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480A - 융합기능 개선을 위한 시력훈련장치 - Google Patents

융합기능 개선을 위한 시력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480A
KR20190069480A KR1020197013635A KR20197013635A KR20190069480A KR 20190069480 A KR20190069480 A KR 20190069480A KR 1020197013635 A KR1020197013635 A KR 1020197013635A KR 20197013635 A KR20197013635 A KR 20197013635A KR 20190069480 A KR20190069480 A KR 20190069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image
display
user
right eye
tr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7238B1 (ko
Inventor
박성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덴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덴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덴룩스
Publication of KR20190069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7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4Trial frames; Sets of lenses for use therewi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2Use of special optical filters, e.g. multiple layers, filters for protection against laser light or light from nuclear explosions, screens with different filter properties on different parts of the screen; Rotating slit-dis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7Straps; Buckles; Attachment of headba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9Additional functions or features, e.g. protection for other parts of the face such as ears, nose or mouth; Screen wipers or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3Linear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4Special force transmission means, i.e. between the driving means and the interface with the user
    • A61H2201/1481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 A61H2201/149Special movement conversion means rotation-linear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04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Abstract

본 발명은 융합기능을 개선하기 위한 시력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하는 좌안이미지와 우안에 대응하는 우안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와,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를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일치된 상태로 제공한 후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하나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이미지분리확인이 입력되면 입력시의 상기 좌안 이미지와 상기 우안 이미지 사이의 이격거리를 융합도 정보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융합기능 개선을 위한 시력훈련장치
본 발명은 융합기능 개선을 위한 시력훈련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시기능 중 융합력은 좌안과 우안이 따로 인식하는 이미지를 하나의 이미지로 융합하여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융합력이 정상보다 낮을 경우 눈이 쉽게 피로해지며, 심할 경우 물체가 2개로 보이는 복시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12/0069296호에는 양안 시력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은 좌안과 우안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개별적인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각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영상의 시야각을 변화시켜 융합력을 개선한다.
그런데 융합력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의 시력훈련장치는 사용자 고유의 융합력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방식으로 융합훈련을 수행하였기 때문에 융합훈련의 효과가 다소 미비하였다. 또한, 사용자 고유의 융합력은 사용자 개인의 시력특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파라미터로써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할 요소임에도 이를 측정 및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융합력을 측정 및 관리할 수 있는 시력훈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측정된 사용자의 융합력을 반영한 시력훈련을 제공할 수 있는 시력훈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하는 좌안이미지와 우안에 대응하는 우안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와,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를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일치된 상태로 제공한 후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하나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이미지분리확인이 입력되면 입력시의 상기 좌안 이미지와 상기 우안 이미지 사이의 이격거리에 해당하는 정보를 융합도 정보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시력훈련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는 좌안이미지를 제공하는 좌측 디스플레이와 상기 우안이미지를 제공하는 우측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시야분리를 위한 필터가 불필요하여 보다 간단한 구성의 시력훈련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를 상기 각막반사상 초점이 불일치하는 상태인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제공한 후,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접근이동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접근이동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초점일치확인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의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일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보다 정확한 측정모드의 수행이 가능하다.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며,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를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에 제공하기 위한 상호 상대적인 융합분리용 필터를 더 포함함으로써, 보다 간편한 구성으로 시력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융합도 정보를 이용하여 융합도 훈련을 위한 훈련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훈련구간 내에서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 중 적어도 한 이미지를 이격 및 접근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 고유의 시력특성을 고려한 시력훈련이 가능하다.
상기 훈련구간은 상기 융합도 정보에 대응하는 이격거리가 포함되도록 상기 훈련구간을 설정하는 경우, 시력훈련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융합력을 측정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사용자의 융합력을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 융합시력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융합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를 사용한 초점일치모드 과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초점일치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이용한 측정모드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측정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력훈련장치를 이용한 훈련모드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시력훈련장치는 가상선으로 표시된 하우징(110)의 내부에 좌우로 배치된 한 쌍의 시력훈련유니트(120)를 갖는다. 한 쌍의 시력훈련유니트(120) 사이에는 가림판(122)이 설치되어 좌안과 우안의 시야가 겹쳐지지 않게 서로 차단한다.
시력훈련유니트(120)는 시선방향을 따라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접안공(124)과 디스플레이 유니트(130)가 마련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유니트(130)는 좌안에 대응하는 좌측 디스플레이(131)와 우안에 대응하는 우측 디스플레이(132)로 구성되며, 각 디스플레이에는 시력훈련을 위한 이미지가 표시되며 사용자는 접안공(124)을 통해 좌측 디스플레이(131)와 우측 디스플레이(132)에 표시된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상면에는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입력을 입력받는 사용자입력부(160)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측정모드, 훈련모드 등의 모드 선택과 사용자확인 입력 등을 입력한다. 또한, 하우징(110)에는 사용자의 얼굴에 장착하기 위한 스트랩(미도시) 또는 안경다리(미도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유니트(130)의 좌측 디스플레이(131)는 사용자의 좌안의 시선방향 전방에 좌안이미지를 표시한다. 우측 디스플레이(132)는 사용자의 우안의 시선방향 전방에 우안이미지를 표시한다. 표시되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는 점, 선, 풍경 이미지, 도형, 기하학적 무늬 등의 정적인 이미지, 동영상, 또는 3D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는 색상이 있는 이미지일 수 있다. 이러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유니트(130)는 LCD, OLED 등의 전자적인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유니트(130)는 스마트폰과 같은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를 장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렌즈(140)는 렌즈홀더(142)에 장착되어 접안공(124)과 디스플레이 유니트(130) 사이에 배치된다. 사용자는 접안공(124)과 렌즈(140)를 통해 시선방향 전방에 위치한 이미지를 인식한다. 렌즈(140)는 볼록렌즈로 구현될 수 있다. 볼록렌즈는 사용자의 안구와 이미지 사이의 초점거리를 변경하여 사용자가 이미지를 실제의 거리보다 보다 멀리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하여 이미지의 원근감을 확장시킨다. 이러한 렌즈는 안구와 이미지 사이의 광경로를 굴절시키는 거울들로 대체될 수 있다. 이 경우, 거울들은 안구와 이미지 사이의 시야거리를 실제 거리보다 연장하여 이미지의 원근감을 확장시킨다. 또한, 렌즈(140)는 필요에 따라 양안으로 인식되는 이미지를 좌안이미지와 우안이미지로 분리하기 위해 편광렌즈 또는 컬러렌즈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이동부(150)는 디스플레이 유니트(130)의 좌측 디스플레이(131) 및 우측 디스플레이(132)를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디스플레이이동부(150)는 리드스크류(151), 리드스크류(15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체(152), 및 리드스크류(151)를 회전구동하는 구동모터(153)를 포함한다.
리드스크류(151)는 하우징(110)에 마련된 고정지지체(154)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모터(153)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리드스크류(151)의 회전운동은 이동체(152)의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으로 전환된다. 이동체(152)는 디스플레이 유니트(13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리드스크류(151)의 회전구동에 의해 디스플레이 유니트(130)가 전후 방향으로 왕복이동할 수 있다.
가림판(122)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어 하우징(110) 내부를 좌안 및 우안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부분으로 분리한다. 가림판(122)에 의해 사용자의 좌안은 좌측 디스플레이(131)가 표시하는 좌안이미지만을 인식하고, 우안은 우측 디스플레이(132)가 표시하는 우안이미지만을 인식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두 개의 개별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며, 각 디스플레이장치는 사용자의 좌안에 좌안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좌측 디스플레이(131)와 우안에 우안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한 우측 디스플레이(132)로서 기능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독립된 두 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였지만, 단일 디스플레이장치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단일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화면을 좌우로 구획하여 좌안이미지와 우안이미지를 상호 이격되게 표시한다. 이때, 좌안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을 좌측 디스플레이 그리고 우안이미지가 표시되는 영역이 우측 디스플레이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력훈련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사용자입력부(160)는 시력훈련장치의 상면에 또는 측면에 제공되며,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정보나 조건을 수령한다. 사용자입력부(160)는 복수의 사용자입력용 버턴(161, 162, 163, 164, 165, 166, 167)을 갖는다. 버턴들은 구체적으로 전원입력버턴(161), 사용자선택버턴(162), 전방이동버턴(163)과 후방이동버턴(164), 측정모드선택버턴(165), 훈련모드선택버턴(166), 및 초점일치모드버턴(167)로 이루어져 있다.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입력은 제어부(190)가 수령하여 해당 사용자입력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시력훈련장치를 제어한다. 이러한 버턴형태의 사용자입력부(16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사용자입력부(160)는 시력훈련장치에 부착되어 있지만, 유선 혹은 무선의 리모컨으로 구현되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모바일기기의 앱에 의해 대체될 수도 있다. 사용자입력부(160)는 마이크를 사용하여 음성인식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스마트폰, 타블렛PC, 사용자서버 등과 같은 외부장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한다. 통신부(170)를 통해 시력훈련장치는 외부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외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다.
메모리(180)는 사용자정보, 융합도 정보, 훈련데이터, 및 시력훈련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제어부(19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90)는 구동모터(153)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유니트(13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좌측 디스플레이(131) 및 우측 디스플레이(132)에 각각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를 표시하고, 표시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내에서 이동하도록 좌측 디스플레이(131) 및 우측 디스플레이(132)를 제어할 수 있다.
본 시력훈련장치는 내부에 장착된 배터리(미도시)를 전원으로 하여 구동되거나 또는 외부전원과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시력훈련장치는 사용자가 교정안 상태뿐만 아니라 교정안이 아닌 상태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교정안이 아닌 상태인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60)의 전방이동버턴(163)과 후방이동버턴(164)을 눌러 좌측 디스플레이(131)와 우측 디스플레이(132)를 이동시켜 초점거리를 변경함으로써, 안경 등을 착용하지 않고도 교정안 상태를 만들어 시력훈련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이용한 초점일치모드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초점일치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두 개의 개별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융합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측정모드를 수행하기 전에 좌측 디스플레이(131)에 제공되는 좌안이미지와 우측 디스플레이(132)에 제공되는 우안이미지의 각막반사상 초점을 융합적으로 일치시키는 초점일치모드 동작이 선행되어야 한다. 여기에서,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일치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좌안은 좌안이미지만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우안은 우안이미지만을 인식하지만, 시기능의 하나인 융합 기능에 의해 사용자가 실제로 인식하는 이미지는 좌안 이미지와 우안 이미지가 겹쳐서 하나의 이미지로 인식된 상태를 의미한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60)의 전원입력버턴(161)을 눌러 시력훈련장치에 전원을 인가한다. 사용자는 시력훈련장치를 착용한 후 사용자입력부(160)의 초점일치모드버턴(167)을 눌러 초점일치모드를 선택한다(S110).
초점일치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좌안이미지(IMG_L)와 우안이미지(IMG_R)가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불일치된 상태인 상호 충분히 이격된 상태로 제공되도록 좌측 디스플레이(131)와 우측 디스플레이(132)를 제어한다(S120).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불일치된 상태인 경우 사용자가 양안을 통해 인식하는 이미지는 도 4의 (a)와 같이 좌안이미지(IMG_L)와 우안이미지(IMG_R)가 서로 분리된 2개의 이미지(IMG)일 것이다.
이후, 제어부(190)는 좌안이미지(IMG_L)와 우안이미지(IMG_R)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점진적으로 접근이동하도록 좌측 디스플레이(131) 또는 우측 디스플레이(132)를 제어한다(S130).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초점일치확인입력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S140). 초점일치확인입력은 좌안이미지(IMG_L)와 우안이미지(IMG_R)가 서로 접근이동함에 따라 사용자가 양안으로 인식하는 이미지가 도 4의 (b)와 같이 하나의 이미지(IMG)로 인식될 때 사용자가 사용자입력부(160)의 사용자확인버턴(162)을 누름으로써 입력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초점일치확인입력을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해당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하는 좌안이미지(IMG_L)와 우안에 대응하는 우안이미지(IMG_R)의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일치한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90)는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일치된 상태에서의 좌측 디스플레이(131)에 제공된 좌안이미지(IMG_L)와 우측 디스플레이(132)에 제공된 우안이미지(IMG_R) 위치정보를 측정모드의 수행을 위해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이용한 측정모드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며, 도 6은 도 5의 측정모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도 5 및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이용한 측정모드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60)의 전원입력버턴(161)을 눌러 시력훈련장치에 전원을 인가한다. 사용자는 시력훈련장치를 착용한 후 사용자입력부(160)의 측정모드선택버턴(165)을 눌러 측정모드를 선택한다.(S210).
측정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상술한 초점일치모드에서 저장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좌측 디스플레이(131)와 우측 디스플레이(132)에 각각 좌안이미지(IMG_L)와 우안이미지(IMG_R)가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일치된 상태로 제공되도록 좌측 디스플레이(131)와 우측 디스플레이(132)를 제어한다(S220) 여기에서, 측정모드가 상술한 초점일치모드 직후 사용자에 의해 바로 수행되는 경우 좌안이미지(IMG_L)와 우안이미지(IMG_R)는 이미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일치된 상태로 좌측 디스플레이(131)와 우측 디스플레이(132)에 제공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단계 S220은 생략될 수 있다. 좌측 디스플레이(131)와 우측 디스플레이(132)에 좌안이미지(IMG_L)와 우안이미지(IMG_R)가 각각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일치된 상태로 제공되는 경우 사용자가 양안을 통해 도 4의 (b)와 같이 하나의 이미지(IMG)를 인식할 것이다.
이후, 제어부(190)는 좌안이미지(IMG_L)와 우안이미지(IMG_R)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점진적으로 이격되도록 디스플레이 유니트(130)를 제어한다(S230). 이하에서, 도 6의 (a)와 같이 우안이미지(IMG_R)가 좌안이미지(IMG_L)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안이미지(IMG_R)가 좌안이미지(IMG_L)에 대해 점진적으로 이격되더라도 사용자가 갖는 고유의 융합력에 의해 소정의 이격범위 내에서는 사용자는 여전히 하나의 이미지로 인식할 것이다.
우안이미지(IMG_R)가 좌안이미지(IMG_L)에 대해 점진적으로 이격됨에 따라, 사용자는 어느 순간 하나로 인식되는 이미지(IMG)가 도 6의 (b)와 같이 2개의 이미지로 인식될 것이다.
제어부(190)는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이미지분리확인입력이 입력되는지를 확인한다(S240). 사용자는 도 6의 (b)와 같이 2개의 이미지로 인식되는 순간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이미지분리확인입력을 입력한다. 이미지분리확인입력은 좌안이미지(IMG_L)에 대해 우안이미지(IMG_R)가 점진적으로 이격됨에 따라 하나로 인식되던 이미지(IMG)가 좌안이미지(IMG_L)와 우안이미지(IMG_R)로 서로 분리인식되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사용자확인버턴(162)을 누름으로써 입력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사용자입력부(160)를 통해 이미지분리확인입력이 입력되면, 제어부(190)는 우안이미지(IMG_R)의 이격거리(D)에 해당하는 정보를 융합도 정보로 저장한다. 이격거리(D)는 우안이미지(IMG_R) 이동 전 미리 설정된 시야원점(P)과 이동 후 이미지분리확인이 입력된 시점에서의 우안이미지(IMG_R)의 이동 후 시야원점(P') 사이의 거리이다. 여기에서, 시야원점(P)은 좌안이미지(IMG_L)와 우안이미지(IMG_R) 중 이동되는 이미지의 임의의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초점일치모드 수행 후 측정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고유의 융합도 정보를 측정 및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융합도 정보는 사용자의 시기능 중 융합력과 관계되는 요소로 사용자의 시력을 평가하기 위한 중요한 파라미터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측정모드를 통해 사용자의 시력특성을 파악하고 파악된 시력특성을 고려한 사용자 맞춤형 시력훈련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시력 개선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두 개의 개별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좌안이미지와 우안이미지를 구분하여 제공한다. 이와 같은 시력훈련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착형 장치로 사용될 수 있다. 장착형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안구와 디스플레이 사이에 이미지 분리인식을 위한 충분한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두 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여 각 안구에 이미지를 제공한다.
하지만, 사용자의 안구와 디스플레이 사이에 충분한 이격거리 예를 들어, 30cm 이상을 확보할 수 있는 경우, 단일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여 시력훈련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단일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사용자의 안구와 충분한 이격거리 예를 들어, 30cm 이상을 두고 위치하는 단일 디스플레이장치(210)와 사용자의 안구의 전방에 위치하는 융합분리용 필터(2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의 제어부(190)는 좌안이미지와 우안이미지가 겹쳐진 상태로 제공되도록 디스플레이장치(210)를 제어함으로써, 좌안이미지와 우안이미지를 그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일치된 상태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측정모드의 수행에 앞서 상술한 초점일치모드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융합분리용 필터(220)는 겹쳐서 제공되는 좌안이미지와 우안이미지를 좌안과 우안이 각각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호 상대적인 필터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이미지는 녹색, 우안이미지는 적색으로 제공되는 경우, 적녹필터를 통해 좌안은 녹색의 좌안이미지만을 인식하고, 우안은 적색의 우안이미지만을 인식할 수 있다. 또는 융합분리용 필터(220)는 특정한 방향성을 갖는 빛만을 투과시키는 편광필터를 사용하여 좌안이미지와 우안이미지를 구분하여 사용자의 좌안 및 우안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안에 대응하는 편광필터의 방향성과 우안에 대응하는 편광필터의 방향성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갖는 것으로 구성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210)와 융합분리용 필터(220)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디스플레이장치(220)와 개별적인 융합분리용 필터(220)를 대체하여 편광디스플레이의 구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디스플레이 자체가 이미지의 표시 및 분리를 모두 수행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의 측정모드는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시력훈련장치의 측정모드와 동일하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는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와 버턴들 그리고 적녹필터 등과 같은 단순한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시간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의 융합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력훈련장치를 이용한 훈련모드 동작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사용자는 사용자입력부(160)의 전원입력버턴(161)을 눌러 시력훈련장치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후, 사용자는 시력훈련장치를 착용한 후 사용자입력부(160)의 훈련모드선택버턴(166)을 눌러 훈련모드를 선택한다(S310).
훈련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90)는 저장된 융합도 정보를 이용하여 융합도 훈련을 위한 훈련구간을 설정한다(S320). 훈련구간은 좌안이미지와 우안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로부터 이격 및 접근이동하는 이동범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훈련구간은 측정모드에서 측정된 융합도 정보에 대응하는 이격거리가 포함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의 (a)에 도시된 이동 후 시야원점(P')를 기준으로 소정 범위의 폭을 갖도록 설정되는 것이 훈련에 따른 융합력의 개선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90)는 설정된 훈련구간 내에서 좌안이미지와 우안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하나로부터 이격 및 접근이동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한다.
상술한 훈련모드를 통해 사용자가 양안을 통해 인식하는 이미지가 융합상태와 비융합 상태를 번갈아가며 인식됨으로써, 사용자의 융합력이 개선된다.

Claims (6)

  1. 시력훈련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좌안에 대응하는 좌안이미지와 우안에 대응하는 우안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유니트와;
    사용자입력부와;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를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의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일치된 상태로 제공한 후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하나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이미지분리확인이 입력되면 입력시의 상기 좌안 이미지와 상기 우안 이미지 사이의 이격거리를 융합도 정보로 저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유니트는 좌안이미지를 제공하는 좌측 디스플레이와 상기 우안이미지를 제공하는 우측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를 상기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불일치하는 상태인 상호 이격된 상태로 제공한 후,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 접근이동하도록 상기 좌측 및 우측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접근이동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초점일치확인입력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의 각막반사상 초점이 융합적으로 일치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되며,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를 상기 좌안 및 상기 우안에 제공하기 위한 상호 상대적인 융합분리용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융합도 정보를 이용하여 융합도 훈련을 위한 훈련구간을 설정하고, 설정된 훈련구간 내에서 상기 좌안이미지와 상기 우안이미지 중 적어도 한 이미지를 이격 및 접근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구간은 상기 융합도 정보에 대응하는 이격거리가 포함되도록 상기 훈련구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훈련장치.
KR1020197013635A 2016-12-15 2016-12-15 융합기능 개선을 위한 시력훈련장치 KR102237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6/014735 WO2018110741A1 (ko) 2016-12-15 2016-12-15 융합기능 개선을 위한 시력훈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480A true KR20190069480A (ko) 2019-06-19
KR102237238B1 KR102237238B1 (ko) 2021-04-09

Family

ID=62559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635A KR102237238B1 (ko) 2016-12-15 2016-12-15 융합기능 개선을 위한 시력훈련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10027B2 (ko)
EP (1) EP3556339B1 (ko)
JP (1) JP7168285B2 (ko)
KR (1) KR102237238B1 (ko)
CN (1) CN110300567B (ko)
WO (1) WO20181107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6897A (zh) * 2019-07-19 2019-09-17 彭伟 视觉训练仪及其使用方法
CN110916991B (zh) * 2019-10-22 2022-07-19 温州医科大学附属眼视光医院 一种个性化视觉训练方法及训练装置
CN111973142B (zh) * 2020-07-23 2023-12-08 优奈柯恩(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双眼视野差异的判断和调校系统及方法
CN113101158A (zh) * 2021-04-08 2021-07-13 杭州深睿博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vr的双眼视像融合训练方法和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034A (ko) * 2007-10-19 2009-04-23 이창선 양안 운동성 융합 훈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
KR101370588B1 (ko) * 2011-06-17 2014-03-06 이창선 3d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이상자의 시기능 훈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07552A (ko) * 2015-03-04 2016-09-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양안시 개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6305A (en) * 1986-09-23 1988-07-12 Mateik William J Eye training device
US5478239A (en) * 1993-12-21 1995-12-26 Maximum Performance, Inc. Dynamic visual acuity training method and apparatus
JP3759187B2 (ja) * 1995-02-03 2006-03-22 ソニー株式会社 両眼視機能訓練装置
JPH08257077A (ja) * 1995-03-24 1996-10-08 Minolta Co Ltd 視力回復訓練装置
JPH0956764A (ja) * 1995-08-18 1997-03-04 Sony Corp 斜視訓練装置
JPH10314211A (ja) * 1997-05-15 1998-12-02 Sanyo Electric Co Ltd 斜視矯正装置および斜視矯正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20040075811A1 (en) * 2002-04-16 2004-04-22 Exercise Your Eyes, Inc. Device and method for exercising eyes
US20090244481A1 (en) * 2005-09-30 2009-10-0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ision recovery training device
US8668334B2 (en) * 2006-02-27 2014-03-11 Vital Art And Science Incorporated Vision measurement and 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WO2008070683A1 (en) * 2006-12-04 2008-06-12 Sina Fateh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mblyopia and ocular deviation correction
JP5209239B2 (ja) * 2007-06-22 2013-06-12 株式会社ニデック 視標呈示装置
PT3329838T (pt) * 2007-10-23 2020-11-24 Univ Mcgill Avaliação e terapia de visão binocular
CN100562285C (zh) * 2008-05-30 2009-11-25 浙江工业大学 一种数字化同视机
JP2010148737A (ja) * 2008-12-25 2010-07-08 Panasonic Corp 視力改善訓練装置および視力改善訓練制御プログラム
JP2011224310A (ja) * 2010-04-20 2011-11-10 Kenji Higa 視力トレーニング器
US8328354B2 (en) 2010-09-20 2012-12-11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binocular vision diagnosis and treatment
JP5715797B2 (ja) * 2010-10-29 2015-05-13 Hoya株式会社 両眼視機能測定方法、両眼視機能測定プログラム、眼鏡レンズの設計方法、及び眼鏡レンズの製造方法
JP5622096B2 (ja) * 2010-11-08 2014-11-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立体視検査装置
CN102813500A (zh) * 2012-08-07 2012-12-12 北京嘉铖视欣数字医疗技术有限公司 基于双眼融合知觉矫治和训练系统
CN203042874U (zh) * 2013-01-08 2013-07-10 封利霞 一种人眼立体视知觉学习训练仪
WO2015068168A1 (en) * 2013-11-09 2015-05-14 Visior Technologies Ltd. System and method for treating eye and brain disorders
CN106999337A (zh) * 2014-11-18 2017-08-0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眼睛训练系统和计算机程序产品
CN105816150A (zh) * 2016-01-28 2016-08-03 孙汉军 双眼融合功能的检测训练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034A (ko) * 2007-10-19 2009-04-23 이창선 양안 운동성 융합 훈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방법
KR101370588B1 (ko) * 2011-06-17 2014-03-06 이창선 3d 영상을 이용한 시기능 이상자의 시기능 훈련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107552A (ko) * 2015-03-04 2016-09-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양안시 개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56339A1 (en) 2019-10-23
US11110027B2 (en) 2021-09-07
CN110300567A (zh) 2019-10-01
JP7168285B2 (ja) 2022-11-09
EP3556339A4 (en) 2020-08-19
CN110300567B (zh) 2022-01-21
WO2018110741A1 (ko) 2018-06-21
EP3556339B1 (en) 2024-01-17
JP2020504644A (ja) 2020-02-13
KR102237238B1 (ko) 2021-04-09
US20190290529A1 (en) 2019-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70424B (zh) 可调整显示模块的可调式虚拟现实装置
US11110027B2 (en) Vision training device for improving fusional vergence
JP6378781B2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システム
KR102233000B1 (ko) 인식력 교정을 위한 시력훈련장치
KR101309705B1 (ko) 안경 및 이를 채용한 3d 영상표시 시스템
KR101203921B1 (ko) 안구 추적과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 제공 장치
JP2014071230A (ja) 画像表示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CA2867213C (en) Visualization system for three-dimensional images
KR101650706B1 (ko) 웨어러블 디스플레이장치
JP2018513656A (ja) 画像強調可能な眼鏡構造
JP5990939B2 (ja) 立体視訓練支援装置、立体視訓練支援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029571A1 (ja) 3次元画像観察用眼鏡
US20120120051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stereoscopic images
TW201805689A (zh) 外加式近眼顯示裝置
JPH0968670A (ja) 頭部装着型映像表示装置
JP6867566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US20220350141A1 (en) Head-mountabl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s
JP6693656B2 (ja) 瞳孔間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プログラム、前記プログラムを用いたWebサーバ、及び、瞳孔間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JP2006271740A (ja) 立体眼底画像表示装置
KR101246846B1 (ko) 3차원 영상 표시 방법
KR101247501B1 (ko) 3차원 영상 표시 장치
JPH07140415A (ja) 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