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141A - 가정용 단말기와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과 긴급 호출 방법 - Google Patents

가정용 단말기와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과 긴급 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141A
KR20190074141A KR1020170175548A KR20170175548A KR20190074141A KR 20190074141 A KR20190074141 A KR 20190074141A KR 1020170175548 A KR1020170175548 A KR 1020170175548A KR 20170175548 A KR20170175548 A KR 20170175548A KR 20190074141 A KR20190074141 A KR 20190074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mergency
terminal
emergency call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재
김도현
Original Assignee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김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김도현 filed Critical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5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4141A/ko
Publication of KR20190074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1Signalling to an emergency team, e.g. fireme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8System arrangements wherein both parent and child units can emit and receiv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2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recorded signals, e.g. spee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2Manually actuated calamity alarm transmitting arrangements emergency non-personal manually actuated alarm, activators, e.g. details of alarm push buttons mounted on an infrastructu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정용 단말기 및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가정용 단말기는, 상기 센터용 단말기로부터의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센터용 단말기 및 다른 가정용 단말기로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비상 상황에 대한 비상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비상 상황 입력 모듈과; 그리고, 상기 비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상 신호와 상기 가정용 단말기의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긴급 호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긴급 호출 신호가 상기 센터용 단말기와 상기 다른 가정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정용 단말기와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과 긴급 호출 방법{EMERGENCY CALL SYSTEM COMPRISING DOMESTIC TERMINAL AND CENTER TERMINAL, AND EMERGENCY CALLING METHOD}
본 발명은 가정용 단말기와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과 긴급 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선 기반의 방송(안내)시스템은 법적인 문제로 인해 448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지 못하고 422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422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방송 장비, 즉 하드웨어는 현재 단방향 통신만을 지원하고 있어 양방향 무선 통신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농, 어촌과 같이 개인 가정집과, 마을 회관이나 마을 센터와 같은 기관 간의 일대일 통신이 필요한 경우, 현재 지원되고 있는 하드웨어를 통해서는 긴급하거나 위급한 상황을 송수신하는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마을 센터에서 각 가정 별로 공지 사항을 전달해야 되거나 긴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노년층이 많은 농, 어촌의 경우 치안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노인들의 건강 상의 문제 등과 같이 예기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면 주위 이웃이나 마을 센터 등의 지원 등이 절실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신속하게 알리고 도움을 구할 수 있는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중, 장년층 더 나아가 노년층이 많은 농, 어촌에서 각 가정과 마을 센터 간의 통신을 원활하게 하고 더 나아가 가정에 위급한 상황이 발생했을 때 긴급 호출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가정용 단말기, 센터용 단말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과 긴급 호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신속하게 외부에 알릴 수 있는 가정용 단말기, 센터용 단말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과 긴급 호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정용 단말기 및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가정용 단말기는, 상기 센터용 단말기로부터의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센터용 단말기 및 다른 가정용 단말기로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비상 상황에 대한 비상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비상 상황 입력 모듈과; 그리고, 상기 비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상 신호와 상기 가정용 단말기의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긴급 호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긴급 호출 신호가 상기 센터용 단말기와 상기 다른 가정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센터용 단말기는, 상기 가정용 단말기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와; 그리고 상기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긴급 호출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정용 단말기 및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의 긴급 호출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긴급 호출 방법은, 상기 가정용 단말기에서 비상 상황에 대한 비상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비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상 신호와 상기 가정용 단말기의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신호를 제2 주파수 대역의 긴급 호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상기 긴급 호출 신호를 상기 센터용 단말기와 상기 다른 가정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가정용 단말기에서 상기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DTMF 신호를 외부의 유관 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가정용 단말기, 센터용 단말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과 긴급 호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긴급 상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신속하게 외부에 알릴 수 있는 가정용 단말기, 센터용 단말기 및 이들을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과 긴급 호출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6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농, 어촌에서 사용되고 있는 방송(안내)시스템은 법적인 문제로 인해 양방향 통신이 지원되는 448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지 못하고 422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다. 422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있는 방송 장비, 즉 하드웨어는 현재 단방향 통신만을 지원하고 있어 양방향 무선 통신이 제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본 실시예는 마을의 가정(A, B, C)과 마을 회관(Ⅰ)과 같은 센터 간의 양방향 통신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가정(A, B, C)과 마을 회관(Ⅰ) 간의 통신에 서로 다른 주파수를 사용하여 양방향 통신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가정(A, B, C)에는 가정용 단말기가 설치될 수 있고, 마을 회관(Ⅰ)에는 센터용 단말기가 설치될 수 있다. 마을 회관(Ⅰ)은 특정 지역에서 커뮤니티를 담당하거나 행정 등을 담당하는 기관, 회관 또는 양로원과 같은 여러 사람이 모일 수 있는 공간 또는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마을 회관(Ⅰ)에 설치될 수 있는 센터용 단말기는 기존에 사용되었던 제1 주파수 대역, 예컨대 422 Mhz 대역을 사용하여 외부로 무선 신호(RF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각 가정(A, B, C)에 설치되어 있는 가정용 단말기는 제1 주파수 대역의 방송 신호를 센터용 단말기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추가적으로 다른 가정(A, B, C)에 설치되어 있는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제2 주파수 대역(예컨대, 448 Mhz)의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가정(A)에서 긴급 호출 상황이 발생하면 해당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가정용 단말기는 이웃의 다른 가정(B, C)과 마을 회관(Ⅰ)으로 긴급 호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전송되는 긴급 호출 신호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이다. 이를 통해 이웃들(B, C)과 마을 회관(Ⅰ)은 특정 가정(A)에서 발생한 긴급 호출 상황을 인식할 수 있고, 후속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즉, 긴급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이를 외부에 조속히 알리는 것이 필요한 가정용 단말기는 하나가 아닌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기존 단방향 통신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가정용 단말기에서는 긴급 호출 신호를 제2 주파수 대역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 호출 시스템은 각 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가정용 단말기(100, 100A, 100B)와 마을 회관 등에 설치되어 있는 센터용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가정용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 모듈(110), 비상 상황 입력 모듈(120), 제어 모듈(130), DTMF 수신 모듈(140), 스피커 모듈(150),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60) 및 긴급 호출 알람부(170)를 포함할 수 있고, 센터용 단말기(200)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210)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10)은 센터용 단말기(200)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고, 센터용 단말기(200) 및 다른 가정용 단말기(100A, 100B)로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즉, 무선 통신 모듈(110)은 센터용 단말기(200)의 무선 송신부(210)로부터 제1 주파수 대역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모듈(130)에서 생성된 긴급 호출 신호를 센터용 단말기(200)의 무선 수신부(220)와 다른 가정용 단말기(100A, 100B)로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물론, 무선 통신 모듈(110)은 다른 가정용 단말기(100A, 100B)의 무선 통신 모듈(110A, 110B)에서 전송된 긴급 호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 때 긴급 호출 신호는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에 해당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 상황 입력 모듈(120)은 비상 버튼(121)과 오디오 녹음부(12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비상 상황에 대한 비상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 호출 상황이 발생한 가정(A)에서 사용자는 비상줄을 당기거나 비상 버튼을 누름으로써 자신의 긴급 호출 상황을 표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비상줄을 당기는 것과 같은 물리적인 행동을 취하면, 이는 비상 버튼(121)을 누르는 것에 연동될 수 있고, 비상 버튼(121)이 작동하면 제어 모듈(130)에 긴급 호출 상황에 대한 비상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비상 버튼(121)이 작동하면 오디오 녹음부(123)에서는 오디오를 녹음하게 된다. 오디오는 사용자의 목소리일 수도 있지만 긴급 호출 상황 시 발생할 수 있는 소리일 수도 있으며, 이렇게 녹음된 오디오는 제어 모듈(13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비상 상황 입력 모듈(120)로부터 비상 신호가 수신되면, 비상 신호와 가정용 단말기(100)의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신호를 제2 주파수 대역의 긴급 호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긴급 호출 신호가 센터용 단말기(200)와 다른 가정용 단말기(100A, 100B)로 전송되도록 무선 통신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0)은 다른 구성 모듈 간의 통신 및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상 신호는 긴급 호출 상황이 발생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단순한 트리거신호일 수도 있고, 오디오 녹음부(123)에서 녹음된 오디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 모듈(130)은 이러한 비상 신호와 고유 코드를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한다.
고유 코드는 가정용 단말기(100)의 ID와 같은 것으로, 가정용 단말기(100)를 하드웨어적으로 식별하고 가정용 단말기(100)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긴급 호출 상황이 발생하면, 주변의 도움이 절실하므로 이웃이나 마을 회관에서 이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고유 코드 역시 긴급 호출 신호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유 코드는 제어 모듈(130) 내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130)은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긴급 호출 상황의 데이터 베이스에 기초하여 특정 음성 신호를 긴급 호출 신호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가 노약자거나 특정 질병을 가지고 있어 기존에 응급 상황이 발생한 적이 있다면 저장되어 있던 음성 신호를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도 있고, 긴급 호출 상황이 발생한 가정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이름을 긴급 호출 신호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기존의 가정에서는 마을 회관에서 생성된 방송 신호만을 수신하는 단방향 통신으로 인하여 농, 어촌 실정에 맞는 긴급 호출 시스템이 부재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는 가정용 단말기(100) 내 제어 모듈(130)에 긴급 호출 신호를 제2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탑재함으로써 긴급 호출 상황 시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긴급 호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DTMF 수신 모듈(140)은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로, DTMF 신호를 분석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가정용 단말기(100)을 이용하여 외부에서 걸려온 전화를 수신할 수 있다.
스피커 모듈(150)은 제어 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DTMF 수신 모듈(14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오디오로 제공한다. 스피커 모듈(150)은 도시하지 않는 볼륨 조정부, 앰프 및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160)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가정용 단말기와 같이 시간을 표시하는 시계 표시부(161)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키 입력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부(163)는 숫자 및 문자를 포함하는 버튼일 수도 있고, 액정이나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키 입력부(163)를 이용하여 시계 표시부(161)의 시간을 설정하거나 스피커 모듈(150)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다.
만약, 다른 가정용 단말기(100A, 100B)로부터 제2 주파수 대역의 긴급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긴급 호출 알람부(170)는 이를 알리기 위한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알람은 비퍼음, 사이렌 소리나 벨 소리 같은 오디오일 수도 있고, 시각적으로 깜박거리는 점등 신호 일 수 있다. 긴급 호출 알람부(170)를 통하여 사용자는 다른 가정에서 발생한 긴급 호출 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단말기(100)는 도시하지 않는 기본 음성 메모리, 전원 제어부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본 음성 메모리는 DTMF 수신 모듈(140)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녹음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용 단말기(100)는 도 2의 실시예에서 DTMF 생성 모듈(180)을 더 포함한다. DTMF 생성 모듈(180)은 비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술한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DTMF 신호를 외부의 유관 기관(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긴급 호출 상황이 발생되면, 긴급 호출 신호가 다른 가정용 단말기(100A, 100B) 또는 센터용 단말기(200)에 전송되는 것뿐만 아니라 소방서, 경찰서, 병원 응급실 또는 119 센터와 같은 긴급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기관에 전달될 수 있다.
DTMF 생성 모듈(180)은 긴급 호출 상황이 발생하여 비상 신호가 수신되면 자동으로 비상 신호와 가정용 단말기(100)의 고유 코드를 DTMF 신호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처할 경우, 전화기를 이용하여 유관 기관에 알리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긴급 호출 시스템은 긴급 호출 상황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DTMF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DTMF 신호가 유관 기관(300)에 전송된다면, 오디오 녹음부(123)에 저장된 사용자의 오디오 역시 전화 회선을 통하여 유관 기관(300)에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 호출 시스템은 유관 기관(300)에 설치되어 있는 기관용 단말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관용 단말기는 가정용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DTMF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긴급 호출 상황의 형태 및 긴급 호출 상황이 발생한 가정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센터용 단말기(200)는 방송 신호를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가정용 단말기(100, 100A)로 전송할 수 있다(S410). 제1 주파수 대역은 기존의 가정용 수신기와의 통신에서 사용되었던 주파수 대역일 수 있고, 예를 들어 422Mhz 대역 일 수 있다.
센터용 단말기(200)에서 전송되는 방송 신호는 마을 회관에서 생성된 것일 수도 있고,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일 수 있다. 방송 신호가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전송된 신호일 경우, 방송 신호의 송신이 완료되면 방송 완료 문자가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만약, 특정 가정에서 비상 상황이 발생한다면, 사용자는 비상 버튼과 같은 물리적인 도구를 이용하여 비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비상 상황 입력 모듈(120)이 비상 신호를 수신하면(S420), 제어 모듈(130)은 비상 신호와 가정용 단말기의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신호를 제2 주파수 대역의 긴급 호출 신호로 변환한다(S430). 제2 주파수 대역은 기존의 가정용 수신기와의 통신에서 사용되지 않았던 주파수 대역일 수 있고, 예를 들어 448Mhz 대역 일 수 있다.
변환된 긴급 호출 신호는 무선 통신 모듈(110)을 통해 센터용 단말기(200)와 다른 가정용 단말기(100A)로 전송된다(S440).
다른 가정용 단말기(100)로부터 긴급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긴급 호출 신호를 수신한 가정용 단말기(100A)의 긴급 호출 알람부(170)는 사용자에게 긴급 상황을 알리는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S450).
한편, 비상 신호가 발생되면, DTMF 생성 모듈(180)은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고(S460), 생성된 DTMF 신호는 외부의 유관 기관(300)으로 전송될 수 있다(S470).
제어 모듈(130)에서 긴급 호출 신호를 변환하는 단계(S430)와 DTMF 생성 모듈(180)에서 DTMF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460)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비상 신호 발생과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DTMF 신호가 먼저 생성될 수 있으므로 도 4의 순서는 하나의 예시에 해당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정용 단말기(100)로 긴급 호출 신호가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수신되면, 이를 다른 가정용 단말기(100A, 100B) 또는 센터용 단말기(200)로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재전송할 수도 있다. 긴급 호출 상황에 대응하여 이중으로 긴급 호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시스템의 로직을 구성할 수도 있다.
또는 기설정된 가정용 단말기, 예를 들어 가족이나 특별 관리가 필요한 가정에서 발생한 긴급 호출 신호를 수신했다면 수신된 가정용 단말기의 고유 코드를 DTMF 신호로 생성하여 유관 기관(300)에 알릴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마을 이장과 같은 관리자는 긴급 호출 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 방송을 할 수 있다. 관리자가 마을 회관(Ⅰ)에서 긴급 상황에 대한 방송을 하지 못할 경우, 관리자는 자신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각 가정의 가정용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센터용 단말기(200)에 포함되어 있는 자동 방송 모듈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관리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하여 방송 신호가 송출되는 시간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자동 방송 모듈은 수신된 방송 신호가 정상적으로 송출되었는지 여부를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메세지 형태로 알려 줄 수 있다.
도 6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출 시스템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용 단말기(200)은 자동 방송 모듈(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동 방송 모듈(130)은 사용자, 예를 들어 이장과 같은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방송 신호를 무선 송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송신할 수 있다.
자동 방송 모듈(130)은 셋탑 박스와 같은 통신 모듈일 수 있고 내부의 메모리에는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 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저장되어 있는 번호의 단말기로부터, 즉 전화를 통하여 방송 신호가 수신되면 자동 방송 모듈(130)은 이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기설정된 시간에 수신된 내용을 방송으로 송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동 방송 모듈(130)은 앰프와 같은 방송 장비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가 원격으로 방송 신호를 가정용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싶을 때 특정 시간에 방송 신호를 전송하고 싶은 때 관리자는 자동 방송 모듈(130)를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각 가정의 가정용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방송 신호가 적절히 송출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방송 신호의 송신이 완료되면, 자동 방송 모듈(130)은 방송 완료 문자를 관리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컴퓨팅 장치(TN100)는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장치(예, 가정용 단말기, 센터용 단말기 등) 일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TN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TN110), 송수신 장치(TN120), 및 메모리(TN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TN100)는 저장 장치(TN140),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TN15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TN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TN100)에 포함된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TN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저장된 프로그램 명령(program command)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그래픽 처리 장치(GPU: graphics processing unit), 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절차, 기능, 및 방법 등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TN110)는 컴퓨팅 장치(TN10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프로세서(TN110)의 동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TN130) 및 저장 장치(TN14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TN130)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read only memory)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andom access memory)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유선 신호 또는 무선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 장치(TN120)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금까지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상술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가정용 단말기 및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단말기는,
    상기 센터용 단말기로부터의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센터용 단말기 및 다른 가정용 단말기로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 모듈과;
    비상 상황에 대한 비상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비상 상황 입력 모듈과; 그리고,
    상기 비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상 신호와 상기 가정용 단말기의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긴급 호출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상기 긴급 호출 신호가 상기 센터용 단말기와 상기 다른 가정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센터용 단말기는,
    상기 가정용 단말기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부와; 그리고,
    상기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긴급 호출 신호를 상기 제2 주파수 대역의 신호로 수신하는 무선 수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상황 입력 모듈은 비상 버튼과 상기 비상 버튼이 눌려지면 작동하는 오디오 녹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단말기는, 상기 비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DTMF 신호를 외부의 유관 기관으로 전송하는 DTMF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단말기는, 상기 다른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긴급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알람을 발생하는 긴급 호출 알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방송 신호를 상기 무선 송신부를 통하여 송신하고, 상기 방송 신호의 송신이 완료되면 방송 완료 문자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자동 방송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
  6. 가정용 단말기 및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의 긴급 호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단말기에서 비상 상황에 대한 비상 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비상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비상 신호와 상기 가정용 단말기의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신호를 제2 주파수 대역의 긴급 호출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와;
    변환된 상기 긴급 호출 신호를 상기 센터용 단말기와 상기 다른 가정용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가정용 단말기에서 상기 고유 코드를 포함하는 DTMF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DTMF 신호를 외부의 유관 기관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가정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긴급 호출 신호가 수신되면, 알람을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호출 방법.
KR1020170175548A 2017-12-19 2017-12-19 가정용 단말기와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과 긴급 호출 방법 KR201900741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48A KR20190074141A (ko) 2017-12-19 2017-12-19 가정용 단말기와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과 긴급 호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548A KR20190074141A (ko) 2017-12-19 2017-12-19 가정용 단말기와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과 긴급 호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141A true KR20190074141A (ko) 2019-06-27

Family

ID=67057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548A KR20190074141A (ko) 2017-12-19 2017-12-19 가정용 단말기와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과 긴급 호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414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49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 communication using audio signals
CN101595712B (zh) 使用无线通信阻止紧急呼叫错误使用的系统和方法
KR101563361B1 (ko) 무선 디지털 마을방송 시스템
CN104244106A (zh) 基于智能电视的门控通知系统及方法
KR101946799B1 (ko) 경보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재난정보 공유 시스템
KR101420381B1 (ko) 양방향 디지털 무선 그룹 방송 시스템
US912517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center modul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method and program for relaying wireless communication
KR101563891B1 (ko) 듀얼밴드 스캐닝 기능을 이용한 긴급호출 및 녹음방송 기능을 갖는 마을 공지사항 안내방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74141A (ko) 가정용 단말기와 센터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긴급 호출 시스템과 긴급 호출 방법
JP2954196B1 (ja) 市町村防災無線システム
KR20010064587A (ko) 무선 보안 중계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CN111105790B (zh) 一种智能外部设备、智能音箱系统及分布式收音方法
JP2919388B2 (ja) 無線電話機
GB2033123A (en) Alarm system
JP7275992B2 (ja) 放送管理装置および放送システム
KR101633358B1 (ko) 마을 방송으로 응급신호를 송출하는 응급신호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마을 방송시스템
KR102660444B1 (ko) 비상 호출 버튼을 사용하는 마을 방송 시스템
CN217690293U (zh) 一种新型报警系统
KR20170003576U (ko) Uhf, vhf 디지털 dmr 무선통신 비상 통화 시스템
WO2019034244A1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PRIORITY ALLOCATION FUNCTION TO SOUNDS
JP3001555B1 (ja) 無線装置および戸別受信機
KR20000063756A (ko) 홈 매니저를 이용한 비상 호출 시스템
CN207995270U (zh) 一种集成式智能报警系统
JPH08279858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KR20190043308A (ko) 맞춤형 마을 공지 안내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