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746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746A
KR20190066746A KR1020170166454A KR20170166454A KR20190066746A KR 20190066746 A KR20190066746 A KR 20190066746A KR 1020170166454 A KR1020170166454 A KR 1020170166454A KR 20170166454 A KR20170166454 A KR 20170166454A KR 20190066746 A KR20190066746 A KR 20190066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ilizing
water
unit
suppli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992B1 (ko
Inventor
이수영
임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70166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992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 조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와, 유입구에서 유출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에 공급될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가습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부; 가습 필터로 물을 공급하여 가습 필터가 수분을 흡착하게 하는 공수부; 공수부에서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물에 포함된 균을 살균하기 위해, 물로부터 살균물질을 생성하는 살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실내의 공기 상태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실내의 온도, 습도를 조절하거나, 실내 공기를 환기시켜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공기 조화기를 통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가습 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습 기능을 갖는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습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물을 공급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되는 물은 탱크 등에 저장되어 계속 순환하는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공급되는 물이 오염되는 경우 오염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물이 저장되는 탱크 등에 바이오필름이 고착되면 악취가 발생할 수 있고, 악취 또한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순환하는 물 속의 이물질 등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제거할 수 있는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예에서, 공기 조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에 공급될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가습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부; 상기 가습 필터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가습 필터가 수분을 흡착하게 하는 공수부; 상기 공수부에서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물에 포함된 균을 살균하기 위해, 상기 물로부터 살균물질을 생성하는 살균부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공기 조화기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와, 유입구에서 유출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에 공급될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가습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부; 가습 필터로 물을 공급하여 가습 필터가 수분을 흡착하게 하는 공수부; 공수부에서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물에 포함된 균을 살균하기 위해, 살균물질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생성하여 물과 혼합시키기 위한 살균부를 포함하고, 살균부는, 살균수가 저장되는 살균 탱크와, 살균 탱크에 저장된 물로부터 살균물질을 생성하여 살균 탱크에 저장된 물이 살균수가 되게 하는 살균 단자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살균부가 물로부터 살균물질을 생성하여 물에 포함된 균을 살균할 수 있으므로, 매우 간편하고 안전하게 물 속의 세균을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 조화기의 구조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공기 조화부(10), 공수부(20), 저장부(30) 및 살균부(40)를 포함한다.
먼저, 공기 조화부(1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와,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공급될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가습 필터(15)와,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19)를 구비한다.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가습 필터(15)를 통과하여 가습된 상태로 유출구(19)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공기 조화부(10)의 내부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가습 필터(15)는 후술할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에 일부가 담겨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이 가습 필터(15)를 타고 올라 가습 필터(15)가 일정량의 수분을 흡착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공수부(20)는 가습 필터(15)로 물을 공급한다. 공수부(20)에서 공급된 물은 가습 필터(15)에 흡착되어, 유입구(11)를 통해 공기 조화부(10)로 유입된 공기가, 가습 필터(15)를 통과하며 가습된 후 유출구(19)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공수부(20)는 가습 필터(15)가 수분을 빠르게 흡착하도록 하기 위해, 분사하는 형태로 물을 가습 필터(15)에 공급할 수 있다.
저장부(30)에는 공수부(20)에서 공급될 물이 저장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공수부(20)에서 물이 공급되도록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을 공수부(20)로 압송하는 펌프(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은 펌프(25)가 작동하면 공수부(20)로 압송되어 가습 필터(15)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공수부(20)는 공기 조화부(10)의 상측에 마련되고, 저장부(30)는 공기 조화부(10)를 사이에 두고 공수부(20)의 반대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공수부(20)에서 공급된 후 가습 필터(15)에 흡착되지 않은 물은, 다시 저장부(30)로 회수될 수 있다. 저장부(30)로 회수된 물은 다시 공수부(2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은 저장부(30), 공수부(20) 및 공기 조화부(10)를 순환하면서 반복 사용될 수 있다. 그런데 순환하는 물에 세균이 발생하면 물이 순환하는 경로에 바이오필름이 형성되는 등 전술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살균부(40)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에 포함된 균을 살균하기 위해, 물로부터 살균물질을 생성한다. 즉, 살균을 위한 화학물질 등을 별도로 주입하지 않고, 살균부(40)가 물로부터 살균물질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친환경적이며, 인체에 무해하고, 간편하게 또한 경제적으로 균을 제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균부(40)는 살균물질을 생성하기 위해 물 중의 염소 이온(Cl-)을 염소(Cl2)로 산화시킬 수 있다. 염소 이온(Cl-)이 염소(Cl2)로 산화되면 바로 물에 녹아 차아염소산(HOCl)으로 변환될 수 있다. 차아염소산(HOCl)은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살균물질이다.
이와 같이, 살균부(40)는 차아염소산(HOCl)을 생성하기 위해, 염소 이온(Cl-)을 염소(Cl2)로 산화시키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다수 개의 살균 단자(45)를 포함할 수 있다. 살균 단자(45)에 전력이 공급되면, 살균 단자(45)는 물 속의 염소 이온(Cl-)을 염소(Cl2)로 산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살균 단자(45)의 외면에는 염소 이온(Cl-)을 상기 염소(Cl2)로 산화시킬 때 촉매로서 작용하는 백금족 금속 산화물(미도시)이 코팅되어 있을 수 있다. 백금족 금속 산화물은 염소 이온(Cl-)이 염소(Cl2)로 산화될 때 전위차를 낮춰 촉매 역할을 할 수 있다.
백금족 금속 산화물은, 살균 단자(45)에 백금족 금속을 코팅한 후 고온에서 가열하여 백금족 금속을 산화시킴으로써 생성할 수 있으며, 백금족 금속으로서 예를 들어 백금, 이리듐, 루테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살균부(40)는 저장부(30)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펌프(25) 및 살균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는 펌프(25)가 작동 중일 때는 살균부(40)가 작동하지 않도록 살균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펌프(25)가 작동 중일 때는 물이 순환하고 있기 때문에, 살균부(40)에 의해 살균물질을 생성할 때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펌프(25)의 내부에 마련된 살균부(40)는 펌프(25)가 작동하고 있지 않을 때, 즉 물이 실질적으로 정류하고 있을 때 살균물질을 생성하고, 생성된 살균물질을 포함하는 물이 펌프(25)에 의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양이 소정 부피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수부(20)에서 공기 조화부(10)로 공급된 후 상기 가습 필터(15)에 흡착되지 않은 물은 저장부(30)로 다시 회수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기 조화부(10)에서 가습 필터(15)에 흡착된 후 공기와 함께 배출된 물은 저장부(30)로 회수될 수 없으므로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의 양은 감소할 수밖에 없다. 또한, 공수부(20)에서 공급된 물 중 일부는 증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저장부(30)로 물을 공급하여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이 소정 부피 이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소정 부피는 실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저장부(30)에서 공수부(20)로 공급된 물의 양, 공수부(20)에서 가습 필터(15)로 공급된 후 저장부(30)로 회수되지 않고 가습 필터(15)에 흡착된 물의 양, 및 공수부(20)에서 가습 필터(15)로 공급된 후 저장부(30)로 회수되지 않고 증발된 물의 양에 기초하여 저장부(30)로 공급될 물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조화기와 살균부(40)가 마련된 위치 및 살균부(40)의 기본적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조화기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살균부(40)는 저장부(3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살균부(40)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살균 탱크(41)와, 살균 탱크(41)의 내부에 마련된 살균 단자(45)를 구비할 수 있다.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은 살균부(40)의 살균 탱크(41)로 회수된 후, 살균 탱크(41) 내에서 살균 단자(45)에 의해 생성된 살균물질과 함께 저장부(30)로 다시 공급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은 살균부(40)와 저장부(30)를 순환하면서 살균물질을 포함한 물이 저장부(3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펌프(25)가 작동 중일 때는 살균부(40)가 작동하지 않도록 살균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살균부(40)의 작동이란, 살균 단자(45)에 의한 살균물질의 생성 및 저장부(30)와 살균부(40) 사이의 물의 순환을 의미할 수 있다.
펌프(25)가 작동 중일 때에는 물이 공수부(20), 공기 조화부(10) 및 저장부(30)를 순환하고 있기 때문에, 살균부(40)에 대한 물의 순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살균물질을 포함하지 않는 물이 공수부(20)로 공급될 여지가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펌프(25)가 작동하고 있지 않을 때,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을 살균부(40)로 회수하여 저장부(30)로 순환시키면서,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에 충분한 양의 살균물질이 포함되면, 공수부(20)로 물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공기 조화기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도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당한 제어 방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먼저, 공기 조화기의 사용을 위해 제어부가 전원에 연결되면, 사용자는 전원 버튼(미도시)을 통해 공기 조화기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전원 버튼이 선택되면, 제어부는 살균부(40)가 먼저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에 의해 전원 버튼이 선택되면, 살균부(40)가 바로 작동하여 펌프(25)의 작동 전에 살균이 먼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펌프(25)가 작동 중일 때에는 살균부(40)가 작동하지 않도록 살균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경우(도 2 참조), 살균부(40)의 작동이란 살균 단자(45)에 의한 살균물질의 생성 및 저장부(30)와 살균부(40) 사이의 물의 순환을 의미할 수 있다.
펌프(25)가 작동하여 물이 순환 및 공급되고 있으면, 살균물질의 생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눌러 공기 조화기가 작동되면, 살균부(40)가 바로 작동하여 살균을 먼저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살균부(40)가 작동하여 살균물질이 충분히 생성되면, 비로소 펌프(25)가 작동하여 물의 순환 및 공급이 시작될 수 있다.
이때, 살균부(40)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작동과 정지를 반복할 수 있다. 살균물질은 한 번 생성되면 소정 시간 물에 잔류할 수 있으므로, 계속해서 살균물질을 생성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살균부(40)가 소정 시간 동안 작동하여 살균물질을 생성하고, 소정 시간 동안은 작동을 정지하도록 살균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공기 조화기가 작동되면 살균부(40)가 먼저 작동한 후, 살균부(40)는 작동을 정지하고 펌프(25)가 작동할 수 있다. 그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살균부(40)가 다시 작동하여 살균물질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부(40)가 작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소정 시간의 간격 및 살균 단자(45)에 전력을 공급하여 살균부(40)를 작동시키는 시간인 작동 시간은, 물의 양, 물의 TDS(총용존고형물), 살균 단자(45)가 물과 접촉하는 면적, 살균 단자(45)의 개수 및 살균 단자(45)가 이격된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해서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의 양이 많다면 살균물질이 작용해야 하는 영역의 부피가 클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살균물질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양이 증가하면 살균부(40)가 작동하는 작동 시간은 증가하되, 작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소정 시간의 간격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물의 TDS가 높다는 것은 물에 포함된 이온의 농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따라서 물 중의 염소 이온(Cl-)의 농도도 높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물의 TDS가 높으면 살균 단자(45)와 반응하는 염소 이온(Cl-)의 농도도 높을 수 있으므로, 살균부(40)의 작동 시간은 감소시키고, 작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소정 시간의 간격은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반면, 물의 TDS가 낮다는 것은 물 중의 염소 이온(Cl-)의 농도가 낮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물의 TDS가 낮으면 살균 단자(45)와 반응하는 염소 이온(Cl-)의 농도도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충분한 양의 살균물질을 생성하기 위해 살균부(40)의 작동 시간은 증가시키고, 작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소정 시간의 간격은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살균 단자(45)와 물이 접촉하는 면적이 넓으면 염소 이온(Cl-)과 살균 단자(45)가 반응하는 면적도 넓을 수 있으므로, 살균 단자(45)와 물이 접촉하는 면적이 넓은 경우 적은 시간 동안 충분한 양의 살균물질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살균부(40)의 작동 시간은 감소시키고, 작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소정 시간의 간격은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살균 단자(45)의 개수가 많으면 그만큼 같은 시간에 많은 양의 살균물질이 생성될 수 있으므로, 살균 단자(45)의 개수가 많을수록 작동 시간은 감소시키고, 작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소정 시간의 간격은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살균 단자(45)가 이격된 간격이 좁을수록 전기 분해에 의해 염소 이온(Cl-)과 살균 단자(45)가 반응하는 시간이 짧아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조건이 동일한 경우, 살균 단자(45)가 이격된 간격이 좁을수록 살균물질의 농도가 높아서, 살균에 소요되는 시간도 짧아질 수 있다. 따라서 살균 단자(45)의 간격이 좁으면 작동 시간은 감소시키고, 작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소정 시간의 간격은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살균 단자(45)에 의해 생성되는 살균물질의 양은 살균 단자(45)로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살균 단자(45)로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공급되는 전력이 클수록 염소 이온(Cl-)에서 염소(Cl2)로 산화되는 양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염소(Cl2)가 물에 녹아 생성되는 차아염소산(HOCl)의 양도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물질을 생성하기 위해 살균 단자(45)로 공급될 전력의 크기 역시 물의 양, 물의 TDS, 살균 단자(45)와 물이 접촉하는 면적, 살균 단자(45)의 개수 및 살균 단자(45)의 이격된 간격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물의 양이 많다면 살균물질이 작용해야 하는 영역의 부피가 클 수 있으므로, 많은 양의 살균물질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양이 증가하면 살균 단자(45)에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도 증가할 수 있다.
또한, 물의 TDS가 높으면 살균 단자(45)로 공급될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더라도 충분한 양의 살균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물의 TDS가 낮으면 살균 단자(45)로 공급될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켜 염소이온(Cl-)이 충분히 반응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때, 물의 TDS가 낮고 높은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기준 TDS를 설정할 수 있고, 기준 TDS는 실험적으로 선택되어 제어부에 설정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물의 TDS가 기준 TDS보다 높으면 살균 단자(45)로 공급될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물의 TDS가 기준 TDS보다 낮으면 살균 단자(45)로 공급될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살균 단자(45)와 물이 접촉하는 면적이 넓은 경우 살균 단자(45)로 공급하는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반대로, 살균 단자(45)와 물이 접촉하는 면적이 좁으면 살균 단자(45)로 공급하는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켜 반응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살균 단자(45)의 개수가 많거나 살균 단자(45)의 이격된 간격이 좁을수록 살균 단자(45)로 공급하는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살균 단자(45)의 개수가 적거나 살균 단자(45)의 이격된 간격이 넓을수록 살균 단자(45)로 공급하는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공기가 유출구(19)를 통해 배출되는 영역의 습도에 기초하여 펌프(25)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공수부(20)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공기가 배출되는 영역의 습도가 사용자가 설정한 목표 습도보다 높다면, 공수부(20)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소시키거나 공수부(20)가 물을 공급하지 않도록 펌프(25)를 제어할 수 있고, 공기가 배출되는 영역의 습도가 목표 습도보다 낮다면, 공수부(20)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증가시키도록 펌프(25)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 방법에 따라 공기 조화기가 작동되다가,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통해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면, 제어부는 펌프(25)의 작동은 정지하되, 살균부(40)는 정해진 작동패턴에 따라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살균부(40)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제어부가 전원에 연결된 상태는 유지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눌러 공기 조화기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순간, 살균부(40)가 작동을 시작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사용을 종료할 때 살균물질을 생성함으로써, 추후에 공기 조화기를 다시 사용하고자 할 때 살균부(40)의 작동이 펌프(25)의 작동 전에 수행되지 않더라도 물에 충분한 살균물질이 잔류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제어부가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눌러 공기 조화기의 작동이 정지되더라도, 살균부(40)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작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작동패턴에 따라 작동하도록 살균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공기 조화기를 사용하고 있지 않더라도, 제어부가 전원에 연결되어 있기만 하면, 전원과 지속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는 살균부(40)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살균물질을 생성하여 살균물질이 미리 충분히 생성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살균부(40)의 작동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살균부(40)가 작동하도록 살균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살균부(40)가 일정한 패턴에 따라 작동하고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살균 작동을 수동으로 입력했을 때 살균부(40)가 바로 작동하여 살균물질의 생성을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변형례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공기 조화기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실시예 1 및 2에 따른 공기 조화기와 살균부(40)가 마련된 위치 및 살균부(40)의 기본적인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공기 조화기와 동일하거나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상당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살균부(40)는 저장부(30)의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살균부(40)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살균 탱크(41)와, 살균 탱크(41)의 내부에 마련된 살균 단자(45)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살균부(40)는 살균물질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생성하여 저장부(30)에서 공수부(20)로 공급되는 물과 혼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을 살균 탱크(41)로 회수하여 살균물질을 생성한 후, 다시 저장부(30)로 공급한 반면, 본 발명의 변형례에 따른 공기 조화기는, 살균 탱크(41)로 물을 공급하고, 살균 단자(45)가 살균 탱크(41)에 저장된 물로부터 살균물질을 생성하여, 살균 탱크(41)에 저장된 물이 살균수가 되게 한 후, 저장된 살균수를 저장부(30)에서 공수부(20)로 공급되는 물과 혼합시킬 수 있다.
도 3에는 살균 탱크(41)가, 저장부(30)에서 공수부(20)로 물을 유동시키기 위한 유로로 연결되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살균 탱크(41)에 저장된 물은 저장부(30)로 직접 공급된 후, 공수부(20)로 공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살균 탱크(41)로 물이 공급되면 살균 단자(45)에 소정 시간 전력을 공급하여 살균 탱크(41)에 살균수가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펌프(25)가 작동하여 저장부(30)에 저장된 물이 공수부(20)로 압송되기 전에, 살균부(40)로부터 살균수가 저장부(30)에 공급된 후 펌프(25)가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살균 탱크(41)로 물이 공급되면 살균 단자(45)에 소정 시간 전력을 공급하여 살균 탱크(41)에 살균수가 저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후, 상기 펌프(25)가 작동하면 상기 저장부(30)에 저장된 물과 상기 살균 탱크(41)에 저장된 물을 공수부(20)로 압송하여 살균물질이 물에 포함된 균을 살균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공기 조화부
11: 유입구
15: 가습 필터
19: 유출구
20: 공수부
25: 펌프
30: 저장부
40: 살균부
45: 살균 단자

Claims (22)

  1.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에 공급될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가습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부;
    상기 가습 필터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가습 필터가 수분을 흡착하게 하는 공수부;
    상기 공수부에서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물에 포함된 균을 살균하기 위해, 상기 물로부터 살균물질을 생성하는 살균부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저장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저장부의 외부에 마련되고,
    상기 살균부의 작동 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은 상기 살균부로 회수된 후, 상기 살균부에서 생성된 상기 살균물질과 함께 상기 저장부로 공급되는, 공기 조화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살균물질로서 차아염소산(HOCl)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물 중의 염소 이온(Cl-)을 염소(Cl2)로 산화시키는, 공기 조화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상기 염소 이온(Cl-)을 상기 염소(Cl2)로 산화시킬 때 촉매로서 작용하는 백금족 금속 산화물이 코팅된 살균 단자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단자로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물로부터 생성되는 살균물질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 조화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된 다수 개의 상기 살균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의 양, 상기 물의 TDS(총용존고형물), 상기 살균 단자가 상기 물과 접촉하는 면적, 상기 살균 단자의 개수 및 상기 살균 단자가 이격된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살균 단자로 공급될 전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공기 조화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의 TDS에 기초하여 상기 살균 단자로 공급될 전력의 크기를 결정하는 경우, 상기 물의 TDS가 기준 TDS보다 높으면 상기 살균 단자로 공급될 전력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물의 TDS가 기준 TDS보다 낮으면 상기 살균 단자로 공급될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공기 조화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부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작동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상기 살균부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는, 다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살균물질로서 차아염소산(HOCl)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물 중의 염소 이온(Cl-)을 염소(Cl2)로 산화시키는 살균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 단자로 전력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것에 의해 상기 살균부가 작동과 정지를 반복하도록 상기 살균부를 제어하며,
    상기 소정 시간 및 상기 살균 단자로 전력을 공급하는 시간인 작동 시간은 상기 물의 양, 상기 물의 TDS(총용존고형물), 상기 살균 단자가 상기 물과 접촉하는 면적, 상기 살균 단자의 개수 및 상기 살균 단자가 이격된 간격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해서 결정되는, 공기 조화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수부에서 상기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물을 상기 공수부로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 및 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펌프가 작동 중일 때는 상기 살균부가 작동하지 않도록 상기 살균부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수부에서 상기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물을 상기 공수부로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 및 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가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조화기가 작동되도록 하는 전원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펌프의 작동 전에 상기 살균부가 먼저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공기 조화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수부에서 상기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물을 상기 공수부로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 및 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가 전원에 연결되되, 상기 공기 조화기가 작동되도록 하는 전원 버튼의 선택이 해제되면, 상기 펌프의 작동은 정지하되, 상기 살균부는 정해진 작동패턴에 따라 작동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공기 조화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가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공기 조화기가 작동되도록 하는 전원 버튼의 선택이 해제되더라도, 상기 살균부가 소정 시간 간격으로 작동과 정지를 반복하는 작동패턴에 따라 작동하도록 상기 살균부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살균부의 작동 명령이 입력됐을 때 상기 살균부가 작동하도록 상기 살균부를 제어하는, 공기 조화기.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의 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물이 소정 부피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어를 수행하는, 공기 조화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서 상기 공수부로 공급된 물의 양, 상기 공수부에서 상기 가습 필터로 공급된 후 상기 저장부로 회수되지 않고 상기 가습 필터에 흡착된 물의 양, 및 상기 공수부에서 상기 가습 필터로 공급된 후 상기 저장부로 회수되지 않고 증발된 물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저장부로 공급될 물의 양을 결정하는, 공기 조화기.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수부에서 상기 물이 공급되도록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물을 상기 공수부로 압송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가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영역의 습도에 기초하여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공수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물의 양을 조절하는, 공기 조화기.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수부는 상기 가습 필터의 상측에 마련되고,
    상기 공수부에서 상기 가습 필터로 공급된 후 상기 가습 필터에 흡착되지 않은 물이 상기 저장부로 회수되게 하기 위해, 상기 저장부는 상기 가습 필터를 사이에 두고 상기 공수부의 반대 측에 마련되는, 공기 조화기.
  20.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유출구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에 공급될 수분을 흡착하기 위한 가습 필터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부;
    상기 가습 필터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가습 필터가 수분을 흡착하게 하는 공수부;
    상기 공수부에서 공급될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물에 포함된 균을 살균하기 위해, 살균물질을 포함하는 살균수를 생성하여 상기 물과 혼합시키기 위한 살균부를 포함하고,
    상기 살균부는, 상기 살균수가 저장되는 살균 탱크와, 상기 살균 탱크에 저장된 물로부터 상기 살균물질을 생성하여 상기 살균 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살균수가 되게 하는 살균 단자를 구비하는, 공기 조화기.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살균 단자는, 상기 살균물질로서 차아염소산(HOCl)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살균 탱크에 저장된 물 중의 염소 이온(Cl-)을 염소(Cl2)로 산화시키는, 공기 조화기.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살균 단자의 외면에는, 상기 염소 이온(Cl-)을 상기 염소(Cl2)로 산화시킬 때 촉매로서 작용하는 백금족 금속 산화물이 코팅된, 공기 조화기.
KR1020170166454A 2017-12-06 2017-12-06 공기 조화기 KR102399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54A KR102399992B1 (ko) 2017-12-06 2017-12-06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454A KR102399992B1 (ko) 2017-12-06 2017-12-06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746A true KR20190066746A (ko) 2019-06-14
KR102399992B1 KR102399992B1 (ko) 2022-05-20

Family

ID=6684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454A KR102399992B1 (ko) 2017-12-06 2017-12-06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9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384A (ko) * 2019-09-20 2021-03-30 신병철 환기시스템
KR20220111415A (ko) * 2021-02-02 2022-08-09 (주)덕산코트랜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WO2023282695A1 (ko) * 2021-07-09 2023-01-12 엔트 주식회사 액체 조습제를 사용하는 청정환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819Y1 (ko) * 2001-03-26 2001-10-10 이동욱 살균장치를 구비한 흡습패드(Pad)식기화(증발)냉방,가습기기
KR20130114311A (ko) * 2012-04-09 2013-10-18 한국돌기 주식회사 살균 가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7819Y1 (ko) * 2001-03-26 2001-10-10 이동욱 살균장치를 구비한 흡습패드(Pad)식기화(증발)냉방,가습기기
KR20130114311A (ko) * 2012-04-09 2013-10-18 한국돌기 주식회사 살균 가습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4384A (ko) * 2019-09-20 2021-03-30 신병철 환기시스템
KR20220111415A (ko) * 2021-02-02 2022-08-09 (주)덕산코트랜 열교환기 및 가습기 일체형 살균장치를 구비한 항온항습기
WO2023282695A1 (ko) * 2021-07-09 2023-01-12 엔트 주식회사 액체 조습제를 사용하는 청정환기장치
KR20230009685A (ko) * 2021-07-09 2023-01-17 엔트 주식회사 액체 조습제를 사용하는 청정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992B1 (ko) 2022-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28521B1 (en) Inactivating device for virus, bacteria, etc.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KR100840491B1 (ko)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공기 조화 장치, 및, 공기 조화장치의 제어 방법
KR100872243B1 (ko) 공기 제균 장치
JP2003227622A (ja) 殺菌水を用いた除菌脱臭空調システム
JP2007236576A (ja) 空気除菌装置
KR100884880B1 (ko) 공기 제균 장치
KR20190066746A (ko) 공기 조화기
KR20080012142A (ko) 공기 조화 장치
JP2000257913A (ja) 中性水を用いた除菌空調システム
JP2008183182A (ja) 空気除菌装置
KR200435409Y1 (ko) 수산기 생성장치를 구비한 가습기
JP4731355B2 (ja) 空気除菌装置
US20230190979A1 (en) Scent control device and methods for treating an environment
KR20220118389A (ko) 증발 냉각기
KR100802280B1 (ko) 바닥 배치식 공기 제균 장치
JP3813481B2 (ja) 加湿装置
KR100830314B1 (ko) 공기 조화 장치
JP4721932B2 (ja) 除菌装置
JP5317601B2 (ja) 除菌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除菌システム
JP5335217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JP2006200887A (ja) 加湿装置
JP2010038402A (ja) 空気調和除菌システム
KR102337427B1 (ko) 가습기 저장탱크의 살균 장치 및 방법
JP5108655B2 (ja) 大空間除菌システム
JP7491537B2 (ja) 空間除菌装置および空間除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