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915A -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915A
KR20190071915A KR1020170172826A KR20170172826A KR20190071915A KR 20190071915 A KR20190071915 A KR 20190071915A KR 1020170172826 A KR1020170172826 A KR 1020170172826A KR 20170172826 A KR20170172826 A KR 20170172826A KR 20190071915 A KR20190071915 A KR 20190071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unit
pet container
pusher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만
Original Assignee
이주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만 filed Critical 이주만
Priority to KR1020170172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1915A/ko
Publication of KR20190071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9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9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longside
    • B65G57/10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longside by devices, e.g. reciprocating, acting directly on articles for horizontal transport to the top of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16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 B65G57/20Stacking of articles of particular shape three-dimensional, e.g. cubiform, cylindr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44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4Stacking devices
    • B65G2814/0305Adding to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복적인 푸셔 작업에 따라 연속하여 공급되는 페트용기를 m*n 단위용량으로 정렬한 다음, 파렛트 위로 정립(正立)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를 제안한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페트용기 공급유닛으로부터 적어도 1열 이상의 페트용기를 공급받아 임시 정렬하는 제 1 정렬부와; 상기 페트용기 공급유닛과 직각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정렬부에 임시 정렬된 페트용기를 밀어 이동시키는 푸셔 어셈블리; 상기 제 1 정렬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푸셔 어셈블리의 반복 구동에 따라 이동되는 페트용기를 정렬하고, 정렬된 페트용기 중 적재유닛의 파렛트 적재용량과 대응하는 m*n 단위용량의 페트용기들을 이동시켜 상기 적재유닛 상에 공급하는 제 2 정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Description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Pusher and Transfer of PET bottle}
본 발명은 페트용기 운반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복적인 푸셔 작업에 따라 연속하여 공급되는 페트용기를 m*n 단위용량(즉 파렛트 규격과 대응)으로 정렬한 다음, 파렛트 위로 정립(正立)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트용기는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Polyethylene Telephtalate)를 원료로 하여 만든 것으로 생산 및 취급이 편리하고 가볍고 깨지지 않아 액상의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거나 운반하는데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페트용기는 크게 상압 용기(생수와 같은 내용물을 담는 용기)와 내압 용기(탄산이 함유된 내용물을 담는 용기)와 내열 용기(주스와 같은 내용물을 담는 용기) 및 내열압병(주스 내지 탄산이 함께 함유된 내용물을 담는 용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페트용기는 담기는 내용물의 용량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로 제조되며, 이렇게 제조된 페트용기는 내용물 충전이나 포장 등의 후공정을 위해 공급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페트용기는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 공급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즉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페트용기가 일렬로 이송되면 이러한 페트용기를 소정 단위로 묶음처리하여 후공정을 위한 설비측에 제공하는 것이다.
하지만 페트용기를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이송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초래된다.
즉 컨베이어 벨트에 페트용기가 정립(正立)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되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일렬로 놓여진 상태로 페트용기가 이송될 것인데, 이 경우 내용물이 미 충전된 페트용기는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컨베이어 벨트의 자체 진동이나 이송 중 발생하는 기타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페트용기가 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의 측면에 부딪히는 경우도 자주 발생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실질적으로 페트용기의 이송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컨베이어 벨트에 페트용기를 가이드할 부재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컨베이어 벨트에 별도의 부재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비용 증가가 예상된다.
그리고 상기 페트용기를 이송할 때의 다른 문제로는 이송해야 하는 처리량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페트용기가 일렬로 이송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렇게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송되는 페트용기는 다시 파레트의 적재공간에 다시 적재되어야 한다. 따라서 페트용기를 m*n 형태로 셋팅하여 파렛트에 적재할 경우 그 작업시간이 상당히 길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와 같이 현재 페트용기를 이송하는 방법은 실질적으로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는 방법밖에 없고 이럴 경우 페트용기의 이송효율 저하 및 작업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페트용기를 이송할 다른 적절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하여 공급되는 페트용기를 반복작업에 따라 파레트 규격에 대응하는 m*n 단위용량으로 정렬한 다음 파레트 상부로 이송시킴으로써 많은 양의 페트용기를 안전한 상태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은 실질적으로 페트용기의 이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페트용기 공급유닛으로부터 적어도 1열 이상의 페트용기를 공급받아 임시 정렬하는 제 1 정렬부와; 상기 페트용기 공급유닛과 직각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정렬부에 임시 정렬된 페트용기를 밀어 이동시키는 푸셔 어셈블리; 상기 제 1 정렬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푸셔 어셈블리의 반복 구동에 따라 이동되는 페트용기를 정렬하고, 정렬된 페트용기 중 적재유닛의 파렛트 적재용량과 대응하는 m*n 단위용량의 페트용기들을 이동시켜 상기 적재유닛 상에 공급하는 제 2 정렬부를 포함하는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정렬부는, 상기 페트용기 공급유닛으로부터 페트용기를 공급받는 입구 측에 정해진 개수의 페트용기만 공급되게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페트용기 공급유닛에서 연속해서 공급되는 페트용기의 목부 및 몸체를 지지하면서 페트용기가 제 1 정렬부 내로 이송되도록 샤프트를 따라서 이동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정렬부에 임시 정렬된 페트용기가 제 2 정렬부로 옮겨지면 샤프트를 따라 상기 입구 측으로 이동 위치한다.
상기 푸셔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정렬부내에 페트용기가 임시정렬되면 상기 제 2 정렬부 방향으로 상기 페트용기를 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끝단에 설치된 푸셔바; 그리고 상기 푸셔바가 전진하는 도중 상기 입구 측의 페트용기의 쓰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푸셔바와 함께 동작하여 상기 입구를 막아 가이드하는 보조지지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정렬부는, 상기 제 1 정렬부에서 이송되는 페트용기를 순서대로 정렬하는 평평한 상태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서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의 가이드 역할을 제공하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에 서로 대응하여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측면판을 통한 수평방향 운동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통한 수직방향 운동을 하는 지지판 및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제 1 정렬부에서 제 2 정렬부로 옮겨지는 방향으로 페트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분리판은 상기 제 2 정렬부로 옮겨진 페트용기를 m*n 단위용량만큼 수용되게 한 후 상기 적재유닛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분리판은 운반한 페트용기의 m*n 단위용량이 변할 경우, 분리판 사이 공간이 조절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에 의하면, m*n 단위용량의 페트용기를 평평한 면의 바닥면을 통해 적재유닛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종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하는 것에 비해 페트용기가 넘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페트용기를 m*n 단위용량으로 하여 적재유닛으로 바로 공급 적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어, 일렬로 공급되는 페트용기를 다시 적재유닛에 적재할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다수 열의 페트용기를 제 1 정렬부에 임시 정렬한 다음 푸셔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제 2 정렬부로 밀어 공급할 때, 제 2 정렬부의 사이드, 즉 공급유닛에서 페트용기가 공급되는 통로에 별도의 보조지지바가 푸셔바와 함께 전진되게 구성함으로써, 통로 측에 위치한 페트용기가 쓰러지거나 넘어지지 않으면서 제 2 정렬부로 안전하게 옮겨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그만큼 페트용기의 푸셔 및 이송시 장치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기대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를 포함한 전체 작업장의 배치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의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3과 도 4에 도시에 'B' 부 확대 평면도 및 확대 측면도
도 7은 도 2의 지지판 및 분리판의 구동에 따라 페트용기의 정렬 및 이송상태를 보인 예시도면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페트용기 공급유닛(10)과, 페트용기 공급유닛(10)으로부터 공급되는 페트용기(1)를 푸셔어셈블리(20)의 반복작업으로 m*n 단위로 정렬한 다음 적재유닛(30)으로 이송하는 푸셔 및 이송유닛(100), 푸셔 및 이송유닛(100)이 제공하는 페트용기(1)를 적정 용량만큼 계속해서 적재하는 적재유닛(30), 그리고 적재유닛(30)에 m*n 단위의 페트용기가 적재될 때마다 단 사이에 골판지를 제공하는 골판지 공급유닛(40)을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구성 중 실질적으로 본 발명은 푸셔 어셈블리(20)와, 푸셔 및 이송유닛(100)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이 유닛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푸셔 및 이송장치는 푸셔 어셈블리(20)와 푸셔 및 이송유닛(100)의 구성을 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m*n 단위용량은 실질적으로 적재유닛(30)에 마련된 파레트 상에 놓여 질만큼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파레트는 규격에 따라 가로*세로 사이즈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따라서 m*n 용량은 작업장에 제공될 파레트의 규격과 대응될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100)은 공급유닛(10)에서 페트용기(1)를 공급받아 임시 정렬하는 제 1 정렬부(110)와, 제 1 정렬부(110)의 측면에 위치하여 임시 정렬된 페트용기(1)를 푸시하는 푸셔 어셈블리(20), 그리고 제 1 정렬부(110)의 일 측으로 연장되며 푸셔 어셈블리(20)의 반복 동작에 따라 제 1 정렬부(110)에 정렬된 페트용기(1)를 계속 공급받아 m*n 단위용량으로 정렬하는 제 2 정렬부(1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보면 상술한 바와 같이 푸셔 및 이송장치(100)는 실질적으로 제 1 정렬부(110) 및 제 2 정렬부(120)로 이루어진 정렬부(100)와, 정렬부(100)에 위치한 페트용기를 미는 푸셔 어셈블리(20)로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 1 정렬부(110)는, 공급유닛(10)이 공급하는 1열 또는 2열의 페트용기를 공급받을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지지플레이트(111)가 바닥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2열의 페트용기(1)가 공급됨을 도시하고 있고 통상 1열마다 5 ~ 10개의 페트용기(1)가 위치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플레이트(111)에는 공급유닛(10)에서 페트용기(1)가 공급될 때, 그 페트용기(1)의 목부 및 몸체를 지지하면서 이송시키는 리테이너(114) 및, 공급유닛(10)에서 정해진 양만큼 페트용기(1)가 공급되면 더 이상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스토퍼(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114)는 지지플레이트(111)의 상방에 마련된 샤프트(113)를 따라 이동하게 되며, 스토퍼(11)의 개방과 함께 샤프트(113)를 따라 이동하며 임시 정렬된 페트용기(1)가 제 2 정렬부(120)로 옮겨가게 되면 다시 스토퍼(11)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가이드 바는 지지플레이트(111)의 일면에만 형성된 측면판(11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111)의 저면에는 업-다운 가이드가 설치된다.
푸셔 어셈블리(20)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11)에 임시 정렬된 페트용기(1)를 제 2 정렬부(120)측으로 미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푸셔 어셈블리(20)는 소정 구동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구동되는 실린더(22) 및 실린더(22)의 끝단에 푸셔바(24)가 구비된다. 그리고 푸셔바(24)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11)의 일 측면에 위치하기 때문에 지지플레이트(111)에 놓인 페트용기를 지지할 수 있다.
한편, 푸셔바(24)가 동작하여 제 1 정렬부(110)에 놓여진 페트용기를 제 2 정렬부(120)로 밀 때, 제 1 정렬부(110)의 페트용기 중 일부가 지지플레이트(111)를 벗어나거나 쓰러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지지플레이트(111) 위의 페트용기는 측면판(112) 및 푸셔바(24)에 의해 지지되고 있고, 또한 후술하는 지지판(125)에 의해 지지되고 있지만, 상기 공급유닛(10)에서 마지막으로 공급된 페트용기의 경우 지지할 수 있는 어떠한 부재나 장치가 없기 때문에, 푸셔바(24)가 전진 이동할 때 지지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로 밀려 넘어지거나 이탈하는 경우를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린더(22) 구동에 따라 푸셔바(24)가 전진 및 후진이동할 때 함께 구동하여 공급유닛(10)에서 페트용기(1)가 공급되는 통로를 차단하도록 보조지지바(26)가 더 설치된다. 즉 보조지지바(26)는 페트용기(1)가 제 2 정렬부(120)로 옮겨갈 때 지지플레이트(111)의 한쪽 면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제 2 정렬부(120)는, 제 1 정렬부(110)에서 페트용기를 계속 공급받아 m*n 단위로 페트용기를 정렬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 2 정렬부(120)은 제 1 정렬부(110)에서 이송되는 페트용기를 적재유닛(30)에 안전하게 운반될 수 있도록 평평한 상태의 바닥판(121)과, 그 바닥판(121)의 측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측면판(12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측면판(122)은 제 2 정렬부(120)의 길이 방향, 즉 페트용기가 적재유닛(30)으로 이송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페트용기를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후술하는 지지판(125)과 분리판(126a, 126b)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상기 측면판(122)에는 수직프레임(123)이 구비된다. 수직프레임(1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측면판(122)에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며, 지지판(125)과 분리판(126a, 126b)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측면판(122) 및 그 측면판(122)의 수직프레임(123)에 의하여 상기 지지판(125)과 분리판(126a, 126b)은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물론 이러한 구성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고, 지지판(125)과 분리판(126a, 126b)이 제 2 정렬부(120)에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다른 구성도 얼마든지 적용, 채택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 수직프레임(123) 각각에는 지지판(125)과 분리판(126a, 126b)이 연결된다. 지지판(125)은 제 1 정렬부(110)에서 제 2 정렬부(120)로 옮겨지는 방향으로 페트용기를 지지하는 역할이고, 분리판(126a, 126b)은 제 2 정렬부(120)에 페트용기가 m*n 단위용량만큼 정렬된 경우 이를 적재유닛(30)으로 운반하도록 하는 역할이다. 여기서 분리판(126a, 126b)은 m*n 단위용량의 페트용기를 수용한 상태에서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될 것이다. 따라서 운반할 m*n 단위용량이 변할 경우, 분리판(126a, 126b) 내의 수용공간의 조절을 위해 그 간격이 조절되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판 126a와 126b는 상호 간격 조정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원 오프상태(초기화 상태)에서는 도 7a와 같이 공급유닛(10)에 페트용기가 일렬로 배치된 상태로서 제 1 정렬부(110)로의 페트용기가 공급되기 전 상태이고, 푸셔 어셈블리(20)의 푸셔바(24)은 대기상태, 제 2 정렬부(120)에 마련된 지지판(125)과 바닥판(126a, 126b) 제 1 정렬부(110) 측에 근접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페트용기의 푸셔 및 이송를 위한 명령이 발생하면, 공급유닛(10)은 2열로 이루어진 다수의 페트용기를 푸셔 및 이송유닛(100)의 제 1 정렬부(110)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스토퍼(11)에 의해 입구가 개방되면 리테이너(114)는 샤프트(113)를 따라 이동하면서 페트용기를 제 1 정렬부(110)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제 1 정렬부(110)로 이동된 상태는 도 7b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제 1 정렬부(110)로의 이동은 리테이너(114)가 제 1 정렬부(110)로 이동하는 선단의 페트용기의 목부 및 몸체 일부를 지지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페트용기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제 1 정렬부(110)로 운반된 페트용기는 측면판(112) 및 푸셔바(24)에 의해 지지되고 있어 똑바로 세워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제 1 정렬부(110)로 페트용기가 운반되면, 지지판(125)은 초기 위치에서 도 7b의 점선으로 보인 2열의 페트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후퇴한다(즉, 도면에서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함). 이때 입구에 마련된 스토퍼(11)에 의해 페트용기의 공급은 차단된다. 여기서, 스토퍼의 구동시점은 다양하게 셋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면 구동하여 통로를 차단하거나 또는 센서를 이용하여 정해진 양만큼 페트용기가 공급되면 구동하여 통로를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제 1 정렬부(110)에 페트용기가 공급되면,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구동에 따라 푸셔바(24)를 전진 이동시켜 페트용기를 제 2 정렬부(120)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제 2 정렬부(120)에는 2열의 페트용기가 옮겨되게 되고, 페트용기는 지지판(125)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서 정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푸셔바(24)가 전진 이동하여 페트용기를 제 2 정렬부(120)로 밀 때, 도면에는 미도시하고 있지만 보조지지바(26)도 전진 이동하여 입구를 차단하게 된다. 따라서 푸셔바(24)가 전진하면서 페트용기를 밀 때 보조지지바(26)가 입구를 가로막는 작용을 함으로써, 그 입구 쪽에 위치한 페트용기가 넘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보조지지바(26)의 기능은 푸셔 및 이송장치의 오류를 최소할 수 있는 기대가 있다. 예를 들면, 페트용기가 제 2 정렬부(120)로 옮겨질 때, 보조지지바(26)가 없는 경우 상기 페트용기는 통로측으로 넘어질 수 있고, 따라서 푸셔 및 이송장치는 구동 에러로 인지하여 구동을 중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공급유닛(10)에서 페트용기가 제 1 정렬부(110)로 공급되고, 푸셔바(24) 및 보조지지바(26)의 전진 구동에 따라 제 1 정렬부(110)의 페트용기가 제 2 정렬부(120)로 안전하게 이동되는 과정은 계속 반복적으로 수행되게 된다.
즉 도 7c와 같은 과정 이후, 다시 공급유닛(10)은 제 1 정렬부(110)로 페트용기를 공급하고, 그러면 제 2 정렬부(120)의 지지판(125)은 도 7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새로 공급된 페트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지지판(125)는 다시 후퇴시킨다. 이처럼 지지판(125)의 후퇴동작에 따라 제 2 정렬부(120)에 페트용기를 수용할 공간이 형성되면, 푸셔바(24)를 구동시켜 제 1 정렬부(110)의 페트용기를 제 2 정렬부(120)로 이동시킨다(도 7e).
이러한 반복 과정에 따라 제 2 정렬부(120)에는 페트용기가 계속 공급될 것이고, 소정 시점이 되면 도 7e와 같이 m*n 단위용량만큼의 페트용기가 공급된 상태가 될 것이다. 도 7e를 보면 지지판(125)과 분리판(126a, 126b)이 최초 위치(도 7a 상태)에서 페트용기의 공급량에 비례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제 2 정렬부(120)에 m*n 단위용량 또는 그 이상의 페트용기가 위치하면, m*n 단위용량의 페트용기를 적재유닛(30)으로 운반해야 한다. 따라서 먼저 지지판(125)과 분리판(126a, 126b)을 각각의 수직프레임(123)에서 상방으로 수직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측면판(122)를 따라 지지판(125)과 분리판(126a, 126b)을 제 1 정렬부(110)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킨 다음,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면 지지판(125)와 분리판(126a, 126b)을 하향 이동시킨다. 이때 지지판(125)은 제 1 정렬부(110)와 제 2 정렬부(12)의 경계에 위치하게 되고(즉, 다시 제 2 정렬부로 이동하는 페트용기를 지지하도록 하기 위함), 분리판(126a, 126b)은 m*n 단위용량의 페트용기를 수용한 상태가 되도록 위치한다.
이런 상태에서 제 2 정렬부(120)의 분리판(126a, 126b)은 적재유닛(30) 방향으로 이동하여 페트용기를 적재유닛 상에 놓이도록 한다. 그리고 이런 과정이 수행되는 동안, 페트용기는 제 1 정렬부(110)로 공급된 다음 다시 제 2 정렬부(120)로 옮겨지게 된다.
이와 같은 도 7의 과정은 반복 수행된다. 따라서 종래보다 더 많은 양의 페트용기를 한번에 이송할 수 있으면서도, 이송시 페트용기가 넘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작업 효율성이 증대됨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페트용기 공급유닛 11: 스토퍼
20: 푸셔 어셈블리 22: 실린더
24: 푸셔바 26: 보조지지바
30: 적재유닛 40: 골판지 공급유닛
100: 푸셔 및 이송유닛 110: 제 1 정렬부
111: 지지플레이트 112: 측면판
113: 샤프트 114: 리테이너
120: 제 2 정렬부 121: 바닥판
122: 측면판 123: 수직프레임
125: 지지판 126a, 126b: 분리판

Claims (5)

  1. 페트용기 공급유닛으로부터 적어도 1열 이상의 페트용기를 공급받아 임시 정렬하는 제 1 정렬부와;
    상기 페트용기 공급유닛과 직각방향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정렬부에 임시 정렬된 페트용기를 밀어 이동시키는 푸셔 어셈블리;
    상기 제 1 정렬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푸셔 어셈블리의 반복 구동에 따라 이동되는 페트용기를 정렬하고, 정렬된 페트용기 중 적재유닛의 파렛트 적재용량과 대응하는 m*n 단위용량의 페트용기들을 이동시켜 상기 적재유닛 상에 공급하는 제 2 정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정렬부는,
    상기 페트용기 공급유닛으로부터 페트용기를 공급받는 입구 측에 정해진 개수의 페트용기만 공급되게 설치되는 스토퍼와;
    상기 페트용기 공급유닛에서 연속해서 공급되는 페트용기의 목부 및 몸체를 지지하면서 페트용기가 제 1 정렬부 내로 이송되도록 샤프트를 따라서 이동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정렬부에 임시 정렬된 페트용기가 제 2 정렬부로 옮겨지면 샤프트를 따라 상기 입구 측으로 이동 위치하는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정렬부내에 페트용기가 임시정렬되면 상기 제 2 정렬부 방향으로 상기 페트용기를 밀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끝단에 설치된 푸셔바; 그리고
    상기 푸셔바가 전진하는 도중 상기 입구 측의 페트용기의 쓰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푸셔바와 함께 동작하여 상기 입구를 막아 가이드하는 보조지지바를 포함하는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정렬부는,
    상기 제 1 정렬부에서 이송되는 페트용기를 순서대로 정렬하는 평평한 상태의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측면에서 상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며 수평방향으로의 가이드 역할을 제공하는 한 쌍의 측면판;
    상기 한 쌍의 측면판에 서로 대응하여 형성되며 수직방향으로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 사이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측면판을 통한 수평방향 운동과 상기 수직프레임을 통한 수직방향 운동을 하는 지지판 및 분리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판은 제 1 정렬부에서 제 2 정렬부로 옮겨지는 방향으로 페트용기를 지지하며, 상기 분리판은 상기 제 2 정렬부로 옮겨진 페트용기를 m*n 단위용량만큼 수용되게 한 후 상기 적재유닛으로 이동시키는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운반한 페트용기의 m*n 단위용량이 변할 경우, 분리판 사이 공간이 조절되는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
KR1020170172826A 2017-12-15 2017-12-15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 KR20190071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826A KR20190071915A (ko) 2017-12-15 2017-12-15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826A KR20190071915A (ko) 2017-12-15 2017-12-15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915A true KR20190071915A (ko) 2019-06-25

Family

ID=67065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826A KR20190071915A (ko) 2017-12-15 2017-12-15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19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1952A (zh) * 2020-03-23 2020-07-03 西安工业大学 一种异型硅钢片自动码垛生产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1952A (zh) * 2020-03-23 2020-07-03 西安工业大学 一种异型硅钢片自动码垛生产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83731A1 (en) Packaging device
US8267637B2 (en) Apparatus for vertically aligning and accumulating stacks of pallets delivered to a pallet dispenser
CN103889865A (zh) 用于多层堆叠底座的装置
JP2016043979A (ja) スパウト付き袋の供給装置
KR102016118B1 (ko) 원통형 용기 자동 투입 및 적재 시스템
WO2022088514A1 (zh) 一种全自动开装封箱码垛一体机
US20190193886A1 (en) Device for spacing a flap before filling for packaging containers such as cardboard boxes and equipped filling stations
JP2002104658A (ja) 容器供給装置
KR20190071915A (ko) 페트용기 푸셔 및 이송장치
CN114040874A (zh) 用于将产品包装在纸箱中的包装机及其方法
NO862393L (no) Lasteinnretning, saerlig for lasting av ustabile containere
KR20140001095U (ko) 화장품 수납용 상자의 정렬장치
JP2006512263A (ja) 袋を連続的に供給する装置
KR101271456B1 (ko) 랩 어라운드 포장기의 자동 급지 장치
US7464804B2 (en) Automatic pallet loader system and method
CN114126970A (zh) 用于将元件、优选纸箱布置在托盘上的包装机及其方法
JP2002249225A (ja) ワークの段積み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段積み方法
CA2677446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ackaging stackable objects, in particular printed products
KR100714979B1 (ko) 플라스틱 몰드트레이 자동투입장치
JPH03162207A (ja) 化粧料等の充填・包装装置
JP5985242B2 (ja) シート状物品の自動装填装置並びにシート状物品の供給装置
JPH07257735A (ja) アンプルの定量取り出し装置
KR102526097B1 (ko) 용기 자동 적재 및 포장 장치 및 방법
JP4367680B2 (ja) 切出装置
KR102323344B1 (ko) 반자동식 접착제 포장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