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855A - 어항 여과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항 여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855A
KR20190078855A KR1020170180583A KR20170180583A KR20190078855A KR 20190078855 A KR20190078855 A KR 20190078855A KR 1020170180583 A KR1020170180583 A KR 1020170180583A KR 20170180583 A KR20170180583 A KR 20170180583A KR 20190078855 A KR20190078855 A KR 20190078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ration
unit
tube
fish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팟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팟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팟
Priority to KR1020170180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8855A/ko
Publication of KR20190078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항의 상측 입구의 내부 둘레에 설치되는 여과부; 및 상기 어항의 하부의 물을 상기 여과부로 이동시키는 물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순환부에 의해 상기 여과부의 상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후, 상기 어항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여과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어항 여과 시스템{FILTRATION APPARATUS OF FISHBOWL}
본 발명은, 어항에 설치되어 어항의 물을 여과하는 어항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항은, 수생생물, 예컨대, 물고기, 수초 등이 서식할 수 있는 한정된 공간을 제공하는 수조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어항의 입구에는 식물을 배치되고, 어항의 내부에는 물고기, 수초 등이 서식하는 공간이 마련된 아쿠아리움 플랜트(Aquarium Plants)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아쿠아리움 플랜트에 사용되는 물은 물고기 등의 배설물이나 사료 등으로 인하여 오염되기 쉬우며, 아쿠아리움 플랜트의 생태계는 스스로의 정화능력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아쿠아리움 플랜트에는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여과 장치의 설치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1902호에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상부 개구에 식물이 배치된 어항에서 어항의 물을 여과할 수 있는 어항 여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항 여과 시스템은, 어항의 상측 입구의 내부 둘레에 설치되는 여과부; 및 상기 어항의 하부의 물을 상기 여과부로 이동시키는 물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순환부에 의해 상기 여과부의 상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후, 상기 어항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 순환부는, 하단이 상기 어항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튜브와, 상기 제1튜브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튜브를 통해 상기 어항의 하부 물을 끌어올리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전달된 물을 상기 여과부로 배출시키는 제2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튜브의 하단에는 그물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는, 상기 어항의 입구 내주 둘레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여과 프레임과,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 프레임은, 내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된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된 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 프레임의 내측에는 식물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항 여과 시스템은, 필터를 전체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어항의 물을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다.
그리고, 여과된 물을 식물의 뿌리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항 여과 시스템이 설치된 어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어항 여과 시스템의 여과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어항 여과 시스템의 여과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어항 여과 시스템의 물 순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항 여과 시스템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a는 도 6의 B-B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6의 C-C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항 여과 시스템의 커버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항 여과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항 여과 시스템이 설치된 어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어항 여과 시스템의 여과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어항 여과 시스템의 여과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어항 여과 시스템의 물 순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어항 여과 시스템(100)은 어항(20)에 설치되어 어항(20)의 물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어항 여과 시스템(100)은 여과부(110)와 물 순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부(110)는, 어항(20)의 상측 입구의 내부 둘레에 설치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물을 통과시켜 물을 여과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물 순환부(120)에 의해 상기 여과부(110)의 상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여과부(110)에서 여과된 후 상기 어항(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여과부(110)는 여과 프레임(111)과 필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 프레임(111)은 내부에 수용 공간(111a)이 형성되고, 상기 필터(112)는 상기 수용 공간(111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여과 프레임(111)의 상측에는 상기 물 순환부(120)로부터 제공된 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 공간(111a)과 연통되는 유입구(111b)가 형성되고, 상기 여과 프레임(111)의 하측에는 물이 유출되도록 상기 수용 공간(111a)과 연통된 유출구(111c)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111b)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111a)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필터(112)에서 필터링 된 후, 상기 유출구(111c)로 상기 어항(20)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 프레임(111)은 어항(20)의 입구 내주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항(20)의 입구 즉, 상기 여과 프레임(111)의 내측에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여과부(110)는 고정 프레임(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13)은 상기 여과 프레임(111)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13)에는 식물(1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프레임(113)은 상기 식물(10)의 뿌리와 줄기 사이를 고정하기 때문에, 상기 식물(10)의 뿌리는 상기 어항(20)의 내부의 물에 잠길 수 있다.
상기 여과 프레임(111)은 케이스(1112)와 커버(1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12)의 내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111a)을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유입구(111b)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상기 유출구(11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1113)는 상기 케이스(1112)의 상기 유입구(111b)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1113)에는 복수의 관통구(113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1113)로 전달된 물은 상기 복수의 관통구(113a)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111a)으로 유입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커버(1113)는 상기 케이스(1112)의 유입구(111b)에서 하측으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112)의 상측에는 유입 공간(1113a)이 형성되고, 상기 물 순환부(120)에서 제공된 물은 상기 유입 공간(1113a)으로 유입된 후, 상기 복수의 관통구(113a)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111a)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1113)는 물 순환부(120)로부터 물이 제공되는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하향 경사지게 삽입될 수도 있다.
이렇게 상기 커버(1113)가 하향 경사질 경우, 상기 물 순환부(120)로부터 물은 상기 커버(1113)의 상면을 흐르면서 순차적으로 상기 복수의 관통구(113a)를 통과하여 상기 수용 공간(111a) 전체로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112) 전체에서 물을 필터링할 수 있다.
상기 물 순환부(120)는 상기 어항(20)의 하부의 물을 상기 여과부(11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물 순환부(120)는, 제1튜브(121)와 펌프(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튜브(121)의 하단은 상기 어항(2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튜브(121)의 상단은 상기 펌프(122)와 연결된다.
상기 펌프(122)는 상기 제1튜브(121)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튜브(121)를 통해 상기 어항(20)의 하부 물을 끌어올려, 상기 여과부(11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펌프(122)에는 제2튜브(1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튜브(123)는 상기 펌프(122)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122)로부터 전달된 물을 상기 여과부(110)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튜브(121)의 하단에는 그물망(121a)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물망(121a)은 상기 어항(20)의 하부로부터 모래 등이 상기 펌프(122)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항 여과 시스템의 커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a는 도 6의 B-B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6의 C-C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1113)에는 가이드홈(11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홈(113b)은 상기 커버(1113)의 상기 복수의 관통구(113a)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관통구(113a)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1113)로 유입된 물은 상기 가이드홈(113b)에 가이드되어 상기 복수의 관통구(113a)로 이동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어항 여과 시스템의 커버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커버(1113)는 상기 가이드홈(113b)을 중심으로 좌우가 대칭되도록 상향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1113)로 유입된 물은 상기 커버(1113)로의 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려 상기 복수의 관통구(113a)로 안내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어항 여과 시스템
110: 여과부
120: 물 순환부

Claims (6)

  1. 어항의 상측 입구의 내부 둘레에 설치되는 여과부; 및
    상기 어항의 하부의 물을 상기 여과부로 이동시키는 물 순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 순환부에 의해 상기 여과부의 상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후, 상기 어항으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여과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순환부는,
    하단이 상기 어항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튜브와,
    상기 제1튜브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제1튜브를 통해 상기 어항의 하부 물을 끌어올리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펌프로부터 전달된 물을 상기 여과부로 배출시키는 제2튜브를 포함하는 어항 여과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의 하단에는 그물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여과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는,
    상기 어항의 입구 내주 둘레에 배치되며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된 여과 프레임과,
    상기 수용 공간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어항 여과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여과 프레임은,
    내부에는 상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된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수용 공간과 연통된 유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복수의 관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 장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어항 여과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여과 프레임의 내측에는 식물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 프레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항 여과 시스템.
KR1020170180583A 2017-12-27 2017-12-27 어항 여과 시스템 KR20190078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83A KR20190078855A (ko) 2017-12-27 2017-12-27 어항 여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583A KR20190078855A (ko) 2017-12-27 2017-12-27 어항 여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855A true KR20190078855A (ko) 2019-07-05

Family

ID=67225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583A KR20190078855A (ko) 2017-12-27 2017-12-27 어항 여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885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42202A1 (ja) 水中生物飼育システムおよび水槽用浄化ユニット
KR20120131158A (ko) 선박용 밸러스트수의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101613063B1 (ko) 수조용 여과기 및 이를 포함한 여과장치
WO2016143190A1 (ja) 護岸壁用浸透取水システム
KR200493479Y1 (ko) 수족관용 여과장치
KR20190078870A (ko) 제어가 가능한 다기능 어항 시스템
KR20160009831A (ko) 유기물을 포함하는 오수의 처리시스템
JP2020512193A (ja) 空気清浄化システム及び装置
US7270746B2 (en) Water treatment system for water animal feeding facility
KR20190078855A (ko) 어항 여과 시스템
CN102550476B (zh) 一种用于水产养殖的水质净化系统
KR20150001964U (ko) 배수 및 순환 장치를 구비한 어항
KR200468432Y1 (ko) 배수가 용이한 어항
KR20180128595A (ko) 수조용 여과 장치
KR20100047777A (ko) 활어 수조 내 이물질 제거 장치
JP4232151B2 (ja) 飼育水浄化装置、これを用いた飼育水槽及び飼育水の浄化方法
KR100780876B1 (ko) 물 순환장치를 갖는 수조
WO2011136660A1 (en) Farming system for aquatic organisms
KR101330560B1 (ko) 양식장의 급수 시스템
DK3055045T3 (en) FILTER FITTING WITH A DIVERGENT CLEANING PIPE WITH INTERNAL SEPARATIONS
US20140190882A1 (en) Fluid Cleaning Medium and a Fluid Cleaning Device
LV15092B (lv) Zivju audzēšanas komplekss un ūdens reģenerēšanas paņēmiens tajā
KR20190000652U (ko) 어항의 저면 여과 장치
KR101116294B1 (ko) 다용도 수족관
US20110079555A1 (en) Aquarium Fil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