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894A -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894A
KR20190079894A KR1020170181970A KR20170181970A KR20190079894A KR 20190079894 A KR20190079894 A KR 20190079894A KR 1020170181970 A KR1020170181970 A KR 1020170181970A KR 20170181970 A KR20170181970 A KR 20170181970A KR 20190079894 A KR20190079894 A KR 20190079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weight
parts
adhesiv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5708B1 (ko
Inventor
홍상현
김여주
김한수
김기영
김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81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570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5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57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9/00Adhesiv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e.g. glue sticks
    • C09J9/02Electrically-conduct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09J2201/62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 아크릴계 중합체; 경화제; 및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ANTISTATIC ADHESIVE COMPOSITION AND PROT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고습 환경 하에서도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전 제품, 전자 제품, 광학 소자, 자동차 등과 같은 제품의 운반, 보관, 및/또는 조립 등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물리적 충격에 의해 제품 표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 필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호 필름은 통상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과 같은 플라스틱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점착층이 형성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보호 필름용 점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점착제로는 내후성이나 투명성 등을 이유로 아크릴계 점착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편광판,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판, 휘도 향상 필름 등과 같은 광학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아크릴계 점착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보호필름 및 광학 부재들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생산이나 운반 과정에서 마찰 등에 의해 쉽게 대전될 수 있으며, 이때 발생하는 정전기는 주변의 먼지나 티끌을 끄어 당겨 오염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정전기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액정에 전압을 가할 경우, 액정 분자의 배향이 손실되거나, 패널에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제품 표면에 대전 방지층을 형성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으나, 제품 생산 과정에서 추가적인 공정이 요구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생산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점착제에 대전 방지제를 직접 첨가하여 대전 방지 성능을 갖는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충분한 대전 방지 성능을 구현하기 위해 대전 방지제를 많이 사용하게 되면, 점착층의 투명성이 떨어지고, 수분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하며, 대전 방지제가 점착제 표면으로 이행되어 점착제 물성이 저하되고, 점착제 부착면의 오염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가지면서도 점착제 표면으로의 이행성이 적어 점착제 부착면의 오염이 적은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하고, 대전 방지제의 표면 이행성이 적어 점착제 부착면의 오염이 적은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 아크릴계 중합체; 경화제; 및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본 발명의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에 의해 대전 방지제가 킬레이팅되어 대전 방지제의 표면 이행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대전 방지제 표면 이행에 의한 피착체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은 양의 대전 방지제를 사용하여도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을 첨가제 형태로 포함시킴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물성 저하를 최소화하고, 대전 방지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 메타크릴의 총칭이다.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와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며, (메트)아크릴산은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X 내지 Y」는 「X 이상 Y 이하」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 아크릴계 중합체; 경화제; 및 대전 방지제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각 성분들에 대해 설명한다.
(1)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
상기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은 대전 방지제의 표면 이행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알킬렌 옥사이드 유닛을 포함하고,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이다.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 유닛은 대전 방지제를 킬레이팅하고, 말단의 히드록시기는 경화제와 반응을 통해 가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대전 방지제 및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이 점착층 표면으로 이행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대전 방지제 표면 이행에 의한 피착체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적은 양의 대전 방지제를 사용하여도 우수한 대전 방지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은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쪽 말단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 화합물을 사용할 경우, 대전방지제의 킬레이팅 효과가 떨어지고, 경화제와의 가교 구조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점착층 표면 이행 억제 효과가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을 첨가제 형태로 포함시킴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물성 저하를 최소화하고, 대전 방지 특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아크릴계 중합체 중합 시에 알킬렌 옥사이드 유닛을 갖는 단량체를 첨가하는 방안도 고려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중합체의 점도가 상승하여 코팅성이 저하되고, 미반응 단량체에 의한 표면 오염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알킬렌 옥사이드 유닛을 갖는 단량체가 과량으로 포함될 경우, 점착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첨가량이 제한적이며, 이로 인해 대전 방지제의 표면 이행 억제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다.
상기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은 수소 또는 C1~C4인 알킬기이고, 상기 R2는 단일 결합, C1~C10인 알킬기 또는 C6~C12인 아릴기이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이들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대전 방지제의 점착층 표면 이행 억제 효과가 미미하고,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아크릴 공중합체의 가교를 방해할 수 있으며,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들 간의 마이그레이션(migration)에 의해 헤이즈가 발생하거나, 오염이 증대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2) 아크릴계 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크릴계 중합체는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제조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다.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점착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에 포함되는 알킬기가 지나치게 길어지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저하되고, 유리전이온도(Tg)나 점착성 조절이 어려워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예로는,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트)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는,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80중량부 이상, 바람직하게는 90중량부 내지 99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우수한 점착력 및 내구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상기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이외에 다른 공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단량체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및 질소 함유 단량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에서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산 및 말레산 무수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질소 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또는 N-비닐 카프로락탐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공단량체는 단량체 혼합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20중량부 미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중합 방법들, 예를 들면, 용액 중합, 광중합, 벌크 중합, 서스펜션 중합 또는 유화 중합 등과 같은 중합법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 시에 중합 개시제, 분자량 조절 등을 추가로 첨가될 수 있으며, 각 성분들의 투입 시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성분들은 일괄 투입될 수도 있고, 여러 차례 나누어서 분할 투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특히, 용액 중합법을 사용하여 아크릴계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용액 중합은 각각의 단량체가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개시제, 분자량 조절제 등을 첨가하여, 50℃ 내지 140℃의 중합 온도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개시제의 예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또는 아조비스시클로헥산 카르보니트릴 등과 같은 아조계 개시제; 및/또는 과산화 벤조일 또는 과산화 아세틸 등과 같은 과산화물과 같은 통상의 개시제를 들 수 있고, 상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는 t-도데실 머캅탄, 또는 n-도데실 머캅탄 등의 머캅탄류, 디펜틴, 또는 t-테르펜의 테르펜류, 클로로포름, 또는 사염화탄소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또는 펜타에리드리톨 테트라키스 3-머캅토 프로피온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아크릴계 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300,000 내지 2,500,000, 바람직하게는 300,000 내지 2,000,000, 더 바람직하게는 300,000 내지 1,000,000일 수 있다.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할 경우, 우수한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3) 경화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경화제는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점착층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경화제들 예를 들면,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및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2,4-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6-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름 디이소시아네이트, 1,3-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 시클로헥산,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변성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크실렌 디오소시아네이트 어덕트, 토리페닐메탄토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비스 트리 이소시아네이트, 이들의 폴리올(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 테트라글리시딜에틸렌디아민,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지리딘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미드), 트리에틸렌 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시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및/또는 바나듐과 같은 다가 금속이 아세틸 아세톤 또는 아세토초산 에틸 등에 배위하고 있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일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히드록시기와의 반응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이를 사용할 경우,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갖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가교 반응을 통해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대전 방지제의 표면 이행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경화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가교 구조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아 점착층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고, 대전 방지제의 표면 이행 억제 효과가 미미하다. 경화제 함량이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제 물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4) 대전 방지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 방지제를 포함한다. 상기 대전 방지제는 점착제에 대전 방지 성능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대전 방지제들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대전 방지제는, 암모늄염, 피리디늄염, 이미다졸염, 포스포늄염, 알칼리 금속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대전 방지제는, 암모늄, 피리디늄, 이미다졸륨, 포스포늄 및 알킬리 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양이온과, Cl-, Br-, I-, BF4 -. PF6 -, AsF-, ClO4 -, NO2 -, CO3 -, N(CF3SO2)2 -, N(CF3CO)2 -, N(C2F5CO)2 -, N(C2F5SO2)2 -, N(C4F9SO2)2 -, C(CF3SO2)3 -, 및 CF3SO3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음이온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대전 방지제는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칼륨,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나트륨,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리튬, 비스(트리플루오술포닐)이미드칼륨, 비스(트리플루오술포닐)이미드나트륨, 비스(트리플루오술포닐)이미드리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대전 방지제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대전 방지제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대전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가교 효율이 감소하고, 대전 방지제 마이그레이션(migration)으로 인해 헤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5) 기타 성분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물성 조절을 위해 상술한 성분들 이외에, 용매, 실란 커플링제, 가교 촉매제, 점착성 부여 수지, 첨가제 등과 같은 다른 성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점도 조절을 위한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에틸 아세테이트, n-펜탄, 이소펜탄, 네오펜탄, n-헥산, n-옥탄, n-헵탄,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톨루엔 또는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플링제는 점착제와 편광판 또는 피착체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커플링제의 예로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 메틸디에톡시 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머캅토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 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γ-메타크릴록시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γ-아미노프로필 트리메톡시 실란, γ-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3-이소시아네이토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γ-아세토아세틸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γ-아세토아세틸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β-시아노아세틸 트리메톡시 실란, β-시아노아세틸 트리에톡시 실란, 아세톡시아세토 트리메톡시 실란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세토아세테이트기 또는 β-시아노아세틸기를 갖는 실란계 커플링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실란계 커플링제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커플링제의 함량이 0.01 중량부 미만이면, 밀착성 증가 효과가 미미하며, 5 중량부를 초과하면,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가교 촉매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 촉매제는 점착층의 경화(가교) 촉진을 위한 것으로, 점착제 조성물에 가교 촉매제를 포함할 경우, 점착층 형성 후 별도의 에이징(숙성) 공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가교 촉매제로는, 예를 들면, 비스(트리-n-부틸틴)옥사이드, 비스(트리-n-부틸틴)설페이트, 디-n-부틸디페닐틴, 디-n-부틸틴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n-부틸틴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디-n-부틸틴디클로라이드, 디-n-부틸틴디라울레이트, 디-n-부틸틴옥사이드, 디메틸디페닐틴, 디메틸틴디클로라이드, 디페닐틴디클로라이드, 디페닐틴옥사이드, 헥사-n-부틸틴, 헥사페닐틴, 테트라-n-부틸틴, 테트라페닐틴, 틴(II)아세테이트, 틴(II)아세틸아세토네이트, 염화주석(II), 요오드화주석(II), 틴(II)옥살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가교 촉매제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 중량부 내지 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부 내지 0.1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가교 촉매제의 함량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경화 촉진 효과가 미미하며, 0.5중량부를 초과하면,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점착 성능의 조절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의 점착성 부여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착성 부여 수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수첨) 히드로카본계 수지, (수첨) 로진 수지, (수첨) 로진 에스테르 수지, (수첨)테르펜 수지, (수첨) 테르펜 페놀 수지, 중합 로진 수지 또는 중합 로진 에스테르 수지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성 부여 수지의 함량이 1 중량부보다 작으면, 첨가 효과가 미미할 우려가 있고, 100 중량부를 초과하면, 상용성 및/또는 응집력 향상 효과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발명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에폭시 수지, 가교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및 가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다양한 용도, 예를 들면, 보호 필름용 점착층 또는 편광판용 점착층 등을 형성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점착층은 대전 방지제의 표면 이행으로 인한 피착체 오염이 적고,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고온/고습 환경 하에서도 대전 방지 성능 및 내오염성 변화가 적고,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점착층은, 하기 식(1)로 표시되는 점착층의 표면 저항 변화율이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이하이다.
식 (1): 표면 저항 변화율(%) = {log A - log A0}×100
상기 식 (1)에서 A0는 점착층 형성 직후 상온에서 측정한 점착층의 표면 저항값이고, 상기 A는 점착층 형성 후 60℃, 상대습도 90% 조건에서 7일간 보관한 후에 측정한 점착층의 표면 저항값이다.
보호 필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호 필름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보호 필름은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보호 필름은 기재 필름,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며,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 필름으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보호 필름의 기재로 사용되는 다양한 필름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등의 합성 수지 필름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재 필름은 단층체 또는 복층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두께는 5 ~ 500 ㎛ 정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 필름의 표면에는 점착층에 대한 밀착성 향상을 위해,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처리, 플라즈마 처리, 블라스트 처리, 케미칼 에칭 처리, 프라이머 처리 등과 같은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상기 점착층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상기 기재 필름 상에 도포한 후,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포는, 일반적으로 나이프 코터, 롤 코터, 캘린더 코터, 콤마 코터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또한, 도포 두께나 도포액의 점도에 따라서는 그라비어 코터, 로드 코터 등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건조는, 예를 들면, 6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1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건조 공정에서 공급되는 열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 내의 용매가 휘발되고, 경화제와 아크릴계 중합체 간의 경화 반응이 진행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건조 공정이 종료된 후에 가교 반응을 완료시키기 위한 숙성 공정을 추가로 실시할 수 있다. 숙성 공정은, 예를 들면, 25℃ 내지 90℃의 온도 범위에서 1일 내지 7일동안 수행될 수 있다.
편광판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은,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되는 점착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편광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된 일반적인 종류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편광 필름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 포함되는 편광자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편광자 등과 같이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종류를 제한 없이 채용할 수 있다.
편광자는 여러 방향으로 진동하면서 입사되는 빛으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진동하는 빛만을 추출할 수 있는 기능성 필름 또는 시트이다. 이와 같은 편광자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편광자를 구성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를 겔화하여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사용될 수 있는 폴리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에는, 비닐 아세테이트의 단독 중합체는 물론, 비닐 아세테이트 및 상기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에서 비닐 아세테이트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예에는, 불포화 카르본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및 암모늄기를 가지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겔화도는, 통상 85몰% 내지 100몰% 정도,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추가로 변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 내지 10,0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0 내지 5,000 정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여, 편광자의 원반 필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제막된 원반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1 ㎛ 내지 150 ㎛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연신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상기 원반 필름의 두께는 10 ㎛ 이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편광자는 상기와 같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연신(ex. 일축 연신)하는 공정,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색소로 염색하고,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이색성 색소가 흡착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붕산(boric acid)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 및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 후에 수세하는 공정 등을 거쳐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이색성 색소로서는, 요오드(iodine)나 이색성의 유기염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 필름은, 또한, 상기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에 포함될 수 있는 보호 필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과 같은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필름; 및/또는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또는 시클로계나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필름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으로 구성되는 보호 필름이 적층된 다층 필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 필름의 두께 역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적인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편광 필름에 점착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필름 또는 소자에 바코터 등의 통상의 수단으로 점착제 조성물(코팅액)을 도포하고 경화시키는 방법, 또는 점착제 조성물을 일단 박리성 기재의 표면에 도포하고 경화시킨 후에, 형성된 점착층을 편광 필름 또는 소자의 표면에 전사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착층의 형성 과정은, 또한, 점착제 조성물(코팅액) 내부의 휘발 성분 또는 반응 잔류물과 같은 기포 유발 성분을 충분히 제거한 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점착제의 가교 밀도 또는 분자량 등이 지나치게 낮아 탄성률이 떨어지고, 고온 상태에서 유리판 및 점착층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들이 커져 내부에서 산란체를 형성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편광판의 제조 시에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방법 역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의 열 경화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또한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성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다음으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편광판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명에 따른 편광판이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되어 있는 액정 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정 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면,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고, TN(Twisted Neumatic)형, STN(Super Twisted Neumatic)형, F(ferroelectric)형 및 PD(polymer dispersed LCD)형 등을 포함한 F 각종 수동행렬 방식; 2단자형(two terminal) 및 3단자형(three terminal)을 포함한 각종 능동행렬 방식; 횡전계형(IPS mode) 패널 및 수직배향형(VA mode) 패널을 포함한 공지의 액정 패널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에 포함되는 그 외의 기타 구성의 종류 및 그 제조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의 일반적인 구성을 제한 없이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아크릴계 중합체 (A)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3L 반응기에 부틸 아크릴레이트(BA) 98 중량부, 및 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BA) 2 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용제로 에틸 아세테이트(EAc) 75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산소 제거를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 동안 퍼징(purging)한 후, 온도를 60℃로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분자량 조절제로 n-도데실머캅탄(n-DDM) 0.03중량부, 중합개시제로 2,2'-아조비스(2,2'-이소부티로나이트릴, AIBN 제조사: Junsei) 0.05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중합체(A)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아크릴계 중합체 (B)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3L 반응기에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95중량부, 및 히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HBA) 5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용제로 에틸 아세테이트(EAc) 75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산소 제거를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 동안 퍼징(purging)한 후, 온도를 60℃로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분자량 조절제로 n-도데실머캅탄(n-DDM) 0.03중량부, 2,2'-아조비스(2,2'-이소부티로나이트릴, AIBN 제조사: Junsei) 0.15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중합체(B)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아크릴계 중합체 (C)
질소 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3L 반응기에 부틸 아크릴레이트(BA) 90 중량부, 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2 중량부 및 메톡시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MPEGMA) 8중량부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에 용제로 에틸 아세테이트(EAc) 75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산소 제거를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 동안 퍼징(purging)한 후, 온도를 60℃로 유지하였다. 그런 다음, 분자량 조절제로 n-도데실머캅탄(n-DDM) 0.03중량부, 중합개시제로 2,2'-아조비스(2,2'-이소부티로나이트릴, AIBN 제조사: Junsei) 0.15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계 중합체(C)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 1 ~ 3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을 GPC를 이용하여 하기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검량선 제작에는 Agilent system의 표준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측정 결과를 환산하였다.
<측정 조건>
측정기: Agilent GPC(Agulent 1200 series, 미국)
컬럼: PL Mixed B 2개 연결
컬럼 온도: 40℃
용리액: 테트로하이드로퓨란
유속: 1.0mL/min
농도: ~ 1mg/mL(100μL injection)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시료 A B C
단량체 혼합물 BA 98 - 90
EHA - 95 -
HBA 2 5 2
MPEGMA - - 8
중량평균분자량
(Mw)
80만 76만 78만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중합체 A 100중량부, 경화제(Coronate L, 니폰 폴리우레탄사) 5 중량부, 대전방지제(LiTFSI: 리튬 트리플로우로설포닐이미드) 0.5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 Mn=400)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중합체 A 100중량부, 경화제(Coronate L, 니폰 폴리우레탄사) 5 중량부, 대전방지제(LiTFSI: 리튬 트리플로우로설포닐이미드) 3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 Mn=400)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중합체 B 100중량부, 경화제(Coronate L, 니폰 폴리우레탄사) 3 중량부, 대전방지제(LiTFSI: 리튬 트리플로우로설포닐이미드) 8 중량부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 Mn=400) 3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제조예 3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중합체 C 100중량부, 경화제(Coronate L, 니폰 폴리우레탄사) 5 중량부, 대전방지제(LiTFSI: 리튬 트리플로우로설포닐이미드) 0.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제조예 1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중합체 A 100중량부, 경화제(Coronate L, 니폰 폴리우레탄사) 5 중량부, 대전방지제(LiTFSI: 리튬 트리플로우로설포닐이미드) 5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제조예 2에 의해 제조된 아크릴계 중합체 B 100중량부, 경화제(Coronate L, 니폰 폴리우레탄사) 3 중량부, 대전방지제(LiTFSI: 리튬 트리플로우로설포닐이미드)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폴리에틸렌글리콜 대신 폴리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PEGME)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아크릴계 중합체
(중량부)
A A B C A B A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경화제 5 5 3 5 5 3 5
대전방지제 0.5 3 8 0.5 5 10 3
PEG 0.5 1.5 3 - - - -
PEGME - - - - - - 1.5
상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4에 의해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방법
(1) 점착 표면 오염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PET 필름 상에 도포한 후, 90℃에서 3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PET 필름을 10cm×10cm 크기로 재단한 후, 유리 기판 상에 점착층이 오도록 라미네이트하고, 상온 조건 및 온도 60℃/상대습도 90% 조건에서 각각 7일간 방치하였다. 그런 다음, 암실에서 500루멘 이상의 빛을 비추면서 유리 기판으로부터 상기 점착층을 5cm 먼저 박리시킨 후 멈췄다가 나머지를 박리시키면서 유리 기판 표면의 오염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평가기준으로 하기와 같다.
<평가 기준>
○: 유리 표면에 얼룩 형태 또는 기타 오염 물질 없이 깨끗함
△: 기포 형태의 오염 물질 희미하게 관찰되거나, 박리 중간 멈춘 자국이 약하게 나타남
X: 기포 및 기타 오염 물질 뚜렷한 관찰되거나 박리 중간 멈춘 자국 선명하게 나타남
(2) 표면 저항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PET 필름 상에 도포한 후, 90℃에서 3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하고, 점착층 형성 직후의 표면 저항 A0(단위: Ω/□)와, 상기 점착층이 형성된 PET 필름을 온도 60℃, 상대습도 90% 조건에서 7일 동안 방치한 후 표면 저항 A(단위: Ω/□)를 각각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표면 저항은 Hiresta-UP(제조사: Mitsubishi chemical analytech)를 이용하여 500V에서 점착층에 URS Probe를 접촉시켜 측정하였다.
또, 상기 보호 필름 제조 직후에 표면 저항 A0와, 상기 보호 필름을 온도 60℃, 상대습도 90% 조건에서 7일 동안 방치한 후에 측정한 표면 저항 A를 하기 식(1)에 대입하여 표면 저항 변화율을 측정하였다. 표면 저항 변화율이 50% 이하인 경우를 ○, 표면 저항 변화율이 50%를 초과하는 경우를 X로 나타내었다.
식 (1): 표면 저항 변화율(%) = {log A - log A0}×100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점착 표면 오염 상온 X
60℃,90% RH X X X X
표면 저항 A0 1.5e11 2.5e10 4.8e9 2.5e10 1.8e10 3.2e9 2.0e10
A 3.2e11 3.7e10 7.1e9 7.3e10 2.1e11 8.7e11 5.5e10
변화율(%) X X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 3의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된 점착층의 경우, 상온 및 고온/고습 조건 모두에서 우수한 내오염성을 나타냈으며, 대전 방지 특성 역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비교예 1 및 4의 점착제 조성물은 고온/고습 조건에서의 내오염성이 떨어졌으며, 비교예 2 및 3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온 및 고온/고습 조건에서의 내오염성이 모두 떨어지고, 대전 방지 특성도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11)

  1.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
    아크릴계 중합체;
    경화제; 및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상기 R1은 수소 또는 C1~C4인 알킬기이고, 상기 R2는 단일 결합, C1~C10인 알킬기 또는 C6~C12인 아릴기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말단에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알킬렌 옥사이드계 화합물은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 방지제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인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7.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을 경화시켜 형성되는 점착층.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하기 식(1)로 표시되는 표면 저항 변화율이 50% 이하인 점착층.
    식 (1): 표면 저항 변화율(%) = {log A - log A0}×100
    상기 식 (1)에서 A0는 점착층 형성 직후 상온에서 측정한 점착층의 표면 저항값이고, 상기 A는 점착층 형성 후 60℃, 상대습도 90% 조건에서 7일간 보관한 후에 측정한 점착층의 표면 저항값임.
  9. 기재 필름; 및
    상기 기재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청구항 7의 점착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
  10. 편광 필름;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는 청구항 7의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
  11. 청구항 10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81970A 2017-12-28 2017-12-28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57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970A KR102395708B1 (ko) 2017-12-28 2017-12-28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970A KR102395708B1 (ko) 2017-12-28 2017-12-28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894A true KR20190079894A (ko) 2019-07-08
KR102395708B1 KR102395708B1 (ko) 2022-05-09

Family

ID=6725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970A KR102395708B1 (ko) 2017-12-28 2017-12-28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57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328A1 (ko)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한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20210119871A (ko) * 2020-03-25 2021-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한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9915B2 (ja) * 1996-01-26 2005-02-1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KR100688256B1 (ko) * 2005-11-12 2007-03-0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표면보호용 점착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10413B1 (ko) * 2006-10-23 2008-03-04 율촌화학 주식회사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보호필름
JP5030251B2 (ja) * 2004-07-26 2012-09-1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40063529A (ko) * 2011-10-21 2014-05-27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위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사용
JP5535987B2 (ja) * 2004-09-16 2014-07-0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60074425A (ko) *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70015185A (ko) * 2015-07-31 2017-02-0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용 표면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19915B2 (ja) * 1996-01-26 2005-02-1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偏光板用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
JP5030251B2 (ja) * 2004-07-26 2012-09-19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535987B2 (ja) * 2004-09-16 2014-07-02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類、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100688256B1 (ko) * 2005-11-12 2007-03-0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표면보호용 점착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10413B1 (ko) * 2006-10-23 2008-03-04 율촌화학 주식회사 표면 보호 필름용 점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표면 보호필름
KR20140063529A (ko) * 2011-10-21 2014-05-27 니폰 가야꾸 가부시끼가이샤 광학부재의 제조방법 및 그것을 위한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사용
KR20160074425A (ko) * 2014-12-18 2016-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101743371B1 (ko) * 2014-12-18 2017-06-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KR20170015185A (ko) * 2015-07-31 2017-02-08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용 표면 보호 필름,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328A1 (ko) * 2020-03-25 2021-09-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한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KR20210119871A (ko) * 2020-03-25 2021-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한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CN114514301A (zh) * 2020-03-25 2022-05-17 株式会社Lg化学 用于保护膜的粘合剂组合物、包含其的粘合剂和使用其的粘合片
JP2022548754A (ja) * 2020-03-25 2022-11-21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これを含む粘着剤およびこ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CN114514301B (zh) * 2020-03-25 2023-06-23 株式会社Lg化学 用于保护膜的粘合剂组合物、包含其的粘合剂和使用其的粘合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5708B1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2887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831558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5534457B2 (ja) 粘着剤組成物、これを含む保護フィルム及び偏光板並びに液晶表示装置
KR101347965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061939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840114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574018B1 (ko) 점착제 조성물
KR20130072180A (ko) 점착제 조성물
KR101748011B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편광판용 점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716545B1 (ko) 광학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494495B1 (ko)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KR102395708B1 (ko)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보호 필름,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CN113597457A (zh) 丙烯酸类粘合剂组合物、偏光板和显示设备
KR102443986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6591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0995508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2434825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27986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56592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063057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584892B1 (ko) 점착제 조성물
KR20190079430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호 필름
KR20190079542A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호 필름
KR102259745B1 (ko) 점착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용 점착제 조성물
KR101770448B1 (ko)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