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641B1 -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641B1
KR101924641B1 KR1020110135197A KR20110135197A KR101924641B1 KR 101924641 B1 KR101924641 B1 KR 101924641B1 KR 1020110135197 A KR1020110135197 A KR 1020110135197A KR 20110135197 A KR20110135197 A KR 20110135197A KR 101924641 B1 KR101924641 B1 KR 101924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ortable terminal
screen
display device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8237A (ko
Inventor
신홍창
방건
엄기문
이광순
이현
정원식
허남호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51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64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8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8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31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using a single graphics controller

Abstract

본 발명은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과,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은 제어부에 연결된 입력 포트 및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탈장착이 가능한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상기 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연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연동 모듈의 출력 포트에 장착된 경우, 상기 연동 모듈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Description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INDEPENDENT TYPE DISPLAY SYSTEM FOR MOBILE DEVICES}
아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단말들과 연동이 가능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스템에 관련된다.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반적으로 미디어 콘텐츠들의 데이터를 실제로 저장하고 재생(play)하는 장치들에 기능적 및 물리적으로 종속된다.
예컨대, 디지털 TV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TV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로 작동하며, 스마트폰의 터치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폰 내부에 설치되어, 그 종속된 역할로서의 동작들을 수행한다. 사실 이러한 여러 기기들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각 장치들에 종속되어,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니터로서의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데스크탑의 모니터는 독립적으로 설계되고, 탈부착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데스크탑의 모니터는 사용자가 부착하는 여러 데스크탑과 호환이 가능하다.
이처럼, 디스플레이 장치를 데스크탑뿐 아니라 여러 장치들(예컨대, 디지털 TV, 스마트폰, MP3 등)과 호환 가능하도록 독립적으로 설계하더라도, 각 장치들의 화면 크기에서 차이가 있기 때문에 그 호환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들은 하나의 독립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 가능한 연동 모듈을 휴대 단말들에 설치하여, 복수의 휴대 단말들의 화면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볼 수 있는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들 각각의 연동 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휴대 단말들이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휴대 단말의 화면 크기에 기초하여, 또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어떻게 배치되어 있는 지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의 화면을 다르게 분리하여 표시할 수 있는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과,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은 제어부에 연결된 입력 포트 및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탈장착이 가능한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상기 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연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연동 모듈의 출력 포트에 장착된 경우, 상기 연동 모듈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4은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시나리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제공 가능한 다른 서비스 시나리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이동식 모니터로서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한다.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하나의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도 있지만,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가 복수 개로 구성된 경우, 그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상호 연동할 수 있다.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지털 TV, 스마트폰, MP3,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휴대 단말의 연동 모듈과 연동한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들은 각각의 연동 모듈을 포함하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그 연동 모듈의 출력 포트에 탈장착이 가능하다. 도 1에서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위한 연동 모듈이 포함된 휴대 단말을 전용 장치(DD, Dedicated Device)로 도시하였다.
연동 모듈은 휴대 단말의 제어부와 연결된 입력 포트 및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탈장착이 가능한 출력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연동 모듈은 제어부가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디스플레이 신호를 출력 포트를 통해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송출할 수 있다.
한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용 장치(DD)의 연동 모듈로부터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기초하여, 화면을 출력한다.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110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하나의 장치로서 존재할 수 있고, 복수의 장치들로서 존재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장치로 존재하는 경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용 장치(DD)의 연동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기초하여, 전용 장치(DD)의 화면을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장치들로서 존재한다면,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적어도하나의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부착(또는 연결)되어 연동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용 장치(DD)의 연동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기초하여, 현재 부착된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전용 장치(DD)의 화면 일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120에서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다양한 휴대 단말들이 해당되는 전용 장치(DD)와 호환하는 것을 보여준다. 전용 장치(1 내지 3)은 스마트폰(smart phone), MP3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휴대 단말이 될 수 있다.
도 2는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용 장치의 연동 모듈과 탈장착이 가능하고, 장착된 경우,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용 장치의 연동 모듈을 통해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기초하여, 전용 장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연동 모듈(210)은 제1 휴대 단말(21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제2 연동 모듈(220)은 제2 휴대 단말(22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며, 제3 연동 모듈(230)은 제3 휴대 단말(231)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연동 모듈(예컨대, 제1 연동 모듈(210))은 휴대 단말(제1 휴대 단말(211))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신호 포맷에 맞게 변환하고, 그 변환된 신호를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200)에게 전달할 수 있다.
또 나아가, 연동 모듈은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200)에게 휴대 단말의 화면 크기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연동 모듈로부터 휴대 단말의 화면 크기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화면 크기에 기초하여, 그 휴대 단말의 화면의 크기 또는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결국, 휴대 단말들은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연동 모듈을 가짐으로서,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용 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310) 및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액정(Liquid Crystal)과 같은 내부 물질의 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를 표시하는 장치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20)은 휴대 단말의 연동 모듈을 통해, 그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획득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20)은 그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패널(310)에 전원을 인가하고, 디스플레이 패널(310)을 제어하여 그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한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과 연동하여, 하나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310)은 실시예로서, 터치식 패널 또는 비터치식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식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20)은 전원 관리부(321), 배치 제어부(322), 재생 제어부(323) 및 터치 제어부(324)를 포함할 수 있고, 비터치식 패널인 경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20)은 터치 제어부(324)를 제외한 전원 관리부(321), 배치 제어부(322) 및 재생 제어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관리부(321)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패널(310)외 각 구성들에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호 연동할 수 있고, 상기 상호 연동한 경우, 상기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의 화면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배치 제어부(322)는 이러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원활하게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배치 제어부(322)는 현재 연동하는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화면 배치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배치 제어부(322)는 그 결정된 화면 배치에 기초하여, 하나의 화면을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300) 및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각 표시할 부분으로 선정된 화면들로 분리할 수 있다.
나아가, 배치 제어부(322)는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배치 정보를 판단하고, 그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의 화면을 여러 화면들로 분리할 수 있다.
재생 제어부(323)는 디스플레이 패널(310)을 제어하여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화면을 출력하는 것으로, 배치 제어부(322)에 의해 분리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패널(31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터치 제어부(324)는 사용자가 현재 디스플레이 배치 상태에서 어떤 부분을 터치했는지를 제어하는 블록이다. 이는 실시예로서,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300)이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경우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모듈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화면 배치는 단일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1, 1]배치로 설명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연동하는 경우 [1, 2] 배치나 [2, 1]배치로 설명될 수 있고, 6개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2, 3] 행렬로 연결되어 연동하는 경우, [2, 3] 배치로 설명될 수 있다. 배치 제어부(322)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어떻게 배치되었는 지를 인식하고, 그 인식 결과에 따라 화면을 분리할 수 있다. 배치 제어부(322)에 의해 화면이 분리된 경우, 하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할 화면 및 터치 입력을 받는 부분이 서로 다를 수 있으므로, 배치 제어부(322)는 그 인식 결과 및 분리된 화면을 재생 제어부(323) 및 터치 제어부(324)에게 전달할 수 있다.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서로 연동하도록 배치되려면,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외부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고, 내부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30)가 필요하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30)는 실시예로서, 도 4의 경우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하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4개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들(401 내지 404)을 구비하여, 그 하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에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탈부착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들(401 내지 404)은 하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패널의 뒷번에 설치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 어느 하나에 맞닿은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연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도 각각의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330)는 재생 신호 인터페이스(331), 전원 공급 인터페이스(332) 및 탈부착 인터페이스(333)를 포함할 수 있다.
재생 신호 인터페이스(331)는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달하거나 또는 재생 제어부(323)에서 출력된 재생 신호를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달한다. 전원 공급 인터페이스(332)는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인터페이스이고, 탈부착 인터페이스(333)는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하좌우 중 적어도 하나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물리적인 인터페이스이다.
특히, 재생 신호 인터페이스는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에게 다이렉트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 각각은 화면 배치에 기초하여, 화면에서 자신들이 디스플레이해야 할 영역을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또한, 탈부착 인터페이스(333)는 물리적으로 부착된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인식하여, 그 인식 결과를 배치 제어부에게 통지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배치 제어부는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식됨에 응답하여, 화면 배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시나리오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서비스 시나리오에서는,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시스템적으로 상호 연동하는 것을 보여준다.
즉,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화면에 관련된 배치 정보 및 휴대 단말의 화면 크기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단말의 화면을 다르게 분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특히, 500의 경우,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3, 5] 행렬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배치되었고, 디지털 TV의 연동 모듈과 연결되었다. 이 경우,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3, 5] 행렬의 화면 배치를 인식하고, 디지털 TV의 화면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그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 TV의 화면을 [3, 5] 행렬의 패널에서 표시할 수 있다. 상기의 디지털 TV는 본 발명과 같이 휴대용 디지털 TV가 될 수도 있지만, 벽결이나 스탠드형 등이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내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501과 같이 [2, 4] 행렬과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배치하였다면, 그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현재의 화면 배치 및 디지털 TV의 화면 크기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그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디지털 TV의 화면을 [2, 4] 행렬의 패널에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앞서 언급된 디지털 TV 대신에, 502와 같이 노트북의 연동을 독립형 모듈을 디스플레이 장치들와 연결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현재의 화면 배치 및 노트북의 화면 크기를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그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노트북의 화면을 이전보다 적은 패널(예컨대, [2,2] 행렬의 패널)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제공 가능한 서비스 시나리오의 다른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의 서비스 시나리오 이전에서, 여러 가지의 장치들(아이폰, 아이패드, 노트북 등)을 모두 들고 다녀야 했다. 그러나, 상기의 서비스 시나리오 이후, 사용자는 적어도 하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위한 연동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을 소지하면 된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은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과,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은 제어부에 연결된 입력 포트 및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탈장착이 가능한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상기 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연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연동 모듈의 출력 포트에 장착된 경우, 상기 연동 모듈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이 가능하며, 연동하는 경우,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다른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연동 모듈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화면 크기를 획득하고, 그 획득된 화면 크기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화면의 크기 또는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하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내부 또는 외부에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이 서로 연동하는 경우,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320)은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 각각에 대하여 구성되거나 또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 모두에 대한 통합 제어 모듈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 및
    상기 휴대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은,
    제어부에 연결된 입력 포트 및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탈장착이 가능한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 포트를 통해 상기 제어부로부터 획득되는 디스플레이 신호를 상기 출력 포트로 출력하는 연동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연동 모듈의 출력 포트에 장착된 경우, 상기 연동 모듈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연동 모듈을 통해 획득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인식한 결과에 기초하여 화면 배치를 결정하고, 상기 화면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 각각에 표시할 화면들을 분리하고, 상기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화면에 관련된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화면을 복수의 화면들로 분리하는 배치 제어부; 및
    상기 배치 제어부에 의해 분리된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 표시하는 재생 제어부
    를 포함하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인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화면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외부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고 내부적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관리부; 및
    사용자의 반응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제어하는 터치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는,
    상기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에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재생 제어부에서 출력된 재생 신호를 상기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에게 전달하는 재생 신호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상하 좌우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하는 탈부착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6.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과 연동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에 포함된 연동 모듈이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인식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화면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 일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을 인식한 결과에 기초하여 화면 배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화면 배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 각각에 표시할 화면들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들의 화면에 관련된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화면을 복수의 화면들로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복수의 화면들을 상기 독립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 상에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휴대 단말의 디스플레이 신호를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 장치들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독립형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110135197A 2011-12-15 2011-12-15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1924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197A KR101924641B1 (ko) 2011-12-15 2011-12-15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5197A KR101924641B1 (ko) 2011-12-15 2011-12-15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237A KR20130068237A (ko) 2013-06-26
KR101924641B1 true KR101924641B1 (ko) 2018-12-04

Family

ID=48863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5197A KR101924641B1 (ko) 2011-12-15 2011-12-15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6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5743B1 (ko) * 2019-06-18 2019-11-26 (주)킨사이트 의류 또는 잡화 부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066A (ja) * 2001-04-17 2002-10-25 Hunet Inc 着脱自在な増設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携帯用コンピュータ及び増設用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JP2010256392A (ja) * 2009-04-21 2010-11-11 Lenovo Singapore Pte Ltd 外部ディスプレイの接続が可能な携帯式コンピュ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2066A (ja) * 2001-04-17 2002-10-25 Hunet Inc 着脱自在な増設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携帯用コンピュータ及び増設用ディスプレイモジュール
JP2010256392A (ja) * 2009-04-21 2010-11-11 Lenovo Singapore Pte Ltd 外部ディスプレイの接続が可能な携帯式コンピュ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8237A (ko) 201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399B1 (ko) 휴대 단말에서 외부 디스플레이 기기로의 화면 표출 방법 및 그 휴대 단말
CN102662514B (zh) 一种控制触摸屏的方法和移动终端
CA2957799A1 (en) Meeting room power and multimedia center device
KR101887883B1 (ko) 통합 모바일 데스크탑
CN102946518B (zh) 一种插卡式多媒体演示矩阵切换器
US2005026556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20080165291A1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video input through various connectors
CN103780938B (zh) 一种触摸电视及其控制方法及控制装置
US20160328149A1 (en) Display screen-based physical button simul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N102867501A (zh) 图像显示装置和用于控制该图像显示装置的方法
US8601195B2 (en) Primary display with selectively autonomous secondary display modules
KR2011006395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24641B1 (ko) 휴대 단말들을 위한 독립형 디스플레이 시스템
EP2184916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041174A1 (en) Electronic device coupling system and method
CN102945080A (zh) 多台主机切换器
CN103336661A (zh)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CN108881800B (zh) 显示装置、其中的信息终端机的设定方法以及显示系统
KR101542455B1 (ko) 모바일 스마트폰 도킹시스템
TWI475886B (zh) 顯示控制裝置
JP2017016299A (ja) コンソールシステム
CN205080889U (zh) 超高清显示器控制板
TW201235819A (en) Docking station
TWI475537B (zh) 液晶顯示模組及電腦系統
CN211786840U (zh) 基于计算单元的双屏带触摸显示计算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