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5579A -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5579A
KR20190075579A KR1020170177284A KR20170177284A KR20190075579A KR 20190075579 A KR20190075579 A KR 20190075579A KR 1020170177284 A KR1020170177284 A KR 1020170177284A KR 20170177284 A KR20170177284 A KR 20170177284A KR 20190075579 A KR20190075579 A KR 20190075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guide
strip
fret
cen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준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7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5579A/ko
Publication of KR2019007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15/0085Joining ends of material to continuous strip, bar or she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5/00Arrangements for performing additional metal-working operation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2015/0092Welding in the roll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는, 스트립이 이동하는 바닥의 상부 센터에 마련되는 제1실린더 작동에 의하여 눌러지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 케이스와 가이드 로드와, 제1실린더에 설치되며, 누름 프렛의 최대 오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스트립 누름부와, 스트립의 양 사이드에 설치되고 로드 축과 연결되는 제2실린더와, 제2실린더 작동 시 스트립이 센터링되게 하는 가이드 프렛과, 제2실린더 양 측에 설치되며, 제2실린더와 제3실린더는 가이드 프렛과 실린더 로드와 가이드드 축을 통해 가이드 레일 내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센터링 양 사이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The strip cent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STS 냉연코일 용접기 모재 두께에 따라 센터링 가이드 가능한 자동 센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스트립 용접 장치는 크램핑 이동용 실린더가 확장된 상대에서 누름 프렛 실린더를 확장한 후 크램핑 이동용 실린더를 축소하여 현 상태와 같은 크램핑 실시 후 시어실린더를 작동하여 나이프로 고정된 나이프사이의 스트립의 엔드부 “c’를 절단 한 후 실린더를 확장 작동하여 양쪽 센터링 가이드 프렛을 모아 스트립의 센터링 실시 후 실린더을 오픈 하여 후행스트립이 좌측으로 용접기 중앙으로 이동한 후 후행코일 톱부를 진행시켜 용접기 휠과 용접기 휠을 밀착 후 용접전원을 투입하여 용접을 실시하여 왔다.
그런데, 철판 두께 1.2mm 이하의 박판의 코일 중 약간의 형상이 불량한 편파 스트립의 경우 편파 반대편으로 스트립이 쏠려 스트립이 반듯하게 용접이 되지 못하고 기울여져 용접이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연속 작업 중 스트립 쏠림에 의한 판파단 발생으로 품질결함과 수리작업에 의한 생산 손실로 문제가 되어 왔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스테인리스 냉연코일을 냉연공장에서 압연, 소둔, 정정라인 등에서 연속 생산 작업을 하기 위하여 선 후행 코일을 서로 연결하는 코일 용접 작업 중 선 후행코일의 센터링을 양호하게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선행 코일 엔드부 스트립과 후행코일 톱부와 용접 연결 작업 시 형상 불량과 두께와 관계 없이 선 후행 코일이 일직선으로 양호하게 용접하는 용접 연결을 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 센터링 장치는, 스트립이 이동하는 바닥의 상부 센터에 마련되는 제1실린더 작동에 의하여 눌러지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 케이스와 가이드 로드와, 상기 제1실린더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프렛의 최대 오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스트립 누름부와, 상기 스트립의 양 사이드에 설치되고 로드 축과 연결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 작동 시 상시 스트립이 센터링되게 하는 가이드 프렛과, 상기 제2실린더 양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실린더와 상기 제3실린더는 상기 가이드 프렛과 실린더 로드와 가이드 축을 통해 가이드 레일 내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센터링 양 사이드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프렛은 상기 가이드 축과 절단 방향으로 일 직선 상에 상기 스트립의 엣지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
또한, 상기 제2실린더는 제1감지센서와 제2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는 상기 제2실린더의 축소를 감지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는 상기 제2실린저의 확장을 감지한다.
또한, 상기 제3실린더는 상기 제1감지센서와 제2감지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터링 양 사이드 가이드부는 제어를 위한 컨트롤 판넬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선행코일 후단부를 본 발명과 같이 두께 별 센터링이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종래의 코일 두께 1.2mm 이하에서 발생하는 편파 또는 비대칭 양파의 스트립 형상 불량에서도 양호하게 일직선으로 용접이 가능한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 는 도 1 의 A 부분의 동작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3 은 도 1 의 A 부분의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터링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 는 도 1 의 A 부분의 동작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터링 누름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도 1의 A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터링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는 도 1 의 A 부분의 동작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 은 도 1 의 A 부분의 확대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터링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 는 도 1 의 A 부분의 동작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터링 누름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 는 도 1의 A 부분의 단면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센터링 가이드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는 선행 코일 엔드부 스트립과 후행코일 톱부와 용접 연결 작업 시 형상 불량과 두께와 관계 없이 선 후행 코일이 일직선으로 양호하게 용접하도록 마련된다.
선행코일 후단부 스트임(2)의 양호한 센터링 가이드를 하기 위해서, 선행코일이 1.2mm 이상일 경우 센터 누름프렛(44)를 오픈하고 센터링 가이드를 고정형으로 하고 선행코일이 1.2mm 이하일 경우 센터 누름프렛(44)를 바닥에서 30mm오픈하고 센터링 가이드를 유동형이 되게 하여 두께 별 센터링가이드가 되게 한다.
본 발명의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는 센터링 누름부(60)와 센터링 양 사이드 가이드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링 누름부(60)는 스트립(2)이 이동하는 바닥의 상부 센터에 마련되는 제1실린더(41)의 작동에 의하여 눌러지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50)과, 고정프레임(50)에 설치되는 가이드 케이스(51)와 가이드 로드(52)와, 제1실린더(41)에 설치되며, 누름 프렛(44)의 최대 오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2)를 포함한다. 센터링 누름부(60)는 바닥과 누름 프렛(44)의 간격이 30mm되는 위치까지 오픈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설치되는 감지센서(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링 누름부(60)는 누름 프렛(44)의 바닥을 얇은 펠프포가 부착되어 스트립(2)과 터치 시 긁힌 흠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센터링 양 사이드 가이드부(20)는 스트립(2)의 양 사이드에 설치되는 제2실린더(22)와 제2실린더(22)의 양 사이드에 마련되는 제3실린더(21,23)를 포함한다.
센터링 양 사이드 가이드부(20)는 제2실린더(22)와 제3실린더(21,23)의 확장 시 스트립(2) 센터링 되게 하는 가이드 프렛(53)을 더 포함한다. 가이드 프렛(53)의 반대편 중심에는 제2실린더(22)의 로드가 축(38)과 연결되고, 제2실린더(22)의 양 사이드에 설치된 제3실린더(21,23)는 스트립 가이드 플렛(53)의 뒤쪽에 가이드 레일(36,37) 내에 설치된다. 제3실린더(21,23)는 직선 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가이드 축(33,35)은 가이드 레일(36,37)과 연결되어 설치된다.
또, 스트립(2)과 터치되는 가이드 프렛(53)에는 실린더 로드축(33,34,35)과 절단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스트립(2)의 엣지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스(38,39,40)이 설치된다.
제2실린더(22)에는 축소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29)와 확장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3실린더(21,23)에는 축소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27,31)와 확장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28,32)가 설치될 수 있다.
센터링 양 사이드 가이드부(20)는 기타 장치로 이들을 조정할 수 있는 콘트롤 판널(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는 센터링 누름부(60)와 센터링 양 사이드 가이드부(20)의 동작을 설명한다.
크램핑 이동용 실린더(47)가 확장된 상태에서 누름 프렛(46) 실린더(45)를 확장한 후, 크램핑 이동용 실린더(47)를 축소하여 시어 실린더(4)를 작동하여 나이프(5)로 고정된 나이프(5) 사이의 스트립(2)의 엔드부'c'를 절단한다.
소재의 두께가 1~1.2mm 이하 일 때와 소재 두께가 1.2mm 초과 ~ 6mm 이하 의 경우를 설명한다.
소재의 두께가 1~1.2mm 이하 일 경우, 콘트롤 판넬(19)에서 신소재 두께의 신호가 전달 받으면 센터링 누름부(20)의 제1실린더(41)가 축소되어 감지센서(43)가 감지한다. 감지센서(43)가 감지하면 누름프렛(44)이 바닥과의 간격이 30mm되는 위치까지 오픈 되게 한다.
감지센서(43)의 감지로 제2내지 제3 실린더(21,22,23)가 동시에 확장되어 스트립 양측 가이드 프렛(53)이 전진하여 스트립(2)의 엣지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38,39,40)가 모두 감지되는 시점에서 제2내지 제3실린더(21,22,23)를 멈추고, 스트립(2)을 크램핑했던 실린더(45)가 축소되고 크램핑 시 점선 곡선과 같이 스트립(2)이 위치했던 것이 펴지면서 용접위치로 이동된다.
소재의 두께가 1.2mm 초과 ~ 6mm 이하 일 경우, 콘트롤 판넬(19)에서 소재 두께의 신호가 전달 받으면, 센터링 누름부(20)의 제1실린더(41)가 확대되어 감지센서(42)가 감지되어 누름프렛(44)이 바닥과의 간격이 최대가 되는 위치까지 오픈 되게 한다.
감지센서(42)의 감지로 제2실린더(22)만 확장되어 스트립 양측 가이드 프렛(53)이 전진하여 스트립(2)의 엣지부를 감지하는 근접센서(39)만 감지하게 되어 양측의 근접센서(39)가 감지되면 제2실린더(22)가 멈추고, 스트립(2)을 클램핑 했던 실린더(45)가 축소되고, 클램핑 시 점선 곡선과 같이 스크립(2)이 위치했던 것이 펴지면서 용접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선행 스트립의 후단부가 일진선을 이루게 하여 후행 코일의 선단부가 일직선으로 바르게 용접이 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후행 코일 스트립 2 : 선행 코일 스트립
3 : 용접기 휠 4 : 시어 실린더
20 : 센터링 양 사이드 가이드부
21,22,23, 41 : 실린더
25,26 : 가이드 로드
27,28,29,30,31 : 감지센서
38,39,40 : 근접 센서
44 : 누름 프렛 48 : 이동 프렛
50 : 고정 프레임

Claims (5)

  1.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 센터링 장치는,
    스트립이 이동하는 바닥의 상부 센터에 마련되는 제1실린더 작동에 의하여 눌러지게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는 가이드 케이스와 가이드 로드와, 상기 제1실린더에 설치되며, 상기 누름 프렛의 최대 오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스트립 누름부와,
    상기 스트립의 양 사이드에 설치되고 로드 축과 연결되는 제2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 작동 시 상시 스트립이 센터링되게 하는 가이드 프렛과, 상기 제2실린더 양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2실린더와 상기 제3실린더는 상기 가이드 프렛과 실린더 로드와 가이드 축을 통해 가이드 레일 내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센터링 양 사이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프렛은 상기 가이드 축과 절단 방향으로 일 직선 상에 상기 스트립의 엣지부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근접 센서를 포함하는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는 제1감지센서와 제2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감지센서는 상기 제2실린더의 축소를 감지하고,
    상기 제2감지센서는 상기 제2실린저의 확장을 감지하는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실린더는 상기 제1감지센서와 제2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링 양 사이드 가이드부는 제어를 위한 컨트롤 판넬을 더 포함하는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
KR1020170177284A 2017-12-21 2017-12-21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 KR201900755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84A KR20190075579A (ko) 2017-12-21 2017-12-21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284A KR20190075579A (ko) 2017-12-21 2017-12-21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579A true KR20190075579A (ko) 2019-07-01

Family

ID=6725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284A KR20190075579A (ko) 2017-12-21 2017-12-21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55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3666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тыко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сваркой полос листового проката
US48403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and welding steel strips
US485449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welding steel strips
KR100254655B1 (ko) 레이저빔에 의한 박판 용접장치
KR101554683B1 (ko) 프레스 공정을 위한 코일 연속 공급 시스템
DE602005013608D1 (de) Schneidblattkontrolle insbesondere für eine Schneidemaschine für Materialbahnrollen
JPH0615469A (ja) 薄板をレーザ溶接して二次加工素材を形成する方法と装置
WO2009133832A1 (ja) 脆性材料ブレーク装置及び脆性材料ブレーク方法
KR102373009B1 (ko) 스트립의 센터링 장치
US3403833A (en) Strip clamp assembly
JP4749617B2 (ja) ストリップ接続装置
JP5649770B2 (ja) 機械的な薄板製作装置
KR20190075579A (ko) 스트립 연결부의 자동 센터링 장치
CN209097849U (zh) 半导体芯片收料机的料带自动裁断机构
JP5171281B2 (ja) 切断片搬出方法及び装置
KR100844890B1 (ko) 금속 파이프 제조용 철판띠 용접 장치
JPH0557346A (ja) ストリツプ溶接装置
KR101555102B1 (ko) 스트립의 심 용접기
KR200215192Y1 (ko) 강판의 폭방향 용접부 검사장치
JPH07229873A (ja) 溶接管渦流探傷装置
JP2007203327A (ja) レーザービーム溶接機の溶接精度オンライン監視方法及び装置
KR20200061639A (ko) 소재 검사장치
KR0123924Y1 (ko) 냉연강판 제조설비의 용접부 검사장치
KR101412049B1 (ko) 결함제거 재용접기
JP2000263262A (ja) 鋼帯の接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