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9100A - 포토폴리머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토폴리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9100A
KR20190069100A KR1020170169488A KR20170169488A KR20190069100A KR 20190069100 A KR20190069100 A KR 20190069100A KR 1020170169488 A KR1020170169488 A KR 1020170169488A KR 20170169488 A KR20170169488 A KR 20170169488A KR 20190069100 A KR20190069100 A KR 20190069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compound
aliphatic
photopoly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6846B1 (ko
Inventor
김헌
장영래
장석훈
권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681932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19006910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70169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6846B1/ko
Priority to CN201880068367.3A priority patent/CN111247181B/zh
Priority to PCT/KR2018/015470 priority patent/WO2019117542A1/ko
Priority to JP2020520628A priority patent/JP7134545B2/ja
Priority to US16/762,009 priority patent/US11591433B2/en
Publication of KR20190069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6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68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 G11B7/24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 G11B7/24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recording layers comprising organic materials only containing a polymeric compon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7Polyurethanes; Polyurea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83/0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on to polymers provided for in C08G18/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36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 C08G18/4238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 C08G18/4241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group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alcohols in combination with polycarboxylic acids and/or polyhydroxy compounds which are at least trifunction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7Unsaturated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 C08G18/75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 C08G18/75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 C08G18/75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08G18/755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cycloaliphatic containing only one cycloaliphatic ring containing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containing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the cycloaliphatic ring by means of an aliphatic group having a primary carbon atom next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and at least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linked to a secondary carbon atom of the cycloaliphatic ring, e.g. isophorone diisocyan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03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groups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81Unsaturated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8108Unsaturated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having only on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08L75/12Polyurethanes from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active hydrogen,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an isocyanate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09D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175/16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having terminal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32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 G03F7/035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binders the binders being polyuretha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stor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03Layers;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thereof
    • G11B7/24035Recording layers
    • G11B7/24044Recording layers for storing optical interference patterns, e.g. holograms; for storing data in three dimensions, e.g. volume stora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24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41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 G11B7/252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 G11B7/25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 G11B7/2533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 G11B7/2535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by shape, structure or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of layers other than recording layers of substrates comprising resins polyesters, e.g. PET, PETG or P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2001/026Recording materials or recording processes
    • G03H2001/0264Organic recording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2260/00Recording materials or recording processes
    • G03H2260/12Photopolym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와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2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 간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이의 전구체; 광반응성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포토폴리머 조성물과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홀로그램 기록 매체와 상기 홀로그램 기록 매체를 포함한 광학 소자와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을 이용한 홀로그래픽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토폴리머 조성물{PHOTOPOLYMER COMPOSITION}
본 발명은 포토폴리머 조성물, 홀로그램 기록 매체, 광학 소자 및 홀로그래픽 기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홀로그램(hologram) 기록 미디어는 노광 과정을 통하여 상기 미디어 내 홀로그래픽 기록층 내 굴절률을 변화시킴으로써 정보를 기록하고 이와 같이 기록된 미디어 내 굴절률의 변화를 판독하여 정보를 재생한다.
포토폴리머(감광성 수지, photopolymer)를 이용하는 경우 저분자 단량체의 광중합에 의하여 광 간섭 패턴을 홀로그램으로 용이하게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 렌즈, 거울, 편향 거울, 필터, 확산 스크린, 회절 부재, 도광체, 도파관, 영사 스크린 및/또는 마스크의 기능을 갖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광메모리 시스템의 매질과 광확산판, 광파장 분할기, 반사형, 투과형 컬러필터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홀로그램 제조용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고분자 바인더,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며,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감광성 필름에 대하여 레이저 간섭광을 조사하여 국부적인 단량체의 광중합을 유도한다.
이러한 광중합 과정에서 단량체가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부분에서는 굴절율이 높아지고, 고분자 바인더가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부분에서는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져서 굴절율 변조가 생기게 되며, 이러한 굴절율 변조에 의해서 회절 격자가 생성된다. 굴절율 변조값 n은 포토폴리머층의 두께와 회절효율(DE)에 영향을 받으며, 각도 선택성은 두께가 얇을수록 넓어지게 된다.
최근에서는 높은 회절효율과 안정적으로 홀로그램을 유지할 수 있는 재료의 개발에 대한 요구와 함께,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굴절율 변조값이 큰 포토폴리머층의 제조를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얇은 두께 범위에서도 높은 굴절율 변조값 및 높은 회절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포토폴리머층을 보다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포토폴리머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얇은 두께 범위에서도 높은 굴절율 변조값 및 높은 회절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포토폴리머층을 포함한 홀로그램 기록 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홀로그램 기록 매체를 포함한 광학 소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 방사선에 의해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에 포함된 광반응성 단량체를 선택적으로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기록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와 1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2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 간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이의 전구체; 광반응성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포토폴리머 조성물 이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홀로그램 기록 매체가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홀로그램 기록 매체를 포함한 광학 소자가 제공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가간섭성 광원에 의해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에 포함된 광반응성 단량체를 선택적으로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기록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포토폴리머 조성물, 홀로그램 기록 매체, 광학 소자, 및 홀로그래픽 기록 방법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공)중합체는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랜덤공중합체, 블록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포함)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홀로그램(hologram)은 노광 과정을 통하여 전체 가시 범위 및 근자외선 범위(300-800 nm)에서 광학적 정보가 기록된 기록 미디어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인-라인 (가버(Gabor)) 홀로그램, 이축(off-axis) 홀로그램, 완전-천공(full-aperture) 이전 홀로그램, 백색광 투과 홀로그램 ("무지개 홀로그램"), 데니슈크(Denisyuk) 홀로그램, 이축 반사 홀로그램, 엣지-리터러츄어(edge-literature) 홀로그램 또는 홀로그래피 스테레오그램(stereogram) 등의 시각적 홀로그램(visual hologram)을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는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는 1 내지 20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는 1 내지 10이다. 또 하나의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알킬기의 탄소수는 1 내지 6이다. 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sec-부틸, 1-메틸-부틸, 1-에틸-부틸, 펜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헥실, n-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4-메틸-2-펜틸, 3,3-디메틸부틸, 2-에틸부틸, 헵틸, n-헵틸, 1-메틸헥실, 시클로펜틸메틸, 시클로헥틸메틸, 옥틸, n-옥틸, tert-옥틸, 1-메틸헵틸, 2-에틸헥실, 2-프로필펜틸, n-노닐, 2,2-디메틸헵틸, 1-에틸-프로필, 1,1-디메틸-프로필, 이소헥실, 2-메틸펜틸, 4-메틸헥실, 5-메틸헥실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킬렌기는 알케인(alkane)으로부터 유래한 2가의 작용기로, 예를 들어, 직쇄형, 분지형 또는 고리형으로서,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부틸렌기, sec-부틸렌기, tert-부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는 다른 치환기에 연결되는 결합을 의미한다.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와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2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 간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이의 전구체; 광반응성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포토폴리머 조성물 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와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2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 간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이의 전구체를 포함한 포토폴리머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홀로그램이 얇은 두께 범위에서도 높은 굴절율 변조값 및 높은 회절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이의 전구체는 구조적 안정성으로 인해 홀로그램 형성시 수축(shrinkage)이 크게 발생하지 않아서 홀로그램의 왜곡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소결합과 같은 비공유 결합으로 이루어진 네트워크 구조이므로 외부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분자 간 상호 작용에 의해 네트워크 구조가 재형성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외부 충격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와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2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 간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이의 전구체는 내부에 이소시아네트기와 폴리올의 히드록시가 반응하여 형성된 우레탄 결합이 존재하여 형성된 매트릭스의 유연성(flexibility)가 우수하여 최종 제조되는 홀로그램 기록 매체에서 광반응성 단량체(monomer)의 유동성(mobility)을 개선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이 높아 형성된 홀로그램의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로 인하여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수소 결합이 형성되어 가교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수소 결합과 같은 비공유 결합에 의한 가교 구조가 형성되어 외부 충격이 가해졌을 때 분자 간 상호 작용에 의해 가교 구조의 재형성이 반복적이고 가역적인 형태로 가능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형성된 홀로그램의 내구성 및 홀로그램이 형성된 필름의 기계적 물성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내부에 수소 결합은 수소결합은 결합의 세기가 Gibb’s free energy(△G)=-12~-24 Kcal/mol 정도로 비교적 약한 결합이지만, 수소 결합 주개(Donor)와 받개(Acceptor) 를 여러 개 배열함으로써 강한 결합력을 얻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유결합에 의한 화학적 가교 결합을 이용한 고분자 매트릭스와 같은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이의 전구체는 상기 홀로그램 기록 매체 및 이로부터 제조된 최종 제품의 지지체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상기 광반응성 단량체는 기록 단량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이들의 사용에 따라 홀로그래픽 기록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상에서 상기 광반응성 단량체를 선택적으로 중합되어, 굴절률이 상이한 부분으로 인한 굴절률 변조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굴절률이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1.45 내지 1.70, 또는 1.455 내지 1.60, 또는 1.46 내지 1.53일 수 있다.
상기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OH, -OR, -NH2, -NHR(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기), -NR2(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기), -COOH기, -COOR(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기), -CONH2, -CONR2, -NHOH, 및 -NROR(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가 작용기이거나, -NHCO-, -NRCO-, -O-, -NH-, -NR-, -COO-, -CONHCO-, -CONRCO-, -NH-NH-, -NR-NH-, 및 -NR-N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가 작용기를 들 수 있다. 상기 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기, 탄소수 4 내지 20의 지환족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방향족일 수 있다.
상기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와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구조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상기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를 함유한 헤테로 고리 화합물;과 1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화합물;이 결합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를 함유한 헤테로 고리 화합물;과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화합물;이 반응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술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전구체 화합물들이 반응하여 형성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헤테로 고리 화합물과 2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화합물이 반응함으로서 상술한 구조의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 합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를 함유한 헤테로 고리 화합물은 2-우레이도-4-피리미디논(2-ureido-4-pyrimidinone), 2-우레이도-4-피리미디놀(4-ureido-4-pyrimidinol), 2-우레이도-4-피리미돈(2-uriedo-4-pyrimidone), 디아실피리미딘(diacylpyrimidine), 2,6-디(아세틸아미노)-4-피리딜(2,6-di(acetylamino)-4-pyridyl), 2,7-디아미노-1,8-나프티리딘(2,7-diamino-1,8-naphthyridine), 아데닌(adenine), 티민(thymine), 우라실(uracil), 구아닌(guanine) 시토신(cytosine), 아데닌-티민 이합체(adenine-thymine dimer), 아데닌-우라실 이합체(adenine-uracil dimer), 및 구아닌-시토신 이합체(guanine-cytosine di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화합물은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포함한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 화합물,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포함하고 탄소수 1 내지 10의 지방족기가 1이상 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지환족 화합물, 또는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포함하고 탄소수 1 내지 10의 지방족기가 1이상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방향족 화합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1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한 화합물은 지방족, 고리지방족, 방향족 또는 방향지방족의 모노- 디-, 트리- 또는 폴리- 이소시아네이트이다. 또한, 상기 1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한 화합물은 우레탄, 요소, 카르보디이미드, 아실요소, 이소시아누레이트, 알로파네이트, 뷰렛, 옥사디아진트리온, 우레트디온 또는 이미노옥사디아진디온 구조를 가지는 단량체형 디- 및/또는 트리이소시아네이트의 비교적 분자량이 큰 2차 산물 (올리고-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상기 1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포함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부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HDI),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1,8-디이소시아네이토-4-(이소시아네이토메틸)옥탄, 2,2,4- 및/또는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성질체 비스(4,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 및 임의의 요망되는 이성질체 함량을 갖는 그의 혼합물, 이소시아네이토메틸-1,8-옥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4-시클로헥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성질체 시클로헥산디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4-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및/또는 2,6-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4,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트리페닐메탄 4,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반응하여 고분자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2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은 2 내지 20 탄소수를 갖는 지방족, 방향지방족 또는 고리지방족 디올, 트리올 및/또는 고급 폴리올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은 300 g/mol 내지 10,000 g/mol의 수산기 당량과 100,000 내지 1,500,0000 g/mol 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올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네오펜틸글리콜, 2-에틸-2-부틸프로판디올, 트리메틸펜탄디올, 디에틸옥탄디올 위치 이성질체, 1,3-부틸렌 글리콜, 씨클로헥산디올, 1,4-씨클로헥산디메탄올, 1,6-헥산디올, 1,2- 및 1,4-씨클로헥산디올, 수소화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씨클로헥실)프로판), 2,2-디메틸-3-히드록시프로필, 2,2-디메틸-3-히드록시프로피오네이트가 있다.
또한, 상기 트리올의 예로는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글리세롤이 있다. 적합한 고도-관능성 알콜은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또는 소르비톨이다.
또한, 상기 폴리올로는 비교적 큰 분자량의 지방족 및 고리지방족 폴리올,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 히드록시-관능성 아크릴 수지, 히드록시-관능성 폴리우레탄, 히드록시-관능성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폴리올은 예를 들면 에탄디올, 디-, 트리- 또는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1,2-프로판디올, 디-, 트리- 또는 테트라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2-디메틸-1,3-프로판디올, 1,4-디히드록시씨클로헥산, 1,4-디메틸올씨클로헥산, 1,8-옥탄디올, 1,10-데칸디올, 1,12-도데칸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다가 알콜을 사용하고, 임의로 트리메틸올프로판 또는 글리세롤과 같이 더 높은 관능성의 폴리올을 동시에 사용하여, 예를 들면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피멜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크산, 노난디카르복실산, 데칸디카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o-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헥사히드로프탈산 또는 트리멜리트산, 및 산 무수물, 예컨대 o-프탈산 무수물, 트리멜리트산 무수물 또는 숙신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지방족, 고리지방족 또는 방향족의 디- 또는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무수물로부터 공지의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는 것과 같은, 선형 폴리에스테르 디올이다. 물론, 고리지방족 및/또는 방향족의 디- 및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역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제조를 위한 다가 알콜로서 적합하다. 유리 폴리카르복실산 대신, 저급 알콜의 상응하는 폴리카르복실산 무수물 또는 상응하는 폴리카르복실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폴리에스테르 제조에 사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합성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로는 락톤의 단일- 또는 공중합체가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부티로락톤, ε-카프로락톤 및/또는 메틸-ε-카프로락톤과 같은 락톤 또는 락톤 혼합물의,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용 합성 성분으로서 상기 언급된 작은 분자량의 다가 알콜과 같은 적합한 2관능성 및/또는 더 높은 관능성의 개시제 분자와의 첨가 반응에 의해 수득된다.
또한, 히드록실 기를 가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역시 예비중합체 합성을 위한 폴리히드록시 성분으로서 적합한데, 예를 들면 디올, 예컨대 1,4-부탄디올 및/또는 1,6-헥산디올 및/또는 3-메틸펜탄디올의, 디아릴 카르보네이트, 예컨대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디메틸 카르보네이트 또는 포스겐과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것들이다.
또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합성에 사용될 수 있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은 예를 들면 스티렌 옥시드, 에틸렌 옥시드, 프로필렌 옥시드, 테트라히드로퓨란, 부틸렌 옥시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다중첨가 생성물과 이들의 혼합 첨가생성물 및 그라프트 생성물, 그리고 다가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축합에 의해 수득되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다가 알콜, 아민 및 아미노 알콜의 알콕시화에 의해 수득되는 것들이다. 상기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구체적인 예로는 1.5 내지 6의 OH 관능도 및 200 내지 18000 g/몰 사이의 수 평균 분자량,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4.0의 OH 관능도 및 600 내지 8000 g/몰의 수 평균 분자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3.1의 OH 관능도 및 650 내지 4500 g/몰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형태의 폴리(프로필렌 옥시드), 폴리(에틸렌 옥시드) 및 이들의 조합, 또는 폴리(테트라히드로퓨란)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한편, 상기 구현예의 포토폴리머 조성물로부터 보다 높은 굴절률 변조값(△n) 및 회절 효율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2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로 1,000 g/mol 내지 3,000 g/mol, 또는 1,200 g/mol 내지 2,500 g/mol 의 수산기 당량을 갖는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범위의 수산기 당량을 갖는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 우레탄 결합을 형성하는 고분자 매트릭스(matrix)의 가교 반응에서 가교도의 조절 및 가교 반응성 조절이 보다 더 용이하다.
또한, 상술한 범위의 수산기 당량을 갖는 폴리올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와 1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대비 2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의 몰비가 2 내지 8, 또는 3 내지 6일 수 있다. 상기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대비 2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의 중량비가 상술함 범위에 임에 따라서 수소결합에 의한 가교 결합의 사이트(site) 비율이 조절되어 최종 고분자 매트릭스(matrix)의 가교밀도가 조절되며, 이러한 가교 밀도에 따라 고분자 매트릭스(matrix)의 유리 전이 온도(Tg) 및 기록 단량체의 유동성이 변하여, 이에 따라서 최종 제조되는 홀로그램 기록 매체의 굴절률 변조값(△n) 및 회절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반응성 단량체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의 광중합 과정에서 단량체가 중합되어 폴리머가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부분에서는 굴절율이 높아지고, 고분자 바인더가 상대적으로 많이 존재하는 부분에서는 굴절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져서 굴절율 변조가 생기게 되며, 이러한 굴절율 변조에 의해서 회절 격자가 생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반응성 단량체의 일 예로는 (메트)아크릴레이트계 α,β-불포화 카르복실산 유도체, 예컨대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또는 (메트)아크릴산 등이나, 또는 비닐기(vinyl) 또는 씨올기(thiol)를 포함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광반응성 단량체의 일 예로 굴절율이 1.5 이상, 또는 1.53이상, 또는 1.5 내지 1.7인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굴절율이 1.5 이상, 또는 1.53이상, 또는 1.5 내지 1.7인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Halogen 원자(bromine, iodine 등), 황(S), 인(P), 또는 방향족 고리(aromatic rin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굴절율이 1.5 이상인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sphenol A modified diacrylate계열, fluorene acrylate 계열(HR6022 등 - Miwon社), bisphenol fluorene epoxy acrylate계열 (HR6100, HR6060, HR6042 등 - Miwon社), Halogenated epoxy acrylate계열 (HR1139, HR3362 등 - Miwon社)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반응성 단량체의 다른 일 예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상기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분자 내부에 에테르 결합 및 플루오렌 작용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페녹시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o-페닐페놀 에틸렌 옥사이드 (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트)아크릴레이트, 2-(페닐사이오)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바이페닐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광반응성 단량체로는 50 g/mol 내지 1000 g/mol, 또는 200 g/mol 내지 6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법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단위 : g/mol)을 의미한다. 상기 GPC법에 의해 측정한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측정하는 과정에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분석 장치와 시차 굴절 검출기(Refractive Index Detector) 등의 검출기 및 분석용 컬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온도 조건, 용매, flow rate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측정 조건의 구체적인 예로, 30 ℃의 온도, 클로로포름 용매(Chloroform) 및 1 mL/min의 flow rate를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구현예의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포함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빛 또는 화학방사선에 의해 활성화되는 화합물이며, 상기 광반응성 단량체 등 광반응성 작용기를 함유한 화합물의 중합을 개시한다.
상기 광개시제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광개시제를 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또는 광음이온 중합 개시제를 들 수 있다.
상기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이미다졸 유도체, 비스이미 다졸 유도체, N-아릴 글리신 유도체, 유기 아지드 화합물, 티타노센, 알루미네이트 착물, 유기 과산화물, N- 알콕시 피리디늄 염, 티옥산톤 유도체, 아민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는 1,3-di(t-butyldioxycarbonyl)benzophenone, 3,3',4,4''-tetrakis(t-butyldioxycarbonyl)benzophenone, 3-phenyl-5-isoxazolone, 2-mercapto benzimidazole, bis(2,4,5-triphenyl)imidazole, 2,2-dimethoxy-1,2-diphenylethane-1-one (제품명: Irgacure 651 / 제조사: BASF), 1-hydroxy-cyclohexyl-phenyl-ketone (제품명:Irgacure 184 / 제조사: BASF), 2-benzyl-2-dimethylamino-1-(4-morpholinophenyl)-butanone-1 (제품명: Irgacure 369 / 제조사: BASF), 및 bis(η5-2,4-cyclopentadiene-1-yl)-bis(2,6-difluoro-3-(1H-pyrrole-1-yl)-phenyl)titanium (제품명: Irgacure 784 제조사: BASF), Ebecryl P-115(제조사 : SK entis), H-Nu 254 (제조사 : Spectra Group Limited)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로는, 디아조늄염(diazonium salt), 설포늄염(sulfonium salt), 또는 요오드늄(iodonium salt)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술폰산 에스테르, 이미드 술포 네이트, 디알킬-4-히드록시 술포늄 염, 아릴 술폰산-p-니트로 벤질 에스테르, 실라놀-알루미늄 착물, (η6- 벤젠) (η5-시클로 펜타디에닐)철 (II)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벤조인 토실레이트, 2,5-디니트로 벤질 토실레이트, N- 토실프탈산 이미드 등도 들 수 있다. 상기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Cyracure UVI-6970, Cyracure UVI-6974 및 Cyracure UVI-6990 (제조사: Dow Chemical Co. in USA)이나 Irgacure 264 및 Irgacure 250 (제조사: BASF) 또는 CIT-1682 (제조사:Nippon Soda) 등의 시판 제품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음이온 중합 개시제로는, 보레이트염(Borate salt)을 들 수 있고, 예를 들면 부티릴 클로린 부틸트리페닐보레이트(BUTYRYL CHOLINE BUTYLTRIPHENYLBORATE)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광음이온 중합 개시제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Borate V(제조사: Spectra group) 등의 시판 제품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현예의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일분자 (유형 I) 또는 이분자 (유형 II) 개시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자유 라디칼 광중합을 위한 (유형 I) 시스템은 예를 들면 3차 아민과 조합된 방향족 케톤 화합물, 예컨대 벤조페논, 알킬벤조페논, 4,4'-비스(디메틸아미노)벤조페논 (미힐러(Michler's) 케톤), 안트론 및 할로겐화 벤조페논 또는 상기 유형의 혼합물이다. 상기 이분자 (유형 II) 개시제로는 벤조인 및 그의 유도체, 벤질 케탈, 아실포스파인 옥시드, 예컨대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파인 옥시드, 비스아실로포스파인 옥시드, 페닐글리옥실 에스테르, 캄포퀴논, 알파-아미노알킬페논, 알파-,알파-디알콕시아세토페논, 1-[4-(페닐티오)페닐]옥탄-1,2-디온 2-(O-벤조일옥심) 및 알파-히드록시알킬페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이의 전구체 1 중량% 내지 80중량%; 상기 반응성 작용기를 포함한 가교제 5 내지 80중량%; 상기 광반응성 단량체 5 중량% 내지 80중량%; 및 상기 광개시제 0.1 중량% 내지 15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이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하는 경우, 상술한 성분들의 함량은 이들 성분의 총합(유기 용매를 제외한 성분의 총합)을 기준으로 한다.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저굴절율 불소계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반응성이 거의 없는 안정성을 가지며, 저굴절특성을 가지므로,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 내에 첨가시 고분자 매트릭스의 굴절률을 보다 낮출 수 있어, 모노머와의 굴절률 변조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저굴절율 불소계 화합물은 에테르기, 에스터기 및 아마이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작용기 및 2이상의 다이플루오로메틸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소계 화합물은 2개의 다이플루오로메틸렌기간의 직접결합 또는 에테르 결합을 포함한 중심 작용기의 양말단에 에테르기를 포함한 작용기가 결합한 하기 화학식4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4]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4에서,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다이플루오로메틸렌기이며, R13 및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렌기이고, R14 및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다이플루오로메틸렌기이며, R17 및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기이고, m은 1이상, 또는 1 내지 10, 또는 1 내지 3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4에서,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다이플루오로메틸렌기이며, R13 및 R16은 각각 독립적으로 메틸렌기이고, R14 및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다이플루오로메틸렌기이며, R17 및 R18은 각각 독립적으로 2-메톡시에톡시메톡시기이고, m은 2의 정수이다.
상기 저굴절율 불소계 화합물은 굴절률이 1.45미만, 또는 1.4 이상 1.45미만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반응성 단량체가 1.5이상의 굴절률을 가지므로, 상기 저굴절율 불소계 화합물은 광반응성 단량체 보다 낮은 굴절률을 통해, 고분자 매트릭스의 굴절률을 보다 낮출 수 있어, 모노머와의 굴절률 변조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굴절율 불소계 화합물의 함량은 광반응성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내지 150 중량부, 또는 50 중량부 내지 110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저굴절율 불소계 화합물의 함량이 광반응성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나치게 감소하게 되면, 저굴절 성분의 부족으로 인해 기록 후의 굴절률 변조값이 낮아지고, 상기 저굴절율 불소계 화합물의 함량이 광반응성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지나치게 증가하게 되면, 가교도가 낮아서 필름 형성이 되지 않거나 상용성이 떨어져 결함율이 높아질 수 있고, 기타 성분들과의 상용성 문제로 헤이즈가 발생하거나 일부 불소계 화합물이 코팅층의 표면으로 용출되는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다.
상기 저굴절율 불소계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GPC측정)이 300 이상, 또는 300 내지 1000일 수 있다. 중량평균분자량 측정의 구체적인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광감응 염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감응 염료는 상기 광개시제를 증감시키는 증감 색소의 역할을 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감응 염료는 광중합체 조성물에 조사된 빛에 의하여 자극되어 모노머 및 가교 모노머의 중합을 개시하는 개시제의 역할도 함께 할 수 있다.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광감응 염료 0.01 내지 30중량%, 또는 0.05 내지 2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감응 염료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광감응 염료의 구체적인 예로는, 세라미도닌의 술포늄 유도체(sulfonium derivative), 뉴 메틸렌 블루(new methylene blue), 티오에리트로신 트리에틸암모늄(thioerythrosine triethylammonium), 6-아세틸아미노-2-메틸세라미도닌(6-acetylamino-2-methylceramidonin), 에오신(eosin), 에리트로신(erythrosine), 로즈 벵갈(rose bengal), 티오닌(thionine), 베이직 옐로우(baseic yellow), 피나시놀 클로라이드(Pinacyanol chloride), 로다민 6G(rhodamine 6G), 갈로시아닌(gallocyanine), 에틸 바이올렛(ethyl violet), 빅토리아 블루 R(Victoria blue R), 셀레스틴 블루(Celestine blue), 퀴날딘 레드(QuinaldineRed), 크리스탈 바이올렛(crystal violet), 브릴리언트 그린(Brilliant Green), 아스트라존 오렌지 G(Astrazon orange G), 다로우 레드(darrow red), 피로닌 Y(pyronin Y), 베이직 레드 29(basic red 29), 피릴륨I(pyrylium iodide), 사프라닌 O(Safranin O), 시아닌, 메틸렌 블루, 아주레 A(Azure A), 또는 이들의 2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케톤류, 알코올류, 아세테이트류 및 에테르류,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기 용매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에틸케논, 메틸이소부틸케톤, 아세틸아세톤 또는 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프로판올, n-부탄올, i-부탄올, 또는 t-부탄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아세테이트, i-프로필아세테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테이트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또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모노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또는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들을 혼합하는 시기에 첨가되거나 각 성분들이 유기 용매에 분산 또는 혼합된 상태로 첨가되면서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 중 유기 용매의 함량이 너무 작으면,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의 흐름성이 저하되어 최종 제조되는 필름에 줄무늬가 생기는 등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용매의 과량 첨가시 고형분 함량이 낮아져, 코팅 및 성막이 충분히 되지 않아서 필름의 물성이나 표면 특성이 저하될 수 있고, 건조 및 경화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포함되는 성분들의 전체 고형분의 농도가 1중량% 내지 70중량%, 또는 2 내지 50중량%가 되도록 유기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기타의 첨가제, 촉매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나 광반응성 단량체의 중합을 촉진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알려진 촉매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촉매의 예로는, 주석 옥타노에이트, 아연 옥타노에이트,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메틸비스[(1-옥소네오데실)옥시]스타난, 디메틸주석 디카르복실레이트, 지르코늄 비스(에틸헥사노에이트), 지르코늄 아세틸아세토네이트, p-톨루엔설폰산(p-toluenesulfonic acid) 또는 3차 아민, 예컨대 1,4-디아자비씨클로[2.2.2]옥탄, 디아자비씨클로노난, 디아자비씨클로운데칸, 1,1,3,3-테트라메틸구아니딘, 1,3,4,6,7,8-헥사히드로-1-메틸-2H-피리미도(1,2-a)피리미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기타의 첨가제의 예로는 소포제 또는 포스페이트계 가소제를 들 수 있고, 상기 소포제로는 실리콘계 반응성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예로 Tego Rad 2500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의 예로는 트리부틸 포스페이트와 같은 포스페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상기 가소제는 상술한 불소계 화합물과 함께 1:5 내지 5:1의 중량비율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굴절률이 1.5미만이며, 분자량이 700이하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불소계 화합물 또는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광반응성 단량체에 비해 낮은 굴절률을 가지고 있어, 고분자 매트릭스의 굴절률을 낮추어 포토폴리머 조성물의 굴절률 변조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더구나, 상기 포스페이트계 화합물은 가소제의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의 유리전이온도를 낮추어 포토폴리머 조성물의 성형성을 높이거나 단량체의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홀로그램기록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포토폴리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홀로그램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 구현예의 포토폴리머 조성물을 사용하면,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면서도 이전에 알려진 홀로그램에 비하여 크게 향상된 굴절율 변조값 및 높은 회절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홀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기록 매체는 5㎛ 내지 30 ㎛의 두께에서도 0.009 이상 또는 0.010 이상, 또는 0.011 이상, 또는 0.012 이상의 굴절율 변조값(n)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 상한이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들 들어 0.020 이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로그램 기록 매체는 5㎛ 내지 30 ㎛의 두께에서 50% 이상, 또는 70% 이상, 또는 80% 이상, 또는 85% 이상의 회절 효율을 구현할 수 있으며, 그 상한이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들 들어 99.9%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이에 포함되는 각각의 성분을 균일하게 혼합하고 20 ℃ 이상의 온도에서 건조 및 경화를 한 이후에, 소정의 노광 과정을 거쳐서 전체 가시 범위 및 근자외선 영역(300 내지 800 nm)에서의 광학적 적용을 위한 홀로그램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포토폴리머 조성물 중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이의 전구체를 형성하는 성분을 우선 균질하게 혼합하고, 선형 실란 가교제를 추후에 촉매와 함께 혼합하여 홀로그램의 형성 과정을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이에 포함되는 각각의 성분의 혼합에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혼합기, 교반기 또는 믹서 등을 별 다른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혼합 과정에서의 온도는 0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0 ℃ 내지 80 ℃,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 내지 60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포토폴리머 조성물 중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이의 전구체를 형성하는 성분을 우선 균질하고 혼합한 이후, 선형 실란 가교제를 첨가하는 시점에서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은 20 ℃이상의 온도에서 경화되는 액체 배합물이 될 수 있다.
상기 경화의 온도는 상기 포토폴리머의 조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 ℃ 내지 180 ℃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촉진된다.
상기 경화시에는 상기 포토폴리머가 소정의 기판이나 몰드에 주입되거나 코팅이 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홀로그램 기록 매체에 시각적 홀로그램의 기록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을 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구현예의 홀로그래픽 기록 방법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하나의 예로 채용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가간섭성 광원에 의해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에 포함된 광반응성 단량체를 선택적으로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기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을 혼합 및 경화하는 과정을 통해서 시각적 홀로그램이 기록되지 않는 상태의 매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소정의 노출 과정을 통해서 상기 매체 상에 시각적 홀로그램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포토폴리머 조성물을 혼합 및 경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제공되는 매체에, 통상적으로 알려진 조건 하에 공지의 장치 및 방법을 이용하여 시각적 홀로그램을 기록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홀로그램 기록 매체를 포함한 광학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광학 소자의 구체적인 예로는 광학 렌즈, 거울, 편향 거울, 필터, 확산 스크린, 회절 부재, 도광체, 도파관, 영사 스크린 및/또는 마스크의 기능을 갖는 홀로그래픽 광학 소자, 광메모리 시스템의 매질과 광확산판, 광파장 분할기, 반사형, 투과형 컬러필터 등을 들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기록 매체를 포함한 광학 소자의 일 예로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들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는 광원부, 입력부, 광학계 및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원부는 입력부 및 표시부에서 물체의 3차원 영상 정보를 제공, 기록 및 재생하는데 사용되는 레이저빔을 조사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표시부에 기록할 물체의 3차원 영상 정보를 미리 입력하는 부분이며, 예를 들어, 전기 구동 액정 SLM(electrically addressed liquid crystal SLM) 에 공간별 빛의 세기와 위상과 같은 물체의 3차원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이때 입력빔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학계는 미러, 편광기, 빔스플리터, 빔셔터, 렌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광학계는 광원부에서 방출되는 레이저빔을 입력부로 보내는 입력빔, 표시부로 보내는 기록빔, 기준빔, 소거빔, 독출빔 등으로 분배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입력부로부터 물체의 3차원 영상 정보를 전달받아서 광학 구동 SLM(optically addressed SLM)으로 이루어진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기록하고, 물체의 3차원 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입력빔과 기준빔의 간섭을 통하여 물체의 3차원 영상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트에 기록된 물체의 3차원 영상 정보는 독출빔이 생성하는 회절 패턴에 의해 3차원 영상으로 재생될 수 있고, 소거빔은 형성된 회절 패턴을 빠르게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로그램 플레이트는 3차원 영상을 입력하는 위치와 재생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얇은 두께 범위에서도 높은 굴절율 변조값 및 높은 회절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포토폴리머 조성물, 이를 이용한 홀로그램 기록 매체, 광학 소자, 및 홀로그래픽 기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
1. 제조예1 :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합성
500ml 플라스크에 아이소포론 다이이소시아네이트 (Isophorone diisocyanate, 39g, 3.5mol)에 2-아미노-6-메틸피리미딘-4-올(2-amino-6-methylpyrimidin-4-ol) 4.4g(0.7mol)을 넣고 녹인 후, 90℃에서 40시간 환류(refluxing) 시켰다. 이후 혼합물이 투명한 상태로 변하게 되면 과량의 n-Hexane에 혼합물을 천천히 침전하는 방법으로 워크 업(work-up)하고, 여과(filtering) 과 건조(drying)을 거쳐 생성물을 30% 수율로 얻었다.
Figure pat00002
제조예2 : 비반응성 저굴절 물질(P2)의 제조
1000ml 플라스크에 2,2'-((oxybis(1,1,2,2-tetrafluoroethane-2,1-diyl))bis(oxy))bis(2,2-difluoroethan-1-ol) 20.51 g을 넣어준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500g에 녹여 0 ℃에서 교반하면서 sodium hydride (60 % dispersion in mineral oil) 4.40 g을 여러 차례에 걸쳐 조심스럽게 첨가하였다. 0 ℃에서 20분 교반한 후, 2-methoxyethoxymethyl chloride 12.50 ml를 천천히 dropping 하였다. 1H NMR로 반응물이 모두 소모된 것이 확인되면, 감압하여 반응용매를 모두 제거하였다. 다이클로로메테인 300g으로 3회 추출하여 유기층을 모은 후 magnesium sulfate로 필터한 후 감압하여 다이클로로메테인을 모두 제거하여 순도 95 % 이상의 액상 생성물 29 g을 98 %의 수율로 수득하였다.
[ 실시예 : 포토폴리머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1
하기 표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제조예 1 에서 얻은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0.25g, Polyol-1(Acrylic polyol, OH equivalent weight = 5767 g/mol, 고형분 20% 희석) 41.3g, 광반응성 단량체(고굴절 아크릴레이트, 굴절률 1.600, HR6042[미원]) 8.5g, 트리부틸 포스페이트(Tributyl phosphate[TBP], 분자량 266.31, 굴절률 1.424, 시그마 알드리치사 제품) 3.7g, 상기 제조예 2의 P2(비반응성 불소계 화합물) 3.7g을 MIBK(용매) 30g에 혼합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여 투명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safranin O (염료, 시그마 알드리치사 제품) 4.9g, 3차 Amine [CN-386 (Sartomer), 고형분 10% 희석] 3.7g, Irgacure 250 (고형분 1% 희석) 2.5g 를 첨가하여 30분 다시 혼합하고 균일하게 교반한 이후, DBTDL(dibutyltin dilaurate, 고형분 1% 희석) 1.6g 첨가하고 1분간 교반하여 투명한 포토폴리머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후 TAC 기재(80㎛)에 Meyer bar를 이용하여 상기 포토폴리머 코팅액은 코팅한 후, 40℃에서 30분 열경화를 거쳐 15㎛ 두께의 코팅층을 갖는 포토폴리머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7
상기 표2와 같이 Polyol-2(Acrylic polyol, OH equivalent weight = 1,800 g/mol, 고형분 20% 희석)을 사용하고 다른 성분의 함량을 달리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포토폴리머 코팅액 및 포토폴리머 코팅 필름을 제조하였다.
[ 실험예 : 홀로그래픽 기록]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제조된 포토폴리머 코팅면을 slide 글라스에 라미레이트 하고, 기록시 레이저가 유리면을 먼저 통과하도록 고정하였다.
(2) 회절 효율(η) 측정
두 간섭광(참조광 및 물체광)의 간섭을 통해서 홀로그래픽을 기록하며, 투과형 기록은 두 빔을 샘플의 동일면에 입사하였다. 두 빔의 입사각에 따라 회절 효율은 변하게 되며, 두 빔의 입사각이 동일한 경우 non-slanted가 된다. non-slanted 기록은 두빔의 입사각이 법선 기준으로 동일하므로, 회절 결자는 필름에 수직하게 생성된다.
532nm 파장의 레이저를 사용하여 투과형 non-slanted 방식으로 기록(2θ=45°)하며, 하기 일반식1로 회절 효율(η)을 계산하였다.
[일반식1]
Figure pat00003
상기 일반식1에서, η은 회절 효율이고, PD는 기록후 샘플의 회절된 빔의 출력량(mW/㎠)이고, PT는 기록한 샘플의 투과된 빔의 출력량(mW/㎠)이다.
(3) 굴절률 변조값(△n) 측정
투과형 홀로그램의 Lossless Dielectric grating은 하기 일반식2로부터 굴절율 변조값(△n)을 계산할 수 있다.
[일반식 2]
Figure pat00004
상기 일반식2에서, d는 포토폴리머층의 두께이고, △n은 굴절율 변조값이며, η(DE)은 회절 효율이고, λ는 기록 파장이다.
실시예의 포토폴리머 조성물 (단위: g)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함량:g) Polyol-1
(고형분20%)
Polyol-2
(고형분20%)
HR6042 Safranine O
(고형분0.5%)
CN- 386
(고형분10%)
Irgacure 250
(고형분1%)
TBP P3 DBTDL
(고형분1%)
MIBK
실시예1 0.25 41.3 8.5 4.9 3.7 2.5 3.7 3.7 1.6 30
실시예2 0.48 40.1 8.5 4.9 3.7 2.5 3.7 3.7 1.6 30
실시예3 0.47 40.2 8.5 4.9 3.7 2.5 3.7 3.7 1.6 30
실시예4 0.75 38.8 8.5 4.9 3.7 2.5 3.7 3.7 1.6 30
실시예5 1.43 37.1 8.8 5.1 3.8 2.6 3.9 3.9 1.5 30
실시예6 1.98 34.3 8.8 5.1 3.8 2.6 3.9 3.9 1.4 32
실시예7 2.46 31.9 8.8 5.1 3.8 2.6 3.9 3.9 1.3 34
실시예의 로부터 제조된 홀로그래픽 기록 매체의 실험예 측정 결과
회절 효율(η)(%) 굴절률 변조값(△n)
실시예1 77 0.01
실시예2 61 0.008
실시예3 52 0.0112
실시예4 65 0.0125
실시예5 97 0.02
실시예6 95 0.019
실시예7 85 0.016
상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조예 1의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와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2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 간의 반응물을 사용한 얻어진 실시예의 포토폴리머 코팅 필름은, 0.008 이상의 굴절률 변조값(△n)을 가지며 50% 이상의 회절 효율을 나타낸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특히, 소정의 수산기 당량을 갖는 폴리올과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3 내지 6의 중량비 범위에서 사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매트릭스를 포함한 실시예 5 및 6의 경우, 0.018 이상의 굴절률 변조값(△n)을 가지며 90% 이상의 회절 효율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Claims (13)

  1.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와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2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 간의 반응물을 포함하는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이의 전구체;
    광반응성 단량체; 및
    광개시제;를 포함하는, 포토폴리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는 -OH, -OR, -NH2, -NHR(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기), -NR2(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기), -COOH기, -COOR(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기), -CONH2, -CONR2, -NHOH, 및 -NROR(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가 작용기이거나,
    -NHCO-, -NRCO-, -O-, -NH-, -NR-, -COO-, -CONHCO-, -CONRCO-, -NH-NH-, -NR-NH-, 및 -NR-NR-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가 작용기이며,
    상기 R은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기, 탄소수 4 내지 20의 지환족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20의 방향족인,
    포토폴리머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와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를 함유한 헤테로 고리 화합물;과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화합물;이 결합된 구조를 갖는, 포토폴리머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를 함유한 헤테로 고리 화합물은 2-우레이도-4-피리미디논(2-ureido-4-pyrimidinone), 2-우레이도-4-피리미디놀(4-ureido-4-pyrimidinol), 2-우레이도-4-피리미돈(2-uriedo-4-pyrimidone), 디아실피리미딘(diacylpyrimidine), 2,6-디(아세틸아미노)-4-피리딜(2,6-di(acetylamino)-4-pyridyl), 2,7-디아미노-1,8-나프티리딘(2,7-diamino-1,8-naphthyridine), 아데닌(adenine), 티민(thymine), 우라실(uracil), 구아닌(guanine) 시토신(cytosine), 아데닌-티민 이합체(adenine-thymine dimer), 아데닌-우라실 이합체(adenine-uracil dimer), 및 구아닌-시토신 이합체(guanine-cytosine dime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포토폴리머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화합물은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포함한 탄소수 1 내지 20의 지방족 화합물,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포함하고 탄소수 1 내지 10의 지방족기가 1이상 치환된 탄소수 4 내지 20의 지환족 화합물, 또는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포함하고 탄소수 1 내지 10의 지방족기가 1이상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20의 방향족 화합물인,
    포토폴리머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은 1,000 g/mol 내지 3,000 g/mol의 수산기 당량을 가지며,
    상기 다중 수소 결합이 가능한 수소 결합성 관능기와 1이상의 이소시아네트기를 갖는 반응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대비 2이상의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올의 몰비가 2 내지 8인, 포토폴리머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반응성 단량체는 다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단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포함하는, 포토폴리머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매트릭스 또는 이의 전구체 1 중량% 내지 80중량%; 상기 광반응성 단량체 1 중량% 내지 80중량%; 및 광개시제 0.1 중량%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포토폴리머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저굴절율 불소계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포토폴리머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굴절율 불소계 화합물은 에테르기, 에스터기 및 아마이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작용기 및 2이상의 다이플루오로메틸렌기를 포함하는, 포토폴리머 조성물.
  11. 제1항의 포토폴리머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홀로그램 기록 매체.
  12. 제11항의 홀로그램 기록 매체를 포함한 광학 소자.
  13. 가간섭성 광원에 의해 제1항의 포토폴리머 조성물에 포함된 광반응성 단량체를 선택적으로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기록 방법.
KR1020170169488A 2017-12-11 2017-12-11 포토폴리머 조성물 KR102166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488A KR102166846B1 (ko) 2017-12-11 2017-12-11 포토폴리머 조성물
CN201880068367.3A CN111247181B (zh) 2017-12-11 2018-12-07 光聚合物组合物
PCT/KR2018/015470 WO2019117542A1 (ko) 2017-12-11 2018-12-07 포토폴리머 조성물
JP2020520628A JP7134545B2 (ja) 2017-12-11 2018-12-07 フォトポリマー組成物
US16/762,009 US11591433B2 (en) 2017-12-11 2018-12-07 Photopolymer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488A KR102166846B1 (ko) 2017-12-11 2017-12-11 포토폴리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100A true KR20190069100A (ko) 2019-06-19
KR102166846B1 KR102166846B1 (ko) 2020-10-16

Family

ID=66819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488A KR102166846B1 (ko) 2017-12-11 2017-12-11 포토폴리머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91433B2 (ko)
JP (1) JP7134545B2 (ko)
KR (1) KR102166846B1 (ko)
CN (1) CN111247181B (ko)
WO (1) WO201911754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3339A (zh) * 2020-08-31 2020-12-11 浙江理工大学 一种阻燃型黏合剂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421B1 (ko) * 2017-04-25 2019-08-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토폴리머 조성물
KR102166848B1 (ko) * 2017-12-11 2020-10-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토폴리머 조성물
KR102239212B1 (ko) * 2018-12-14 2021-04-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포토폴리머 조성물
EP3943291A4 (en) * 2019-03-20 2022-12-14 Sekisui Chemical Co., Ltd.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CN111234177B (zh) * 2020-03-20 2022-02-18 万华化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大分子单体稳定剂及其制备方法
CN111978894A (zh) * 2020-08-31 2020-11-24 浙江海泰新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多重氢键作用的黏合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634A (ja) * 2001-11-28 2003-06-03 Yokohama Rubber Co Ltd:The 硬化性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む樹脂組成物
JP2009031588A (ja) * 2007-07-27 2009-02-12 Fujifilm Corp 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用組成物、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および新規化合物
KR20100092391A (ko) * 2009-02-12 2010-08-20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홀로그래픽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프레폴리머계 폴리우레탄 배합물
KR20170034453A (ko) * 2008-10-01 2017-03-28 코베스트로 도이칠란드 아게 홀로그래피 매체의 제조를 위한 예비중합체-기재 폴리우레탄 제제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4137B2 (en) * 2000-03-01 2005-01-18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cording material
TW200307733A (en) * 2002-02-01 2003-12-16 Natoco Co Ltd Composition curable with actinic energy ray and use thereof
JP4071525B2 (ja) 2002-04-08 2008-04-02 メモリーテック株式会社 光情報記録媒体
JP4344177B2 (ja) 2002-07-12 2009-10-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体積型ホログラム記録用感光性組成物、体積型ホログラム記録用感光性媒体、及び体積型ホログラム
JP4457034B2 (ja) * 2005-03-28 2010-04-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光性平版印刷版
JP4690090B2 (ja) * 2005-03-30 2011-06-01 コダック株式会社 感光性平版印刷版
CA2683901A1 (en) * 2007-04-11 2008-10-23 Bayer Materialscience Ag Radiation-crosslinking and thermally crosslinking pu systems comprising iminooxadiazinedione
EP2218742A1 (de) 2009-02-12 2010-08-18 Bayer MaterialScience AG Photopolymerzusammensetzungen als verdruckbare Formulierungen
US8889322B2 (en) * 2009-11-03 2014-11-18 Bayer Materialscience Ag Photopolymer formulation having different writing comonomers
PL2317511T3 (pl) 2009-11-03 2012-08-31 Bayer Materialscience Ag Formulacje fotopolimerowe z nastawialnym mechanicznym modułem Guv
WO2011067057A1 (de) * 2009-11-03 2011-06-09 Bayer Materialscience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olographischen films
ES2446344T3 (es) * 2009-11-03 2014-03-07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Procedimiento para la producción de una película holográfica
EP2354845B1 (de) * 2010-02-02 2015-12-23 Covestro Deutschland AG Photopolymer-Formulierung zur Herstellung holographischer Medien
EP2450387A1 (de) 2010-11-08 2012-05-09 Bayer MaterialScience AG Photopolymer-Formulierung für die Herstellung holographischer Medien
JP2013130847A (ja) 2011-12-22 2013-07-04 Dainippon Printing Co Ltd 体積型ホログラム記録用感光性組成物および体積型ホログラム積層体の製造方法
EP2613319A1 (de) 2012-01-05 2013-07-10 Bayer MaterialScience AG Schichtverbund aus einem Photopolymerfilm und einer Klebstoffschicht
KR20160102225A (ko) * 2013-12-20 2016-08-29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개선된 감광성을 갖는 홀로그래픽 매체
WO2016126102A1 (ko) * 2015-02-03 2016-08-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코팅 필름
KR101812238B1 (ko) * 2015-02-03 2017-1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코팅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코팅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0634A (ja) * 2001-11-28 2003-06-03 Yokohama Rubber Co Ltd:The 硬化性化合物およびそれを含む樹脂組成物
JP2009031588A (ja) * 2007-07-27 2009-02-12 Fujifilm Corp 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用組成物、ホログラフィック記録媒体、情報記録方法および新規化合物
KR20170034453A (ko) * 2008-10-01 2017-03-28 코베스트로 도이칠란드 아게 홀로그래피 매체의 제조를 위한 예비중합체-기재 폴리우레탄 제제
KR20100092391A (ko) * 2009-02-12 2010-08-20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홀로그래픽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프레폴리머계 폴리우레탄 배합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3339A (zh) * 2020-08-31 2020-12-11 浙江理工大学 一种阻燃型黏合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47181A (zh) 2020-06-05
CN111247181B (zh) 2023-03-21
US11591433B2 (en) 2023-02-28
JP2020537182A (ja) 2020-12-17
WO2019117542A1 (ko) 2019-06-20
US20200354497A1 (en) 2020-11-12
JP7134545B2 (ja) 2022-09-12
KR102166846B1 (ko) 202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88499B1 (en) Photopolymer composition
KR102166846B1 (ko) 포토폴리머 조성물
US11084933B2 (en) Dye compound and photopolymer composition
KR102228538B1 (ko) 염료 화합물 및 포토폴리머 조성물
CN111699437B (zh) 光聚合物组合物
KR20190069316A (ko) 포토폴리머 조성물
CN111247121B (zh) 非反应性氟化合物和包含其的光聚合物组合物
KR20190036473A (ko) 포토폴리머 조성물
KR20180119394A (ko) 포토폴리머 조성물
US11117981B2 (en) Photopolymer composition
KR20190042372A (ko) 포토폴리머 조성물
KR20230170468A (ko) 비반응성 불소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포토폴리머 조성물
KR20190066894A (ko) 포토폴리머 조성물
WO2019078585A1 (ko) 비반웅성 블소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