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8462A -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식초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와 약학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식초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와 약학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8462A
KR20190078462A KR1020180065367A KR20180065367A KR20190078462A KR 20190078462 A KR20190078462 A KR 20190078462A KR 1020180065367 A KR1020180065367 A KR 1020180065367A KR 20180065367 A KR20180065367 A KR 20180065367A KR 20190078462 A KR20190078462 A KR 20190078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ale
fermented beverage
vinegar
fermented
ap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주
강민정
김종현
임상욱
최다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롬
Publication of KR20190078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84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8Acidify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J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C12J1/00Vinegar; Preparation or purif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22Acetic aci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otan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식초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와 약학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케일식초와, 케일 및 사과를 포함하는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발효음료; 상기 케일발효음료를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a) 케일과 사과를 혼합하여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를 제조하는 단계, (b) 케일식초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제조된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와 케일식초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케일식초 및 케일발효음료는 우수한 항균효과를 가지고, 식품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바, 식품제조산업분야 또는 의약업분야 등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식초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와 약학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KALE FERMENTED BEVERAG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KALE VINEGAR SHOWING LIPID METABOLISM IMPROVEMENT AND ANTI-OBESITY EFFEC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식초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와 약학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케일식초와, 케일 및 사과를 포함하는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발효음료; 상기 케일발효음료를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및 (a) 케일과 사과를 혼합하여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를 제조하는 단계, (b) 케일식초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제조된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와 케일식초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경제성장과 식생활 및 생활양식의 서구화로 인한 지방 섭취량의 증가 및 운동부족 등에 의해 비만 유병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국내 성인의 비만 유병율은 대략 30.9%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비만은 미용적인 모습을 해칠 뿐만 아니라, 심혈관계질환, 제2형 당뇨병 등을 일으킨다. 비만으로 인해 고혈압, 당뇨병 등의 성인병에 걸릴 위험은 비만이 아닌 정상인에 비해 3 내지 6배 높다고 알려져 있다. 비만은 활성산소 생성을 증가시키고 항산화 시스템을 저하시켜, 산화적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증가된 산화적 스트레스는 심혈관계질환 및 제2형 당뇨병의 원인인 인슐린 저항성을 가속화시켜 질환을 유발하게 된다.
비만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로서 세로토닌 신경계를 저해하는 펜풀루라민 텍스펜플루라민 등의 약물,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를 통한 에페드린 및 카페인 등의 약물, 세로토닌 신경계 및 노르아드레날린 신경계에 동시에 작용하는 시부트라민, 리파아제를 저해하여 지방의 흡수를 줄여주는 오를리스타트 등의 약물이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치료제들은 원발성 폐고혈압, 심장 판막병변, 혈압감소, 유산산혈증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는 비만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배 유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활성을 지닌 건강기능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5814호), 울금 및 연잎 조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5485호), 및 토마토 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6575호) 등과 같이, 과일 또는 야채 등 자연으로부터 추출된 물질을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개발된바 있다.
그러나, 여전히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등을 일으키는 심각한 위험 요인으로서, 부작용이 없는 비만 치료제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최근 건강한 생활을 위하여 과일이나 야채를 착즙하여 만들어진 주스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그러나, 착즙 주스는 착즙 즉시 섭취하도록 권장하며 유통기한이 짧은 단점이 있다. 유통기한을 연장시키기 위해 가열살균, 고전압 펄스 전기장, 진동 자기장 등을 이용한 물리적 방법과 이산화탄소, 양이온 다중 고분자 등의 화학물질, 세포벽 분해효소법 등의 방법을 적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처리는 영양소 및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주어 주스의 품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착즙 주스의 저장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은 없고 항비만 효과는 현저한 비만 치료제 및 착즙 주스의 저장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케일식초가 현저한 항비만 효과를 가지며, 착즙 주스의 저장 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일식초와, 케일 및 사과를 포함하는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발효음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케일발효음료를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a) 케일과 사과를 혼합하여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를 제조하는 단계, (b) 케일식초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제조된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와 케일식초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케일식초와, 케일 및 사과를 포함하는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발효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케일발효음료를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케일과 사과를 혼합하여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를 제조하는 단계, (b) 케일식초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제조된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와 케일식초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케일식초 및 케일발효음료는 우수한 항균효과를 가지고, 식품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가지는바, 식품제조산업분야 또는 의약업분야 등에서 널리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2-1의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2-2의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2-3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2-4의 미생물 안전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케일식초와, 케일 및 사과를 포함하는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발효음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일식초는 알코올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일 및 사과는 저속착즙기로 착즙된 액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일식초는 바람직하게는 전체 케일발효음료 100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7.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케일식초가 전체 케일발효음료 100중량%에 대하여 2.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케일식초의 생리활성에 대한 효과가 미미하고, 7.5 중량% 초과로 포함되는 경우 케일식초의 강한 맛과 향 때문에 관능적 특성이 낮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석류, 오이 및 파프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석류, 오이 및 파프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바람직하게는 전체 케일발효음료 100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석류, 오이 및 파프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전체 케일발효음료 100중량%에 대하여, 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착즙 수율 향상 효과가 미미하고, 15 중량% 초과로 포함하는 경우 케일발효음료의 맛, 향, 색 등의 관능적 특성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일발효음료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고, 그 밖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산미료, 점증제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타 식품의 유형이나, 식품의 유형에 따라 사용의 필요성이 있는 첨가제 등과 관련하여서는 식품위생법에 따른 식품공전과 식품첨가물공전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케일발효음료를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질대사질환은 비만, 당뇨병, 고콜레스테롤증, 고지혈증, 저지질증, 지방단백질증 및 동맥경화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케일식초 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 가능한 이상의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외에도 부형제, 희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경구용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의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액제, 겔제, 시럽제, 현탁액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적합한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덱스트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등의 당류,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밀 전분 등의 전분류,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류, 폴리비닐 피롤리돈,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맥아, 젤라틴, 탈크, 폴리올,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다. 제제화활 경우 필요에 따라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를 포함하여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비경구형 제형으로 제조될 경우,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스 및 글리콜 등의 적합한 담체와 함께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주사제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주사제로 제제화활 경우 적합한 담체로서는 멸균수 이외에, 에탄올, 글리세롤이나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폴리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링거 용액, 트리에탄올 아민이 함유된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나 주사용 멸균수, 5% 덱스트로스 같은 등장 용액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케일과 사과를 혼합하여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를 제조하는 단계; (b) 케일식초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제조된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와 케일식초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는 저속착즙기로 착즙된 액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일식초는 알코올 발효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전체 케일발효음료 100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7.5 중량%로 케일식초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석류, 오이 및 파프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스를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석류, 오이 및 파프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스는 저속착즙기로 착즙된 액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석류, 오이 및 파프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스를 바람직하게는 전체 케일발효음료 100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로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케일식초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
1-1: 케일식초의 제조
당해연도산 국산케일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케일을 선별 후 유수로 세척하여 저속착즙기(㈜휴롬, 김해, 한국)로 주스를 제조한 후, 가열(80°40분) 살균, 유수 냉각 후 알코올 발효용 원료로 사용하였다. 과실주용 효모(EC-1118, LALVIN, 캐나다)를 케일주스에 적응시킨 후 배양하였고, 활성형 주모를 제조하여 최종 농도 3%가 되도록 첨가하여 25°에서 알코올발효를 실시하였다. 적당한 농도로 희석 후 정치배양용 초산균(Acetobacter pasteurianus KCTC 13188BP)로 24℃에서 활성형 종초를 제조하고 2배씩 증량하여 산도 4% 이상의 고향미 케일식초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식초는 4℃ 저온실에 밀폐 보관하고 희석하여 이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1-2: 케일식초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 제조
케일과 사과를 깨끗이 씻어 물기를 제거한 후 저속착즙기로 각각 착즙하여 중량비가 케일:사과=1:1의 비율이 되도록 혼합주스를 제조한 후 케일식초를 전체 용량의 5% 수준으로 첨가하여 케일발효음료(이하, "케일발효음료"라고 함)를 제조하였다. 케일식초가 첨가되지 않은 케일과 사과의 혼합주스(이하, "과채주스"라고 함)를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1-3: 수율이 향상된 케일식초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케일발효음료는 섬유질이 풍부한 케일이 포함되어 있어, 착즙 수율이 68%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착즙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2의 케일발효음료를 100중량%로 하였을 때, 10중량%의 석류(Y1), 파프리카(Y2), 오이(Y3) 각각을 첨가하여, 착즙 수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Y1의 수율이 82%로 가장 높았고, Y3 및 Y2의 수율은 각각 77% 및 75%로 상기 실시예 1-2의 케일발효음료의 착즙 수율에 비해 크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석류, 파프리카 및 오이가, 섬유질이 풍부한 케일과 같은 재료를 포함하는 혼합주스의 제조에 있어서, 그 착즙 수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케일식초의 항비만 효과 및 저장기간 연장 효과의 확인
2-1: 시험관내 (in vitro)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의 측정 및 결과
과채주스, 케일발효음료 및 Y1에 1:1의 비율로 80% MeOH을 첨가하고 20분 동안 추출하여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시험관에 0.1M citrate-Na2HPO4 완충액(Mclivane buffer, pH 7.0) 20uL, 0.05U 포르신 췌장 리파아제(porcine pancreatic lipase) 25uL, 시료 5uL 및 0.1mM 4-메틸럼벨리페릴 올레이트(methylumbelliferyloleate) 50uL를 순서대로 넣고,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분광형광광도계(spectrofluorophotometer, 320/450n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은 아래의 계산공식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그 결과, 과채주스, 케일발효음료 및 Y1의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은 각각 45.8%, 52.4% 및 58.2%로 나타나, 과채주스에 비해 케일발효음료 및 Y1의 췌장 리파아제 저해활성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p<0.05)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2-2: 시험관내 (in vitro)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및 결과
과채주스, 케일발효음료 및 Y1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DPPH(2,2- diphenyl-1-picryl-hydrazyl)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물에 10배 희석된 시료 200 uL에 0.1 mM DPPH 용액 800 uL를 첨가하고, 10분간 반응시킨 후 52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계산공식을 이용하여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그 결과, 과채주스, 케일발효음료 및 Y1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44.5%, 48.4% 및 48.6%로 나타나, 과채주스에 비해 케일발효음료 및 Y1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2-3: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및 결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은 데비스(Devis)법을 변형하여 시행하였다. 과채주스, 케일발효음료 및 Y1에 1:4의 비율로 100% MeOH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추출하여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시료 0.4 mL, 5% (w/v)NaNO2 100μL를 혼합하여 5분간 반응시켰다. 1% (w/v) AlCl3용액 300μL을 첨가하여 6분간 더 반응시키고, 1M NaOH 200μL를 넣고 혼합하여 총 부피가 1 mL이 되게 한 후 5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퀘르세틴(quercetin)을 1, 10, 30, 50 및 100 μg/mL 농도가 되도록 100% 메탄올에 제조 후 표준검량선을 작성하여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과채주스, 케일발효음료 및 Y1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1.7, 23.8 및 25.9 mg 퀘르세틴/100 mL로 나타나, 과채주스에 비해 케일발효음료 및 Y1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p<0.05)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2-4: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 안전성 측정 및 결과
과채주스, 케일발효음료 및 Y1을 착즙 즉시 10℃에서 7일간 저장한 후 일반세균수를 측정하였다. 일반세균수는 식품공전 미생물 시험법에 준하여 일반세균수 건조필름배지(Petrifilm Aerobic Count plates, 3M, USA)에 접종한 후 37℃에서 1일, 3일 및 5일간 배양하여 생성된 붉은 집락수를 측정하여 시료 1 mL 당 집락형성단위(colony forming unit) (CFU/mL)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과채주스 착즙 직후 일반세균수를 측정한 결과 3.41 log CFU/mL로 나타났고 1일, 3일 및 5일간 보관한 후 일반세균수는 각각 3.52, 4.99 및 5.16 log CFU/mL로 나타나 보관 3일 이후부터 기준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케일발효음료 착즙 직후 일반세균수는 3.35 log CFU/mL이었고, 1일, 3일 및 5일간 보관한 후 일반세균수는 3.22, 3.14 및 2.80 log CFU/mL로 나타나 5일간 보관시 미생물학적 위해요인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Y1 착즙 직후 일반세균수는 3.36 log CFU/mL이었고, 1일, 3일 및 5일간 보관한 후 일반세균수는 3.24, 3.17 및 2.87 log CFU/mL로 나타나 5일간 보관시 미생물학적 위해요인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도 4).
모든 측정치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두 군간의 유의성 검정은 대응표본 T 검정(paired t-test)를 사용하였고, 유의성은 p<0.05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케일식초와, 케일 및 사과를 포함하는 지질대사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발효음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일식초는 알코올 발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일발효음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일 및 사과는 저속착즙기로 착즙된 액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일발효음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일식초는 전체 케일발효음료 100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7.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일발효음료.
  5. 제1항에 있어서, 석류, 오이 및 파프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일발효음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석류, 오이 및 파프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전체 케일발효음료 100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일발효음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케일발효음료를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대사질환은 비만, 당뇨병, 고콜레스테롤증, 고지혈증, 저지질증, 지방단백질증 및 동맥경화증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방법:
    (a) 케일과 사과를 혼합하여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를 제조하는 단계;
    (b) 케일식초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제조된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와 케일식초를 혼합하는 단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일 및 사과 혼합주스는 저속착즙기로 착즙된 액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일식초는 알코올 발효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전체 케일발효음료 100중량%에 대하여, 2.5 내지 7.5 중량%로 케일식초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석류, 오이 및 파프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스를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석류, 오이 및 파프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스는 저속착즙기로 착즙된 액상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석류, 오이 및 파프리카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주스를 전체 케일발효음료 100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5 중량%로 추가로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일발효음료의 제조방법.
KR1020180065367A 2017-12-26 2018-06-07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식초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와 약학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84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860 2017-12-26
KR20170179860 2017-12-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8462A true KR20190078462A (ko) 2019-07-04

Family

ID=6725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367A KR20190078462A (ko) 2017-12-26 2018-06-07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식초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와 약학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846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252A (ko) * 2021-11-22 2023-05-31 김은경 다이어트용 음료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5252A (ko) * 2021-11-22 2023-05-31 김은경 다이어트용 음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Production of γ-aminobutyric acid in black raspberry juice during fermentation by Lactobacillus brevis GABA100
CN105249100B (zh) 发酵果蔬汁与甜酒酿复合功能饮料的生产方法
KR102214532B1 (ko) 석류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한 건강식품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160096967A (ko) 도라지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관지질환, 면역증강 및 항비만 예방 효능의 건강차 조성물
KR20190078462A (ko) 지질대사 개선 및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케일식초를 포함하는 케일발효음료와 약학적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71768B1 (ko) 잇몸 질환을 예방하고 구취 생성 억제능을 가지는 리기락토바실루스 살리바리우스 idcc 3551 균주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EP3878460A1 (en) Green tea extract having modified constituent content and composition comprising same
KR101494664B1 (ko) 항산화 기능을 갖는 산수유 발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114111A (ja) カルシウム吸収促進剤
KR20170004645A (ko) 기능성이 우수한 블루베리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블루베리 발효액
JP2009102270A (ja) 脂肪代謝抑制剤
KR101448544B1 (ko) 과일 발효식품 및 그 제조방법
KR102102267B1 (ko) 유산균 복합균주 및 n-아세틸글루코사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JP2009102276A (ja) 抗糖尿病剤
CN115702001A (zh) 用于抑制或改善抑郁的组合物
KR20120137338A (ko) 야콘 발효 식초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야콘 초음료
Bochare et al. Studies on development of kiwi fruit RTS beverage incorporated with lemongrass
KR101970320B1 (ko) 모과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24392B1 (ko) 요구르트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얻어진 요구르트
KR101650255B1 (ko) 폴리페놀 성분 함량이 강화된 감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416174B1 (ko) 항암 효과를 가지는 포도 식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33914A (ko) 오미자 추출 원액의 제조 방법 또는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오미자 추출 원액
KR102217834B1 (ko) 케피어 유래 유산균의 사균체 및 포도씨 분말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7702B1 (ko) 아로니아 식초를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537844B1 (ko) 마리골드 추출물에 모유 유산균으로 생물전환 시킨 성분을 함유하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