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052B1 - 경보 장치, 상기 경보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및 이들을 이용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경보 장치, 상기 경보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및 이들을 이용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052B1
KR101852052B1 KR1020170063881A KR20170063881A KR101852052B1 KR 101852052 B1 KR101852052 B1 KR 101852052B1 KR 1020170063881 A KR1020170063881 A KR 1020170063881A KR 20170063881 A KR20170063881 A KR 20170063881A KR 101852052 B1 KR101852052 B1 KR 101852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gateway
alert
alarm devi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서텔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서텔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서텔넷
Priority to KR1020170063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Abstract

경보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경보 장치는 게이트웨이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제1 송수신기, 메모리, 배터리, 경보 발생 장치,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제2 송수신기, 상기 경보 장치에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작동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출력될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보 장치 타입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와서, 이들을 상기 제1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경보 발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경보 ID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생성하고, 상기 경보 ID와 상기 플래그를 상기 제2 송수신기로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 ID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출력될 센서 상태를 이용하여 정의한 경보 발생 조건에 대응한다.

Description

경보 장치, 상기 경보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및 이들을 이용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WARNING DEVICE, GATEWAY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NG WITH THE WARN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WARNING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경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경보 장치, 상기 경보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경보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센서들과 연결된 게이트웨이는 상기 센서들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들을 인터넷을 이용하여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경보 장치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상기 경보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게이트웨이는 경보 장치로부터 경보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경보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인터넷 연결이 끊기거나 장애로 인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등으로 인해 게이트웨이가 인터넷에 연결될 수 없는 경우, 게이트웨이는 경보 장치로부터 경보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1106491호(2010.12.30) 등록특허공보 제10-1628996호(2016.06.0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경보 장치, 상기 경보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도 상기 경보 장치에 연결된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경보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게이트웨이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상기 게이트웨이로 작동 전압이 계속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경보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경보 장치는 게이트웨이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제1 송수신기와, 메모리와, 배터리와, 경보 발생 장치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제2 송수신기와, 상기 경보 장치에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작동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출력될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보 장치 타입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오고, 상기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 타입을 상기 제1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1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경보 발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 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경보 ID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생성하고, 상기 경보 ID와 상기 플래그를 상기 제2 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2 송수신기로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 ID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출력될 센서 상태를 이용하여 정의한 경보 발생 조건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신시 예들에 따른 게이트웨이는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부터 전송된 경보 장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경보 장치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무선 페어링 모드로 전환하는 컨트롤러와, 상기 무선 페어링 모드에서 경보 장치의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출력될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보 장치 타입을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1 송수신기와,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경보 장치부터 상기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 타입을 수신한 후 상기 무선 페어링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경보 장치 타입에 해당하는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리드하고, 상기 경보 장치 ID, 상기 경보 장치 타입, 및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상기 경보 장치 ID, 상기 경보 장치 타입, 및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경보 장치, 상기 경보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는 서버를 이용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경보 장치 등록 요청을 제1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경보 장치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작동 모드를 무선 페어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상기 경보 장치에 작동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경보 장치가 상기 경보 장치의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출력될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보 장치 타입을 리드하고, 상기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 타입을 상기 게이트웨이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 타입을 수신한 후, 상기 무선 페어링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경보 장치 타입에 해당하는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의 메모리로부터 리드하고, 상기 경보 장치 ID, 상기 경보 장치 타입, 및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상기 경보 장치 ID, 상기 경보 장치 타입, 및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경보 장치는, 상기 경보 장치와 통신하는 게이트웨이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장애로 인하여 상기 인터넷의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라도, 상기 경보 장치에 연결된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경보 장치에서 경보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게이트웨이에 별도의 하드웨어가 추가되지 않더라도, 상기 게이트웨이는 인터넷 대신에 이동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게이트웨이로 공급되는 전원(작동 전압 또는 파워)이 차단된 경우에도, 백업 배터리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작동 전압이 계속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경보 장치에서 경보가 발생했음을 장애가 있는 인터넷 대신에 상기 경보 장치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장치와 방법은, 게이트웨이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거나, 게이트웨이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경우에도 이동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보 장치에서 경보가 발생했음을 신속하게 알릴 수 있으므로, 상기 사용자는 신속한 대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보 정책 테이블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보 장치에서 경보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보 장치를 이용하여 경보 발생을 알리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의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경보 장치(100), 게이트웨이(200), 센서들 (또는 "감지 센서들"이라고도 한다; 300-1~300-n; n은 2 이상의 자연수), 제1통신 네트워크(400), 제2통신 네트워크 (500), 서버(600), 및 관리자 단말기(7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센서(300-1~300-n)는 사람(또는 동물)의 움직임, 출입문 열림, 열, 또는 온도 등을 감지하고, 각 감지 신호(SEN1~SENn)를 생성하고, 생성된 각 감지 신호 (SEN1~SENn)를 무선으로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각 센서(300-1~300-n)는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 모션(motion)을 감지하는 센서, 근접 센서, 문열림(또는 출입)을 감지하는 센서, 온도(또는 열)를 감지하는 센서, 습도를 감지하는 센서, 자석 센서(또는 자기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웨이(gateway; 200)는 각 센서(300-1~300-n)로부터 전송된 각 감지 신호(SEN1~SENn)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무단 침입자나 화재 등의 위험 상태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위험 상태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장치(100)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경보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하고, 경보 장치(100)와 서버(600)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700)로 상기 경보가 발생했음을 알릴 수 있다.
경보 장치(100)는, 게이트웨이(200)의 제어에 따라, 사람들에게 위험 상태가 발생했음을 알리고, 주의를 촉구하기 위해 상기 위험 상태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알리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경보 장치(100)는 사이렌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장치(100)에 의해 경보가 발생했음을 관리자 단말기(700)로 알리기 위해, 상기 경보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1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하거나, 경보 장치(100)와 제2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1통신 네트워크(60)는 유선(또는 무선) 인터넷 네트워크, 이더넷 (ethernet), 또는 Wi-Fi (wireless fidelity)와 같은 무선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wireless local area network(WLAN))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통신 네트워크(80)는 이동 통신망(mobile cellular network)일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이동 통신망은 3G (3rd generation) 이동 통신망, 4G(4th generation) 이동 통신망, LTETM(Long term evolution) 이동 통신망, 또는 LTE-Advanced(LTE-A) 이동 통신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웨이(200)가 제1통신 네트워크(400)에 연결되지 않았거나, 장애로 인해 제1통신 네트워크(400)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장치 (100)로부터 경보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2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하기 위해 경보 장치(1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감지 신호들(SEN1~SENn)을 수신하는 게이트웨이(200)에 의해 위험 상태가 발생했다고 판단된 경우, 게이트웨이(200)는 (1) 경보 장치(100)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경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 경보 장치(100)에 의해 경보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1통신 네트워크(400) 대신에 제2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하기 위해 경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무단 침입 또는 화재 등과 같은 위험 상태(또는 경보 상태)가 발생했으나 게이트웨이(200)에 연결된 제1통신 네트워크(400)에 장애가 발생하여 제1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상기 위험 상태를 서버(600)로 전송할 수 없는 경우, 게이트웨이 (200)는 경보 장치(100)에 연결된 제2통신 네트워크(500)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상기 위험 상태를 사용자(예컨대, 관리자 단말기(700)의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이트웨이(200)에 별도의 하드웨어를 추가하지 않더라도,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장치(100)와 제2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600)와 통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통신 네트워크(500)는 비상 통신 네트워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서버(60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데이터 저장 장치 또는 메모리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서버(600)는 데이터베이스를 액세스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읽을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는 서버(6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경보 장치(100)는 제1 송수신기(110), 메모리(또는 메모리 장치; 120), 배터리(130), 경보 발생 장치(140), 제2 송수신기(150), 및 컨트롤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들에 따라, 경보 장치(100)는 버튼(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30)가 경보 장치(100)의 배터리 홀더(미도시)에 장착(또는 삽입)되면, 배터리(130)로부터 출력된 작동 전압(또는 파워)은 컨트롤러(160)와 구성 요소들(예컨대, 110, 120, 150, 및 15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송수신기(110)는 900MHz 주파수 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게이트웨이(200)와 통신하거나, Z-Wave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200)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송수신기(110)가 상기 Z-Wave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경우, 경보 장치(100)는 버튼(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130)가 배터리 홀더에 장착되고, 버튼(170)이 눌려짐에 따라 배터리(130)로부터 출력된 작동 전압이 컨트롤러(160)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송수신기(150)는 제2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6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경보 장치 ID(Identification or identify)와, 경보 장치 (100)로부터 출력될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보 장치 타입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식별 정보는 서버(600)에 저장된 후 경보 장치(100)가 서버(600)로 데이터를 출력하면, 서버(600)는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경보 장치 (100)로부터 출력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데이터는 배터리 상태 정보, 킵얼라이브(keepalive) 메시지, 및 센서 상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상태 정보는 배터리(130)의 잔량을 의미할 수 있고, 킵얼라이브 메시지는 경보 장치(100)와 게이트웨이(200) 사이의 데이터 링크가 잘 작동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주고받는 메시지를 의미할 수 있고, 센서 상태 정보는 경보 장치(100)의 상태가 경보 발생 상태인지 경보 복구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서버(600)는 서버(600)에 저장된 데이터 식별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만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경보 발생 장치(140)는 LED(또는 램프) 또는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경보 발생 장치(140)는 컨트롤러(160)의 제어에 따라 LED를 통해 점멸 형태의 시각 경보를 발생시키거나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컨트롤러(160)는, 경보 장치(100)를 서버(600)에 등록(예컨대, 서버(600)가 경보 장치(1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등록)하거나, 경보 발생 장치(140)를 통해 경보를 발생하거나, 경보 발생 장치(140)에 의해 경보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해 각 구성 요소(110, 120, 130, 140, 및 150)를 제어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컨트롤러(220), RF 송수신기 (230), 메모리(240), LED(250), 및 배터리(또는 백업 배터리; 2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제1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600)와 통신할 수 있고, RF 송수신기(230)는 센서들(300-1~300-n)과 경보 장치(1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메모리(240)는 데이터 식별 정보와 경보 정책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경보 정책 테이블은, 경보 발생 조건과 경보 발생 방법을 포함하는 경보 정책을 관리하는 테이블이다. 상기 경보 발생 조건은 게이트웨이(200)와 통신할 수 있는 각 센서(300-1~300-n)로부터 출력될 각 감지 신호(SEN1~SENn)에 포함된 센서 상태를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할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이고, 상기 경보 발생 방법은 상기 센서 상태가 상기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할 때 사용자(예컨대, 관리자 단말기(700)의 사용자)에게 경보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경보 정책 테이블은 도 2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컨트롤러(220)는, 게이트웨이(200)의 작동 모드를 전환하거나 게이트웨이 (200)와 통신하는 각 센서(300-1~300-n)로부터 출력된 각 감지 신호(SEN1~SENn)가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인지 또는 경보를 복구(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각 구성요소(210, 230, 240, 250, 및 260)를 제어할 수 있다.
컨트롤러(220)는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SEN1~SENn)에 기초하여 경보 장치 (100)로 경보 발생 신호를 출력한 후 LED(250)가 점등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게이트웨이(200)로 공급되는 작동 전압(또는 파워)이 차단된 경우에도 게이트웨이(200)로 작동 전압이 계속 공급되도록 배터리(2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보 정책 테이블을 나타낸다. 경보 정책 테이블(SPT)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경보 발생 조건과 경보 발생 방법을 포함하는 경보 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경보 정책 테이블(SPT)은 각 센서(300-1~300-n)마다(또는 센서 ID(63)마다) 센서 상태(64)와 제한 값(65)을 설정한 룰 ID(62)를 정의하고, 적어도 하나의 룰 ID(62)의 조합을 이용하여 경보 ID(61)를 정의하고, 경보 ID(61)마다 경보 발생 규칙(66)과 이동 통신망 사용 여부(67)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경보 ID(SID1)는, 사람의 움직임이 감지됨과 동시에 출입문이 열렸을 때 경보 장치(100)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설정되고, 인터넷(또는 Wi-Fi 네트워크)이 끊겼을 때 이동 통신망을 통해 상기 경보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설정된 경보 정책이다.
이 경우 제1 경보 ID(SID1)는 동작 감지 센서(센서 ID: 0001)의 센서 상태 (64)를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한 상태(0N)로 설정한 제1 룰 ID(RULE1)와, 문열림 감지 센서(센서 ID: 0002)의 센서 상태(64)를 문이 열림을 감지한 상태(0PEN)로 설정한 제2 룰 ID(RULE2)로 정의된다. 제1 룰 ID(RULE1)의 센서 ID(0001)와 센서 상태 (ON), 제2 룰 ID(RULE2)의 센서 ID(0002)와 센서 상태(OPEN)는 경보 발생 조건에 해당한다. 각 센서(300-1~300-n)는 센서 ID에 의해 식별 또는 구별될 수 있다.
경보 발생 규칙(66)은 제1 경보 ID(SID1)에 해당하는 경보 발생 조건이 만족되면, 경보 장치(100)가 '1'을 수신할 때 경보를 발생하고(YES), 경보 장치(100)가 '0'을 수신할 때 경보를 멈추도록(NO) 설정된다. 이동 통신망 사용 여부(67)는 제1 룰 ID(RULE1)를 이동 통신망을 사용하여 서버(600)로 전송하도록 설정(설정은 O)된다. 경보 발생 규칙(66)과 이동 통신망 사용 여부(67)는 경보 발생 방법에 해당한다.
예컨대, 제2 경보 ID(SID2)는 창문이 열렸을 때 경보 장치(100)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설정되고, 인터넷이 끊겼을 때 이동 통신망을 통해서 상기 경보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설정된 경보 정책이다. 이 경우 제2 경보 ID(SID2)는 문열림 감지 센서(0003)의 센서 상태(64)를 문이 열림을 감지한 상태(0PEN)로 설정한 제3 룰 ID(RULE3)로 정의된다. 제3 룰 ID(RULE3)의 센서 ID(0003)와 센서 상태 (OPEN)는 경보 발생 조건에 해당한다. 센서 ID(0003)에 의해 정의되는 센서는 센서들(300-1~300-n)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
제2 경보 ID(SID2)의 경보 발생 방법은 제1 경보 ID(SID1)의 경보 발생 방법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예컨대, 제3 경보 ID(SID3)는 온도가 10도 이하일 때 경보 장치(100)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설정되고, 이동 통신망은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보 정책이다. 이 경우, 제3 경보 ID(SID3)는 온도 센서(0004)의 센서 상태(64)를 '2(이하)'로 설정하고, 제한 값(65)을 10도로 설정한 제4 룰 ID(RULE4)로 정의된다. 예컨대, 예컨대, 센서 상태(64)가 '2(이하)'로 설정되면, 제한 값(65)은 10도 이하로 설정됨을 의미할 수 있다.
제4 룰 ID (RULE4)의 센서 ID(0004), 센서 상태(2), 및 제한 값(10도)은 경보 발생 조건에 해당한다. 센서 ID(0004)에 해당하는 센서는 센서들(300-1~300-n)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
제3 경보 ID(SID3)의 경보 발생 규칙(66)은 제1경보 ID(SID1)와 동일하게 설정되나, 이동 통신망 사용 여부(67)는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X)된다. 이동 통신망 사용 여부(67)에서, "O"는 사용함을 의미하고, "X"는 사용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m 경보 ID(SIDm)는 온도가 30도 이상일 때 경보 장치(100)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설정하고, 이동 통신망은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된 경보 정책이다. 이 경우, 제m 경보 ID(SIDm)는 온도 센서(0005)의 센서 상태(64)를 '4(이상)'으로 설정하고, 제한 값(65)을 30도로 설정한 제5 룰 ID(RULE5)로 정의된다. 예컨대, 센서 상태(64)가 '4(이상)'으로 설정되면, 제한 값(65)은 30도 이상으로 설정됨을 의미한다.
제5 룰 ID(RULE5)의 센서 ID(0005), 센서 상태(4), 및 제한 값(30도)은 경보 발생 조건에 해당한다. 센서 ID(0005)에 해당하는 센서는 센서들(300-1~300-n)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 제m 경보 ID(SIDm)의 경보 발생 방법은 제3경보 ID(SID3)와 동일하게 설정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보 장치를 서버에 등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서버(600)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경보 장치 등록 요청(DREQ)을 제1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게이트웨이 (200)로 전송할 수 있다(S110). 제1통신 네트워크(400)와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경보 장치 등록 요청(DREQ)이 수신되면,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장치 등록 요청(DREQ)에 응답하여 게이트웨이(200)의 작동 모드를 무선 페어링 모드(PMOD)로 전환할 수 있다(S120).
경보 장치(100)에 배터리(130)로부터 출력된 작동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S130), 경보 장치(100)는 경보 장치(100)의 경보 장치 ID(DID)와, 경보 장치(100)로부터 출력될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보 장치 타입(TYPE)을 메모리(120)로부터 읽어오고(S140), 경보 장치 ID(DID)와 경보 장치 타입(TYPE)을 제1 송수신기(110)를 통해 게이트웨이(200)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S150).
무선 페어링 모드(PMOD)에서 작동하는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경보 장치 ID(DID)와 경보 장치 타입(TYPE)을 RF 송수신기(230)를 통해 수신하고, 경보 장치 ID(DID)와 경보 장치 타입(TYPE)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 (ACK)를 생성하고, 응답 신호(ACK)를 경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S160). 게이트웨이(200)는 응답 신호(ACK)를 경보 장치(100)로 전송한 후 무선 페어링 모드 (PMOD)를 해제할 수 있다(S170). 무선 페어링 모드(PMOD)에서,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장치(100)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장치 타입(TYPE)에 해당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DINF)를 게이트웨이(200)의 메모리(240)로부터 리드하고(S180), 경보 장치 ID (DID), 경보 장치 타입(TYPE), 및 데이터 식별 정보(DINF)를 통신 인터페이스(210)와 제1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S190).
서버(600)는 게이트웨이(200)로부터 전송된 경보 장치 ID(DID), 경보 장치 타입(TYPE), 및 데이터 식별 정보(DINF)를 수신하여 서버(600)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200).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보 장치에서 경보를 발생시키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서버(600)가 사용자(예컨대, 관리자 단말기(700)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경보 발생 조건과 경보 발생 방법을 관리자 단말기(7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경보 발생 조건과 상기 경보 발생 방법을 포함하는 경보 정책을 관리하기 위한 경보 정책 테이블(SPT)을 생성하고, 경보 정책 테이블(SPT)을 제1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할 수 있다(S210).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정책 테이블(SPT)을 통신 인터페이스 (210)를 통해 수신하고, 경보 정책 테이블(SPT)을 메모리(240)에 저장할 수 있다 (S220).
서버(600)는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경비 모드 요청(SREQ)을 제1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할 수 있다(S240). 게이트웨이(200)는 경비 모드 요청(SREQ)을 통신 인터페이스(210)를 통해 수신하고, 경비 모드 요청(SREQ)에 응답하여 게이트웨이(200)의 작동 모드를 경비 모드(SMOD)로 전환할 수 있다 (S250).
경비 모드(SMOD)의 게이트웨이(200)는 센서들(S300-1~300-n)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SEN1~SENn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SEN'이라 한다.)를 RF 송수신기(230)를 통해 무선으로 수신할 수 있다(S260). 게이트웨이(200)는 수신된 감지 신호(SEN)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ACK)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신호(ACK)를 센서들 (300-1~300-n) 중에서 해당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 전송할 수 있다(S270).
게이트웨이(200)는, 수신된 감지 신호(SEN)에 기초하여, 해당 센서(300-1~300-n)가 게이트웨이(200)에 등록된 센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80). 판단 결과, 해당 센서(300-1~300-n)가 등록된 센서라고 판단되면, 게이트웨이(200)는 센서 일반 정보(SINF)를 제1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S290). 그러나 판단 결과, 해당 센서(300-1~300-n)가 등록된 센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게이트웨이(200)는 해당 센서(S300-1~300-n)로부터 출력된 감지 신호 (SEN)를 무시할 수 있다.
센서 일반 정보(SINF)는 센서 ID, 센서 타입, 및 센서 상태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200)는 센서 일반 정보(SINF)를 서버(600)로 전송한 후, 게이트웨이(200)의 작동 모드가 경비 모드(SMOD)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10). 판단 결과, 게이트웨이(200)의 작동 모드가 경비 모드(SMOD)라고 판단되면,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게이트웨이(200)는 감지 신호(SEN)에 포함된 센서 ID(63), 센서 상태(64), 및/또는 필요에 따라 제한 값(65)을 이용하여 메모리(240)로부터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 경보 정책을 서치할 수 있다(S320).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 경보 정책이 경보 정책 테이블(SPT)에 존재하는 경우(S330의 YES), 게이트웨이(200)는 상기 경보 정책에 포함된 경보 발생 방법에 따라, 경보 장치(100)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지시하는 경보 발생 신호(ARM)를 RF 송수신기(230)를 통해 경보 장치(100)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S340).
예컨대, 센서들(300-1~300-n) 중에서 어느 하나에 해당하고 센서 ID(0001)를 갖는 동작 감지 센서의 센서 상태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한 상태(ON)이고, 센서들(300-1~300-n) 중에서 다른 하나에 해당하고 센서 ID(0002)를 갖는 문열림 감지 센서의 센서 상태가 출입문 열림을 감지한 상태(OPEN)이면,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 경보 정책에 경보 정책 테이블(SPT)에 존재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경보 정책에 포함된 경보 발생 방법에 따라, 경보 장치(100)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지시하는 경보 발생 신호(ARM='1')를 RF 송수신기(230)를 통해 경보 장치 (100)로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S340).
경보 장치(100)는 제1 송수신기(110)를 통해 수신된 경보 발생 신호(ARM)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ACK)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신호(ACK)를 제1 송수신기(110)를 통해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할 수 있다(S350). 경보 장치(100)는 생성된 응답 신호(ACK)를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한 후, 경보 발생 장치(140)를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S360).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응답 신호(ACK)에 응답하여 LED(250)를 점등할 수 있다(S370).
그러나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 경보 정책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S330의 NO), 게이트웨이(200)는 감지 신호(SEN)가 경보 복구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80). 예컨대, 센서 ID(000)를 갖는 동작 감지 센서의 센서 상태가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한 상태(ON)이고, 센서 ID(0002)를 갖는 문열림 감지 센서의 센서 상태가 출입문 열림을 감지한 상태(OPEN)에서 경보 장치(100)가 경보를 발생한 후, 상기 문열림 감지 센서의 센서 상태가 출입문 닫힘을 감지한 상태(CLOSE)인 경우, 게이트웨이(200)는 감지 신호(SEN)가 경보 복구 신호라고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감지 신호(SEN)가 경보 복구 신호인 경우, 게이트웨이(200)는 LED(250)를 소등할 수 있다(S390).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경보 장치를 이용하여 경보 발생을 알리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게이트웨이(200)가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 경보 정책에 해당하는 경보 ID를 메모리(240)로부터 추출하고(S410), 제1통신 네트워크(400)의 연결(예컨대, 인터넷 연결이 끊겼는지 여부)을 판단할 수 있다(S420).
판단 결과, 인터넷 연결이 끊기지 않았을 때, 게이트웨이(200)는 제1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경보 ID(SID)와, 경보 발생 신호(또는 경보 복구 신호)를 서버 (6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버(600)는 경보 장치(100)로부터 경보가 발생했음을 사용자(즉,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해 관리자 단말기(700)로 경보 발생 사실을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700)은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 모바일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판단 결과, 인터넷 연결이 끊겨서 게이트웨이(200)가 제1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경보 ID(SID)를 서버(600)로 전송할 수 없는 경우(S420의 YES),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정책에 포함된 경보 발생 방법에 따라 경보 ID(SID)를 제1통신 네트워크(400) 대신에 제2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할지를 판단할 수 있다(S440).
경보 ID(SID)를 제2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경우(S440의 YES),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ID(SID)를 제2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하기 위해 경보 ID(SID)를 경보 장치(100)로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S450). 예컨대, 도 2의 경보 ID(SID1)에 포함된 이동 통신망 사용 여부 (67)가 사용함을 지시하는 'O'라고 설정된 경우,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ID(SID1)를 제2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하기 위해 경보 ID(SID1)를 경보 장치(100)로 무선으로 출력할 수 있다(S450).
경보 장치(100)는 제1 송수신기(110)를 통해 수신된 경보 ID(SID)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ACK)를 생성하고, 생성된 응답 신호(ACK)를 제1 송수신기(110)를 통해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할 수 있다(S460). 경보 장치(100)는 경보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FLAG)를 생성하고(S270), 경보 ID(SID)와 플래그(FLAG)를 제2 송수신기(150)와 제2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S480). 여기서, 게이트웨이(200)는 적어도 하나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비트는 1과 0 중에서 어느 하나로 설정될 수 있다.
서버(600)는 경보 ID(SID)와 플래그(FLAG)를 제2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수신하고, 경보 ID(SID)와 플래그(FLAG)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S490). 서버(600)는 관리자 단말기(700)로 경보 발생 사실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1통신 네트워크(예컨대, ethernet 또는 Wi-Fi 네트워크: 400)에 장애가 발생하여 게이트웨이(200)가 제1통신 네트워크(400)를 통해 서버(600)와 통신할 수 없는 경우라도 게이트웨이(200)는 경보 장치(100)에 연결된 제2통신 네트워크(500)를 통해 경보 장치(100)로부터 경보가 발생했음을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 단말기(700)의 사용자는 경보 장치 (100)에서 경보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경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0; 경보 장치
200; 게이트웨이
300-1~300-n; 감지 센서들
400; 제1통신 네트워크
500; 제2통신 네트워크
600; 서버
7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13)

  1. 경보 장치에 있어서,
    게이트웨이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제1송수신기;
    메모리;
    배터리;
    경보 발생 장치;
    이동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무선통신할 수 있는 제2송수신기; 및
    상기 경보 장치에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작동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출력될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보 장치 타입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어오고, 상기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 타입을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무선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경보 발생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 발생 장치를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수신된 경보 ID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생성하고, 상기 경보 ID와 상기 플래그를 상기 제2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제2송수신기로 전송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경보 ID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출력될 센서 상태를 이용하여 정의한 경보 발생 조건에 대응하는 경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수신기는 900MHz 주파수 대역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하는 경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송수신기는 Z-Wave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고,
    상기 경보 장치는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버튼이 눌려짐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출력된 상기 작동 전압이 상기 컨트롤러로 공급되는 경보 장치.
  4.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부터 전송된 경보 장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로부터 전송된 상기 경보 장치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작동 모드를 무선 페어링 모드로 전환하는 컨트롤러;
    상기 무선 페어링 모드에서 경보 장치의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출력될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보 장치 타입을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제1송수신기;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 타입을 수신한 후 상기 무선 페어링 모드를 해제하고, 상기 경보 장치 타입에 해당하는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리드하고, 상기 경보 장치 ID, 상기 경보 장치 타입, 및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서버에 등록하기 위해 상기 경보 장치 ID, 상기 경보 장치 타입, 및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로 전송하는 게이트웨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서버로부터 경보 발생 조건을 포함하는 경보 정책을 관리하는 경보 정책 테이블을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경보 정책 테이블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게이트웨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통해 입력한 경비 모드 요청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경비 모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작동 모드를 경비 모드로 전환하고,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경보 정책 테이블에 포함된 상기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 경보 정책을 서치하고, 상기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 경보 정책이 상기 경보 정책 테이블에 존재하면, 상기 경보 정책 테이블에 포함된 경보 발생 방법에 따라 상기 경보 장치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지시하는 경보 발생 신호를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경보 장치로 출력하는 게이트웨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 경보 정책이 상기 경보 정책 테이블에 존재하면, 상기 경보 정책에 해당하는 경보 ID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인터넷을 통해 상기 경보 ID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경보 정책에 포함된 경보 발생 방법에 따라 상기 경보 ID를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경보 ID를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경보 ID를 상기 경보 장치로 출력하는 게이트웨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LED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경보 발생 신호를 상기 제1송수신기를 통해 상기 경보 장치로 출력한 후 상기 LED를 점등하는 게이트웨이.
  9. 경보 장치, 상기 경보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 있는 서버를 이용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경보 장치 등록 요청을 제1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경보 장치 등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작동 모드를 무선 페어링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경보 장치에 작동 전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경보 장치가 상기 경보 장치의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출력될 데이터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경보 장치 타입을 리드하고, 상기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 타입을 상기 게이트웨이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상기 경보 장치 ID와 상기 경보 장치 타입을 수신한 후, 상기 무선 페어링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경보 장치 타입에 해당하는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의 메모리로부터 리드하고, 상기 경보 장치 ID, 상기 경보 장치 타입, 및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는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상기 경보 장치 ID, 상기 경보 장치 타입, 및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경보 장치로부터 출력된 상기 데이터를 저장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는 배터리 상태 정보, 킵얼라이브 메시지, 및 센서 상태 정보 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경보 발생 조건과 경보 발생 방법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경보 발생 조건과 상기 경보 발생 방법을 포함하는 경보 정책을 관리하는 경보 정책 테이블을 생성하고, 상기 경보 정책 테이블을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경보 정책 테이블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보 발생 조건은 상기 게이트웨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출력될 센서 상태를 이용하여 경보를 발생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조건이고,
    상기 경보 발생 방법은 상기 센서 상태가 상기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할 때 상기 사용자에게 경보가 발생했음을 알리는 방법인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경비 모드 요청을 제1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경비 모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웨이의 작동 모드를 경비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경비 모드의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 경보 정책을 서치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 경보 정책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경보 정책에 포함된 상기 경보 발생 방법에 따라, 상기 경보 장치가 경보를 발생하도록 지시하는 경보 발생 신호를 상기 경보 장치로 무선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경보 발생 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경보 정책에 해당하는 경보 ID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제1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경보 ID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경보 정책에 포함된 상기 경보 발생 방법에 따라 상기 경보 ID를 제2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할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경보 ID를 상기 제2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기 위해 상기 경보 ID를 상기 경보 장치로 무선으로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경보 장치는 상기 경보 ID에 응답하여 상기 경보가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생성하고, 상기 경보 ID와 상기 플래그를 상기 제2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063881A 2017-05-24 2017-05-24 경보 장치, 상기 경보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및 이들을 이용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52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881A KR101852052B1 (ko) 2017-05-24 2017-05-24 경보 장치, 상기 경보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및 이들을 이용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881A KR101852052B1 (ko) 2017-05-24 2017-05-24 경보 장치, 상기 경보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및 이들을 이용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052B1 true KR101852052B1 (ko) 2018-04-27

Family

ID=6208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881A KR101852052B1 (ko) 2017-05-24 2017-05-24 경보 장치, 상기 경보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및 이들을 이용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05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404B1 (ko) 2006-04-21 2007-08-16 주식회사 옥타컴 저전력 센서 네트워크에서 심각한 이벤트를 감지하는시스템 및 그 장치
JP2013033322A (ja) 2011-08-01 2013-02-14 Hochiki Corp 警報連携システム、警報連携方法、電力スマートメータ及び警報器
JP2013235554A (ja) 2012-04-09 2013-11-21 Hochiki Corp 警報連携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404B1 (ko) 2006-04-21 2007-08-16 주식회사 옥타컴 저전력 센서 네트워크에서 심각한 이벤트를 감지하는시스템 및 그 장치
JP2013033322A (ja) 2011-08-01 2013-02-14 Hochiki Corp 警報連携システム、警報連携方法、電力スマートメータ及び警報器
JP2013235554A (ja) 2012-04-09 2013-11-21 Hochiki Corp 警報連携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13868B2 (en) Nurse call system with mobile device interface
JP4704790B2 (ja) 警備システム、警備装置及び警備方法
WO2015175081A1 (en) Emergency detection and alert device and system utiliz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2813983C (en) System and method to protect against local control failure using cloud-hosted control system back-up processing
RU2011126611A (ru) Система отслеживания мобильного тег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JP2015194943A (ja) 監視システム
US2023006363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hysical access control systems
KR100783712B1 (ko) 지그비를 이용한 도난 감지 시스템
JP2014186417A (ja) 警報システム
KR101852052B1 (ko) 경보 장치, 상기 경보 장치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및 이들을 이용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3509624A (ja) 周辺環境固有の状態および設備固有の状態を識別し、伝達するための警報装置
JPH10334380A (ja) 無線式の状態送信装置
JP6490961B2 (ja) 警報器および警報器システム
US20180041870A1 (en) Detection Using NFC Open Circuit
JP2007264913A (ja) 異常監視携帯端末及び異常監視装置
JP2018014044A (ja) 感知器および防災支援システム
JP2018125692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5723645B2 (ja) 移報出力器
JP2019074255A (ja) 冷蔵庫
WO2018154912A1 (ja) Rfidタグおよび検出器
JP201812477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5017177B2 (ja) 無線機システム
JP2018125695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812569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9118200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断理由告知方法、それに用いる携帯通信端末及び基地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