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728A -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728A
KR20190076728A KR1020170178775A KR20170178775A KR20190076728A KR 20190076728 A KR20190076728 A KR 20190076728A KR 1020170178775 A KR1020170178775 A KR 1020170178775A KR 20170178775 A KR20170178775 A KR 20170178775A KR 20190076728 A KR20190076728 A KR 20190076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discharge hole
measuring
discharge
thermocou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2698B1 (ko
Inventor
이정호
최영길
장영재
최규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8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26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2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70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using marked regions or existing inhomogeneities within the fluid stream, e.g. statistically occurring variations in a fluid parameter
    • G01F1/7044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using marked regions or existing inhomogeneities within the fluid stream, e.g. statistically occurring variations in a fluid parameter using thermal trac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02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optical-mechanical means only
    • H04N3/08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optical-mechanical means only having a moving reflector
    • H04N3/09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optical-mechanical means only having a moving reflector for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visible region, e.g. infra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5/12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 G01J2005/126Thermoelectric black plate and thermocoup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출선 작업 시 슬래그의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노내 용융물 레벨의 안정적인 제어를 통해 노의 안정조업을 도모할 수 있도록, 슬래그 탕도의 후단에 배치되고, 중앙에 슬래그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슬래그를 배출시키는 카본 연와, 상기 카본 연와의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슬래그의 흐름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슬래그의 배출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MEASURING DISCHARGED AMOUNT OF SLAG AND THIS METHOD}
출선 작업 시 배출되는 슬래그의 배출량을 측정하는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을 개시한다.
고로 공정은 노정으로 소결광 및 코크스를 층상으로 장입하고 풍구를 통해 고온의 공기를 취입하여 환원가스를 발생시켜서 용선을 제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파이넥스(FINEX) 용융로 공정은 노정으로 괴상화철(HCI)과 성형탄을 장입하여 일정 수준의 철광석 및 석탄의 비율로 충전층을 형성한 다음, 풍구를 통해 산소를 취입하여 용선을 제조한다.
고로 및 용융로 모두 출선구에서 용선과 슬래그를 배출하며 각각 용선탕도, 슬래그탕도를 통해 흐르게 된다. 용선탕도를 통해 TLC(Torpedo Ladle Car)에 저장된 용선은 철도를 이용하여 제강공정으로 이송된다. 용선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는 슬래그는 냉각방식에 따라 괴재와 수재로 처리되는데 괴재는 주로 매립용으로, 수재는 시멘트와 비료 원료로 사용된다.
용선과 슬래그는 코크스 및 성형탄으로 이루어진 노저부 충전층을 통해 출선구로 배출되는데, 충전층의 통액성이 불량하여 출선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에는 용융물이 차오르면서 풍압이 상승하며, 가스류가 불균일해져서 로 효율 및 용선온도 저하 등의 조업장애를 초래한다. 용융물 레벨이 더욱 상승하여 풍구 레벨까지 이르게 되면 풍구로 슬래그가 역류하여 조업이 장기간 휴풍하게 되는 심각한 조업장애를 일으킨다. 따라서, 노내의 용선과 슬래그의 양을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는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
용선의 경우는 TLC에 수선되는 양을 로드셀로 직접 측정하고 있으나, 슬래그는 수재로 처리될 경우에 한해 컨베이어 벨트의 전류 부하량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하는 수준이다. 또한 슬래그가 괴재로 처리될 경우에는 배출량을 전혀 측정할 수 없는 상황이 되므로, 슬래그 처리방법에 상관없이 항상 슬래그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출선 작업 시 슬래그의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노내 용융물 레벨의 안정적인 제어를 통해 노의 안정조업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는, 슬래그 탕도의 후단에 배치되고, 중앙에 슬래그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슬래그를 배출시키는 카본 연와, 상기 카본 연와의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슬래그의 흐름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슬래그의 배출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는 상기 카본 연와의 배출홀 직경 변화를 측정하여 배출홀의 직경을 보정하도록 상기 카본 연와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열전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대는 쌍을 이루면서 상기 카본 연와에 삽입되고, 상기 열전대 중 하나는 장열전대, 다른 하나는 단열전대로 이루어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장열전대와 단열전대는 각각의 온도 및 장열전대와 단열전대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홀의 침식량을 산출하는 구조일 수 있다.
슬래그 배출량 측정방법은, 슬래그 탕도의 후단에 배치된 카본 연와의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슬래그의 흐름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그 촬영된 영상으로 슬래그의 배출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본 연와에 장열전대와 단열전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열전대를 삽입하여 카본 연와의 침식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배출홀의 직경을 실시간 측정하여 슬래그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 연와에 삽입된 장열전대와 단열전대의 온도 및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홀의 직경 변화를 계산함으로써 배출홀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에 따르면, 슬래그의 배출량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노내 용융 물량을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선 조업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환원제 사용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노내 용융물 레벨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통기성 개선을 통한 노의 효율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의 카본 연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출량 측정방법을 통해 슬래그 배출량을 산출하는 산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의 카본 연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선과 슬래그(S)를 배출하는 출선작업에서 슬래그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측정장치(1)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1)는, 슬래그 탕도(2)의 후단에 배치되고, 중앙에 슬래그(S)가 배출되는 배출홀(10a)이 형성되어 슬래그(S)를 배출시키는 카본 연와(10), 상기 카본 연와(10)의 배출홀(10a)에서 배출되는 슬래그(S)의 흐름을 촬영하는 카메라(20), 및 상기 카메라(20)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슬래그(S)의 배출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래그 탕도(2)에 일정 크기의 중심 배출홀(10a)이 있는 상기 카본 연와(10)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홀(10a)을 통해 배출되는 슬래그(S)의 흐름을 카메라(20)로 촬영하여 영상처리를 통해 배출속도를 측정한다.
하기의 (1)식과 같이 슬래그 배출속도에 상기 배출홀(10a)의 직경을 곱하면 체적유량이 나오며, 이에 슬래그 밀도를 곱해주면 단위시간당 배출되는 슬래그 량을 구할 수 있다.
W = V×60×(ΠD²/4)×ρ ----(1)
여기서, Wslag: 슬래그 배출량(ton/min)
Vslag: 슬래그 배출속도(m/sec)
Dhole: 배출홀 직경(m)
ρslag: 슬래그 밀도(ton/㎥)
또한, 상기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1)는 상기 카본 연와(10)의 배출홀(10a) 직경 변화를 측정하여 배출홀(10a)의 직경을 보정하도록 상기 카본 연와(10)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열전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전대(40)는 쌍을 이루면서 상기 카본 연와(10)에 삽입되고, 상기 열전대(40) 중 하나는 장열전대(41), 다른 하나는 단열전대(42)로 이루어진 구조이고, 상기 장열전대(41)와 단열전대(42)는 각각의 온도 및 장열전대(41)와 단열전대(42)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홀(10a)의 침식량을 산출하는 구조이다.
상기 카본 연와(10)의 배출홀 직경은 슬래그 배출에 의한 침식에 의해 변화할 수 있으며, 같은 슬래그 유속이라 하더라도 상기 배출홀(10a)의 직경 변화에 따라 슬래그 배출량이 상이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배출홀(10a)의 직경을 보정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카본 연와(10) 침식에 의한 잔존 연와 두께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삽입 깊이가 다른 장열전대(41) 및 단열전대(42)를 1쌍으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카본 연와(10)의 여러 위치에 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열전대(40)를 삽입하여 이를 평균하여 상기 배출홀(10a)의 직경을 보정하게 된다.
도 2에서 오른쪽 방향이 슬래그(S)가 흐르는 상기 배출홀(10a) 쪽을 가리키며, 잔존 두께는 열전달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임의의 2포인트에서의 열 유속은 동일하다(Q1=Q2)는 하기의 (2)식과 같은 방정식을 사용하게 된다. (2)식의 좌변은 장열전대(41)에서 단열전대(42)까지의 열 유속이며, 우변은 슬래그(S)와 접한 면에서 장열전대(41) 위치까지의 열 유속이다.
Figure pat00001
----(2)
여기서, T: 단열전대 온도(℃)
TL: 장열전대(41) 온도(℃)
Tx: 슬래그 접촉면 온도(℃)
Li: 단열전대 삽입장 거리(m)
L2: 장/단열전대간 거리(m)
k: 카본 연와 열전도도(W/mK)
위 식으로부터 하기의 (3)식과 같이 Lx를 구하고, 이로부터 상기 배출홀(10a)의 침식량을 산출하여 배출홀(10a)의 직경을 실시간으로 보정해준다.
Figure pat00002
----(3)
보정된 배출홀 직경(Dhole)을 상기 (1)식에 대입하여 실시간으로 슬래그 배출량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슬래그 배출량 측정방법은, 슬래그 탕도(2)의 후단에 배치된 카본 연와(10)의 배출홀(10a)에서 배출되는 슬래그(S)의 흐름을 카메라(20)로 촬영하여 그 촬영된 영상으로 슬래그(S)의 배출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본 연와(10)에 장열전대(41)와 단열전대(42)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열전대(40)를 삽입하여 카본 연와(10)의 침식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배출홀(10a)의 직경을 실시간 측정하여 슬래그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 연와(10)에 삽입된 장열전대(41)와 단열전대(42)의 온도 및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홀(10a)의 직경 변화를 계산함으로써 배출홀(10a)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배출량 측정방법을 통해 슬래그 배출량을 산출하는 산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래그 유속 및 상기 배출홀(10a)의 직경에 따른 슬래그 배출량 산출예이다. 상기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1)로부터 유속 및 배출홀(10a)의 직경을 측정하고 상기 (1)식에 입력함으로써 슬래그 배출량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슬래그(S)의 유속과 상기 배출홀(10a)의 직경이 증가하면 슬래그 배출량이 선형적으로 증가함을 볼 수 있다. 이 슬래그 배출량을 장입/출선 매스 밸런스(mass balance)에 입력하여 노내 용융물량 및 레벨을 정도 높게 산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슬래그 배출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함으로써 노내 용융물량을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출선조업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환원제 사용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슬래그의 배출량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노내 용융 물량을 정밀하게 추정할 수 있고, 노내 용융물 레벨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며, 통기성 개선을 통한 노의 효율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 : 측정장치 2 : 슬래그 탕도
10 : 카본 연와 10a : 배출홀
20 : 카메라 30 : 측정부
40 : 열전대 41 : 장열전대
42 : 단열전대
S : 슬래그

Claims (6)

  1. 슬래그 탕도의 후단에 배치되고, 중앙에 슬래그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슬래그를 배출시키는 카본 연와, 상기 카본 연와의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슬래그의 흐름을 촬영하는 카메라; 및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으로 슬래그의 배출속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연와의 배출홀 직경 변화를 측정하여 배출홀의 직경을 보정하도록 상기 카본 연와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열전대를 더 포함하는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대는 쌍을 이루면서 상기 카본 연와에 삽입되고, 상기 열전대 중 하나는 장열전대, 다른 하나는 단열전대로 이루어진 구조의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열전대와 단열전대는 각각의 온도 및 장열전대와 단열전대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홀의 침식량을 산출하는 구조의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5. 슬래그 탕도의 후단에 배치된 카본 연와의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슬래그의 흐름을 카메라로 촬영하여 그 촬영된 영상으로 슬래그의 배출속도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카본 연와에 장열전대와 단열전대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열전대를 삽입하여 카본 연와의 침식을 계산함으로써 상기 배출홀의 직경을 실시간 측정하여 슬래그 배출량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슬래그 배출량 측정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연와에 삽입된 장열전대와 단열전대의 온도 및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홀의 직경 변화를 계산함으로써 배출홀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슬래그 배출량 측정방법.
KR1020170178775A 2017-12-22 2017-12-22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 KR102042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775A KR102042698B1 (ko) 2017-12-22 2017-12-22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775A KR102042698B1 (ko) 2017-12-22 2017-12-22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728A true KR20190076728A (ko) 2019-07-02
KR102042698B1 KR102042698B1 (ko) 2019-11-08

Family

ID=67258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775A KR102042698B1 (ko) 2017-12-22 2017-12-22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26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849A (ja) * 1999-05-25 2000-12-08 Nippon Steel Corp 炉内耐火物厚測定方法及び炉内耐火物厚測定装置
JP2015113476A (ja) * 2013-12-09 2015-06-2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融スラグ流量測定方法、溶融スラグ流量測定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7849A (ja) * 1999-05-25 2000-12-08 Nippon Steel Corp 炉内耐火物厚測定方法及び炉内耐火物厚測定装置
JP2015113476A (ja) * 2013-12-09 2015-06-22 新日鐵住金株式会社 溶融スラグ流量測定方法、溶融スラグ流量測定システム、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2698B1 (ko) 2019-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8846B2 (en) Reduc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steel-making slag and reduction processing system for steel-making slag
JP6602238B2 (ja) 竪型炉における溶融物レベルの推定方法
JP5971165B2 (ja) 高炉操業方法
JP4855002B2 (ja) 微粉炭吹き込み高炉操業方法
KR20190076728A (ko) 슬래그 배출량 측정장치 및 그 방법
JP2007077440A (ja) 高炉の減尺休風操業方法
JP5854200B2 (ja) 高炉の操業方法
JP5068116B2 (ja) 連続溶解炉のスラグフォーミング抑制方法
KR101277973B1 (ko) 고로의 송풍 에너지 제어 방법
TWI450969B (zh) 高爐鐵水溫度之估測方法
JP4288230B2 (ja) 高炉の操業方法
JP7468775B2 (ja) 溶鉄の製造方法
KR101310985B1 (ko) 래들 로의 불활성 가스 공급 장치
JP4081248B2 (ja) 高炉下部の制御方法
JP5014555B2 (ja) 溶鉄精錬炉の炉内観察方法
US20230151448A1 (en) Method for detecting fluctuation of solidified layer and method for operating blast furnace
TWI778576B (zh) 凝固層的變動檢測方法和高爐操作方法
KR102511007B1 (ko) 고로의 용선 온도 측정장치
RU257621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грузки металлизованных окатышей в дуговую печь
WO2022168503A1 (ja) 溶融物高さの検出方法および溶鉱炉の操業方法
KR101969303B1 (ko) 슬래그 두께 측정 장치 및 방법
JP2008150668A (ja) 竪型スクラップ溶解炉を用いた溶銑製造方法
JPS6239225B2 (ko)
KR101357228B1 (ko) 제철소용 유량계
JP4943176B2 (ja) 溝型誘導加熱装置付き混銑炉における冷鉄源の溶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