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865A - 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세퍼레이터 - Google Patents

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세퍼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865A
KR20190068865A KR1020170169074A KR20170169074A KR20190068865A KR 20190068865 A KR20190068865 A KR 20190068865A KR 1020170169074 A KR1020170169074 A KR 1020170169074A KR 20170169074 A KR20170169074 A KR 20170169074A KR 20190068865 A KR20190068865 A KR 20190068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ating composition
based coating
separato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8816B1 (ko
Inventor
조해윤
Original Assignee
도레이배터리세퍼레이터필름 한국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배터리세퍼레이터필름 한국유한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배터리세퍼레이터필름 한국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9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881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8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8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8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9/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9D1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l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성 수지, 수분산성 바인더 및 무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성 수지가 중합도가 1,500 이하이고 검화도가 95% 이하인 폴리비닐알코올(PVA)를 포함하는 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로 코팅된 세퍼레이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세퍼레이터{AQUEOUS COATING COMPOSITION AND SEPAR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세퍼레이터 코팅용 수계 코팅 조성물,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내열성, 코팅성 및 접착강도를 갖는 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로 코팅된 세퍼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정보통신기기 및 전기 자동차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이를 유지시키는 에너지원으로 리튬 이차전지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기존에 폭넓게 사용되었던 휴대폰, 노트북과 같은 소형전자장비에서 최근에는 복합 전기 자동차, 전기 자전거, 에너지 저장 시스템과 같은 고용량, 고출력이 요구되는 분야까지 그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미세공막은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과 전지적 특성을 가져 소형 배터리용 세퍼레이터로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용융온도가 약 130℃~150℃로 비교적 낮아 소형 전지에 적용될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높은 에너지 밀도와 방전 전압 등이 요구되는 고용량, 고출력 전지에 적용할 경우 전지의 온도 상승에 의한 세퍼레이터의 변형으로 발화, 폭발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열적 안정성 확보가 무엇보다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고온으로 인한 세퍼레이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다공성 미세공막 기재에 내열성을 가지는 무기물 입자와 바인더를 혼합한 슬러리를 코팅하여, 해당 코팅층에 의해 기재의 변형을 억제하고 열적, 전기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한 유기-무기 복합 다공성 세퍼레이터가 제안되었다.
종래의 유기계 슬러리를 코팅한 세퍼레이터는 무기물 입자 사이, 또한 다공성 기재와 코팅층 사이의 결합력을 제공하기 위한 바인더를 용해하기 위해 다량의 유기 용매를 사용한다. 일정하게 분산된 무기물 입자와 유기 용매에 완전히 용해된 바인더가 혼합된 슬러리를 코팅한 후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킬 때, 바인더와 무기물 사이에 충분한 상호 연결성이 제공된다.
그러나, 유기 용매를 사용한 코팅품의 경우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유기 용매의 휘발성, 가연성, 독성과 같은 위험요소를 제어하기 위해, 방폭 설비, 탈취 설비, 증기 흡입을 위한 가스처리 시설과 같은 설비가 요구되고, 이러한 설비 설치 및 유지 비용 증가로 경제성이 저하된다. 둘째, 유기 용매의 높은 단가로 인하여 제품단가가 증가된다. 셋째, 미세 다공막을 구성하는 폴리올레핀과 젖음성이 좋은 유기 용매에 용해되어 있는 바인더가 공극 내부에 침투하여 공극 막힘 및 공극 크기 감소를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미세 다공막의 투기도 저하와 이온전도도 감소로 인한 전지 사이클 특성 저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상과 같이,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환경적, 경제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내열성 물질을 도포하였음에도 세퍼레이터의 물성 악화에 의한 안전성 및 전지 특성 저하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수계 슬러리 코팅 세퍼레이터는 유기 용매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는 없지만, 표면 에너지가 낮은 폴리올레핀계 다공막의 낮은 젖음성으로 인해 코팅 불균일과 전지 성능 저하가 발생된다.
균일한 코팅성을 위해 일반적으로 친수화 처리방법인 코로나 표면 처리 기술이 이용된다. 코로나 처리의 경우 물리적인 표면 개질과 극성 관능기 생성에 의한 화학적 표면 개질 효과로 인한 젖음성 향상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물리적 표면 개질은 강한 전기장으로 표면의 거칠기를 높이는 방식으로서 균일하지 못하고 기재 표면에 손상을 주어 내전압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코로나 처리를 하지 않고 젖음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첨가제가 필요로 된다. 코팅층에 포함되는 첨가물은 전기화학적으로 불안정하여 전지 내에 부가반응으로 인한 전지 성능 저하를 야기시킨다.
본 발명은 내열성, 코팅성 및 접착강도가 우수한 최소한의 첨가물을 포함하는 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로 코팅된 세퍼레이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기능성 수지, 수분산성 바인더 및 무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성 수지가 중합도가 1,500 이하이고 검화도가 95% 이하인 폴리비닐알코올(PVA)를 포함하는 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로 코팅된 세퍼레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계 코팅 조성물은 저비용의 친환경 제조방법으로 첨가제를 다량 포함하는 종래의 코팅 조성물과 동등 이상의 코팅성과 전지 특성을 만족하고 수분함량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제품 안정성을 만족하는 유기-무기 복합 다공성 세퍼레이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선택적으로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수계 코팅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수계 코팅 조성물은 다기능성 수지, 수분산성 바인더 및 무기 입자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코팅 조성물의 조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바인더
본 발명의 수계 코팅액은 바인더로 다기능성 수지 및 수분산성 바인더의 2종을 사용한다.
상기 다기능성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PVA)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는 1,500 이하, 예를 들어 200~1,500 범위일 수 있다. 중합도는 고분자의 한 사슬에 단량체가 결합된 수의 평균을 의미한다. 중합도가 높을수록 분자 사슬이 길어져 분자의 표면적이 넓어지고, 그 결과 분자간 인력이 증가되어 점도가 높아지고 일부 응집이 발생된다. 따라서, 중합도가 높을수록 박리강도는 향상되나, 입자간의 강한 결합으로 응집이 발생하여 표면에 결점이 생기는 등, 코팅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검화도는 95% 이하, 예를 들어 80~95% 범위일 수 있다. 검화도는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VAc)를 가수분해하여 폴리비닐알코올을 만들 때 가수분해된 정도를 의미하며, 중화적정을 통해 측정 가능하다. 검화도가 95%를 초과할 경우, 세퍼레이터내 수분 함량이 증가하여 제품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중합도 및 검화도의 범위를 가질 때, 폴리비닐알코올은 바인더로서의 역할 외에, 분산제 및 습윤제 등의 첨가제의 역할을 겸비할 수 있다. 그 결과, 유기용매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할 뿐 아니라, 첨가제의 양을 줄여 전지 내에서 첨가제에 의한 부반응 및 내부저항을 감소시킨다.
상기 다기능성 수지는 수계 코팅 조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해 약 0.1~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다기능성 수지를 상기 함량 범위로 사용할 경우, 해당 수계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세퍼레이터가 최소한의 수분을 포함하고 코팅층과 기재간의 충분한 접착성과 우수한 전지 cycle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바인더는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한다. 상기 (메타)아크릴계 수지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상기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분산성 바인더는 수계 코팅 조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해 약 0.5~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바인더를 사용할 경우, 해당 수계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세퍼레이터에 적합한 강도 및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기능성 수지와 수분산성 바인더는 1:2 내지 1:30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수분산성 바인더를 주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첨가제의 부가반응으로 인한 전지의 수명 및 사이클(cycle) 특성 악화를 감소시키고, 충분한 내열성과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다기능성 수지를 상기 범위 이하의 함량으로 사용할 경우 내열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다기능성 수지와 수분산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총 바인더의 함량은 수계 코팅 조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해 약 6 중량% 이하, 예컨대 0.6~6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에 따르면, 6 중량% 이하의 바인더를 사용하더라도, 높은 중합도의 폴리비닐알코올과 첨가제를 다량 포함하는 종래의 코팅 조성물과 동등 이상의 내열성과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무기 입자
무기 입자는 외부 충격이나 고온에 의해 변형되지 않고 고분자 바인더와 결합하여 기재와 코팅층을 고정하며, 용융 온도가 비교적 낮아 고온안정성이 요구 되는 폴리올레핀계 기재의 수축 또는 변형을 방지하여 전지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수계 코팅 조성물에 사용되는 무기 입자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무기 입자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무기 입자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루미나(Alumina),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Aluminum Hydroxide), 바륨 티타늄 옥사이드(Barium Titanium Oxide), 마그네슘 옥사이드(Magnesium Oxide),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Magnesium Hydroxide), 클레이(Clay), 티타늄 옥사이드(Titanium Oxide), 글라스 파우더(Glass powder), 베마이트(Boehmite)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의 크기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0.1~2.0 ㎛ 범위인 무기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수계 코팅 조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하여 약 94~99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무기물 입자의 고형분 중량이 상기 범위 일 때, 가장 안정화된 수계 슬러리 용액과 우수한 코팅성을 가진다.
상기 무기 입자는 용매와 혼합되어 비즈밀(beads mill), 볼밀(ball mill) 등을 이용한 교반공정을 거쳐 수계 슬러리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용매
본 발명의 수계 코팅 조성물은 용매에 분산된 무기 입자 슬러리와 용매에 용해된 바인더를 혼합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수계 코팅 조성물에는 용매로서 물이 사용되며, 유기용매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기용매를 사용함에 따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낮은 중합도의 폴리비닐알코올은 친수성과 소수성의 밸런스에 의하여 2상 계면에 잘 흡착되고, 계면 간의 높은 표면장력의 차이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성질로 인하여 폴리비닐알코올이 바인더의 역할 뿐 아니라, 분산제나 습윤제의 역할도 겸비한다. 그 결과, 유기용매의 사용을 불필요하게 할 뿐 아니라, 첨가제의 양을 줄여 전지 내 첨가제에 의한 부반응 및 내부저항을 감소 시킨다.
상기 용매는 수계 코팅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50~69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로 용매를 사용할 경우, 무기 분산액과 고분자 바인더의 혼합액의 상분리가 발생하지 않고, 적절한 점도를 가짐으로서 코팅성이 우수해 진다.
상기 수계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및 다공성 기재 상에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 업계에 알려진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딥(Dip) 코팅, 다이(Die) 코팅, 콤마(Comma) 코팅, 그라비아(Gravure) 코팅, 바(Bar) 코팅 또는 이들의 혼합방식 등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기재 상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계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세퍼레이터의 수분율은 600~750 ppm이고, 박리강도는 11 gf/15mm 이상이고, 저항은 0.80Ω 이하이다. 이러한 물성을 확보함으로서, 우수한 코팅성과 열적 안정성, 접착력를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계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세퍼레이터는 최소한의 수분을 함유하고, 코팅층과 기재간의 접착력 및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전지 셀 내부의 발열 및 열화현상 발생 시, 세퍼레이터의 수축 및 파열을 방지할 수 있다.
<세퍼레이터>
본 발명은 전술한 수계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세퍼레이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퍼레이터는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다공성 기재의 적어도 일면 상에 형성되고, 본 발명의 수계 코팅 조성물로 형성된 코팅층을 포함한다.
상기 다공성 기재는 폴리올레핀 수지로 형성되며,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폴리올레핀 수지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수지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 수지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50 질량% 이상, 다른 예로 60 질량% 이상일 수 있다. 폴리에틸렌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예를 들어 2.0×10 4 내지 8.0×10 5 범위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 3.0×10 4 내지 7.0×10 5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으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또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중량평균분자량(Mw) 또는 밀도가 상이한 것을 2종 이상 혼용할 수도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유량은 폴리올레핀 수지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예를 들어 50 질량% 이하, 다른 예로 40 질량% 이하일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예를 들어 7.0×10 4 내지 3.2×10 6 범위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 9.5×10 4 내지 3.0×10 6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으로는 고밀도 폴리프로필렌(HDPP), 중밀도 폴리프로필렌(MDPP) 또는 저밀도 폴리프로필렌(LDPP)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중량평균분자량(Mw) 또는 밀도가 상이한 것을 2종 이상 혼용할 수도 있다.
전지용 세퍼레이터 용도로서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올레핀 수지는 셧다운 기능을 부여하는 폴리올레핀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셧다운 기능을 부여하는 폴리올레핀의 일례를 들면, LDPE나 폴리에틸렌 왁스 등이 있다. 이때, LDPE로서는 분지상 LDPE, 선상 LDPE(LLDPE) 및 싱글 사이트 촉매(single site catalyst)에 의해 제조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첨가량은 당 분야에 공지된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첨가제, 일례로 산화방지제, 기공 형성제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 1]
중량 평균 분자량이 9,000 내지 10,000 g/mol인 PVA(Sigma aldrich사, 360627) 5 중량%를 물에 첨가하고 80℃에서 4시간 교반하여 제조예 1의 다기능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중량 평균 분자량이 13,000 내지 23,000 g/mol인 PVA(Sigma Aldrich사, 363170)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예 2의 다기능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 내지 70,000 g/mol인 PVA(Sigma Aldrich사, P8136)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예 3의 다기능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 비교제조예 1]
중량 평균 분자량이 13,000 내지 23,000 g/mol인 PVA(Sigma Aldrich사, 348406)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제조예 1의 다기능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 비교제조예 2]
중량 평균 분자량이 146,000 내지 186,000 g/mol인 PVA(Sigma Aldrich사, 36310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제조예 2의 다기능성 수지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3 및 비교제조예 1-2에서 제조된 다기능성 수지의 중합도 및 검화도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 실시예 1-3]
상온에서 제조예 1-3에서 제조된 각각의 다기능 수지, 수분산성 바인더(아크릴 수지, TOYOCHEM CO. CSB-130), 무기 입자(알루미나, SUMITOMO CHEMICAL Co., HAKB41210KG3) 및 물을 0.1 : 0.5 : 47.7 : 51.7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계 코팅 조성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상기 수계 코팅 조성물을 폴리에틸렌(PE) 다공막 위에 바(Bar) 코팅 방법으로 4 um의 두께로 코팅 및 건조하여 실시예 1-3의 코팅막을 형성하였다.
[ 비교예 1-3]
제조예에서 제조된 다기능 수지 대신에 비교제조예 1-2에서 제조된 각각의 다기능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1-2의 코팅막을 형성하였다.
다기능 수지(PVA) 대신에 계면활성제(3M, Fluorosurfactant FC-4430)를 사용하고, 계면활성제, 수분산성 바인더, 무기 입자 및 물을 0.1 : 1.4 : 47.3 : 51.2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3의 코팅막을 형성하였다.
[ 코팅막의 물성 평가]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의 코팅막의 물성 시험을 하기와 같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1) 투기도(통기도)
오켄식 투기 저항도계(Asahi Seiko Co. Ltd., EGO-1T)를 사용하여 JISP8117 측정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투기도는 100cc의 공기가 일정한 압력하에서 일정 면적의 코팅막을 통과하는데 소요되는 시간(Sec)을 의미한다.
(2) 박리강도
철판에 18 mm의 양면테이프(3M)을 부착하고 박리강도를 측정할 시험편(18 mm X 100 mm)을 테이프에 점착시켰다. 그 후, 인장강도 측정기(Instron사)를 사용하여 300 mm/min 속도로 180°로 당겨 점착테이프와 코팅층이 박리될 때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통상 다공질막과 코팅층의 180°에서의 박리강도는 7 gf/1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gf/15mm 이상인 것이 이상적이다.
(3) 투명점
10㎡ 면적의 샘플 코팅 표면에 존재하는 직경 3mm 이상의 투명점의 개수를 측정하여, 하기의 기준에 따라 표기하였다.
◎: 0~2개, ○: 3~4개, △: 5~6개, X: 7개 이상
(4) 수분율
코팅한 미세다공막을 건조박스(Dry box)내에 노점 -55℃ 이하에서 30분간 방치하고, 0.2 g의 측정 샘플을 가열관 안에 넣고 150℃에서 10분간 가열한 후, Karl Fischer Moisture Titrator, MKC-610-NT를 사용하여 수분 함량을 측정하였다.
(5) 저항
코팅한 미세다공막, 전극, 전해질을 포함한 코인셀을 제작하여 저항 측정 장치(Solar tron, 1255B)에 장착하여 Voltage 10(V), Current 4(A)으로 설정한 후 저항을 측정하였다.
Figure pat00002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지(PVA)를 사용한 실시예 1-3의 세퍼레이터는 종래의 코팅 조성물을 사용한 세퍼레이터와 동등 이상의 전지특성(투기도, 박리강도, 코팅성, cycle 특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수분 함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우수한 제품 안정성을 만족시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의 세퍼레이터는 검화도 값이 높은 다기능 수지(PVA)를 사용한 것으로, 실시예에 비해 수분 함량이 매우 높은 문제가 있다.
비교예 2의 세퍼레이터는 고중합도의 다기능 수지(PVA)를 사용한 것으로, 투기도, 박리강도, 수분율에서는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으나, 표면에 결점이 다수 발생되고 저항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비교예 3의 세퍼레이터는 PVA 대신 계면활성제를 첨가하고, 바인더 함량을 늘려 조성물 내 첨가물의 비율을 증가시킨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것이다. 물성 측정 결과, 바인더 함량의 증가에 따라 박리강도가 향상되었으나, 투기도가 저하되고 저항이 높아져 전지내 부반응 발생과 전지 cycle 성능저하를 야기한다.

Claims (9)

  1. 다기능성 수지, 수분산성 바인더 및 무기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다기능성 수지가 중합도가 1,500 이하이고 검화도가 95% 이하인 폴리비닐알코올(PVA) 또는 그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인 수계 코팅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중합도가 200~1,500 범위인 수계 코팅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검화도가 80~95% 범위인 수계 코팅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수계 코팅 조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해 상기 다기능성 수지가 0.1~1.0 중량%, 상기 수분산성 바인더가 0.5~5 중량%인 수계 코팅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산성 바인더가 (메타)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인 수계 코팅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기능성 수지와 상기 수분산성 바인더가 1:2 내지 1:30의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사용되는 수계 코팅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수계 코팅 조성물의 고형분 총 중량에 대해 상기 다기능성 수지와 상기 수분산성 바인더를 포함하는 총 바인더가 0.6~6 중량%인 수계 코팅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수계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세퍼레이터.
  9. 제8항에 있어서, 수분율이 600~750 ppm이고, 박리강도가 11 gf/15mm 이상이고, 저항이 0.80Ω 이하인 세퍼레이터.
KR1020170169074A 2017-12-11 2017-12-11 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세퍼레이터 KR102168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074A KR102168816B1 (ko) 2017-12-11 2017-12-11 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세퍼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074A KR102168816B1 (ko) 2017-12-11 2017-12-11 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세퍼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865A true KR20190068865A (ko) 2019-06-19
KR102168816B1 KR102168816B1 (ko) 2020-10-22

Family

ID=67104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074A KR102168816B1 (ko) 2017-12-11 2017-12-11 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세퍼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881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9440A (ja) * 2013-06-28 2015-01-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微多孔フィルム、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積層微多孔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876629B1 (ja) * 2014-06-11 2016-03-02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42662A (ko) * 2014-10-10 2016-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퍼레이터 코팅용 수계 슬러리, 세퍼레이터, 이차전지 및 세퍼레이터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9440A (ja) * 2013-06-28 2015-01-1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微多孔フィルム、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非水電解液二次電池、及び積層微多孔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876629B1 (ja) * 2014-06-11 2016-03-02 東レバッテリーセパレータフィルム株式会社 電池用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42662A (ko) * 2014-10-10 2016-04-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세퍼레이터 코팅용 수계 슬러리, 세퍼레이터, 이차전지 및 세퍼레이터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8816B1 (ko) 2020-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458703B (zh) 用于电池的承载粘合剂组合物的隔板和由其制备的电极/隔板层压品
JP7285634B2 (ja) 二次電池用複合セパレータおよ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US20220029245A1 (en) Polylactam coated separator membranes for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and related coating formulations
CN107046116B (zh) 一种水性pmma复合涂覆隔膜的制备方法
CN105315934A (zh) 粘合剂组合物、叠层体、蓄电元件用包装材料、蓄电元件用容器及蓄电元件
KR102304904B1 (ko) 비수계 이차전지 다공막용 바인더, 비수계 이차전지 다공막용 조성물, 비수계 이차전지용 다공막 및 비수계 이차전지
JP2010189632A (ja) 酸変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水性分散体、二次電池電極用バインダー、電極および二次電池
CN112635916A (zh) 一种陶瓷复合隔膜及其制备方法及电池
CN111933937B (zh) 能量储存装置
CN111312969A (zh) 具有粘结性的一体化的锂电池涂覆隔膜
KR101742881B1 (ko) 이온성 무기입자가 포함된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레독스 흐름 전지용 분리막
KR102168816B1 (ko) 수계 코팅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세퍼레이터
TW201822395A (zh) 蓄電裝置電極用黏合劑
KR102410728B1 (ko) 폴리올레핀계 접착제 조성물
KR20230170731A (ko) 양극 슬러리, 이차 전지, 전지 모듈, 전지 팩 및 전기 장치
CN114171844A (zh) 用于锂二次电池的隔膜、其制造方法以及包括该隔膜的电化学装置
US20230268616A1 (en) Binder for coating secondary battery separator and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JP2014127440A (ja) 工程フィルム付き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セパレ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8117260A (zh) 隔膜、其制造方法及包括所述隔膜的电化学元件
CN114678660B (zh) 一种改性TiO2@PMMA复合涂覆隔膜及其制备方法
EP4277003A1 (en) Separator coating composition
WO2023010924A1 (zh) 二次电池、电池模块、电池包和用电装置
CN111149239B (zh) 二次电池电极用组合物
KR102378540B1 (ko) 비수 전해액 전지용 수계 시일제 조성물
CN117954780A (zh) 锂电池用的隔离膜及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