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792A -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792A
KR20190073792A KR1020170174948A KR20170174948A KR20190073792A KR 20190073792 A KR20190073792 A KR 20190073792A KR 1020170174948 A KR1020170174948 A KR 1020170174948A KR 20170174948 A KR20170174948 A KR 20170174948A KR 20190073792 A KR20190073792 A KR 20190073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aft
actual
interlocking
side ex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8994B1 (ko
Inventor
박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70174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89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73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8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8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1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for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Landscapes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는, 테이블롤러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치프레임에 설치되며, 실측롤러를 가진 실측유닛; 및 상기 실측롤러가 상기 테이블롤러의 회전수를 측정하도록, 상기 테이블롤러의 롤러축에 설치되어 상기 실측롤러와 접촉되는 축회전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APPARATUS FOR POSITION MEASURING OF MATERIAL}
본 발명은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로서, 테이블롤러 상에서 진행되는 소재의 진행위치를 측정하는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 후판 공장에서는 판 두께를 5mm 부터 200mm 두께와 5,300mm의 폭까지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규격 중에 수요가의 요구에 따라서 제품 판 양쪽 측면을 자르는 트리밍재, 및 1매의 판을 2매로 나눌 때 폭이 같은 배폭재와 폭이 다른 이폭재를 절단하며, 이와 같은 절단이 완료된 제품을 고객에게 인도하기까지 제조 및 구분을 위한 판 교유번호를 포함한 품명을 소재인 판에 마킹한다.
즉, 판번호를 동반한 모든 정보의 기준이 되는 자동 번호를 포함한 정보를 마킹하게 된다. 이러한 마킹은 생산과정에서 창고까지의 이송배치 이력과 자동운반을 위한 중요자료가 되기 때문에, 고객에게 인도시까지의 필수적인 작업 중의 중요한 작업이다.
이와 같이 후판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의 마지막 공정인 검사대에서 검사 및 마킹작업 과정에서, 판에 마킹을 하기 위해 판의 진행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장치가 실측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1)의 상측에서 실린더(11)로 실측롤러(12)를 하강시켜 판(1)의 상면에 실측롤러(12)가 접촉하면, 판(1)이 진행되는 힘에 의해 실측롤러(12)가 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실측롤러(12)의 회전수를 통해 판(1)의 진행거리를 파악함으로써, 판(1)의 진행위치를 알게되어 그 지점에서 마킹장치가 판(1)에 마킹을 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실측장치가 테이블롤러 상의 소재 상면에 하강하는 하강시점의 오차로 인하여 소재의 선단부와 충돌하여 소재 및 실측장치(실측롤러(12), 실린더(11) 등)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실측장치가 판(1) 상면에 하강 시 판(1)의 평탄도 불량으로 인하여 과충격이 발생하여 소재 및 실측장치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정비보수작업을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조업이 중단되는 사례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수요가의 요구일에 맞추기가 어려운 중대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182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소재 및 장치 손상에 의한 정비보수작업으로 발생하는 조업중단없이 소재에 대한 마킹을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는, 테이블롤러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치프레임에 설치되며, 실측롤러를 가진 실측유닛; 및 상기 실측롤러가 상기 테이블롤러의 회전수를 측정하도록, 상기 테이블롤러의 롤러축에 설치되어 상기 실측롤러와 접촉되는 축회전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축회전유닛은, 상기 테이블롤러의 롤러축과 연결된 측부연장축; 및 상기 측부연장축에 축회전되게 장착되며, 상기 실측롤러가 연동되어 회전되게 접촉된 연동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동롤러는 상기 테이블롤러의 직경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롤러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측부연장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록이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측부연장축에는 단부 측으로 감속기와 펄스발생기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펄스발생기는 상기 소재에 마킹하는 마킹장치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측부연장축은, 상기 테이블롤러의 롤러축과 연결된 엔드바; 상기 연동롤러가 장착고정되며, 상기 엔드바와 기어커플링으로 연결된 연동축바; 및 상기 감속기가 장착되며, 상기 연동축바와 타이어커플링 또는 러버커플링으로 연결된 단부바;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측유닛은, 상기 장치프레임에 제공된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실린더에서 하측으로 배치된 실린더로드의 하단부에 회전되게 장착된 상기 실측롤러; 및 상기 소재에 마킹하는 마킹장치 및 상기 실측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마킹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는, 실측롤러가 축회전유닛의 연동롤러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연동롤러에 상시 접촉된 상태로 사용됨으로써, 실측롤러가 소재에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된 기존의 실측장치의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실측롤러가 소재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하강시점의 오차로 인한 소재의 선단부 충돌사고, 소재 평탄도 불량으로 인한 실측롤러와 소재 간의 과충격 발생사고를 방지함에 따라, 정비보수작업에 따른 조업중단없이 소재에 대한 마킹을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가 테이블롤러의 롤러축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도면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가 테이블롤러의 롤러축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는 실측유닛(100)과, 축회전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실측유닛(100)은 테이블롤러(2)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치프레임(F)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측유닛(100)은 승강실린더(110), 실측롤러(120), 및 제어부(C)를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승강실린더(110)는 장치프레임(F)에 설치되며, 이때 장치프레임(F)은 테이블롤러(2)의 상측에서 테이블롤러(2)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테이블롤러(2)의 상측에서 테이블롤러(2)의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실측롤러(120)는 승강실린더(110)에서 하측으로 배치된 실린더로드의 하단부에 회전되게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C)는 소재(1)에 마킹하는 마킹장치(미도시) 및 실측롤러(120)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마킹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축회전유닛(200)은 실측롤러(120)가 테이블롤러(2)의 회전수를 측정하도록, 테이블롤러(2)의 롤러축(2a)에 설치되어 실측롤러(120)와 접촉되는 구조를 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축회전유닛(200)은 측부연장축(210)과, 연동롤러(2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측부연장축(210)은 테이블롤러(2)의 롤러축(2a)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동롤러(220)는 측부연장축(210)에 축회전되게 장착되며, 실측롤러(120)가 연동되어 회전되게 접촉된다.
기존의 실측장치는 실측롤러(120)가 소재(1)에 직접 접촉하기 위해, 소재(1)가 테이블롤러(2)에 진입하면 소재(1) 측으로 하강 시, 하강시점의 오차로 인하여 소재(1)의 선단부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소재(1)의 평탄도가 불량한 경우에는 실측롤러(120)와 소재(1) 간의 과충격이 발생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은 실측롤러(120)가 소재(1)가 아닌 테이블롤러(2)의 롤러축(2a)에 연결되어 연동 축회전하는 축회전유닛(200)의 연동롤러(220)에 접촉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위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실측롤러(120)가 축회전유닛(200)의 연동롤러(220)에 상시 접촉된 상태로 사용되기 때문에, 상술된 사고의 발생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동롤러(220)는 테이블롤러(2)의 직경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블롤러(2)는 외면에 소재(1)가 직접 안착되어 접촉하며, 회전 시 소재(1)가 진행하기 때문에, 테이블롤러(2) 외면의 일지점에 대한 회전거리는 소재(1)의 진행거리와 일치하게 된다.
이러한 테이블롤러(2)와 연동롤러(220)가 직경이 동일한 경우에는, 연동롤러(220)의 회전거리를 측정하면 소재(1)의 진행거리를 즉시 알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면서도 정확한 소재(1)의 진행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롤러(220)의 양측에는 각각 측부연장축(210)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록(B)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부연장축(210)은 테이블롤러(2)의 롤러축(2a)에 연결되어 일측으로 연장된 형상을 취하고, 이와 더불어 이러한 측부연장축(210)에 중량물인 연동롤러(220)가 장착되면, 많은 하중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은 하중을 받는 측부연장축(21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측부연장축(210)의 배치구조를 견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연동롤러(220)의 양측에서 측부연장축(210)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록(B)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부연장축(210)에는 단부 측으로 감속기(R)와 펄스발생기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펄스발생기는 소재(1)에 마킹하는 마킹장치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감속기(R)는 테이블롤러(2)의 롤러축(2a)의 빠른 회전속도를 측부연장축(210)의 단부에서 느리게 하며, 상기 펄스발생기는 이와 같이 회전속도가 어느 정도 줄여진 측부연장축(210)의 단부에서 축회전수를 측정하여 소재(1)의 진행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펄스발생기가 마킹장치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됨으로써, 소재(1)의 진행위치 데이터가 제어부에 전송되어 제어부가 이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마킹장치를 제어하여 소재(1)의 정확한 진행위치에서 마킹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실측롤러(120)를 가진 실측유닛(100)에 의해 소재(1)의 진행위치를 측정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실측유닛(100)이 고장난 경우에 상술된 펄스발생기를 활용하여 소재(1)의 진행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아울러 실측유닛(100)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 소재(1)의 진행위치에 대한 더블체킹을 통해 소재(1)의 진행위치에 정확한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측부연장축(210)은 엔드바(211), 연동축바(212), 및 단부바(213)가 연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엔드바(211)는 테이블롤러(2)의 롤러축(2a)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연동축바(212)는 연동롤러(220)가 장착고정되며, 엔드바(211)와 기어커플링(218)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기어커플링(218)은 기어가 맞물린 구조로 축연결을 함에 따라, 테이블롤러(2) 롤러축(2a)의 큰 동력을 엔드바(211)로부터 연동축바(212)로 견고하면서도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단부바(213)는 감속기(R)가 장착되며, 상기 연동축바(212)와 타이어커플링 또는 러버커플링(219)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타이어커플링 또는 러버커플링(219)은 측부연장축(210)이 길게 배치됨에 따라, 연동축바(212)와 단부바(213)가 회전중심선이 서로 다소 달라져도 동력전달이 가능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타이어커플링 또는 러버커플링(219)은 장치작동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고 진동을 감소시키는 작용도 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는 실측롤러(120)가 축회전유닛(200)의 연동롤러(220)에 접촉하도록 구성되고 연동롤러(220)에 상시 접촉된 상태로 사용됨으로써, 실측롤러(120)가 소재(1)에 직접 접촉하도록 구성된 기존의 실측장치의 사고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존과 같이 실측롤러(120)가 소재(1)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하강시점의 오차로 인한 소재(1)의 선단부 충돌사고, 소재(1) 평탄도 불량으로 인한 실측롤러(120)와 소재(1) 간의 과충격 발생사고를 방지함에 따라, 정비보수작업에 따른 조업중단없이 소재(1)에 대한 마킹을 정확하면서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소재 2 : 테이블롤러
2a : 롤러축 F : 장치프레임
100 : 실측유닛 110 : 승강실린더
120 : 실측롤러 C : 제어부
200 : 축회전유닛 210 : 측부연장축
211 : 엔드바 212 : 연동축바
213 : 단부바 218 : 기어커플링
219 : 러버커플링 220 : 연동롤러
B : 베어링블록 R : 감속기

Claims (7)

  1. 테이블롤러의 상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장치프레임에 설치되며, 실측롤러를 가진 실측유닛; 및
    상기 실측롤러가 상기 테이블롤러의 회전수를 측정하도록, 상기 테이블롤러의 롤러축에 설치되어 상기 실측롤러와 접촉되는 축회전유닛;
    을 포함하는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회전유닛은,
    상기 테이블롤러의 롤러축과 연결된 측부연장축; 및
    상기 측부연장축에 축회전되게 장착되며, 상기 실측롤러가 연동되어 회전되게 접촉된 연동롤러;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롤러는 상기 테이블롤러의 직경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롤러의 양측에는 각각 상기 측부연장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연장축에는 단부 측으로 감속기와 펄스발생기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며, 상기 펄스발생기는 상기 소재에 마킹하는 마킹장치의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연장축은,
    상기 테이블롤러의 롤러축과 연결된 엔드바;
    상기 연동롤러가 장착고정되며, 상기 엔드바와 기어커플링으로 연결된 연동축바; 및
    상기 감속기가 장착되며, 상기 연동축바와 타이어커플링 또는 러버커플링으로 연결된 단부바;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측유닛은,
    상기 장치프레임에 제공된 승강실린더;
    상기 승강실린더에서 하측으로 배치된 실린더로드의 하단부에 회전되게 장착된 상기 실측롤러; 및
    상기 소재에 마킹하는 마킹장치 및 상기 실측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마킹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KR1020170174948A 2017-12-19 2017-12-19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KR101998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48A KR101998994B1 (ko) 2017-12-19 2017-12-19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948A KR101998994B1 (ko) 2017-12-19 2017-12-19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792A true KR20190073792A (ko) 2019-06-27
KR101998994B1 KR101998994B1 (ko) 2019-07-10

Family

ID=67056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948A KR101998994B1 (ko) 2017-12-19 2017-12-19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89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988B1 (ko) * 2002-03-26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스카핑라인의 슬라브 이동거리 측정장치
KR20090018276A (ko) 2007-08-17 2009-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강재의 라벨링 시스템
KR20100054552A (ko) * 2008-11-14 2010-05-25 세메스 주식회사 이송속도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기판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2988B1 (ko) * 2002-03-26 2008-05-27 주식회사 포스코 스카핑라인의 슬라브 이동거리 측정장치
KR20090018276A (ko) 2007-08-17 2009-02-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강재의 라벨링 시스템
KR20100054552A (ko) * 2008-11-14 2010-05-25 세메스 주식회사 이송속도의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기판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8994B1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9405B1 (ko) 용접 대구경 강관 측정장치
CN102172669A (zh) 水箱拉丝机的自补偿伺服排线装置
CN205852926U (zh) 一种自动横切机
CN104209581A (zh) 带材定长切割装置
KR101998994B1 (ko)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CN204094242U (zh) 带材定长切割装置
EP2815859B1 (en) Slitter positioning arrangement of a slitter-winder of a fiber web production line
CN104191034A (zh) 托板设备及其控制方法
CN110745613A (zh) 一种铝卷生产的纠偏装置
KR101318400B1 (ko) 강재 이송용 계측장치
KR101778075B1 (ko) 실시간 공정데이터 기반의 롤포밍장치
KR101620417B1 (ko) 강판의 형상 측정장치
KR100797960B1 (ko) 강판의 표면형상 및 결함 검출장치
KR200473470Y1 (ko) 샤프트 변형치 측정 장치
CN211055558U (zh) 一种钢卷包装线的塑料袋供料装置
CN214443388U (zh) 一种自动检测工件厚度的剪板机
CN105562830B (zh) 毛刺切削设备
KR100523096B1 (ko) 코일제품의 표면결함 검사장치
US2260103A (en) Automatic cutoff means for flat drawn sheet glass
KR100216111B1 (ko) 압연 가공된 철판코일의 끝처리 및 검사장치
KR20040020664A (ko) 열연코일 내경 처짐 방지장치
KR101504440B1 (ko) 간지 회수장치
US3099954A (en) Tile measuring machine
KR101228677B1 (ko) 판재 터닝장치
CN105983805A (zh) 一种铝型材自动激光定尺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