력되는 빛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입력 신호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포인터의 이동폭은 상기 면적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해 증감되도록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변화 정 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상기 표시부의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선택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이고, 증가 변화 및 감소 변화가 n(임의의 자연수)회 반복되는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상기 표시부의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실행 개시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미리 지정된 파장과 휘도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파장과 상기 휘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편광(Ploarization)된 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편광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되,
    상기 편광된 빛은 상기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지털 처리장치가 포함하는 상기 편광된 빛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빛만 투과시키는 필터를 투과한 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38. 촬상 기능이 구비된 디지털 처리 장치가 무접점 기능 모드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광원부가 빛을 외부로 방사하는 단계;
    카메라부가 외부 영상에 상응하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영상 데이터 생성부가 상기 영상 신호에 상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식별부가 각 프레임 단위의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방사된 빛 중 지시 수단에 반사되어 입력되는 빛에 의해 형성된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고, 연속된 둘 이상의 프레임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 영역의 이동 궤적 및 면적 변화를 인식하여 상응하는 변화 정보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면적 변화에 상응하는 변화 정보에 의해 이동폭이 결정되는 포인터가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기능 모드 수행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의 증가 또는 감소에 의해 상기 이동폭이 증감되도록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기능 모드 수행 방법.
  40.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인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 목의 선택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기능 모드 수행 방법.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 변화가 단위 시간당 미리 설정된 비율 이상이고, 증가 변화 및 감소 변화가 n(임의의 자연수)회 반복되는 경우, 상기 변화 정보는 상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정보 항목들 중 포인터가 위치한 정보 항목의 실행 개시 명령 또는 해제 명령으로 인식되도록 미리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기능 모드 수행 방법.
  42.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면적은 상기 검출 영역의 외곽선에 의해 형성된 도형의 넓이 또는 상기 검출 영역에 포함된 픽셀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기능 모드 수행 방법.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미리 지정된 파장과 휘도 중 하나 이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기능 모드 수행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파장과 상기 휘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기능 모드 수행 방법.
  45.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에서 방사되는 빛은 편광(Ploarization)된 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기능 모드 수행 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처리 장치가 상기 편광된 빛과 동일한 위상을 가지는 빛만을 투과시키는 필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식별부는 상기 필터를 투과한 빛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에서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기능 모드 수행 방법.
  47. 제38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미리 설정된 키 버튼의 입력에 의해 상기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식별부가 구동 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기능 모드 수행 방법.
  48.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부, 상기 카메라부, 상기 영상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식별부는 상기 검출 영역의 위치와 면적이 검출될 때까지 주기적으로 구동 개시 및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기능 모드 수행 방법.
  4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는 YUV 데이터 또는 RGB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접점 기능 모드 수행 방법.
KR1020060050059A 2006-04-28 2006-06-02 무접점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84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59A KR100843586B1 (ko) 2006-06-02 2006-06-02 무접점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12/298,730 US8217895B2 (en) 2006-04-28 2007-04-30 Non-contact selection device
PCT/KR2007/002126 WO2007126286A1 (en) 2006-04-28 2007-04-30 Non-contact selection device
US13/529,623 US8525790B2 (en) 2006-04-28 2012-06-21 Non-contact selection device
US13/789,120 US8610667B2 (en) 2006-04-28 2013-03-07 Non-contact selection device
US13/788,968 US8587523B2 (en) 2006-04-28 2013-03-07 Non-contact sele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0059A KR100843586B1 (ko) 2006-06-02 2006-06-02 무접점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510A true KR20070115510A (ko) 2007-12-06
KR100843586B1 KR100843586B1 (ko) 2008-07-04

Family

ID=39141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0059A KR100843586B1 (ko) 2006-04-28 2006-06-02 무접점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358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32B1 (ko) * 2006-06-14 2008-07-31 엠텍비젼 주식회사 무접점 마우스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방법
CN110276742A (zh) * 2019-05-07 2019-09-24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列车尾灯监测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KR20200051166A (ko) *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제스처 인식 기반의 제어 명령의 실행이 가능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4253425A (zh) * 2020-09-21 2022-03-29 大众汽车股份公司 用于机动车辆的操作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455A (ja) * 2000-08-03 2002-02-15 Sanyo Electric Co Ltd 入力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該装置を具備する携帯情報装置
KR20030021987A (ko) * 2001-09-07 2003-03-15 이민호 영상처리를 이용한 무선 Finger Mouse 시스템
KR100520050B1 (ko) 2003-05-12 2005-10-11 한국과학기술원 응시방향 기반의 머리착용형 컴퓨터 인터페이스 장치 및방법
KR100660125B1 (ko) 2006-02-10 2006-12-20 주식회사 엠씨넥스 카메라를 이용한 포인팅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32B1 (ko) * 2006-06-14 2008-07-31 엠텍비젼 주식회사 무접점 마우스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51166A (ko) * 2018-11-05 2020-05-13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제스처 인식 기반의 제어 명령의 실행이 가능한 전자 단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10276742A (zh) * 2019-05-07 2019-09-24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列车尾灯监测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0276742B (zh) * 2019-05-07 2023-10-10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列车尾灯监测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4253425A (zh) * 2020-09-21 2022-03-29 大众汽车股份公司 用于机动车辆的操作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3586B1 (ko) 200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0667B2 (en) Non-contact selection device
AU2022200580B2 (en) Photographing method,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CN106105247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20110193993A1 (en) Apparatus having photograph function
US8164671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body and reporting terminal
KR20150026535A (ko)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객체를 인식하는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92077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using user interaction
KR20180133743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36174A (ko)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43586B1 (ko) 무접점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TW201510772A (zh) 手勢判斷方法及電子裝置
KR100778927B1 (ko) 무접점 키 입력이 가능한 장치 및 그 인식 방법
KR100977443B1 (ko) 제스쳐 기반의 가전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849532B1 (ko) 무접점 마우스 기능을 가지는 장치 및 방법
KR100749481B1 (ko) 무접점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TW201419051A (zh) 電腦遙控系統及方法
CN111880422A (zh) 设备控制方法及装置、设备、存储介质
KR102250720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9298824A (zh) 一种应用程序的启动方法及终端设备
KR101491648B1 (ko) 촬영부를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471304B1 (ko) 가상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그 방법
CN114924648A (zh) 显示设备、终端设备和手势交互方法
KR2021006311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방법
CN114374762A (zh) 终端设备及拍摄控制方法
KR20080045585A (ko) 피사체 회전 동작 감지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