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8077A -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8077A
KR20190068077A KR1020170168102A KR20170168102A KR20190068077A KR 20190068077 A KR20190068077 A KR 20190068077A KR 1020170168102 A KR1020170168102 A KR 1020170168102A KR 20170168102 A KR20170168102 A KR 20170168102A KR 20190068077 A KR20190068077 A KR 2019006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type
monitoring module
information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8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수
Original Assignee
(주)유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엔디 filed Critical (주)유엔디
Priority to KR1020170168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8077A/ko
Publication of KR2019006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점검하거나 확인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나 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 장치나 시설에서 특정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무선 방식으로 지정된 서버에 전송하는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이 포함된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SENSOR EXPANDABLE WIRELESS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 중 사용 목적에 따라 어느 하나의 센서를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부착된 센서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수신 장치에서 처리하기에 용이한 데이터 형태로 처리하여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분야(예 : 공장, 홈(가정), 매장 등)에서 사람을 대신하여 특정 장치나 시설(예 : 가스 배관, 수도 배관, 보일러, 도어 등)의 동작 상태(예 : 누액, 누수, 가스 누설, 화재, 동파, 외부 침입 등)를 점검하고 확인(체크)하기 위한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점검하거나 확인(체크)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나 시설에 따라, 매번 맞춤형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발과 설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맞춤형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은 고장이 발생할 경우에 이를 수리하는 데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점검하거나 확인(체크)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나 시설에 따라, 필요한 종류의 센서만 부착함으로써, 간단히 센서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095985호(2009.09.10. 공개, 무선 압력 모니터링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 중 사용 목적에 따라 어느 하나의 센서를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부착된 센서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수신 장치에서 처리하기에 용이한 데이터 형태로 처리하여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은, 점검하거나 확인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나 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 장치나 시설에서 특정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무선 방식으로 지정된 서버에 전송하는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이 포함된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은, 센서를 연결하기 위한 센서 연결부; 상기 연결되는 센서의 종류나 타입에 따른 센서 ID를 설정하고,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의 ID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칭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ID에 해당하는 종류나 타입의 센서를 구동하고, 해당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처리를 위한 펌웨어가 저장되는 펌웨어 저장부; 연결된 센서 ID에 해당하는 펌웨어를 불러와 해당 센서를 구동하고 해당 센서에서 검출된 센싱 정보를 처리하여 미리 지정된 형태의 데이터 패킷으로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데이터 패킷을 무선 방식으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의 상태를 시각적 정보나 청각적 정보로 출력하는 인디케이터부; 및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연결부는, 상기 대상 장치나 시설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상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어느 한 가지 종류나 타입의 센서를 연결하거나, 이전에 연결된 센서 대신에 다른 종류나 타입의 센서로 교체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지그비(Zigbee)나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이동 통신을 포함하는 원거리 무선통신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의 상태는, 전원 공급부의 상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검출된 센싱 정보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해당하는 상태이거나 비정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위칭부를 통해 설정된 센서 ID 설정 스위치의 설정 값을 리드하여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에 연결된 센서의 종류와 타입을 파악하고, 상기 센서 ID에 해당하는 센서의 구동 및 센싱 정보의 처리를 위한 펌웨어를 펌웨어 저장부로부터 로딩한 후, 해당 센서를 이용해 센싱 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센서 ID, 상기 센서가 연결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의 ID, 전원 상태를 알려주는 알람 ID, 및 센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을 지정된 네트워크 접속장치나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이 기준 이상인지 아닌지 여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소모되는 전류량이 기준 이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점검하여, 이 상태에 해당하는 알람 데이터를 상기 인디케이터부를 통한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무선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저장부는,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에 연결 가능한 센서의 종류나 타입; 상기 센서의 종류나 타입에 해당하는 센서 ID나 스위치 설정 값; 상기 센서의 구동 방식과 센싱 정보의 출력 방식; 및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매칭하여 미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 중 사용 목적에 따라 어느 하나의 센서를 선택적으로 부착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부착된 센서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수신 장치에서 처리하기에 용이한 데이터 형태로 처리하여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이 전원 상태를 점검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이 센싱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에 연결된 센서의 종류나 타입에 따라 로딩하는 펌웨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이 생성하여 전송하는 센싱 데이터 패킷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7은 상기 도 1에서 있어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이 전송한 센싱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서버가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
도 8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서버가 처리한 센싱 데이터를 모니터링 모듈에 전송하여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은,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 네트워크 접속 장치(200), 서버(300), 및 모니터링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은, 점검하거나 확인(체크)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나 시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대상 장치나 시설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은 상기 대상 장치나 시설에 따라 연결되는 센서(10, 20)의 종류나 타입을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센서 확장형이란, 어느 한 가지 종류나 타입의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점검하거나 확인(체크)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나 시설에 따라 센서의 종류나 타입을 변경하여 연결할 수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에 연결된 센서의 종류에 따라 상기 대상 장치나 시설에서 다양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은 상기 센싱 정보를, 무선 방식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지정된 서버(300)에 전송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200)는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에서 무선 방식으로 전송되는 센싱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센싱 정보를 상기 지정된 서버(300)가 접속된 해당 네트워크에 전송(전달)한다.
이때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200)는 라우터, 게이트웨이, 및 공유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이 모드 설정을 통해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200)의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도면에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2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은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예 : 지그비 통신, 와이파이 통신, 이동 통신 등)이 구현될 수 있으며, 모드 설정을 통해 센싱 정보를 출력(전송)하게 하거나, 다른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이 포함된 네트워크에서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다른 네트워크에 접속된 서버(3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서버(300)는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센싱 정보를 시간 순으로 누적 저장하며, 아울러 상기 누적 저장된 센싱 정보를 지정된 모니터링 단말기(400)(예 : PC, 휴대 단말기, 스마트 패드, 스마트 폰 등)에 전송한다(도 7 참조). 이때 상기 서버(300)는 상기 센싱 정보를 지정된 모니터링 단말기(400)에 표시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형태, 및 상기 점검하거나 확인(체크)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나 시설의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400)는 상기 점검하거나 확인(체크)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나 시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에서 센싱한 정보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대상 장치나 시설의 상태를 표시한다(도 8 참조).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은, 센서 연결부(110), 스위칭부(120), 제어부(130), 무선 통신부(140), 인디케이터부(150), 전원 공급부(160), 및 펌웨어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은, 어느 한 가지 종류나 타입의 센서에 한정되지 않고, 점검하거나 확인(체크)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나 시설에 따라 센서의 종류나 타입을 변경하여 연결할 수 있는 모듈을 의미한다.
상기 센서 연결부(110)는 점검하거나 확인(체크)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나 시설에서 필요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어느 하나의 센서를 연결하거나, 이전에 연결되어 있던 센서 대신에 다른 종류나 타입의 센서로 교환 연결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 연결부(110)는 어느 하나의 센서를 물리적으로 연결(또는 부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 연결부(110)는 센서 연결을 위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결 단자(또는 연결 포트)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부(120)는 상기 연결되는 센서의 종류나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제1 스위칭부(121)(예 : 딥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에 연결 가능한 센서의 종류나 타입은 센서 ID에 매칭시켜 내부 메모리(또는 펌웨어 저장부(170)의 일부 영역)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연결 가능한 센서 ID 리스트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스위칭부(121)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부(12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의 모듈 ID를 설정하기 위한 제2 스위칭부(122)(예 : 딥 스위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모듈 ID를 설정함으로써, 해당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이 설치되는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스위칭부(120)를 통해서 설정된 센서 ID에 해당하는 종류와 타입의 센서를 구동(예 : 전원 공급)하고, 해당 센서 ID에서 출력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펌웨어를 상기 펌웨어 저장부(170)에서 로딩한다.
상기 펌웨어 저장부(170)에는 센서 ID에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센서(즉, 모듈에 연결 가능한 모든 센서)들에 대한 센서 구동 방식 및 센서 출력 방식에 대한 정보(펌웨어)가 미리 저장되어 있다(도 5 참조).
따라서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센서 ID에 해당하는 펌웨어를 불러와 해당 센서를 구동하고 해당 센서에서 검출된 센싱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센서 ID에 해당하는 센서로부터 검출된 센싱 정보를 처리하여 미리 지정된 형태의 데이터 패킷으로 생성하고(도 6 참조),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주변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무선 통신부(140)의 무선 신호가 도달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상기 네트워크 접속장치(200)가 상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게 된다.
상기 무선 통신부(140)는 지그비(Zigbee)나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이동 통신(예 : 3G, 4G, 5G 등)과 같은 원거리 무선통신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부(15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의 상태를 시각적 정보나 청각적 정보로 출력할 수 있는 수단(예 : LED, 부저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의 상태는 전원 공급부(160)(예 : 배터리)의 상태(예 : 저전압, 완전 방전, 누전 등)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센서 ID에 해당하는 센서로부터 검출된 센싱 정보가 기 설정된 특정 조건에 해당하는 상태(즉, 알람 출력 조건에 해당하는 상태나 비정상 상태)를 포함한다.
상기 인디케이터부(150)는 모니터링 단말기(400)가 없더라도 주변에 있는 사용자가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의 상태를 시각적이나 청각적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원 공급부(160)는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센서 구동을 위한 전원 포함)(예 : 배터리)을 포함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있어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이 전원 상태를 점검하여 출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의 전원 공급부(160)의 상태를 점검한다(S101).
예컨대 상기 전원 공급부(160)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이 기준 이상인지 아닌지 여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160)에서 소모되는 전류량이 기준 이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점검 결과, 전원 공급부(160)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인 경우(S102의 예),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비정상 상태(또는 이상 상태)의 원인을 분석한다(S103).
그리고 상기 비정상 상태(또는 이상 상태)의 원인에 따라, 즉, 저전압 상태인지 또는 누전에 의한 과전류 상태인지 등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알람 데이터를 출력(즉, 인디케이터부를 통한 출력) 및 주변에 전송(즉, 무선 통신부를 통한 무선 출력)한다(S104).
도 4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이 센싱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스위칭부(120)를 통해 설정된 센서 ID 설정 스위치(예 : 제1 스위칭부)의 설정 값을 리드한다(S201).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에 연결(또는 부착)된 센서의 종류와 타입을 파악한다.
상기 설정 스위치(예 : 제1 스위칭부)의 설정 값에 의해 센서 ID(즉, 연결된 센서의 종류와 타입)가 파악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센서 ID에 해당하는 처리 펌웨어(즉, 센서의 종류와 타입에 따른 센서 구동 및 센싱 정보의 처리를 위한 펌웨어)를 펌웨어 저장부(170)로부터 로딩한다(S202)(도 5 참조).
다음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파악된 센서 ID, 상기 센서가 연결된 모듈(즉,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 ID, 알람 ID(즉, 전원 상태에 따른 알람 ID), 및 센싱 정보(즉,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S203)(도 6 참조).
도 6은 상기 도 4에 있어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이 생성하여 전송하는 센싱 데이터 패킷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다만 상기 데이터 패킷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일 뿐이며, 실제로는 더 다양한 정보가 더 추가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와 같이 각 모듈(즉,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에 연결된 센서에서 검출된 센싱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이 생성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을 무선 방식으로 주변(예 : 지정된 네트워크 접속장치나 서버)에 전송한다(S204).
도 5는 상기 도 2에 있어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에 연결된 센서의 종류나 타입에 따라 로딩하는 펌웨어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 펌웨어 저장부(170)(또는 내부 메모리)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에 연결 가능한 센서의 종류(예 : 가스센서, 온도센서, 압력센서 등)나 타입(예 : 아날로그 타입, 디지털 타입 등)이 미리 지정되어 있고, 상기 센서의 종류나 타입에 해당하는 센서 ID(또는 스위치 설정 값)가 미리 지정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각 센서의 구동 방식(예 : 구동 전압, 구동 전압 인가 방식(예 : 펄스 인가, 연속 인가 등) 등) 및 센서 출력 방식(예 : 센싱 신호의 전압 레벨 등)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센서 ID(또는 스위치 설정 값)를 상기 스위칭부(120)를 통해 설정해 줌에 따라,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센서 연결부(110)에 연결된 센서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방식으로 센싱 정보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이 데이터 패킷(또는 센싱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지정된 서버(300)로 전송하게 되면, 상기 서버(300)는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로부터 전송된 센싱 정보를 시간 순으로 누적 저장함과 아울러 상기 누적 저장된 센싱 정보를 지정된 모니터링 단말기(400)(예 : PC, 휴대 단말기, 스마트 패드, 스마트 폰 등)에 전송한다(도 7 참조).
도 7은 상기 도 1에서 있어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이 전송한 센싱 데이터 패킷을 수신한 서버가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버(300)는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로부터 센싱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S301), 상기 센싱 데이터 패킷을 파싱(parsing) 한다(S302).
예컨대 상기 센싱 데이터 패킷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라고 가정할 때, 상기 서버(300)는 상기 센싱 데이터 패킷의 모듈 ID에 기초하여 설치 위치를 파악하고(S303), 상기 센싱 데이터 패킷의 센서 ID에 기초하여 점검 항목(즉, 점검할 정보의 종류)을 파악하며(S304), 알람 ID에 기초하여 전원의 상태를 파악하고(S305), 또한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점검 대상의 현재 상태(즉, 비정상 상태, 또는 정상 상태에서의 보다 구체적인 상태)를 파악한다(S306).
상기와 같이 센싱 데이터 패킷을 파싱하여 점검 대상에 대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가 파악되면, 상기 서버(300)는 상기 파악된 정보들을 지정된 모니터링 단말기(400)에 전송한다(S307)(도 8 참조).
이때 상기 서버(300)는 상기 센싱 정보를 지정된 모니터링 단말기(400)에 표시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형태, 및 상기 점검하거나 확인(체크)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나 시설의 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미리 지정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서버가 처리한 센싱 데이터를 모니터링 모듈에 전송하여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로서, 상기 모니터링 단말기(400)는 상기 점검하거나 확인(체크)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나 시설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100)에서 검출한 센싱 정보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대상 장치나 시설의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 중 사용 목적에 따라 어느 하나의 센서를 선택적으로 연결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부착된 센서를 통해 검출된 정보를 수신 장치에서 처리하기에 용이한 데이터 형태로 처리하여 무선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20 : 센서 100 :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
110 : 센서 연결부 120 : 스위칭부
121 : 제1 스위칭부 122 : 제2 스위칭부
130 : 제어부 140 : 무선 통신부
150 : 인디케이터부 160 : 전원 공급부
170 : 펌웨어 저장부 200 : 네트워크 접속장치
210 : 게이트웨이 220 : 라우터
300 : 서버 400 : 모니터링 단말기

Claims (7)

  1. 점검하거나 확인하고자 하는 대상 장치나 시설에 설치되어 상기 대상 장치나 시설에서 특정 상태 정보를 검출하여 무선 방식으로 지정된 서버에 전송하는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이 포함된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은,
    센서를 연결하기 위한 센서 연결부;
    상기 연결되는 센서의 종류나 타입에 따른 센서 ID를 설정하고,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의 ID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칭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ID에 해당하는 종류나 타입의 센서를 구동하고, 해당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 처리를 위한 펌웨어가 저장되는 펌웨어 저장부;
    연결된 센서 ID에 해당하는 펌웨어를 불러와 해당 센서를 구동하고 해당 센서에서 검출된 센싱 정보를 처리하여 미리 지정된 형태의 데이터 패킷으로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데이터 패킷을 무선 방식으로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의 상태를 시각적 정보나 청각적 정보로 출력하는 인디케이터부; 및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연결부는,
    상기 대상 장치나 시설에서 검출하고자 하는 상태 정보의 종류에 따라,
    이에 해당하는 어느 한 가지 종류나 타입의 센서를 연결하거나,
    이전에 연결된 센서 대신에 다른 종류나 타입의 센서로 교체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지그비(Zigbee)나 와이파이(WiFi) 중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또는 이동 통신을 포함하는 원거리 무선통신 방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의 상태는,
    전원 공급부의 상태, 및 상기 센서로부터 검출된 센싱 정보가 기 설정된 알람 출력 조건에 해당하는 상태이거나 비정상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스위칭부를 통해 설정된 센서 ID 설정 스위치의 설정 값을 리드하여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에 연결된 센서의 종류와 타입을 파악하고,
    상기 센서 ID에 해당하는 센서의 구동 및 센싱 정보의 처리를 위한 펌웨어를 펌웨어 저장부로부터 로딩한 후, 해당 센서를 이용해 센싱 정보를 검출한 후,
    상기 센서 ID, 상기 센서가 연결된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의 ID, 전원 상태를 알려주는 알람 ID, 및 센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포함된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데이터 패킷을 지정된 네트워크 접속장치나 서버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레벨이 기준 이상인지 아닌지 여부, 및 상기 전원 공급부에서 소모되는 전류량이 기준 이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점검하여, 이 상태에 해당하는 알람 데이터를 상기 인디케이터부를 통한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무선 방식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웨어 저장부는,
    상기 센서 확장형 모니터링 모듈에 연결 가능한 센서의 종류나 타입;
    상기 센서의 종류나 타입에 해당하는 센서 ID나 스위치 설정 값;
    상기 센서의 구동 방식과 센싱 정보의 출력 방식; 및
    상기 센싱 정보에 따라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매칭하여 미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70168102A 2017-12-08 2017-12-08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68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102A KR20190068077A (ko) 2017-12-08 2017-12-08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102A KR20190068077A (ko) 2017-12-08 2017-12-08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077A true KR20190068077A (ko) 2019-06-18

Family

ID=67103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8102A KR20190068077A (ko) 2017-12-08 2017-12-08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80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240A (ko) * 2021-12-01 2023-06-08 (주)블리스 주차 관제용 구역제어기 고장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240A (ko) * 2021-12-01 2023-06-08 (주)블리스 주차 관제용 구역제어기 고장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9186C2 (ru) Приборное оснащение процесса с беспроводным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ем
EP2150861B1 (en) Industrial field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JP4762235B2 (ja) 無線周波通信を備えるプロセスフィールド装置
CA2732938A1 (en) Method for monitoring remaining service life of a battery
KR101408820B1 (ko) 모바일 앱을 이용한 수배전반 원격감시장치 및 방법
WO2016027612A1 (ja)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691391B1 (ko) 파워콘트롤러 및 상기 파워콘트롤러를 포함한 전자식전력제어시스템
KR101718222B1 (ko)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US20100201342A1 (en)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eldgerates
KR100977169B1 (ko) 부하의 전류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20087257A (ko) 스마트 콘센트 및 이를 이용한 소전력 원격 제어관리시스템
JP2002023832A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放射線監視システムとそのインテリジェントセンサ、並びに自動販売機管理システム
KR20190068077A (ko) 센서 확장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
KR101708762B1 (ko) 파워 모니터링 시스템 및 장치
WO2015141534A1 (ja) 機器アダプタ、機器システム、及び起動制御方法
KR20200029927A (ko) 화재 감지기 및 그 화재 감지기를 구비한 화재 감지 시스템
KR100874981B1 (ko) 수전설비의 과열 및 과전류 경보 시스템
KR102060592B1 (ko) 통합 센서 패키지
KR101309926B1 (ko) 센서 원격 관리 시스템
JP7386604B2 (ja) ガスメータ
RU55162U1 (ru) Регулятор температуры с дистанцио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по gsm каналу
JP5723645B2 (ja) 移報出力器
JP2010140389A (ja) 無線式警報器
KR101852052B1 (ko) 경보 장치, 상기 경보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및 이들을 이용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53397B1 (ko) 가스 사용량 원격검침 시스템용 가스메터의 데이타 전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