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306A - 휴대통신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통신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306A
KR20190074306A KR1020197015699A KR20197015699A KR20190074306A KR 20190074306 A KR20190074306 A KR 20190074306A KR 1020197015699 A KR1020197015699 A KR 1020197015699A KR 20197015699 A KR20197015699 A KR 20197015699A KR 20190074306 A KR20190074306 A KR 20190074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system
message
user
par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류 로버트슨
Original Assignee
앤드류 로버트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드류 로버트슨 filed Critical 앤드류 로버트슨
Publication of KR20190074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08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 G06Q20/0855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remote charge determination or related payment systems involving a third par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3Protecting arrangement for the entire housing of the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은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하고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를 보여주는 케이싱이나 디스플레이 스크린처럼 외부로 보이는 디스플레이를 갖춘 휴대통신기를 포함한다. 이런 메시지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보일 필요가 없을 때는 없어지기 원할 때만 선택적으로 보일 수 있다. 이 통신시스템은 메시지가 휴대통신기에 대해 외부로 보이지 않을 경우 경고를 하는 경고 메커니즘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경고 메커니즘은 별도의 제3자 스폰서(12)와 같은 제3자에게 경고를 보낼 수 있고, 경고를 일괄적으로나 실시간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 보상금을 받을 수 있고, 이때 디스플레이 시간을 모니터하여 보상금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통신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휴대통신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품을 홍보하거나 팀이나 공동체 정신을 보여주는 광고와 같은 메시지 전달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오랫동안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현대의 주문형 매체, 휴대전화와 태블릿과 같은 니어-유비쿼터스 휴대통신기의 경우, 잠재적 고객이 이런 메시지를 끄거나 멀리 하지 않은 상태에서 메시지를 전달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따라서, 휴대통신기에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개량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 시스템 및 방법은 휴대전화, iPads와 같은 태블릿 등 거의 모든 사람이 소지하는 유비쿼터스 휴대통신기를 이용하는 고유의 메시지 전달 방법을 제공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장치와 시스템과 방법 등은 이런 휴대통신기를 외부로 보이는 메시지 시스템으로 전환한 다음 (휴대통신기 소유자, 취급자 기타 보상금을 받기로 지정된 사람을 포함하는) 휴대통신기의 사용자가 메시지 디스플레이 대가로 광고주나 다른 스폰서(즉, 제3자 스폰서)로부터 보상금을 받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광고주와 메시저와 메신저 모두와 휴대통신기의 사용자에게 윈-윈 상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은 선택적으로 제거가능하고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를 보여주는 케이싱이나 디스플레이 스크린처럼 외부로 보이는 디스플레이를 갖춘 휴대통신기를 포함한다. 이런 메시지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보일 필요가 없을 때는 없어지기 원할 때만 선택적으로 보일 수 있다. 이 통신시스템은 메시지가 휴대통신기에 대해 외부로 보이지 않을 경우 경고를 하는 경고 메커니즘을 더 구비한다. 따라서, 경고 메커니즘은 별도의 제3자 스폰서(12)와 같은 제3자에게 경고를 보낼 수 있고, 경고를 일괄적으로나 실시간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한 보상금을 받을 수 있고, 이때 디스플레이 시간을 모니터하여 보상금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여러 요소들 사이의 연결관계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선택된 메시지가 놓일 수 있는 위치를 보여주는 로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방법을 구현하는 순서도.
본 발명은 휴대통신기의 로고스와 같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예컨대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를 휴대통신기에 디스플레이, 연결, 삽입 또는 접착하는 등으로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스마트폰, iPad, 태블릿, 랩탑 등의 휴대통신기의 외부 케이싱 및/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중의 어느 하나나 둘다를 통해 이루어진다. 외부 케이싱에 대한 부착은 영구/일시 접착, 자석, VELCRO와 같은 후크-루프 방식, 분리형 케이싱에 대한 클립/인쇄/에칭과 같은 기계식 부착 등이 있다. 외부 케이싱은 휴대통신기의 외부 하우징이 일반적이지만 보호용 외부케이싱과 같ㅌ은 2차 외부케이싱도 있다.
도 1은 시스템의 각종 요소들 사이의 가능한 연결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는 선택된 메시지가 놓일 위치를 보여주는 로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통신시스템(2)은 외부케이싱(6)을 갖춘 휴대통신기(4)를 포함하고, 외부케이싱에 외부로 보이도록 선택된 메시지(8)가 있으며, 이런 메시지(8)가 휴대통신기(4)에 대해 외부로 보이지 않도록 위치하면 경고 메커니즘(10)이 별도의 제3자(12)에게 경고를 보낸다.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8)가 외부로 보이지 않게 위치하면 휴대통신기(4)에서 외부케이싱(6)을 분리할 수 있다. 이 통신시스템(2)의 기록 메커니즘(14)은 외부로 보이는 메시지가 휴대통신기(4)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16)을 기록하는 것으로, 휴대통신기(4) 내부에 배치되거나 부착될 수 있고, 통신시스템(2)은 이런 디스플레이 시간(16)을 제3자(12)에게 보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시간(16)은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8)가 휴대통신기(4)에서 외부로 보이는 시간을 결정하여, 또는 외부케이싱(6)이 휴대통신기(4)에 부착된 시간을 결정하여, 또는 이 미세지(8)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이 제대로 작동하는 시간에 대해 결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휴대통신기(4)를 홀딩하는 케이스의 닫힘을 감지하여 또는 휴대통신기(4)의 방향이나 주변광에 의해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시스템(2)의 보상금 메커니즘(20)에 의해, 휴대통신기(4)의 사용자(40)나 다른 당사자(54)가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8)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한 것(22)에 대한 보상금(18)을 받을 수 있다. 경고가 있으면, 다른 당사자(54)처럼 사용자(40)에 대한 보상금(18)이 줄어든다.
외부케이싱(6)이 휴대통신기(4)에 부착된 착탈식 2차케이싱(26)이거나, 휴대통신기(4)의 외부하우징(30)일 수 있다(도 2 참조).
한편,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8)가 휴대통신기(4)의 디스플레이 스크린(32)이나 케이싱(52) 뒷면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일시적으로 디스플레이되고(도 2 참조), 디스플레이 스크린(32)에서의 메시지(8)의 디스플레이가 끝나면 경고메커니즘(10)에 의해 제3자에게 경고를 보낼 수도 있다.
기록메커니즘(14)은 메시지(8)가 디스플레이 스크린(32)에 디스플레이된 시간(16)을 기록하고 통신시스템(2)이 이 시간을 제3자(12)에게 전송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32)에서 메시지(8)가 없어지면 종료되고, 기록 메커니즘(14)은 휴대통신기(4)의 내부에 배치되거나 부착된다. 보상금 메커니즘(20)에 의해, 사용자(40)나 다른 당사자(54)가 메시지(8)의 디스플레이 시간(16)에 대한 보상금(18)을 받는다. 경고가 있으면 사용자(40)에 대한 보상금(18)이 줄어든다. 휴대통신기(4)는 스마트폰(340, 태블릿(36) 및 랩탑(38) 중의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스마트폰(34)은 일반적으로 정면(56)과 배면(58)을 갖는다.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8)는 로고(42), 상표명(44), QR/UPC 코드(48)나 다른 종류의 코드, url(46)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개인 휴대통신기(4)를 제3자(12)에게 알려주는 개별 심볼(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하다면, 휴대통신기(4)의 사용자(40)에게 받은 오퍼가 제3자의 휴대통신기(62) 및/또는 제3자에 의해 상환될 때 휴대통신기의 사용자(40)에 대한 보상금(18)과의 "공유"(64)를 달성한 대가로 사용자(40)나 다른 당사자에게 보상금(18)의 지불을 할 수 있는 공유 메커니즘이 있을 수 있다. 오퍼의 상환이나 다른 수락은 제3자 스폰서 및/또는 광고주의 윕사이트(66)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공유"는 수동으로나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데, 예컨대 제3자가 메시지(8)를 본 다음 1회성 코드나 쿠폰을 작동시키는 등의 추적가능한 행위를 취하면 수동으로 이루진다. 자동 "공유"의 예로, 제3자 휴대통신기(62)를 제3 사용자인 태블릿(36)에 연결하고, 제3자 휴대통신기(62)가 스캔빔(60)을 사용해 메시지(8)를 스캔하는 방법이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런 스캔으로 시스템내의 여러 기기들 중의 하나와 제3자 휴대통신기(62) 사이에 링크가 설정되고, 제3자 휴대통신기나 사용자나 기기 소유자에 대한 보상금이 지급될 수 있다. "공유"(64)는 휴대통신기(4) 내부의 공유출력기를 통해 또는 원하는 다른 방법으로도 시작될 수 있다. 공유(64)를 통해, 휴대통신기(4)에서 제3자 휴대통신기(62)에 메시지(8)의 사본을 전송하여 제3자 휴대통신기(62)가 메시지(8)를 자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스폰서로부터 보상금을 받도록 할 수도 있다. 공유(64)를 통해, 제3자 휴대통신기(62)나 그 사용자가 광고나 메시지(8)에 관련된 코드나 url을 업로드하거나 광고주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등의 행위를 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휴대통신기(4)로부터 구한 오퍼가 제3 사용자나 다른 당사자에 의해 상환되면 휴대통신기의 사용자(40)에게 보상금(18)이 지급될 수 잇다. 당사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생기거나 당사자들 사이에서 교환된 정보를 수집 및 집계할 수 있다. 이런 수집과 집계는 웹사이트(68)에서나 휴대통신기(4)의 내부에서 또는 다른 필요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3에서,
100: 웹에서나 휴대기기를 이용해 휴대기기 사용자의 계좌 설정 및 활성화.
102: 본 발명의 시스템과 방법을 구현할 어플을 휴대기기에 업로드하고 저장.
104: 내장되거나 부착된 NFC 칩에 관련된 케이스나 접착제를 사용자의 휴대통신기에 붙이거나,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를 갖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활성화.
106: 일정한 간격이나 임의의 시간이나 원하는 때, 어플이 휴대통신기의 NFC 무선으로 관련 NFC 칩이나 다른 디스플레이 추적기를 추적.
108: 어플이 NFC 칩을 찾았는지, 또는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었는지 확인.
112: 아니면(110) 휴대기기(112)에 이벤트 저장.
116: 그렇다면(114), 어플이 모든 원하는 정보(예; 시간, 날짜, 위치, 폰이동/방향 등).
118: 결과를 일괄/실시간 보고용으로 전송.
122: 일괄이면(120), 일정 시간이 지나거나 데이터가 호출될 때까지 휴대통신기에 데이터 저장.
126: 실시간이면(124), 유무선 연결을 통해 웹사이트에 가능한 빨리 데이터 전송.
128: 다음, 웹사이트나 다른 저장장소에서 원하는대로 보거나 분류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 저장.
130: 각각의 원하는 계정을 위해 구성된 규칙에 의거해, 수수료를 지급하고 A/P 빌 전송.
132: 예컨대 106 단계로 돌아가 다음 시간간격 시작.
외부 케이싱에는 외부로 보이는 미적 디자인과 같은 메시지가 들어있고, 그 예로는 로고, 상표명, url, UPC 코드 등이 있다. 이런 메시지는 개인 휴대통신기나 서비스나 상품을 식별하도록 인식되는 아이템이나 개별 심볼일 수 있다. 케이싱은 휴대통신기에 착탈되거나 영구적으로 부착되고, 본 발명의 방법과 시스템은 접촉센서, 블루투스, 근거리통신, 수동/능동 시스템과 같은 경고 메커니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런 메커니즘은 휴대통신기에서 케이싱이나 광고 메커니즘이 분리되면 별도의 제3자 스폰서에게 경고를 보내며; 이런 경고는 분리와 동시에 일어나거나, 사전설정된 간격이나 메시지가 없어질 때와 같이 원하는대로 일어날 수 있다. "수동센서 시스템"이란 근접신호를 독립적으로 발송하지 못하는 근접센서를 일컫는 것으로, 예컨대 선택된 메시지가 휴대통신기에 근접할 때 휴대통신기에 센서나 부착된 아이템이 근접한 것을 확인할 것을 요구하는 장치로부터의 "핑" 신호에 응답하는 것이다. 이런 장치는 자립 전원이 필요 없다. "능동센서 시스템"이란 근접신호를 독립적으로 발송하는 근접센서를 일컫는바, 자체 신호를 발송하고 독립 전원을 갖고 있거나, 휴대통신기의 전원과 같은 다른 전원을 이용할 수 있다. 능동센서 시스템은 휴대통신기에 대한 근접도의 확인을 요구하는 장치로부터의 "핑" 신호에 대응하기도 한다.
"홈" 휴대통신기에 대한 "근접도" 범위내에 있는 메시지는 일반적으로 휴대통신기에 부착된 물건에 의한 시각적 간섭 없이 휴대통신기를 보기만해도 판독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근접도"란 메시지가 휴대통신기와 물리적인 접촉상태에 있거나 1/2", 1", 2", 3", 6", 또는 1ft, 2ft, 3ft 범위내에 있는 것을 말한다.
메시지의 존재/부존재는 메시지를 탐지하는 등으로 그 존재를 확인하는 시도를 주기적으로나 일정에 맞게 시행하는 어플이나 다른 장치를 통해 탐지될 수 있다. 요컨대, 선택된 메시지에 연결되거나 인접한 장치에 의해서나 휴대통신기에 의해서나 또는 다른 적당한 근접확인 시스템에 의해 메시지의 존재의 확인을 시작할 수 있다.
휴대통신기의 사용자나 다른 당사자가 미적 디자인이나 로고 등을 외부로 디스플레이한 보상금을 받을 수도 있다. 이런 보상금은 선택된 메시지, 관련없는 소매상 판매 상품/서비스, 상표소유주의 디스플레이로 이득을 보는 당사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오퍼나 디스카운트에 대한 사용자에 의한 상환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도 않는다. 또, 분리 경고가 있으면 사용자에 대한 보상금이 줄어들 수도 있는데, 보상금이 줄어들거나 없어질 수도 있고, 마이너스 보상금이 있을 수도 있다(즉, 사용자가 스폰서인 제3자에게 지불함).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일정 기간동안 메시지를 없애고 싶으면, 사용자에게 지급된 보상금이 미연결/미부착 시간에 비례해 줄어들 수 있다. 또, 선택된 메시지가 휴대전화기 케이스에 디스플레이될 경우, 메시지 분리가 원하는 시간보다 적으면, 예컨대 휴대전화기가 물에 빠져 케이스를 벗기고 전화기를 건조하는 시간 동안은 경고를 하지 않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런 미경고 이벤트들의 시간을 임시로 원하는 시간을, 예컨대 30", 1', 2', 5', 10', 15', 20' 또는 30'로 임시로 설정할 수 있다.
근접도 탐지는, 예컨대 휴대통신기에서 메시지가 분리되자마자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런 탐지에는 메시지와 일정하거나 아주 빈번한 통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배터리 전원 문제가 있으며, 또는 주기적으로나 정해진 시간이나 임의로 근접도 확인이 필요한데, 이런 확인은 휴대전화기의 어플이나 근접센서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런 근접센서나 시스템의 예로는, 수동이든 능동이든 블루투스 센서, RFID 칩 근거리통신 시스템과 같은 기기가 있으며, 이런 시스템이 휴대통신기의 어플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런 센서들은 외부케이싱에 부착되거나 내장되거나 삽입되거나, 접착제나 다른 원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런 센서는 메시지의 존재, 부존재, 근접도 등을 제3자 스폰서에게 전송한다. 이런 작업은 휴대통신기의 어플에 의해, 또는 외부 케이싱에 (유선이나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가까이 있는 통신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메시지가 아직 디스플레이중임을 확인하는 RFID 칩이나 다른 종류의 근접표시 시스템으로부터 스마트폰이나 다른 통신기가 정보를 받을 수 있는데, 이는 예컨대 케이스나 접착제가 여전히 스마트폰에 아주 근접해있기 때문이다. 이런 작업이 스마트폰의 어플이나 센서를 통해 유선이나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요하다면, 센서(또는 휴대통신기에 관련된 다른 기기나 시스템)가 휴대통신기의 빛에 노출, 움직임, 위치, 이동과 같은 다른 정보를 제3자 스폰서에게 알려주고, 기기가 존재하는 위치 등에 의거해 메시지의 노출 품질을 조절할 수도 있다.
휴대통신기의 외부노출 디스플레이 요소, 예컨대 디스플레이 스크린이나 프로젝터에 메시지를 설정하는 전자/디지털 기기를 이용해 추적, 경고 등은 물론 보상금지급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투사된 영상이 휴대기기에서 6"나 3' 이상 떨어져 있거나, 심지어 프로젝터가 닿을 수 있는만큼 멀리 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 디스플레이된 메시지가 휴대통신기에 존재하는지를 광고주에게 확인시킬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되고 있다면 그 위치와 시간도 알려줄 수 있다.
광고를 할 경우, 마케팅 브랜드, QR/UPC 등의 코드, url, 쿠폰, 기타 광고할 회사나 상품이나 서비스를 알려주는 메시지를 보일 수 있다. 광고주의 로고를 부착하거나 가까이 배치하는 등의 방법으로 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한 광고주는 휴대기기의 사용자에게 수수료는 물론 보상금도 지불할 수 있다. 시스템을 통해 시각적으로나 스캔이나 다른 공유 메커니즘을 통해 다른 당사자들과 공유되는 오퍼 등의 경우, 사용자의 휴대통신기에서 받은 오퍼가 상환될 때 휴대기기의 소유주나 지정 당사자에게 수수료를 지급할 수 있다.
필요하면, 정보를 수집하는 광고주나 다른 제3 당사자 스폰서가 사용자의 휴대통신기로부터 디스플레이 데이터, 연결/분리 데이터 등을 수집하고 집계해 실시간으로나 사전설정된 시간이나 임의의 시간에 광고주에게 보고하거나 전달할 수도 있다. 제3 당사자 스폰서가 데이터를 수집/집계해, 휴대기기 소유주나 다른 사용자에게 또는 사용자가 접촉하는 사람들에게 표적광고와 같은 다른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런 작업은 사용자로부터 요청된 위치나 감시나 문의 등을 기초로 할 수 있다. 제3 당사자 스폰서가 사용자의 휴대통신기나 사용자에게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의 식별도를 확인할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이런 작업은 사용자가 이 메시지가 식별가능하거나 휴대기기에 아직 부착되어 있음을 확인하는 사진 등을 요청하여 이루어진다. 제3 당사자 스폰서가 수집된 데이터를 다른 제3자에게 보낼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시스템이나 장치의 각종 요소들을 이용해, 휴대기기에 로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적용하고, 로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각종 요소들을 조작하며, 휴대기기에서 로고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부나 전부를 제거하는 등을 포함한 방법도 제공한다.

Claims (34)

  1. 외부로 보이는 케이싱에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가 있는 휴대통신기를 포함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가 휴대통신기에 대해 외부로 보이지 않게 위치하면 별도의 제3당사자 스폰서에게 경고를 하는 경고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휴대통신기에서 분리되었을 때 상기 메시지가 외부로 보이지 않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휴대통신기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을 기록하는 기록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휴대통신기나 케이싱에 부착된 시간을 기록하는 기록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메커니즘이 휴대통신기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통신시스템이 디스플레이 시간을 제3 당사자 스폰서에게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휴대통신기에 대해 외부로 보이는 시간을 결정해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휴대통신기에 부착된 시간을 결정해 상기 디스플레이 시간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휴대통신기의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를 외부로 디스플레이한 것에 대한 보상금을 받게하는 보상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휴대통신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통신기와 제3자 휴대통신기 사이에서 상기 메시지와 관련된 공유가 시작되거나 일어날 때 보상금을 받게하는 보상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가 제3자 스폰서로부터 제3자 휴대통신기로의 상품이나 서비스의 오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경고가 일어나면 사용자에 대한 보상금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휴대통신기에 부착된 착탈식 2차 케이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휴대통신기에 부착된 영구적 2차 케이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이 휴대통신기의 외부 하우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5. 휴대통신기를 포함한 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외부로 보이게 선택된 메시지가 휴대통신기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임시로 디스플레이되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의 상기 메시지의 디스플레이가 종료되면 제3당사자 스폰서에게 이런 종료에 대한 경고를 하는 경고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을 기록하는 기록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고, 통신시스템이 이런 디스플레이 시간을 제3자 스폰서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디스플레이 스크린에서 없어지면 상기 종료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8. 제16항 내지 제17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메커니즘이 휴대통신기 내부에 배치되거나 휴대통신기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휴대통신기의 사용자가 상기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시간에 대한 보상금을 받게하는 보상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0.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휴대통신기의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통신기와 제3자 휴대통신기 사이에서 상기 메시지와 관련된 공유가 시작되거나 일어날 때 보상금을 받게하는 보상금 메커니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가 제3자 스폰서로부터 제3자 휴대통신기의 사용자로의 상품이나 서비스의 오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경고가 일어나면 사용자에 대한 보상금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휴대통신기가 스마트폰, 태블릿 및 랩탑 컴퓨터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4. 제1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로고, 상표명, 브랜드 메시지, url, UPC 코드 및 서비스나 상품의 오퍼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5. 제1항 내지 제2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가 개인 휴대통신기를 제3자 스폰서에게 식별시키는 개별 심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6. 제1항 내지 제25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의 디스플레이 시간의 크기가 수집되고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휴대통신기로부터의 디스플레이 데이터, 연결/분리 데이터 중의 적어도 하나가 수집 및 집계되어 집계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집계데이터가 제3자 스폰서에게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29. 제28항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집계데이터가 제3자 스폰서에게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0.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집계데이터가 제3자 스폰서에게 소정 간격으로나 임의의 간격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1. 제28항 내지 제30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3자 스폰서가 집계데이터를 외부 제3자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2. 제28항 내지 제31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집계데이터가 휴대통신기나 그 사용자에 대한 표적광고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제3자 스폰서가 사용자의 휴대통신기나 그 사용자에게 상기 메시지의 판독성 확인 요청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시스템.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른 통신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KR1020197015699A 2016-11-18 2017-11-17 휴대통신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743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24035P 2016-11-18 2016-11-18
US62/424,035 2016-11-18
PCT/US2017/062385 WO2018094260A1 (en) 2016-11-18 2017-11-17 Device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conveying messages on mobile communications devic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306A true KR20190074306A (ko) 2019-06-27

Family

ID=62146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699A KR20190074306A (ko) 2016-11-18 2017-11-17 휴대통신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4) US20180144372A1 (ko)
EP (1) EP3542524A4 (ko)
JP (1) JP2020504364A (ko)
KR (1) KR20190074306A (ko)
CN (1) CN110024363A (ko)
AU (1) AU2017362499A1 (ko)
BR (1) BR112019009815A2 (ko)
CA (1) CA3042291A1 (ko)
CL (1) CL2019001321A1 (ko)
EA (1) EA201991213A1 (ko)
IL (1) IL266687A (ko)
PH (1) PH12019501111A1 (ko)
WO (1) WO20180942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686A (ko) * 2000-12-09 2002-06-20 구자홍 단말기를 이용한 광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 시스템의운영방법
US7218956B2 (en) * 2003-06-19 2007-05-15 Motokazu Okawa Advertisement using cellular phone
US20090112708A1 (en) * 2007-10-29 2009-04-30 Barhydt William J Mobile Content Placement Reward System
US20130137376A1 (en) * 2008-04-01 2013-05-30 William Fitzgerald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low power devices
KR101539773B1 (ko) * 2008-12-24 201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US20110035274A1 (en) * 2009-08-04 2011-02-10 Google Inc. Determining Impressions for Mobile Devices
US20110258026A1 (en) * 2010-04-14 2011-10-20 Kevin Prince Advertising viewing and referral incentive system
EP2410717B1 (en) * 2010-07-23 2015-05-27 BlackBerry Limited Warning and preparatory system for a portable device
GB201112461D0 (en) * 2010-09-28 2011-08-31 Yota Group Cyprus Ltd Notification method
US20140108031A1 (en) * 2011-12-29 2014-04-17 Daniel Ferrara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medication adherence rates
US20140136337A1 (en) * 2013-10-18 2014-05-15 Zenovia Digital Exchang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Self-Monitoring Ad Tags that Solicit Real-Time Advertising Bids
EP2992778A3 (en) * 2014-09-08 2016-04-27 Utility Associates, Inc. Video recording device hol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67789A1 (en) 2022-03-03
IL266687A (en) 2019-07-31
WO2018094260A1 (en) 2018-05-24
US20190066162A1 (en) 2019-02-28
CA3042291A1 (en) 2018-05-24
BR112019009815A2 (pt) 2019-08-13
AU2017362499A1 (en) 2019-05-16
EA201991213A1 (ru) 2019-10-31
CN110024363A (zh) 2019-07-16
EP3542524A4 (en) 2020-10-28
JP2020504364A (ja) 2020-02-06
PH12019501111A1 (en) 2019-11-11
CL2019001321A1 (es) 2019-07-19
US20180144373A1 (en) 2018-05-24
EP3542524A1 (en) 2019-09-25
US20180144372A1 (en)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44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roduct interaction
KR101381859B1 (ko) E-쿠폰의 배포 및 개인화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200540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upon service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46594A1 (en) Interactive advertising displays
CA2912245A1 (en) Generating and reporting digital qr receipts
JP2007286965A (ja) 無線タグおよびマーケティング情報収集システム
CN110046883B (zh) 一种线下支付机具的监控方法及系统
KR20190074306A (ko) 휴대통신기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33048A (ko) 서버, 단말 장치 및 그들의 카드 사용 정보 전송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62472A (ko) 블루투스 비콘 혹은 인텔리전트 비콘(Intelligent Beacon)을 이용한 매장의 상품 주문 방법 및 시스템
JP2014197331A (ja) 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方法
JP2008295054A (ja) 非電話方式無線送信によるce機器への無線オファーの供給
KR20180049431A (ko) 업종별 프로모션 반응도를 이용한 광고 제공 방법
TWI754085B (zh) 紅利管理系統及其方法
JP7487097B2 (ja) 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276787B1 (ko) 엔에프씨 기반의 모바일 쿠폰 오픈 마켓 서비스 방법
US201302190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semina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WI587232B (zh) 用於使用者帳戶之回饋系統
EP3440612A1 (en) Point-of-sale processing of mobile manufacturer barcode
JP2015043188A (ja) 家計簿作成システム
KR20150042374A (ko) 포스시스템의 입력장치와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앱에 쿠폰을 적립 하는방법
KR20130101921A (ko)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호출방법
KR20150002224U (ko) Nfc 태그 스티커를 활용한 판촉 시스템
TW201501056A (zh) 具有開店資訊lbs系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