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819A - 가변형 벽체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형 벽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819A
KR20190077819A KR1020170179316A KR20170179316A KR20190077819A KR 20190077819 A KR20190077819 A KR 20190077819A KR 1020170179316 A KR1020170179316 A KR 1020170179316A KR 20170179316 A KR20170179316 A KR 20170179316A KR 20190077819 A KR20190077819 A KR 20190077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unner
reinforcing plate
ceiling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선
Original Assignee
(주)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창 filed Critical (주)유창
Priority to KR1020170179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7819A/ko
Publication of KR20190077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8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edges are connected to the building; Means therefor; Special details of easily-removable partitions as far as related to the connection with other parts of the building
    • E04B2/821Connections between two opposed surfaces (i.e. floor and ceiling) by means of a device offering a restraining force acting in the plane of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1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panels without a frame or supporting posts, with or without upper or lower edge locating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며, 현장에서의 작업수를 삭감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가변형 벽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가변형 벽체 시스템은 바닥에 고정되는 하부 런너, 천장에 고정되는 상부 런너, 상기 하부 런너와 상부 런너 사이에 입설되는 벽체, 및 상기 벽체가 천장과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벽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레벨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벨조절부는 상부보강판, 상기 벽체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하부보강판, 상기 상부보강판의 중앙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보강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벽체 내부를 향하여 삽입되는 가이드볼트, 및 상기 가이드볼트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상부보강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변형 벽체 시스템{Wall system for variable type}
본 발명은 가변형 벽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며, 현장에서의 작업수를 삭감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가변형 벽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는 건축물, 예를 들어 학교, 사무실, 전시장, 휴게실, 문화공간, 주거공간 및 작업장 등의 실내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하거나 사무 등을 위한 공간을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블록이나 벽돌을 쌓아 시공하는 습식벽체 공법과, 칸막이나 패널 등으로 시공하는 건식벽체 공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다.
특히 건식벽체는 블록이나 벽돌을 쌓아 시공하는 습식공법에 의한 습식벽체와 달리 경량으로 건축물에 부담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시설이 가능하며 시공이 간편하고 신속한 작업 및 시공비가 저렴한 이점이 있다.
이러한 건식벽체는 사용의 측면에 있어서 외관의 미려함, 설치 및 해체의 용이성 뿐만 아니라 일체의 공간을 여러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주거, 사무 등의 환경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바닥에서 소정의 높이까지만 설치되거나 또는 바닥에서 천장까지 도달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건식벽체는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벽체를 준비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근래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에 따라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벽체가 제시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높낮이 조절구조를 갖는 벽체는 하부에 구비되는 높낮이 조절나사를 돌려서 벽체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무거운 중량을 갖는 벽체의 무게를 부담한 상태에서 높낮이 작업을 수행해야 했으므로 벽체의 높낮이 조절작업에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건식벽체는 대부분의 작업 공정이 현장 조립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공사기간 및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자재들을 쌓아 놓기 위한 넓은 공간 확보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벽체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며, 현장에서의 작업수를 삭감할 수 있는 구조로 된 가변형 벽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바닥에 고정되는 하부 런너, 천장에 고정되는 상부 런너, 상기 하부 런너와 상부 런너 사이에 입설되는 벽체, 및 상기 벽체가 천장과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벽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레벨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벨조절부는 상부보강판, 상기 벽체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하부보강판, 상기 상부보강판의 중앙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보강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벽체 내부를 향하여 삽입되는 가이드볼트, 및 상기 가이드볼트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상부보강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변형 벽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공장에서 스터드와 합판을 패널형태로 일체화시켜 사전 제작함으로써, 마감 석고보드만 현장에서 설치하면 벽체를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으로, 전문인력이 필요없고 공사기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레벨조절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벽체 상하부를 조절하여 상부런너에 밀착 고정시켜 벽체의 설치시 안정되고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이에 따른 다양한 규격의 벽체를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셋째, 마감 석고보드 시공 및 상하부 몰딩 시공에 의해 상부런너와 벽체 사이가 마감되어 외부 노출되지 않으므로 미관을 해칠 염려가 없다.
넷째, 하부 런너에 설치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타공이 적어도 하나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마찰력을 높여 고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의 하부 런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의 레벨조절부의 벽체 상하부 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형 벽체 마감 시공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 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가변형 벽체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실내공간을 다양하게 구획하도록 형성된 벽체(100)와, 벽체(100)가 천장에 연결되어 고정도록 벽체(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레벨조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벽체(100)는 판넬형태로 공장에서 사전 제작되며, 그 제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벽체(100)의 프레임(Frame)(110)을 제작한다. 여기서, 프레임(110) 규격은 시공 현장 조건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개략적으로 대략 1,000m/m×2,300m/m 정도의 직사각형으로 제작되며, 중앙부에 스터드(Stud)를 추가 설치하여 지지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 벽체(100)의 상부에 레벨조절부(200)를 조립한다. 여기서, 레벨조절부(200)는 상부보강판(210)과 하부보강판(220), 상부보강판(210)의 중앙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돌출된 가이드볼트(230), 및 가이드볼트(230)와 상호 결합되어 상부보강판(2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너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보강판(220)은 벽체(100) 프레임(110)의 상부면에 고정시키고, 가이드볼트(230)는 하부보강판(220)의 중앙을 관통하여 벽체(100) 프레임(110) 내부에 삽입되게 한다.
한편, 벽체(100) 프레임(110) 일측 외부에는 합판부재(130)를 배치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합판부재(130)로 대략 8t 두께의 OSB 합판을 사용한다.
그런 다음, 벽체(100) 프레임(110) 내부에 유리섬유(Glass wool) 충전제(120)를 설치한 후 필요에 따라 전기장치 등을 설치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벽체(100) 프레임(110) 타측 외부에도 합판부재(130)를 배치하여 고정시킴으로 제작 완료한다.
이와 같이 사전 제작된 벽체(100)를 현장에 가지고 와서 시공을 하게 되는 데, 그 시공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바닥과 천장에 각각 런너(310,320)를 고정시킨다. 이때, 천장에 고정되는 상부 런너(310)는 천장틀 조립부재인 엠-바(M-bar)와 동일 위치에 고정시켜 힘 전달을 천장과 벽으로 분산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부 런너(310)는 도 3에 보여진 바와 같이,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고정 설치하지만, 하부 런너(320)는 고정부재의 사용없이 그냥 설치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하부 런너(3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닥 콘크리트 슬래브에 접하는 웨브(321)와 이 웨브(321)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측면부(322,323)를 구비하는 대략 ㄷ자형 단면을 갖는다. 또한, 웨브(321)에는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다수의 타공(32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타공(324)을 원형 형태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태의 타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타공(324)들을 하부 런너(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두 줄로 배열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타공(324)들을 한 줄, 세 줄 등으로 배열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타공(324)들이 두 줄 이상으로 배열되는 경우, 각 줄의 타공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지그재그 형태로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각 타공(324)의 크기 또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타공(324)에 의해 하부로 금속물이 돌출되면서 하부 런너(320)의 바닥과 닿는 저부의 단면이 거칠게 되기 때문에 바닥과의 마찰력을 높여주어 하부 런너(320)의 고정력이 상승되게 된다.
그런 다음, 상부 런너(310)와 하부 런너(320) 사이에 벽체(100)를 설치한다.
이때, 벽체(100)가 상부 런너(310)에 고정되도록, 스패너를 이용해서 레벨조절부(200)의 조절너트(240)를 조절하여 도 5a 및 5b에 보여진 바와 같이, 가이드볼트(230)를 상하로 승강시켜 상부보강판(210)이 상부 런너(310)와 접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런너(310)는 천장에 접하는 웨브와 이 웨브로부터 수직하게 절곡된 측면부를 구비하는 대략 ㄷ자형 단면을 갖는 형상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레벨조절부(200)의 승강하는 상부보강판(210)과의 밀착 접합을 위해 상부 런너(310)의 측면부를 재절곡하여 좌우 대칭의 이중 계단식 형상인 대략 "
Figure pat00001
" 형태의 단면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상부 런너(310)의 전체 폭은 벽체(100) 두께와 같은 크기로 하고 웨브인 2층 계단의 폭을 상부보강판(210)과 거의 같은 크기로 하여 레벨조절부(200)의 상부보강판(210)이 승강하여 상부 런너(310)의 웨브에 끼워 맞춰지는 형태로 밀착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 런너(310)와 벽체(100) 간 고정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바닥과 천장에 각각 고정된 상하부 런너(310,320) 사이에 높이 조절되어 벽체(100)가 고정 설치되면 벽체(100) 합판부재(130)의 외부를 석고보드(140)로 마감 시공한다. 이때, 마감 석고보드(140)는 바닥에서 천장까지 시공되고, 몰딩부재로 상하부를 몰딩하여 벽체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시공 현장 조건에 따라 요구되는 벽체(100)를 공장에서 사전 제작을 완료한 후에 현장에서 일괄 시공을 하게 됨으로써, 시공자는 보다 용이한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 또한 현격하게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벽체(100)의 상부에서 높낮이 조절을 함으로써 높낮이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순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벽체 110 : 프레임
120 : 유리섬유 충전제 130 : 합판부재
140 : 마감 석고보드 200 : 레벨조절부
210 : 상부보강판 220 : 하부보강판
230 : 가이드볼트 240 : 조절너트
310 : 상부 런너 320 : 하부 런너
321 : 웨브 322,323 : 측면부
324 : 타공

Claims (8)

  1. 바닥에 고정되는 하부 런너;
    천장에 고정되는 상부 런너;
    상기 하부 런너와 상부 런너 사이에 입설되는 벽체; 및
    상기 벽체가 천장과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벽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레벨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벨조절부는
    상부보강판;
    상기 벽체의 상부면에 고정되는 하부보강판;
    상기 상부보강판의 중앙 하부에 결합되어 하부로 돌출되며, 상기 하부보강판의 중앙을 관통하여 벽체 내부를 향하여 삽입되는 가이드볼트; 및
    상기 가이드볼트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상부보강판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너트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런너는 바닥 설치면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런너는 천장의 엠바와 동일 위치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런너는 단면이 ㄷ자형이거나
    Figure pat00002
    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체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판넬형태로 사전 제작되며, 프레임과, 그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유리섬유 충전제와, 외부에 배치되는 합판부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체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조절부는 조절너트에 의해 가이드볼트를 상하로 승강시켜 상부보강판이 천장의 상부 런너와 접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체 시스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는 상기 레벨조절부에 의해 상하부 조절되어 천장의 상부 런너와 연결되면 상기 합판부재의 외부에 석고보드가 현장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벽체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상하부를 마감하는 몰딩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벽체 시스템.
KR1020170179316A 2017-12-26 2017-12-26 가변형 벽체 시스템 KR201900778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316A KR20190077819A (ko) 2017-12-26 2017-12-26 가변형 벽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316A KR20190077819A (ko) 2017-12-26 2017-12-26 가변형 벽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819A true KR20190077819A (ko) 2019-07-04

Family

ID=6725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316A KR20190077819A (ko) 2017-12-26 2017-12-26 가변형 벽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781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4547A (zh) * 2020-12-31 2021-05-28 中建材创新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墙体安装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4547A (zh) * 2020-12-31 2021-05-28 中建材创新科技研究院有限公司 一种墙体安装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02147B2 (en) Panels for framing and constructing a building structure
US10280615B2 (en) Concrete formwork steel stud and system
KR20200109559A (ko) 건축물 내외장재 및 트러스 프로파일 고정용 브라켓
CA2666284C (en) Caisson ceiling system
JP2010019075A (ja) 内装下地構造及び内装下地構造の形成方法
KR20190077819A (ko) 가변형 벽체 시스템
US20110000150A1 (en) Construction insert
EP3543416B1 (de) Betonholzdeckenelement
US1858715A (en) Building construction
KR101901240B1 (ko) 건축물용 조립식 거푸집 패널
KR101789684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
CN109914728B (zh) 一种墙板与层板的挂装结构
EP1726729B1 (en) Partition wall for integrating with concrete floor
WO2014075147A1 (en) Concealed panel connections
WO2008069764A1 (en) Industrialized construction system and method
CN209874131U (zh) 一种定制顶固墙
US8511017B2 (en) Interlocking building system
JP7176923B2 (ja) 天井吊り金具および天井付き屋根パネル
KR100462148B1 (ko) 천장틀
RU192137U1 (ru) Усиленный крепеж для фасадной или террасной доски
EP2397617A2 (en) Gypsum drywall
KR200300711Y1 (ko) 천장틀
JPH0752246Y2 (ja) プレファブルームの側壁構造
JP2000248662A (ja) 板材及び間仕切り装置
JP2524828Y2 (ja) 開放階上廊下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