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4009A -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4009A
KR20190074009A KR1020170175334A KR20170175334A KR20190074009A KR 20190074009 A KR20190074009 A KR 20190074009A KR 1020170175334 A KR1020170175334 A KR 1020170175334A KR 20170175334 A KR20170175334 A KR 20170175334A KR 20190074009 A KR20190074009 A KR 20190074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apparatus
horizontal
clothes processing
legs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3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형민
강동수
문병현
박승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3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4009A/ko
Publication of KR20190074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6Imbal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25Supporting arrangements for the casing, e.g. rollers or leg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8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76Preventing or reducing imbalance or nois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평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가동레그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수평상태를 확인하고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를 확인하는 감지모듈과, 감지모듈의 정보에 따라 다수의 가동레그 중 조절이 필요한 레그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장치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Wash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adjusting horizontal balance in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의류 처리장치의 설치시 의류 처리장치의 설치상태를 측정 및 설치상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처리장치는 세제의 유화작용과 펄세이터 또는 드럼의 회전에 따른 수류의 마찰작용 및 세탁물에 가하는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및 침구 등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제품이다. 최근에 등장하는 전자동 의류 처리장치는 중간에 사용자의 조작없이 세탁코스, 헹굼코스, 탈수코스 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행정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최근에는 세탁조가 세워진 상태로 회전하는 펄세이터 의류 처리장치에 비해 전체 높이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물이 꼬이고 세탁물에 주름이 많이 생기는 문제가 거의 발생되지 않는 드럼형 의류 처리장치의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의류 처리장치의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외형을 형성하며 베이스가 구비되는 본체 캐비닛과, 본체 캐비닛의 내측에 위치하며 댐퍼와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고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와, 터브의 내측에 위치하며 세탁물을 넣을 수 있는 원통형상의 드럼으로 크게 구분되고, 드럼은 드럼 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하기 위한 구동부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 받아 드럼에 투입된 세탁물의 세탁을 진행한다. 최근에는 건조기능을 구비한 건조 겸용 드럼 세탁장치도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의류 처리장치는 수평방향의 회전축을 갖는 드럼에 의해 드럼의 회전시 세탁물의 편심에 의한 진동이 발생되어 드럼 세탁장치의 설치시 수평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즉,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에 따라 드럼이 회전되는 세탁, 헹굼, 탈수시 진동 및 소음 발생 정도에 지대한 영향을 주게 되므로, 의류 처리장치의 설치시의 수평조절은 제품 신뢰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의류 처리장치의 경우 캐비닛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에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상태를 조절하기위한 4개의 레그를 구비하고 있으며 4개의 레그중 적어도 하나는 고정된 상태이며 나머지 3개의 레그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를 조절한다.
한편, 종래의 의류 처리장치들은 의류 처리장치의 설치시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를 별도의 수평계를 이용하여 조절하고 있으며, 수평계를 이용한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의 경우 의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4개의 레그를 조절하기가 다소 까다로워 설치자 및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수평계가 없는 경우 설치자 및 사용자는 감각적으로 의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4개의 레그를 이용하여 수평을 조절할 수밖에 없으므로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가 정확히 조절되지 않은 상태에서 의류 처리장치가 설치될 가능성이 많으며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가 불량하여 의류 처리장치의 진동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의류 처리장치의 경우 일단 설치된 후에는 좀처럼 수평상태를 재조절하지 않으므로, 사용중 진동 등으로 인해 제품의 수평상태가 더욱 나빠지더라도 이를 인식하여 바로잡아주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의류 처리장치의 설치시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상태를 확인하고, 의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레그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도록 한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는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감지모듈에서 감지되는 수평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평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가동레그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수평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가동레그 중 조절이 필요한 레그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의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터브의 진동을 감지하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위한 진동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수평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평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 선택되는 하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닛은 탑패널, 측면패널, 전방패널,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탑패널의 하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수평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평정보를 표시하는 단말표시부와, 상기 단말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단말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레그 중 수평 조절을 위한 레그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그의 작동정보는 문자, 동영상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는 수평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가동레그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수평 상태를 감지하여 수평정보를 제공하는 감지모듈; 및 상기 감지모듈의 수평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의 가동레그 중 조절이 필요한 레그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의류 처리장치에 부착되기 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수직방향의 바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의류 처리장치에 거치되는 거치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일면 또는 상기 거치돌기의 하면에는 상기 의류 처리장치에 부착되는 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의류 처리장치는 탑패널, 측면패널, 전방패널, 베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탑패널과 상기 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삽입되는 삽입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돌기 및 상기 삽입가이드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수평정보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는 수평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평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 선택되는 하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수평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평정보를 표시하는 단말표시부와, 상기 단말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단말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말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레그 중 수평 조절을 위한 레그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그의 작동정보는 문자, 동영상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에 따르면 의류 처리장치의 설치시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상태를 확인하고, 의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레그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안내하여 설치자 및 사용자가 용이하게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레그 위치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 안내장치의 표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 안내장치의 표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를 나타낸 간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의 레그 위치를 나타낸 간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는 외형을 형성하고 베이스(111)를 포함하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120)와, 터브(120)의 내측에 축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드럼(130)과, 드럼(130)에 회전력을 부여하여 드럼(130) 내에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 헹굼, 탈수 시키는 구동모터(140)와, 각 구성부를 제어하여 의류 처리장치(100)를 작동시키는 장치제어부(160) 및 장치제어부(160)와 연계되어 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17) 및 의류 처리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6)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며, 후술될 각종 구성요소가 내측 및 외측에 장착된다. 이러한, 캐비닛(110)의 전방측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도어(115)가 회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캐비닛(110)은 의류 처리장치(100)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111)와, 의류 처리장치(100)의 전면을 형성하고 도어(115)에 의해 개폐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부(114)가 형성되는 전방패널(113)과, 의류 처리장치(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패널(119), 의류 처리장치(100)의 양측면 및 후방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18)을 포함한다.
또한, 캐비닛(110)의 내측 상부에는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터브(120)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급수호스(126)와, 급수호스(126) 상에 설치되어 물의 출입을 제어하는 급수밸브(127)와, 급수호스(126)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를 세제와 함께 터브(120) 내부로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128)로 이루어진 급수부(125)가 마련된다. 그리고 캐비닛(110)의 내측 하부에는 세탁 및 헹굼 등에 사용된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호스(136)와 배수펌프(137)로 이루어진 배수부(135)가 마련된다.
상기 터브(120)는 캐비닛(110)의 내측에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마련되며, 터브(120)의 전면에는 세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21)가 형성된다. 터브(120)의 투입구(121)와 전방패널(113)의 개구부(114) 사이에는 세탁수의 누출을 방지하는 개스킷이 구비된다.
또한, 터브(120)의 후면에는 드럼(13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0)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40)는 장치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140)의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이러한 구동모터(140)의 구조, 종류에 대해서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터브(120)는 상부의 스프링(151) 및 하부의 댐퍼(152)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이에 구동모터(140)에 의한 드럼(130)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이 터브(120)를 통해 캐비닛(110)으로 전달될 때 스프링(151)과 댐퍼(152)에 의해 완충 및 감쇠되어 드럼(130)의 회전에 따른 진동이 캐비닛(110)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상기 드럼(130)은 터브(12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드럼(130)의 내측에는 도어(115) 측으로 투입되는 세탁물이 투입되어 적재된다. 이러한 드럼(130)에는 세탁수가 통공되는 다수의 배수공(132)이 형성되며, 드럼(130)의 내측에는 드럼(130)이 회전될 때 드럼(130)에 적재된 세탁물을 거치하여 상승시킨 후 낙하시키는 다수의 리프트(133)가 형성되며, 리프트(133)에 의한 세탁물의 유동에 따라 세탁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드럼(130)의 후방에는 구동모터(140)에 연결되는 회전축(131)이 연결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의류 처리장치(100)의 경우 세탁물의 세탁, 헹굼, 탈수 등의 세탁과정을 위하여 드럼(130)을 회전시켜, 터브(120)에 저수된 세탁수와, 드럼(130) 내에 적재된 세탁물과의 마찰작용 및 충격작용 등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부착된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여기서, 드럼(130)에 적재된 세탁물의 편심이 형성된 경우 드럼(130)의 회전에 의해 진동이 발생되며 의류 처리장치(100)가 지면에 대하여 수평상태로 설치되지 않을 경우 의류 처리장치(100)와 지면 사이에 진동 및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의류 처리장치(100)의 베이스(111)에는 의류 처리장치(100)가 지면에 수평상태로 설치될 수 있도록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레그(112a, 112b, 112c, 112d)가 구비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류 처리장치(100)의 하면을 형성하는 캐비닛(110)의 베이스(111)에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레그(112a, 112b, 112c, 112d)가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캐비닛(110) 베이스(111)의 각 모서리에 높이 조절이 가능한 3개의 가동레그(112b, 112c, 112d)와, 높이가 고정된 1개의 고정레그(112a)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설치자(즉, 사용자)는 베이스(111)에 구비되는 각 가동레그(112b, 112c, 112d)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설치 상태가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가동레그(112b, 112c, 112d) 및 고정레그(112a)의 구조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 및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는 상술한 의류 처리장치(100) 내부에 의류 처리장치(100)를 구성하는 하나의 구성으로 설치되는 고정형 감지모듈(210)(도 3 참조) 또는 별도의 독립된 장치로 구비되어 의류 처리장치(100)의 설치시 의류 처리장치(100)에 일시적으로 설치되어 의류 처리장치(100)의 설치 상태를 감지하는 설치형 감지모듈(220)(도 5 참조)과, 고정형 감지모듈(210) 또는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수평감지 정보를 전달받아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조절을 안내하는 단말장치(23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설치자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고정형 감지모듈(210) 또는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수평정보 및 수평정보를 수신하는 단말장치(230)에 표시되는 각 가동레그(112b, 112c, 112d)의 조작 방법을 참고하여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를 첨부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는 고정형 감지모듈을 이용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장치제어부(160)와, 장치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건조행정에 필요한 모터(141), 작동체 등의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구동부(140)와, 장치제어부(160)와 연계되어 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17)와, 의류 처리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6)와, 장치제어부(160)와 연동되어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고정형 감지모듈(210)과, 고정형 감지모듈(210)의 감지 정보를 단말장치(230)로 전송하는 송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117), 표시부(116), 구동부(140)의 경우 종래 기술과 동일하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고정형 감지모듈(210)은 의류 처리장치(100)를 구성하는 구성부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위치하며, 구체적으로는 캐비닛(110)을 형성하는 탑패널(119), 측면패널(118), 전방패널(113), 베이스(111)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형 감지모듈(210)의 경우 캐비닛(110)의 탑패널(119)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고정형 감지모듈(210)의 경우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설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평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 선택되는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다르게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드럼(130) 및 터브(120)의 진동을 감지하기 위하여 터브(120)에 설치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터브(120)에 설치되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를 감지할 경우 고정형 감지모듈(210)의 설치위치는 터브(120)의 외부가 될 수 있다.
한편, 송신부(170)는 고정형 감지모듈(210)에서 감지되는 수평 정보를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송신부(170)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하지만 의류 처리장치(100)와 단말장치(230) 사이를 상호 무선 통신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단말장치(230)의 경우 의류 처리장치(100)의 송신부(170)에서 전송되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수신부(234)와, 단말수신부(234)에서 수신되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단말표시부(232)와 단말장치(230)를 조작하기 위한 단말조작부(233)를 구비하는 별도의 단말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수신부(234)는 의류 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송신부(170)에 대응되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모듈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단말표시부(232)의 경우 액정디스플레이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단말조작부(233)의 경우 단말표시부(232)와 연동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23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조절을 안내하기 위한 단말장치(230)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단말장치(230)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단말장치(230)의 단말제어부(231)는 단말수신부(234)를 통하여 수신되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정보를 단말표시부(232)를 통하여 표시하여 설치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설치자는 단말조작부(233)를 조작하여 단말장치(230)를 조작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 안내장치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수평 조절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 안내장치의 표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경우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설치를 위한 수평 조절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 처리장치(100)의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건조행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의류 처리장치(100)의 각 레그(112a, 112b, 112c, 112d) 중 가동레그(112b, 112c, 112d)의 경우 가동레그(112b, 112c, 112d)가 모두 베이스(111)에 삽입된 초기상태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장치(230)가 통상의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할 경우 이동통신단말에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선행 설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단말장치(230)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는 설치자가 단말조작부(233)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요청하면, 단말제어부(231)는 애플리케이션을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이후, 단말제어부(231)는 단말조작부(233)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설치자가 의류 처리장치(100)의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의류 처리장치(100)의 고정형 감지모듈(210)은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상태를 감지한다. 이후, 장치제어부(160)는 고정형 감지모듈(210)의 감지 신호를 송신부(170)를 통하여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정보를 단말장치(230)로 송신한다.
여기서, 고정형 감지모듈(210)의 의류 처리장치(100) 수평상태의 감지는 의류 처리장치의 최초 작동시 또는 설치자의 조작에 의해 감지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르게는 고정형 감지모듈(210)의 의류 처리장치(100) 수평상태의 감지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작동 중 일정 시간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정보를 수신한 단말장치(230)는 수신되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상태를 산출하고, 산출되는 수평상태에 따라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조절을 위한 정보를 단말장치(230)의 단말표시부(232)에 표시한다.
여기서, 단말장치(230)의 단말표시부(232)에 표시되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조절을 위한 정보는 의류 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각 레그(112b, 112c, 112d)의 회전 횟수를 표시함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230)는 각 레그(112b, 112c, 112d)의 회전회수를 문자,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통하여 설치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230)의 단말표시부(232)에 의류 처리장치(100)의 베이스(111) 및 베이스(111)에 구비되는 고정레그(112a) 및 제 1가동레그(112b), 제 2가동레그(112c), 제 3가동레그(112d)가 표시되며, 각 가동레그(112b, 112c, 112d)의 회전 방향 및 회전 횟수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230)의 단말표시부(232)에 표시되는 고정레그(112a) 및 제 1가동레그(112b), 제 2가동레그(112c), 제 3가동레그(112d)에는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상태에 따라 제 1가동레그(11b), 제 2가동레그(112c), 제 3가동레그(112d)의 회전수를 표기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설치자는 단말장치(230)에 표시되는 제 1가동레그(112b), 제 2가동레그(112c), 제 3가동레그(112d)의 회전회수에 따라 의류 처리장치의 제 1가동레그(112b), 제 2가동레그(112c), 제 3가동레그(112d)를 회전시켜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100)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를 첨부한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는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는 설치형 감지모듈을 이용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장치는 의류 처리장치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는 장치제어부(160)와, 장치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건조행정에 필요한 모터(141), 작동체 등의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구동부(140)와, 장치제어부(160)와 연계되어 각 구성부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17)와, 의류 처리장치(1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장치제어부(160), 조작부(117), 표시부(116), 구동부(140)의 경우 종래 기술과 동일하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의류 처리장치의 경우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이 구비되어 있으며, 캐비닛은 의류 처리장치(100)의 하부를 형성하는 베이스(111)와, 의류 처리장치(100)의 전면을 형성하고 도어(115)에 의해 개폐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부(114)가 형성되는 전방패널(113)과, 의류 처리장치(100)의 상면을 형성하는 탑패널(119), 의류 처리장치(100)의 양측면 및 후방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18)을 포함한다.
설치형 감지모듈(220)은 의류 처리장치(100)를 구성하는 캐비닛(110)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는 캐비닛(110)을 형성하는 탑패널(119)과, 측면패널(118)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경우 캐비닛(110)의 탑패널(119)에 거치된 상태에서 측면패널(118)에 부착될 수 있다.
한편, 설치형 감지모듈(220)은 의류 처리장치(100)의 캐비닛에 부착되기 위한 케이스(221)와, 케이스(221)의 내측에 구비되어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수평 감지센서(225)와, 수평 감지센서(225)의 감지신호를 단말장치(230)로 송신하는 송신부(227)와, 수평 감지센서(225) 및 송신부를 제어하는 모듈제어부(224) 및 모듈제어부(224), 수평 감지센서(225),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26)를 구비한다. 또한,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경우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조절시에만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스(221)는 내부에 모듈제어부(224), 수평 감지센서(225), 송신부(227), 전원부(226)를 포함하는 PCB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수직한 바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227)와, 몸체부(227)의 상부일측에서 연장되어 의류 처리장치(100)의 탑패널(119)의 상면에 거치되는 거치돌기(222)와, 몸체부(227)의 일면에서 거치돌기(222)에 대하여 소정간격 이격되어 수평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의류 처리장치(100)의 탑패널(119)과 측면패널(118)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으로 삽입 거치되는 삽입가이드(223)가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케이스(221) 일면 또는 거치돌기(222)의 하면에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캐비닛(110)에 일시 부착되기 위한 자석(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자석은 케이스(221)의 일면 또는 거치돌기(222)의 하면에 함입된 상태로 구비되어 자석이 설치되면 면과 평행한 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설치형 감지모듈(220)이 의류 처리장치(100)의 정확한 수평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설치형 감지모듈(220)이 의류 처리장치(100)의 캐비닛(110)에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거치돌기(222)의 하면 및 삽입가이드(223)의 경우 수평 감지센서(225)에 의해 감지되는 수평정보와 일치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거치돌기(222)의 하면은 캐비닛(110)의 탑패널(119) 상면에 밀착되거나, 삽입가이드(223)는 탑패널(119)과 측면패널(118) 사이의 간극(G)에 정확히 삽입되어야 한다.
여기서, 수평 감지센서(225)의 경우 의류 처리장치(100)에 부착된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수평설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평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 선택되는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송신부(227)는 설치형 감지모듈(220)에서 감지되는 수평 정보를 단말장치로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송신부(227)는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하지만 설치형 감지모듈(220)과 단말장치(230) 사이를 상호 무선 통신하게 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단말장치(230)의 경우 의류 처리장치(100)의 송신부(227)에서 전송되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단말수신부(234)와, 단말수신부(234)에서 수신되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단말표시부(232)와 단말장치(230)를 조작하기 위한 단말조작부(233)를 구비하는 별도의 단말기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수신부(234)는 의류 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송신부(227)에 대응되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모듈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단말표시부(232)의 경우 액정디스플레이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단말조작부(233)의 경우 단말표시부(232)와 연동되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23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통신용 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 폰 등)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동통신용 단말기에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동통신용 단말기를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조절을 안내하기 위한 단말장치(230)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단말장치(230)에 대해서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단말장치(230)의 단말제어부(231)는 단말수신부(234)를 통하여 수신되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정보를 단말표시부(232)를 통하여 표시하여 설치자에게 표시할 수 있으며, 설치자는 단말조작부(233)를 조작하여 단말장치(230)를 조작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 안내장치에 의한 의류처리장치의 수평 조절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 조절 안내장치의 표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경우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설치를 위한 수평 조절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 의류 처리장치(100)의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건조행정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의류 처리장치(100)의 각 레그(112a, 112b, 112c, 112d) 중 가동레그(112b, 112c, 112d)의 경우 가동레그(112b, 112c, 112d)가 모두 베이스(111)에 완전히 삽입된 초기상태로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단말장치(230)가 통상의 스마트 폰과 같은 이동통신단말을 이용할 경우 이동통신단말에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을 조절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선행 설치되어야 한다. 여기서, 단말장치(230)의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는 설치자가 단말조작부(233)를 이용하여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를 요청하면, 단말제어부(231)는 애플리케이션을 통신망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설치한다. 이후, 단말제어부(231)는 단말조작부(233)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 확인을 수행할 수 있다.
먼저, 설치자는 설치형 감지모듈(220)을 설치 상태를 확인하고자하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부착한다. 이때 의류 처리장치(100)에 부착되는 설치형 감지모듈(220)은 의류 처리장치(100)의 캐비닛(110)의 외측에 부착되며, 바람직하게는 캐비닛(110)의 좌측 상부 또는 우측 상부 모서리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의류 처리장치(100)에 부착되는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설치상태가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즉, 의류 처리장치(100)에 부착되는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설치 상태가 의류 처리장치(100)에 완전히 밀착되지 않을 경우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수평감지와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상태가 일치하지 않아 정확한 수평 감지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설치형 감지모듈(220)은 설치형 감지모듈(220)이 의류 처리장치(100)의 캐비닛(110)에 부착될 때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거치돌기(222)가 캐비닛(110)의 탑패널의 상면에 밀착되고, 케이스(221)의 일면은 탑패널(119)의 측면 또는 측면패널(118)에 밀착되도록 하여 설치형 감지모듈(220)을 의류 처리장치(100)에 정확히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10)의 탑패널(119)과, 측면패널(118)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삽입가이드(223)를 탑패널(119)과, 측면패널(118) 사이에 간극(G)에 삽입하여 설치형 감지모듈(220)을 의류 처리장치(100)에 정확히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설치자가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설치형 감지모듈을 의류 처리장치에 부착하고,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전원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전원을 인가함에 따라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수평 감지센서(225)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상태를 감지한다. 이후, 모듈제어부(224)는 수평 감지센서(225)의 감지 신호를 송신부(227)를 통하여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정보를 단말장치(230)로 송신한다. 여기서,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의류 처리장치(100) 수평상태의 감지는 설치형 감지모듈(22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일정 시간 주기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설치형 감지모듈(220)의 수평정보를 수신한 단말장치(230)는 수신되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정보를 기초로 하여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상태를 산출하고, 산출되는 수평상태에 따라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조절을 위한 정보를 단말장치(230)의 단말표시부(232)에 표시한다.
여기서, 단말장치(230)의 단말표시부(232)에 표시되는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 조절을 위한 정보는 의류 처리장치(100)에 구비되는 각 레그(112b, 112c, 112d)의 회전 횟수를 표시함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230)는 각 레그(112b, 112c, 112d)의 회전회수를 문자, 동영상 또는 이미지를 통하여 설치자에게 나타낼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230)의 단말표시부(232)에 의류 처리장치(100)의 베이스(111) 및 베이스(111)에 구비되는 고정레그(112a) 및 제 1가동레그(112b), 제 2가동레그(112c), 제 3가동레그(112d)가 표시되며, 각 가동레그(112b, 112c, 112d)의 회전 방향 및 회전 횟수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230)의 단말표시부(232)에 표시되는 고정레그(112a) 및 제 1가동레그(112b), 제 2가동레그(112c), 제 3가동레그(112d)에는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상태에 따라 제 1가동레그(112b), 제 2가동레그(112c), 제 3가동레그(112d)의 회전수를 표기하여 나타낼 수 있으며 설치자는 단말장치(230)에 표시되는 제 1가동레그(112b), 제 2가동레그(112c), 제 3가동레그(112d)의 회전회수에 따라 의류 처리장치(100)의 제 1가동레그(112b), 제 2가동레그(112c), 제 3가동레그(112d)를 회전시켜 의류 처리장치(100)의 수평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0: 의류 처리장치 110: 캐비닛
111: 베이스 112a: 고정레그
112b: 제 1가동레그 112b: 제 2가동레그
112c: 제 3가동레그 112d: 제 4가동레그
113: 전방패널 118: 측면패널
119: 탑패널 120: 터브
130: 드럼 140: 구동부
160: 장치제어부 170: 송신부
210: 고정형 감지모듈 220: 설치형 감지모듈
230: 단말장치

Claims (19)

  1.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모듈과, 상기 감지모듈에서 감지되는 수평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 및 수평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가동레그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상기 수평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다수의 가동레그 중 조절이 필요한 레그의 작동 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의류 처리장치에 구비되는 터브의 진동을 감지하기 상기 터브에 설치되는 위한 진동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수평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평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 선택되는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탑패널, 측면패널, 전방패널,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탑패널의 하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수평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평정보를 표시하는 단말표시부와,
    상기 단말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단말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레그 중 수평 조절을 위한 레그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작동정보는 문자, 동영상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
  9. 수평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다수의 가동레그를 구비하는 의류 처리장치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수평 상태를 감지하여 수평정보를 제공하는 감지모듈; 및
    상기 감지모듈의 수평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의 가동레그 중 조절이 필요한 레그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단말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안내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의류 처리장치에 부착되기 위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구비되어 수평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송신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안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모듈은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안내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수직방향의 바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의류 처리장치에 거치되는 거치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안내장치.
  13. 제 10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면 또는 상기 거치돌기의 하면에는 상기 의류 처리장치에 부착되는 자석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안내장치.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처리장치는 탑패널, 측면패널, 전방패널, 베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기 탑패널과 상기 측면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삽입되는 삽입가이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안내장치.
  15. 제 12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돌기 및 상기 삽입가이드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되는 수평정보에 대하여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안내장치.
  16.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수평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수평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중 선택되는 하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안내장치.
  1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송신부에서 전송되는 수평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평정보를 표시하는 단말표시부와,
    상기 단말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단말조작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안내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레그 중 수평 조절을 위한 레그의 작동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조절 안내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작동정보는 문자, 동영상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처리장치 및 수평 조절 안내장치.
KR1020170175334A 2017-12-19 2017-12-19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 KR20190074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334A KR20190074009A (ko) 2017-12-19 2017-12-19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334A KR20190074009A (ko) 2017-12-19 2017-12-19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009A true KR20190074009A (ko) 2019-06-27

Family

ID=6705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334A KR20190074009A (ko) 2017-12-19 2017-12-19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40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137A3 (ko) * 2021-02-04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137A3 (ko) * 2021-02-04 2022-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0548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0066333B2 (en) Washing machine with ball balancer and method of controlling vibration reduction thereof
KR102351650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063140A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30832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ATE510947T1 (de) Trommelwaschmaschine
KR20180053191A (ko) 의류처리장치
KR102541169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700028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74009A (ko) 의류 처리장치 및 의류 처리장치의 수평 조절 안내장치
KR101463809B1 (ko) 세탁기의 거품감지방법
EP2982792A1 (en) Water quality detector assembly of a washing machine
KR102548154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80109224A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102348371B1 (ko) 세탁물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US20190194859A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00093210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69316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220056145A (ko) 의류처리장치
KR10264827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50072801A (ko) 벽걸이형 드럼 세탁기의 수평 측정장치 및 수평 측정방법
KR20220056146A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95920A (ko) 센서모듈 및 이를 구비한 의류처리장치
KR102436702B1 (ko) 탑로딩 세탁기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KR20190028036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