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357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357A
KR20190079357A KR1020170181496A KR20170181496A KR20190079357A KR 20190079357 A KR20190079357 A KR 20190079357A KR 1020170181496 A KR1020170181496 A KR 1020170181496A KR 20170181496 A KR20170181496 A KR 20170181496A KR 20190079357 A KR20190079357 A KR 20190079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unit
display
output area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4108B1 (ko
Inventor
박진영
봉지훈
이승현
이윤경
이상혁
이철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1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108B1/ko
Priority to PCT/KR2018/014440 priority patent/WO2019132260A1/ko
Priority to US16/958,669 priority patent/US11310458B2/en
Publication of KR20190079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다양한 컨텐츠의 출력 형태에 대응하여 고정 바디 및 상기 고정 바디의 적어도 일 모서리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 바디에 대해 슬라이드 되어 전면 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 시키는 확장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고, 출력 영역 및 상기 출력 영역의 단부에서 감겨 상기 출력 영역의 배면에 구비되는 비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바디의 전면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 영역과 상기 비출력 영역의 비율이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컨텐츠의 성질 등에 따라 출력 영역이 가변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 단말기와 연동되어 화면 출력 등을 유기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고, 복수의 컨텐츠를 한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휘어짐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의 복합적인 출력 형태 및 장치적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구현에 따라 출력 영역을 가변적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컨텐츠 출력 형태에 따라 가변하여 효율적인 출력 영역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고정 바디 및 상기 고정 바디의 적어도 일 모서리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 바디에 대해 슬라이드 되어 전면 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 시키는 확장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고, 출력 영역 및 상기 출력 영역의 단부에서 감겨 상기 출력 영역의 배면에 구비되는 비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바디의 전면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 영역과 상기 비출력 영역의 비율이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영역의 배면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감싸 감겨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대는 서로 다른 폭을 갖는 복수의 프레임의 간격이 가변하여 상기 출력 영역 및 비출력 영역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고정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출력 영역에 수직한 회전축을 형성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 상기 확장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지점을 포함하는 레일부 및 일단이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레일부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타단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확장 바디가 슬라이드 하는 힘을 전달하는 회전 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바디에 구비된 제2 리니언 기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감김 정도를 조절하는 제3 리니언 기어 및 상기 제2 리니언 기어 및 상기 제3 리니언 기어를 체결하여 상기 제2 리니언 기어의 이동을 상기 제2 리니언 기어에 전달하는 전달 기어를 포함하는 디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 및 출력 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네 모서리 중 적어도 일 측 방향에 대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출력 영역을 갖고, 상기 수신된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 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출력 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출력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화면 방향 정보가 포트레이트인 경우 상기 출력 영역을 축소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화면 방향 정보가 랜드스케이프인 경우 상기 출력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신부는 복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각 화면 정보 및 출력 방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각 출력 방향 정보가 모두 랜드스케이프인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각 화면 정보의 좌우 경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의 경계와 일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신부는 복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각 화면 정보 및 출력 방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각 출력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트레이트인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각 화면 정보를 좌우 방향으로 배치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수신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각 출력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랜드스케이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트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의 세로 길이와 상기 랜드스케이프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의 세로 길이를 동일하게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네 모서리 중 적어도 일 측 방향에 대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출력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 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및 출력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화면 비율 및 크기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출력 배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체 화면 비율 및 크기에 맞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이 확장 또는 축소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출력되지 않는 화면 영역이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디의 확장 또는 축소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컨텐츠를 하나의 화면에 효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 가지 출력 모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 가지 출력 모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출력 모드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정면 및 상면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영역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일 영역 배면 사시도를, 도 12(b)는 도 12(a) 영역의 개략적인 구도에 관한 상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지지대의 확장 전 및 확장 후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외부 단말기에 관한 블록 개념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외부 단말기에 관한 일 실시 예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외부 단말기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외부 단말기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단말기에 관련된 일 실시 예이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네트워크 TV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네트워크 TV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나아가, 당해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상, 디스플레이 장치와 네트워크 TV 등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원칙적으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함은 자명하다.
더욱이,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네트워크 및 인터넷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TV, 스마트 TV, HBBTV, 웹 TV, IPTV 등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방송 인터페이스(101), 섹션 필터(102), AIT 필터(103),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부(104), 방송 데이터 처리부(111), 미디어 플레이어(106), 인터넷 프로토콜 처리부(107), 인터넷 인터페이스(108), 그리고 런타임 모듈(109)을 포함한다.
상기 방송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AIT(Application Information Table) 데이터, 실시간 방송 컨텐트,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그리고 스트림 이벤트가 수신된다. 한편, 상기 실시간 방송 컨텐트는,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Linear A/V Content)로 명명할 수도 있다.
상기 섹션 필터(102)는, 상기 방송 인터페이스(101)를 통해 수신된 4가지 데이터에 대한 섹션 필터링을 수행하여 AIT 데이터는 AIT 필터(103)로 전송하고,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는 방송 데이터 처리부(111)로 전송하고, 스트림 이벤트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처리부(104)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인터넷 인터페이스(108)를 통해, 논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Non-Linear A/V Content)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가 수신된다. 상기 논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는 예를 들어, COD(Content On Demand) 애플리케이션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논 리니어 에이브이 컨텐트는, 미디어 플레이어(106)로 전송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런타임 모듈(109)로 전송된다.
나아가, 상기 런타임 모듈(109)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매니저 및 브라우저를 포함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매니저는, 예컨대 AIT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라이프 사이클을 컨트롤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우저는, 예컨대 상기 인터랙티브 애플리케이션을 표시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및 촬영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0)는, 예를 들어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예컨대, COFDMA(Co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례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복조부(120)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즉, ATSC 복조부와, DVB 복조부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부(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연결된 외부 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네트워크 TV(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수신하여, 제어부(170) 또는 저장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리 등록된 다른 사용자 또는 다른 전자 기기 중 선택된 사용자 또는 선택된 전자기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츠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중에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TV(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장치(200)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TV(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네트워크 TV(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네트워크 TV(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7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외부 장치,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캠코더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오디오 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컨텐츠를 재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컨텐츠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츠,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츠일 수 있다. 컨텐츠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제어부(170)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 홈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홈 화면은, 컨텐츠 소스별로 분류된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를 구비할 수 있다. 카드 오브젝트는, 방송 채널의 썸네일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방송 가이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방송 예약 리스트 또는 녹화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상기 네트워크 TV 내 또는 상기 네트워크 TV에 접속된 장치 내의 미디어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속된 외부 장치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및 통화와 관련된 리스트를 나타내는 카드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홈 화면은,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항목을 구비하는 애플리케이션 메뉴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카드 오브젝트 이동 입력이 있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지 않는 카드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이동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홈 화면 내의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170)는, 방송 영상을 표시하는 카드 오브젝트 내에, 수신되는 방송 영상과, 해당 방송 영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방송 영상은 잠금 설정에 의해 그 크기가 고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홈 화면 내에, 네트워크 TV 내의 영상 설정, 오디오 설정, 화면 설정, 예약 설정, 원격제어장치의 포인터 설정, 네트워크 설정 중 적어도 하나의 설정을 위한 세트업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로그인, 도움말 또는 나가기 항목에 대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홈 화면의 일 영역에, 전체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거나 전체 카드 오브젝트 중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의 개수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카드 오브젝트 중 소정 카드 오브젝트 내의 카드 오브젝트명이 선택되는 경우, 해당 카드 오브젝트를 전체화면으로서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접속된 외부장치 또는 네트워크 TV 내에서 착신 호가 수신되는 경우, 복수의 카드 오브젝트 중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포커싱하여 표시하거나, 디스플레이부(180) 내로 통화 관련 카드 오브젝트를 이동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네트워크 TV(100) 내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채널 신호 또는 5.1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네트워크 TV(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 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8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8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를 구비하는 액정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 동작이 가능한 인버터(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고정형으로서 ATSC 방식(8-VSB 방식)의 디지털 방송, DVB-T 방식(COFDM 방식)의 디지털 방송, ISDB-T 방식(BST-OFDM방식)의 디지털 방송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TV 등 디바이스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이하, 도 3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어부의 기능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예를 들어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되게 된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 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 또는 240Hz로 변환한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120Hz로 변환하는 경우,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 사이에, 동일한 제1 프레임을 삽입하거나,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으로부터 예측된 제3 프레임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60Hz의 프레임 레이트를 240Hz로 변환하는 경우, 동일한 프레임을 3개 더 삽입하거나, 예측된 프레임을 3개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별도의 변환 없이 입력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 G, 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 G, 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는, MPEG-2 디코더, 또는 MPEG 4 디코더, 또는 AAC 디코더, 또는 AC-3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A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위한 블록도 이므로,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른 모듈을 추가하거나, 도시된 모듈 중 일부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4의 (b)), 앞뒤(도 4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4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4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 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부(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 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 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 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 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의 포인터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오브젝트를 의미한다. 따라서, 포인터(205)로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형상 외에 다양한 형상의 오브젝트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점, 커서, 프롬프트, 두꺼운 외곽선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리고 포인터(205)가 디스플레이부(180) 상의 가로축과 세로축 중 어느 한 지점(point)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은 물론, 선(line), 면(surface) 등 복수 지점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이하,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모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5), 사용자 입력부(235),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5)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 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는 키패드, 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5)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5)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 y, 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조작 여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례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5)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 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약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정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정치(200)와 페어링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5)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 가지 출력 모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출력 모드를 가질 수 있다. 각 출력 모드에 따라 도 6(a), 도 6(b) 및 도 6(c)와 같이 서로 다른 화면 출력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복수의 출력 모드를 가변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장치가 가변적인 화면 출력 영역을 형성함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6(a)에서 화면 출력 영역이 확장되어 도 6(b)와 같은 화면 출력 영역을 가질 수도 있고, 도 6(c)와 같은 화면 출력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또는 그 반대의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 6(a)는 세로 모드로서 7:9의 가로 세로 비율의 화면 출력 영역을, 도 6(b)는 TV 모드로서 16:9의 가로 세로 비율의 화면 출력 영역을, 도 6(c)는 시네마 모드로서 21:9의 가로 세로 비율의 화면 출력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세 가지 출력 모드를 설명하고 있지만 도시한 것과 다른 가로 세로 비율의 화면 출력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출력 모드는 출력될 컨텐츠의 성질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수도 있다.
본 실시 예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모든 실시 예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출력 영역이 가로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되는 실시 예를 전제로 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가 없으며 특징에 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세로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될 수도 있다.
도 7(a), 도 7(b) 및 도 7(c)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 가지 출력 모드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51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스피커(5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출력 영역과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스피커(5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음향 출력 영역과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피커(510)는 음향이 직접적으로 출력되는 영역인 출력부(51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511)의 영역은 가변할 수 있다. 특히, 도 7과 같이 출력부(511)의 상하 폭 H가 가변함으로써 화면 출력 영역이 가변될 수 있다. 출력부(511)의 화면 출력 영역이 커질수록 스피커(510)의 음향 출력은 커질 수 있다.
스피커(510)는 출력 모드에 따라 출력부(511)의 음향 출력 영역을 달리 할 수 있다. 세로 모드에서는 가장 작은 음향 출력 영역을, TV 모드에서는 세로 모드보다 더 큰 음향 출력 영역을, 시네마 모드에서는 TV 모드보다 더 큰 음향 출력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즉, 각 출력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출력 영역과 스피커(510)의 음향 출력 영역은 동일한 방향성으로 증가 또는 감소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출력 모드에 따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의 정면 및 상면 개략도이다.
출력 영역(521)이 가변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장부를 형성하는 바디 및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출력 모드에 따라 출력 영역(521)을 달리할 수 있다. 비출력 영역(522)은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아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비출력 영역(522)은 출력 영역(521)의 적어도 일 단부에서 감겨 출력 영역(521)의 배면에 구비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의 출력 영역(521) 좌우 폭은 바디의 좌우 폭과 대응하여 가변할 수 있다. 즉, 출력 모드에 따라 바디도 좌우로 확장 또는 축소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의 출력 영역(521)도 좌우로 확장 또는 축소되어 출력 영역(521)과 비출력 영역(252)의 비율이 가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면 개략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디(530)는 좌우 방향으로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 바디(530)의 확장 또는 축소는 고정 바디(531) 및 확장 바디(532)의 상호 거동에 의해 구현된다.
고정 바디(531)는 벽에 고정되는 고정 브라켓(54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브라켓(541)에 의해 고정 바디(531)는 벽에 고정되어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확장 바디(532)는 고정 바디(531)의 적어도 일 모서리에 결합하여 바디(530)의 전면 영역 확장 또는 축소를 구현할 수 있다. 일 예로, 확장 바디(532)는 고정 바디(531)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다.
고정 바디(531)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제1 지지면을 형성하고, 확장 바디(532)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면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제2 지지면을 형성한다.
확장 바디(532)가 고정 바디(531)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되어 인입되거나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드되어 인출된다고 가정하면, 제1 지지면의 영역은 고정되고, 제2 지지면의 영역은 인입 또는 인출 정도에 따라 가변할 수 있다.
확장 바디(532)는 고정 바디(531)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쪽에 구비될 수도 있고, 고정 바디(53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균형을 위해, 고정 바디(53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측 확장 바디(532L)는 고정 바디(531)의 좌측에 결합하고, 우측 확장 바디(532R)는 고정 바디(531)의 우측에 결합한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9의 거동을 수행하는 바디의 구체적인 거동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따라서 도 9에서 설명한대로 확장 바디(532)가 고정 바디(53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여 바디가 축소되거나 확장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구동부(550)는 확장 바디(532)를 고정 바디(531)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 시켜 출력 영역이 확장 또는 축소되는 물리적인 힘을 생성한다.
제어부는 구동부(550)가 힘을 생성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동부(550)는 확장 바디(532)의 슬라이드 힘을 제공하는 모터(551)를 구비할 수 있다. 구동부(550)는 회전 구동부(550a) 또는 병진 구동부(550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550a)와 병진 구동부(550b)는 확장 바디(532)를 거동시키는 힘의 전달 방식에 따라 구분된다. 회전 구동부(550a)는 회전 암(553)의 회전력을 확장 바디(532)의 슬라이드 방향에 대한 힘으로 전환하고, 병진 구동부(550b)는 확장 바디(532)의 슬라이드 방향에 대한 힘을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회전 구동부(550a) 및 병진 구동부(550b)가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어느 한 구동부(550)만 구현될 수도 있다. 회전 구동부(550a)와 병진 구동부(550b)가 동시에 구현되는 경우 확장 바디(532)가 슬라이드 되는 힘을 적절히 분산시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안정적인 거동이 가능하다.
회전 구동부(550a)의 모터(551)는 고정 바디(531)에 구비되어 출력 영역, 즉 바디의 전면에 수직한 회전축을 형성하여 구비될 수 있다. 회전 구동부(550a)의 모터(551)에는 회전 암(553)의 일 단(5531)이 고정된다.
레일부(552)는 확장 바디(532)에 구비되어 회전 암(553)의 타 단(5532)이 체결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영역을 형성한다.
회전 구동부(550a)의 회전축 중심으로부터 레일부(552)의 레일 각 지점까지의 거리가 상이하므로, 회전 암(553)의 회전에 따라 회전 암(553)의 길이를 유지하기 위해 확장 바디(532)가 고정 바디(531)에 대해 이동하게 된다.
레일부(552)의 레일은 곡률 중심이 회전 구동부(550a) 측에 위치하도록 곡선을 형성할 수 있다. 회전 구동부(550a)의 모터(551)가 고정 바디(531)의 상단(5521)에 구비된 경우, 레일부(552)의 레일 상단(5521) 일 지점으로부터 회전 구동부(550a)까지의 거리는, 레일부(552)의 레일 하단(5522) 일 지점으로부터 회전 구동부(550a)까지의 거리보다 짧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암(553)의 타 단(5532)이 레일 상단(5521) 일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확장 바디(532)는 바디(530)의 바깥 쪽으로 슬라이드되어 출력 영역을 확장시키고, 회전 암(553)의 타 단(5532)이 레일 하단(5522) 일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확장 바디(532)는 바디(530)의 안 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출력 영역을 축소시킨다.
병진 구동부(550b)는 제1 지지면과 평행한 회전축을 가지는 모터(551) 및 슬라이드 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 리니언 기어(554)와 맞물려 구동되어 모터(551)의 일 방향 회전 시 확장 바디(532)가 고정 바디(531)에 대해 바깥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출력 영역이 확장되도록 하고, 타 방향 회전 시 확장 바디(532)가 고정 바디(531)에 대해 안쪽으로 슬라이드 되어 출력 영역이 축소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영역 단면도이고, 도 1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 일 영역 배면 사시도를, 도 12(b)는 도 12(a) 영역의 개략적인 구도에 관한 상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1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한다.
바디(530)가 슬라이드 확장 또는 축소 됨에 따라 바디(530)와 동일한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는 적어도 일 영역이 바디(530)의 배면으로 감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는 출력 영역(521)과 비출력 영역(522)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5201) 및 디스플레이 패널(5201)를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지지대(523)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지대(523)는 연성의 디스플레이 패널(5201)을 지지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201)이 의도하지 않게 우그러지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평평하게 펴져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플레이 지지대(52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의 출력 영역(521)과 바디(530) 사이에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의 출력 영역(521)의 배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의 비출력 영역(522)은 디스플레이 지지대(523)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감싸 배면으로 감겨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가 디스플레이 지지대(523)를 감싸 감겨 들어가 출력 영역(521)을 축소시키거나 감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의 비출력 영역(522)이 빠져 출력 영역(521)이 확장될 수 있도록 한다.
전달부는 바디(530)의 확장 또는 축소 거동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힘을 전달한다.
바디(530)는 슬라이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2 리니언 기어(561)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도 상기 슬라이드 방향으로 구비되는 제3 리니언 기어(562)를 가질 수 있다. 제3 리니언 기어(562)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감김 정도를 조절한다. 상기 제2 리니언 기어(561)는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제1 리니언 기어와 동일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전달 기어(563)는 제2 리니언 기어(561)와 제3 리니언 기어(562)에 동시에 맞물려 제2 리니언 기어(561)에 작용하는 힘을 제3 리니어 기어에 전달한다. 제3 리니언 기어(562)의 거동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를 디스플레이 지지대(523)에 대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한다.
제3 리니언 기어(562)는 전달 기어(563)와 맞물려 거동할 수 있는 적절한 강성을 가지면서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가 휘어지는 영역에 대해 동일하게 휘어질 필요가 있다.
제2 리니언 기어(561) 및 제3 리니언 기어(56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상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520)에 충분한 힘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지지대(522)의 확장 전 및 확장 후 개념도이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출력 영역 전체에 대해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지지대(522)의 폭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출력 영역의 폭과 대응되도록 확장 또는 축소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지지대(522)는 도13(a) 및 도 13(b)의 상태로 가변적으로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지대(522)는 도 13(a)와 같이 완전히 축소 시 상호간 빈 공간이 생기지 않고, 확장 시 각 프레임(5221)이 서로 간격을 넓혀 폭을 확보하는 하나의 레이어를 형성하는 복수의 프레임(52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5221) 상호 간격이 가변하여 출력 영역 및 비출력 영역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프레임(5221) 중 양 끝 단의 프레임(5221)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영역 양 끝 단에 대응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지대(522)는 바디의 슬라이드 방향 양 측과 동일 폭을 갖도록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지지대(522)는 최대로 확장되어 각 프레임(5221)이 이격되는 경우에도 인접한 경계 영역은 연결될 수 있다. 인접한 프레임(5221) 간의 분리를 막기 위해, 연결된 경계 영역은 체결부(5222)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체결부(5222)은 디스플레이 지지대(522)의 확장 또는 축소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단말기(600)에 관한 블록 개념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단말기(600)에 관한 일 실시 예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4 및 도 15를 함께 참조한다.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는 네 모서리 중 적어도 일 측 방향에 대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출력 영역을 갖는다. 출력 영역 확장 또는 축소 정도는 연결된 외부 단말기(600)의 상태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출력 영역은 디스플레이부(18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연결된 외부 단말기(600)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러링(Mirroring) 하여 외부 단말기(600)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그대로 출력하는 경우에 본 실시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신부(290)는 미러링 연결된 외부 단말기(600)로부터 외부 단말기(600)의 화면 정보 및 출력 방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290)는 무선 통신부 또는 유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단말기(600)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정보를 갖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한다. 수신된 화면 정보는 디스플레이부(180)에 출력될 수 있다.
화면 정보는 현재 외부 단말기(600)에서 출력되고 있는 정보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실행되고 있는 백그라운드 정보 및 수행 가능한 추가적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방향 정보는 현재 외부 단말기(600)에서 출력되고 있는 이미지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600)의 이미지가 세로 모드로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는 포트레이트의 출력 방향 정보를 갖고, 가로 모드로 출력되고 있는 경우에는 랜드스케이프 출력 방향 정보를 갖는다.
구동부(5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영역, 특히 가변 영역이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도록 물리적인 힘을 제공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280)는 수신된 외부 단말기(600)의 출력 방향 정보에 따라 구동부(550)를 제어하게된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단말기(600)의 화면 비율과 동일한 화면 비율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미지를 출력하지 않는 비출력 영역을 전면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하여 깔끔한 외관 및 공간 활용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도 15(a)와 같이 외부 단말기(600)가 포트레이트 상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우 폭은 축소되고, 도 15(b)와 같이 외부 단말기(600)가 랜드스케이프 상태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좌우 폭은 확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확장 또는 축소는 외부 단말기(600)의 출력 방향 정보에 따라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도 15(a)의 포트레이트 상태의 외부 단말기(600)에서 도 15(b)의 랜드스케이프 상태의 외부 단말기(600)로 화면 출력 방향이 전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도 도 15(a)의 상태에서 도 15(b)의 상태가 되도록 곧바로 좌우 폭이 축소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확장 또는 축소를 할 것인지에 대한 선택 메뉴를 출력한 이후 수행 입력이 있는 경우 확장 또는 축소될 수도 있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단말기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이다.
복수의 외부 단말기(600a, 600b)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미러링 연결된 경우, 화면의 배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확장 또는 축소 정도가 문제된다.
도 16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단말기의 출력 방향 정보가 포트레이트인 경우의 화면 배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일 예로, 복수의 외부 단말기(600a, 600b)가 제1 외부 단말기(600a) 및 제2 외부 단말기(600b)로 구성된다고 할 때, 도 16(a)와 같이 제1 외부 단말기(600a)와 제2 외부 단말기(600b)가 모두 포트레이트 출력 방향 정보를 갖는 경우, 제어부는 제1 외부 단말기(600a)의 제1 화면 정보(601a)와 제2 외부 단말기(600b)의 제2 화면 정보(601b)를 좌우 방향으로 정렬 배치시켜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좌우 방향으로 정렬하여 출력하는 경우 제1 화면 정보(601a)와 제2 화면 정보(601b) 이외의 출력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동부는 출력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영역의 비율은 제1 화면 정보(601a) 및 제2 화면 정보(601b)를 동일한 높이로 맞추어 좌우 방향으로 정렬시킨 가로 세로 비율과 동일하다.
도 16(b)와 같이 제1 외부 단말기(600a)는 포트레이트의 출력 방향 정보를 갖고 제2 외부 단말기(600b)는 랜드스케이프의 출력 방향 정보를 갖는 경우, 앞선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제1 화면 정보(601a) 및 제2 화면 정보(601b)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시킬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제1 화면 정보(601a)의 출력 세로 길이와 제2 화면 정보(601b)의 출력 세로 길이는 동일하도록 제1 화면 정보(601a)와 제2 화면 정보(601b)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출력 방향 정보 및 제2 출력 방향 정보가 모두 랜드스케이프의 출력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화면 정보(601a) 및 제2 화면 정보(601b)는 세로 방향 배열로 출력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앞선 실시 예들과 달리 제1 화면 정보(601a)와 제2 화면 정보(601b)의 가로 길이를 동일하게 한 상태에서 출력 영역의 세로 영역이 가득 찰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과 같이 제1 외부 단말기(600a)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러링된 상태에서 제2 외부 단말기(600b)가 추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러링되어 도 16(a) 또는 도 16(b)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출력 상태로 될 수도 있고, 또는 제1 외부 단말기(600a)와 제2 외부 단말기(600b)가 동시에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러링되어 도 16(a) 또는 도 16(b)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출력 상태로 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각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의 세로 길이가 서로 동일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도 16은 먼저 연결된 외부 단말기가 포트레이트의 출력 방향 정보인 경우를 전제로 하고 있으나, 랜드스케이프의 출력 방향 정보인 경우에도 동일한 원리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두 개의 외부 단말기뿐만 아니라 더 많은 개수의 외부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연결된 경우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예들은 복수의 외부 단말기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미러링 연결된 경우를 전제로 하나, 디스플레이 장치(100) 자체에서 복수의 채널 또는 화면을 출력하는 경우에도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단말기에 관한 또 다른 실시 예이다.
제1 외부 단말기(600a)와 제2 외부 단말기(600b)가 모두 랜드스케이프의 출력 방향 정보를 갖는 경우, 제1 외부 단말기(600a)의 제1 화면 정보(601a)와 제2 외부 단말기(600b)의 제2 화면 정보(601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각 외부 단말기(600a, 600b)의 화면 정보(601a, 601b)의 좌우 경계가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의 좌우 경계와 일치하도록 비율을 조절하여 빈 디스플레이부의 빈 영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단말기에 관련된 일 실시 예이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영역에 복수의 컨텐츠(561, 562, 563)가 출력되는 경우, 복수의 컨텐츠(561, 562, 563)의 배치 또는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컨텐츠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면 정보일 수도 있고, 또는 수신한 방송 화면이 될 수도 있다. 또는 외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면 및 수신한 방송 화면을 복합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에 따라 화면 영역에 출력되고 있는 복수의 컨텐츠(561, 562, 563)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순서를 변경하는 사용자 입력은 원격제어장치(200)을 통한 입력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8(a)를 참조하면, 화면 영역에 제1 컨텐츠(561), 제2 컨텐츠(562) 및 제3 컨텐츠(563)가 왼쪽부터 차례대로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할 때,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되는 커서가 제2 컨텐츠(562)를 가리킬 때, 원격제어장치(200)의 롱-프레스(Long-Press) 입력을 통해 제2 컨텐츠(562)가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원격제어장치(200)의 드래그 & 드롭(Drag & Drop) 입력을 통해 제2 컨텐츠(562)가 이동하여 제3 컨텐츠(563)와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면 영역에는 제1 컨텐츠(561), 제3 컨텐츠(563) 및 제2 컨텐츠(562) 순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는 도 18(b)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던 세 개의 컨텐츠를 상하 방향으로 배열시킬 수도 있다. 도 18(a)의 실시 예와 같이, 가장 우측에 배열되어 있던 제3 컨텐츠(563)를 제1 컨텐츠(561) 및 제2 컨텐츠(562)의 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8(b)의 실시 예가 도 18(a)의 실시 예와 다른 점은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컨텐츠의 비율뿐만 아니라 화면 영역의 비율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화면 영역의 비율 변경, 즉 확장 바디의 슬라이드는 드래그 앤 드롭에 따라 컨텐츠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이 확정 됨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가 출력될 위치를 미리 알려주는 인디케이터(564)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b)와 같이 제3 컨텐츠(563)를 제1 컨텐츠(561) 및 제2 컨텐츠(562)의 아래로 이동시키는 경우, 제1 컨텐츠(561) 및 제2 컨텐츠(562) 하단에 제3 컨텐츠(563)가 위치할 것임을 암시하는 인디케이터(564)가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인디케이터(564)는 출력 영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바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컨텐츠의 이동이 확정된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영역이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인디케이터(564)는 컨텐츠가 이동할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려줘 불필요하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영역이 변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출력되는 컨텐츠의 성질에 따라 출력 화면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 제어부는 컨텐츠의 성격을 인식하고 인식된 컨텐츠의 성격에 대응되는 화면 비율에 맞게 디스플레이부(180)가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화면 비율은 특정된 몇 개의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비율은 7:9 모드, 16:9 모드, 18:9 모드 및 21:9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a)와 같이, 컨텐츠가 올-웨이즈-온 디스플레이 (All-Ways-On Display)에서 출력하는 컨텐츠(571)인 경우, 또는 컨텐츠가 세로 영상(572)인 경우 등에는 7:9 모드로 수행하여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컨텐츠가 올-웨이즈-온 디스플레이에서 출력하는 컨텐츠(571)인 경우, 스피커는 비활성화 될 수 있다.
또는 컨텐츠가 일반 방송 또는 VOD 동영상(573)의 주 출력 화면만 출력하는 경우 도 19(b)와 같이 16:9 모드로 출력할 수 있다.
주 출력 화면(574) 이외에 보조 출력 화면(575)을 출력할 필요가 있는 경우 도 19(c)와 같이 18:9 모드로 출력할 수 있다. 보조 출력 화면(575)은 주 출력 화면(574)에 관련된 요약 정보 또는 주 출력 화면(574)으로 출력할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정보, 라이브 메뉴 또는 연관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출력 화면(575)은 주 출력 화면(574)을 가리지 않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주 출력 화면만 출력되는 16:9 모드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 등에 따라 보조 출력 화면(575)까지 출력되는 18:9 모드로 변경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면 비율이 변경되도록 확장 바디가 슬라이드 될 수 있다.
또는 도 19(d)와 같이 컨텐츠의 카테고리가 영화(576)인 경우, 해당 컨텐츠는 21:9 모드에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스피커(510)의 음향 출력 영역을 극대화 하여 음향 출력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디스플레이 장치
510: 스피커
511: 음향 출력 영역
52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521: 출력 영역
522: 비출력 영역
530: 바디
531: 고정 바디
532: 확장 바디
541: 고정 브라켓
550: 구동부
550a: 회전 구동부
550b: 병진 구동부
551: 모터
552: 레일부
5521: 레일부 상단
5522: 레일부 하단
553: 회전 암
5531: 회전 암 일 단
5532: 회전 암 타 단
554: 리니어 기어
561: 제1 컨텐츠
562: 제2 컨텐츠
563: 제3 컨텐츠
572: 주 출력 화면
573: 보조 출력 화면
600: 외부 단말기
600a: 제1 외부 단말기
600b: 제2 외부 단말기
601a: 제1 화면 정보
601b: 제2 화면 정보

Claims (10)

  1. 고정 바디 및 상기 고정 바디의 적어도 일 모서리에 결합하여 상기 고정 바디에 대해 슬라이드 되어 전면 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 시키는 확장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고, 출력 영역 및 상기 출력 영역의 단부에서 감겨 상기 출력 영역의 배면에 구비되는 비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바디의 전면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 영역과 상기 비출력 영역의 비율이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출력 영역의 배면을 지지하는 디스플레이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대의 적어도 하나의 모서리를 감싸 감겨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지지대는 서로 다른 폭을 갖는 복수의 프레임의 간격이 가변하여 상기 출력 영역 및 비출력 영역의 비율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출력 영역에 수직한 회전축을 형성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 구동부;
    상기 확장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형성하는 복수의 지점을 포함하는 레일부; 및
    일단이 상기 회전 구동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레일부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력에 의해 상기 타단이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확장 바디가 슬라이드 하는 힘을 전달하는 회전 암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 구비된 제2 리니언 기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감김 정도를 조절하는 제3 리니언 기어; 및
    상기 제2 리니언 기어 및 상기 제3 리니언 기어를 체결하여 상기 제2 리니언 기어의 이동을 상기 제2 리니언 기어에 전달하는 전달 기어를 포함하는 디스프레이 장치.
  5.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 및 출력 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네 모서리 중 적어도 일 측 방향에 대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출력 영역을 갖고, 상기 수신된화면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 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출력 방향 정보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화면 방향 정보가 포트레이트인 경우 상기 출력 영역을 축소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외부 단말기의 화면 방향 정보가 랜드스케이프인 경우 상기 출력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복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각 화면 정보 및 출력 방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각 출력 방향 정보가 모두 랜드스케이프인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상하 방향으로 배치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각 화면 정보의 좌우 경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의 경계와 일치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복수의 외부 단말기로부터 각 화면 정보 및 출력 방향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각 출력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트레이트인 경우 상기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각 화면 정보를 좌우 방향으로 배치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복수의 외부 단말기의 각 출력 방향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랜드스케이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포트레이트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의 세로 길이와 상기 랜드스케이프 정보를 포함하는 외부 단말기의 화면 정보의 세로 길이를 동일하게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네 모서리 중 적어도 일 측 방향에 대해 확장 또는 축소 가능한 출력 영역을 갖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을 확장 또는 축소 시키도록 구동하는 구동부; 및
    출력될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화면 비율 및 크기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의 출력 배치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전체 화면 비율 및 크기에 맞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출력 영역이 확장 또는 축소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81496A 2017-12-27 2017-12-27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64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496A KR102464108B1 (ko) 2017-12-27 2017-12-27 디스플레이 장치
PCT/KR2018/014440 WO2019132260A1 (ko) 2017-12-27 2018-11-22 디스플레이 장치
US16/958,669 US11310458B2 (en) 2017-12-27 2018-11-22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496A KR102464108B1 (ko) 2017-12-27 2017-12-27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357A true KR20190079357A (ko) 2019-07-05
KR102464108B1 KR102464108B1 (ko) 2022-11-07

Family

ID=6706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496A KR102464108B1 (ko) 2017-12-27 2017-12-27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10458B2 (ko)
KR (1) KR102464108B1 (ko)
WO (1) WO201913226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110A1 (ko) * 2020-11-17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15447B2 (en) * 2020-05-26 2022-04-26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Display device
CN113542535B (zh) * 2021-06-25 2022-09-09 焦作大学 一种戏剧影视文学表演用提示器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347A (ko) * 2015-10-13 2017-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81559A (ko) * 2016-01-04 2017-07-12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90681A3 (en) * 2007-05-09 2009-06-24 Bright Supply Corporation Retractable frame of projection screen
KR101227644B1 (ko) 2010-08-10 2013-01-30 유상규 두루마리형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04547A (ko) 2013-07-03 2015-01-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752750B1 (ko) * 2015-05-28 2017-07-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KR20170062121A (ko) 2015-11-27 2017-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90295A (ko) * 2016-01-28 2017-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95848B1 (ko) * 2016-10-11 2023-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3347A (ko) * 2015-10-13 2017-04-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081559A (ko) * 2016-01-04 2017-07-12 신진철 슬라이딩 구동에 의한 화면 확장형 이동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08110A1 (ko) * 2020-11-17 2022-05-2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067731A1 (en) 2021-03-04
KR102464108B1 (ko) 2022-11-07
WO2019132260A1 (ko) 2019-07-04
US11310458B2 (en) 202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527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35610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788006B1 (ko) 원격제어장치 및 원격제어장치로 제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KR10150786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2424264A2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708691B1 (ko) 영상표시기기, 그 시스템 및 그 영상표시기기에 표시된 오브젝트 검색방법
KR101779858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7001488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20004176A (ko) 애플리케이션 확장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영상표시기기
KR20160026075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9015751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11310458B2 (en) Display device
KR10170864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076119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신호 처리방법
KR10168972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69558B1 (ko) 영상표시기기 동작 제어방법
KR101772526B1 (ko) 영상표시기기의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226590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2049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820735B1 (ko) 무선 rf 방식을 이용하는 헤드 셋과 키보드의 연결이 가능한 리모컨
KR10169179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11840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70183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기기
KR101777858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20119133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