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7743A - 재사용 방지 주사기 - Google Patents

재사용 방지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7743A
KR20190077743A KR1020170179181A KR20170179181A KR20190077743A KR 20190077743 A KR20190077743 A KR 20190077743A KR 1020170179181 A KR1020170179181 A KR 1020170179181A KR 20170179181 A KR20170179181 A KR 20170179181A KR 20190077743 A KR20190077743 A KR 201900777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liquid
injection
hole
needle
injection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478B1 (ko
Inventor
천건혁
Original Assignee
천건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건혁 filed Critical 천건혁
Priority to KR1020170179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647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7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5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preventing re-use, or for indicating if defective, used, tampered with or unsterile
    • A61M5/5013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 A61M5/504Means for blocking the piston or the fluid passageway to prevent illegal refilling of a syringe for blocking the fluid passagew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7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rotatable, e.g. bayonet or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61M2005/31516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reducing dead-space in the syringe barrel after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16Materials providing elastic properties, e.g. for facilitating deformation and avoid brea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재사용 방지 주사기가 제공된다.
재사용 방지 주사기는 주사액을 수용하여 방출가능하며, 일단에 주사액이 유출입되는 주사액 공급부를 구비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와 결합되며, 주사 바늘과 상기 주사액이 유출입되는 유로를 구비한 허브를 갖는 바늘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유로 내에 상기 주사액의 방출 방향으로 편향한 상태로 만곡됨과 아울러서 유연성을 갖고, 상기 주사액의 방출시 확장가능한 구멍이 소정 부분에 위치되는 규제부와, 상기 주사액의 방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유로의 상류 및 하류 측에 각각 상기 주사액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개구를 갖는 제 1 및 제 2 필터와, 상기 구멍 및 상기 개구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됨과 아울러서, 상기 주사액의 유입시에 상기 규제부와 상기 제 1 필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주사액의 방출시에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규제부와 상기 제 2 필터 사이로 이동되고, 상기 주사액의 방출 후 상기 주사액의 재 유입시에 상기 구멍을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주사액의 상기 실린더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사용 방지 주사기{A syringe with non-recyclable needle}
본 발명은 재사용 방지 주사기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기 재사용을 근본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서 바늘부와 실린더 사이의 주사액의 잔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재사용 방지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주사기는 일반적으로 주사약액이 저장되는 실린더, 그 일측에 소구경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주사액의 흡입 및 배출 통로로 사용되는 약액 공급로, 및 일회용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져 약액 공급로의 선단인 주사액 공급구에 결합되는 허브와 주사 바늘로 이루어진 바늘부로 구성되어 있다.
통상적인 허브의 경우 실린더의 약액 공급로에 연결하여 사용한 후에도 시각적/물리적 변화가 없어, 환자나 의료진이 주사 바늘의 재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경제적 이득을 위한 의도적 주사기 재사용이나 의료진의 판단 미숙으로 인한 재사용이 빈번히 일어난다. 이 뿐만 아니라, 인도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는 폐기된 사용된 주사기와 바늘을 회수하여 주시기와 바늘을 대량으로 재판매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실제로 2015년에 한국에서 의사의 판단미숙으로 주사기를 재사용하여 535명의 c형 간염 환자가 발생하였으며, 2017년에도 서울에서 주사기 재사용으로 81명의 c형 간염 환자가 추가 발생하였다. 세계적으론 연간 1백 30만 여명의 환자들이 생명을 잃고 있는 상황인데, 이는 주사기 재사용이 어떠한 전염 질환, 예컨대 말라리아 질병보다 더 위험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주사기의 의도적 실수로 인한 주사기 재사용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재사용 불가능한 실린더, 주사 바늘 폐기처리기계 등의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기술은 모두 새로운 기계를 사거나 기존에 사용하는 주사기의 전량을 교체해야 하는 등 높은 도입비용을 요구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에서 문제되고 있는 폐기된 주사기 바늘 회수 및 재판매의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더욱이, 바늘부의 주사 바늘은 체내에 침입하는 부분으로서 소독하고 재사용하더라도 질환의 감염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재활용은 법적으로 엄격하게 금지되어 있다. 그럼에도 현재로서는 주사기의 사용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는 관계로, 바늘부만이 불법 유통되어 전술한 상황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다.
이에 더하여, 실린더 하단, 주사액 공급 유로와 허브 내에는 불필요한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많아 환자에게 투여시 주사액이 낭비되는데, 이러한 몇 ml 의 차이는 고가의 약인 경우 더 큰 손실을 유발하며, 미국 약학 대학의 조사에 따르면 한 번 주사할 때마다 5 달러 이상 더 소요된다는 보고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사기 재사용을 근본적으로 차단함과 아울러서 바늘부와 실린더 사이의 주사액의 잔류를 최소화하는 재사용 방지 주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재사용 방지 주사기는 주사액을 수용하여 방출가능하며, 일단에 주사액이 유출입되는 주사액 공급부를 구비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와 결합되며, 주사 바늘과 상기 주사액이 유출입되는 유로를 구비한 허브를 갖는 바늘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유로 내에 상기 주사액의 방출 방향으로 편향한 상태로 만곡됨과 아울러서 유연성을 갖고, 상기 주사액의 방출시 확장가능한 구멍이 소정 부분에 위치되는 규제부와, 상기 주사액의 방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유로의 상류 및 하류 측에 각각 상기 주사액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개구를 갖는 제 1 및 제 2 필터와, 상기 구멍 및 상기 개구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됨과 아울러서, 상기 주사액의 유입시에 상기 규제부와 상기 제 1 필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주사액의 방출시에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규제부와 상기 제 2 필터 사이로 이동되고, 상기 주사액의 방출 후 상기 주사액의 재 유입시에 상기 구멍을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주사액의 상기 실린더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구멍을 둘러싸면서 유연성을 갖는 역진 방지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구멍 주위의 역진 방지 시트는 상기 주사액의 방출 방향보다 상기 주사액의 유입 방향의 유체 압력에 대해 큰 벤딩(bending) 저지력을 갖기 위해, 상기 주사액의 방출 방향으로 바이어스(biased)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구멍 근방의 상기 역진 방지 시트에 상기 유로를 향하여 절개된 복수의 슬릿(slits)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로는 상기 주사 바늘의 내경으로 수렴하도록 상기 상류에서 상기 하류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필터는 상기 개구를 갖는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주사액 공급부의 내경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기 주사액 공급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주사액 공급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바늘부의 허브와 상기 주사액 공급부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늘부의 허브 내에 재유입 방지를 위한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주사기의 부품 중 체내에 삽입되어 감염 가능성이 매우 높은 바늘부의 재활용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바늘부, 주사액 공급부, 실린더에 있어서, 주사액의 잔류를 최소화하여 주사액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주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주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바늘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E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주사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 및 후술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주사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주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의 주사기는 의료계에서 널리 이용되는 슬림 타입(slim type)이다.
슬림 타입의 재사용 방지 주사기(100)는 주사액이 수용되는 실린더(102), 이와 결합되며, 주사 바늘(118)과 주사액이 유출입되는 유로(도 3의 124 참조)를 구비한 허브(116)를 갖는 바늘부(114), 및 그 선단부에 구비된 주사 바늘(118)의 보호, 취급 및 안전상 관리를 위해 바늘부(114)의 외측에 착탈가능한 캡(122)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2)는 일단에 주사액이 유출되는 주사액 공급구(110)를 가짐과 아울러서, 실린더(102)의 몸체로부터 작은 직경으로 돌출된 주사액 공급부(108)를 구비한다. 주사액 공급부(108)는 외주연의 소정 부분에 허브(116)의 내측 결합부(120)와 고정 체결되는 외측 결합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외측 및 내측 결합부들(112, 120)이 나사 결합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확실한 체결을 위한 다양한 결합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린더(102)에는 이를 통해 실린더(102) 내부로 삽입되어져 왕복이동하면서 실린더(102)의 내부로 주사액을 유입하거나, 유입된 주사액을 방출하도록 피스톤(104)이 끼움 결합되고, 실린더(102)의 외부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주사액의 용량을 파악하기 위한 눈금(106)이 표시될 수 있다.
바늘부(114)는 구체적으로 환자 체내로 일정 길이 삽입되도록 선단이 뾰쪽한 금속제의 주사 바늘(118)과, 주사 바늘(118)을 고정하여 실린더(102)의 주사액 공급부(108)에 결합되는 허브(116)로 구성된다. 주사기(100) 특히, 바늘부(114)의 재사용을 방지함과 아울러서 주사액 낭비를 억제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은 허브(116)에 구현되고, 허브(116)의 상세 구성은 후술하도록 한다.
재사용 방지 주사기(100)는 실린더(102)의 주사액 공급부(108)에 캡(122)과 바늘부(114)가 결합된 형태로 포장되어 제공되거나, 또는 실린더(102)와 바늘부(114)가 분리된 상태로 포장되어 제공되거나, 실린더(102)과 바늘부(114)가 각각 분리 포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주사기의 사시도이다. 도 2의 주사기는 루어 락 타입(luer lock type)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기능하는 부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를 갖는 구성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주사기(200)는 주사액을 유출입시키도록 내부에 삽입되어 왕복이동하는 피스톤(204)이 구비된 실린더(202), 이와 결합되며, 주사 바늘(216)과 주사액이 유출입되는 유로(미도시)와 실린더(202)로 연장 돌출된 돌기(218)를 구비한 허브(214)를 갖는 바늘부(212), 및 그 선단부에 구비된 주사 바늘(216)의 보호, 취급 및 안전상 관리를 위해 바늘부(212)의 외측에 착탈가능한 캡(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102)는 일단에 주사액이 유출되는 주사액 공급구를 가짐과 아울러서, 실린더(102)의 몸체로부터 작은 직경으로 돌출된 주사액 공급부(108)를 구비한다. 주사액 공급부(108)는 구체적으로, 바늘부(114)와 결합되는 고정부(210)와 이보다 큰 직경의 원통형벽(208)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늘부(114)의 허브(116)는 도 1에서와 같이, 고정부(210)에 예컨대 나사 결합 등으로 고정 체결될 수 있으며, 원통형벽(208)은 결합시에 허브(116)를 고정부(210)로 가이드할 뿐만 아니라, 주사액의 방출시에 바늘부(114)로부터의 누액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주사기(200)의 재사용을 방지함과 아울러서 주사액의 낭비를 억제하기 위한 기술 구성은 도 1에서와 같이 허브(214)에 구현되고, 도 1 및 도 2의 허브(214)는 도 3, 도 4에서 후술한 구성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재사용 방지 주사기들(100, 200)에 적용되는 허브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후술의 설명은 도 1의 부재와 참조부호를 인용한다. 도 3은 바늘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E 부분을 확대한 사시도이다.
허브(116)는 규제부(126), 제 1 필터(128), 차단 부재(130), 제 2 필터(132) 및 돌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허브(116)의 외측 하우징은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경성의(rigid) 재질, 예컨대 경성의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허브(116) 내부의 유로(124)는 외측 하우징을 관통하여 주사액을 주사액 공급구(110) 또는 주사 바늘(118)로 흐르게 한다. 여기서, 유로(124)는 주사 바늘(118)의 내경으로 수렴하도록 유로(124)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내경을 가질 수 있다. 종래에는 주사 바늘(118) 부근의 유로(124)가 주사 바늘(118)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주사액의 방출 후에 주사 바늘(118)에 인접한 유로(124)의 측방에 주사액이 잔류하였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직선 또는 곡선 형태의 테이퍼(taper)로 인해 주사액이 전부 외부로 방출되고 잔류되지 않는다. 즉, 주사액의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규제부(126)는 유로(124) 내에 주사액의 방출 방향(B)으로 편향한 상태로 만곡되면서 유연성을 갖고, 주사액의 방출시 확장가능하며 주사액의 유입시 수축되는 구멍(126b)이 소정 부분에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규제부(126)는 구멍(126b)을 둘러싸면서 유연성을 갖는 역진 방지 시트(126a)를 구비하고, 구멍(126b) 주위의 역진 방지 시트(126a)는 주사액의 방출 방향(B)보다 유입 방향(A)의 유체 압력에 대해 큰 벤딩(bending) 저지력을 갖기 위해, 주사액의 방출 방향(B)으로 바이어스(biased)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역진 방지 시트(126a)는 예컨대 실리콘 재질의 수지,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규제부(126)는 구멍(126b) 근방의 역진 방지 시트(126a)에 유로(124)를 향하여 절개된 복수의 슬릿(slits)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릿(126c)은 구멍(126b)까지 합하여 차단 부재(1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사이즈를 갖거나, 구멍(126b)과 합하여 차단 부재(130)보다 크게 형성되더라도 주사액의 재 유입시에 규제부(126)를 통과하는 주사액의 재 유입량이 실질적으로 의미없는 정도의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멍(126b)이 차단 부재(130)에 비해 현저히 작더라도, 차단 부재(130)가 주사액의 방출시에 구멍(126b)을 원활하게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멍(126b)을 더욱 작은 사이즈로 제작할 수 있어, 차단 부재(130)는 주사액의 재 유입시에 구멍(126b)과 슬릿(126c)을 전부 블로킹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126c)을 구비하는 주사기(100)를 설명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멍(126b)과 역진 방지 시트(126a) 만으로 구성되는 규제부(126)로 설계될 수도 있다.
제 1 및 제 2 필터(128, 132)는 주사액의 방출 방향(B)에 있어서의 유로(124)의 상류 및 하류 측에 각각 주사액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개구(128b)를 갖는다.
주사액의 유입 혹은 방출시에 개구(128b)가 확장되어 주사액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제 1 필터(128)의 플레이트(128a)와 함께, 제 2 필터(132)의 플레이트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 예컨대 실리콘 재질의 수지 혹은 고무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필터(128)는 주사액 공급부(108), 즉 주사액 공급구(110)의 내경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주사액 공급구(110)로 삽입되도록 주사액 공급부(108)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34)가 구비됨으로써, 주사액 공급부(108) 및 바늘부(114) 상단의 유로(124)가 더 작은 단면적을 갖게 되므로, 피스톤(104)의 압출력이 작은 단면적에 더욱 크게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사액이 주사액 공급부(108)와 바늘부(114)의 유로(124)에 잔류됨이 없이 전부 방출되어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 1 및 제 2 필터(128, 132)가 격자 형상의 망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주사액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다양한 변형 형태를 적용할 수 있다.
차단 부재(130)는 구멍 및 개구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됨과 아울러서, 주사액의 유입시에 규제부(126)와 제 1 필터(128) 사이에 위치되며, 주사액의 방출시에 구멍(126b)을 통해 규제부(126)와 제 2 필터(132) 사이로 이동되고, 주사액의 방출 후에 재 유입시에 구멍(126b)을 차단시킴으로써, 주사액의 실린더(102)로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4에서는 차단 부재(130)가 구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주사액의 재 유입시에 구멍(126b)을 블록킹할 수 있는 형태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1에서와 같이, 주사액 공급부(108)와 허브(116)가 외측 및 내측 결합부(112, 120)에 의해 견고히 체결됨으로써, 허브(116) 내에 전술한 부재가 배치됨으로 높아진 주사액의 유출입 압력에도 주사액 공급부(108)와 바늘부(114)가 서로 이탈되지 않고 강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이들 사이의 누액도 억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주사기에 있어서 재사용 방지 및 주사액 낭비를 방지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사용 방지 주사기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피스톤(104)을 주사액의 유입 방향(A)으로 인출하면, 주사액이 주사 바늘(118), 유로(124) 및 주사액 공급부(108)를 경유하여 실린더(102)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주사액은 유로(124)의 하류에서 상류를 따라 배치된 제 2 필터(132)의 개구, 규제부(126)의 구멍(126b)과 슬릿들(126c) 및 제 1 필터(128)의 개구(128b)를 경유하여 실린더(102) 내에 수용된다.
이 과정에서, 구멍(126b) 주위의 역진 방지 시트(126a)는 주사액의 방출 방향(B)보다 유입 방향(A)의 유체 압력에 대해 큰 벤딩 저지력을 갖기 위해, 방출 방향(B)으로 바이어스된 만곡 형태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므로, 유입시에 규제부(126)의 구멍(126b)이 과도하게 수축되지 않고 주사액이 실린더(102)로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필터(128, 132)는 유연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각 개구(128b)가 확장되어 주사액이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아울러, 차단 부재(130)는 제 1 필터(128)의 개구(128b)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되어, 주사액의 유입시에 규제부(126)와 제 1 필터(128) 사이에서 제 1 필터(128)의 플레이트(128a)에 이동이 규제된다.
이어서 도 5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주사액의 방출 방향(B)으로 피스톤(104)에 힘을 인가하면, 주사액이 도 5a에서의 주사액 흐름과 반대 방향으로, 주사액 공급부(108), 유로(124) 및 주사 바늘(118)을 경유하여 외부, 예컨대 체내로 방출된다. 구체적으로, 주사액은 유로(124)의 상류에서 하류를 따라 배치된 제 1 필터(128)의 개구(128b), 규제부(126)의 구멍(126b)과 슬릿들(126c), 제 2 필터(132)의 개구로 방출된다.
이 과정에서, 구멍(126b) 주위의 역진 방지 시트(126a)는 방출 방향(B)으로 만곡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유입 방향(A)보다 방출 방향(B)의 유체 압력 대해 약한 벤딩 저지력을 가지므로, 구멍(126b)은 방출시에 원래의 사이즈보다 확장된다. 차단 부재(130)는 구멍(126b)보다 큰 사이즈일지라도, 역진 방지 시트(126a)의 탄력성과 구멍(126b)의 확장에 의해 주사액과 함께 구멍(126b)을 탈출하여 규제부(126)와 제 2 필터(132) 사이에 잔류하도록 이동된다. 이어서, 제 2 필터(132)는 주사액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고 차단 부재(130)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돌기(134)가 구비되어, 주사액 공급부(108) 및 바늘부(114) 상단의 유로(124)가 더 작은 단면적을 갖게 되므로, 피스톤(104)의 압출력이 작은 단면적에 더욱 크게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사액이 주사액 공급부(108)와 바늘부(114)의 유로(124)에 잔류됨이 없이 전부 방출되어 낭비를 억제할 수 있다. 유로(124)가 주사 바늘(118)의 내경으로 수렴하도록 유로(124)의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내경을 가짐으로 인하여, 주사액이 전부 외부로 방출되고 잔류되지 않는다.
이에 더하여, 주사액 공급부(108)와 허브(116)가 외측 및 내측 결합부(112, 120)에 의해 견고히 체결됨으로써, 허브(116) 내의 부재에 의해 높아진 주사액의 방출 압력에도 주사액 공급부(108)와 바늘부(114)가 서로 이탈되지 않고 강고하게 결합될 뿐만 아니라, 이들 사이의 누액도 억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일회용으로 이용되는 주사기(100)를 재사용하기 위해 주사액을 재 유입하는 경우에, 차단 부재(130)는 규제부(126)로 이동하나 구멍(126b)을 블로킹하여 주사 바늘(118)을 통해 재 유입된 주사액이 규제부(126)와 차단 부재(130)에 의해 더 이상 실린더(102)로 공급되지 않는다.
상세하게는, 구멍(126b) 주위의 역진 방지 시트(126a)가 주사액의 방출 방향(B)보다 유입 방향(A)의 유체 압력에 대해 큰 벤딩 저지력을 가지면서, 방출 방향(B)으로 바이어스된 만곡 형태를 구비하도록 구성되므로, 재 유입시에 규제부(126)의 구멍(126b)이 슬릿(126c)과 함께 더욱 수축되며, 차단 부재(130)는 수축된 구멍(126b)에 밀착되어 주사액의 재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슬릿(126c)과 구멍(126b)의 직경들의 합이 차단 부재(130)보다 크더라도, 주사액의 재 유입시에 규제부(126)를 통과하는 주사액의 재 유입량이 실질적으로 의미없는 정도의 사이즈를 갖도록, 슬릿(126c)이 형성되면, 규제부(126)를 통과하여 실린더(102)로 재 유입된 주사액은 활용할 수 없으므로, 결국 주사기(100), 특히 바늘부(114)의 재사용을 실질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재사용 방지 주사기 102: 실린더
104: 피스톤 108: 주사액 공급부
110: 주사액 공급구 114: 바늘부
116: 허브 118: 주사 바늘
122: 캡 124: 유로
126: 규제부 128: 제 1 필터
130: 차단 부재 132: 제 2 필터
134: 돌기

Claims (7)

  1. 주사액을 수용하여 방출가능하며, 일단에 주사액이 유출입되는 주사액 공급부를 구비한 실린더; 및
    상기 실린더와 결합되며, 주사 바늘과 상기 주사액이 유출입되는 유로를 구비한 허브를 갖는 바늘부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상기 유로 내에 상기 주사액의 방출 방향으로 편향한 상태로 만곡됨과 아울러서 유연성을 갖고, 상기 주사액의 방출시 확장가능한 구멍이 소정 부분에 위치되는 규제부;
    상기 주사액의 방출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유로의 상류 및 하류 측에 각각 상기 주사액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개구를 갖는 제 1 및 제 2 필터; 및
    상기 구멍 및 상기 개구보다 큰 사이즈로 형성됨과 아울러서, 상기 주사액의 유입시에 상기 규제부와 상기 제 1 필터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주사액의 방출시에 상기 구멍을 통해 상기 규제부와 상기 제 2 필터 사이로 이동되고, 상기 주사액의 방출 후 상기 주사액의 재 유입시에 상기 구멍을 차단시킴으로써, 상기 주사액의 상기 실린더로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 부재를 포함하는 재사용 방지 주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구멍을 둘러싸면서 유연성을 갖는 역진 방지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구멍 주위의 역진 방지 시트는 상기 주사액의 방출 방향보다 상기 주사액의 유입 방향의 유체 압력에 대해 큰 벤딩(bending) 저지력을 갖기 위해, 상기 주사액의 방출 방향으로 바이어스(biased)되도록 구성되는 재사용 방지 주사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구멍 근방의 상기 역진 방지 시트에 상기 유로를 향하여 절개된 복수의 슬릿(slits)을 포함하는 재사용 방지 주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주사 바늘의 내경으로 수렴하도록 상기 상류에서 상기 하류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내경을 갖는 재사용 방지 주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는 상기 개구를 갖는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주사액 공급부의 내경보다 작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상기 주사액 공급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주사액 공급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기를 더 포함하는 재사용 방지 주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재사용 방지 주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부의 허브와 상기 주사액 공급부는 나사 결합되는 재사용 방지 주사기.
KR1020170179181A 2017-12-26 2017-12-26 재사용 방지 주사기 KR102086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181A KR102086478B1 (ko) 2017-12-26 2017-12-26 재사용 방지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9181A KR102086478B1 (ko) 2017-12-26 2017-12-26 재사용 방지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743A true KR20190077743A (ko) 2019-07-04
KR102086478B1 KR102086478B1 (ko) 2020-03-09

Family

ID=6725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9181A KR102086478B1 (ko) 2017-12-26 2017-12-26 재사용 방지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64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0735A (en) * 1989-01-05 1991-03-19 The Regents Of The Univ. Of California Single use syringe
WO1992004064A1 (en) * 1990-08-29 1992-03-19 Butler John H A A valve for a syringe
KR20100012194A (ko) * 2008-07-28 2010-02-08 강강구 주사기용 안전 필터 팁
US20110282298A1 (en) * 2008-12-09 2011-11-17 Nadav Agian Device for injecting fluid isolated from microneedle hub with dead-space-reducing inser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0735A (en) * 1989-01-05 1991-03-19 The Regents Of The Univ. Of California Single use syringe
WO1992004064A1 (en) * 1990-08-29 1992-03-19 Butler John H A A valve for a syringe
KR20100012194A (ko) * 2008-07-28 2010-02-08 강강구 주사기용 안전 필터 팁
US20110282298A1 (en) * 2008-12-09 2011-11-17 Nadav Agian Device for injecting fluid isolated from microneedle hub with dead-space-reducing inse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6478B1 (ko) 202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139B1 (ko) 전방 부착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오목형 노즈 및 보호가드를 갖는 주사기
JP5693873B2 (ja) 万能安全注射器
ES2685571T3 (es) Dispositivo médico combinado con conexión frontal deslizante y aguja retráctil
US7387615B2 (en) Single use syringe having safety shield
RU2271835C2 (ru) Медицинский инструмент и блокирующий механизм для него
RU2483760C2 (ru) Шприц с механизмом приведения его в неработоспособное состояние
DK1994951T3 (en) Disposable syringe and piston rod-locking device for this
CA2321441C (en) Retracting needle syringe
KR20000023774A (ko) 주사기
KR20160045739A (ko) 주사기용 루어 연결 어댑터
KR20130097057A (ko) 불능화 기구를 구비한 주사기
US20090157010A1 (en) Stick-Resistant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US20160256635A1 (en) Filter needle
KR20140001800A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CN104955507B (zh) 具有滑动前端附接部及可回缩针的医疗装置
JP5591221B2 (ja) 穿刺具組立体および薬液注入器具
KR20130139812A (ko) 주사기용 필터 조립체
KR20110039539A (ko) 보유 링 잠금부를 사용하는 수동 재사용 방지 주사기
KR101795445B1 (ko) 필터 주사기
KR20190077743A (ko) 재사용 방지 주사기
KR101479258B1 (ko) 일회용 주사기
CN107847679B (zh) 用于防止意外的针刺伤的注射器
US8114051B2 (en) Retractable syringe
KR20180001025U (ko) 재사용 방지 주사기
KR20180054114A (ko) 재사용이 불가능한 스마트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