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354A -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354A
KR20190074354A KR1020170175629A KR20170175629A KR20190074354A KR 20190074354 A KR20190074354 A KR 20190074354A KR 1020170175629 A KR1020170175629 A KR 1020170175629A KR 20170175629 A KR20170175629 A KR 20170175629A KR 20190074354 A KR20190074354 A KR 20190074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forming
position fixing
molds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0128B1 (ko
Inventor
이선영
이미림
강수정
노유진
Original Assignee
산청군농업기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청군농업기술센터 filed Critical 산청군농업기술센터
Priority to KR102017017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0128B1/ko
Publication of KR2019007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0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0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2Assemblies of several baking-tins or form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3Baking-tins; Baking forms
    • A21B3/135Accessories, e.g. covers, 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반죽을 부어 빵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배치되고 상부에 성형틀(200)이 안착되는 몸체부(100);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성형홈(211)이 다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성형홈(211)은 일측이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내측이 딸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고정핀(213)이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제1성형틀(210)과, 상기 제1성형틀(210)의 성형홈(211)과 대응하는 위치 각각의 성형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핀(213)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위치고정핀(213)에 끼워지는 위치고정홈(223)이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성형틀(210)의 일측과 힌지(h)결합되어 회동되는 제2성형틀(2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2성형틀(210)의 성형홈(211, 221)의 상측둘레면(212, 222)는 제1,2성형틀(210, 220)의 상측보다 높게 형성되며, 각각의 성형홈(211, 221)을 연결하는 연장부(215, 225)가 형성되고, 상기 제1성형틀(210)의 상부에 제2성형틀(220)을 겹침시킬 시, 마주하는 면 사이에 틈(t)이 형성되는 성형틀(200); 상기 제1,2성형틀(210, 220)의 하부 또는 내부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제1,2성형틀(210, 220)로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300); 로 구성되어 제1,2성형틀의 분리가 용이하고, 정확한 성형홈(211, 221)의 대응을 통해 균일한 딸기빵 제조가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Strawberry bread making equipment capable of separating and uniformly forming molds}
본 발명은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딸기빵을 제조 시 한 번에 균일한 형태로 생산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전혀 상관없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성형틀을 상호 분리 시 열융착 등의 기타 요인들을 원천적으로 차단토록 하는 한편, 성형틀을 겹침 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다양한 재료들을 첨가하여 밀가루에 혼합한 반죽과 상기 반죽에 팥, 슈크림 등을 성형틀의 성형홈에 넣어 구워낸 빵들로는 붕어빵, 잉어빵, 국화빵, 계란 빵 등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성형틀을 이용하여 다양한 빵들을 제조하고 있는데, 종래의 성형틀의 구조를 보면은, 상, 하부성형틀로 구분되어, 각각의 성형홈이 상호 대응되게 위치시키고, 어느 하나의 성형홈에 근접한 히팅부를 구성하여 제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성형틀은 상, 하부성형틀의 분리가 불편함에 따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생산성에 있어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어, 근래에는 성형하는 부분만 회전가능토록 하고, 성형홈이 개폐가능토록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힌지결합구조의 성형홈은 한 번에 균일한 생산이 어렵고, 일일이 하나의 성형홈을 개폐시켜서 제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등록번호 제10-1789601호(특) 반죽을 부어 빵을 구울 수 있도록 하는 빵 성형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화력수단이 설치되고 그 상부면이 개방된 몸체프레임과, 상기 화력수단으로 빵을 구울 수 있도록 상기 몸체프레임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성형틀로 구성되되, 상기 성형틀은 반죽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부요홈이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반죽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부요홈이 형성되는 하부프레임, 및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 연결되고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타측면을 회전하면서 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힌지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요홈이 상기 하부요홈의 상부면으로 덮혀지면서 그 내부가 계란모양으로 형성되어 계란빵이 성형되며, 상기 하부요홈의 바닥 중앙부에는 메츄리알, 햄 또는 밤을 꽂아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앙금지지핀이 구비되되, 상기 앙금지지핀은 앙금(P)을 꽂아 지지하는 핀부와 상기 하부요홈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설치홈에 체결 고정되는 체결부로 형성되어 상기 하부요홈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그 최대 높이가 상기 하부요홈의 최상단보다 높지 않게 형성되는 계란빵 성형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등록번호 제20-0464012호(특) 일측이 개구된 컷팅플레이트가 구비된 상부프레스금형; 및 개구된 상기 컷팅플레이트의 양측에 1차로 절단된 가공대상물의 미절단된 2차 절단폭의 위치에 맞게 위치조절을 할 수 있도록 위치고정핀이 더 형성된 하부프레스금형;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고정핀은 등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 다양한 크기의 판넬 컷팅이 가능한 프레스 금형에 관한 기술이다.
등록번호 제10-1576042호(특) 붕어빵 성형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붕어빵 성형 장치는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이 힌지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회동되는 구조를 통해 내부에 붕어빵을 성형할 수 있는 성형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은 히터부를 통해 가공열을 전달받도록 구비되어 상부 금형과 하부 금형에 형성된 성형부에 붕어빵 제조를 위한 반죽으로 제어부에 의한 제어 열을 공급하며, 상기 성형부의 선단으로 소정 크기의 보조성형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보조성형부재의 형상에 따라 최종적으로 성형되는 붕어빵의 선단으로 성형홈이 형성되도록 반죽과 앙금을 넣고 붕어빵을 제조하되, 상기 보조성형부재는 상기 상부 금형 또는 하부 금형 중 어느 하나에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회동축을 기준으로 상향 회동되도록 구비되는 붕어빵 성형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최근들어 많이 사용하고 있는 성형홈의 일측을 힌지 결합을 통해 선택적으로 개폐가능케 구성하여, 성형홈의 내부에 반죽 및 기타 재료들을 넣어서 다양한 빵들을 제조하고 있는 기술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균일한 빵을 한 번에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고, 어느 성형홈에 넣은 반죽이 가장 빨리 빵으로 제조되는지 작업자들이 알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번에 균일한 빵을 제조함과 아울러 기존의 다양한 형상 중, 딸기형상의 성형틀을 제공하여 빵을 제조함에 있어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1,2성형틀에 형성되는 각각의 성형홈의 상측둘레가 상기 제1,2성형틀의 상측면보다 돌출되게 높게 형성하여, 상기 제1,2성형틀을 겹침시킬 시, 그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하여 손쉽게 분리가 가능토록 함은 물론, 상기 제1,2성형틀의 일측에 위치고정홈과 그에 대응하는 위치고정핀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제1,2성형틀을 겹침할 시 각각의 성형홈이 정확하게 대응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반죽을 부어 빵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배치되고 상부에 성형틀(200)이 안착되는 몸체부(100);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성형홈(211)이 다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성형홈(211)은 일측이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내측이 딸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고정핀(213)이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제1성형틀(210)과, 상기 제1성형틀(210)의 성형홈(211)과 대응하는 위치 각각의 성형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핀(213)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위치고정핀(213)에 끼워지는 위치고정홈(223)이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성형틀(210)의 일측과 힌지(h)결합되어 회동되는 제2성형틀(2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2성형틀(210)의 성형홈(211, 221)의 상측둘레면(212, 222)는 제1,2성형틀(210, 220)의 상측보다 높게 형성되며, 각각의 성형홈(211, 221)을 연결하는 연장부(215, 225)가 형성되고, 상기 제1성형틀(210)의 상부에 제2성형틀(220)을 겹침시킬 시, 마주하는 면 사이에 틈(t)이 형성되는 성형틀(200); 상기 제1,2성형틀(210, 220)의 하부 또는 내부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제1,2성형틀(210, 220)로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300); 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고정핀(213)은 상기 위치고정홈(223)의 깊이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고정핀(213)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양측에 경사면(217)을 형성하여, 상기 위치고정홈(223)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면(227)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고정핀(213)의 경사면(217)이 상기 위치고정홈(223)의 경사면(227)을 타며 끼워져 제1,2성형틀(210, 220)이 고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에 의하면, 반죽과 기타 재료들을 첨가하여 빵을 제조할 수 있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종래의 빵의 형상과 달리 딸기형상의 성형틀을 제공하여 빵의 형상에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고 제1,2성형틀을 겹침시킬 시, 상호 마주하는 그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상기 성형틀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성형홈을 회전시키지 않고 제2성형틀을 전체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균일한 빵을 제조할 수 있어 균일한 형태의 빵의 대량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제1,2성형틀을 겹침 시 위치고정이 가능하여, 각각의 성형홈을 정확하게 대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성형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성형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성형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성형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성형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단면도
본 발명은 딸기빵을 제조 시 한 번에 균일한 형태로 생산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전혀 상관없이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성형틀을 상호 분리 시 열융착 등의 기타 요인들을 원천적으로 차단토록 하는 한편, 성형틀을 겹침 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보면, 반죽을 부어 빵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배치되고 상부에 성형틀(200)이 안착되는 몸체부(100);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성형홈(211)이 다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성형홈(211)은 일측이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내측이 딸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고정핀(213)이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제1성형틀(210)과, 상기 제1성형틀(210)의 성형홈(211)과 대응하는 위치 각각의 성형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핀(213)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위치고정핀(213)에 끼워지는 위치고정홈(223)이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성형틀(210)의 일측과 힌지(h)결합되어 회동되는 제2성형틀(2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2성형틀(210)의 성형홈(211, 221)의 상측둘레면(212, 222)는 제1,2성형틀(210, 220)의 상측보다 높게 형성되며, 각각의 성형홈(211, 221)을 연결하는 연장부(215, 225)가 형성되고, 상기 제1성형틀(210)의 상부에 제2성형틀(220)을 겹침시킬 시, 마주하는 면 사이에 틈(t)이 형성되는 성형틀(200); 상기 제1,2성형틀(210, 220)의 하부 또는 내부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제1,2성형틀(210, 220)로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300); 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종래에 빵을 성형하기 위한 성형홈을 개별적으로 회전시켜야 했던 번거로움과 더불어, 작업자들의 숙련도에 따라서 천차만별적인 빵을 생산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제1,2성형틀(210, 220)의 일측이 힌지(h)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제2성형틀(220)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될 수 있게 됨으로써, 개별적인 성형홈을 회전하지 않고 한 번에 균일한 딸기빵을 제조토록 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전혀 상관없이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지면에 배치하여 상부에 성형틀(200)이 안착될 시 안정적인 지지를 하기 위한 통상의 구성요소로써, 도시하진 않았지만, 설치위치 변경 등의 기타 조건들을 고려하여 하부에 바퀴 등의 구동수단을 설치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성형틀(200)은 본 발명의 핵심구성요소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성형틀(210, 220)로 구분되게 구성되며 상기 제1,2성형틀(210, 220)의 일측이 힌지(h)를 통해 결합되게 됨으로써, 상기 제1성형틀(210)은 제자리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성형틀(220)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제1성형틀(21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딸기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성형홈(211)이 형성되고, 상부 양측에는 돌출되게 형성되는 위치고정핀(213)이 형성된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성형홈(211)의 상측둘레면(212)은 상기 제1성형틀(210)의 상측면보다 높게 형성되고, 상기 성형홈(211)의 일측과 다른 하나의 성형홈(211)의 일측을 서로 연결하는 연장부(215)가 형성된다.
상기 제2성형틀(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성형틀(2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의 성형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성형틀(211)의 위치고정핀(213)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고정홈(223)이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성형홈(221)의 상측둘레면(222)은 상기 제2성형틀(220)의 상측보다 높게 형성되며 각각의 성형홈(221)을 서로 연결하는 연장부(225)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성형틀(220)의 외측에 구성되되 힌지(h)가 결합되는 타측면에는 작업자들이 상기 제2성형틀(220)의 원활 및 편리한 회동을 위하여 손잡이부(229)가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29)는 상기 제2성형틀(220)의 일측에서 연장되게 바 형태로 형성할 수고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들이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할 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즉, 상기 제2성형틀(22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h)를 중심으로 회동시킬 수가 있고, 상기 제2성형틀(220)의 상부가 제1성형틀(210)의 상부에 맞닿게 할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성형홈(211, 221)이 완벽하게 일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성형틀(210, 220)의 성형홈(211, 221)이 완벽한 일치 및 안정적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기 위한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위치고정핀(213)과 위치고정홈(233)의 끼움구조로 인하여 뒤틀림 등을 방지토록 할 수가 있다.
또한,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성형틀(210, 220)을 겹침할 시, 각각의 성형틀의 상측보다 높게 형성되는 성형홈(211, 221)의 상측둘레면(212, 222) 및 연장부(215, 225)로 인하여 상기 제1,2성형틀(210, 220)이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틈(t)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홈(211, 221)의 상측면이 제1,2성형틀(210, 220)의 상측둘레면(212, 222)보다 높게 형성되는 이유는, 각각의 성형홈(211, 221)의 상측둘레면(212, 222)이 완전히 맞닿으면서 밀착되게 하여 자칫 반죽 후 빵을 제조함에 있어서 성형홈(211, 221)의 외측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연장부(215, 225)의 경우, 제2성형틀(220)의 무게로 인하여 자칫 성형홈(211, 221)의 상측둘레면(212, 222)의 파손 등을 방지하지 위하여 중간중간에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1,2성형틀(210, 220)의 성형홈(211, 221)의 상측둘레면(212, 222)이 높게 형성되고, 그 둘레면을 서로 연결하는 연장부(215, 225)는 딸기빵 제조 시 반죽이 외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토록하면서도, 각각의 둘레면(212, 222)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틈(t)은 제1,2성형틀(210, 220)의 상측면들이 완전히 맞닿지 않고 상기 성형홈(211, 221)의 상측둘레면(212, 222)만 맞닿게 하여 부분적으로 공간 즉, 상기 틈(t)들이 형성되게 되어 제2성형틀(220)의 분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히팅부(300)의 열로 인하여 제1,2성형틀(210, 220)의 맞닿는 부분이 열융착 또는 혹시 모를 반죽의 흐름 등에 의해 제2성형틀(220)의 분리 시 작업자들의 노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분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핀(223)은 상기 위치고정홈(213)의 깊이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왜냐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성형틀(210, 220)에 형성된 성형홈(211, 221)의 상측둘레면(212, 222)이 상기 제1,2성형틀(210, 220)의 상측보다 높게 형성되게 되어, 상기 위치고정핀(213)이 위치고정홈(223)과 완전히 대응될 경우, 상기 위치고정핀(213)에 의해 제1,2성형틀(210, 220)의 고정이 불가하기 때문에, 상기 틈(t)의 높이만큼, 상기 위치고정핀(213)이 더 높게 돌출되게 되어, 상기 위치고정핀(213)의 상측이 위치고정홈(223)의 내측에 맞닿게 될 수 있다.
한편,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핀(213)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양측에 경사면(217)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고정홈(223)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면(227)을 형성하여,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고정핀(213)의 경사면(217)이 상기 위치고정홈(223)의 경사면(227)을 타며 끼워져 제1,2성형틀(210, 200)이 고정되게 되어, 상기 위치고정핀(213)의 경사면(217)이 자연스레 상기 위치고정홈(213)의 경사면(227)을 타면서 끼움 되며 고정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힌지(h) 수단은 통상적으로 경첩 또는 어떠한 장치와 어떠한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힌지구조를 가지는 다양한 힌지(h)를 적용할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통상의 경첩구조를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성형틀(200)로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300)는 통상적으로 반죽을 이용한 빵제조장치에 적용되는 구성요소로써, 상기 제1,2성형틀(210, 220)의 하부에 각각 부착 또는 배치될 수가 있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1,2성형틀(210, 220)의 내부에 배치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히팅부(300)는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장치 또는 열선 등으로 하여 구성시킬 수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열을 가하는 판 형태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써 한정짓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딸기빵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에 의하면, 반죽과 기타 재료들을 첨가하여 빵을 제조할 수 있는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종래의 빵의 형상과 달리 딸기형상의 성형틀을 제공하여 빵의 형상에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고 제1,2성형틀을 겹침시킬 시, 상호 마주하는 그 사이에 틈이 형성되어 상기 성형틀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성형홈을 회전시키지 않고 제2성형틀을 전체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균일한 빵을 제조할 수 있어 균일한 형태의 빵의 대량생산이 가능함은 물론, 제1,2성형틀을 겹침 시 위치고정이 가능하여, 각각의 성형홈을 정확하게 대응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0 : 몸체부
200 : 성형틀
210 : 제1성형틀 211 : 성형홈 212 : 상측둘레면
213 : 위치고정핀 215 : 연장부 217 : 경사면
220 : 제2성형틀 221 : 성형홈 222 : 상측둘레면
223 : 위치고정홈 225 : 연장부 227 : 경사면
229 : 손잡이바
300 : 히팅부
t : 틈 h : 힌지

Claims (3)

  1. 반죽을 부어 빵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배치되고 상부에 성형틀(200)이 안착되는 몸체부(100);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는 성형홈(211)이 다수개로 형성되되 상기 각각의 성형홈(211)은 일측이 서로 연결되게 형성되고 내측이 딸기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고정핀(213)이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는 제1성형틀(210)과, 상기 제1성형틀(210)의 성형홈(211)과 대응하는 위치 각각의 성형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위치고정핀(213)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위치고정핀(213)에 끼워지는 위치고정홈(223)이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넓어지게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제1성형틀(210)의 일측과 힌지(h)결합되어 회동되는 제2성형틀(220)로 구성되며, 상기 제1,2성형틀(210)의 성형홈(211, 221)의 상측둘레면(212, 222)는 제1,2성형틀(210, 220)의 상측보다 높게 형성되며, 각각의 성형홈(211, 221)을 연결하는 연장부(215, 225)가 형성되고, 상기 제1성형틀(210)의 상부에 제2성형틀(220)을 겹침시킬 시, 마주하는 면 사이에 틈(t)이 형성되는 성형틀(200);
    상기 제1,2성형틀(210, 220)의 하부 또는 내부에 각각 구성되어 상기 제1,2성형틀(210, 220)로 열을 전달하는 히팅부(30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핀(213)은 상기 위치고정홈(223)의 깊이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핀(213)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며 양측에 경사면(217)을 형성하여,
    상기 위치고정홈(223)은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면(227)을 형성하고,

    상기 위치고정핀(213)의 경사면(217)이 상기 위치고정홈(223)의 경사면(227)을 타며 끼워져 제1,2성형틀(210, 220)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




KR1020170175629A 2017-12-20 2017-12-20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 KR102020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629A KR102020128B1 (ko) 2017-12-20 2017-12-20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629A KR102020128B1 (ko) 2017-12-20 2017-12-20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354A true KR20190074354A (ko) 2019-06-28
KR102020128B1 KR102020128B1 (ko) 2019-09-11

Family

ID=67066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629A KR102020128B1 (ko) 2017-12-20 2017-12-20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01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314A (ko) * 2004-11-05 2006-05-10 김남수 전기 빵 구이기
KR20070081790A (ko) * 2007-07-04 2007-08-17 위선임 꼬치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즉석 꼬치구이장치
KR200446377Y1 (ko) * 2009-04-16 2009-10-22 채연식 호두과자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0314A (ko) * 2004-11-05 2006-05-10 김남수 전기 빵 구이기
KR20070081790A (ko) * 2007-07-04 2007-08-17 위선임 꼬치 성형틀과 이를 이용한 즉석 꼬치구이장치
KR200446377Y1 (ko) * 2009-04-16 2009-10-22 채연식 호두과자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0128B1 (ko) 2019-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9492A (en) Multiple vertical baker for waffles and pancakes
JP2016515907A (ja) たい焼き成型装置
KR20190074354A (ko) 성형틀의 분리와 균일한 제조가 가능한 딸기빵 제조장치
CN209331003U (zh) 全自动包馅西饼机
KR20080005177U (ko) 호두과자제빵기
CN112293439A (zh) 一种生产蛋糕的焙烤设备
KR101804887B1 (ko) 오븐 제빵기
KR20130001372A (ko) 호두 과자 제조 장치
KR102351199B1 (ko) 분리형 타르트쉘성형팬을 구비한 타르트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타르트 제조방법
CN210500995U (zh) 扁型袋套式天线罩的成型模具
CN209272427U (zh) 用于蜗轮铸造的离心模具
JP4187221B2 (ja) 型焼き菓子製造装置
CN206182204U (zh) 一种加热均匀的蛋糕机
JP2022001020A (ja) 挟み焼き食品用成形型
CN216828546U (zh) 一种拼装式覆膜砂加工模具
US1480284A (en) Ice-cream-cone machine
CN110734214A (zh) 一种高硼硅玻璃电热水壶与咖啡壶壶身一体成型模具
RU5037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печки мучных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US1379643A (en) Pastry-making machine
CN216123759U (zh) 一种便于拆卸模板的蛋糕机
KR100899050B1 (ko) 제빵 몰드 제작 자동화장치의 몰드 외관 접기장치
CN216100069U (zh) 一种液体硅橡胶模压发泡成型模具
CN207874716U (zh) 一种注塑模具成型结构
CN217160915U (zh) 一种食品加工的面包成型烘烤装置
CN219855752U (zh) 一种定位精准的注塑模胚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