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646A - 광자 검출기 - Google Patents

광자 검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646A
KR20190067646A KR1020170167788A KR20170167788A KR20190067646A KR 20190067646 A KR20190067646 A KR 20190067646A KR 1020170167788 A KR1020170167788 A KR 1020170167788A KR 20170167788 A KR20170167788 A KR 20170167788A KR 20190067646 A KR20190067646 A KR 20190067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optical waveguide
region
nanowire
nano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8626B1 (ko
Inventor
이욱재
주정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67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626B1/ko
Priority to US16/135,908 priority patent/US10551244B2/en
Publication of KR20190067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6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4Optical or mechanical part supplementary adjustable parts
    • G01J1/0407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otherwise, e.g. manifolds, windows, holograms, gr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04Compact construction
    • G01J1/0209Monolithi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004Combinations of two or mor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1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 G02B6/12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of the optical waveguide type of the integrated circuit kind
    • G02B6/122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 G02B6/1226Basic optical elements, e.g. light-guiding paths involving surface plasmon inter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5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H01L31/035209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omprising a quantum structures
    • H01L31/035227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comprising a quantum structures the quantum structure being quantum wires, or nano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01J2001/4413Type
    • G01J2001/442Single-photon detection or photon c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01L31/101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60/00Superconducting devices
    • H10N6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60/84Switching means for devices switchable between superconducting and normal stat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al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자 검출기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입력 영역 및 검출 영역과, 상기 입력 영역 및 상기 검출 영역 사이의 변환 영역을 포함하는 광 도파로, 변환 영역의 광 도파로 상에 배치되는 나노 패턴 및 검출 영역의 광 도파로 상에 배치되는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되, 나노 패턴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자 검출기{Photon detector}
본 발명은 광자 검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는 광자 검출기에 관한 것이다.
광자 검출기는 빛의 최소 단위인 단일광자(single photon)까지 검출할 수 있는 초고감도 광학센서이다. 광자 검출기는 양자 광 집적회로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최근 양자 광 집적회로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새로운 광자검출기의 개발이나 또는 종래의 검출기의 검출효율을 높이려는 연구가 대학, 공공연구소, 산업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광자 검출기에는 애벌런치 광다이오드(Avalanche PhotoDiode; APD) 기반의 광자 검출기와 초전도 물질 기반의 광자 검출기가 있다. 초전도 물질 기반의 광자 검출기는 광 통신파장 영역에서 80% 이상의 검출 효율을 가질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고집적화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자 검출 효율이 향상된 광자 검출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자 검출기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입력 영역 및 검출 영역과, 상기 입력 영역 및 상기 검출 영역 사이의 변환 영역을 포함하는 광 도파로; 상기 변환 영역의 상기 광 도파로 상에 배치되는 나노 패턴; 및 상기 검출 영역의 상기 광 도파로 상에 배치되는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나노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나노 패턴은 상기 검출 영역과 인접한 일측 및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을 갖고,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까지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폭 보다 작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나노 패턴은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 패턴은 상기 광 도파로와 광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변환 영역은 상기 광 도파로의 입력 영역으로 입력된 광을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SPP: surface plasmon-polaritons)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 도파로 및 상기 나노 패턴 사이의 버퍼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버퍼층은 상기 광 도파로보다 굴절률이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버퍼층은 상기 광 도파로 및 상기 나노 패턴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나노 와이어는 초전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나노 와이어의 양 단부의 각각을 덮는 금속 패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나노 와이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제1 부분들 및 상기 제1 부분들을 연결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나노 패턴의 일단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 도파로는 상기 광 도파로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상기 일 측면과 대향하는 타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와이어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상면 상으로부터 상기 제2 돌출부의 상면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나노 와이어는 직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광 도파로는 연장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 영역은 상기 검출 영역으로부터 상기 변환 영역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나노 와이어의 일부가 상기 광 도파로 및 상기 나노 패턴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나노 와이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제1 부분들 및 상기 제1 부분들을 연결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제작이 용이하고, 광자 검출 효율이 증가될 수 있으며, 광자 검출 속도가 우수한 광자 검출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자 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다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자 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자 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자 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개략적인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 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자 검출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자 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선에 다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자 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자 검출기는 광 도파로(100), 나노 패턴(110) 및 나노 와이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광 도파로(100)는 제1 방향(D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광 도파로(100)는 제1 방향(D1)을 따라 배열된 입력 영역(IR), 변환 영역(CR) 및 검출 영역(DR)을 포함할 수 있다. 변환 영역(CR)은 입력 영역(IR) 및 검출 영역(DR)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광 도파로(100)는 제1 방향(D1)을 따라 광자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입력 영역(IR), 변환 영역(CR) 및 검출 영역(DR)이 광 도파로(100) 내의 광자의 진행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광 도파로(100)는 광 도파로(100)의 선단(front-surface, 100f)으로부터 후단(rear-surface, 100r)까지 일정한 폭(w1) 및 일정한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광 도파로(100)의 내부로 전송될 수 있는 광의 파장은 광 도파로(100)의 물질, 폭(w1) 및 높이(h1)와 관련될 수 있다. 광 도파로(100)는 실리콘(Si)을 포함할 수 있다. 광 도파로(100)는 300nm 내지 700nm의 폭(w1)을 가질 수 있다. 광 도파로(100)는 150nm 내지 300nm의 높이(h1)를 가질 수 있다. 이로써, 광 도파로(100)는 광 통신에 사용되는 파장대역의 광을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광 도파로(100)는 500nm 내지 1.7μm의 파장의 광을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 도파로(100)의 입력 영역(IR)은 외부로부터 광자를 수신하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예컨대, 광 도파로(100)의 선단(100f)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사각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광 도파로(100)의 선단(100f)은 편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광 도파로(100)의 선단(100f)에는 광 회로 또는 광 소자가 결합될 수 있다. 광 도파로(100)는 광 회로 또는 광 소자와 맞대기 결합(butt-coupling)되거나 또는 광 섬유를 통해 광 결합될 수 있다. 즉, 광 도파로(100)의 입력 영역(IR)은 광자 검출기 외부의 광 회로 또는 광 소자로부터 광자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노 패턴(110)이 변환 영역(CR)의 광 도파로(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나노 패턴(110)은 광 도파로(100)의 상면을 따라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나노 패턴(110)은 박막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노 패턴(110)의 두께(h2)는, 예컨대, 10nm 내지 50n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나노 패턴(110)은, 평면적 관점에서, 그를 가로지르는 슬릿(slit)이 형성된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나노 패턴(110)은 슬릿을 통해 광 도파로(100)를 노출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나노 패턴(110)은 제1 패턴(110a) 및 제2 패턴(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턴(110a) 및 제2 패턴(110b)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패턴(110a) 및 제2 패턴(110b)은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패턴(110a) 및 제2 패턴(110b)의 폭(w2)은 나노 패턴(110)의 일단(110f)으로부터 나노 패턴(110)의 타단(110r)에 이르기 까지 일정할 수 있다. 제1 패턴(110a) 및 제2 패턴(110b) 사이의 거리(d)는 제1 패턴(110a) 및 제2 패턴(110b)의 폭(w2)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패턴(110a) 및 제2 패턴(110b)의 폭(w2)은, 예컨대, 20nm 내지 350n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제1 패턴(110a) 및 제2 패턴(110b) 사이의 거리(d)는, 예컨대, 10nm 내지 100mn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나노 패턴(110)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나노 패턴(110)은 광학 상수(optical constant)의 실수부(real part)가 음수이면서, 허수부(imaginary part)가 작은 값을 갖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패턴(110)은, 예컨대,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패턴(110)은 광 도파로(100)와 광 결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광 도파로(100)의 입력 영역(IR)으로 입력된 광자는 나노 패턴(11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나노 패턴(110)은 광 도파로(100)의 입력 영역(IR)으로 입력된 광자를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SPP: surface plasmon-polaritons)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은 음의 유전 함수(dielectric function)를 갖는 물질과 양의 유전 함수를 갖는 물질의 계면을 따라 전파하는 자유전자가스(free electron gas)들의 집단적인 진동(collective oscillation)으로 정의될 수 있다. 나노 패턴(110)은 플라즈몬 폴라리톤을 제1 패턴(110a) 및 제2 패턴(110b)의 사이에 집중시킬 수 있다. 나노 패턴(110)은 입력 영역(IR)으로 입력된 광자를 플라즈몬 폴라리톤으로 변환하기 위한 적절한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나노 패턴(110)의 길이(l)는 100nm 내지 10μ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가 광 도파로(100)의 검출 영역(DR)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는 나노 패턴(110)과 인접하거나 또는 중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의 직경은 5nm 내지 40nm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나노 와이어(120)는 U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노 와이어(120)는 M자의 형상을 갖거나, 또는, 직선의 형상을 가질수도 있다. 본 예에서는, U자의 형상을 갖는 나노 와이어(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나노 와이어(120)는 제1 부분들(120a) 및 제2 부분(12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들(120a)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부분들(120a)은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부분들(120a)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분(120b)은 제1 부분들(120a)을 연결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부분(120b)은 나노 패턴(110)과 인접한 제1 부분들(120a)의 단부들의 각각을 연결할 수 있다. 제2 부분(120b)은 나노 패턴(110)의 후단(110r)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는 초전도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는, 예컨대, 질화니오비움(NbN), 니오비움주석(Nb3Sn), 니오비움게르마늄(Nb3Ge), 니오비움티타늄(NbTi), 붕화마그네슘(MgB2) 이트륨바륨구리산화물(YBCO: Yttrium barium copper oxide) 니오비움티타늄질화물(NbTi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노 와이어(120)는, 에컨대, 란타늄(La), 바륨(Ba), 구리(Cu), 산소(O)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는, 광자 검출을 위하여, 초전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광자 검출기는 냉각챔버(미도시)내에 제공될 수 있다. 냉각 챔버의 내부는 나노 와이어(120)가 초전도 상태를 달성할 수 있는 임계 온도 이하로 유지될 수 있다. 초전도 상태의 나노 와이어(120)는 나노 패턴(110)의 타단(110r)으로부터 출력된 광자 또는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을 흡수하여, 국소적으로 초전도 상태가 깨질 수 있다. 즉, 광자 또는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을 흡수한 나노 와이어(120)는 일시적으로 저항이 증가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광자 검출기는 나노 와이어(120)를 외부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금속 패드들(122)을 포함할 수 있다. 금속 패드들(122)은 나노 와이어(120)의 양 단부의 각각을 덮을 수 있다. 금속 패드들(122)은 예컨대, 구리(Cu)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버퍼층(102)이 광 도파로(100) 및 나노 패턴(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버퍼층(102)은 변환 영역(CR)의 광 도파로(100)의 상면을 컨포멀하게 덮을 수 있다. 버퍼층(102)은 광 도파로(100) 및 나노 패턴(110)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버퍼층(102)은 광 도파로(100) 보다 굴절률이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02)은, 예컨대, 실리콘 옥사이드(SiO2),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3N4)를 포함할 수 있다. 버퍼층(102)은 광 도파로(100)와 나노 패턴(110)의 광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버퍼층(102)은 광 도파로(100) 및 나노 패턴(110)의 계면에서 광이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으로 변환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버퍼층(102)은 입력 영역(IR)의 광 도파로(100)의 상면으로부터 검출 영역(DR)의 광 도파로의 상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버퍼층(102)은 광 도파로(100)의 상면을 전부 덮을 수 있다. 버퍼층(102)은, 검출 영역(DR)에서, 나노 와이어(120) 및 광 도파로(1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도파로(100)는 리지 도파로(ridge waveguide)일 수 있다. 달리 얘기하면, 광자 검출기는 기판(200) 및 절연층(2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도파로(100)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기판(200) 및 절연층(20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200)은 반도체 기판일 수 있다. 예컨대, 기판(200)은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층(202)은 기판(200) 보다 굴절률이 낮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200) 및 절연층(202)은 제1 방향(D1) 및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평탄면을 제공할 수 있다. 광 도파로는 기판(200) 및 절연층(202)의 평탄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된 광자 검출기의 동작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 도파로(100)의 입력 영역(IR)이 외부로부터 광자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자는 광 도파로(100)가 연장된 방향을 따라 변환 영역(CR)으로 진행할 수 있다. 광자는 광 도파로(100)의 입력 영역(IR)에서 도파로 모드로 진행할 수 있다.
도파로 모드의 광자는 변환 영역(CR)에서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으로 변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파로 모드의 광자는 변환 영역(CR)의 내부에서 나노 패턴(110)과 커플링 될 수 있다. 나노 패턴(110)과 커플링 된 도파로 모드의 광자는 변환 영역(CR) 내에서 제1 방향(D1)으로 진행함에 따라 나노 패턴(110) 내의 자유전자들을 진동시켜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을 발생시킬 수 있다.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은 도파로 모드의 광 세기에 비하여 수십 내지 수백배의 전자기파의 세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은 도파로 모드의 광에 비하여 작은 면적에 집중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은 나노 패턴(110)의 제1 패턴(110a) 및 제2 패턴(110b)의 사이에 집중될 수 있다.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은 나노 패턴(110)의 후단(110r)으로 출력될 수 있다.
초전도 상태로 제공된 나노 와이어(120)는 나노 패턴(110)의 후단(110r)으로부터 출력된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을 흡수하여 저항이 변화될 수 있다. 초전도체는 초전도체에 의해 운반되는 전류의 양, 초전도체의 온도 및 초전도체를 둘러싸고 있는 외부 전기장이 임계값으로 언급되는 소정의 값 이하에서 지속될 때에만 초전도 상태를 유지한다. 초전도 상태의 나노 와이어(120)는 광 도파로(100) 및 나노 패턴(110)으로부터 광자 및/또는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을 전달받아 초전도 상태에서 약간의 저항을 갖는 상태로 변화될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의 양단 사이의 저항변화는 금속 패드들(122)과 연결된 외부 소자(미도시)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변환 영역(CR) 및 변환 영역(CR) 내의 나노 패턴(110)이 광자를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됨에 따라, 광자의 검출 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나노 패턴(110)이 구비됨에 따라 나노 와이어(120)의 길이를 짧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나노 와이어(120)의 인덕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광자 검출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자 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중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광 도파로(100)는 제1 돌출부(104a) 및 제2 돌출부(10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04a)는 검출 영역(DR)의 광 도파로(100)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제2 돌출부(104b)는 검출 영역(DR)의 광 도파로(100)의 타 측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검출 영역(DR)은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자 검출기의 제1 방향(D1)의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는 제1 돌출부(104a)의 상면 상으로부터 제2 돌출부(104b)의 상면 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는 제2 방향(D2)을 따라 연장된 직선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의 단부들이 돌출부 상에 위치함에 따라, 금속 패드들(122) 또한 제1 돌출부(104a) 및 제2 돌출부(104b)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광 도파로(100)는 검출 영역(DR)의 후단에 형성된 연장 영역(E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검출 영역(DR)의 후단에 연장 영역(ER)이 형성됨에 따라 광자 검출기의 말단에서의 신호반사에 의한 노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 영역(ER)은 검출 영역(DR)을 사이에 두고 변환 영역(CR)과 이격될 수 있다. 연장 영역(ER)은 검출 영역(DR)과 멀어지는 방향(즉, 제1 방향(D1))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연장 영역(ER)의 제2 방향(D2)의 폭은 입력 영역(IR) 및 변환 영역(CR)의 제2 방향(D2)의 폭과 동일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광자 검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A 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설명의 간소화를 위하여 중복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나노 와이어(120)의 일부가 광 도파로(100) 및 상기 나노 패턴(1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달리 얘기하면, 나노 와이어(120) 및 나노 패턴(110)은 수직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노 와이어(120)의 제1 부분들(120a)은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노 패턴(110)에 삽입될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는 나노 패턴(110)의 타단(110r)에 삽입되어 그 일부가 나노 패턴(110)의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의 제2 부분(120b)은 나노 패턴(110)의 제1 패턴(110a)의 내부로부터 제2 패턴(110b)의 내부로 연장될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의 제2 부분(120b)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패턴(110a) 및 제2 패턴(110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나노 와이어(120)의 제2 부분(120b)의 적어도 일부는 제1 패턴(110a) 및 제2 패턴(110b)에 의해 노출될 수 있다. 나노 와이어(120) 및 나노 패턴(110)이 수직적으로 중첩됨에 따라, 광자 검출기의 제1 방향(D1)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6)

  1.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입력 영역 및 검출 영역과, 상기 입력 영역 및 상기 검출 영역 사이의 변환 영역을 포함하는 광 도파로;
    상기 변환 영역의 상기 광 도파로 상에 배치되는 나노 패턴; 및
    상기 검출 영역의 상기 광 도파로 상에 배치되는 나노 와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나노 패턴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패턴 및 제2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광자 검출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패턴은 상기 검출 영역과 인접한 일측 및 상기 일측에 대향하는 타측을 갖고,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은 상기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측까지 일정한 폭을 갖는 광자 검출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광자 검출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폭 보다 작은 광자 검출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패턴은 금속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 패턴은 상기 광 도파로와 광 결합되는 광자 검출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영역은 상기 광 도파로의 입력 영역으로 입력된 광을 표면 플라즈몬 폴라리톤(SPP: surface plasmon-polaritons)으로 변환시키도록 구성되는 광자 검출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도파로 및 상기 나노 패턴 사이의 버퍼층을 더 포함하되,
    상기 버퍼층은 상기 광 도파로보다 굴절률이 낮은 물질을 포함하는 광자 검출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층은 상기 광 도파로 및 상기 나노 패턴과 직접 접촉하는 광자 검출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와이어는 초전도 물질을 포함하는 광자 검출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와이어의 양 단부의 각각을 덮는 금속 패드들을 더 포함하는 광자 검출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와이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제1 부분들 및 상기 제1 부분들을 연결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나노 패턴의 일단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광자 검출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도파로는 상기 광 도파로의 일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상기 일 측면과 대향하는 타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 와이어는 상기 제1 돌출부의 상면 상으로부터 상기 제2 돌출부의 상면 상으로 연장되는 광자 검출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와이어는 직선의 형태를 갖는 광자 검출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도파로는 연장 영역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장 영역은 상기 검출 영역으로부터 상기 변환 영역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광자 검출기.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와이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 도파로 및 상기 나노 패턴의 사이에 위치하는 광자 검출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와이어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이격되는 제1 부분들 및 상기 제1 부분들을 연결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패턴 및 상기 제2 패턴의 사이에 위치하는 광자 검출기.
KR1020170167788A 2017-12-07 2017-12-07 광자 검출기 KR102298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788A KR102298626B1 (ko) 2017-12-07 2017-12-07 광자 검출기
US16/135,908 US10551244B2 (en) 2017-12-07 2018-09-19 Photon det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788A KR102298626B1 (ko) 2017-12-07 2017-12-07 광자 검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646A true KR20190067646A (ko) 2019-06-17
KR102298626B1 KR102298626B1 (ko) 2021-09-07

Family

ID=6673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788A KR102298626B1 (ko) 2017-12-07 2017-12-07 광자 검출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51244B2 (ko)
KR (1) KR1022986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45044B2 (en) 2020-01-14 2022-02-08 Hoon Kim Plasmonic field-enhanced photodetector and image sensor
TWI753759B (zh) 2020-02-03 2022-01-21 美商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具有整合化氮化鋁種晶或波導層的超導奈米線單光子偵測器
TWI780579B (zh) * 2020-02-03 2022-10-11 美商應用材料股份有限公司 具有整合化氮化鋁晶種或波導層的超導奈米線單光子偵測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2302A1 (en) * 2005-04-25 2008-11-06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Ultra-Sensitive Optical Detector With High Time Resolution
US20130051748A1 (en) * 2010-03-25 2013-02-28 Technische Universiteit Delft Plasmonic waveguides, circuits, and systems
US20130193546A1 (en) * 2010-09-08 2013-08-01 The University Court Of The University Of Edinburg Single photon avalanche diode for cmos circui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2464B1 (en) 2000-07-28 2004-11-02 Credence Systems Corporation Superconducting single photon detector
US8212235B2 (en) * 2007-04-25 2012-07-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anowire-based opto-electronic device
US9500519B2 (en) 2012-12-03 2016-11-22 Yale University Superconducting single photon detec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72302A1 (en) * 2005-04-25 2008-11-06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Ultra-Sensitive Optical Detector With High Time Resolution
US20130051748A1 (en) * 2010-03-25 2013-02-28 Technische Universiteit Delft Plasmonic waveguides, circuits, and systems
US20130193546A1 (en) * 2010-09-08 2013-08-01 The University Court Of The University Of Edinburg Single photon avalanche diode for cmos circuits

Non-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rnes WL, Dereux A, Ebbesen TW . Surface plasmon subwavelength optics . Nature 2003 *
Hong Wei 외. Plasmon Waveguiding in Nanowires, 2018 공개 *
K. Leosson. Long-range surface plasmon polariton nanowire waveguides for device applications, 2006 공개 *
Maier SA, Kik PG, Atwater HA, Meltzer S, Harel E et al . Local detection of electromagnetic energy transport below the diffraction limit in metal nanoparticle plasmon waveguides . Nat Mater 2003 *
Yurui Fang & Mengtao Sun. Nanoplasmonic waveguides: towards applications in integrated nanophotonic circuits, 2015. 6. 공개 *
Zhanghua Han and Serge. Radiation guiding with surface plasmon polaritons, 2012 공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51244B2 (en) 2020-02-04
KR102298626B1 (ko) 2021-09-07
US20190178709A1 (en)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9978B2 (ja) 光検出器が集積可能な光結合装置
KR100853067B1 (ko) 포토 다이오드와 그 제조 방법
WO2020103395A1 (zh) 一种波导型光电探测器及其制造方法
KR20190067646A (ko) 광자 검출기
US20090020701A1 (en) High time-resolution ultrasensitive optical detector, using grating coupling
KR100532281B1 (ko) 면굴절 입사형 수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06522465A (ja) 薄膜シリコン・オン・インシュレータ(soi)プラットフォーム上に集積した多結晶ゲルマニウム・ベースの導波路検出器
JP5470654B2 (ja) 超伝導単一光子検出器の実装方法
CN209117912U (zh) 一种硅光波导端面耦合器
CN109324372A (zh) 一种硅光波导端面耦合器
CN102916071B (zh) 一种光电二极管及其制作方法
JP2000223732A (ja) 共振型光検出器
CN106024921A (zh) 悬挂型可见光及近红外波段硅基光波导集成光电探测器
CN112635589B (zh) 基于氮化硅脊型波导的嵌入型石墨烯光探测器及制作方法
CN214750921U (zh) 一种基于tm0模吸收的超导纳米线单光子探测器
CN114400267B (zh) 集成有双吸收区的光电探测器及其制备方法
CN219286422U (zh) 一种硅基波导光电探测器
CN113093334A (zh) 一种基于tm0模吸收的超导纳米线单光子探测器及探测方法
CN114400266B (zh) 一种集成有双吸收区的光电探测器及其制备方法
CN113937173B (zh) 光栅耦合型Ge系近红外波导探测器及其制备方法
CN115047563B (zh) 集成波导的光学组件
WO2023108857A1 (zh) 光电探测器
CN112201707B (zh) 一种光栅结构的硅基全硅表面吸收探测器及其制备方法
JP2004158763A (ja) 半導体受光素子
WO2020240689A1 (ja) 光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