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014A -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014A
KR20190079014A KR1020170180900A KR20170180900A KR20190079014A KR 20190079014 A KR20190079014 A KR 20190079014A KR 1020170180900 A KR1020170180900 A KR 1020170180900A KR 20170180900 A KR20170180900 A KR 20170180900A KR 20190079014 A KR20190079014 A KR 20190079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ght emitting
present
light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근
Original Assignee
최명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명근 filed Critical 최명근
Priority to KR1020170180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9014A/ko
Publication of KR20190079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0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1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attached to loose electric cables, e.g. Christmas tree lights
    • F21S4/15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attached to loose electric cables, e.g. Christmas tree lights the cables forming a grid, net or web struc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02Frames
    • F21V1/08Frames adjustable
    • H05B33/084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무나 기둥 등에 링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는 링형상의 신축가능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측벽 등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의 밝기, 색 및 점멸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명장치{LUMINESCENCE APPARATUS}
본 발명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무나 가로등과 같은 기둥에 링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조명용 등기구는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도구가 아닌 공연, 예술 및 실내 인테리어를 비롯하여 건축물이나 조형물 혹은 수목 등을 비추어 운치 있는 분위기를 연출하는 경관조명과 같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경관조명용 등기구는 도시의 야간을 빛으로 장식하고 미화해서 도시의 품위를 높여주고 야경을 아름답게 조성하는 연출효과를 볼 수 있다.
이러한 경관조명용 등기구는 대개 광원이 사람의 시야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천장 또는 벽체, 바닥 등 의 틈새에 설치하며, 벽체나 반사갓에 광원을 반사시켜 간접적으로 빛을 조사하여 주위를 아늑하고 은은하게 꾸밀 수 있다.
또한, 경관조명 대상물의 고유구조, 형태적 특성, 주변 빛 환경 등의 다양한 조건을 고려하여 빛의 조사방향과 조도를 조절함으로써 밝고 화창한 분위기, 중후하고 엄숙한 분위기, 차분하거나 신비롭고 성스러운 분위기 등보는 방향에 따라 전혀 다른 분위기를 연출 및 이미지를 부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면이나 벽면에 대한 설치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경관조명 대상물에 대한 빛의 조사방향과 조도 등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의 경관조명용 등기구가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광원이 내장된 본체를 벽체나 바닥 등에 고정하기 위한 브래킷과 핀이음 방식으로 결합하여서 그 핀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조작 및 조임구의 조임에 따라 일정 각도로 빛의 조사방향과 조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런데 이는 본체가 단순히 회전축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서는 경관조명 대상물에 대한 빛의 조사각도 조절범위에 상당한 제약이 따를 수밖에 없다.
다른 일례로, 벽체나 바닥 등에 고정되는 고정구에 대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장착된 조명각도 조절구에 광원이 내장된 본체를 결합하여서 그 조명각도 조절구의 회전조작에 따라 일정 각도로 빛의 조사방향과 조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경관 조명기구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6716호에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광원이 내장된 본체와 조명각도 조절구의 회전축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빛의 조사각도를 조절 시에는 서로 간의 거리만큼 회전반경이 반드시 필요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각도조절 가능 범위가 작아져 공간이 좁은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더욱이 광원으로 LED를 단순 조합하여 사용할 경우 광학적으로 선명한 단색광을 발광하는 LED의 배광 특성상 불쾌글레어 및 눈의 피로감을 유발하게 되므로 인테리어, 경관조명 등과 같이 분위기 연출용 감성조명으로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10-0689067 공개특허 10-2012-0006345 공개특허 10-2017-008812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나무나 가로등과 같은 기둥에 결합하여 상부나 하부 또는 측벽 등에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는 조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는 링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의 밝기, 색 및 점멸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형광물질이 함유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신축가능한 재질이고, 상기 프레임의 신축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부 사이의 간격도 신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발광부들은 신축이 가능한 코일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나무나 가로등과 같은 기둥에 결합하여 상부나 하부 또는 측벽 등에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나무나 기둥이 아닌 광장과 같은 지상에 설치하여 심미감을 형성하는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자인 효과 뿐 아니라 복수의 조명장치를 제어하여 다양한 쇼를 연출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구조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1)는 프레임(10)과, 발광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나무나 가로등과 같은 기둥을 감쌀 수 있도록 링형상(ring shape)으로 형성된다. 상기 나무나 가로등의 직경이 상이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프레임(10)은 신축 가능한 탄성재질, 예를 들어 고무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10)을 나무나 기둥에 체결하고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평면형성이 반원인 2개의 분체(11,12)를 결합하여 전체적으로 링형상으로 구성한다.
물론, 전체적으로 결합하여 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면 2개의 분체(11,12)가 아니라 3개 이상의 분체로 분할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체(11,12)들은 서로 회동가능하게 일측에는 힌지부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이들을 체결할 수 잇는 체결수단(20)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체결수단(20)은 체결고리(22)와 걸쇠(21)로 구성된다. 즉, 상기 걸쇠(21)가 상기 체결고리(22)를 관통하여 분체(11,12)들을 링형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걸쇠(21) 및 체결고리(22)를 분리하여 프레임(10)을 분체(11,12)로 분리하여 운반 또는 보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는 발광부(30)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발광부로서 볼LED(ball LED)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명장치(1)는 본 실시예와 달리 프레임(10)의 하부 및 측벽에도 발광부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프레임은 분체 없이 1개의 링형태로 형성하되, 양단이 형성되도록 분절되고, 분절된 단부에 체결수단이 구비되도, 분체가 없기 때문에 힌지부는 구비되지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부(30)는 상부가 프레임(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발광부(30)는 이웃하여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발광부(30)들은 신축 가능한 코일(31)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이 신축되더라도 발광부(30)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이 단선되지 않고, 발광부들 사이의 간격도 신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광부(30)의 밝기, 색 및 점멸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32)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커넥터(33)가 구비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1)는 프레임(10)을 분체(11,12)로 분리하여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고, 설치장소에 적재 후, 다시 걸쇠(21)와 체결고리(22)를 이용하여 링형상의 프레임(10)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면 발광부(30)가 발광을 하게 되고, 그에 따라 프레임(10)도 형광물질에 의해 빛을 발산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의 (a)는 공원 등 산책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산책로에 있는 나무에 본 실시예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 다양한 색상으로 발광하여 화려하고 다양한 조명을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나무에 결합하여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나무의 굵기가 상이하더라도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10)이 신축되고, 프레임(10)이 신축되더라도 발광부(30)의 전기적 단선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호환성이 탁월하다.
1: 실시예
10: 프레임
11,12: 분체
20: 체결수단
21: 걸쇠
22: 체결고리
30: LED
31: 코일
32: 제어부

Claims (3)

  1. 링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의 발광부; 및
    상기 발광부의 밝기, 색 및 점멸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형광물질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신축가능한 재질이고, 상기 프레임의 신축에 따라 상기 복수의 발광부 사이의 간격도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
KR1020170180900A 2017-12-27 2017-12-27 조명장치 KR201900790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900A KR20190079014A (ko) 2017-12-27 2017-12-27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900A KR20190079014A (ko) 2017-12-27 2017-12-27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014A true KR20190079014A (ko) 2019-07-05

Family

ID=67225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900A KR20190079014A (ko) 2017-12-27 2017-12-27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901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67B1 (ko) 2006-10-13 2007-03-02 (주)케이지엔지니어링 공원용 경관조명등
KR20120006345A (ko) 2010-07-12 2012-01-18 이병윤 광고 효과를 제공하는 led 경관조명등
KR20170088126A (ko) 2016-01-22 2017-08-01 정희영 경관조명용 led 등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67B1 (ko) 2006-10-13 2007-03-02 (주)케이지엔지니어링 공원용 경관조명등
KR20120006345A (ko) 2010-07-12 2012-01-18 이병윤 광고 효과를 제공하는 led 경관조명등
KR20170088126A (ko) 2016-01-22 2017-08-01 정희영 경관조명용 led 등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258B1 (ko) 케이블 일체형 조명등
US20060092638A1 (en) Housing for intelligent lights
US8033685B2 (en) LED luminaire
KR100936942B1 (ko) 조립형 엘이디 조명기구
DK1478877T3 (da) Omgivelsesbelysningssystem til operationslamper
JP4538662B2 (ja) 直付け照明器具
JP2009016180A (ja) 街路灯用照明器具並びに街路灯
KR101726369B1 (ko) 용이한 설치 및 고정이 가능한 엘이디 경관 조명장치
KR200439900Y1 (ko) 야외 계단 및 난간 내부에 결합되는 조명등 고정장치
KR20200000580U (ko) 램프의 조사각도 변경이 용이한 조명기구
KR20190079014A (ko) 조명장치
KR100973917B1 (ko) 천정용 조명등의 장식구
JP4491327B2 (ja) 照明器具
JP4313056B2 (ja) 照明器具
JP3234996B2 (ja) 街路樹用照明支持具
KR20190041662A (ko) 조명장치
JP2008140651A (ja) 地中埋込照明器具
KR101474909B1 (ko) 천정매다는등용 조명장식체
KR200403563Y1 (ko) 등기구 두부를 이용한 간접조명 장치
JP4038626B2 (ja) 埋込形照明器具
CN208967528U (zh) 模组化灯体及模组化灯具
KR100790196B1 (ko) 가로등 보조 조명장치
KR200449652Y1 (ko) 조명장치
CN203147459U (zh) 一种带摄像功能的灯具
JP3220776U (ja) 照明補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