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169B1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169B1
KR102541169B1 KR1020160066790A KR20160066790A KR102541169B1 KR 102541169 B1 KR102541169 B1 KR 102541169B1 KR 1020160066790 A KR1020160066790 A KR 1020160066790A KR 20160066790 A KR20160066790 A KR 20160066790A KR 102541169 B1 KR102541169 B1 KR 102541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mote control
power
communication unit
powe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229A (ko
Inventor
손준영
손진환
박민규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6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169B1/ko
Priority to EP17173367.8A priority patent/EP3252204B1/en
Priority to US15/608,717 priority patent/US10718080B2/en
Publication of KR20170135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2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H02J13/007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4Changing between normal operation mode and special operation modes, e.g. service mode, component cleaning mode or stand-by mo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원격제어장치로부터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각각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단계, 상기 통신부가 상기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는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단계, 및 상기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지 않는 대기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ntrol Method for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의류의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장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한편, 상술한 구조를 가진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원격제어모드가 구비된 장치가 있었다. 원격제어모드는 외출중인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원격제어장치(휴대폰 등)를 통해 의류처리장치로 제어명령을 전송하는 제어모드를 의미한다.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가 원격제어모드를 선택할 경우,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에 전력이 공급되는 상태를 유지해야만 했다. 원격제어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명령을 의류처리장치로 전송하면, 의류처리장치가 곧바로 작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술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원격제어장치에서 발신되는 제어명령을 의류처리장치가 수신할 때까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모든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standby power)의 양이 큰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된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standby power)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원격제어명령의 수신에 필요한 수단에만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된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원격제어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의 해결을 위해 제어방법을 실행하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원격제어장치에서 발신된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진행되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는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단계; 상기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지 않는 대기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가 상기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원격제어명령 실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기단계는 상기 입력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대기단계의 진행 중 상기 원격제어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명령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거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영구자석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공급단계는 상기 구동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자력감지센서 각각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대기단계는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입력부에 공급되는 전력,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 및 상기 자력감지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대기단계의 진행 중 상기 투입구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자력감지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로 상기 원격제어장치에서 발신된 상기 원격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원격제어명령 실행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원격제어명령 실행단계의 진행 중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구동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감지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러는 상기 드럼이 수용되며 물이 저장되는 터브에 급수되는 물의 양이 기 설정된 기준수위를 초과한 경우, 또는 상기 터브에 급수되는 물이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를 초과한 경우, 또는 상기 드럼의 진동수가 기 설정된 기준진동수를 초과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급수원과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를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공급단계는 상기 구동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자력감지센서 및 상기 급수밸브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대기단계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급수밸브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자력감지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공급단계는 상기 구동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자력감지센서,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배수펌프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대기단계는 상기 구동부,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배수펌프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자력감지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원격제어장치에서 발신된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진행되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는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단계; 상기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지 않는 대기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된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원격제어명령의 수신에 필요한 수단에만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된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된 의류처리장치에서 도어가 투입구를 개방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되면, 원격제어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제어명령을 실행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에러가 발생하면, 에러의 해결을 위해 제어방법을 실행하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전력량을 최소화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된 제1제어부, 제2제어부 및 원격제어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3),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드럼(5)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의 전방면에는 의류를 드럼(5)에 투입하거나 드럼에 저장된 의류를 캐비닛의 외부로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11)가 구비되며, 상기 투입구(11)는 캐비닛(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도어(13)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도어(13)에는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제어명령의 진행과정을 표시하는 컨트롤패널(91)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도어(13)가 투입구(11)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95)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감지부(95)는 캐비닛에 구비되는 영구자석(953), 상기 도어(13)에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953)이 제공하는 자력을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9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3)에는 투입구(11)에 연통하는 터브 투입구(31)가 구비된다. 상기 터브(3)는 지지부(33, 35)를 통해 캐비닛(1)의 내부에 고정되는데, 상기 지지부는 터브(3)의 상부 원주면을 캐비닛(1)에 연결하는 스프링(33), 상기 터브의 하부 원주면을 캐비닛의 바닥면에 연결하는 댐퍼(3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브(3)는 급수관(37)을 통해 물을 공급받고, 터브 내부에 공급된 물은 배수관(39)을 통해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급수관(37)은 급수원(미도시)과 터브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데, 상기 급수관(37)은 캐비닛에 구비된 급수밸브(73)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배수관(39)에는 배수펌프(75)가 구비되며, 캐비닛 내부에 위치된 배수펌프(75)의 작동 시 상기 터브 내부에 저장된 물을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될 것이다.
상기 드럼(5)은 상기 투입구(11) 및 터브 투입구(31)에 연통하는 드럼 투입구(51), 상기 드럼의 내부를 터브 내부와 연통시키는 다수의 관통홀(53)을 포함한다.
상기 드럼(5)은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구동부(71)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71)는 전류가 공급되면 회전자계(rotating field)를 형성하도록 터브의 배면에 고정된 스테이터(711), 회전자계에 의해 회전하는 로터(713), 상기 터브를 관통하여 상기 드럼과 로터를 연결하는 회전축(71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급수밸브(73), 배수펌프(75) 및 구동부(71)는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제1제어부(77)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도어(13)에 구비된 컨트롤패널(91), 통신부(97) 및 자력감지센서(951)는 제2제어부(99)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제1제어부(77)와 제2제어부(99)는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패널(91)은 사용자로부터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911) 및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913)로 구비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정보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에 관한 정보(작동시간, 잔여시간 등) 등을 의미한다.
상기 통신부(97)는 의류처리장치와 독립적인 원격제어장치(2)가 전송하는 제어명령(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수단이다.
상기 원격제어장치(2)는 의류처리장치(100)와 통신 가능하게 구비된 단말기(휴대폰 등)로, 단말기 통신부(21),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단말기 입력부(23), 단말기 통신부 및 단말기 입력부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에 입력한 원격제어명령은 단말기 통신부(21) 및 통신부(97)를 통해 제2제어부(99) 및 제1제어부(77)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자력감지센서(951)는 자력의 크기에 따라 다른 크기의 전기신호(전압 등)를 출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제어부(99)는 자력감지센서(953)에서 감지된 자력의 세기가 기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면 상기 투입구(11)가 폐쇄된 상태로 판단하고, 자력감지센서(951)에 감지된 자력의 세기가 기준 값 미만이면 상기 투입구(11)가 개방된 상태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캐비닛(1)이나 도어(13) 중 어느 하나에는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입력부(72, 제1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스위치(72)를 누르면, 상술한 구동부(71), 급수밸브(73), 배수펌프(75), 제1제어부(77), 컨트롤패널(911, 913), 자력감지센서(951), 통신부(97) 및 제2제어부(99)는 전원(S)과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받게 될 것이다.
도 4는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단계(S2)로부터 개시된다. 상기 전력공급단계(S2)는 사용자가 제1스위치(72)를 통해 의류처리장치(100)에 전력공급을 요청(S1)한 때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전력공급단계(S2)는 캐비닛 내부에 위치된 제1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21), 도어에 구비된 제2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2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부하부와 제2부하부는 의류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 전력공급이 요구되는 요소들을 의미하는데, 상기 제1부하부는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된 요소를 의미하고, 상기 제2부하부는 도어(13)에 구비된 요소를 의미한다.
즉, 상기 제1부하부는 상술한 구동부(71), 급수밸브(73), 배수펌프(75) 및 제1제어부(77)가 일례가 될 것이고, 상기 제2부하부는 상술한 입력부(911), 표시부(913), 자력감지센서(951), 통신부(97) 및 제2제어부(99)가 일례가 될 것이다.
상기 전력공급단계(S2)가 완료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를 진행한다.
상기 원격제어모드는 상기 통신부(97)가 원격제어장치(2)에서 발신된 제어명령(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제1부하부를 상기 원격제어명령에 따라 작동시키는 모드를 말한다.
상기 원격제어모드의 선택은 도어에 구비된 입력부(911)를 통해 진행될 수도 있고, 원격제어장치(2)를 통해 진행될 수도 있다. 원격제어장치(2)를 통해 원격제어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제2제어부(99)는 통신부(97)로 원격제어모드를 선택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된 때 원격제어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게 될 것이다.
상기 원격제어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 본 발명 제어방법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세탁코스 등)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S31)한다.
사용자가 입력부(911)를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하면, 본 발명은 입력된 제어명령을 실행(S33)한 뒤 제1부하부와 제2부하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 단계(S37)를 진행한다.
그러나, 원격제어모드가 선택되지 않았고, 기 설정된 기준시간 이내에 제어명령이 입력(S31, S35)되지 않은 경우라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전력차단 단계(S37)를 진행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량을 최소화한다.
한편, 원격제어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S3)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대기단계(S4)를 진행한다.
상기 대기단계(S4)는 원격제어장치(2)에서 발신된 원격제어명령이 상기 통신부(97)에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로, 제1부하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S41), 도어(13)가 투입구(11)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3) 및 상기 통신부(97)로 원격제어명령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부하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S41)는 제1부하부에 공급되는 전력만을 차단하는 단계이므로, 본 단계(S41)의 진행 중 상기 제2부하부에는 전력 공급이 유지된다.
상기 대기단계(S4)에서 상기 제1부하부(71, 73, 75, 77)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S41)하는 것은 상기 대기단계(S4)의 진행 시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즉, 상기 대기단계(S4)의 진행에 필요한 요소는 도어(13)에 구비된 제2부하부(911, 913, 951, 97, 99)이므로, 상기 대기단계(S4)의 진행 중 상기 제2부하부에만 전력을 공급한다면 상기 대기단계(S4)에서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은 최소화될 것이다.
한편, 상기 대기단계(S4)에서 본 발명은 제2부하부 전체(911, 913, 951, 97, 99)에 전력을 공급도록 구비될 수도 있고, 제2부하부 중 일부에만 전력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4의 제어방법은 제2부하부 중 통신부(97), 자력감지센서(951), 입력부(911) 및 제2제어부(99)에만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를 일례로 표현한 것이다.
상기 제1부하부에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S41)되면, 본 발명은 도어(13)가 투입구(11)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3)를 진행한다.
상기 원격제어모드는 의류처리장치가 설치된 가정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에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의류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모드이므로, 상기 원격제어모드의 실행을 위해서는 상기 도어(13)가 투입구(11)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해야만 한다.
상기 투입구(11)가 개방된 상태에서 의류처리장치가 작동한다면, 드럼에 저장된 의류나 터브에 공급된 물이 투입구(11)를 통해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도어(13)가 투입구(11)를 개방한 것으로 판단되면, 원격제어모드를 해제(S51)한 뒤 제2부하부에 공급되는 전력도 차단(S53)한다.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상기 도어가 투입구(11)를 개방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3)는 제2제어부(99)가 자력감지센서(951)에 감지된 자력의 크기를 기준 값과 비교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입구(11)가 폐쇄된 상태에 있다고 판단(S43)되면, 본 발명은 원격제어장치(2)에서 전송된 원격제어명령이 통신부(97)에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1)를 진행한다.
상기 원격제어장치(2)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명령이 통신부(97)에 수신되지 않으면, 본 발명은 원격제어모드의 해제를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2)를 진행한다.
원격제어모드의 해제를 요청하는 신호는 입력부(911)를 통해 입력될 수도 있고, 원격제어장치(2)에서 전송된 제어명령을 통신부(97)가 수신함으로써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입력부(911)나 통신부(97)를 통해 원격제어모드의 해제를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2부하부에 공급되는 전력도 차단(S63)하여 의류처리장치가 소비하는 대기전력의 양의 최소화한다.
그러나, 원격제어장치(2)로부터 전송된 원격제어명령이 통신부(97)에 수신(S61)되면, 본 발명 제어방법은 제1부하부에 전력을 공급(S64)한 뒤 원격제어명령을 실행하는 단계(S65)를 진행한다.
상기 제1부하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S64)는 제2제어부(99)가 전원(S)과 제1부하부를 연결하는 회로를 개폐하는 제2스위치(74, 도 3 참고)를 제어함으로써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명령을 실행하는 단계(S65)는 통신부(97)가 수신한 원격제어명령을 제2제어부(99)가 제1제어부(77)에 전송하면, 제1제어부(77)가 원격제어명령에 따라 구동부(71), 급수밸브(73), 배수펌프(75)를 제어하는 단계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명령이 의류를 물로 세척하는 세탁코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것이었다면, 상기 원격제어명령을 실행하는 단계(S65)는 상기 제1제어부(77)가 원격제어명령으로 선택된 세탁코스에 따라 구동부, 급수밸브 및 배수펌프를 제어하는 단계가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원격제어명령의 실행(S65) 중 에러가 발생했는지 여부를 판단(S66)할 수 있다.
원격제어명령이 실행(S65)되는 동안 에러가 발생하면, 본 발명은 에러의 해결을 위한 제어방법을 실행하지 않고 의류처리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 단계(S68)를 진행한다.
상기 에러의 의미는 상기 터브(3)에 급수되는 물의 양이 기 설정된 기준수위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터브(3)에 급수되는 물이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드럼(5)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또는 상기 드럼(5)의 진동수가 기 설정된 기준진동수를 초과한 경우 등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터브의 수위 판단을 위해,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는 수위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제1제어부(77)에 전송하는 수위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드럼의 회전수나 드럼의 진동수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캐비닛에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나 진동수에 따라 서로 다른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원격제어명령이 실행되는 동안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본 발명은 원격제어명령의 실행이 완료(S67)된 때 제1부하부와 제2부하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모두 차단하는 전력차단 단계(S68)를 진행한다.
상술한 제어방법은 의류의 세탁을 위한 의류처리장치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지만, 본 발명 제어방법은 의류의 건조를 위한 장치의 제어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닛 내부에는 의류에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미도시)가 더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공기공급부는 터브로 외기를 공급하는 제1유로, 터브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2유로, 상기 제1유로에 구비된 팬 및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팬과 히터는 제1부하부를 구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3: 터브
5: 드럼 71: 구동부 72: 제1스위치
73: 급수밸브 74: 제2스위치 75: 배수펌프
77: 제1제어부 91: 컨트롤패널 951: 자력감지센서
97: 통신부 99: 제2제어부

Claims (12)

  1. 투입구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제어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원격제어장치에서 발신된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제어부; 상기 통신부 또는 상기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제어부; 상기 구동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제1제어부 및 제2제어부에 외부 전원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제어부와 상기 구동부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제1제어부와 상기 제2제어부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스위치에 의해 상기 구동부,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진행되며, 상기 통신부가 상기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구동부가 작동하는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는 모드설정단계;
    상기 원격제어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2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1제어부 및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제2제어부 및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지 않는 대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가 상기 원격제어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를 통해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원격제어명령 실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단계는 상기 입력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단계의 진행 중 상기 원격제어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부 및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명령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거나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캐비닛에 구비된 영구자석 및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영구자석의 자력을 감지함으로써 상기 투입구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자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공급단계는 상기 구동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자력감지센서 각각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대기단계는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입력부에 공급되는 전력, 상기 통신부에 공급되는 전력 및 상기 자력감지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단계의 진행 중 상기 투입구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자력감지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로 상기 원격제어장치에서 발신된 상기 원격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구동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켜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원격제어명령 실행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명령 실행단계의 진행 중 에러가 발생하면, 상기 구동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자력감지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는
    상기 드럼이 수용되며 물이 저장되는 터브에 급수되는 물의 양이 기 설정된 기준수위를 초과한 경우, 또는 상기 터브에 급수되는 물이 상기 기준수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또는 상기 드럼의 회전수가 기 설정된 기준회전수를 초과한 경우, 또는 상기 드럼의 진동수가 기 설정된 기준진동수를 초과한 경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급수원과 상기 드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터브를 연결하는 급수관, 상기 급수관을 개폐하는 급수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공급단계는 상기 구동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자력감지센서 및 상기 급수밸브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대기단계는 상기 구동부 및 상기 급수밸브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자력감지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터브에 저장된 물을 상기 터브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력공급단계는 상기 구동부,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상기 자력감지센서,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배수펌프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대기단계는 상기 구동부, 상기 급수밸브 및 상기 배수펌프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고, 상기 입력부, 상기 통신부 및 상기 자력감지센서에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60066790A 2016-05-30 2016-05-30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541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90A KR102541169B1 (ko) 2016-05-30 2016-05-30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EP17173367.8A EP3252204B1 (en) 2016-05-30 2017-05-30 Method of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5/608,717 US10718080B2 (en) 2016-05-30 2017-05-30 Method of controlling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790A KR102541169B1 (ko) 2016-05-30 2016-05-30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229A KR20170135229A (ko) 2017-12-08
KR102541169B1 true KR102541169B1 (ko) 2023-06-08

Family

ID=58800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790A KR102541169B1 (ko) 2016-05-30 2016-05-30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18080B2 (ko)
EP (1) EP3252204B1 (ko)
KR (1) KR1025411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5609B2 (en) * 2018-07-10 2020-10-27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Front load washing machine appliance equipped with door reversing locking and latching features
KR102627105B1 (ko) * 2019-02-07 2024-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 의류 처리 장치의 제어 장치 및 의류 처리 장치
KR102634078B1 (ko) * 2019-03-18 2024-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210009639A (ko) * 2019-07-17 2021-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가능한 세탁물 처리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JP7301665B2 (ja) * 2019-08-05 2023-07-03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洗濯機システム
CN116265644A (zh) * 2021-12-16 2023-06-20 合肥美的洗衣机有限公司 投放装置以及洗涤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710A (ko) * 2000-09-26 2002-04-01 구자홍 세탁기 도어개폐장치
KR100404199B1 (ko) * 2001-07-04 2003-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그 전원제어모드 전환방법
US7464426B2 (en) * 2001-07-04 2008-12-16 Lg Electronics Inc. Internet-washe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4030523B2 (ja) * 2004-05-12 2008-01-09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KR101158060B1 (ko) * 2005-07-01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대기전력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A2599375C (en) * 2006-09-06 2011-06-21 Lg Electronics Inc. Clogging detecting system for dryer
KR20110082775A (ko) * 2010-01-12 2011-07-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운전 제어 방법
US9453299B2 (en) * 2010-05-17 2016-09-27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KR20120128359A (ko) * 2011-05-17 2012-11-2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수위측정오류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US9359712B2 (en) * 2012-04-04 2016-06-07 Whirlpoo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energy usage of an appliance
KR20150070628A (ko) * 2013-12-17 2015-06-25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235174B1 (ko) * 2014-07-16 2021-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52204B1 (en) 2020-07-01
EP3252204A1 (en) 2017-12-06
US20170342633A1 (en) 2017-11-30
US10718080B2 (en) 2020-07-21
KR20170135229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41169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351650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23985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washing machine
US20150121630A1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35270B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11326297B2 (en) Washing machine with heater and multiple tub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19052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9970142B2 (en) Washing machine having detergent suppl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598167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8000856A (ja) 洗濯機
US9945060B2 (en) Method to determine fabric type in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ing motor current signature during agitation
EP3301214A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240141577A1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2047957B1 (ko) 세탁기
KR102634078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054430B1 (ko) 세탁기 및 그 동작방법
US11525201B2 (en) Method of controlling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KR102596979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18132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74531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KR20180072254A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960308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00144A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50118429A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92667A (ko)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