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938A -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 - Google Patents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938A
KR20190078938A KR1020170180744A KR20170180744A KR20190078938A KR 20190078938 A KR20190078938 A KR 20190078938A KR 1020170180744 A KR1020170180744 A KR 1020170180744A KR 20170180744 A KR20170180744 A KR 20170180744A KR 20190078938 A KR20190078938 A KR 20190078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cylinder
filtration
drainage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1231B1 (ko
Inventor
서영춘
Original Assignee
서영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영춘 filed Critical 서영춘
Priority to KR1020170180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12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1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1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멘트나 몰탈에 매설되는 외통체와 외통체의 내부에 인입되어 끼워지는 내통체가 구비되되 내통체와 외통체가 서로에 대해 떨어진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내통체측으로 유입되는 뜨거운 오수 온도가 외통체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통체가 뜨거운 온도에 의한 열변형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통체로부터 새어나오는 오수가 시멘트나 몰탈에 흡수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과체에 의해 오수는 물론 오수에 포함되는 폐기물을 걸러 여과시킴에 따라 폐기물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중 구조를 갖는 배수구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drain device with double body}
본 발명은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통체와 내통체로 배수구를 구비하여 배수구 설치 후 배수구로 모인 폐기물의 뜨거운 온도를 갖는 오수의 새어 나옴을 방지하고 오수가 시멘트나 몰탈로 흡수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내통체의 틈새가 발생 되더라도 외통체에 의해 오수가 밖으로 새어나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복수개의 걸름망에 의해 음식찌꺼기와 같은 폐기물의 걸러짐이 용이하도록 한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점이나 패스트푸드점, 학교식당의 주방에는 폐기물이 배출되는 배수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수구는 대개 장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배수가이드와 이 배수가이드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배수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되어 흐른 폐기물을 여과시키는 배수트랩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 배수구는, 주방의 오수와 같은 폐기물이 배수되는 과정에서 뜨거운 폐기물의 온도에 의해 배수구의 열변형이 발생되거나 하여 배수구의 틈새가 발생되고 이와 같이 발생된 틈새를 통해 오수가 새어나와 배수구가 매설되는 시멘트나 몰탈로 새어나온 오수가 흡수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 20-0352198호인 트랜치형 배수구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장방형의 배수가이드부와 상기 배수가이드부의 일측에 이 배수가이드부로부터 연장 절곡된 경계부와 상기 배수가이드부의 어느 한 부분에 요입 형성된 끼움부와 상기 끼움부의 일측에 관통되고 둘레부를 따라 걸림턱이 형성된 체결부를 갖는 배수구와 상기 배수 구의 일측에 요입 형성된 끼움부에 끼워지고 다수개의 배수공이 통공된 배수판넬과, 상기 배수구의 끼움부에 관통된 체결부에 체결되는 배수트랩으로 구비되어 있다.
다른 예로, 등록실용 20-0266230호인 배수구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오수를 일정량 수용할 수 있는 높이를 가지고 있고 길이 방향의 측벽 상부의 내측으로 여과판이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의 측벽 상단부에 날개판이 외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저면 또는 폭이 좁은 측벽 내지 바닥으로 하수구의 파이프와 연결되는 배수관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관과 인접한 부위 내측으로 이물질을 걸러주는 망판이 조립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는 홈통과, 오수는 배출시키고 머리카락과 같은 이물질은 걸러줄 수 있게 구멍들을 가지는 판재와 상기 판재의 상부로 절곡 형성되어 분리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는 손잡이를 가지는 망판과, 상기 홈통의 상부로 삽입되어 절곡된 양단이 홈통의 단턱으로 걸쳐지고 오수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배수공들을 가지는 여과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배수트랩 또는 홈통이 하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배수트랩 또는 홈통에 고이는 폐기물의 오수가 새어나오게 되어 아래층에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으며, 폐기물의 찌꺼기의 걸러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실용 20-0352198호(2004.05.24. 등록) 대한민국등록실용 20-0266230호(2002.02.15. 등록)
본 발명은 배수구를 내통체와 외통체로 구비하여 폐기물의 뜨거운 온도의 열전달을 최소화하고 내통체를 외통체에 대해 이격시켜 구비함에 따라 외통체의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외통체의 열변형에 의한 틈새가 발생됨을 방지하고 내통체로부터 오수가 새어 나오더라도 외통체에 의해 오수가 시멘트나 몰탈에 흡수되지 않도록 하여 누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는, 장방형(長房形)의 배수가이드와 상기 배수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되어 흐르는 폐기물과 오수를 걸러내는 내통체를 갖는 배수구에 있어서, 배수가이드와 연결되는 오수 유입구멍이 구비되고 덮개가 덮어지는 안착 플랜지가 상단에 구비되며 내통체 바닥면에 내통체배수부가 구비되며 외면에 완충제를 갖는 내통체와; 상기 내통체의 내통체 배수부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내통체배수부가 끼워지는 외통체배수부가 외통체 바닥면에 구비되고 상기 내통체가 인입되어 끼워지되 상기 내통체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뜨거운 온도가 전달됨을 방지함은 물론 내통체로 부터 새어나오는 오수가 상기 외통체배수부를 통해 배수 되도록 상기 내통체가 외통체내면과 외통체 바닥면 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지게 상기 내통체가 끼워지며 내면 상단에 상기 내통체의 완충제가 밀착되어 지지되며 상단에 외향지지 플랜지를 갖는 외통체와; 상기 배수가이드로부터 가이드 되어 상기 오수유입 구멍측으로 유입되는 오수에 함침된 폐기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체와; 상기 내통체의 상단과 상기 외통체의 외향지지 플랜지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대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내통체에는, 상기 내통체의 가로방향을 따라 내통체내면에 구비되되 상기 오수유입구멍측에 위치되는 안착지지대와; 상기 내통체의 세로방향을 따라 내통체내면에 구비되되 상기 안착지지대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끼움지지대와; 상기 내통체의 세로방향을 따라 내통체 내면에 구비되되 상기 제1끼움지지대와 상기 내통체배수부 사이에 위치되는 제2끼움 지지대가 구비되고, 상기 여과체는, 상기 안착지지대에 안착되고 둘레면에 복수개 제1여과구멍이 구비되어 상기 오수유입 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폐기물을 1차 걸러 여과시키는 폐기물여과통과; 상기 제1끼움지지대에 끼워져 상기 내통체에 대해 세로 방향으로 위치되고 하단에 복수개 제2여과구멍이 구비되어 상기 폐기물여과통 으로부터 빠져나온 오수 및 폐기물을 2차 걸러 여과시키는 제1여과판넬과; 상기 제2끼움지지대에 끼워져 상기 내통체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위치되고 중앙에 복수개 제3여과구멍이 구비되어 상기 제1여과판넬로 부터 빠져나온 오수 및 폐기물을 3차 걸러 여과시키는 제2여과 판넬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시멘트나 몰탈에 매설되는 외통체와 외통체의 내부에 인입되어 끼워지는 내통체가 구비되되 내통체와 외통체가 서로에 대해 떨어진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내통체측으로 유입되는 뜨거운 오수 온도가 외통체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통체가 뜨거운 온도에 의한 열변형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통체로부터 새어나오는 오수가 시멘트나 몰탈에 흡수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여과체에 의해 오수는 물론 오수에 포함되는 폐기물을 걸러 여과시킴에 따라 폐기물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의 내통체 및 여과체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장방형(長房形)의 배수가이드와 상기 배수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어 흐르는 폐기물과 오수를 걸러내는 내통체를 갖는 배수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내통체(10)는, 배수가이드(101)와 연결되는 오수유입구멍(11)이 구비되고 덮개(102)가 덮어지는 안착플랜지(12)가 상단에 구비되며 내통체바닥면(13)에 내통체배수부(14)가 구비되며 외면에 완충제(15)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외통체(20)가 구비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외통체(20)는, 상기 내통체(10)의 내통체배수부(14)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내통체배수부(14)가 끼워지는 외통체배수부(21)가 외통체바닥면(22)에 구비되고 상기 내통체(10)가 인입되어 끼워지되 상기 내통체(10)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뜨거운 온도가 전달됨을 방지함은 물론 내통체(10)로부터 새어나오는 오수가 상기 외통체배수부(21)를 통해 배수되도록 상기 내통체(10)가 외통체내면(23)과 외통체바닥면(22)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지게 상기 내통체(10)가 끼워지며 내면 상단에 상기 내통체(10)의 완충제(15)가 밀착되어 지지되며 상단에 외향지지플랜지(24)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완충제(15)는, 상기 내통체(10)가 외통체내면(23)과 외통체바닥면(22)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지도록 상기 외통체(20)의 내면 상단에 밀착되어 지지함은 물론, 외통체(20)와 내통체(1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시멘트나 몰탈이 굳어지기 전 시멘트나 몰탈이 외통체(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본 발명은 시멘트나 몰탈에 의해 외통체(20)가 매설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이 때 시멘트나 몰탈이 굳어지기 전 외통체(20)의 내부로 시멘트나 몰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멘트나 몰탈이 굳어진 후에는 물은 외통체(2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물질은 유입되지 않도록 완충제(15)의 재질을 미세구멍을 갖는 폼재질, 예를 들어 스펀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내통체(10)의 내통체배수부(14)를 외통체(20)의 외통체배수부(21)에 끼워 구비하는 이유는, 내통체(10)로부터 걸러 여과된 오수가 하수구측으로 배수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외통체배수부(21)는 하수구와 연결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통체배수부(21)에 대해 상기 내통체배수부(14)가 일정간격 떨어진 상태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외통체(20)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가 외통체배수부(21)와 연결된 하수구측으로 배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시멘트나 몰탈에 의해 매설되는 외통체(20)의 내부에 내통체(10)가 구비되되 외통체(20)에 대해 내통체(10)가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상태로 위치되어 구비되기 때문에, 내통체(10)의 내부로 유입되는 폐기물 또는 오수의 온도가 뜨거울 경우에도 외통체(20)측으로 온도가 전달되지 않음에 따라 외통체(20)의 열변형에 의한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내통체(10)가 외통체(20)의 내부에 끼워짐에 따라 내통체(10)를 통해 새어나오는 오수가 시멘트나 몰탈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누수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내통체(10)를 통해 새어나온 오수가 외통체(20)의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외통체(20)의 외통체배수부(21)를 통해 즉시 하수구측으로 배수될 수 있어 시멘트나 몰탈측에 오수가 흡입되어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배수가이드(101)로부터 가이드 되어 상기 오수유입구멍(11) 측으로 유입되는 오수에 함침된 폐기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체(30)가 구비되고, 상기 내통체(10)의 상단과 상기 외통체(20)의 외향지지플랜지(24)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대(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대(40)는 상기 내통체(10)가 외통체(20)에 대해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끼워진 후, 내통체(10)가 외통체(20)측으로 하강되어 내통체(10)가 외통체(20)의 외통체바닥면(22)에 닿아 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내통체(10)가 외통체(20)의 외통체바닥면(22)에 닿게 되면 내통체(10)측으로 유입되는 오수의 뜨거운 온도가 외통체(20)에 전달되고 이에 따라 외통체(20)가 열변형에 의한 틈새 누수가 발생되는 바, 본 발명의 지지대(40)에 의해 내통체(10)가 외통체(20)측으로 하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내통체(10)에는, 상기 내통체(10)의 가로방향을 따라 내통체 내면(15)에 구비되되 상기 오수유입구멍(11)측에 위치되는 안착지지대(16)와, 상기 내통체(10)의 세로방향을 따라 내통체내면(15)에 구비되되 상기 안착지지대(16)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끼움지지대(17)와, 상기 내통체(10)의 세로방향을 따라 내통체 내면(15)에 구비되되 상기 제1끼움지지대(17)와 상기 내통체배수부(14) 사이에 위치되는 제2끼움지지대(18)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여과체(30)는, 상기 안착지지대(16)에 안착되고 둘레면에 복수개 제1여과구멍(31)이 구비되어 상기 오수유입구멍(11)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폐기물을 1차 걸러 여과시키는 폐기물여과통(32)과, 상기 제1끼움지지대(17)에 끼워져 상기 내통체(10)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위치되고 하단에 복수개 제2여과구멍(33)이 구비되어 상기 폐기물여과통(32)으로부터 빠져나온 오수 및 폐기물을 2차 걸러 여과시키는 제1여과판넬(34)과, 상기 제2끼움지지대(18)에 끼워져 상기 내통체(10)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위치되고 중앙에 복수개 제3여과구멍(35)이 구비되어 상기 제1여과판넬(34)로부터 빠져나온 오수 및 폐기물을 3차 걸러 여과시키는 제2여과판넬(36)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내통체(10)의 내부에 여과체(30)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내통체(10)의 오수유입구멍(11)을 통해 유입된 오수가 폐기물여과통(32)측으로 유입되어 오수 및 오수에 포함된 폐기물을 1차 걸려 여과한다.
또한, 폐기물여과통(32)측으로 유입된 오수 및 폐기물은, 상기 제1여과판넬(34)의 제2여과구멍(33)을 통해 2차 걸러 여과된 후 상기 제2여과판넬(36)의 제3여과구멍(35)을 통해 3차 걸러 여과되어 하수구측으로 배수되기 때문에, 좀 더 깨끗한 상태로 여과된 오수가 하수구측으로 배수될 수 있다.
상기 제2여과구멍(33)을 제1여과판넬(34)의 하단에 구비하고 제3여과구멍(35)을 제2여과판넬(36)의 중앙에 구비하는 이유는, 상기 하단에 구비된 제2여과구멍(33)측으로 폐기물이 빠져나올 경우 상기 제2여과판넬(36)에 의해 빠져나온 폐기물이 걸러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내통체 11 : 오수유입구멍
12 : 안착플랜지 13 : 내통체바닥면
14 : 내통체배수부 15 : 완충제
16 : 내통체내면 16 : 안착지지대
17 : 제1끼움지지대 18 : 제2끼움지지대
20 : 외통체 21 : 외통체배수부
22 : 외통체바닥면 23 : 외통체내면
24 : 외향지지플랜지 30 : 여과체
31 : 제1여과구멍 32 : 폐기물여과통
33 : 제2여과구멍 34 : 제1여과판넬
35 : 제3여과구멍 36 : 제2여과판넬
40 : 지지대

Claims (2)

  1. 장방형(長房形)의 배수가이드와 상기 배수가이드에 의해 가이드 되어 흐르는 폐기물과 오수를 걸러내는 내통체를 갖는 배수구에 있어서,
    배수가이드(101)와 연결되는 오수유입구멍(11)이 구비되고 덮개(102)가 덮어지는 안착플랜지(12)가 상단에 구비되며 내통체바닥면(13)에 내통체배수부(14)가 구비되며 외면에 완충제(15)를 갖는 내통체(10)와;
    상기 내통체(10)의 내통체배수부(14)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내통체배수부(14)가 끼워지는 외통체배수부(21)가 외통체바닥면(22)에 구비되고 상기 내통체(10)가 인입되어 끼워지되 상기 내통체(10) 내부로 유입되는 오수의 뜨거운 온도가 전달됨을 방지함은 물론 내통체(10)로 부터 새어나오는 오수가 상기 외통체배수부(21)를 통해 배수되도록 상기 내통체(10)가 외통체내면(23)과 외통체바닥면(22)으로부터 일정간격 떨어지게 상기 내통체(10)가 끼워지며 내면 상단에 상기 내통체(10)의 완충제(15)가 밀착되어 지지되며 상단에 외향지지플랜지(24)를 갖는 외통체(20)와;
    상기 배수가이드(101)로부터 가이드되어 상기 오수유입구멍(11)측으로 유입되는 오수에 함침된 폐기물을 여과시키는 여과체(30)와;
    상기 내통체(10)의 상단과 상기 외통체(20)의 외향지지플랜지(24)를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대(40)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10)에는,
    상기 내통체(10)의 가로방향을 따라 내통체내면(15)에 구비되되 상기 오수유입구멍(11)측에 위치되는 안착지지대(16)와;
    상기 내통체(10)의 세로방향을 따라 내통체내면(15)에 구비되되 상기 안착지지대(16)의 일측에 위치되는 제1끼움지지대(17)와;
    상기 내통체(10)의 세로방향을 따라 내통체내면(15)에 구비되되 상기 제1끼움지지대(17)와 상기 내통체배수부(14) 사이에 위치되는 제2끼움지지대(18)가 구비되고,
    상기 여과체(30)는,
    상기 안착지지대(16)에 안착되고 둘레면에 복수개 제1여과구멍(31)이 구비되어 상기 오수유입구멍(11)을 통해 유입되는 오수에 포함된 폐기물을 1차 걸러 여과시키는 폐기물여과통(32)과;
    상기 제1끼움지지대(17)에 끼워져 상기 내통체(10)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위치 되고 하단에 복수개 제2여과구멍(33)이 구비되어 상기 폐기물여과통(32)으로 부터 빠져나온 오수 및 폐기물을 2차 걸러 여과시키는 제1여과판넬(34)과;
    상기 제2끼움지지대(18)에 끼워져 상기 내통체(10)에 대해 세로방향으로 위치되고 중앙에 복수개 제3여과구멍(35)이 구비 되어 상기 제1여과판넬(34)로 부터 빠져나온 오수 및 폐기물을 3차 걸러 여과시키는 제2여과판넬(36)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
KR1020170180744A 2017-12-27 2017-12-27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 KR102031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744A KR102031231B1 (ko) 2017-12-27 2017-12-27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744A KR102031231B1 (ko) 2017-12-27 2017-12-27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938A true KR20190078938A (ko) 2019-07-05
KR102031231B1 KR102031231B1 (ko) 2019-10-11

Family

ID=6722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744A KR102031231B1 (ko) 2017-12-27 2017-12-27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12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7940A (zh) * 2019-12-25 2020-03-13 天津晶东化学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废水pH调节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230Y1 (ko) 2001-12-14 2002-02-27 권우택 배수구
KR200352198Y1 (ko) 2004-03-11 2004-06-04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트랜치형 배수구조
KR100853253B1 (ko) * 2007-04-20 2008-08-20 (주)진성하이테크 주방용 오폐수 수집 장치
JP3162312U (ja) * 2010-06-16 2010-08-26 株式会社サンケイサポート 排水構造
KR20110086658A (ko) * 2010-01-23 2011-07-29 김준호 그리스 트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312B2 (ja) * 1996-12-27 2001-04-25 ダイニック株式会社 インクリボンカセッ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230Y1 (ko) 2001-12-14 2002-02-27 권우택 배수구
KR200352198Y1 (ko) 2004-03-11 2004-06-04 주식회사 경동하이테크 트랜치형 배수구조
KR100853253B1 (ko) * 2007-04-20 2008-08-20 (주)진성하이테크 주방용 오폐수 수집 장치
KR20110086658A (ko) * 2010-01-23 2011-07-29 김준호 그리스 트랩
JP3162312U (ja) * 2010-06-16 2010-08-26 株式会社サンケイサポート 排水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7940A (zh) * 2019-12-25 2020-03-13 天津晶东化学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废水pH调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1231B1 (ko) 2019-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83690C2 (ru) Водяной затвор для санитарн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JP2011117229A (ja) オーバーフロー装置
JPS58123936A (ja) トラツプを有する排水用ピツト
KR20190078938A (ko) 이중구조를 갖는 배수구
EP2252743B1 (en) Siphon construction
KR100820226B1 (ko) 개폐 가능한 봉수 장치를 구비하는 하수 장치
KR20210000700U (ko) 층상 및 매립 배관용 이중배관식 바닥배수장치
DK2210990T3 (en) Narrow drain
JP5430102B2 (ja) 排水構造、シャワー室の排水構造、洗濯機用防水パンの排水構造
KR101594899B1 (ko) 세면기용 트랩일체형 배수장치
EP2963196A1 (en) Drain device with a non-circular inlet hole.
JP2008156952A (ja) 浴槽の防水構造
JP4388441B2 (ja) 浴室の排水配管
KR200383592Y1 (ko) 방취수단이 구비된 오수받이
KR102143144B1 (ko) 하수관거용 수로변경장치
JP7274963B2 (ja) 排水構造
KR20170048718A (ko) 층상배관용 저상 플로우 드레인
KR20120010320A (ko) 배수관 고정구를 구비한 세면대 배수장치
KR200360041Y1 (ko) 편심 조절 가능한 배수 트렌치용 배수장치
JP6007382B1 (ja) 排水トラップ、弁部材、および流路ユニット
JP2004068328A (ja) 浴室の排水ユニット
JP4872045B2 (ja) 浴室の排水装置
KR20230001827U (ko) 이중봉수구조를 가지는 배수트랩
KR200463719Y1 (ko) 배수구 자동개폐 장치
KR20220109048A (ko) 배수트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