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6356A - 변속기용 유온센서 - Google Patents

변속기용 유온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6356A
KR20190076356A KR1020170178086A KR20170178086A KR20190076356A KR 20190076356 A KR20190076356 A KR 20190076356A KR 1020170178086 A KR1020170178086 A KR 1020170178086A KR 20170178086 A KR20170178086 A KR 20170178086A KR 20190076356 A KR20190076356 A KR 20190076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housing
opening
fix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6461B1 (ko
Inventor
신승환
박규태
홍기철
이동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1020170178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461B1/ko
Publication of KR20190076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6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2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oil characteristics, e.g. temperature, viscos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3/00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K13/02Thermome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mperature of moving fluids or granular materials capable of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제1 개방부에서 제2 개방부로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제1 개방부를 덮는 이너 홀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이너 홀더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 상에 배치 고정되는 일자형 OTS소자; 및 상기 OTS소자의 양 측에 연결되고, 외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고, 상기 이너 홀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에 연통되고, 상기 이너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2 개방부와 연통되어 하나의 유로가 형성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개시하여, 온도에 대한 반응성 및 생산성이 보다 향상된 유온센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속기용 유온센서{OIL TEMPERATURE SENSOR FO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변속기 내부에 설치되어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여, 변속시기 등의 제어에 관여하는 유온센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자동차 기술이 발전하면서, 고단의 변속이 가능한 차량이 개발되면서 변속기의 작동은 복잡해지는 동시에 보다 정밀한 제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자동변속기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폐 및 속도에 의해 변속이 결정된다.
솔레노이드 밸브는 TCU(Transmission Control Unit)으로 부터 전압 신호를 전달 받아 오일 회로를 개방 또는 폐쇄된다. 따라서 자동변속기에서의 오일은 윤활과 마모감소가 목적인 수동미션오일과 달리 동력을 직접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변속시점 및 클러치 작동 시기 등에 관여한다.
이때, 유온센서는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여 TCU에 제공하여 주행하고 있는 차량의 변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오일의 온도는 온도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 OTS소자로 저항 값을 측정하여 역으로 오일의 온도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측정된다.
도 1은 종래 유온센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유온센서(1)는 OTS소자(3)에 밴딩구조를 적용하고, OTS소자(3)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케이스에 측정홀(5)을 형성하여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값을 케이블(4)을 통해 전기적 정보로 TCU에 전달하였다.
따라서 OTS소자(3) 밴딩 과정에서 글라스 부위에 크랙 등의 손상 및 차량 주행에 따른 진동 등에 의해 OTS소자(3)의 밴딩 부분에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블(4)이 케이스에 일 측에만 고정되면서 차량 주행에 따른 진동 stress를 OTS소자(3)에 그대로 전달하여 품질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3323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841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4213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변속기에 사용되는 유온센서의 반응성을 향상시키고, 소자의 손실 및 품질 저하 문제를 최소화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변속기용 유온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 예의 변속기용 유온센서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제1 개방부에서 제2 개방부로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제1 개방부를 덮는 이너 홀더;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이너 홀더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 상에 배치 고정되는 일자형 OTS소자; 및 상기 OTS소자의 양 측에 연결되고, 외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고, 상기 이너 홀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에 연통되고, 상기 이너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2 개방부와 연통되어 하나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너 홀더는 상기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는 고정부가 형성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개방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은 돌출되어 제1 슬라이딩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부에는 요입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부에 수용되는 제2 슬라이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를 따라 일 측이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홈 및 상기 고정부에 수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파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는 돌출된 제1 돌출면을 포함하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에는 돌출된 제2 돌출면을 포함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속기용 유온센서는 일 측에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가 휨 변형되어 상기 OTS소자와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방부의 외측으로 솔더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속기용 유온센서는 일 측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내부면을 따라 고정부가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 면을 덮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유입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 측에 형성되는 배출홀에 의해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일 측에는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면을 따라 일 측이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모두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온센서는 일자형 OTS소자를 사용하여 종래 생산 과정에서 밴딩 부분에 발생하던 크랙 등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한다.
고정부 및 와이어가 수용되는 고정부를 확대 적용하여 OTS소자로 전달되던 차량 주행에 따른 진동 stress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나의 유로가 형성되어 오일이 순환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오일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OTS소자를 제1 유로 상에 배치하여 오일에 OTS소자 직접 노출 가능한 구조를 형성하여 유온센서의 반응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OTS소자와 와이어는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고, 연결부재의 외측으로 솔더부가 더 형성될 수 있어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에 대한 강성이 보강되는 효과를 갖는다.
제2 슬라이딩부가 제1 슬라이딩부를 수용하여 이동되어 보다 용이하게 조립할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하우징에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수용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가압에 작업자가 원모션으로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어 생산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으며, 덮개부에는 파지부가 더 형성되어 조립성 향상 효과를 극대화 한다.
또한 제1 돌출면과 제2 돌출면이 접하여 이너 홀더가 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일정 이상의 고정력을 갖는다.
하우징의 외부면에는 커넥터에 바로 부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져 변속기 자체의 생산 시간이 절감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유온센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속기용 유온센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이너홀더 및 OTS소자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 6은 도 2의 하우징의 제2면의 정면도.
도 7은 도 2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고정부를 확대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도 2의 Ⅸ-Ⅸ 방향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속기용 유온센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분해도.
도 12는 도 10의 케이스에 OTS소자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0의 XⅢ-XⅢ 방향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속기용 유온센서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각 실시 예들은 그 목적과 일부 구성요소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속기용 유온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이너홀더 및 OTS소자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하우징의 제2면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고정부의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2의 Ⅸ-Ⅸ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변속기용 유온센서는 제1 개방부(11)에서 제2 개방부(12)로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수용되고, 상기 제1 개방부(11)를 덮는 이너 홀더(20), 상기 하우징(10) 및 상기 이너 홀더(2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부(30), 상기 유로부(30) 상에 배치 고정되는 일자형 OTS소자(40), 및 상기 OTS소자(40)의 양 측에 연결되고, 외부와 연결되는 와이어(50)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30)는 상기 하우징(10)의 일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입구(31), 상기 유입구(31)에 연통되고, 상기 이너 홀더(20)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유로(32) 및 상기 제1 유로(32)에 연통되고, 상기 이너 홀더(20)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3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로(33)는 상기 제2 개방부(12)와 연통되어 하나의 유로가 형성된다.
엔진 또는 차량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차량의 자동변속기는 오일온도 및 점도 등의 변화에 영향을 받게 되므로 변속제어를 위해 유온센서를 사용하여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에 따라 변속기를 제어한다.
따라서 변속기용 유온센서는 오일의 온도 정보를 TCU로 전달하고, TCU는 이를 통해 솔레노이드에 가해지는 신호를 제어함으로써 원활하게 변속될 수 있도록 한다.
하우징(10)은 제1 개방부(11)에서 제2 개방부(12)로 관통 형성되어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일 면에는 관통하여 유입구(31)가 형성되어 있으며, 수용공간에는 돌출되어 제1 슬라이딩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부면의 일 측에는 요입되어 부착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외부과 구별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OTS소자(4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고, 커넥터 등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유입구(31)가 형성되어 수용공간으로 오일이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개방부(11)와 제2 개방부(12)는 하우징(10)의 서로 다른 일 면에 형성되고, 대향 배치되어 하우징(10)을 관통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제1 개방부(11)는 내측으로 이너 홀더(20)가 삽입되고, 제2 개방부(12)는 유온센서 내부로 유입된 오일이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개방부(12)의 외측으로 대칭되는 부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부착홈은 외측에서 요입 형성되어 커넥터 등 외부 장치에 돌출 형성된 부착걸이에 상보적으로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외부 장치에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여 쉽게 유지 보수 가능한 장점이 있다.
수용공간에는 돌출되어 제1 슬라이딩부(13) 및 걸림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딩부(13)는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어 이너 홀더(20)의 조립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1 슬라이딩부(13) 사이에는 요입되어 요입부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14)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면(15) 및 제1 돌출면(15)으로부터 하우징(10) 내부면까지 연장되는 제1 경사면을 가져 이너 홀더(20)와의 조립성 및 고정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이너 홀더(20)는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부(21)와 수용부 일측에 연장 형성되어 제1 개방부(11)를 덮는 덮개부(22)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수용공간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OTS소자(40) 및 와이어(50)를 수용하기 위해 요입되는 여러 구조를 갖는다.
수용부(21)는 관통 형성되는 제1 유로(32), 일 측면에 요입되어 고정부(211)가 형성되고, 타 측면에는 요입되어 제2 슬라이딩부(213)가 형성되며, 말단에는 걸림돌기(214)가 형성된다.
제1 유로(32)는 이너 홀더(2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하우징(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유입구(31)와 하우징(10)의 타 측면과 이너 홀더(2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유로(33)를 연결하여 하나의 유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고정부(211)는 와이어(50)를 수용 고정하는 구조로 수용부(21)의 일 측면에 요입되어 형성되고, 와이어(50)의 배치형태를 따라 일 측에 밴딩되어 연장 형성된다. 이는 종래 유온센서의 와이어 고정 구조를 확대 적용한 것으로, 진동 강성이 보강되어 열충격 및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 stress의 전달률을 감소시켜 제품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제2 슬라이딩부(213)는 수용부(21)의 타 측면에 요입되고,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슬라이딩부(13)를 각각 수용한다. 따라서 이너 홀더(20)는 제1 슬라이딩부(13)를 따라 이동되어 하우징 (10)내부에 배치된다.
걸림돌기(214)는 수용부(21)의 말단에 형성되고, 돌출된 제2 돌출면(215) 및 제2 돌출면(215)으로부터 이너 홀더(20)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제2 경사면을 갖는다. 이때 제2 경사면은 제1 경사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너 홀더(20)의 수용부(21)가 하우징(10)에 수용될 때,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이 먼저 접한다. 이때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은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져 이너 홀더(20)와 하우징(10)은 보다 쉽게 조립될 수 있다.
제2 경사면은 제1 경사면의 가압에 의해 소정의 탄성 변형되어 하우징에 수용되고, 수용된 후에는 나란하게 돌출 형성된 제1 돌출면(15)과 제2 돌출면(215)이 접하여 고정된다.
따라서 이너 홀더(20)는 하우징(10)과 조립은 용이하면서도 일정 이상의 고정력을 갖는 구조를 가져 온유센서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덮개부(22)는 수용부(21)의 일 측에 연장 형성되고, 제1 개방부(11)를 덮는다. 따라서 수용부(21)에서 돌출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지 않고, 외측에 배치된다. 또한 와이어(50)가 수용되는 고정홈(221) 및 파지부(2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221)은 덮개부(22)를 관통하고 서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되며, 와이어(50)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고정부(211)와 각각 연결되어 형성된다. 고정홈(211)은 와이어(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와이어(50)의 외경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짧은 길이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지부(222)는 조립 시, 작업자가 파지하여 수용부(21)를 용이하게 하우징(10)의 수용공간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덮개부(2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덮개부(22)의 중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파지부(222)는 고정홈(221)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수용부(21)로 연장 형성되며, 유입구(31)에서 연장 형성된 요입부를 따라 파지부(222)가 고정된다.
유로부(30)는 오일이 유입 배출되는 경로로, 하우징(10)의 일 면에 형성된 유입구(31), 이너 홀더(20)에 형성된 제1 유로(32) 및 하우징(10)의 수용공간에 형성되는 제2 유로(33)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유입구(31)는 하우징(10)의 일 측면을 관통하고, 제1 유로(32)의 일 측과 연통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제1 유로(32)는 이너 홀더(20)의 일측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이너 홀더(20)와 하우징(10)의 내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연결한다. 또한 제2 유로(33)는 유입홀(31)이 형성된 면에 대향하는 하우징(10)의 내부면과 이너 홀더(20) 사이에 형성되고, 제2 개방부(12)와 연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속기용 유온센서는 하우징(10)과 이너 홀더(20)에 의해 하나의 유로가 형성되어, 오일이 유온센서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OTS소자(40)는 오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온도에 따라 저항 값이 변하는 특성을 이용한다. 따라서 OTS소자(40)는 저항을 측정하고, 이를 전기적 정보로 TCU에 전달하여 역으로 계산하여 온도를 측정한다. 따라서 OTS소자(40)는 정보 전달을 위해 양 측에 와이어(50)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OTS소자(40)는 종래와 달리 펄침구조를 적용하여 일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 밴딩구조를 사용하여 제조 중 소자의 글라스 부위에 발생하던 크랙 등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제1 유로(32)상에 OTS소자(40)를 배치하여, 유온센서 내부로 유입된 오일에 OTS소자(40)가 직접 노출되는 구조를 가져 오일의 온도 변화에 대한 반응성을 약 20% 이상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온센서에 일자형 OTS소자(40)를 적용하여 제조 시 발생될 수 있는 손상을 최소화하고, OTS소자(40)가 오일에 직접 노출되는 구조를 적용하여 제품 자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와이어(50)는 OTS소자(40)의 양 측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OTS소자(40)를 연결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OTS소자(40)는 펄침구조가 적용된 일자형으로 형성되어 이너 홀더(20)의 일 측에 치우쳐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50)는 이너 홀더(20)의 내부에서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며, 이너 홀더(20)의 내부면을 따라 제2 개방부(12)의 측에서 밴딩되어 연장 형성된다.
또한 와이어(50)는 고정홈(221) 및 고정부(211)를 따라 수용 고정되어, 열 충격 및 차량 운행에 따른 진동 stress의 전달률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충격 등에 의한 OTS소자(40)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OTS소자(40)와 와이어(50)는 연결부재(60)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부재(60)는 일 측이 개방되어 개방부(61)가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50)와 OTS소자(40)의 말단을 겹친 후 가압하여 연결한다.
개방부(61)는 양 측에서 가압되어 휨 변형되고, 휨 변형에 의해 개방부(61)가 오므라들어 와이어(50)와 OTS소자(40)를 함께 고정한다. 이때 연결부의 내구성을 보강하기 위해 개방부(61)의 외측으로 솔더부(미도시)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솔더부(미도시)는 무연솔더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속기용 유온센서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분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케이스에 OTS소자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0의 XⅢ-XⅢ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속기용 유온센서는 일 측에 고정홈(112)이 형성되고, 내부면을 따라 고정부(111)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110)의 일 면을 덮는 플레이트(120), 상기 케이스(110) 및 상기 플레이트(120)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부(130), 상기 케이스(110)에 배치 고정되는 일자형 OTS소자(40) 및 상기 OTS소자(40)의 양 측에 연결되고, 외부와 연결되는 와이어(50)를 포함하고, 상기 유로부(130)는 상기 OTS소자(4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유입홀(131), 상기 케이스(110) 및 상기 플레이트(120)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132) 및 상기 플레이트(120)의 일 측에 형성되는 배출홀(133)을 포함하여 하나의 유로가 형성된다.
케이스(110)는 상측이 개방된 내부공간(132)을 형성하며, 내부공간(132)을 형성하는 일 측면에는 고정홈(112)에 형성되며, 내부공간(132)을 형성하는 저면에는 고정부(111)가 형성된다. 또한 플레이트(120)와 결합되는 결합홀(1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12)은 일 측면을 관통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되어 와이어(50)가 용이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와이어(50) 고정을 위해 와이어(50)의 외경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보다 짧은 길이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111)는 내부공간(132)을 형성하는 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내부공간(132)을 따라 일 측이 밴딩되어 형성된다. 제2 실시예의 따른 고정부(111)는 저면에서 내부공간(132)을 따라 양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와이어(50)를 수용한다.
결합홀(113)은 케이스(110)의 외측면에 복수 개 형성되고, 제2 결합부(123)가 걸림 고정된다. 따라서 일정 이상의 고정력 확보를 위해 결합홀(113)은 케이스(110)의 양 외측면에 대칭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120)는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측에 배치되고, 관통 형성되는 유입홀(131) 및 배출홀(133)이 형성된다. 또한 돌출되어 고정홈(112)의 상측에 삽입되는 제1 결합부(122) 및 결합홀(113)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12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120)는 케이스(110)의 개방된 상측에 배치되어, 외부와 구별하는 내부공간(132)을 형성한다. 따라서 내부에 배치되는 OTS소자(40)를 보호하고, 내부공간(132)을 형성하여 OTS소자(40)와 오일이 직접 노출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제1 결합부(122)는 고정홈(112)의 개방된 상측에 삽입되어 와이어(50)를 고정하고, 제2 겹합부(123)는 말단이 돌출 형성되어 케이스(110)에 형성된 결합홀(113)에 결합되어 케이스(110)와 플레이트(120)를 고정한다.
제2 실시예의 유로부(130)는 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유입홀(131), 케이스(110)의 내부공간(132) 및 플레이트(120)에 형성되는 배출홀(13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유입홀(131)은 플레이트(120)의 일 측을 관통하여 내부공간(132)과 연통되고, 배출홀(133)은 플레이트(120)의 타 측을 관통하여 내부공간(132)과 연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스(110) 및 플레이트(120)에 의해 오일이 유온센서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되는 하나의 유로를 형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해당한다.
1 종래 유온센서 3 OTS소자
4 케이블 5 측정홀
10 하우징 11 제1 개방부 12 제2 개방부
13 제1 슬라이딩부 14 걸림부 15 제1 돌출면
20 이너 홀더 21 수용부 211 고정부
213 제2 슬라이딩부 214 걸림돌기 215 제2 돌출면
22 덮개부 221 고정홈 222 파지부
30 유로부 31 유입구 32 제1 유로
33 제2 유로 40 OTS소자 50 와이어
60 연결부재 61 개방부
110 케이스 111 고정부 112 고정홈
113 결합홀
120 플레이트 122 제1 결합부 123 제2 결합부
130 유로부 131 유입홀 132 내부공간
133 배출홀

Claims (13)

  1. 제1 개방부에서 제2 개방부로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제1 개방부를 덮는 이너 홀더;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을 관통 형성되는 유입구 및 상기 제2 개방부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부;
    상기 유로부 상에 배치 고정되는 일자형 OTS소자; 및
    상기 OTS소자의 양 측에 연결되고, 외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유입구;
    상기 유입구에 연통되고, 상기 이너 홀더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에 연통되고, 상기 이너 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2 개방부와 연통되어 하나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일 면에 상기 제1 유로 및 상기 제1 유로와 연결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의 일 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제1 개방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OTS소자는 상기 제1 유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덮개부를 관통하고, 상기 고정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복수 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를 따라 일 측이 밴딩되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홈 및 고정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로 돌출되어 제1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는 요입되어 상기 제1 슬라이딩부가 수용되는 제2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홀더는 상기 제1 슬라이딩부가 상기 제2 슬라이딩부에 수용되며 이동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면을 포함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는 타 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돌출면을 포함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너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돌출면과 상기 제2 돌출면이 접하여 상기 이너 홀더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일 측이 개방되어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가 휨 변형되어 상기 OTS소자와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의 외측으로 솔더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9. 일 측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내부면을 따라 고정부가 돌출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 면을 덮는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에 형성된 유입홀 및 배출홀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부;
    상기 케이스에 배치 고정되는 일자형 OTS소자; 및
    상기 OTS소자의 양 측에 연결되고, 외부와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는
    상기 OTS소자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유입홀;
    상기 케이스 및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 측에 형성되는 배출홀;을 포함하여 하나의 유로가 형성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일 측에 상기 와이어가 수용되는 고정홈;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고정홈과 각각 연결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면을 따라 일 측이 밴딩되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고정홈 및 상기 고정부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12. 제9항에 있어서,
    일 측이 개방되어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가 휨 변형되어 상기 OTS소자와 상기 와이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의 외측으로 솔더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용 유온센서.
KR1020170178086A 2017-12-22 2017-12-22 변속기용 유온센서 KR101996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086A KR101996461B1 (ko) 2017-12-22 2017-12-22 변속기용 유온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086A KR101996461B1 (ko) 2017-12-22 2017-12-22 변속기용 유온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6356A true KR20190076356A (ko) 2019-07-02
KR101996461B1 KR101996461B1 (ko) 2019-07-04

Family

ID=67258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086A KR101996461B1 (ko) 2017-12-22 2017-12-22 변속기용 유온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4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185A (ko)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경신 유온센싱모듈을 갖는 커넥터
KR20230032768A (ko) *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유온센서모듈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85Y2 (ja) * 1985-12-31 1995-05-01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温度センサ
KR100648416B1 (ko) 2005-09-02 2006-11-24 고려전자주식회사 자동차용 온도센서
JP2010249599A (ja) * 2009-04-14 2010-11-04 Shibaura Electronics Co Ltd 温度センサ
KR101133236B1 (ko) 2009-11-04 2012-04-05 주식회사 경신 자동변속기의 유온센서 배선장치
KR20130014213A (ko) 2011-07-29 2013-02-07 주식회사 경신 자동변속기의 유온센서 배선장치
JP2013044693A (ja) * 2011-08-26 2013-03-04 Denso Corp 油温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985Y2 (ja) * 1985-12-31 1995-05-01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温度センサ
KR100648416B1 (ko) 2005-09-02 2006-11-24 고려전자주식회사 자동차용 온도센서
JP2010249599A (ja) * 2009-04-14 2010-11-04 Shibaura Electronics Co Ltd 温度センサ
KR101133236B1 (ko) 2009-11-04 2012-04-05 주식회사 경신 자동변속기의 유온센서 배선장치
KR20130014213A (ko) 2011-07-29 2013-02-07 주식회사 경신 자동변속기의 유온센서 배선장치
JP2013044693A (ja) * 2011-08-26 2013-03-04 Denso Corp 油温検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7185A (ko) * 2021-07-05 2023-01-12 주식회사 경신 유온센싱모듈을 갖는 커넥터
KR20230032768A (ko) * 2021-08-31 2023-03-07 주식회사 경신 차량용 유온센서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461B1 (ko) 2019-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461B1 (ko) 변속기용 유온센서
KR101740014B1 (ko) 압력센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99177B1 (ko) 설치채널을 포함하는 인장 및/또는 가이드기능을 갖춘 레일 및 타이밍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내연기관
US20080210001A1 (en) Device with flow sensor for handling fluids
HK1111811A1 (en) Transducer assembly for an ultrasonic fluid meter
ITMI970738A1 (it) Tenditore per catene con pattino in materia plastica e molla/e a lamina ad estremita' ricurve
KR20170038815A (ko) 자동차 변속기에서 세팅 요소의 작동을 위한 유압식 또는 공압식 작동 장치
US20060075848A1 (en) Automatic transmission
EP1262779A2 (en) Sensor device
KR20110122112A (ko) 센서를 유격 없이 장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
US20190386419A1 (en) Oil temperature sensor
RU2016115778A (ru) Рычаг переключения передач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6030258B (zh) 用于确定流过通道的流体介质的至少一个参数的传感器组件
CA2381456A1 (en) Pressure measuring system for measuring line pressure
KR100554603B1 (ko) 단자 커넥터를 변속기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방법 및 구조
KR101964821B1 (ko) 커넥터 모듈
US7473197B2 (en) Tensioning rail applied by injection molding
US20210165161A1 (en) Sensor
KR101133236B1 (ko) 자동변속기의 유온센서 배선장치
US20050268479A1 (en) Oil level gauge guide structure
KR101021493B1 (ko) 테스트 커플링
KR101919498B1 (ko) 차량용 압력센서 하우징 구조
JP2022123519A (ja) 温度センサユニット
US20030059172A1 (en) Connection device for establishing a coupling appropriate for signal transmission
US20210172810A1 (en) Temperature Sens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