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189A -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189A
KR20190067189A KR1020197011919A KR20197011919A KR20190067189A KR 20190067189 A KR20190067189 A KR 20190067189A KR 1020197011919 A KR1020197011919 A KR 1020197011919A KR 20197011919 A KR20197011919 A KR 20197011919A KR 20190067189 A KR20190067189 A KR 201900671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r display
curved
display
central
bez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2760B1 (ko
Inventor
시에드 에스 아잠
움베르토 엠 포사티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ublication of KR20190067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06F1/182Enclosures with special features, e.g. for use in industrial environments; grounding or shielding against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RFI] or electromagnetical interference [EM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76Architectures of general purpose stored program compu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Abstract

예시적인 구현예에서,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 및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좌측부 및 우측부에 베젤이 없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단일의 베젤 프리 측부와,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거나 동일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한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단일의 베젤 프리 측부는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와 연통하여,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 및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가 컴퓨팅 장치에 대한 단일 디스플레이로 나타난다.

Description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모니터는 비디오, 그래픽 및 문서를 표시(display)하는데 사용된다. 생산성이 높아짐에 따라 더 많은 사용자가 더 많은 문서, 이미지 및 정보를 동시에 보기 위해 모니터 상에 더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더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수년간 모니터의 크기가 커졌다. 대안적으로, 일부 사용자는 더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평면 모니터를 나란히 배치할 수도 있다.
게다가, 와이드스크린 모니터 및 울트라와이드스크린 모니터는 인기를 얻었고, 추가의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공해야 했다. 스크린 크기가 커짐에 따라, 더 큰 모니터 및 와이드스크린 모니터는 사용자가 더 큰 화면을 보도록 구부러질 수도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예시적인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정면도의 블록도,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인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평면도의 블록도,
도 5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예시적인 연결 메커니즘의 블록도,
도 6은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상의 베젤 버튼의 기능을 재할당(re-assign)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의 블록도.
본 개시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모니터는 더 큰 시각 영역(viewing area)을 제공하고 사용자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스크린 크기가 커졌다. 더 많은 화면을 보기 위해, 더 큰 모니터는 사용자가 자신의 주변 시야를 사용하게 하도록 구부러진다. 단일 곡면 모니터는 이 모니터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단일 기판의 크기에 의해 제한된 일정량의 곡률을 갖는다. 게다가, 단일 곡면 모니터는 모니터의 양측에 일정한 곡면을 갖는다. 또한, 사용자가 나란히 배치된 모니터 구성을 선호하는 경우에 시각 영역을 확대하기 위해 2개의 곡면 모니터를 결합하는 것은 어려울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는 사용자 구성에서 더 많은 유연성을 허용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편평할 수도 있고,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일측 또는 양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 및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독립형 모니터로 작동할 수 있거나, 단일의 대형 모니터로 나타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추가될 추가의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를 허용하도록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에 결합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개시의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와,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 상의 곡률의 양을 커스터마이징(customize)하게 하는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게다가,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단부에 단일의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도 있다. 그 결과, 단일의 재고 관리 코드(stock keeping unit; SKU) 번호를 갖는 단일 부품이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좌측 및 우측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단일의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180도 회전할 수 있다. 추가의 구현예에 있어서, 상이한 곡률의 양을 갖는 상이한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소정량의 곡률을 갖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커스터마이징하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는 또한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상의 버튼(예를 들면, 물리적 베젤 버튼 또는 가상의 터치 버튼)의 기능을 재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베젤 버튼의 기능의 순서(order) 또는 시퀀스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가 180도 회전한 후에도 좌측 및 우측 모두에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고, 다른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와 같이 대향측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구현예에 있어서,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은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 및 적어도 하나의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를 포함한다.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 및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는 점에서 "모듈형"이다. 다시 말해서,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 및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단일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독립적인 모니터로서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거나 함께 결합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모듈형"이다. 다른 말로 하면,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 및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단일 기판 또는 단일 디스플레이 내의 별개의 디스플레이 영역이 아니다. 오히려,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 및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결합되거나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독립적인 장치이다. 다시 말해서,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 및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각자의 디스플레이를 형성하기 위해 2개의 별개의 기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제조된다.
일례에서,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는 상측부(106) 및 하측부(108) 상에 베젤을 포함한다.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는 좌측부(122) 및 우측부(124) 상에 베젤이 없다. 다시 말해서,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의 스크린 또는 시각 영역은 좌측부(122)의 에지로부터 우측부(124)의 에지까지 걸쳐 있을 수도 있다.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는 스탠드(stand)(110)에 유지되거나 장착될 수도 있다.
일례에서,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단일의 베젤 프리(bezel free) 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상측부(112), 하측부(116) 및 단일 측부(114) 상에 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의 디스플레이 영역(118)은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의 디스플레이 영역(120)보다 작거나 동일할 수도 있다. 더 작은 디스플레이 영역(118)은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가 곡선형 디스플레이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단일 기판으로 가능한 것보다 더 많은 곡률을 갖게 한다.
일례에서,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의 베젤 프리 측부는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의 좌측부(122) 또는 우측부(124)와 연통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단일의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가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양측부에 사용될 수도 있다. 그 결과, 단일의 재고 관리 코드(SKU) 번호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에 사용될 수도 있고, 이는 제조 비용 및 재고 비용을 낮게 유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의 좌측부(122)와 연통하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의 베젤 프리 측부를 도시한다. 특히,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와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 사이에는 베젤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 결과, 디스플레이 영역(118) 및 디스플레이 영역(120)은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일부인 단일의 연속 스크린으로 나타난다.
일례에서,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전기적 연결을 통해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의 좌측부(122)와 연통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 및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는 물리적인 전기적 연결 또는 무선 연결(예를 들면, Bluetooth®, WiFi, 적외선 등)을 통해 데이터(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도 2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복수의 재구성가능한 버튼은 물리적 버튼일 수도 있고, 또는 가상의 버튼(예를 들면, 베젤(114) 상의 터치 영역, 디스플레이 영역(118) 내의 터치 영역 등)일 수도 있다.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208)은 베젤(114)의 대략 중앙에 위치될 수도 있다. 4개의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이 도 2에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개수의 재구성가능한 버튼이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게다가, 베젤 버튼은 조이스틱(joystick) 또는 회전가능한 버튼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118)은 180도 회전될 수도 있다. 그 결과,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의 좌측부(122) 또는 우측부(124) 상에 위치될 수도 있다.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을 베젤(114)의 대략 중앙에 위치시킴으로써,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은 2개의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가 좌측부(122) 및 우측부(124)에 결합될 때 양측부 상에 대칭으로 나타난다.
일례에서,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은 상이한 기능을 각각 수행하고 자동으로 재구성가능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디스플레이 영역(118)이 180도 회전되어 우측부(124) 상에 위치될 때,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의 순서 또한 180도 뒤집힌다. 따라서, 재구성가능한 버튼(208)은 맨 위에 있고 재구성가능한 버튼(202)은 맨 아래에 있다. 사용자는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에 대한 기능의 특정 시퀀스에 익숙해질 수도 있다.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이 재구성가능하지 않는다면, 사용자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가 180도 회전될 때 어느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이 어느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혼란스러워질 수도 있다.
예시를 위해, 재구성가능한 버튼(202)은 전원 버튼일 수도 있고, 재구성가능한 버튼(204)은 메뉴 버튼일 수도 있고, 재구성가능한 버튼(206)은 위로 이동(up navigation) 버튼일 수 있으며, 재구성가능한 버튼(208)은 아래로 이동(down navigation) 버튼일 수도 있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가 180도 회전되어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의 우측부(124)에 연결될 때,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은 기능의 소정 시퀀스에 따라 기능을 수행하도록 자동으로 재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제, 맨 위에 있는 재구성가능한 버튼(208)은 전원 버튼으로 재구성될 수도 있다. 이제 맨 위에서 2번째인 재구성가능한 버튼(206)은 메뉴 버튼으로 재구성될 수도 있다. 이제 맨 아래에서 2번째인 재구성가능한 버튼(204)은 위로 이동 버튼으로 재구성될 수도 있다. 현재 맨 아래 버튼인 재구성가능한 버튼(202)은 아래로 이동 버튼으로 재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은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가 180도 회전될 때 소정 기능의 시퀀스를 유지하도록 자동으로 재구성될 수도 있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또한 전기적 커넥터(2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전기적 커넥터(210)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와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 사이에서 전력 및 데이터의 전송을 제공하는 범용 직렬 버스(USB) 커넥터일 수도 있다. 그 결과,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가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100)의 일부일 때,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도 3에 도시되고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로부터 전력을 끌어올 수도 있거나, (도 5에 도시되고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전력 출력부(power outlet)로부터 직접 전력을 끌어와서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에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디스플레이 영역(118) 뒤에 가상선으로 도시 된 물리적 커넥터(2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커넥터(212)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의 하우징의 배면(back side)에 결합되거나 그 일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리적 커넥터(212)는 억지 끼워맞춤부(interference fit), 스냅 끼워맞춤부, 파스너(예를 들면, 나사, 볼트 등), 또는 스프링 클램프와 같은,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 상의 대응하는 물리적 커넥터와 정합하는 기계적인 커넥터일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물리적 커넥터(212)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되고 이하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다른 장착 장치와 결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에 물리적으로 연결될 때 스탠드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가 별도의 모니터로서 작동될 때,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또한 각각의 스탠드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 3은 예시적인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의 정면도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은 좌측부(122)와 연통하는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와,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의 우측부(124)와 연통하는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를 도시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는 좌측부(122) 및 우측부(124) 상에 베젤이 없다.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는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의 베젤 프리 좌측부(122) 및 베젤 프리 우측부(124)와 각각 연통하는 단일의 베젤 프리 측부를 각각 구비한다.
특히,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는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와 동일하지만, (화살표(302)로 도시된 바와 같이) 페이지 내로 들어가는 축을 중심으로 180도 회전된다. 다른 말로 하면,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는 상기 논의된 바와 같이 동일한 SKU 번호를 공유한다. 회전은 또한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에 의해 보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의 순서, 또는 시퀀스는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에 비해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 상에서 뒤집혀진다.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 상의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지만, 어느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또는 104-2)가 사용 중인(active)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208)을 갖는지에 따라, 상이한 버튼으로 할당될 수도 있다. 이하에 논의된 또다른 예에서,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104-2) 모두 상의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은 사용될 수 있고 상이한 기능이 할당될 수도 있다. 또한,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이 회전에도 불구하고 서로 거울상(mirror image)으로 나타나도록,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은 베젤(114) 상에 위치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어느 측부의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이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에서 사용될지를 사전에 규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우측부에 사용 중인 버튼이 있는 것을 선호할 수도 있다. 그 결과,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의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이 사용될 수 있고,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의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이 사용정지(deactivate)될 수도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사용자는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에 새로운 기능을 할당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의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은 전원 버튼, 메뉴 버튼, 위로 이동 버튼 및 아래로 이동 버튼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그 후에, 사용자는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를 추가할 수도 있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또는 104-2) 중 하나의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을 사용정지하는 대신, 사용자는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의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에 대한 새로운 기능을 사전에 규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의 재구성가능한 버튼(202, 204, 206 및 208)은 콘트라스트(contrast) 조정, 밝기 조정, 색 조정 및 입력 선택(input selection)으로 각각 설정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 및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의 각각의 디스플레이 영역(118 및 120)은 컴퓨팅 장치(310)에 대한 단일 디스플레이로 나타날 수도 있다.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 및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를 포함하는 3개의 별개의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조합임에도 불구하고, 컴퓨팅 장치(310)에 대한 단일의 연결부(312)가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을 작동시키는데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일 구현예에서,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는 (가상선으로 도시된)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의 대응하는 전기적 리셉터클(220)과 정합되는 전기적 커넥터(210)를 통해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는 전기적 연결을 검출하고, 확장형 디스플레이 식별 데이터(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파일을 수정하여,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300) 전체의 치수에 대응할 수도 있다. EDID 파일은 연결부(312)를 통해 컴퓨팅 장치(310)로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310)는 그 다음에,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300) 전체의 치수에 대응하는 비디오 데이터를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에 전송할 수도 있다.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는 각각의 전기적 커넥터(210)를 통해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 및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 내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스칼라 칩(scalar chip), 타이밍 컨트롤러 등)는 비디오 데이터를 동기화(synchronize)하고, 비디오 데이터를,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 및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의 각각의 디스플레이(118, 120)를 가로지르는 단일의 연속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기는 일례라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컴퓨팅 장치(310)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또는 104-2)에 연결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310)는 연결된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또는 104-2)에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비디오 데이터는 그 다음에, 각각의 전기적 커넥터(210)를 통해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와 나머지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또는 104-2)로 전송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서, 단일의 스탠드(110)는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의 각각의 물리적 연결부(212)는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의 대응하는 물리적 연결부(214)에 연결될 수도 있다. 게다가,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는 전력 출력부(252)로의 전기적 연결부(250)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히,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는 전력 출력부(252)에 대한 별개의 전기적 연결부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오히려,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는 각각의 전기적 커넥터(210)를 통해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에 의해 전력이 공급될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구현예에서, 전력 출력부(252)로의 전력 또는 데이터 연결부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또는 104-2) 중 하나에 있을 수도 있다.
도 4는 예시적인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본 평면도는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의 곡률(402) 및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의 곡률(404)을 설명하는 것을 돕는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104-2)의 모듈형 디자인으로 인해,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의 더 큰 전체 디스플레이 영역을 생성하기 위해 더 작은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104-2)의 더 작은 기판에 의해서, 곡률(402 및 404)의 양은 단일 기판 곡선형 모니터보다 더 클 수 있다.
일례에서, 곡률(402)과 곡률(404)은 똑같거나 서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상이한 곡률의 양을 갖는 다양한 상이한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가 설계되어 채용(sold)될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에게 더 많은 커스터마이징 옵션(customization option)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용가능한 작업 공간에 기초하여, 사용자는 책상의 모서리 또는 벽으로 인해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의 좌측부에 더 많은 곡률을 갖기를 원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300)의 우측부에 더 작은 곡률을 원할 수도 있다. 그 결과, 일부 구현예에서 곡률(402)은 곡률(404)과 상이할 수도 있다.
도 5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의 예시적인 연결 메커니즘(502)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 또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 중 어느 하나는 전력 출력부로부터 전력을 직접 수신하고 스탠드에 의해 유지될 수도 있다. 도 5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가 전원 연결부(power connection)(550)를 통해 전원(예를 들면, 벽면 출력부)(552)에 직접 연결되는 일례를 나타낸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104-2)는 각자의 스탠드(110-1 및 110-2)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서,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104-2)의 물리적 커넥터(212)는 (이하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 메커니즘(502)의 대향 단부(508)에 결합될 수도 있다.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1)는 또한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2)가 연결 메커니즘(502) 상에 장착되게 하는 물리적 커넥터(2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례에서, 물리적 커넥터(214)는 스프링 장착 클립(spring loaded clip), 억지 끼워맞춤부 등과 같은 기계적인 커플링부일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연결 메커니즘(502)은 (예를 들면, VESA 마운트(mount)를 위해 사용된 스페이싱(spacing)에 대응하는) 장착 구멍을 구비할 수도 있고, 파스너(예를 들면, 나사)는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2)를 연결 메커니즘(502)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서, 연결 메커니즘(502)은 동심 슬라이딩 바아(bar)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메커니즘(502)은 외부 가이드(504) 및 내부 슬라이딩 바아(506)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내부 슬라이딩 바아(506)는 화살표(510)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추가의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2)를 사용하여 편평한 표면적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은 처음에 도 3에 도시된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300)과 유사하게 보일 수도 있다. 나중에, 사용자는 넓은 디스플레이 영역 또는 스크린 크기를 원할 수도 있다. 따라서, 더 큰 모니터를 구입하는 대신에, 사용자는 증분 비용(incremental cost)으로 다른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2)를 간단히 구매할 수도 있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는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1)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연결 메커니즘(502)은 내부 슬라이딩 바아(506)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수평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이어서,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2)는 연결 메커니즘(502) 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2) 및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1)가 서로 인접할 때까지, 연결 메커니즘(502)은 수평으로 가압될 수도 있다.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2)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 및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은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500)의 새로운 치수를 갖는 업데이트된 EDID 파일을 호스트 장치에 전송하기 위해 재시작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다른 구현예에서,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1) 및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2) 모두가 제거될 수도 있다. 그 결과,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1)는 임의의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 없이,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2)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102) 및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로 다양한 상이한 구성이 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예는 사용자에 대한 최대 커스터마이징을 제공하는 충분한(fully)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스크린 크기 또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곡률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양측부에 대한 단일의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가 채용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상이한 곡률의 양을 갖는 일련의 상이한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대향 측부에 상이한 곡률의 양을 갖게 하도록 채용될 수 있다.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단일의 모듈형 디스플레이가 전력을 수신하고 호스트 장치에 연결되게 하는 것에 의해 깨끗한 외관(clean look)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자인은 다양한 모듈형 디스플레이로부터 호스트 장치로 그리고 전력을 위해 벽면 출력부로 이어지는 와이어의 혼란(clutter)을 회피한다.
도 6은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상의 버튼의 기능을 재할당하기 위한 예시적인 방법(600)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일례에서, 방법(600)은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104)는 프로세서 및 비임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비임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가 방법(600)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instruction)을 저장할 수도 있다.
블록 602에서, 방법(600)이 시작된다. 블록 604에서, 방법(600)은 복수의 재구성가능한 버튼의 각각에 대해 기능의 소정의 시퀀스를 결정한다. 버튼은 물리적 베젤 버튼 또는 가상의 버튼(예를 들면, 기능과 연관되는 베젤 상의 규정된 터치 영역)인 재구성가능한 버튼일 수도 있다. 소정의 시퀀스는 제조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도 있다. 기능은 전원, 메뉴, 이동 버튼(navigation button)(예를 들면, 위로, 아래로, 좌측, 우측) 등과 같은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블록 606에서, 방법(600)은 복수의 재구성가능한 버튼의 배향을 결정한다. 일례에서,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배향을 결정하는 가속도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에서,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에 대한 전기적 연결에 의해 배향이 결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가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우측부에 연결될 때,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전기적 커넥터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에게 그것이 우측 배향임을 통지할 수도 있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가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좌측부에 연결될 때,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전기적 커넥터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에게 그것이 좌측 배향임을 통지할 수도 있다.
블록 608에서, 방법(600)은 복수의 재구성가능한 버튼의 배향에 기초하여, 기능의 소정의 시퀀스로 복수의 재구성가능한 버튼 각각에 기능을 할당한다. 예를 들어, 재구성가능한 버튼의 소정의 시퀀스가 전원, 메뉴, 위로 이동(navigate up) 및 아래로 이동이면, 방법(600)은 재구성가능한 버튼의 기능을, 전원, 메뉴, 위로 이동 및 아래로 이동의 소정의 시퀀스로 할당할 수도 있다.
일례에서, 방법(600)은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배향을 계속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가 대향 측부 상에 위치되도록 180도 회전될 때, 블록 606, 608이 반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구성가능한 버튼의 순서가 뒤집혀지더라도, 재구성가능한 버튼의 기능을 전원, 메뉴, 위로 이동 및 아래로 이동의 소정의 시퀀스로 다시 재할당될 수도 있다. 블록 610에서, 방법(600)은 종료한다.
상기 개시된 및 다른 특징 및 기능의 변형예 또는 그 대안예가 많은 다른 상이한 시스템 또는 적용예에 결합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또한 의도되는 다양한 현재 뜻밖의 또는 예상하지 못한 대안, 변경, 변형 또는 개선이 차후에 당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Claims (15)

  1.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좌측부 및 우측부에 베젤이 없는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와,
    단일의 베젤 프리 측부와,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거나 동일한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로서,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 및 상기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가 컴퓨팅 장치에 대한 단일 디스플레이로서 나타나도록, 상기 단일의 베젤 프리 측부는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좌측부 또는 우측부와 연통하는, 상기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좌측부와 연통하는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와,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우측부와 연통하는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와 동일하지만 180도 회전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각각은 각자의 스탠드에 결합되고,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에, 각자의 전기적 연결부 및 각자의 물리적 연결부를 거쳐서 결합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각자의 전기적 연결부를 통해 상기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스탠드에 결합되고, 상기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전기적 연결부 및 물리적 연결부를 통해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에 결합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전기적 연결부를 통해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전원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재구성가능한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재구성가능한 버튼은 상기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가 180도 회전될 때 기능의 동일한 시퀀스를 갖도록 재구성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8.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좌측부 및 우측부에 베젤이 없는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와,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좌측부와 연통하는 단일의 베젤 프리 측부를 포함하는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와,
    상기 단일의 베젤 프리 측부를 포함하는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 상기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가 컴퓨팅 장치에 대한 단일 디스플레이로서 나타나도록, 상기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단일의 베젤 프리 측부는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우측부와 연통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각각은 각자의 스탠드 및 각자의 전원에 결합되고,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에, 각자의 전기적 연결부 및 각자의 물리적 연결부를 거쳐서 결합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각자의 물리적 연결부는 추가의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가 추가되게 하도록 수평으로 연장되는 동심 슬라이딩 바아를 포함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상기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와 동일하지만, 180도 회전되는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재구성가능한 버튼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상기 재구성가능한 버튼의 기능의 시퀀스는 상기 제 1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상에서 동일한
    모듈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13.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과,
    상기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상측부, 하측부 및 측부에 결합된 베젤과,
    상기 베젤을 구비하는 상기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측부 상의 복수의 재구성가능한 버튼과,
    상기 베젤을 구비하는 상기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측부에 대향하는 베젤 프리 측부와,
    상기 베젤 프리 측부에 결합되어,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베젤 프리 측부 상의 대응하는 전기적 커넥터와 연결되는 전기적 커넥터와,
    상기 베젤 프리 측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앙 모듈형 디스플레이의 베젤 프리 측부 상의 대응하는 물리적 커넥터와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물리적 커넥터를 포함하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재구성가능한 버튼은 물리적 버튼을 포함하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는 제 2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에 직접 연결되는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KR1020197011919A 2017-01-25 2017-01-25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KR102182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7/014813 WO2018139996A1 (en) 2017-01-25 2017-01-25 Curved modular displa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189A true KR20190067189A (ko) 2019-06-14
KR102182760B1 KR102182760B1 (ko) 2020-11-25

Family

ID=62978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919A KR102182760B1 (ko) 2017-01-25 2017-01-25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0429883B2 (ko)
EP (1) EP3507687A4 (ko)
KR (1) KR102182760B1 (ko)
CN (1) CN109891386B (ko)
WO (1) WO2018139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089A1 (ko) * 2021-07-22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39996A1 (en) * 2017-01-25 2018-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urved modular display
USD908653S1 (en) * 2017-09-28 2021-01-26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LED display module for a gaming display
USD985673S1 (en) 2018-11-14 2023-05-09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Gaming machine display
WO2020142093A1 (en) * 2019-01-02 2020-07-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SDs FOR DISPLAY DEVICES
US10984627B2 (en) * 2019-04-16 2021-04-20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Overhead display having concentric inner and outer display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US11701594B2 (en) 2019-04-16 2023-07-18 Aristocrat Technologies Australia Pty Limited Overhead display having concentric inner and outer display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5687A (en) * 1995-11-20 1997-10-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amless multi-section visual display system
US20060061946A1 (en) * 2003-11-10 2006-03-23 Vick John P Monitor apparatus
US20060114236A1 (en) * 2004-10-29 2006-06-01 Xerox Corporation Reconfigurable lighted keypad
US9146400B1 (en) * 2012-04-20 2015-09-29 Google Inc. Display panel tiling using seam-concealing optics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4698A (en) * 1996-04-15 1999-06-22 Addco Manufacturing, Inc. Modular message board
JPH11149328A (ja) * 1997-11-19 1999-06-02 Nec Yonezawa Ltd 多画面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US6212068B1 (en) * 1998-10-01 2001-04-03 The Foxboro Company Operator workstation
US6690337B1 (en) * 1999-06-09 2004-02-10 Panoram Technologies, Inc. Multi-panel video display
ATE528707T1 (de) * 1999-11-12 2011-10-15 Jerry Moscovitch Flüssig-kristallanzeige-system mit drei bildschirmen in horizontaler anordnung
GB0223883D0 (en) * 2002-10-15 2002-11-20 Seamless Display Ltd Visual display screen arrangement
EP1420327A1 (en) * 2002-11-14 2004-05-19 Hewlett-Packard Company (a Delaware corporation) Support
US20060220501A1 (en) * 2005-04-04 2006-10-05 Robertson James D Stacking modular display
CA2634827C (en) * 2005-11-07 2013-04-23 Jerry Moscovitch Controller and graphics assemblies in multi-screen display systems
US7667891B2 (en) * 2005-11-08 2010-02-23 Eastman Kodak Company Desktop display with continuous curved surface
US8648774B2 (en) 2007-12-11 2014-02-11 Advance Display Technologies, Inc. Large scale LED display
US20140375530A1 (en) * 2010-08-10 2014-12-25 Stephen E. Delaporte Reconfigurable touch screen computing device
US8994678B2 (en) * 2012-07-18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Techniques for programmable button on bezel of mobile terminal
US8804349B2 (en) 2012-10-19 2014-08-12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isplay device
KR102114312B1 (ko) 2012-10-29 2020-06-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화면 제어 방법
KR101987382B1 (ko) * 2012-12-21 2019-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연한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KR102173356B1 (ko) 2013-12-31 2020-11-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표시장치
CN103869529B (zh) * 2014-03-27 2016-08-17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拼接式曲面液晶显示装置
CN103934319B (zh) * 2014-04-29 2015-12-09 四川长虹技佳精工有限公司 曲面显示器背板制作方法及结构
CN105551384A (zh) * 2014-09-02 2016-05-04 三星电子株式会社 曲面显示器以及包括该曲面显示器的可移动电子设备
KR101516766B1 (ko) 2014-09-02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9998706B2 (en) * 2014-11-13 2018-06-12 Cisco Technology, Inc. Video conference endpoint displays
US10114420B2 (en) * 2014-12-23 2018-10-30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screen extension structure, flexible screen assembly, and terminal
US9696752B2 (en) * 2015-03-27 2017-07-04 Apple Inc. Dynamically stabilized magnetic array
KR102438718B1 (ko) * 2015-08-11 2022-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205281993U (zh) * 2015-12-21 2016-06-01 重庆惠科金扬科技有限公司 拼接式曲面led显示器及使用该显示器的曲面电视
US20180108330A1 (en) * 2016-10-18 2018-04-19 Lenovo (Singapore) Pte.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having multiple viewing regions
WO2018139996A1 (en) * 2017-01-25 2018-08-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urved modular displa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5687A (en) * 1995-11-20 1997-10-0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eamless multi-section visual display system
US20060061946A1 (en) * 2003-11-10 2006-03-23 Vick John P Monitor apparatus
US20060114236A1 (en) * 2004-10-29 2006-06-01 Xerox Corporation Reconfigurable lighted keypad
US9146400B1 (en) * 2012-04-20 2015-09-29 Google Inc. Display panel tiling using seam-concealing optic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3089A1 (ko) * 2021-07-22 2023-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측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384353A1 (en) 2019-12-19
WO2018139996A1 (en) 2018-08-02
EP3507687A1 (en) 2019-07-10
US10852763B2 (en) 2020-12-01
KR102182760B1 (ko) 2020-11-25
EP3507687A4 (en) 2020-04-15
US10429883B2 (en) 2019-10-01
CN109891386B (zh) 2023-09-22
CN109891386A (zh) 2019-06-14
US20190056762A1 (en) 2019-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2760B1 (ko) 곡면 모듈형 디스플레이
JP3540187B2 (ja) 表示装置
US20110075341A1 (en) Display Assembly
US9176536B2 (en) Wireless display for electronic devices
EP35027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hmd configurable for various mobile device sizes
KR100454689B1 (ko) Fpd 및 pda 겸용 표시장치
CN105579890B (zh) 头戴式显示器及其控制方法
EP1727020A2 (en) Computer System and Display Apparatus
JP2014502764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におけるリソース及びインタラクティビティ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070073936A1 (en) Dynamic physical interface between computer module and computer accessory and methods
CN109791289A (zh) 可穿戴设备
US20140232617A1 (en) Computerized device with a plurality of variably configured display screens
JP6152410B1 (ja) 電子機器
JP2005316867A (ja) 情報処理装置
CN111142614B (zh) 一种电子设备
US20210011517A1 (en) Kiosk assemblies having interchangeable cores and vessels
JP3672892B2 (ja) 係合手段を具えるウェブパッド・モジュール
KR101924641B1 (ko)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EP2391195A2 (en) High-density computer sytem with high-performance CPU card sharing structure
CN211349330U (zh) 一种主动式触控标识器
CN208240653U (zh) 可拆卸的图像处理芯片连接件
CN106843785B (zh) 一种显示装置
JPH11271730A (ja) 平面表示装置及び平面表示装置保持体
US20210007515A1 (en) Kiosk assemblies having interchangeable cores and vessels
KR101034262B1 (ko) 유비쿼터스 컴퓨터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