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963A - 시트백 프레임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백 프레임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963A
KR20190079963A KR1020170182087A KR20170182087A KR20190079963A KR 20190079963 A KR20190079963 A KR 20190079963A KR 1020170182087 A KR1020170182087 A KR 1020170182087A KR 20170182087 A KR20170182087 A KR 20170182087A KR 20190079963 A KR20190079963 A KR 20190079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base
welded
workpieces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Priority to KR102017018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9963A/ko
Priority to PCT/KR2018/016914 priority patent/WO2019132615A1/ko
Publication of KR20190079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20Bonding
    • B23K26/21Bond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7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3K26/702Auxiliary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문건은 복수 개의 피용접물을 대상으로 한 레이저 용접시, 피용접물들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미리 설정된 모든 용접 개소의 피용접물들 사이의 갭을 용이하게 규제할 수 있는 용접용 지그 장치를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과 제2 피용접물을 지지하는 받침대; 용접홀과 플런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의 상방에 배치되는 가압판;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과 제2 피용접물이 상기 가압판에 의해 가압된 상태일 때, 상기 가압판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백 프레임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JIG EQUIPMENT FOR LASER WELDING SEAT BACK FRAME}
본 문건이 개시하는 기술은, 용접시 피용접물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지그 장치와 관련된다.
다양한 차종 중 객실과 트렁크의 구분이 없는 해치백(Hatch Back) 및 SUV(Sport Utility Vehicle) 등은, 트렁크와 가장 가까운 시트가 운전석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시트는 흔히 '폴딩 시트(Folding Seat)'라 불린다.
계속해서, 폴딩 시트에서 사용자의 허리와 등을 지지하는 부분에 해당하는 시트백 프레임은 프레임부와 판넬부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강이 적용된 프레임부(F1)와 일반강이 적용된 판넬부(P1)로 구성된 시트백 프레임의 형상 예이다.
도 1에 도시된 프레임부(F1)와 판넬부(P1)는 스폿 용접 또는 CO2 용접을 통해, 상호 결합되는데, 프레임부(F1)와 판넬부(P1)의 용접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F1)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유닛(10)들과, 판넬부(P1)의 가장자리를 파지할 수 있는 파지유닛(20)들을 구비한 지그 장치(1)가 보조적으로 활용된다.
한편, 최근 자동차 제조사들은, 차량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자동차 제조시, 일반강(판)의 사용 비율을 줄이고, 고장력강(판) 또는 초고장력강(판)의 사용 비율을 늘리고 있는 추세다.
계속해서, 도 3은 고장력강이 적용된 프레임부(F2)와, 고장력강이 적용된 판넬부(P2)로 구성된 시트백 프레임의 형상 예이다.
도 3에 도시된 고장력강이 적용된 프레임부(F2)와, 고장력강이 적용된 판넬부(P2)는 소재 특성상 스폿 용접 또는 CO2 용접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없고,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여 결합하여야만 한다.
한편, 시트백 프레임은 용접 개소(Point)가 상당히 많은 특징이 있다.
또 한편, 레이저 용접시, 피용접물[판넬부(P2), 프레임부(F2)]들 사이의 갭(Gap)이 0.2mm 이상일 경우, 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그에 따라, 고장력강이 적용된 프레임부(F2)와, 고장력강이 적용된 판넬부(P2)를 레이저 용접으로 결합시킬 시, 판넬부(P2)가 전체적으로 프레임부(F2)에 밀착되어야만 하는데, 이때, 종래의 지그 장치(1)로는, 고장력강이 적용된 프레임부(F2)에 고장력강이 적용된 판넬부(P2)를 견고하게 밀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왜냐하면, 고장력강이 적용된 프레임부(F2)에 고장력강이 적용된 판넬부(P2)를 견고하게 밀착시키기 위해선, 상당량의 파지유닛(20)이 필요한데, 종래의 지그 장치(1)는 그 구조상, 구비할 수 있는 파지유닛(20)의 개수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 초고장력강 : 규소, 망간 등을 소량 첨가한 강을 열처리한 것으로, 고장력강보다 항장력(고장력강의 항장력은 50kg/ mm 2 )이 높은 강재를 지칭함. 통상 인장강도 400 ~ 1000MPa 이내를 고장력강 , 인장강도 1000MPa 이상을 초고장력강으로 분류함.
KR 10-1514948 B1 (2015.04.24. 공고) KR 10-1463702 B1 (2014.11.20. 공고)
복수 개의 피용접물을 대상으로 한 레이저 용접시, 피용접물들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미리 설정된 모든 용접 개소의 피용접물들 사이의 갭을 용이하게 규제할 수 있는 용접용 지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과 제2 피용접물을 지지하는 받침대; 용접홀과 플런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의 상방에 배치되는 가압판;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과 제2 피용접물이 상기 가압판에 의해 가압된 상태일 때, 상기 가압판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제1 피용접물과 제2 피용접물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과 제2 피용접물을 들어올리는 승강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판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에 힌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문건이 개시하는 기술의 일부 양태(Aspect)에 불과하며, 다른 양태나 특징들은 '발명의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복수 개의 피용접물을 대상으로 한 레이저 용접시,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를 이용하면, 미리 설정된 모든 용접 개소의 피용접물들 사이의 갭을 용이하게 규제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강이 적용된 프레임부(F1)와 일반강이 적용된 판넬부(P1)로 구성된 시트백 프레임의 형상 예이다.
도 2는 종래의 지그 장치(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장력강이 적용된 프레임부(F2)와, 고장력강이 적용된 판넬부(P2)로 구성된 시트백 프레임의 형상 예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10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1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2)는 복수 개의 피용접물[제1 피용접물(PA), 제2 피용접물(FA)]을 레이저 용접을 이용하여, 상호 결합하고자 할 때, 2개의 피용접물을 거치 및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전술한 피용접물[제1 피용접물(PA), 제2 피용접물(FA)]은 고장력강 또는 초고장력강일 수 있다.
하나의 예로, 제1 피용접물(PA)은 고장력강으로 제작된 시트백 프레임의 판넬부일 수 있고, 제2 피용접물(FA)는 고장력강으로 제작된 시트백 프레임의 프레임부일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1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장치(100)는 베이스(110), 받침대(120), 가압판(130) 및 클램프(14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소정 면적을 지닌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베이스(110)의 하부에는 베이스지지대(112)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지지대(112)는 작업 테이블(미도시) 상면에 베이스(110)가 비스듬하게 거치될 수 있도록 베이스(110)의 하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받침대(120)는 베이스(110)의 상면에 구비된다. 베이스(110)는 제1 피용접물(PA)을 지지하는 부분과, 제2 피용접물(FA)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베이스(110)의 형태는,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제2 피용접물(FA)의 상부에 제1 피용접물(PA)이 포개어 졌을 때,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의 하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가압판(130)은 하나 이상의 용접홀(132)과 하나 이상의 플런저(134)를 구비하고, 받침대(120)의 상방에 배치된다. 가압판(130)은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이 받침대(120)에 안착된 상태에서,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의 상면을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가압판(130)의 용접홀(132)은 레이저 용접 개소(Point)이다. 플런저(134)는 막대 플런저 및 볼 플런저 등일 수 있으며, 용접홀(132)의 주위에 배치되어, 용접홀(132) 직하방에 위치하는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 사이의 갭이 0.2mm 이내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1 피용접물(PA)을 부분 가압하는 기능을 한다.
받침대(120)와 가압판(130)은 피용접물[제1 피용접물(PA), 제2 피용접물(FA)]의 형상에 따라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가압판(130)은 일측이 베이스(110)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114)에 힌지 결합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116)에 의해 자동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램프(140)는 베이스(110)에 구비되어, 받침대(120)에 안착된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이 가압판(130)에 의해 가압된 상태일 때, 가압판(130)을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클램프(140)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클램프(140)는 베이스(110)의 폭 방향 또는 길이 방향 가장자리에 상호 마주하게 배치되어, 가압판(130)의 양쪽 가장자리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로,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100)는 센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150)는 베이스(110)에 구비되고,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100)는 승강실린더(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실린더(160)는 베이스(110)에 구비되어,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을 언로딩(Unloading)하는 기능을 한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100)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여, 복수 개의 피용접물[제1 피용접물(PA), 제2 피용접물(FA)]을 대상으로 한 레이저 용접시,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받침대(120)에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이 안착된다. 이때, 센서(150)는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의 존재 유무를 판별한다.
계속해서, 유압실린더(116)가 압축되면, 가압판(130)에 의해,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이 압축된다.
이어서, 클램프(140)에 의해, 가압판(130)이 고정된다.
계속해서, 가압판(130)에 형성된 용접홀(132)을 통해 레이저 용접이 진행된다. 이때, 용접홀(132)의 주위에 위치한 플런저(134)들이 제1 피용접물(PA)을 부분 가압하기 때문에, 용접홀(132) 직 하방에 위치한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의 갭은 2mm 이내로 유지될 수 있다.
이어서, 모든 용접홀(132)에 용접이 완료되면, 가압판(130)이 열리고, 승강실린더(160)에 의해,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이 언로딩된다. 이때, 센서(150)는 다시 한번 제1 피용접물(PA)과 제2 피용접물(FA)의 존재 유무를 판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피용접물[제1 피용접물(PA), 제2 피용접물(FA)]을 대상으로 한 레이저 용접시,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100)를 이용하면, 미리 설정된 모든 용접 개소의 피용접물[제1 피용접물(PA), 제2 피용접물(FA)]들 사이의 갭을 2mm 이내로 규제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지그 장치(10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문건이 개시하는 기술의 권리범위는 '발명의 설명' 및 '도면' 전반에 내포된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지그 장치
110 : 베이스
112 : 베이스지지대
114 : 힌지
116 : 유압실린더
120 : 받침대
130 : 가압판
132 : 용접홀
134 : 플런저
140 : 클램프
150 : 센서
160 : 승강실린더
PA : 제1 피용접물 FA : 제2 피용접물
--
1 : 종래의 지그 장치
10 : 안착유닛
20 : 파지유닛
P1 : 일반강이 적용된 판넬부 F1 : 일반강이 적용된 프레임부
P2 : 고장력강이 적용된 판넬부 F2 : 고장력강이 적용된 프레임부

Claims (4)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고,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과 제2 피용접물을 지지하는 받침대;
    용접홀과 플런저를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의 상방에 배치되는 가압판; 및,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과 제2 피용접물이 상기 가압판에 의해 가압된 상태일 때, 상기 가압판을 고정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지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판의 일측은 상기 베이스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고, 제1 피용접물과 제2 피용접물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지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하나로 포개진 제1 피용접물과 제2 피용접물을 들어올리는 승강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지그 장치.

KR1020170182087A 2017-12-28 2017-12-28 시트백 프레임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KR20190079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087A KR20190079963A (ko) 2017-12-28 2017-12-28 시트백 프레임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PCT/KR2018/016914 WO2019132615A1 (ko) 2017-12-28 2018-12-28 시트백 프레임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087A KR20190079963A (ko) 2017-12-28 2017-12-28 시트백 프레임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257A Division KR20200056967A (ko) 2020-05-15 2020-05-15 시트백 프레임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963A true KR20190079963A (ko) 2019-07-08

Family

ID=6706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087A KR20190079963A (ko) 2017-12-28 2017-12-28 시트백 프레임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79963A (ko)
WO (1) WO20191326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595B1 (ko) * 2022-09-16 2023-09-11 주식회사 골드테크 경량화 소재로 형성되는 유체 분사 구조체 제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702B1 (ko) 2010-10-12 2014-11-20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레이저 용접 방법
KR101514948B1 (ko) 2013-11-21 2015-04-24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용접장치 및 용접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4696B2 (ja) * 2008-03-17 2009-12-16 フェトン株式会社 レーザ溶接装置
KR101430182B1 (ko) * 2012-10-30 2014-08-14 (주)오토엔 용접지그
KR101613473B1 (ko) * 2014-09-30 2016-04-20 (주)화신 용접 부품 장착대
KR101642800B1 (ko) * 2015-03-13 2016-07-26 김관철 모재의 인출을 용이하게 한 용접장치
KR101684164B1 (ko) * 2015-09-01 2016-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스폿 용접용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702B1 (ko) 2010-10-12 2014-11-20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레이저 용접 방법
KR101514948B1 (ko) 2013-11-21 2015-04-24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의 용접장치 및 용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6595B1 (ko) * 2022-09-16 2023-09-11 주식회사 골드테크 경량화 소재로 형성되는 유체 분사 구조체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32615A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0982B1 (de) Vorrichtung zum festspannen von mindestens zwei bauteilen, insbesondere von bauteilen für luftfahrzeuge, zur verbindung der bauteile durch eine mittels reibrührschweissen zwischen zwei bauteilkanten gebildete schweissnaht
JP2925063B2 (ja) 薄板ブランクを溶接する装置
CN106112481B (zh) 一种用于汽车座椅滑轨的装配机
US10799933B2 (en) Methods and punch handling apparatuses for the production of a workpiece
CA2542480C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olding materials for the forming and joining thereof
KR20200056967A (ko) 시트백 프레임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KR101550611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로딩장치
KR200470720Y1 (ko) 이종두께 및 이종재료 접합을 위한 지그장치
KR20190079963A (ko) 시트백 프레임 레이저 용접용 지그 장치
CN114515927A (zh) 一种金属板对接用的焊接工作台及其对接方法
US20210069843A1 (en) Autonomous processing station
KR20140125714A (ko) 2차원 twb 공법에 적용 가능한 마찰교반용접용 지그 장치
KR101228301B1 (ko) 레이저 용접용 클램핑 장치
CN107160082A (zh) 汽车转向节壳体焊接夹紧及搬运装置
JP2004154842A (ja) 鋼板のクランプ装置
JP4060127B2 (ja) シリンダブロックの固定治具
CN113001011B (zh) 装甲车车体焊接工装
CN213795000U (zh) 一种机电安装用焊接器具
TWI300365B (ko)
CN208392677U (zh) 一种汽车内饰板超声波焊接流水线的放件工位
JP3422171B2 (ja) ダイフェースとブランクホルダとの間隔調整装置および絞り加工用プレス成形機ならびに絞り加工方法
CN206366773U (zh) 一种汽车座椅用滑道连接杆焊接夹具
CN208496171U (zh) 一种用于焊接车头座椅支架的焊接固定装置
KR20210028346A (ko) 레이저 절단가공용 금속판재 공급장치
CN210334928U (zh) 铁路道岔用垫板高效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134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515

Effective date: 2021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