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3421A -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3421A
KR20190073421A KR1020197013209A KR20197013209A KR20190073421A KR 20190073421 A KR20190073421 A KR 20190073421A KR 1020197013209 A KR1020197013209 A KR 1020197013209A KR 20197013209 A KR20197013209 A KR 20197013209A KR 20190073421 A KR20190073421 A KR 20190073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control
control information
frequency
signal
frequency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9280B1 (ko
Inventor
카즈키 타케다
카즈아키 타케다
사토시 나가타
친 무
리후이 왕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90073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3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72/128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Abstract

기존의 LTE 시스템과 다른 수비학이 이용되는 경우라도, 통신을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변경하여 통신을 제어하는 유저단말에 있어서,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1 하향 제어 정보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폭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2 하향 제어 정보 및/또는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 및/또는 하향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 더욱의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사양화되었다(비특허문헌 1). 또, LTE(LTE Rel. 8 또는 9라고도 한다)로부터의 더욱의 광대역화 및 고속화를 목적으로, LTE-A(LTE 어드밴스트, LTE Rel. 10, 11 또는 12라고도 한다)가 사양화되고, LTE의 후계 시스템(예를 들면, FRA(Future Radio Access),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plus),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New RAT(Radio Access Technology),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LTE Rel. 13, 14 또는 15 이후 등이라고도 한다)도 검토되고 있다.
LTE Rel. 10/11에서는, 광대역화를 도모하기 위해,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를 통합하는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Carrier Aggregation)이 도입되고 있다. 각 CC는, LTE Rel. 8의 시스템 대역을 한 단위로서 구성된다. 또, CA에서는, 동일한 무선기지국(eNB(eNodeB), 기지국(BS: Base Station) 등이라고도 불린다)의 복수의 CC가 유저단말(UE: User Equipment)에 설정된다
한편, LTE Rel. 12에서는, 다른 무선기지국의 복수의 셀 그룹(CG: Cell Group)이 UE에 설정되는 듀얼 커넥티비티(DC: Dual Connectivity)도 도입되고 있다. 각 셀 그룹은, 적어도 하나의 셀(CC)로 구성된다. DC에서는, 다른 무선기지국의 복수의 CC가 통합되기 때문에, DC는, 기지국 간 CA(Inter-eNB CA) 등이라고도 불린다.
또, 기존의 LTE 시스템(LTE Rel. 8-12)에서는, 하향(DL: Downlink) 전송과 상향(UL: Uplink) 전송을 다른 주파수대에서 수행하는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과, 하향 전송과 상향 전송을 같은 주파수대에서 시간적으로 전환하여 수행하는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이 도입되어 있다.
또,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에 기초하는 데이터의 재송 제어가 이용되고 있다. UE 및/또는 기지국은, 송신한 데이터에 관한 송달 확인 정보(HARQ-ACK, ACK/NACK 등이라고도 한다)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재송을 판단한다.
장래의 무선통신시스템(예를 들면, 5G, NR)은, 다양한 무선 통신 서비스를, 각각 다른 요구 조건(예를 들면, 초고속, 대용량, 초저지연 등)을 만족시키도록 실현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5G/NR에서는, eMBB(enhanced Mobile Broad Band), IoT(Internet of Things), mMTC(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M2M(Machine To Machine), URLLC(Ultra Reliable and Low Latency Communications) 등이라 불리는 무선 통신 서비스의 제공가 검토되고 있다.
또, 5G/NR에서는, 유연한 수비학 및 주파수의 이용을 서포트하고, 동적인 프레임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수비학(numerology)이란, 예를 들면, 어느 신호의 송수신에 적용되는 통신 파라미터(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 대역폭 등)를 말한다.
그러나, 기존의 LTE 시스템과 다른 수비학이나 복수의 수비학이 이용되는 경우에 통신의 송수신을 어떻게 제어할지는 정해져 있지 않다. 기존의 LTE 시스템의 제어 수법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상기 경우, 신호의 송수신(예를 들면, 하향 제어 채널의 송신 및/또는 수신 등)이 적절하게 수행되지 않고, 스루풋의 저하 및/또는 소비 전력의 증대 등의 문제가 생길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기존의 LTE 시스템과 다른 수비학이 이용되는 경우라도, 통신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는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은,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변경하여 통신을 제어하는 유저단말에 있어서,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1 하향 제어 정보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폭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2 하향 제어 정보 및/또는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 및/또는 하향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LTE 시스템과 다른 수비학이 이용되는 경우라도, 통신을 적절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하향 제어 채널을 모니터하는 주파수 대역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한 통신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제1 형태에 있어서의 DCI 포맷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한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한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복수의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한 통신 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는, 기지국은, UE에 대해서 하향 제어 채널(예를 들면,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확장 PDCCH(EPDCCH: Enhanced PDCCH) 등)을 이용하여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를 송신한다. 하향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하향 제어 채널을 송신한다고 대체되어도 좋다.
DCI는, 예를 들면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시간·주파수 리소스나 트랜스포트 블록 정보, 데이터 변조 방식 정보, HARQ 재송 정보, 복조용 RS에 관한 정보 등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스케줄링 정보여도 좋다. DL 데이터 수신 및/또는 DL 참조 신호의 측정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DL 어사인먼트 또는 DL 그랜트라 불려도 좋으며, UL 데이터 송신 및/또는 UL 사운딩(측정용) 신호의 송신을 스케줄링하는 DCI는, UL 그랜트라 불려도 좋다. DL 어사인먼트 및/또는 UL 그랜트에는, DL 데이터에 대한 HARQ-ACK 피드백이나 채널 측정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등의 UL 제어 신호(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송신하는 채널의 리소스나 계열, 송신 포맷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또, UL 제어 신호(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를 스케줄링하는 DCI가 DL 어사인먼트 및 UL 그랜트와는 별도로 규정되어도 좋다.
UE는, 소정수의 하향 제어 채널 후보를 포함하는 세트를 모니터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모니터란, 예를 들면, 해당 세트로, 대상이 되는 DCI 포맷에 대해 각 하향 제어 채널의 복호를 시행(試行)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복호는, 블라인드 복호(BD: Blind Decoding), 블라인드 검출이라고도 불린다. 하향 제어 채널 후보는, BD 후보, (E)PDCCH 후보 등이라고도 불린다.
모니터해야 하는 하향 제어 채널 후보의 세트(복수의 하향 제어 채널 후보)는, 서치 스페이스라고도 불린다. 기지국은, 서치 스페이스에 포함되는 소정의 하향 제어 채널 후보에 DCI를 배치한다. UE는, 서치 스페이스 내의 하나 이상의 후보 리소스에 대해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하고, 해당 UE에 대한 DCI를 검출한다. 서치 스페이스는, 유저 간 공통의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 설정되어도 좋으며, 유저 개별의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으로 설정되어도 좋다. 또, 서치 스페이스는, 해당 유저단말에 대해 같은 캐리어에서 2개 이상 설정되어도 좋다.
기존의 LTE에서는, 링크 어댑테이션을 목적으로서, 서치 스페이스에는 복수 종류의 어그리게이션 레벨(AL: Aggregation Level)이 규정된다. AL은, DCI를 구성하는 제어 채널 요소(CCE: Control Channel Element)/확장 제어 채널 요소(ECCE: Enhanced CCE)의 수에 대응된다. 또, 서치 스페이스는, 어느 AL에 대해, 복수의 하향 제어 채널 후보를 갖도록 구성된다. 각 하향 제어 채널 후보는, 하나 이상의 리소스 단위(CCE 및/또는 ECCE)로 구성된다.
DCI에는, 순회 용장 검사(CRC: 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가 부여된다(attached). 해당 CRC는, UE 개별의 식별자(예를 들면, 셀-무선 네트워크 일시 식별자(C-RNTI: 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시스템 공통의 식별자에 의해 마스킹(스크램블)되어 있다. UE는, 자단말에 대응되는 C-RNTI에서 CRC가 스크램블된 DCI 및 시스템 공통의 식별자에 의해 CRC가 스크램블된 DCI를 검출할 수 있다.
또, 서치 스페이스로서는, UE에 공통으로 설정되는 공통(common) 서치 스페이스와, UE마다 설정되는 UE 고유(UE-specific) 서치 스페이스가 있다. 기존의 LTE의 PDCCH의 UE 고유 서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AL(=CCE 수)은, 1, 2, 4 및 8이다. BD 후보수는, AL=1, 2, 4 및 8에 대해, 각각 6, 6, 2 및 2로 규정된다.
그런데, 5G/NR에서는, 유연한 수비학 및 주파수의 이용을 서포트하고, 동적인 프레임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여기서, 수비학이란, 주파수 영역 및/또는 시간 영역에 관한 통신 파라미터(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SCS: Subcarrier Spacing), 대역폭, 심볼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 길이,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 길이, TTI당 심볼 수, 무선 프레임 구성, 필터링 처리, 윈도우 처리 등의 적어도 하나)이다.
예를 들면, 5G/NR에서는, 복수의 수비학을 서포트하고, 다른 서비스에 각각 다른 수비학을 적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지연 삭감을 위해 URLLC용으로 큰 SCS가 이용되고, 소비 전력 삭감을 위해 mMTC용으로 작은 SCS가 이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5G/NR에서는, 예를 들면 최대로 100GHz라는 매우 높은 반송파 주파수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을 수행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반송파 주파수가 증대되면 커버리지를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유로서는, 거리 감쇠가 격해지고 전파의 직진성이 강해지는 것이나, 초광대역 송신을 위해 송신 전력 밀도가 낮아지는 것에 기인한다.
또, 5G/NR에서는, 소정 캐리어에 있어서 항상 시스템 대역 전체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 용도 및/또는 통신 환경 등에 기초하여 소정의 주파수 영역(주파수 대역이라고도 부른다)을 동적 또는 준정적으로 설정하여 통신을 제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 제어 채널(또는, 하향 제어 정보)은, 시스템 대역폭 전체를 이용하여 송신이 수행된다(도 1a 참조). 그 때문에, UE는, 각 서브 프레임에 있어서, DL 데이터의 할당 유무에 상관없이, 시스템 대역폭 전체를 모니터하여 하향 제어 정보의 수신(블라인드 복호)을 수행할 필요가 있었다.
그에 반해, 5G/NR에서는, 어느 UE에 대한 하향 제어 정보를 반드시 시스템 대역 전체에 할당하여 송신하는 것이 아니라, 소정의 주파수 영역을 설정하여 하향 제어 정보의 송신을 제어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도 1b 참조). UE에 설정되는 소정의 주파수 영역은, 컨트롤 서브 밴드(control subband)라고도 불린다.
컨트롤 서브 밴드는, 소정 리소스 단위로 구성되고, 시스템 대역폭(캐리어 대역폭) 이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컨트롤 서브 밴드를, 주파수 방향에 있어서의 하나 또는 복수의 RB(PRB 및/또는 VRB)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RB는 예를 들면 12 서브 캐리어로 이루어진 주파수 리소스 블록 단위를 의미한다. UE는, 컨트롤 서브 밴드의 범위 내에서 하향 제어 정보를 모니터하여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UE는, 하향 제어 정보의 수신 처리에 있어서, 항상 시스템 대역폭 전체를 모니터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으로, 본 발명자들은, UE가 컨트롤 서브 밴드의 범위 내에서 하향 제어 정보를 모니터하여 수신을 제어하는 경우라도, 해당 하향 제어 정보로 스케줄링되는 하향 데이터 및/또는 상향 데이터는, 어느 정도 넓은 대역폭(예를 들면, 컨트롤 서브 밴드보다 넓은 대역폭)에서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점에 착목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하향 제어 정보(또는, 하향 제어 정보)의 할당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폭과, 데이터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설정하여 통신을 제어하는 것에 착목했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UE는, 제1 주파수 대역폭(First RF BW) 내에 할당되는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제1 주파수 대역폭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제2 주파수 대역폭(Second RF BW) 내에 할당되는 하향 제어 정보 및/또는 하향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한다. 무선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채널의 모니터를 UE에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유저단말은, 제1 주파수 대역폭과 제2 주파수 대역폭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 처리를 수행할 때에, RF 대역폭이나 FFT 대역폭 등을 각각에 맞춰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베이스밴드 신호를 맵핑하는 대역폭을 설정하는 것뿐인 경우에 비해, 유저단말의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무선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제1 주파수 대역폭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제2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 및/또는 상향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은, 각각 단독으로 적용되어도 좋으며, 조합하여 적용되어도 좋다.
(제1 형태)
제1 형태에서는, 유저단말(UE)이 모니터하는 주파수 대역폭(RF BW)을 복수 설정하고, 어느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또는, 하향 제어 채널(NR-PDCCH))에 기초하여, 다른 주파수 대역폭 내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처리 및/또는 송신 처리의 일 예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복수의 주파수 대역폭으로서, 제1 주파수 대역폭(First RF BW)과, 제2 주파수 대역폭(Second RF BW)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주파수 대역폭 및/또는 제2 주파수 대역폭은, 컨트롤 서브 밴드(control subband)라 불러도 좋다. 또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폭 및/또는 제2 주파수 대역폭은, 컨트롤 서브 밴드(control subband)와는 별도 설정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 제1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은 제2 주파수 대역의 대역폭 이하(또는, 대역폭 미만)로 할 수 있다. 또, 컨트롤 서브 밴드(control subband)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폭 및/또는 제2 주파수 대역폭 이하(또는, 대역폭 미만)로 할 수 있다. 또한, 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은 2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2는, 제1 주파수 대역폭과 제2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주파수 대역폭 및/또는 제2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한 통신은, 소정의 시간 간격(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서브 슬롯) 등) 단위로 수행할 수 있다.
UE는,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 포함되는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 포함되는 신호의 수신 처리 및/또는 송신 처리를 제어한다. 즉, UE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하는 하향 제어 정보와,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하는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송신을 수행한다(2 스텝 스케줄링). 무선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에 할당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신호의 모니터를 UE에 지시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채널(NR-PDCCH)의 모니터 동작을 유저단말에 설정한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UE에 통지한다. 이때, 무선기지국은,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RRC 시그널링, 알림 신호 등), MAC 제어 정보(MAC CE), 하향 제어 정보의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제1 주파수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UE에 통지한다.
제1 주파수 대역폭에 관한 정보는, 제1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는 장소 및/또는 대역폭(예를 들면, 주파수대, 중심 주파수, 또는 RB 번호 등)이 해당된다.
혹은, 제1 주파수 대역폭은 미리 사양으로 정의해도 좋다. 제1 주파수 대역폭은, 이용하는 주파수대마다, 동기 신호나 브로드캐스트 채널이 송신되는 주파수 대역폭, 주파수 위치, 및/또는 수비학 등에 기초하여 설정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채널의 파라미터를 UE에 통지(설정)해도 좋다. 제2 주파수 대역폭은, 제1 주파수 대역폭보다 넓은 대역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주파수 대역폭(또는,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하향 제어 정보를 할당하는 영역)으로서 복수의 주파수 대역폭을 준비하고, 트래픽량이나 채널 품질 등의 소정 조건에 기초하여 소정의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통신을 제어해도 좋다. 복수의 주파수 대역폭으로서는, 스몰 대역폭, 미들 대역폭, 라지(와이드) 대역폭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제2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하향 제어 채널도 시스템 대역폭 이하의 범위에서 설정해도 좋다.
하향 제어 채널의 송신에 이용하는 심볼(하향 제어 채널을 맵핑하는 심볼)수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 각각 단독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주파수 대역에서는 하향 제어 채널용으로 복수 심볼(예를 들면, 2 심볼) 이용하고, 제2 주파수 대역에서는 하향 제어 채널용으로 1 심볼 이용한다.
대역폭이 제2 주파수 대역보다 작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보다 많은 심볼수를 이용하여 하향 제어 채널의 송신을 수행함으로써, 제1 주파수 대역폭을 좁게 하는 경우라도 하향 제어 채널용 리소스를 확보하고, 제2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 리소스의 이용 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하향 제어 채널에 이용하는 심볼수를 동일하게 설정해도 좋다.
UE는,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제2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하향 제어 채널의 모니터를 지시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 소정 기간 후부터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채널의 모니터를 개시한다.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모니터를 개시하는 타이밍은,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한 시간 간격(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서브 슬롯) 등)의 다음 시간 간격으로 해도 좋으며, 소정 기간 후의 시간 간격으로 해도 좋다.
제2 주파수 대역에서의 모니터를 지시받은 UE는, 소정 횟수(예를 들면, 1회 또는 1 시간 간격)만큼 하향 제어 채널의 모니터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UE가 하향 제어 채널이 다중되는 복수의 시간 간격에 걸쳐 모니터를 수행하는 경우, 모니터 기간을 타이머로 제어해도 좋다. 예를 들면, UE는,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모니터를 지시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한 경우에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해당 타이머가 만료되기까지 사이에 제2 주파수 대역에서 하향 제어 정보의 모니터를 수행한다. 타이머의 만료 후는 재차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의 모니터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제1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모니터를 제어함으로써, UE에 데이터의 할당이 없는 기간에 대해 모니터하는 주파수 대역을 좁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저단말의 수신 동작의 부하를 저감하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의 사용(usage)을 UE에 통지한다. 또, 해당 하향 제어 정보에 제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파라미터)를 포함시켜 유저단말에 통지해도 좋다. 제2 주파수 대역에 관한 정보로서는, 제2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는 장소 및/또는 대역폭(예를 들면, 주파수대, 중심 주파수, 또는 RB 번호 등)에 해당한다.
또, 제2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지시하는 하향 제어 정보는, 기존의 LTE 시스템에서 규정되어 있는 DCI 포맷과는 다른 새로운 DCI 포맷(신규 DCI 포맷)으로 송신해도 좋다. 신규 DCI 포맷의 사이즈는 하향 및/또는 상향(DL/UL)의 스케줄링에 이용하는 DCI 포맷과 같은 사이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신규의 DCI 포맷을 도입하는 경우라도, 블라인드 복호 횟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해당 DCI 포맷은, 유저단말 공통의 식별자에서 CRC를 마스킹(스크램블)된 계열이어도 좋고, 유저단말 개별의 C-RNTI에서 CRC를 마스킹(스크램블)된 계열이어도 좋다.
제2 주파수 대역의 사용(모니터)을 지시하는 하향 제어 정보에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가 부여되지만, 해당 CRC에 대해, 전용의 RNTI를 이용하여 마스킹을 수행해도 좋다. 이로 인해, 제2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지시하는 하향 제어 정보에 대응하는 DCI 포맷과, DL/UL의 스케줄링에 이용하는 DCI 포맷을 구별할 수 있다.
혹은, 제2 주파수 대역의 사용을 지시하는 하향 제어 정보는, DL/UL의 스케줄링에 이용하는 DCI 포맷(예를 들면, 기존의 LTE의 DCI 포맷)에 포함시킨 구성으로 해도 좋다(도 3 참조). 도 3은, 제2 주파수 대역의 모니터를 지시하기 위한 비트 필드(예를 들면, 1 비트 또는 복수 비트)와, DL/UL의 스케줄링에 이용하기 위한 비트 필드와, CRC를 포함하는 DCI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DL/UL의 스케줄링은, 제1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이어도 좋고, 다른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이어도 좋다.
(제2 형태)
제2 형태에서는, 제1 주파수 대역폭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가 다른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면, 제2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DL 데이터(또는, 하향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이, 다른 시간 간격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것을, 크로스 슬롯 스케줄링, 크로스 서브 프레임 스케줄링 등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DL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하향 제어 정보를 이용한 UL 데이터(또는, 상향 공유 채널)의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DL 데이터를 UL 데이터로 바꿔서 상향 데이터 송신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주파수 대역폭과 제2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의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UE는, 제1 주파수 대역폭에 포함되는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DL 데이터의 수신 처리를 제어한다. 무선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폭에 할당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DL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제어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채널의 모니터링 동작을 UE에 설정한다. 또, 무선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채널의 파라미터를 UE에 통지(설정)해도 좋다. 이들의 사항에 대해서는, 상기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어할 수 있다.
UE는,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제2 주파수 대역에 할당되는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 소정 기간 후에 설정되는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하향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한다.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의 수신 타이밍은,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한 시간 간격(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서브 슬롯) 등)의 다음 시간 간격으로 해도 좋으며, 소정 기간 후의 시간 간격으로 해도 좋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제1 주파수 대역폭과 상이한(제1 주파수 대역폭과 서브 세트가 아니다) 다른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 하향 데이터를 스케줄링(크로스 슬롯 스케줄링)할 수 있다. 이 경우, UE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스케줄링된 하향 데이터 직전의 타이밍 및/또는 직후의 타이밍에서 하향 제어 채널을 모니터하여 수신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UE가, 제2 주파수 대역에 스케줄링되는 하향 데이터 직전의 타이밍에서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 할당되는 하향 제어 정보를 모니터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하향 데이터 직전의 타이밍에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는, 다음의 시간 구간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를 스케줄링할 수 있다(크로스 슬롯 스케줄링).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로 제2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하향 데이터가 스케줄링된 UE는, 해당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정보의 모니터링을 소정 횟수(예를 들면, 1회)만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하향 제어 채널이 다중되는 복수의 시간 간격에 걸쳐 모니터링을 수행하는 경우, 모니터링 기간을 타이머로 제어해도 좋다. 예를 들면, UE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타이머를 기동시키고, 해당 타이머가 만료되기까지의 사이에 제2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하향 제어 정보의 모니터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제1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하향 제어 채널의 모니터를 제어함으로써, UE에 데이터의 할당이 없는 기간에 대해 모니터하는 주파수 대역을 좁게 설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UE의 수신 동작의 부하를 저감하고,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주파수 영역과 제2 주파수 대역 간의 전환에 걸리는 시간은, 유저단말의 능력에 따라 다른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유저단말이 미리 자신의 제1 주파수 대역-제2 주파수 대역의 전환에 걸리는 시간에 관한 단말 능력 정보를 통지함으로써, 기지국은 주파수 대역의 전환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3 형태)
제3 형태에서는, UE가 제1 주파수 대역폭 및/또는 제2 주파수 대역폭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잘못 검출한 경우라도 통신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UE는,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이용(모니터)을 지시하는 하향 제어 정보(제1 형태), 또는 크로스 슬롯 스케줄링을 수행하는 하향 제어 정보(제2 형태)를 잘못 검출할 가능성도 생각할 수 있다. UE가 해당 하향 제어 정보를 잘못 검출한 경우, UE는 통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면, 제1 주파수 대역폭과 제2 주파수 대역폭)을 언제 전환할지 판단할 수 없다.
그래서, UE가 제1 주파수 대역 및/또는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하향 제어 정보를 잘못 검출한 경우라도, 통신을 적절하게 수행하기 위해 이하의 어느 하나의 형태 1-4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의 형태 1-4는 단독으로 적용해도 좋으며, 적어도 일부를 조합하여 적용해도 좋다.
<형태 1>
형태 1에서는, UE는,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하향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소정 시간 후부터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채널(하향 제어 정보)의 수신 처리를 개시한 경우(한 후)라도,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채널의 수신 처리를 계속한다. 즉, UE는,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수신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라도,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하향 제어 채널 후보의 모니터(블라인드 복호)를 계속해서 수행한다.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로서는, 제2 주파수 대역의 모니터를 지시하는 하향 제어 정보, 및/또는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데이터를 스케줄링하는 하향 제어 정보에 해당된다.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설정되는 하향 제어 채널 후보에 대한 블라인드 복호 횟수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이 지시되기 전과 같거나 또는 적게 설정할 수 있다. 제1 주파수 대역만 모니터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블라인드 복호 횟수를 저감함으로써, 유저단말에 있어서의 수신 처리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형태 2>
형태 2에서는,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하향 제어 채널이 소정 기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 UE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설정되는 하향 제어 채널 후보를 모니터하도록 제어(폴백)한다. 소정 기간은 고정값으로 해도 좋으며,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 등을 이용하여 UE에 설정해도 좋다. 또, 소정 기간을 타이머에 의해 제어해도 좋다.
이로 인해, 유저단말이 제2 주파수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채널의 수신 처리를 개시하지 않은 경우라도, 기지국은 소정 시간 후에, 제1 주파수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채널 할당을 수행할 수 있고, 접속단을 회피할 수 있다.
<형태 3>
형태 3에서는, UE에 소정의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디폴트 주파수 대역)을 설정한다. UE가 통신을 수행하는 주파수 대역을 식별할 수 없는 경우에 디폴트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 하향 제어 채널의 수신 처리(예를 들면, 블라인드 복호)를 수행한다. 디폴트 주파수 영역은, 제1 주파수 영역으로 해도 좋으며, 소정의 제2 주파수 대역으로 해도 좋다.
<형태 4>
제4 형태에서는, UE에 대한 다른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 지시, 또는 크로스 슬롯 스케줄링이 성공했는지 여부를 UE가 피드백한다.
예를 들면, UE는,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에 대한 송달 확인 신호(HARQ-ACK)를 피드백한다. 무선기지국은, 제2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데이터에 대한 HARQ-ACK에 기초하여, UE가 제2 주파수 대역의 모니터(또는,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를 수행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UE로부터 ACK가 피드백된 경우, 무선기지국은, UE가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또, UE로부터 NACK가 피드백된 경우, 무선기지국은, UE가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고 있지만 데이터를 잘못 수신하고 있거나, 혹은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정보를 잘못 검출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UE가 제2 주파수대를 모니터하지 않고, 제2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되는 DL 데이터에 대한 HARQ-ACK를 피드백하지 않는 경우, 무선기지국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설정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의 지시, 또는 크로스 슬롯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은, 주파수 영역이 중복되도록 설정하는 경우(도 5, 도 6)를 나타냈지만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의 설정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은, 다른 캐리어로 설정해도 좋으며, 동일 캐리어 내의 다른 서브 밴드로 설정해도 좋다.
도 5, 도 6은,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을 다른 캐리어로 설정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는,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의 모니터를 지시하는 형태(제1 형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제1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제2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제어하는 형태(제2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제1 주파수 대역폭과 제2 주파수 대역폭은 각각 독립하여 설정해도 좋으며, 같게 해도 좋다. 또,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이 설정되는 주파수대에 기초하여, 일방의 주파수 대역폭을 타방의 주파수 대역폭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주파수 대역과 제2 주파수 대역을, 다른 캐리어로 설정해도 좋으며, 동일 캐리어 내의 다른 서브 밴드로 설정함으로써, 제1 주파수 대역에 한정되지 않는 위치에 제2 주파수 대역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무선통신시스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각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통신이 수행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개략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LTE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예를 들면, 20MHz)을 1 단위로 하는 복수의 기본 주파수 블록(컴포넌트 캐리어)을 일체로 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 및/또는 듀얼 커넥티비티(DC)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시스템(1)은,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등이라 불려도 좋으며, 이들을 실현하는 시스템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은, 비교적 커버리지가 넓은 매크로 셀(C1)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1)과, 매크로 셀(C1) 내에 배치되고, 매크로 셀(C1)보다도 좁은 스몰 셀(C2)을 형성하는 무선기지국(12(12a-12c))을 구비하고 있다. 또, 매크로 셀(C1) 및 각 스몰 셀(C2)에는, 유저단말(20)이 배치되어 있다. 각 셀 및 유저단말(20)의 배치는, 도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저단말(20)은, 무선기지국(11) 및 무선기지국(12)의 쌍방에 접속할 수 있다. 유저단말(20)은, 매크로 셀(C1) 및 스몰 셀(C2)을, CA 또는 DC에 의해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상정된다. 또, 유저단말(20)은, 복수의 셀(CC)(예를 들면, 5개 이하의 CC, 6개 이상의 CC)을 이용하여 CA 또는 DC를 적용해도 좋다.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2GHz)으로 대역폭이 좁은 캐리어(기존 캐리어, legacy carrier 등이라 불린다)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유저단말(20)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예를 들면, 3.5GHz, 5GHz 등)으로 대역폭이 넓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으며, 무선기지국(11)과의 사이와 같은 캐리어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각 무선기지국이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기지국(11)과 무선기지국(12)과의 사이(또는, 2개의 무선기지국(12) 사이)는, 유선 접속(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 파이버, X2 인터페이스 등) 또는 무선 접속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11) 및 각 무선기지국(12)은, 각각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고, 상위국 장치(30)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40)에 접속된다. 또한, 상위국 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각 무선기지국(12)은, 무선기지국(11)을 통해 상위국 장치(30)에 접속되어도 좋다.
또한, 무선기지국(11)은, 상대적으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매크로 기지국, 집약 노드, eNB(eNodeB), gNB,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2)은, 국소적인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기지국이며, 스몰 기지국, 마이크로 기지국, 피코 기지국, 펨토 기지국, HeNB(Home eNodeB), RRH(Remote Radio Head), 송수신 포인트 등이라 불려도 좋다. 이하, 무선기지국(11 및 12)을 구별하지 않는 경우는, 무선기지국(10)이라 총칭한다.
각 유저단말(20)은, LTE, LTE-A 등의 각종 통신 방식에 대응된 단말이며, 이동 통신 단말(이동국)뿐 아니라 고정 통신 단말(고정국)을 포함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OF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이 적용되고, 상향링크에 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SC-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이 적용된다.
OFDMA는, 주파수 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 대역(서브 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 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 대역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 방식이다. 또한, 상향 및 하향의 무선 액세스 방식은, 이들의 조합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무선 액세스 방식이 이용되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셀 내 및/또는 셀 간에서 다른 수비학이 적용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수비학이란, 예를 들면, 어느 신호의 송수신에 적용되는 통신 파라미터(예를 들면, 서브 캐리어 간격, 대역폭 등)를 말한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하향링크의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하향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Physical Broadcast Channel), 하향 L1/L2 제어 채널 등이 이용된다. PD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SIB(System Information Block) 등이 전송된다. 또, PBCH에 의해, MIB(Master Information Block)가 전송된다.
하향 L1/L2 제어 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PDCCH(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 등을 포함한다. PDCCH에 의해, PDSCH 및 PUSCH의 스케줄링 정보를 포함하는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등이 전송된다. PCFICH에 의해, PDCCH에 이용하는 OFDM 심볼수가 전송된다. PHICH에 의해, PUSCH에 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의 송달 확인 정보(예를 들면, 재송 제어 정보, HARQ-ACK, ACK/NACK 등이라고도 한다)가 전송된다. EPDCCH는, PDSCH(하향 공유 데이터 채널)과 주파수 분할 다중되고, PDCCH와 마찬가지로 DCI 등의 전송에 이용된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상향링크의 채널로서, 각 유저단말(20)에서 공유되는 상향 공유 채널(PUSCH: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향 제어 채널(PUCCH: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랜덤 액세스 채널(PRACH: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등이 이용된다.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상위 레이어 제어 정보 등이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하향링크의 무선 품질 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송달 확인 정보 등이 전송된다. PRACH에 의해, 셀과의 접속 확립을 위한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이 전송된다.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하향 참조 신호로서, 셀 고유 참조 신호(CRS: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복조용 참조 신호(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위치 결정 참조 신호(PRS: Positioning Reference Signal) 등이 전송된다. 또, 무선통신시스템(1)에서는, 상향 참조 신호로서는, 측정용 참조 신호(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복조용 참조 신호(DMRS) 등이 전송된다. 또한, DMRS는 유저단말 고유 참조 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라 불려도 좋다. 또, 전송되는 참조 신호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무선기지국)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무선기지국(1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102)와, 송수신부(1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와, 호 처리부(10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101), 앰프부(102), 송수신부(1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하향링크에 의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유저단말(20)로 송신되는 유저 데이터는, 상위국 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유저 데이터에 관해,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레이어의 처리, 유저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 제어 등의 RLC 레이어의 송신 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 제어(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프리코딩 처리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에 전송된다. 또, 하향 제어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 처리가 수행되어, 송수신부(103)에 전송된다.
송수신부(1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부터 안테나마다 프리코딩하여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1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1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101)로부터 송신된다. 송수신부(1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리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1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한편, 상향 신호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103)는 앰프부(102)에서 증폭된 상향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1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로 출력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서는, 입력된 상향 신호에 포함되는 유저 데이터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FFT: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역이산 푸리에 변환(IDFT: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오류 정정 복호, MAC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RLC 레이어 및 PDCP 레이어의 수신 처리가 이루어지고,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를 통해 상위국 장치(30)로 전송된다. 호 처리부(105)는, 통신 채널의 호 처리(설정, 해방 등), 무선기지국(10)의 상태 관리, 무선리소스의 관리 등을 수행한다.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소정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위국 장치(3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 전송로 인터페이스(106)는, 기지국 간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CPRI(Common Public Radio Interface)에 준거한 광 파이버,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무선기지국(10)과 신호를 송수신(백홀 시그널링)해도 좋다.
송수신부(103)는,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1 하향 제어 정보와, 해당 제1 주파수 대역폭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2 하향 제어 정보 및/또는 하향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 송수신부(103)는, 제2 주파수 대역폭의 모니터를 지시하는 정보, 제1 주파수 대역폭에 관한 정보, 제2 주파수 대역폭에 관한 정보 등을 송신한다.
또, 송수신부(103)는, 예를 들면, 소정의 수비학의 서치 스페이스에 관한 정보, 복수의 수비학의 신호의 다중 구성에 관한 정보, 복수의 수비학의 서치 스페이스의 다중 구성에 관한 정보, 네트워크에서 서포트되는 수비학에 관한 정보 등을, 유저단말(20)에 대해 송신해도 좋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예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무선기지국(10)은, 무선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는, 제어부(스케줄러)(301)와, 송신신호 생성부(302)와, 맵핑부(303)와, 수신신호 처리부(304)와, 측정부(305)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은, 무선기지국(10)에 포함되어 있으면 되며,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에 포함되지 않아도 좋다.
제어부(스케줄러)(301)는, 무선기지국(1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3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3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302)에 의한 신호의 생성이나, 맵핑부(303)에 의한 신호의 할당 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수신신호 처리부(304)에 의한 신호의 수신 처리, 측정부(305)에 의한 신호의 측정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시스템 정보, 하향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DSCH에서 송신되는 신호), 하향 제어 신호(예를 들면, PDCCH 및/또는 EPDCCH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스케줄링(예를 들면, 리소스 할당)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상향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송 제어의 필요여부를 판정한 결과 등에 기초하여, 하향 제어 신호(예를 들면, 송달 확인 정보 등), 하향 데이터 신호 등의 생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301)는, 동기 신호(예를 들면,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하향 참조 신호(예를 들면, CRS, CSI-RS, DMRS) 등의 스케줄링의 제어를 수행한다.
또, 제어부(301)는, 상향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USCH에서 송신되는 신호), 상향 제어 신호(예를 들면, PUCCH 및/또는 PUSCH에서 송신되는 신호), PRACH에서 송신되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 상향 참조 신호 등의 스케줄링을 제어한다.
제어부(301)는, 유저단말에 대해 복수의 주파수 대역폭을 설정하여 통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2 주파수 대역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정보의 모니터 및/또는 데이터의 스케줄링을 지시하는 하향 제어 정보를, 해당 제2 주파수 대역폭보다 대역폭이 좁은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한다(도 2, 도 4-6). 또, 제1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하향 제어 정보를 소정의 DCI 포맷을 적용하여 송신을 제어한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 신호(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하향 참조 신호 등)를 생성하여, 맵핑부(3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302)는, 예를 들면,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하향 신호의 할당 정보를 통지하는 DL 어사인먼트 및 상향 신호의 할당 정보를 통지하는 UL 그랜트를 생성한다. 또, 하향 데이터 신호에는, 각 유저단말(20)로부터의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 부호화율, 변조 방식 등에 따라 부호화 처리, 변조 처리가 수행된다.
맵핑부(303)는, 제어부(3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302)에서 생성된 하향 신호를, 소정의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130)로 출력한다. 맵핑부(3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송수신부(103)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는, 예를 들면, 유저단말(20)로부터 송신되는 상향 신호(상향 제어 신호, 상향 데이터 신호, 상향 참조 신호 등)이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 처리로 인해 복호된 정보를 제어부(301)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HARQ-ACK를 포함하는 PUCCH를 수신한 경우, HARQ-ACK를 제어부(301)로 출력한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304)는, 수신 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305)로 출력한다.
측정부(305)는, 수신한 신호에 관한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부(30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측정부(305)는, 예를 들면,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 상향 전파로 정보(예를 들면, CSI) 등에 대해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301)로 출력되어도 좋다.
(유저단말)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전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유저단말(20)은, 복수의 송수신 안테나(201)와, 앰프부(202)와, 송수신부(203)와,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와, 애플리케이션부(20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수신 안테나(201), 앰프부(202), 송수신부(203)는, 각각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면 좋다.
송수신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다. 송수신부(203)는, 앰프부(202)에서 증폭된 하향 신호를 수신한다. 송수신부(203)는, 수신 신호를 베이스밴드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출력한다. 송수신부(2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트랜스미터/리시버, 송수신 회로 또는 송수신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송수신부(203)는, 일체의 송수신부로서 구성되어도 좋으며, 송신부 및 수신부로 구성되어도 좋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입력된 베이스밴드 신호에 대해, FFT 처리, 오류 정정 복호, 재송 제어의 수신 처리 등을 수행한다. 하향링크의 유저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된다. 애플리케이션부(205)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브로드캐스트 정보도 애플리케이션부(205)로 전송된다.
한편, 상향링크의 유저 데이터에 대해서는, 애플리케이션부(2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서는, 재송 제어의 송신 처리(예를 들면, HARQ의 송신 처리)나, 채널 부호화, 프리코딩, 이산 푸리에 변환(Discrete Fourier Transform) 처리, IFFT 처리 등이 이루어져 송수신부(203)로 전송된다. 송수신부(203)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 주파수대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송수신부(203)에서 주파수 변환된 무선 주파수 신호는, 앰프부(202)에 의해 증폭되고, 송수신 안테나(201)로부터 송신된다.
송수신부(203)는,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1 하향 제어 정보와, 해당 제1 주파수 대역폭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2 하향 제어 정보 및/또는 하향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 송수신부(203)는, 제2 주파수 대역폭의 모니터를 지시하는 정보, 제1 주파수 대역폭에 관한 정보, 제2 주파수 대역폭에 관한 정보 등을 수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단말의 기능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 부분의 기능 블록을 주로 나타내고 있으며, 유저단말(20)은, 무선 통신에 필요한 다른 기능 블록도 갖고 있는 것으로 한다.
유저단말(20)이 갖는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는, 제어부(401)와, 송신신호 생성부(402)와, 맵핑부(403)와, 수신신호 처리부(404)와, 측정부(405)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구성은, 유저단말(20)에 포함되어 있으면 되고, 일부 또는 전부의 구성이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204)에 포함되지 않아도 된다.
제어부(401)는, 유저단말(20) 전체의 제어를 실시한다. 제어부(401)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컨트롤러, 제어 회로 또는 제어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401)는,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에 의한 신호의 생성이나, 맵핑부(403)에 의한 신호의 할당 등을 제어한다. 또, 제어부(401)는, 수신신호 처리부(404)에 의한 신호의 수신 처리나, 측정부(405)에 의한 신호의 측정을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제어 신호(예를 들면, PDCCH/EPDCCH에서 송신된 신호) 및 하향 데이터 신호(예를 들면, PDSCH에서 송신된 신호)를, 수신신호 처리부(404)로부터 취득한다. 제어부(401)는, 하향 제어 신호 및/또는 하향 데이터 신호에 대한 재송 제어의 필요여부를 판정한 결과 등에 기초하여, 상향 제어 신호(예를 들면, 송달 확인 정보 등) 및/또는 상향 데이터 신호의 생성을 제어한다.
제어부(401)는,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1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 및/또는 하향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01)는,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 할당되는 제1 하향 제어 정보의 모니터를 제어함과 동시에, 제1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 할당되는 제2 하향 제어 정보의 모니터를 제어한다(도 2 참조). 제1 하향 제어 정보는, 제2 주파수 대역폭의 모니터를 지시하는 정보 및/또는 제2 주파수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도 3 참조).
혹은, 제어부(401)는, 제1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 할당되는 하향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한다(도 4 참조). 또, 제어부(401)는, 제1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1 하향 제어 정보를 모니터하도록 제어해도 좋다. 또, 제어부(401)는, 제1 주파수 대역폭과 제2 주파수 대역폭에서 송신되는 신호의 수신 처리를 수행할 때에, RF 대역폭이나 FFT 대역폭 등을 각각 맞춰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베이스밴드 신호를 맵핑하는 대역폭을 설정하는 것뿐인 경우와 비교하여, 유저단말의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 신호(상향 제어 신호, 상향 데이터 신호, 상향 참조 신호 등)를 생성하여, 맵핑부(403)로 출력한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생성기, 신호 생성 회로 또는 신호 생성 장치로 할 수 있다.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예를 들면,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달 확인 정보, 채널 상태 정보(CSI) 등에 관한 상향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향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송신신호 생성부(402)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통지되는 하향 제어 신호에 UL 그랜트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401)로부터 상향 데이터 신호의 생성을 지시받는다.
맵핑부(403)는, 제어부(401)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송신신호 생성부(402)에서 생성된 상향 신호를 무선 리소스에 맵핑하여, 송수신부(203)로 출력한다. 맵핑부(403)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맵퍼, 맵핑 회로 또는 맵핑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송수신부(203)로부터 입력된 수신 신호에 대해, 수신 처리(예를 들면, 디맵핑, 복조, 복호 등)를 수행한다. 여기서, 수신 신호는,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되는 하향 신호(하향 제어 신호, 하향 데이터 신호, 하향 참조 신호 등)이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신호 처리기, 신호 처리 회로 또는 신호 처리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를 구성할 수 있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처리에 의해 복호된 정보를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트 정보, 시스템 정보, RRC 시그널링, DCI 등을, 제어부(401)로 출력한다. 또, 수신신호 처리부(404)는, 수신 신호 및/또는 수신 처리 후의 신호를, 측정부(405)로 출력한다.
측정부(405)는, 수신한 신호에 관한 측정을 실시한다. 예를 들면, 측정부(405)는, 무선기지국(10)으로부터 송신된 하향 참조 신호를 이용하여 측정을 실시한다. 측정부(40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술 분야에서의 공통 인식에 기초하여 설명되는 측정기, 측정 회로 또는 측정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측정부(405)는, 예를 들면,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예를 들면, RSRP), 수신 품질(예를 들면, RSRQ, 수신 SINR), 하향 전파로 정보(예를 들면, CSI) 등에 대해 측정해도 좋다. 측정 결과는, 제어부(401)로 출력되어도 좋다.
(하드웨어 구성)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설명에 이용한 블록도는, 기능 단위의 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의 기능 블록(구성부)는,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또, 각 기능 블록의 실현 수단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기능 블록은,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결합한 하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으며, 물리적 및/또는 논리적으로 분리한 2개 이상의 장치를 직접적 및/또는 간접적(예를 들면, 유선 및/또는 무선)으로 접속하고, 이들 복수의 장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 유저단말 등은,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방법의 처리를 수행하는 컴퓨터로서 기능해도 좋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상술한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물리적으로는,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스토리지(1003), 통신장치(1004), 입력장치(1005), 출력장치(1006), 버스(1007) 등을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로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치'라는 문언은, 회로, 디바이스, 유닛 등으로 대체할 수 있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각 장치를 하나 또는 복수 포함하도록 구성되어도 좋으며, 일부의 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하나만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프로세서가 있어도 좋다. 또, 처리는, 하나의 프로세서로 실행되어도 좋으며, 처리가 동시에, 축차적으로, 또는 그 외의 수법으로, 1 이상의 프로세서로 실행되어도 좋다. 또한, 프로세서(1001)는, 1 이상의 칩으로 실장되어도 좋다.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에 있어서의 각 기능은,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 메모리(1002) 등의 하드웨어 상에 소정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읽어들임으로써, 프로세서(1001)가 연산을 수행하고, 통신장치(1004)에 의한 통신을 제어하거나, 메모리(1002) 및 스토리지(1003)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독출 및/또는 쓰기를 제어하거나 함으로써 실현된다.
프로세서(1001)는, 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동작시켜 컴퓨터 전체를 제어한다. 프로세서(100)는, 주변 장치와의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연산장치, 레지스터 등을 포함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베이스밴드 신호 처리부(104(204)), 호 처리부(105)등은, 프로세서(1001)에서 실현되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는,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데이터 등을, 스토리지(1003) 및/또는 통신장치(1004)로부터 메모리(1002)에 독출하고, 이들에 따라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이용된다. 예를 들면, 유저단말(20)의 제어부(401)는, 메모리(1002)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001)에서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실현되어도 좋고, 다른 기능 블록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실현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PROM), RAM(Random Access Memory), 그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메모리(1002)는, 레지스터, 캐시, 메인 메모리(주기억장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메모리(100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프로그램 코드), 소프트웨어 모듈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1003)는, 컴퓨터 읽기 가능한 기록매체이며, 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예를 들면, 콤팩트 디스크(CD-ROM(Compact Disc ROM) 등), 디지털 다용도 디스크, Blu-ray(등록 상표) 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하드디스크 드라이버, 스마트 카드,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예를 들면,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자기 스트라이프, 데이터베이스, 서버, 그 외의 적절한 기억매체의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어도 좋다. 스토리지(1003)는, 보조기억장치라 불려도 좋다.
통신장치(1004)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 간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송수신 디바이스)이며,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바이스, 네트워크 컨트롤러, 네트워크 카드, 통신 모듈 등이라고도 한다. 통신장치(1004)는, 예를 들면 주파수 분할 이중통신(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및/또는 시분할 이중통신(TDD: Time Division Duplex)을 실현하기 위해, 고주파 스위치, 듀플렉서, 필터, 주파수 신시사이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송수신 안테나(101(201)), 앰프부(102(202)), 송수신부(103(203)), 전송로 인터페이스(106) 등은, 통신장치(1004)로 실현되어도 좋다.
입력장치(1005)는,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입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스위치, 버튼, 센서 등)이다. 출력장치(1006)는, 외부로의 출력을 실시하는 출력 디바이스(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스피커, LED(Light Emitting Diode) 램프 등)이다. 또한, 입력장치(1005) 및 출력장치(1006)는, 일체로 된 구성(예를 들면, 터치패널)이어도 좋다.
또, 프로세서(1001)나 메모리(1002) 등의 각 장치는, 정보를 통신하기 위한 버스(1007)로 접속된다. 버스(1007)는, 단일의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으며, 장치 간에 다른 버스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무선기지국(10) 및 유저단말(2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좋고,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실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001)는, 이들의 하드웨어의 적어도 하나로 실장되어도 좋다.
(변형예)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용어 및/또는 본 명세서의 이해에 필요한 용어에 대해서는, 동일한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갖는 용어와 치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채널 및/또는 심볼은 신호(시그널링)이어도 좋다. 또, 신호는 메시지여도 좋다. 참조 신호는, RS(Reference Signal)이라 약칭할 수 있고, 적용되는 표준에 의해 파일럿(Pilot), 파일럿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컴포넌트 캐리어(CC: Component Carrier)는, 셀, 주파수 캐리어, 캐리어 주파수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무선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기간(프레임)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해당 하나 또는 복수의 각 기간(프레임)은, 서브 프레임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서브 프레임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슬롯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서브 프레임은, 수비학에 의존하지 않는 고정의 시간 길이(예를 들면, 1ms)이어도 좋다.
또한,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볼(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볼 등)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슬롯은, 수비학에 기초하는 시간 단위여도 좋다. 또, 슬롯은, 복수의 미니 슬롯을 포함해도 좋다. 각 미니 슬롯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 미니 슬롯은, 서브 슬롯이라 불려도 좋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볼은, 모두 신호를 전송할 때의 시간 단위를 나타낸다.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볼은, 각각에 대응되는 다른 호칭이 이용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 서브 프레임이 송신 시간 간격(TTI: 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불려도 좋으며, 복수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이 TTI라 불려도 좋으며,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려도 좋다. 즉, 서브 프레임 및/또는 TTI는, 기존의 LTE에 있어서의 서브 프레임(1ms)이어도 좋으며, 1ms보다 짧은 기간(예를 들면, 1-13 심볼)이어도 좋으며, 1ms보다 긴 기간이어도 좋다. 또한, TTI를 나타내는 단위는, 서브 프레임이 아니라 슬롯, 미니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여기서, TTI는, 예를 들면,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말한다. 예를 들면, LTE 시스템에서는, 무선기지국이 각 유저단말에 대해, 무선 리소스(각 유저단말에 있어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주파수 대역폭이나 송신전력 등)을, TTI 단위로 할당하는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또한, TTI의 정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TTI는, 채널 부호화된 데이터 패킷(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워드의 송신 시간 단위여도 좋으며, 스케줄링, 링크 어댑테이션 등의 처리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한, TTI가 부여되었을 때, 실제로 트랜스포트 블록, 코드 블록, 및/또는 코드워드가 맵핑되는 시간 구간(예를 들면, 심볼수)는, 해당 TTI보다도 짧아도 좋다.
또한, 1 슬롯 또는 1 미니 슬롯이 TTI라 불리는 경우, 1 이상의 TTI(즉, 1 이상의 슬롯 또는 1 이상의 미니 슬롯)가,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가 되어도 좋다. 또, 해당 스케줄링의 최소 시간 단위를 구성하는 슬롯수(미니 슬롯수)는 제어되어도 좋다.
1ms의 시간 길이를 갖는 TTI를, 통상 TTI(LTE Rel.8-12에 있어서의 TTI), 노멀 TTI, 롱 TTI, 통상 서브 프레임, 노멀 서브 프레임, 또는 롱 서브 프레임 등이라 불러도 좋다. 통상 TTI보다 짧은 TTI는, 단축 TTI, 쇼트 TTI, 부분 TTI(partial 또는 fractional TTI), 단축 서브 프레임, 쇼트 서브 프레임, 미니 슬롯, 또는, 서브 슬롯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한, 롱 TTI(예를 들면, 통상 TTI, 서브 프레임 등)는, 1ms를 초과하는 시간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으며, 쇼트 TTI(예를 들면, 단축 TTI 등)는, 롱 TTI의 TTI 길이 미만 그리고 1ms 이상의 TTI 길이를 갖는 TTI로 대체해도 좋다.
리소스 블록(RB: Resource Block)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의 리소스 할당 단위이며,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연속된 부반송파(서브 캐리어(subcarrier))를 포함해도 좋다. 또, RB는, 시간 영역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심볼을 포함해도 좋으며, 1 슬롯, 1 미니 슬롯, 1 서브 프레임 또는 1TTI의 길이여도 좋다. 1TTI, 1 서브 프레임은,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하나 또는 복수의 RB는, 물리 리소스 블록(PRB: Physical RB), 서브 캐리어 그룹(SCG: Sub-Carrier Group), 리소스 엘리먼트 그룹(REG: Resource Element Group), PRB 페어, RB 페어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리소스 블록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소스 엘리먼트(RE: Resource Element)로 구성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1RE는, 1 서브 캐리어 및 1 심볼의 무선 리소스 영역이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슬롯, 미니 슬롯 및 심볼 등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다. 예를 들면,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 프레임의 수, 서브 프레임 또는 무선 프레임당의 슬롯의 수, 슬롯 내에 포함되는 미니 슬롯의 수, 슬롯 또는 미니 슬롯에 포함되는 심볼 및 RB의 수, RB에 포함되는 서브 캐리어의 수, 및 TTI 내의 심볼 수, 심볼 길이, 사이클릭 프리픽스(CP: Cyclic Prefix) 길이 등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파라미터 등은, 절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소정의 값으로의 상대값으로 나타내어져도 좋으며, 대응되는 다른 정보로 나타내어져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 리소스는, 소정의 인덱스로 지시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들의 파라미터를 사용하는 수식 등은,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개시한 것과 달라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파라미터 등에 사용하는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채널(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등) 및 정보 요소는, 모든 바람직한 명칭에 의해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의 다양한 채널 및 정보 요소에 할당하고 있는 다양한 명칭은, 어떠한 점에 있어서도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정보, 신호 등은, 다양한 다른 기술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설명 전체에 걸쳐 언급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 코맨드, 정보, 신호, 비트, 심볼, 칩 등은, 전압, 전류, 전자파, 자계 혹은 자성 입자, 광학장(optical field) 혹은 광자,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어도 좋다.
또, 정보, 신호 등은, 상위 레이어로부터 하위 레이어, 및/또는 하위 레이어로부터 상위 레이어로 출력될 수 있다. 정보, 신호 등은,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입출력되어도 좋다.
입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특정한 장소(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되어도 좋으며,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해도 좋다. 입출력되는 정보, 신호 등은, 덮어쓰기, 갱신 또는 추가가 될 수 있다. 출력된 정보, 신호 등은, 삭제되어도 좋다. 입력된 정보, 신호 등은, 다른 장치로 송신되어도 좋다.
정보의 통지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형태/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법으로 수행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의 통지는,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하향 제어 정보(DCI: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상향 제어 정보(UCI: Uplink Control Information)), 상위 레이어 시그널링(예를 들면,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브로드캐스트 정보(마스터 정보 블록(MIB: Master Information Block), 시스템 정보 블록(SIB: System Information Block) 등), MAC(Medium Access Control) 시그널링), 그 외의 신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시되어도 좋다.
또한, 물리 레이어 시그널링은, L1/L2(Layer 1/Layer 2) 제어 정보(L1/L2 제어 신호), L1 제어 정보(L1 제어 신호) 등이라 불려도 좋다. 또, RRC 시그널링은, RRC 메시지라 불려도 좋으며, 예를 들면, RRC 접속 셋업(RRCConnectionSetup) 메시지, RRC 접속 재구성(RRCConnectionReconfiguration) 메시지 등이어도 좋다. 또, MAC 시그널링은, 예를 들면, MAC 제어 요소(MAC CE(Control Element))로 통지되어도 좋다.
또, 소정의 정보의 통지(예를 들면, 'X인 것'의 통지)는, 명시적으로 수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암시적(예를 들면, 해당 소정의 정보의 통지를 수행하지 않는 것에 의해 또는 다른 정보의 통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판정은, 1 비트로 표현되는 값(0인지 1인지)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진(true) 또는 위(false)로 표현되는 진위값(boolean)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으며, 수치의 비교(예를 들면, 소정의 값과의 비교)에 의해 수행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미들웨어, 마이크로 코드, 하드웨어 기술 언어라 불리든, 다른 명칭으로 불리든 상관없이, 명령, 명령 세트, 코드, 코드 세그먼트,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서브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모듈,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루틴, 서브 루틴, 오브젝트, 실행 가능 파일, 실행 스레드, 수순, 기능 등을 의미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또, 소프트웨어, 명령, 정보 등은, 전송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가, 유선 기술(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트위스트 페어,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 Digital Subscriber Line) 등) 및/또는 무선 기술(적외선, 마이크로파 등)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리모트 소스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이들의 유선 기술 및/또는 무선 기술은, 전송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 및 '네트워크'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지국(BS: Base Station)', '무선기지국', 'eNB', '셀', '섹터', '셀 그룹', '캐리어' 및 '컴포넌트 캐리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은, 하나 또는 복수(예를 들면, 3개)의 셀(섹터라고도 불린다)을 수용할 수 있다. 기지국이 복수의 셀을 수용하는 경우, 기지국의 커버리지 에어리어 전체는 복수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보다 작은 에어리어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예를 들면, 실내용 소형 기지국(RRH: Remote Radio Head)에 의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셀' 또는 '섹터'라는 용어는, 이 커버리지에 있어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지국 및/또는 기지국 서브 시스템의 커버리지 에어리어의 일부 또는 전체를 가리킨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국(MS: Mobile Station)', '유저단말(user terminal)',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 및 '단말'이라는 용어는,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고정국(fixed staton), NodeB, eNodeB(eNB),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송신 포인트, 수신 포인트, 펨토 셀, 스몰 셀 등의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이동국은, 당업자에 따라, 가입자국, 모바일 유닛, 가입자 유닛, 와이어리스 유닛, 리모트 유닛, 모바일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디바이스, 와이어리스 통신 디바이스, 리모트 디바이스, 모바일 가입자국, 액세스 단말, 모바일 단말, 와이어리스 단말, 리모트 단말, 핸드셋, 유저 에이전트, 모바일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 또는 몇 가지의 다른 적절한 용어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무선기지국은, 유저단말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무선기지국 및 유저단말 사이의 통신을, 복수의 유저단말 간(D2D: Device-to-Device)의 통신으로 치환한 구성에 대해, 본 발명의 각 형태/실시형태를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기능을 유저단말(2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향'이나 '하향' 등의 문언은, '사이드'로 대체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향 채널은, 사이드 채널로 대체되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유저단말은, 무선기지국으로 대체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유저단말(20)이 갖는 기능을 무선기지국(10)이 갖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그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기지국을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 있어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은, 기지국, 기지국 이외의 1 이상의 네트워크 노드(예를 들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또는 S-GW(Serving-Gateway) 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좋으며, 조합하여 이용해도 좋으며, 실행에 따라 전환하여 이용해도 좋다. 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의 처리 수순, 시퀀스, 흐름도 등은, 모순이 없는 한, 순서를 바꿔도 좋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방법에 대해서는, 예시적인 순서로 다양한 단계의 요소를 제시하고 있으며, 제시된 특정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각 형태/실시형태는,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LTE-B(LTE-Beyond), SUPER 3G, IMT-Advanced, 4G(4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5G(5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RA(Future Radio Access), New-RAT(Radio Access Technology), NR(New Radio), NX(New radio access), FX(Future generation radio access, GSM(등록 상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2000, UMB(Ultra Mobile Broadband), IEEE 802.11(Wi-Fi(등록 상표)), IEEE 802.16(WiMAX(등록 상표)), IEEE 802.20, UWB(Ultra-WideBand), Bluetooth(등록 상표), 그 외의 적절한 무선 통신 방법을 이용하는 시스템 및/또는 이들에 기초하여 확장된 차세대 시스템에 적용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각별히 명기되어 있지 않은 한, '에만 기초하여'를 의미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에 기초하여'라는 기재는, '에만 기초하여'와 '에 적어도 기초하여'의 양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제1', '제2' 등의 호칭을 사용한 요소에 대한 어떠한 참조도, 그들의 요소의 양 또는 순서를 전반적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의 호칭은, 2개 이상의 요소 간을 구별하는 편리한 방법으로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요소의 참조는, 2개의 요소만이 채용될 수 있는 것 또는 어떠한 형태로 제1 요소가 제2 요소에 선행해야 하는지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판단(결정)(determining)'이라는 용어는, 다종 다양한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판단(결정)'은, 계산(calculating), 산출(computing), 처리(processing), 도출(deriving), 조사(investigation), 탐색(looking up)(예를 들면, 테이블, 데이터베이스 또는 다른 데이터 구조에서의 탐색), 확인(ascertain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수신(receiving)(예를 들면, 정보를 수신하는 것), 송신(transmitting)(예를 들면, 정보를 송신하는 것), 입력(input), 출력(output), 액세스(accessing)(예를 들면, 메모리 안의 데이터에 액세스 하는 것) 등을 '판단(결정)'했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또, '판단(결정)'은, 해결(resolving), 선택(selection), 선정(choosing), 확립(establishing), 비교(comparing) 등을 '판단(결정)'하는 것이라고 간주되어도 좋다. 즉, '판단(결정)'은, 어떠한 동작을 '판단(결정)'했다고 간주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접속된(connected)', '결합된(coupled)'이라는 용어, 또는 이들의 모든 변형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요소 간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인 모든 접속 또는 결합을 의미하고,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 2개의 요소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요소 간의 결합 또는 접속은, 물리적인 것이라도, 논리적인 것이라도, 혹은 이들의 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접속'은 '액세스'로 대체되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경우, 2개의 요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선, 케이블 및/또는 프린트 전기 접속을 사용함으로써, 및 몇 가지의 비한정적 그리고 비포괄적인 예로서, 무선 주파수 영역, 마이크로파 영역 및 빛(가시 및 불가시 양방) 영역의 파장을 갖는 전자 에너지 등의 전자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서로 '접속' 또는 '결합'된다고 생각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포함하는(including)', 포함하고 있는(comprising)' 및 이들의 변형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 이들 용어는, 용어 '구비하는'과 마찬가지로, 포괄적인 것이 의도된다. 또한, 본 명세서 혹은 특허청구범위에 있어서 사용되고 있는 용어 '또는(or)'는, 배타적 논리합이 아닌 것이 의도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안에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로 인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은, 2016년 11월 1일 출원의 특원 2016-214698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전부 여기에 포함시켜둔다.

Claims (6)

  1.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변경하여 통신을 제어하는 유저단말에 있어서,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1 하향 제어 정보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폭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2 하향 제어 정보 및/또는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 및/또는 하향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 할당되는 상기 제1 하향 제어 정보의 모니터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 할당되는 상기 제2 하향 제어 정보의 모니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향 제어 정보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폭의 모니터를 지시하는 정보 및/또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 할당되는 상기 하향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폭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기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1 하향 제어 정보를 모니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단말.
  6.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이용하는 주파수 대역폭을 변경하여 통신을 제어하는 유저단말의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1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1 하향 제어 정보와, 상기 제1 주파수 대역폭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제2 하향 제어 정보 및/또는 하향 데이터를 수신하는 공정;
    상기 제1 하향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주파수 대역폭 내에서 송신되는 하향 제어 정보 및/또는 하향 데이터의 수신을 제어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197013209A 2016-11-01 2017-10-31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KR102479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14698 2016-11-01
JPJP-P-2016-214698 2016-11-01
PCT/JP2017/039287 WO2018084138A1 (ja) 2016-11-01 2017-10-31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3421A true KR20190073421A (ko) 2019-06-26
KR102479280B1 KR102479280B1 (ko) 2022-12-20

Family

ID=6207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209A KR102479280B1 (ko) 2016-11-01 2017-10-31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200059904A1 (ko)
EP (1) EP3537795A4 (ko)
JP (1) JP7022695B2 (ko)
KR (1) KR102479280B1 (ko)
CN (1) CN110121908B (ko)
WO (1) WO20180841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6007B1 (ko) * 2017-07-14 2022-02-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 채널 수신 시간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378516B1 (ko) * 2017-11-16 2022-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0602769B (zh) * 2018-06-13 2021-04-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用户设备和网络侧设备
US11265114B2 (en) * 2018-08-01 2022-03-01 Qualcomm Incorporated Communication resource pairing and repetition
CN110958087B (zh) * 2018-09-27 2022-06-17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物理混合自动重传指示信道配置方法、装置以及基站
US10911919B2 (en) * 2018-12-24 2021-02-0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Wireless access method, wireless receiving method for a communication system and a base station therefor with a low-latency mechanism
TWI689189B (zh) * 2018-12-24 2020-03-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通訊系統之無線存取方法、無線接收方法、及應用該無線存取方法與無線接收方法之基站
CN111867097A (zh) * 2019-04-30 2020-10-30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接收下行控制信息的方法和设备
US11722267B2 (en) * 2019-12-19 2023-08-08 Dish Wireless L.L.C. Method and system for utilizing non-standard bandwidths using carrier aggregation for devices supporting standard bandwidths
WO2021190400A1 (en) * 2020-03-21 2021-09-30 Shanghai Langbo Communication Technology Company Limited Method and device in a node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4307A (ko) * 2009-12-08 2012-09-2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들에서의 다수의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8236218B2 (en) * 2007-03-30 2013-06-06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apparatus, user apparatus, and method
JP5255537B2 (ja) * 2009-08-18 2013-08-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無線通信制御方法、無線基地局装置及び移動端末装置
CN102668671B (zh) * 2009-12-17 2015-10-14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无线发送装置和控制信号发送方法
US8804586B2 (en) * 2010-01-11 2014-08-12 Blackberry Limited Control channel interference management and extended PDCCH for heterogeneous network
KR101494063B1 (ko) * 2010-04-06 2015-02-16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크로스-캐리어 cfi 를 구성하는 방법
KR101684867B1 (ko) * 2010-04-07 2016-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간 다중화 이득을 이용한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US20110267948A1 (en) * 2010-05-03 2011-11-03 Koc Ali T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and managing congestion in a wireless network
US8446872B2 (en) * 2010-06-18 2013-05-21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method for data communication, and method for frequency allocation
EP2704350B1 (en) * 2010-09-07 2018-12-05 Sun Patent Trust Transmission / reception of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within a first resource region and/or a second resource region
EP2437422A1 (en) * 2010-10-01 2012-04-04 Panasonic Corporation Search space for uplink and downlink grant in an OFDM-bas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20103400A (ko) * 2011-03-11 2012-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자동재전송요구 지원 방법 및 장치
CN102355340B (zh) * 2011-08-12 2017-0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下行控制信息发送、接收方法及装置
WO2013049768A1 (en) * 2011-09-30 2013-04-04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vice communication using a reduced channel bandwidth
EP2595425A1 (en) * 2011-11-18 2013-05-22 Panasonic Corporation Active bandwidth indicator for power-saving UEs
WO2013080582A1 (en) * 2011-12-02 2013-06-06 Nec Corporation Method of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for user equipment in lte communication system
JP6219018B2 (ja) * 2012-01-30 2017-10-25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3197891A (ja) * 2012-03-19 2013-09-30 Ntt Docomo Inc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及び無線リソース割当て方法
US9143984B2 (en) * 2012-04-13 2015-09-22 Intel Corporation Mapping of enhanced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EP2848073B1 (en) * 2012-05-09 2018-07-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user equipment and methods therein for random access handling
JP5994986B2 (ja) * 2012-09-20 2016-09-21 シャープ株式会社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9185716B2 (en) * 2013-01-03 2015-11-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Obtaining control channel elements of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s for cross-carrier scheduling
GB2509973A (en) * 2013-01-21 2014-07-23 Sony Corp Report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2016214698A (ja) 2015-05-22 2016-12-22 株式会社大都技研 遊技台
US20200029307A1 (en) 2016-09-21 2020-01-23 Ntt Docomo, Inc.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4307A (ko) * 2009-12-08 2012-09-20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들에서의 다수의 캐리어 활성화/비활성화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609278 *
3GPP R1-1610089* *
3GPP R1-1610736 *
3GPP R2-166193 *
3GPP TS 36.300 V8.12.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Release 8)", April 20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30502B2 (en) 2024-03-12
EP3537795A1 (en) 2019-09-11
JP7022695B2 (ja) 2022-02-18
EP3537795A4 (en) 2020-05-27
US20210185650A1 (en) 2021-06-17
CN110121908A (zh) 2019-08-13
WO2018084138A1 (ja) 2018-05-11
KR102479280B1 (ko) 2022-12-20
JPWO2018084138A1 (ja) 2019-09-19
CN110121908B (zh) 2024-01-16
US20200059904A1 (en)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99452B (zh) 终端、基站、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CN111133780B (zh) 用户终端、基站装置以及无线通信方法
US11930502B2 (en)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for changing a frequency bandwidth
KR102456057B1 (ko) 유저단말 및 무선 통신 방법
JPWO2018012456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1630916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JPWO2018173235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87340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0915273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CN110476469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CN110249692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JPWO201805633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WO201820340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1108729B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WO2018173237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021473A1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JP7248431B2 (ja) 端末、無線通信方法、基地局及びシステム
JPWO2018207370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38510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8143396A1 (ja)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及び無線通信方法
WO201913528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1492698A (zh) 用户终端以及无线通信方法
WO2019175989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CN112385164A (zh) 用户终端
WO2019082368A1 (ja) 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