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794A -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794A
KR20190069794A KR1020170170072A KR20170170072A KR20190069794A KR 20190069794 A KR20190069794 A KR 20190069794A KR 1020170170072 A KR1020170170072 A KR 1020170170072A KR 20170170072 A KR20170170072 A KR 20170170072A KR 20190069794 A KR20190069794 A KR 20190069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strain
fermented
ginsenosides
acti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1133B1 (ko
Inventor
김명동
권훈주
최찬영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70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113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9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7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1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1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33/00Preparation of steroids
    • C12P33/20Preparation of steroid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4Alpha-L-rhamnosidase (3.2.1.4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69Plantarum
    • A23Y2220/67
    • C12R1/2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 C12R2001/25Lactobacillus plantaru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KCTC18529P) 균주는 식품학적으로 안전하고, 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KCTC18529P) 균주를 사용하여, Rg1 및 Rg5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발효 인삼 또는 홍삼을 제조할 수 있어 관련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 및 이의 용도{Lactobacillus plantarum MBE/L2990 strain having excellent alpha-rhamnosidase activity and bioconversion activity from ginsenoside Re and Rb1 to ginsenoside Rg1 and Rg5}
본 발명은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인삼의 주요성분 및 약리작용에 관한 연구가 발표됨에 따라, 자연 건강식품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그 수요도 점차 신장되고 있고,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더욱 가속화되어 대중적 자연건강식품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또한 인삼은 주로 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 생약의 형태로 정신 의학적, 신경계의 질병 및 당뇨병 등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해 사용되어 왔으며, 상기 인삼의 주요 성분인 사포닌은 강장, 강정, 진정, 조혈 및 항고혈압 등에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인삼에 함유된 사포닌은 트리테르페노이드 글리코사이드(triterpenoid glycoside) 형태를 가지며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로 불린다. 인삼에 함유된 사포닌 중 흡수가 어려운 메이져(major) 사포닌 (Rg1, Re, Rb1, Rc, Rb2 및 Rd)이 가수 분해되어 생성된 마이너(minor) 사포닌 (Rg3, Rh2, Compound K 등)은 마우스에서 종양 세포 전이의 저해, 시험관 내 종양 세포 침입 저해, 암세포 세포자살 유발, 암세포 전이 억제, 혈압 강하,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분비 억제, 진통제 활성 및 면역력 증강 등 탁월한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렇게 마이너(minor) 사포닌의 우수한 약리 활성이 검증됨에 따라 마이너(minor) 사포닌 생성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인삼의 약효성분이 인체 내로 용이하게 흡수되도록 하며, 인삼에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성분들을 강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인삼을 장내 미생물또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하거나 및 효소를 처리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768963호에서는 '사포닌에 대해 생물전환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발효 인삼 추출물 및 발효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753077호에서는 '발효 인삼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김치 및 막걸리 시료로부터 글루코시다제(glycosidase) 및 알파-람노시다제(α-rhamnosidase) 효소 활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MBE/L2990(KCTC18529P) 균주를 새롭게 분리하였고, 상기 균주의 접종배양으로 산양삼 농축액을 발효한 결과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의 함량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으로 인해 진세노사이드 Re 및 Rg1이 가수분해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글루코시다제(glycosidase) 및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MBE/L2990(KCTC18529P) 균주를 제공할 수 있고,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발효물을 제공할 수 있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알파-람노시다제(α-rhamnosidase)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MBE/L2990(KCTC18529P) 균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기 위한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발효물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에 접종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이 접종된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을 발효시켜 인삼 또는 홍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를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농축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에 접종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접종된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을 발효시켜 인삼 또는 홍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를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시켜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농축액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MBE/L2990(KCTC18529P) 균주는 식품학적으로 안전하고, 인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시키는 능력이 뛰어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MBE/L2990(KCTC18529P) 균주를 사용하여, Rg1 및 Rg5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발효 인삼 또는 홍삼을 제조할 수 있어 관련 산업에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된 젖산균의 α-람노시다제(α-rhamnosidase) 효소 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알파-람노시다제(α-rhamnosidase)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MBE/L2990(KCTC18529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균주는 다양한 종류의 김치 및 막걸리 시료로부터 글루코시다제(glycosidase) 효소 활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알파-람노시다제(α-rhamnosidase)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가지는 점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Rg5로의 생물전환하는 활성이 높은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균주를 한국미생물자원센터(KCTC)에 2016년 12월 23일에 KCTC18529P로 특허 기탁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기 위한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함유하는 (comprising)" 용어는 함유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예로 다른 첨가제, 성분, 지수 또는 단계와 같은 것을 제외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기 위한 미생물 제제는 액상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증량제를 첨가하여 가루분말의 형태로 이용하거나 이를 제형화하여 과립화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제형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발효물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에 접종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이 접종된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을 발효시켜 인삼 또는 홍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를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의 접종 방법 및 균주 접종 후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 발효 방법은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인삼은 수삼, 백삼, 산양삼, 산삼 및 산삼 배양근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산양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농축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에 접종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접종된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을 발효시켜 인삼 또는 홍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를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시켜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농축액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추출물의 추출 용매는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추출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열수 추출,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및 환류 추출 등이 있다.
상기 용매 추출물은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추출물을 여과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면, 나일론 등을 이용하여 입자를 걸러내거나 한외여과, 냉동여과법, 원심분리법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액을 농축할 경우에는, 감압농축, 역삼투압 농축 등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농축 후 건조 단계는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풍건조, 분무건조, 감압건조, 포말건조, 고주파건조, 적외선건조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추출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방법
발효식품으로부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 Lactobacillus plantarum ) 균주 선발
다양한 종류의 김치와 막걸리로부터 확보한 시료를 펩톤수를 사용하여 10-5 배까지 희석한 후 브로모크레졸 퍼플(bromocresol purple)이 0.015 g/L 농도로 첨가된 MRS 평판배지에서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200점의 젖산균을 분리하였다. 성장한 균주들 중 글리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글리코시다제 활성을 가진 젖산균을 선별하기 위하여 에스쿨린 아가(펩톤 18 g/L, 에스쿨린 1 g/L, 구연산철(ferric citrate), 1 g/L, 아가 15 g/L)를 선택배지로 사용하였으며, 30℃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단일집락 주위에 블랙 컴플렉스(black complex)를 형성한 49점의 젖산균을 선별하였다.
글루코시다제(Glycosidase) 활성을 가진 젖산균 49점 중 α-람노시다제(α-rhamnosidase) 활성을 보유하는 젖산균을 선별하기 위하여 L-람노오스(L-rhamnose)가 20 g/L 농도로 첨가된 MRS 배지에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집락을 형성한 12점의 균주를 선별하였다. 또한, 대조구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KCTC21004)를 미생물자원센터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선별한 젖산균을 20 g/L의 L-람노오스가 첨가된 MRS 액체배지에 접종하여 30℃에서 12시간 동안 배양한 뒤, 원심분리하여 적정량의 세포를 회수한 후, 새로운 MRS 배지에 초기 세포 흡광도(OD600)가 0.1이 되도록 접종한 후 세포 흡광도가 1이 될 때까지 배양하여 배양액을 확보하였다. 배양액 70 ㎕에 5mM pNPR(4-nitrophenyl-α-D-rhamnoside)을 30 ㎕ 첨가하여 37℃에서 30분간 반응한 후, 0.5 mM의 Na2CO3 100 ㎕를 주입하여 반응을 종결하였다. 분광흡도계를 사용하여, 4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생성된 니트로페놀(nitrophenol)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검량선은 pNPR을 5, 2, 1, 0.5, 0.25 mM의 농도로 제작하여 작성하였다.
효소활성은 1분 동안 1 μmole의 니트로페놀을 생성하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하였으며, 배양액에 포함된 단백질 농도를 고려하여 비효소활성(U/mg)을 결정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다.
선별 젖산균을 이용한 산양삼 농축액의 생물전환
α-람노시다제(α-rhamnosidase) 효소활성이 우수한 젖산균 6점을 선발하여 MRS 배지에서 36시간 동안 배양하고 원심분리하여 회수한 후 멸균 증류수를 사용하여 세척하였다. 멸균 증류수를 이용하여 30배 희석한 산양삼 농축액에 세포 흡광도가 5가 되도록 전배양한 젖산균을 접종하고 30℃에서 진탕배양기를 사용하여 200 rpm으로 48시간 동안 생물전환 반응을 수행하였다. 생물전환반응이 완료된 후, 발효물 내의 균체를 제거하고 상등액을 메탄올을 사용하여 적정농도로 희석한 후 HPLC를 사용하여 발효 전, 후의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중 Re, Rb1, Rg1, Rg5의 함량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동상으로 아세토니트릴(HPLC 그레이드)과 멸균증류수(HPLC 그레이드)를 사용하였고, UV/VIS 검출기(SPD-20A)가 장착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 그래프(HPLC 20A-serie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컬럼은 Eurospher 100-5 C18(3×250 mm)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1
실시예 1. 선별된 젖산균의 α- 람노시다제 (α- rhamnosidase ) 효소활성 분석
L-람노오스가 첨가된 MRS 배지에서 성장한 12점의 균주와 KCTC21004 균주의 α-람노시다제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생막걸리로부터 분리된 MBE/L3013 균주가 0.18 ± 0.01 U/mg의 효소활성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α-람노시다제 효소활성을 나타내었으며, 3011, 3016, 2990 균주의 순으로 효소활성이 우수하였다. 효소활성이 우수한 12점의 젖산균을 동정한 결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10점,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Lactobacillus pentosus) 1점, 바이셀라 콘퓨사(Weissela confusa) 1점으로 동정되어 전반적으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가 α-람노시다제 효소활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동정된 12점의 젖산균 중 바이셀라 콘퓨사로 동정된 MBE/L2925,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로 동정된 MBE/L2996,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으로 동정된 균주 중 α-람노시다제 활성이 우수하였던 MBE/L2990, 3011, 3013, 3016 균주를 이용하여 산양삼 농축액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의 생물전환을 유도하였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2. 선별 젖산균을 이용한 산양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의 생물전환
생물전환 반응을 48시간 동안 진행한 결과, 전체적으로 Re와 Rb1의 함량이 발효 전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Rg1과 Rg5의 함량은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반응에 사용한 젖산균들이 보유하고 있는 α-람노시다제 효소활성에 의하여 Rb1 및 Re가 Rg1 및 Rg5로 가수분해된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pat00003
Rg1의 함량은 MBE/L2925 균주를 사용한 생물전환 반응에 의해 2.46 ± 0.31 mg/g에서 3.12 ± 0.24mg/g으로 약 0.66 mg이 증가하여 가장 높은 생물전환능을 보였으며, KCTC21004 균주를 사용한 대조구의 Rg1 함량이 2.41 ± 0.18 mg/g에서 2.74 ± 0.09 mg/g으로 약 0.33 mg 증가한 것에 비해 약 2배가량 높은 증가량을 나타내었다. Rg5의 경우, MBE/L2990 균주를 사용한 생물전환 반응에 의하여 0.24 ±0.01 mg/g에서 0.48 ±0.02 mg/g으로 약 2배 증가하였는데, 이는 0.14 mg 증가시킨 대조구에 비해 약 42% 높은 증가량을 나타내었다.
대조구에 비해 Rg1(약 0.58 mg) 및 Rg5(약 0.24 mg) 함량을 가장 현저하게 증가시킨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를 최종 선발하고, 상기 균주를 한국미생물자원센터(KCTC)에 2016년 12월 23일에 KCTC18529P로 특허 기탁하였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8529P 20161223

Claims (9)

  1. 알파-람노시다제(α-rhamnosidase)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MBE/L2990 균주(KCTC18529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글루코시다제(glycosidase) 효소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3. 제1항 또는 제2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기 위한 미생물 제제.
  4. 제1항 또는 제2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발효물 제조용 조성물.
  5. (a) 제1항 또는 제2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에 접종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이 접종된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을 발효시켜 인삼 또는 홍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를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은 수삼, 백삼, 산양삼, 산삼 및 산삼 배양근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농축액.
  8. (a) 제1항 또는 제2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에 접종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접종된 인삼 또는 홍삼 농축액을 발효시켜 인삼 또는 홍삼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를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시켜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농축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의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농축액을 추출 용매로 추출하여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Rg1 및 Rg5 함량이 증가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 추출물.
KR1020170170072A 2017-12-12 2017-12-12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11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072A KR102011133B1 (ko) 2017-12-12 2017-12-12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072A KR102011133B1 (ko) 2017-12-12 2017-12-12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794A true KR20190069794A (ko) 2019-06-20
KR102011133B1 KR102011133B1 (ko) 2019-10-21

Family

ID=6710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072A KR102011133B1 (ko) 2017-12-12 2017-12-12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11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398B1 (ko) 2019-12-10 2021-05-06 (재)남해마늘연구소 베타-글루코시다제 및 알파-람노시다제 활성을 동시에 갖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ngi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20217B1 (ko) * 2021-06-10 2021-11-0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푸사리움 프로리페라툼 pg8 균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477A (ko) * 2010-02-12 2011-08-1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홍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120125113A (ko) * 2011-05-06 2012-11-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인삼 발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crnb?22 〔kctc11931 bp〕균주 및 이를 이용한 사포닌 전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3477A (ko) * 2010-02-12 2011-08-18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발효 홍삼을 포함하는 항암 조성물
KR20120125113A (ko) * 2011-05-06 2012-11-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인삼 발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crnb?22 〔kctc11931 bp〕균주 및 이를 이용한 사포닌 전환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Food Biochemistry. 2015, vol. 39, pp. 155-163. *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홍삼제품 제조기술 개발. 2011, 연구책임자 주진우, 보고서.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398B1 (ko) 2019-12-10 2021-05-06 (재)남해마늘연구소 베타-글루코시다제 및 알파-람노시다제 활성을 동시에 갖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ngi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20217B1 (ko) * 2021-06-10 2021-11-0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가시키는 푸사리움 프로리페라툼 pg8 균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1133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077B1 (ko) 발효 인삼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718465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카제이 gfc 1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한 인삼 발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1435B1 (ko)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능을 갖는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388918B1 (ko) 인체에서 유래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hk-9 및 그를 이용한 발효물과 화장료 조성물
KR101402031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KR101823585B1 (ko) 발효 인삼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70061959A (ko) 체내 흡수율이 증진된 활성형 진세노사이드가 함유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흑홍삼 추출물 제조방법
CN111317694A (zh) 一种杜仲发酵提取液及其制备方法和其在化妆品中的应用
JP2019193634A (ja) 低糖な野菜および/または果物の酵素液の製造方法
KR101343410B1 (ko) 인삼 발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crnb―22 〔kctc11931 bp〕균주 및 이를 이용한 사포닌 전환 방법
KR102011133B1 (ko)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00145254A (ko) 인삼을 이용하여 뇌기능 및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우수한 진세노사이드 Rg3, Rg5, Rk1을 풍부하게 함유한 조성물 제조방법
KR101980450B1 (ko) 진세노사이드 Rd와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활성산양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28756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펜토수스 neo 1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한 인삼 발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07940A (ko) 발효 홍삼 제조방법
KR20160126591A (ko) 인삼류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의 방법으로 제조된 인삼류 발효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CN115029279B (zh) 植物乳植杆菌mb11及其在生物转化制备稀有人参皂苷中的应用
Renchinkhand et al. Identification of β‐Glucosidase Activity of L actobacillus plantarum CRNB22 in Kimchi and Its Potential to Convert Ginsenoside Rb1 from P anax Ginseng
KR101878430B1 (ko) 아스퍼질러스 속 국균을 이용한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KR101768963B1 (ko) 사포닌에 대해 생물전환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세이 균주, 발효 인삼 추출물 및 발효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771488B1 (ko) 신규한 바실러스 코아귤란스 nrr1207 균주, 이를 이용한 발효 인삼과 프로바이오틱스 생균제제 조성물
KR101343434B1 (ko) 인삼 발효능을 갖는 신규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crnb―a3 〔kctc11930 bp〕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사포닌 전환 방법
CN107595907A (zh) Kefir粒人参发酵液
KR102084980B1 (ko) 신규한 아스퍼질러스 오리재 gbe174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인삼 열매 발효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088696B1 (ko) 베리류 와인 제조를 위한 바이오제닉 아민 비생성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 ba34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