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345A -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345A
KR20190068345A KR1020170168644A KR20170168644A KR20190068345A KR 20190068345 A KR20190068345 A KR 20190068345A KR 1020170168644 A KR1020170168644 A KR 1020170168644A KR 20170168644 A KR20170168644 A KR 20170168644A KR 20190068345 A KR20190068345 A KR 20190068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ata
encrypted content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4754B1 (ko
Inventor
노성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8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4754B1/ko
Priority to US16/211,825 priority patent/US11134307B2/en
Priority to CN201811501233.4A priority patent/CN109905762B/zh
Publication of KR20190068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4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13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generating or managing key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2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decryp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3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decryption of additio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5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 H04N21/43853Multiplex stream processing, e.g. multiplex stream decrypting involving multiplex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영상처리장치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취득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 처리하며,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데이터의 영상 표시를 위해 참조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인덱스정보를 생성하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인덱스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컨텐츠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서, 외부로의 컨텐츠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컨텐츠 제공자의 보안 정책에 위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외부 소스로부터 컨텐츠데이터를 수신하여 컨텐츠영상을 표시하도록 해당 컨텐츠데이터를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데이터가 보안을 위한 암호화가 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컨텐츠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의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외부 소스로부터 컨텐츠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송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수신하면,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추출된 컨텐츠데이터에 대해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해당 컨텐츠데이터에 기반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는 장치를 통칭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지 여부에 따라서 크게 두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없는 영상처리장치의 예시로는 셋탑박스가 있으며, 이 경우에 영상처리장치는 타 장치에서 영상이 표시되도록 컨텐츠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한다. 반면, 자체적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되며, TV가 가장 대표적인 예시이다.
컨텐츠 제공자는 영상처리장치에 컨텐츠데이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소정의 소스 디바이스를 구축하고, 컨텐츠데이터를 포함한 전송스트림을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영상처리장치에 전송한다. 이 때,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컨텐츠를 생성한 컨텐츠 생성자의 의도 및 보안 정책을 반영하여, 전송스트림 내의 컨텐츠데이터가 암호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송스트림 내에서 컨텐츠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제공되는 것은, 허가받지 않은 제3자에게 컨텐츠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영상처리장치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취득하면, 사전에 약속된 복호화 프로세스를 통해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시키고,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디코딩함으로써 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기본적으로 컨텐츠데이터에 기반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기능 이외에도, 컨텐츠데이터를 저장하는 PVR(Personal Video Recording) 기능을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스트림이 수신되면, 영상처리장치는 전송스트림의 컨텐츠데이터를 암호화한 이후에 디코딩하여 영상으로 표시하는 한편, 컨텐츠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차후에, 영상처리장치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스트림을 다시 수신하지 않고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데이터를 읽어서 재생시킴으로써, 컨텐츠데이터에 기반한 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전송스트림 내의 컨텐츠데이터가 암호화된 경우라면, PVR 기능을 구현할 때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종래의 영상처리장치는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시킨 후에,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영상처리장치 내에 클린한 컨텐츠데이터가 존재하게 되므로, 영상처리장치를 통한 컨텐츠 유출의 위험이 있는 바, 컨텐츠 제공자의 보안 정책에 위배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 편의를 위한 PVR 기능을 구현하면서도 보안 정책에 위배되지 않도록 컨텐츠데이터를 저장하는 영상처리장치가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저장부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취득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 처리하며, 복호화된 상기 컨텐츠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데이터의 영상 표시를 위해 참조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인덱스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 편의를 위해 컨텐츠데이터를 저장함에 있어서, 외부로의 컨텐츠 유출을 방지하면서도 컨텐츠 제공자의 보안 정책에 위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덱스정보는, 상기 컨텐츠데이터의 탐색 동작에 따른 장면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덱스정보는, 복수의 영상프레임 중 기 설정된 속성을 가진 인덱스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덱스정보에서 상기 탐색 동작이 지시하는 장면의 상기 인덱스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시 가능하게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덱스 프레임의 속성은 인트라픽처(Intra-Picture) 영상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데이터 코드 내에서 상기 인덱스 프레임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코드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검색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스트림의 생성 시에 컨텐츠데이터에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수행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서, 상기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재암호화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복수의 구간 별 데이터를 각기 복호화하기 위한 복수의 키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키를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키가 저장된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상기 구간의 복호화를 위한 대응 키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장치에서 상기 영상이 표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상기 주소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전송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데이터의 영상 표시를 위해 참조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인덱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덱스정보는, 상기 컨텐츠데이터의 탐색 동작에 따른 장면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덱스정보는, 복수의 영상프레임 중 기 설정된 속성을 가진 인덱스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덱스정보에서 상기 탐색 동작이 지시하는 장면의 상기 인덱스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덱스 프레임의 속성은 인트라픽처 영상프레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데이터 코드 내에서 상기 인덱스 프레임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코드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검색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스트림의 생성 시에 컨텐츠데이터에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수행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서, 상기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재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복수의 구간 별 데이터를 각기 복호화하기 위한 복수의 키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키를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와; 복수의 키가 저장된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상기 구간의 복호화를 위한 대응 키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장치에서 상기 영상이 표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상기 주소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비휘발성의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전송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데이터의 영상 표시를 위해 참조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인덱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스트림을 수신하여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수신되는 전송스트림의 컨텐츠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트릭 플레이 입력에 응답하여, 녹화 및 저장된 컨텐츠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인덱스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인덱스정보에 기초하여 트릭 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참조하는 인덱스정보를 생성하는 개략적인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제1외부장치에 저장하고 제2외부장치에 스트리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스트림을 수신하여 영상으로 표시되도록 처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10)는 소정의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전송스트림을 수신 가능하며, 전송스트림을 처리함으로써 얻은 컨텐츠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130)로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30)에서 컨텐츠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셋탑박스로 구현되는 영상처리장치(110)에서 본 발명의 사상이 구현되는 경우를 고려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예시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사상은 본 시스템에서 디스플레이장치(13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또는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영상처리장치(110)를 거치지 않고 전송스트림을 수신하는 경우의 디스플레이장치(130)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영상처리장치(110)는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전송스트림을 수신한다. 소스 디바이스(120)가 스트리밍 서버인 경우에는 브로드밴드(broadband) 방식에 따라서 전송스트림이 영상처리장치(110)에 스트리밍된다. 또는, 소스 디바이스(120)가 방송국의 송출장비인 경우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방식에 따라서 전송스트림이 지상파로 영상처리장치(110)에 전송된다. 또한, 영상처리장치(110)는 네트워크 상의 다양한 서버(1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110)는 전송스트림이 수신되면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컨텐츠데이터를 추출한다. 컨텐츠데이터는 컨텐츠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영상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소스 디바이스(120)는 보안을 위해 전송스트림 내의 컨텐츠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으며, 영상처리장치(110)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사전에 약속된 복호화 알고리즘에 따라서 복호화시킴으로써,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클린 컨텐츠데이터로 변환한다. 클린 컨텐츠데이터는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의미한다.
복호화 알고리즘은, 예를 들면 서버(140)가 복호화 키를 가지고 있으며, 영상처리장치(110)가 서버(140)로부터 수신된 복호화 키를 사용하여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110)는 복호화 알고리즘을 통해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한편, 트릭 플레이(Trick Play)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복호화 알고리즘이 마찬가지로 필요한데, 트릭 플레이 동작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영상처리장치(110)는 클린 컨텐츠데이터를 디스플레이장치(130)에 출력함으로써, 디스플레이장치(130)가 클린 컨텐츠데이터에 기반한 컨텐츠영상을 표시하도록 한다. 영상처리장치(110)는 클린 컨텐츠데이터를 출력함에 앞서서, 디코딩, 스케일링과 같은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영상처리장치(110)가 출력하는 클린 컨텐츠데이터에 대해 디스플레이장치(130)가 영상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영상처리장치(110)는 컨텐츠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110)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또는 그 외에 사전예약녹화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이벤트에 응답하여 컨텐츠데이터의 저장을 수행할 수 있다. 컨텐츠데이터를 영상처리장치(110)에 저장할 수 있다면, 영상처리장치(110)는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다시 컨텐츠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컨텐츠영상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110)는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이 때에, 영상처리장치(110)는 소스 디바이스(120)가 최초 컨텐츠데이터를 암호화한 것과 동일한 알고리즘에 따라서 암호화시킨다. 즉,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해 암호화되고 전송스트림에 포함된 컨텐츠데이터와, 영상처리장치(110)에 의해 다시 암호화되어 영상처리장치(110)에 저장되는 컨텐츠데이터는 동일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서 암호화된다.
만일 영상처리장치(110)가 복호화한 컨텐츠데이터를 다시 암호화하지 않고 클린 컨텐츠데이터를 저장하면, 영상처리장치(110)로부터의 컨텐츠 유출의 위험이 크다. 한편, 영상처리장치(110)가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한 암호화 알고리즘과 상이한 알고리즘에 따라서 암호화시킨다면, 컨텐츠 제공자의 보안 정책을 위배하게 되며, 저장된 컨텐츠데이터를 차후에 복호화할 때에 별개의 복호화 프로세스를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처리장치(110)는 소스 디바이스(120)에 의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서 다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의 보안 정책에 위배되지 않으면서도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 영상처리장치(110)의 하드웨어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200)는 소스 디바이스(201)로부터 소정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10)와, 디스플레이장치(202)에 소정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부(220)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 동작이 실행되는 사용자입력부(230)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240)와, 영상처리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연산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처리장치(200)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소스 디바이스(201)로부터 전송스트림을 수신한다. 영상처리장치(200)가 셋탑박스 또는 TV로 구현되는 경우에, 수신부(210)는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너를 가질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200)는, 외부장치와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송스트림의 수신에 양방향 통신을 필요로 하는 경우, 통신부는 소스 디바이스(201)로부터의 전송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통신부는,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나,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부는 다양한 통신규격에 대응하는 통신포트, 통신모듈, 통신칩의 조합에 의해 구현되는 통신회로로서, 지원 가능한 통신 프로토콜이 어느 한 가지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신부는 RF 신호를 수신하는 RFIC,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 유선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이더넷 모듈, 외부 메모리 등의 접속을 위한 접속포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220)는 다양한 전송규격에 따라서 디스플레이장치(202)에 컨텐츠데이터를 전송한다. 송신부(220)는 예를 들면, HDMI 규격에 따라서 케이블을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02)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커맨드 또는 정보를 생성하여 프로세서(250)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230)는 사용자의 입력 환경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장치(202) 외측에 설치된 버튼, 터치패드, 터치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장치(202) 본체와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 등이 있다. 또는, 사용자입력부(230)는 모바일장치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사용자 입력 신호는 모바일장치로부터 영상처리장치(200)에 수신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프로세서(250)의 처리 및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가 저장된다. 저장부(24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프로세서(250)에 의해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이 수행된다. 저장부(240)는 크게 휘발성 및 비휘발성의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될 수 있는데, 영상처리장치(200)는 두 종류의 저장부(240)를 모두 가질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전원이 제공되지 않아도 데이터가 사라지지 않는 비휘발성 메모리로서,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등을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240)는 전원이 제공되지 않으면 데이터가 사라지는 휘발성 메모리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버퍼(buffer)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250)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칩셋 등으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연산회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250)는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하며, 이들 중 일부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250)는 수신부(210)에 전송스트림이 수신되면,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취득하고, 복호화 알고리즘에 따라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송신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02)로 전송한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202)는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에 기반한 컨텐츠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250)는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소스 디바이스(201)에 의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서 재암호화하고, 재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저장부(240)에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입력부(230)에 의한 사용자 입력 지시와 같이 기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프로세서(250)는 저장부(240)에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읽어서 복호화시키고,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송신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202)로 전송한다.
그런데, 사용자가 이와 같이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트릭 플레이를 수행하고자 할 경우가 있다. 트릭 플레이는, 컨텐츠의 장면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탐색 동작을 지칭하며, 컨텐츠의 소정 시점의 장면으로부터의 재생, 정지, 정방향 재생, 역방향 재생, 소정 시간 단위의 영상프레임의 스킵 등이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트릭 플레이는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에 대해 수행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동작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수신되는 전송스트림의 컨텐츠데이터를 저장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는 프로세서에 의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31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스트림을 수신한다.
32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컨텐츠데이터를 취득한다.
33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취득한 컨텐츠데이터가 암호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취득한 것으로 판단되면, 34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한다.
35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복호화된 클린 컨텐츠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영상의 표시를 위해 참조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인덱스정보(index information)를 생성한다. 인덱스정보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내에서, 컨텐츠데이터의 탐색 동작에 따른 장면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낸다.
36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인덱스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저장되는 컨텐츠데이터는 암호화된 반면, 인덱스정보는 암호화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영상처리장치는 인덱스정보를 저장한 이후에 클린 컨텐츠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되게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예약녹화의 경우에, 영상처리장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저장하지만, 컨텐츠영상으로 표시하기 위한 처리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처리장치는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로부터 인덱스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되, 인덱스정보가 클린 컨텐츠데이터가 아닌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에 대응하도록 생성한다.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와 같이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인덱스정보를 저장한 영상처리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트릭 플레이의 입력에 응답하여 동작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트릭 플레이 입력에 응답하여, 녹화 및 저장된 컨텐츠데이터를 처리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는 프로세서에 의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41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기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에 대한 트릭 플레이 동작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42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해당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인덱스 정보를 호출한다.
43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내에서 인덱스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이 지시하는 컨텐츠데이터의 위치를 식별한다.
44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식별된 위치의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한다.
45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영상처리장치는 트릭 플레이 시에 기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전체를 복호화할 필요 없이 트릭 플레이에 지시되는 장면에 해당하는 일부의 컨텐츠데이터만을 식별하여 처리할 수 있으므로, 빠른 트릭 플레이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해독 키를 사용함으로써 수행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여러 가지 방식이 가능하다. 이하,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일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시키는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의 프로세서(510)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540)의 복호화를 위해, 키 주소 DB(520)를 취득한다. 키 주소 DB(520)는 Manifest file이라고도 지칭하는 데이터로서,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취득할 수 있다. 키 주소 DB(520)는 복호화를 위한 키를 취득할 수 있는 키 서버(530)의 주소 정보를 포함한다. 즉, 키 주소 DB(520)는 복호화 키 자체를 저장하고 있는 것이 아닌, 복호화 키를 취득하기 위한 키 서버(530)의 URL을 기록하고 있다.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540)가 키에 의해 복호화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하나의 컨텐츠에 하나의 키가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프로세서(510)는 하나의 키를 취득하면 해당 키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540) 전체를 복호화시킬 수 있다.
또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540)의 시간 t에 따라서 구분되는 복수의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가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540)의 소정 제1구간을 복호화하기 위해서는 제1구간에 대응하는 키를 필요로 하며, 그 외의 제2구간에 대응하는 키로는 제1구간이 복호화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키 서버(530)는 각 구간에 대응하는 복수의 키를 저장한다.
프로세서(510)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540)의 제1구간에 대응하는 키의 주소정보를 키 주소 DB(520)로부터 취득한다. 프로세서(510)는 취득한 주소정보에 따라서 키 서버(530)에 접속하며, 해당 주소정보로부터 제1구간에 대응하는 제1키를 취득한다. 프로세서(510)는 제1키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540)의 제1구간을 복호화한다. 동일한 원리에 따라서, 프로세서(510)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540)의 제2구간에 대응하는 제2키를 취득하고, 제2키에 의해 제2구간을 복호화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프로세서(510)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540)를 클린 컨텐츠데이터(550)로 복호화시킨다.
트릭 플레이를 수행하는 경우에, 프로세서(510)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540) 내에서 트릭 플레이에 따른 장면에 대응하는 컨텐츠데이터의 위치를 식별한다. 이러한 식별 동작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덱스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식별된 컨텐츠데이터의 위치에 대응하는 주소정보를 키 주소 DB(520)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주소정보에 대응하는 키를 키 서버(530)로부터 취득함으로써 해당 위치의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시킬 수 있다.
한편, 인덱스정보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540) 전체를 복호화시킬 필요 없이,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540) 내에서 트릭 플레이가 지시하는 장면의 영상프레임을 특정하여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들을 제공한다. 인덱스정보가 어떠한 내용의 정보를 포함하고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는지에 관해서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 여러 가지의 변형 예시가 가능하므로 어느 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인덱스정보의 일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인덱스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인덱스정보에 기초하여 트릭 플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는 프로세서에 의해 다음과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61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수신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시킨다. 이 때, 영상처리장치는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영상으로 표시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예약녹화인 경우에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처리하지 않을 수도 있다.
62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에서 탐색 동작의 기준이 되는 키 프레임 또는 인덱스 프레임을 식별한다. 인덱스 프레임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63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저장한다. 이 때, 암호화의 알고리즘은, 영상처리장치가 610 단계에서 수신한 컨텐츠데이터의 암호화 알고리즘과 동일하다.
64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에서, 식별된 인덱스 프레임에 대응하는 위치를 판단한다.
65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판단한 위치의 정보를 포함하는 인덱스정보를 생성 및 저장한다.
이후, 66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트릭 플레이에 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67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인덱스정보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지시하는 장면의 인덱스 프레임에 관한 정보를 검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이동한 컨텐츠의 장면에 대해, 영상처리장치는 해당 장면의 인덱스 프레임의 ID와,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에서 해당 ID에 대응하는 데이터 위치에 관한 정보를 인덱스정보에서 취득한다.
68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로부터 검색된 정보에 따른 데이터를 취득한다.
690 단계에서 영상처리장치는 취득한 데이터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이하, 인덱스정보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참조하는 인덱스정보를 생성하는 개략적인 원리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710)는 영상신호인 경우에 시간 순서에 따라서 배치된 복수의 영상프레임을 포함한다. MPEG 규격에 따른 영상신호인 경우에, 영상신호의 인코딩 압축은 과거와 미래, 즉 순방향과 역방향의 양방향으로부터 함께 예측하는 쌍방향 예측에 의해 수행된다. 영상신호에는 DCT(Discrete Cosine Transform)에 기반한 압축 알고리즘, 영상을 몇 개의 화소로 구성된 분리하는 Image Segmentation, 움직임의 추정과 보상 등이 적용된다. 특히, 영상신호의 각 영상프레임은 시간적인 예측 및 보간 방식에 기반하여 I-픽처(Intra-Picture), P-픽처(Unidirectionally Predicted Picture), B-픽처(Bidirectionally Predictive Picture)의 3가지의 속성 중 어느 하나를 가진다.
I-픽처 또는 I-프레임은 영상프레임들 사이의 디코딩을 위한 기준 프레임이다. I-프레임은 해당 영상프레임 단독으로 부호화되는 화면으로서, 프레임 간의 예측이 사용되지 않는 기준 프레임이다. I-프레임은 영상신호의 어느 위치에도 올 수 있으며, 데이터에 대한 임의 접근을 위해 사용된다.
P-픽처 또는 P-프레임은 순방향의 프레임 간의 예측 화면이다. P-프레임은 시간적으로 이전의 I-프레임 및 시간적으로 이전의 타 P-프레임 사이의 예측으로부터 생성된다. P-프레임은 연속되는 이미지들의 전체 이미지가 바뀌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의 블럭들이 옆으로 이동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즉,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 앞화면에 있는 물체 자체의 모양에는 큰 변화없이 옆으로 이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이전의 화면과 현재의 화면의 차이가 매우 적은 것을 이용하여 차이값만을 부호화하는 것이다.
B-픽처 또는 B-프레임은 양방향의 프레임 간의 예측 화면이다. B-프레임의 압축에는 이전, 이후의 I-프레임과 P-프레임 모두가 사용된다. B-프레임을 사용하면 높은 압축률을 얻을 수 있다.
인코딩된 영상신호의 디코딩 동작은, I-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순방향 프레임간의 예측을 수행하고, 양방향 프레임 간의 예측을 수행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트릭 플레이와 같이 컨텐츠영상의 탐색 동작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I-프레임, P-프레임, B-프레임 중에서 I-프레임이 주로 사용되는데, 이는 I-프레임이 타 프레임 간의 예측 없이 단독으로 부호화가 가능하므로, 데이터에 대한 임의 접근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MPEG 이외의 규격에도 이러한 점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H.264 규격에도 I-프레임의 개념이 사용된다.
따라서, 트릭 플레이를 위해서는 영상신호 내에서 I-프레임의 위치만을 특정하면 되므로, 트릭 플레이의 기준이 되는 키 프레임 또는 인덱스 프레임은 I-프레임이 사용된다.
그런데, 영상신호가 암호화되지 않은 클린한 상태라면 영상프레임의 속성은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지만, 영상신호가 암호화된 상태에서는 소정 장면 또는 소정 시점에 대응하는 I-프레임의 영상프레임이 무엇인지 식별될 수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서 인덱스정보(730)를 생성한다.
영상처리장치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가 수신되면, 이를 클린 컨텐츠데이터(710)로 복호화한다. 예를 들어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710) 내에 12개의 영상프레임이 있다고 할 때, I-프레임의 속성을 가진 영상프레임은 1번 및 9번이다. 이와 같은 속성의 정보는 클린 컨텐츠데이터(710)의 각 영상프레임의 헤더(header)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영상처리장치는 각 헤더의 내용을 확인함으로써 I-프레임의 속성을 가진 영상프레임을 판단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는 저장을 위해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710)를 소스 디바이스에 의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720)로 변환한다. 이 때, 영상처리장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720) 내에서, I-프레임의 속성을 가진 1번 영상프레임의 데이터 위치 X와, 9번 영상프레임의 데이터 위치 Y를 나타내는 인덱스정보(730)를 생성한다.
즉, 인덱스정보(730)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720) 내에서 I-프레임의 속성을 가진 영상프레임의 ID 또는 인덱스 넘버와, 각 영상프레임 ID의 데이터 위치를 식별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데이터 위치의 식별 정보는, 예를 들면 일련의 데이터 코드 중에서 특정 구간의 코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인덱스정보(730)는 컨텐츠의 전체 재생시간 중에서, 각 영상프레임에 대응하는 재생시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클린 컨텐츠데이터(710)의 경우와 달리,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720)에서는 영상처리장치가 헤더의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은 인덱스정보(730)를 참조하면, 영상처리장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720)에서 I-프레임의 속성을 가진 영상프레임의 데이터를 판별할 수 있다.
만일,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720) 및 인덱스정보(730)가 저장된 상태에서 트릭 플레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 입력이 지시하는 컨텐츠의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프레임의 ID와, 해당 ID의 데이터 위치를 인덱스정보(730)에서 검색한다. 영상처리장치는 검색된 정보에 따라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720)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복호화 및 디코딩 처리를 수행하여 영상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이, 영상처리장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720)에 대응하는 인덱스정보(730)를 생성하고, 인덱스정보(730)에 기초하여 트릭 플레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제반 동작이 영상처리장치 내에서 수행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영상처리장치는 장치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환경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사상이 홈 네트워크와 같은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800)은 하나 이상의 호스트장치(810) 및 하나 이상의 전자장치(820, 830, 84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800)은 하나의 호스트장치(810) 및 복수의 전자장치(820, 830, 840)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내지만, 호스트장치(810) 또는 전자장치(820, 830, 840)의 개수 또는 종류는 특정한 예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네트워크 시스템(800)은 기 설정된 보안 정책이 적용됨으로써 시스템(800) 외부의 타 장치의 접속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폐쇄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으며,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됨으로써 서버(88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800)의 예시로는 가정 또는 회사의 홈 네트워크 또는 로컬 네트워크가 있다.
시스템(800)이 폐쇄 네트워크로 구현된다는 것은, 시스템(800)에서 인증된 전자장치(820, 830, 840)만이 시스템(800) 내에서의 통신을 중계하는 호스트장치(810)에 접속이 허용된다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전자장치(820, 830, 840)가 호스트장치(810)를 통해 광역 네트워크에 접속하고자 한다면, 전자장치(820, 830, 840)는 호스트장치(810)에 지정된 보안 인증을 통과하여야 한다. 호스트장치(810)가 AP(acess point)로 구현된다면, 호스트장치(810)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및 패스워드(password)를 저장한다. 전자장치(820, 830, 840)는 SSID에 기초하여 호스트장치(810)를 검색하고 이 검색한 호스트장치(810)에 패스워드를 전송함으로써, 호스트장치(810)에 대한 접속이 인증된다.
호스트장치(810)는 AP 뿐만 아니라, 게이트웨이(gateway), 라우터(router), IoT 허브(hub) 등과 같이 통신을 중계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호스트장치(810)에 접속하기 위한 인증 정보는, 호스트장치(810)의 기기 ID, 호스트장치(810)의 통신 ID, 호스트장치(810)에 대한 접속 인증을 위한 패스워드 등 다양한 네트워크 정보 및 ID 정보를 포함한다.
전자장치(820, 830, 840)는 도면에 도시된 셋탑박스(820), 모바일장치(830), TV(840) 뿐만 아니라, 생활가전,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터 등 등 다양한 종류의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스템 환경 하에서, 영상처리장치(820)는 외부장치(830)에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전송 또는 스트리밍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820)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인덱스정보, 복호화 처리를 위한 키 주소 DB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의 영상처리장치(820)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영상처리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영상처리장치(820)는 기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인덱스정보, 키 주소 DB를 호스트장치(810)에 전송한다(S1). 이들 데이터는 호스트장치(810)의 중계에 의해 외부장치(830)로 전송된다(S2). 즉, 영상처리장치(820)는 시스템(800) 내에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스트리밍 서버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영상처리장치(82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는, 최초 영상처리장치(820)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했던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와 동일한 암호화 알고리즘을 따르므로, 컨텐츠 제공자의 보안 정책을 위배하지 않는다.
외부장치(830)는 영상처리장치(820)로부터 스트리밍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외부장치(830)에서 수행되는 트릭 플레이는 영상처리장치(820)로부터 수신되는 인덱스정보를 참조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동작은 앞선 실시예에서의 트릭 플레이 동작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리에 따른다.
외부장치(830)는 키 주소 DB에 기초하여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예를 들면, 서버(880)가 키 서버로 구현되는 경우에, 외부장치(830)는 키 주소 DB에 기록된 주소정보에 따라서 서버(880)에 접속한다. 서버(880)는 외부장치(830)가 보안상 허용된 장치인 경우에 서버(880)의 접속을 허용하고, 서버(880)의 요청에 따른 복호화 키를 호스트장치(810)에 전송한다(S3). 해당 키는 호스트장치(810)로부터 외부장치(830)로 전송된다(S4). 외부장치(830)는 서버(880)로부터 수신된 키를 가지고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서버(880)는 외부장치(830)로부터 키 요청을 받으면, 외부장치(830)가 보안상 허용된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예를 들면 서버(880)는 외부장치(830)로부터 외부장치(830)의 ID를 수신하고, 해당 ID가 등록되었으면 외부장치(830)의 접속을 허용하며, 해당 ID가 등록되지 않았으면 외부장치(830)의 접속을 차단한다. 외부장치(830)의 ID는, 외부장치(830)의 프로세서의 ID이거나, 외부장치(830)의 통신부의 MAC address이거나, 외부장치(830)의 사용자 계정 정보이거나, 기타 외부장치(830)를 구별할 수 있는 다양한 고유 정보를 포함한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영상처리장치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데이터를 녹화하고, 녹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영상처리장치 자체적으로 저장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IoT 환경에서는 영상처리장치가 아닌 타 장치에 녹화된 컨텐츠데이터가 저장될 수도 있는 바,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가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제1외부장치에 저장하고 제2외부장치에 스트리밍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처리장치(901)는 소스 디바이스(902)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수신한다(910). 영상처리장치(901)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에 대응하는 인덱스정보를 생성한다(920). 영상처리장치(901)는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재암호화하여,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인덱스정보를 제1외부장치(903)에 전송한다(930).
제1외부장치(903)는 영상처리장치(901)로부터 수신되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인덱스정보를 저장한다(940).
영상처리장치(901)는 제2외부장치(904)로부터 컨텐츠의 스트리밍을 요청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950). 영상처리장치(901)는 상기한 요청에 응답하여,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가 저장된 제1외부장치(903)에 스트리밍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전송한다(960).
제1외부장치(903)는 영상처리장치(901)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제2외부장치(904)에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스트리밍한다(970). 제2외부장치(904)는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컨텐츠영상을 표시한다(980).
제2외부장치(904)는 트릭 플레이 동작을 위해, 제1외부장치(903)로부터 인덱스정보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2외부장치(904)가 스트리밍 요청(950)을 영상처리장치가 아닌 제1외부장치(903)에 보내고, 제1외부장치(903)가 이에 응답하여 스트리밍을 수행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또한, 영상처리장치(901)는 스트리밍 요청(950)에 응답하여 제2외부장치(904)가 보안상 허용된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허용되지 않은 장치라고 판단되면 스트리밍 지시(960)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200 : 영상처리장치
201 : 소스 디바이스
202 : 디스플레이장치
210 : 수신부
220 : 송신부
230 : 사용자입력부
240 : 저장부
250 : 프로세서

Claims (17)

  1.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저장부와;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전송스트림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수신부에 수신되는 상기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취득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 처리하며, 복호화된 상기 컨텐츠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데이터의 영상 표시를 위해 참조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인덱스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정보는, 상기 컨텐츠데이터의 탐색 동작에 따른 장면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영상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정보는, 복수의 영상프레임 중 기 설정된 속성을 가진 인덱스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덱스정보에서 상기 탐색 동작이 지시하는 장면의 상기 인덱스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영상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프레임의 속성은 인트라픽처(Intra-Picture) 영상프레임인 영상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데이터 코드 내에서 상기 인덱스 프레임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코드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검색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영상처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전송스트림의 생성 시에 컨텐츠데이터에 상기 소스 디바이스가 수행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서, 상기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재암호화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영상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복수의 구간 별 데이터를 각기 복호화하기 위한 복수의 키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키를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복수의 키가 저장된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상기 구간의 복호화를 위한 대응 키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영상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장치에서 상기 영상이 표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상기 주소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영상처리장치.
  9.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송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데이터의 영상 표시를 위해 참조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인덱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정보는, 상기 컨텐츠데이터의 탐색 동작에 따른 장면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위치를 나타내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정보는, 복수의 영상프레임 중 기 설정된 속성을 가진 인덱스 프레임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인덱스정보에서 상기 탐색 동작이 지시하는 장면의 상기 인덱스 프레임에 대응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위치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프레임의 속성은 인트라픽처 영상프레임인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표시 가능하게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데이터 코드 내에서 상기 인덱스 프레임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 코드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검색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취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전송스트림의 생성 시에 컨텐츠데이터에 소스 디바이스가 수행한 암호화 알고리즘에 따라서, 상기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재암호화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복수의 구간 별 데이터를 각기 복호화하기 위한 복수의 키가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키를 저장하는 서버와 통신하는 단계와;
    복수의 키가 저장된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상기 구간의 복호화를 위한 대응 키를 상기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외부장치에서 상기 영상이 표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된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상기 주소 정보를 상기 외부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영상처리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방법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된 비휘발성의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전송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전송스트림으로부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를 복호화 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복호화된 컨텐츠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데이터의 영상 표시를 위해 참조되는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의 인덱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된 컨텐츠데이터 및 상기 인덱스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170168644A 2017-12-08 2017-12-08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84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644A KR102484754B1 (ko) 2017-12-08 2017-12-08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6/211,825 US11134307B2 (en) 2017-12-08 2018-12-06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811501233.4A CN109905762B (zh) 2017-12-08 2018-12-10 图像处理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644A KR102484754B1 (ko) 2017-12-08 2017-12-08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345A true KR20190068345A (ko) 2019-06-18
KR102484754B1 KR102484754B1 (ko) 2023-01-06

Family

ID=66697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644A KR102484754B1 (ko) 2017-12-08 2017-12-08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34307B2 (ko)
KR (1) KR102484754B1 (ko)
CN (1) CN1099057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21382B2 (en) * 2020-02-11 2022-05-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cure matching and identification of patterns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1693A1 (en) * 2002-06-27 2004-01-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trick-mode support of audio/video/data streams with conditional access
KR20050004847A (ko) * 2002-05-10 2005-01-12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70122577A (ko) * 2005-04-26 2007-12-3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패킷들의 시퀀스 및 상기 패킷과 관련된 타이밍 정보를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080005569A (ko) * 2005-04-26 2008-01-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암호 시스템에서 암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는 장치및 방법
KR20160039922A (ko) * 2014-10-02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2398A (ko) * 2016-01-06 2017-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콘텐츠 제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시스템
KR20170114582A (ko) * 2016-04-05 2017-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13591A (ja) * 2002-06-12 2006-04-2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条件付アクセス装置における暗号化されたデータのトリックプレイ
US7007170B2 (en) * 2003-03-18 2006-02-28 Widevine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ly providing content viewable on a secure device
US7602914B2 (en) * 2004-08-18 2009-10-13 Scientific-Atlanta, Inc. Utilization of encrypted hard drive content by one DVR set-top box when recorded by another
US8526612B2 (en) * 2006-01-06 2013-09-03 Google Inc. Selective and persistent application level encryption for video provided to a client
TW200806036A (en) * 2006-01-06 2008-01-16 Widevine Technologies Inc Selective and persistent application level encryption for video provided to a client
AU2010331464B2 (en) * 2009-12-14 2015-11-26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ontent reception apparatus, content playback apparatus, content reception and playback apparatus, content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CA2816264C (en) * 2010-10-16 2017-04-11 Lg Electronics Inc. Digital receiver and method for processing 3d contents in digital receiver
WO2012125824A2 (en) * 2011-03-16 2012-09-20 Zte (Usa)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ependent decryption of encrypted video frames
KR20150102333A (ko) 2014-02-28 2015-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847A (ko) * 2002-05-10 2005-01-12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미디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40001693A1 (en) * 2002-06-27 2004-01-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trick-mode support of audio/video/data streams with conditional access
KR20070122577A (ko) * 2005-04-26 2007-12-3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패킷들의 시퀀스 및 상기 패킷과 관련된 타이밍 정보를갖는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
KR20080005569A (ko) * 2005-04-26 2008-01-14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암호 시스템에서 암호화된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는 장치및 방법
KR20160039922A (ko) * 2014-10-02 2016-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82398A (ko) * 2016-01-06 2017-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콘텐츠 제공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시스템
KR20170114582A (ko) * 2016-04-05 2017-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82538A1 (en) 2019-06-13
CN109905762B (zh) 2022-08-26
US11134307B2 (en) 2021-09-28
CN109905762A (zh) 2019-06-18
KR102484754B1 (ko) 2023-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1516B1 (en) Networked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with copy protection and random access playback
US7840489B2 (en) Key sharing for DRM interoperability
CN101167357B (zh) 用于处理具有分组序列和与分组有关的定时信息的数据流的设备和方法
KR101760092B1 (ko) 하드웨어 보안모듈을 이용한 cctv 보안강화 장치 및 그 방법
KR100859612B1 (ko)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원격 실시간 액세스를 위한 방법,장치 및 시스템
KR101730754B1 (ko) 안전한 미디어 재생을 위한 dlna/dtcp 스트림 변환
US100155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storage and retrieval of live off disk media programs
AU2010331464B2 (en) Content reception apparatus, content playback apparatus, content reception and playback apparatus, content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US20070011447A1 (en)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operation information
CN101268692A (zh) 处理加密的数据流用于特技播放的设备和方法
JP5678326B2 (ja) 送信制御装置、受信制御装置、送信制御方法、受信制御方法、及び送信制御プログラム
US200600454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protected contents at home
US11134307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98409B1 (ko) 컨텐츠 암호화 방법, 컨텐츠 복호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자기기
EP2456223B1 (en) System for providing access to information needed for performing trick mode operations on a video elementary stream
CN102231854A (zh) 多媒体广播节目录制方法及数据卡设备
KR100708194B1 (ko) 컨텐츠 재생 장치의 성능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암호화하여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 그 성능에기초하여 암호화된 컨텐츠를 수신하는 방법, 및 그 컨텐츠재생 장치
KR20230031494A (ko) 클라우드 기반 영상 저장 방법, 영상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JP2002034018A (ja) パケット処理装置、パケット処理方法及びその記憶媒体
US20130347119A1 (en) Data processor, communication de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US200500863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virtual common hard disk recorder resource
JP200408832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蓄積再生装置および携帯受信機
JP2006172054A (ja) 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配信装置
JP2012150741A (ja) 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及び、サーバ装置とクライアント装置を含むコンテンツ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