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648A -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648A
KR20190074648A KR1020170176167A KR20170176167A KR20190074648A KR 20190074648 A KR20190074648 A KR 20190074648A KR 1020170176167 A KR1020170176167 A KR 1020170176167A KR 20170176167 A KR20170176167 A KR 20170176167A KR 20190074648 A KR20190074648 A KR 20190074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rm
roller
longitudinal direction
direction corresp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상
길두송
이진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76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4648A/ko
Publication of KR20190074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2Electrochemical measuring systems for weathering, corrosion or corrosion-protection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7/00Investigating resistance of materials to the weather, to corrosion, or to light
    • G01N17/04Corrosion pro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원형의 단면을 갖는 보일러 튜브의 외면에 접촉되어 보일러 튜브를 검사하는 탐촉부가 튜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부, 몸체부에 연결되며, 몸체부가 튜브에서 이탈되지 않게 몸체부를 튜브에 지지시키는 지지부, 몸체부나 지지부에 구비되며, 탐촉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몸체부에 구비되며, 지지부에 의해 튜브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몸체부를, 튜브의 외면을 따라 튜브의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Moving guide device for boiler tube inspection}
본 발명은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용 튜브는 지속적으로 노후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결함들은 매년 크고 작은 사고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러나, 인력과 기술의 부족으로 튜브에 대한 체계적이며 주기적인 점검은 현실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튜브를 검사할 수 있는 탐촉부가 튜브 외면에 밀착되게 배치된 채, 튜브를 따라 이동하여 검사할 수 있는 장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탐촉부가 튜브에 밀착된 채, 튜브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를 검사할 수 있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보일러 튜브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보일러 튜브를 검사하는 탐촉부가 상기 튜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부, 몸체부에 연결되며, 몸체부가 튜브에서 이탈되지 않게 몸체부를 튜브에 지지시키는 지지부, 몸체부나 지지부에 구비되며, 탐촉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몸체부에 구비되며, 지지부에 의해 튜브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몸체부를, 튜브의 외면을 따라 튜브의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탐촉부가 튜브에 밀착된 채, 튜브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튜브를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튜브에 장착된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튜브의 원주방향에 배치된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일러용 튜브는 지속적으로 노후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결함들은 매년 크고 작은 사고를 발생시키고 있다. 튜브를 점검하기 위하여, 탐촉부가 튜브에 근접하게 배치되나, 튜브의 단면이 원형형태로 형성됨으로써, 튜브의 외면에 탐촉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게 배치됨으로써, 튜브의 내부 결함을 정확히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는 튜브의 외면에 탐촉부가 밀착하여, 튜브를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튜브에 장착된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2는 튜브의 원주방향에 배치된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를 나타낸 간략도이며, 도 3은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보일러 튜브(1)의 용접 부위를 검사하기 위하여, 몸체부(10), 지지부(60), 구동부(70), 탐촉부(80), 장착부(50)를 포함한다.
지지부(60)는 몸체부(10)에 연결되며, 몸체부(10)가 튜브(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몸체부(10)가 튜브(1)에서 이탈되지 않게 몸체부(10)를 튜브(1)에 지지시키도록 구성된다.
구동부(70)는 지지부(60)에 의해 튜브(1)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몸체부(10)를, 튜브(1)의 외면을 따라 튜브(1)의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구동부(70)는 몸체부(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부(70)의 동작에 의하여, 몸체부(10), 지지부(60)는 튜브(1)의 외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탐촉부(80)는 원형의 단면을 갖는 튜브(1)의 외면에 접촉되어 튜브(1)의 용접 부위를 검사하도록 구성된다.
장착부(50)는 탐촉부(80)를 장착하여, 몸체부(10)나 지지부(60)에 구비된다. 장착부(50)는 탐촉부(80)가 튜브(1)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탐촉부(80)를 튜브(1)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지부(60)와 장착부(50)에 의하여, 탐촉부(80)는 튜브(1)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탐촉부(80)를 튜브(1)의 외면에 밀착시킨 지지부(60)와 장착부(50)는 구동부(70)의 구동에 의하여, 튜브(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탐촉부(80)가 튜브(1)를 정밀하게 검사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는 제어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탐촉부(80)가 튜브(1)의 외면을 향해 발신한 신호가 반사되어 복귀된 신호인 복귀신호에 기초하여, 튜브(1)의 결함 여부, 부식 여부 및 두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후술할 구동모터(75)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구동모터(75)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90)는 복귀 신호에 튜브(1)의 결함이 있을 시, 구동모터(75)의 회전수, 회전속도, 회전방향을 기초로 탐촉부(80)의 현 위치를 파악이 가능해짐으로써, 튜브(1)의 결함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구동부(70)의 제어가 가능해짐으로써, 지지부(60)와 장착부(50)에 결합된 탐촉부(80)는 자동으로 튜브(1)를 검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는 표시부(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91)는 제어부(90)에서 획득한 튜브(1)의 결함 여부, 부식 여부 및 두께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에 의하여, 작업자는 실내에서 튜브(1)의 결함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의 원주방향을 시계방향에 대응되는 제1 원주방향과, 반시계방향에 대응되는 제2 원주방향으로 구분할 때, 지지부(60)는 제1 암(30), 제2 암(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암(30)은 몸체부(10)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제1 원주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암(30)은 튜브(1)를 감싸 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암(40)은 일측 단부에서 제2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몸체부(1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암(40)은 제2 원주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암(40)은 튜브(1)를 감싸 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암(30)은 제1 고정 암(33), 제1 회전 암(31), 제1 탄성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암(33)은 몸체부(10)의 일측 단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회전 암(31)은 제1 고정 암(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 암(31)은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35)는 제1 회전 암(31)이 튜브(1)를 향해 탄성적으로 회전하도록 제1 암(30)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체부(10)의 일측 단부에서 제1 암(30)의 제1 원주방향 측의 말단까지는 절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암(40)은 제2 고정 암(43), 제2 회전 암(41), 제2 탄성부재(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 암(43)은 몸체부(10)의 타측 단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회전 암(41)은 제2 고정 암(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 암(41)은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45)는 제1 회전 암(31)이 튜브(1)를 향해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제2 암(40)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측 단부에서 제2 암(40)의 제2 원주방향 측의 말단까지는 절곡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부재(35) 및 제2 탄성부재(45)에 의하여, 제1 및 2 암(30,40)은 튜브(1)를 감싸게 배치됨으로써, 몸체부(10)는 튜브(1)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탐촉부(80)를 튜브(1)의 외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탐촉부(80)를 튜브(1)의 외면에 완전히 밀착시키기 위하여, 제2 암(40)의 제2 원주방향 측의 말단에 장착부(5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50)는 고정파트(51), 한 쌍의 연장파트(5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파트(51)는 제2 암(40)의 제2 원주방향 측의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일예로, 고정파트(51)는 제2 암(40)에 나사(59) 체결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연장파트(53)는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고정파트(51)의 양측 말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파트(53)는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연장파트(53) 사이에는 탐촉부(80)가 장착될 수 있다.
연장파트(53)는 수평플레이트(55), 경사플레이트(57)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55)는 튜브(1)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경사플레이트(57)는 수평플레이트(55)의 말단에서 튜브(1)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55)로부터 경사플레이트(57)는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플레이트(57)에 의하여, 탐촉부(80)는 튜브(1)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탐촉부(80)는 경사플레이트(57)의 양측 중, 수평플레이트(55)의 반대방향의 말단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45)에 의하여, 제2 회전 암(41)은 튜브(1)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하고, 튜브(1)측을 향해 경사진 경사플레이트(57)에 의하여, 탐촉부(80)는 튜브(1)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튜브(1)를 보다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일예로, 경사플레이트(57)에 탐촉부(80)는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필요에 따른 다른 탐촉부를 교환하여 검사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45) 및 경사플레이트(57)에 의하여, 탐촉부(80)는 이탈 및 미세 움직임이 방지된 채로, 튜브(1)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검사할 수 있다.
튜브(1)에 대한 탐촉부(80)의 접촉력이 증가됨으로써, 검사 결과의 신뢰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일예로, 도면에 탐촉부(80)가 한 개 배치되게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탐촉부(80)는 복 수개 배치된 구성 또한 가능하다. 탐촉부(80)는 장착부(50)에 구비된 형태뿐만 아니라, 몸체부(10)에 배치된 구성 또한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60)는 지지롤러(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롤러(37)는 제1 암(30)의 제1 원주방향 측의 말단에 마련되어 튜브(1)의 외면에 접촉될 수 있다. 지지롤러(37)는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장착부(50)에 장착된 탐촉부(80)는 지지롤러(37), 구동부(70)의 이동에 따라 튜브(1)의 외면에 접촉되어, 튜브(1)의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탐촉부(80)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하여, 구동부(70)는 제1 롤러(71), 제2 롤러(7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71)는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1 롤러(71)는 튜브(1)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2 롤러(73)는 제1 롤러(71)에서 제2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롤러(73)는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제2 롤러(73)는 튜브(1)의 외면에 접촉되게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2 롤러(71,73)는 지지부(60)에 구비된 지지롤러(37), 탐촉부(80)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의 길이방향으로 투영하여, 생성되는 원을 기준으로, 중심각이 90도인 4개의 부채꼴로 분할했을 때 기준으로, 지지롤러(37), 제1 롤러(71), 제2 롤러(73), 장착부(50)는 제2 원주방향으로 각각의 부채꼴에 차례대로 대응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및 2 롤러는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롤러(37)는 제1 탄성부재(35)에 의하여, 튜브(1)를 향해 탄성적으로 가압된 채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탄성부재(45) 및 경사플레이트(57)에 의하여 탐촉부(80)는 튜브(1)측으로 가압된 채, 회전하면서 튜브(1)를 검사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및 2 롤러(71,73), 지지롤러(37)는 마찰계수가 높은 고무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70)는 구동축(74), 구동롤러(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74)은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자전 가능하게 몸체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구동롤러(73)는 전술한 제2 롤러(73)와 동일할 수 있다.
구동롤러(73)는 구동축(74)에 결합되어,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구동축(74)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구동롤러(73)는 튜브(1)에 접촉되게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구동부(70)는 구동모터(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75)는 구동축(74)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는 제1 수용공간(11)과, 제2 수용공간(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수용공간(11)에는 구동롤러(73)가 수용될 수 있으며, 튜브(1)를 향해 개구될 수 있다. 구동롤러(73)의 일부는 제1 수용공간(11)에 수용되며, 나머지는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13)은 제1 수용공간(11)에서,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13)에는 구동모터(75)가 수용될 수 있다.
구동부(70)는 피동축(72), 피동롤러(71), 벨트(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동축(72)은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자전 가능하게 몸체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피동롤러(71)는 전술한 제1 롤러(71)와 동일할 수 있다. 피동축(72)는 구동축(74)에서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 피동롤러(71)는 제1 수용공간(11)에 수용될 수 있다.
피동롤러(71)는 피동축(72)에 결합되어, 튜브(1)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피동축(72)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피동롤러(71)는 튜브(1)에 접촉되게 배치되어, 회전할 수 있다.
벨트(77)는 구동축(74)의 구동력을 피동축(72)으로 전달할 수 있다. 벨트(77)는 구동축(74)과 피동축(72)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75)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74)의 회전력은 벨트(77)에 의하여, 피동축(72)에 전달될 수 있다.
일예로, 벨트(77)는 타이밍 벨트 형태일 수 있으며, 벨트와 접촉되는 구동축(74) 및 피동축(72)의 외면은 기어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작업자가 직접 탐촉부(80)로 튜브를 검사하는 것이 아닌, 구동부(70)의 구동에 의하여, 탐촉부(80)가 튜브(1)의 외면에 밀착된 채, 튜브(1)를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작업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몸체부 30: 제1 암
40: 제 2암 50: 장착부
60: 지지부 70: 구동부

Claims (14)

  1. 원형의 단면을 갖는 보일러 튜브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보일러 튜브를 검사하는 탐촉부가 상기 튜브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몸체부가 상기 튜브에서 이탈되지 않게 상기 몸체부를 상기 튜브에 지지시키는 지지부;
    상기 몸체부나 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탐촉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에 의해 상기 튜브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기 몸체부를, 상기 튜브의 외면을 따라 상기 튜브의 원주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튜브의 원주방향을 시계방향에 대응되는 제1 원주방향과, 반시계방향에 대응되는 제2 원주방향으로 구분할 때,
    상기 지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일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원주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튜브를 감싸 안는 제1 암; 및
    상기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2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는, 상기 몸체부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2 원주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튜브를 감싸 안는 제2 암을 포함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암은,
    상기 일측 단부에 고정되는 제1 고정 암;
    상기 제1 고정 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1 회전 암;
    상기 제1 회전 암이 상기 튜브를 향해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상기 제1 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암은,
    상기 타측 단부에 고정되는 제2 고정 암;
    상기 제2 고정 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하는 제2 회전 암;
    상기 제2 회전 암이 상기 튜브를 향해 탄성적으로 회전하게 상기 제2 암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암의 상기 제1 원주방향 측의 말단에 마련되어 상기 튜브의 외면에 접촉되고,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하는 지지롤러를 더 포함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 암의 상기 제2 원주방향 측의 말단에 마련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 암의 상기 제2 원주방향 측의 말단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파트; 및
    상기 원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고정파트의 양측 말단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자신들의 사이에 상기 탐촉부가 장착되는 한 쌍의 연장파트를 포함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장파트는,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수평플레이트; 및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말단에서 상기 튜브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튜브에 접촉되는 제1 롤러와,
    상기 제1 롤러에서 상기 제2 원주방향으로 이격되되,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하고, 상기 튜브에 접촉되는 제2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튜브를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투영했을 때 생성되는 원을, 중심각이 90도인 4개의 부채꼴로 분할했을 때,
    상기 지지롤러, 상기 제1 롤러, 상기 제2 롤러, 및 상기 장착부는, 상기 제2 원주방향으로 각각의 부채꼴에 차례대로 대응되게 위치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몸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튜브에 접촉하되,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회전하는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자전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구동축; 및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되, 상기 튜브에 접촉하는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 및 회전방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구동롤러가 수용되고, 상기 튜브를 향해 개구되는 제1 수용공간과,
    상기 제1 수용공간에서,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되, 상기 구동모터가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1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자전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축에서 상기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마련되는 피동축;
    상기 피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튜브의 길이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피동축과 함께 회전하되, 상기 튜브에 접촉하는 피동롤러; 및
    상기 구동축의 구동력을 상기 피동축으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를 더 포함하는,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KR1020170176167A 2017-12-20 2017-12-20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KR20190074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167A KR20190074648A (ko) 2017-12-20 2017-12-20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167A KR20190074648A (ko) 2017-12-20 2017-12-20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648A true KR20190074648A (ko) 2019-06-28

Family

ID=67065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167A KR20190074648A (ko) 2017-12-20 2017-12-20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464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361A (ko) * 2020-01-23 2021-08-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드럼 내구성 시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5361A (ko) * 2020-01-23 2021-08-0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드럼 내구성 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2962B2 (ja) 同軸度・直角度測定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628253B1 (ko) 초음파 탐지 장치
JP4883395B2 (ja) 無軌道式管検査装置
KR20150088924A (ko) 대형 베어링의 진원도 측정 시스템
KR20190074648A (ko) 보일러 튜브 검사용 탐촉부 이동 안내장치
JP2009018635A (ja) 軌道検測装置
KR20090008747U (ko) 대형 샤프트 굽힘 측정장치
JP5198112B2 (ja) 配管の検査装置及びその検査方法
JP2015087295A (ja) 形状検査装置及び形状検査方法
JP2004125752A (ja) 測定装置および測定方法
JP2008216189A (ja) 車両試験装置
KR20200066760A (ko) 이너볼 조인트 작동각 검사 장치
KR102233981B1 (ko) 자동 기어 검사 장치 및 방법
JP5740283B2 (ja) 配管厚測定装置
JPS6251422B2 (ko)
JP2013124978A (ja) 配管挿入型超音波探傷装置
CN114354750B (zh) 插塞焊缝相控阵超声检查装置
JP2010014582A (ja) 超音波探傷方法及び超音波探触装置
KR20170000972A (ko) 중공형 센터링 장치
JP7391537B2 (ja) 超音波検査装置
KR101272939B1 (ko) 자기 영상 검사장치
JP2010060477A (ja) 配管の検査用治具
JP2018100876A (ja) 探触子移動装置
KR101159009B1 (ko) 지르코늄 튜브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튜브 검사방법
KR100441961B1 (ko) 화력발전용 보일러의 수평튜브 자동 초음파검사용 탐촉자이송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