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184A - Assistance Apparatus for Seating on Wheelchair - Google Patents

Assistance Apparatus for Seating on Wheel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184A
KR20190066184A KR1020170165678A KR20170165678A KR20190066184A KR 20190066184 A KR20190066184 A KR 20190066184A KR 1020170165678 A KR1020170165678 A KR 1020170165678A KR 20170165678 A KR20170165678 A KR 20170165678A KR 20190066184 A KR20190066184 A KR 20190066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wheelchair
unit
armrest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047041B1 (en
Inventor
박종현
이권민
박동현
김현일
Original Assignee
박종현
박동현
이권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현, 박동현, 이권민 filed Critical 박종현
Priority to KR1020170165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041B1/en
Publication of KR2019006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1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0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01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A61G7/1011Picking up from the flo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6Mobile bases, e.g. having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88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Lower body, e.g. pelvis,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73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7/1082Rests specially adapted for
    • A61G7/1092Rests specially adapted for the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seat assistance device, which comrpises: a support frame; a wheel installed on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n elevating drive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a seat unit moving up and down by the elevating drive unit. Since the height of the seat unit is properly adjusted to match the height of the seat of a wheelchair, the patient is horizontally moved to sit on the seat unit of the wheelchair, thereby having advantages in that the patient can sit alone in the wheelchair or the assistant can seat the patient in the wheelchair without great effort.

Description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Assistance Apparatus for Seating on Wheelchair}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본 발명은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혼자의 힘으로 또는 약간의 도움을 받아 침대나 바닥으로부터 휠체어에 용이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돕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seated assistan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heelchair seated assistance device that assists in easy sitting on a wheelchair from a bed or floor by a single force or with a little help.

일반적으로, 다리가 불편하여 거동이 어려운 환자나 장애인들은 휠체어를 이용하여 이동하게 된다.Generally, a patient or a disabled person who is difficult to move due to an uncomfortable leg is moved using a wheelchair.

한편, 환자나 장애인이 침대나 바닥에 있을 때 혼자 휠체어에 탑승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으므로 대부분 간병인 등 보조자의 도움을 받게 된다.On the other hand, it is very difficult for patients 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o be in wheelchairs when they are in bed or on the floor, and most of them are assisted by a carer or other assistant.

또한, 보조자의 도움을 받더라도 환자나 장애인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휠체어까지 이동하게 되어 있어, 전문적인 실습교육을 받은 사람이 아니면 단독으로 환자나 장애인을 휠체어에 착석시키는 것은 어려운 일었다.Also, even with the help of an assistant, it was difficult to get a patient or a disabled person to sit in a wheelchair without a professional train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도 환자나 장애인을 휠체어까지 옮기는 리프팅 장치가 개발되어 있기는 하나 구조가 복잡하고 사용하기가 불편하여 보조자의 노력이 크게 줄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has been developed a lifting device for moving a patient or a disabled person to a wheelchair. However,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inconvenient to use.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74171호 (2004.08.23)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74171 (Aug. 23, 2004)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사용하기가 편리하여 보조자의 노력을 크게 줄이거나 단독으로 사용이 가능한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heelchair seating assisting apparatus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to use and which can greatly reduce the effort of an assistant or can be used alone hav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a wheelchair seating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지지 프레임;A support frame;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A wheel provided below the support frame;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승강 구동부; 및,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시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eat unit that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on driving unit.

상기 지지 프레임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와 상기 시트 유닛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ing frame includes a lower supporting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and a backrest fixed to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so as to be vertically raised, and the elevating driving portion is connected between the lower supporting portion and the seat unit.

상기 시트 유닛은 시트와, 상기 시트의 위쪽에 배치되는 팔걸이와, 상기 시트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팔걸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at unit includes a seat, an armrest disposed above the seat,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eat and the armrest, wherein the elevation driving unit is connected to the armrest.

상기 시트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ving plat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a guide groov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is formed o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시트의 후단에는 브릿지 플레이트가 힌지부를 통해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에는 복원용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시트 유닛이 하강할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상기 등받이의 상단에 접촉하면서 접혀지고 시트 유닛이 상승하여 상기 등받이의 높이와 같게 될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상기 등받이의 상단에 걸쳐지면서 후방쪽으로 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ridge plate is provided on the rear end of the seat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through a hinge portion. A restoring spring is provided on the hinge portion. When the seat unit is lowered, the bridge plate is fold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backrest And when the seat unit is raised and becomes equal to the height of the backrest, the bridge plate is extended to the rear side while covering the top of the backrest.

상기 승강 구동부는,The lift-

상기 하부 지지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스크류; 각각의 이송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이동 블록; 상기 한 쌍의 이송 스크류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이동 블록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 유닛의 팔걸이에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되, 공통 힌지점을 중심으로 교차한 상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기둥 조립체; 및, 상기 이송 스크류에 연결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ir of feed screws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spaced laterally from the lower support; A pair of first moving blocks threadedly engaged with the respective conveying screws and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screws;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rmrest of the seat unit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rmrest of the seat uni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support column assembly coupl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And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conveying screw.

상기 등받이의 하단에는 휠체어 발판이 통과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through groove through which the wheelchair foot plate passes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상기 팔걸이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 모터를 정역 회전시키거나 온오프하는 스위치 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witch leve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rmrest for rotating the drive motor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r turning it on and off.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 유닛의 높이를 휠체어의 시트부 높이에 맞도록 적절히 조절한 상태에서 환자를 수평 이동시켜서 휠체어의 시트부에 착석시키므로 환자 단독으로 휠체어에 앉거나 또는 보조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휠체어에 환자를 착석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since the patient is horizontally moved and seated on the seat portion of the wheelchair with the height of the seat unit appropriately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seat portion of the wheelchai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atient can be seated in a wheelchair without a great deal of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어, 시트에 걸터앉은 환자가 휠체어에 최대한 가깝게 근접할 수 있기 때문에 휠체어로의 이동이 한층 수월해진다는 이점도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ving plate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a guide groove for guiding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is formed o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ove to a wheelchair is much easier because it can be as close as possib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의 후단에는 브릿지 플레이트가 힌지부를 통해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상기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의 시트와 휠체어의 시트 사이에 공간이 없도록 연결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로의 환자 이동이 한층 수월하게 된다는 장점도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ridge plate is vertically rotatable via the hinge portion at the rear end of the seat, the seat can be connected so that there is no space between the seat of the wheelchair seated assist device and the seat of the wheelchair,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it becomes easi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팔걸이의 상부에 구동 모터를 정역 회전시키거나 온오프하는 스위치 레버가 설치되어 있어 환자나 장애인 자신이 승강 구동부를 직접 작동시켜서 휠체어로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witch lever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rmrest to rotate the power of the drive motor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reby enabling the patient or the disabled person to operate the elevator driver directly to move to the wheelch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등받이의 하단에는 휠체어 발판이 통과하는 관통홈이 형성되어 시트 유닛이 휠체어와 최대한 근접될 수 있어 휠체어까지 환자의 이동 거리를 단축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hole through which a wheelchair foot plate passes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so that the seat unit can be as close as possible to the wheelchair, thereby shortening the travel distance of the patient to the wheelch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에 의해 브릿지 플레이트가 하강 회전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등받이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상승할 경우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등받이의 상단에 항상 걸쳐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나 노력이 필요없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storing force acts on the bridge plat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ridge plate is rotated downward by the spring, when the bridge plate is raised equal to or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backrest, ,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configuration or effort for rotating the bridge pla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로서 시트 유닛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로서 시트 유닛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로서 시트 유닛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로서 시트 유닛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at unit is lifted as a wheelchair sitting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unit is lowered as a wheelchair sitting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unit is lifted as a wheelchair sitting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at unit is lowered as a wheelchair sitting assis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wheelchair saddle-stitching assistanc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1000)는, 지지 프레임(100), 상기 지지 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200), 상기 지지 프레임(100)에 설치된 승강 구동부(300) 및, 상기 승강 구동부(300)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시트 유닛(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4, a wheelchair seat assist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ort frame 100, a wheel 200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00, And a seat unit 400 that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0. The seat unit 400 includes a lift unit 300,

이에 따라, 상기 승강 구동부(300)에 의해 상기 시트 유닛(400)의 높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시트 유닛(400) 위에 앉아 있는 환자나 장애인이 휠체어에 이동하여 앉게 된다.Accordingly, the patient or the handicapped sitting on the seat unit 400 moves and sits in the wheelchair while the height of the seat unit 400 is adjusted by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0.

즉, 상기 시트 유닛(400)의 높이를 휠체어(미도시)의 시트부 높이에 맞도록 적절히 조절한 상태에서 환자를 수평 이동시켜서 휠체어의 시트부에 착석시킨다.That is, the patient is horizontally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height of the seat unit 400 is properly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seat portion of the wheelchair (not shown), and the seat unit 400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of the wheelchair.

구체적으로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1000)의 구성요소들을 기술하도록 한다.Described specifically are the components of the wheelchair-seated assistance device 1000.

상기 지지 프레임(100)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 지지부(110)와, 상기 하부 지지부(110)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는 등받이(120)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구동부(300)는 상기 하부 지지부(110)와 시트 유닛(400) 사이에 연결된다.The supporting frame 100 includes a lower supporting part 110 extending horizontally and a backrest 120 fixed to the lower supporting part 110 so as to be vertically raised. Is connected between the seat unit (110) and the seat unit (400).

또한, 상기 시트 유닛(400)은 사용자가 앉는 시트(410)와, 상기 시트(410)의 위쪽에 배치되는 팔걸이(420)와, 상기 시트(410)와 팔걸이(420)를 연결하는 연결부(430)를 포함한다.The seat unit 400 includes a seat 410 for a user to sit on, an armrest 420 disposed above the seat 410, a connection portion 430 for connecting the seat 410 and the armrest 420 ).

상기 승강 구동부(300)는 상기 팔걸이(420)에 연결되어 시트 유닛(400)의 높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300 may be connected to the armrest 42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seat unit 400 appropriately.

상기 시트 유닛(400)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형강 형태로 구성되어 있어 환자나 장애인의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 unit 4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ection having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patient or the disabled.

상기 시트(410)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플레이트(415)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430)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415)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435)이 형성될 수 있다.A moving plate 415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410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a guide groove 435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415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430 .

이에 따라, 시트(410)에 걸터앉은 환자를 휠체어에 최대한 가깝게 근접시킬 수 있어 휠체어로의 이동이 한층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patient sitting on the seat 410 can be brought as close as possible to the wheelchair, and the movement to the wheelchair can be further facilitated.

또한, 상기 시트(410)의 후단에는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힌지부(510)를 통해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A bridge plate 500 is mounted on the rear end of the seat 410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through a hinge portion 510.

상기 브릿지 프레이트(500)는 상기 착석 보조장치(1000)의 시트(410)와 휠체어의 시트 사이에 공간이 없도록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환자가 상기 공간에 의해 이동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bridge plate 500 is a component that connects the seat 410 of the seating assistant device 1000 and the seat of the wheelchair so as to prevent the patient from being inconvenienced by the space .

특히, 상기 힌지부(510)에는 복원용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상기 시트 유닛(400)이 하강할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상기 등받이(120)에 접촉하면서 접혀지고 시트(410)가 상승하여 상기 등받이(120)의 높이와 같게 될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상기 등받이(120)의 상단에 걸쳐지면서 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particular, a restoring spring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hinge part 510 to fold the bridge plate 500 in contact with the backrest 120 when the seat unit 400 descends, The leg plate 500 may extend over the top of the backrest 120 when the height of the back plate 120 is equal to the height of the backrest 120. [

즉,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하강 회전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상기 등받이(120)의 높이와 같거나 높게 상승할 경우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등받이(120)의 상단에 항상 걸쳐지도록 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bridge plate 500 is raised to a heigh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backrest 120 by allowing the spring to apply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ridge plate 500 is rotated downward, So that the backrest 120 always covers the top of the backrest 120.

따라서,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를 회전 이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나 노력이 필요없다.Therefor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structure or effort for rotationally moving the bridge plate 500.

물론, 상기 시트 유닛(400)이 하강하여 시트(410)의 높이가 상기 등받이(120)의 높이보다 낮아질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상기 등받이(120)의 상단에 접촉하면서 위쪽으로 꺽여서 접혀지기 시작하고, 상기 시트 유닛(400)이 가장 낮은 위치로 하강할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500)도 시트(410)의 후단과 등받이(120) 사이에서 완전히 접혀지게 된다.Of course, when the seat unit 400 descends and the height of the seat 410 becomes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backrest 120, the bridge plate 500 is folded upward by contacting with the upper end of the backrest 120 The bridge plate 500 is completely fold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seat 410 and the back 120 when the seat unit 400 is lowered to the lowest position.

또한, 상기 승강 구동부(300)는, 상기 하부 지지부(110)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스크류(310), 각각의 이송 스크류(310)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310)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이동 블록(320), 상기 한 쌍의 이송 스크류(310)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이동 블록(3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 유닛(400)의 팔걸이(420)에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되, 공통 힌지점(331)을 중심으로 교차한 상태로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 기둥 조립체(330) 및, 상기 이송 스크류(310)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3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300 includes a pair of conveying screws 310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n the lower supporting unit 110 and spaced left and right, A pair of first moving blocks 320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screw 310 are formed in pairs so as to correspond to the pair of conveying screws 310, 1 moving block 320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armrest 420 of the seat unit 400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is capable of relatively rotating in a state of intersecting around the common hinge point 331 A pair of support column assemblies 330 coupled to the drive shaft 310, and a drive motor 340 coupled to the transport screw 310 for rotation.

상기 이송 스크류(310)에서 한 쌍의 지지 기둥 조립체(33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이송 스크류(310)의 길이방향 대략 중간 지점을 기준으로 양쪽에 반대방향의 나선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It is necessary that a spiral in opposite directions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veyance screw 310 in order to allow the pair of support column assemblies 330 to move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center of the conveyance screw 310 have.

상기 팔걸이(420)에는 가이드 레일(421)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팔걸이(42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지지 기둥 조립체(330)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 레일(421)을 따라 이동하는 제2 이동블록(422)를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pair of support column assemblies 330 connected to the armrests 420 is connected to the guide rails 421 along the guide rails 421, 2 mobile block 422. [0060]

물론, 상기 승강 구동부(300)로는 유압 실린더 등 공지된 다른 구성요소가 채택될 수도 있다.Of course, other known components such as a hydraulic cylinder may be adopted as the lifting and lowering drive unit 300.

상기 팔걸이(420)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 모터(340)를 정역 회전시키거나 온오프하는 스위치 레버(600)가 설치되어 환자나 장애인 자신이 승강 구동부(30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A switch lever 600 for rotating the driving motor 340 in the normal or reverse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rmrest 420 so that the patient or the disabled person can operate the elevation driving unit 300.

또한, 상기 등받이(120)의 하단에는 휠체어 발판이 통과하는 관통홈(125)이 형성되어 시트 유닛(420)이 상기 휠체어와 최대한 근접하여 환자의 이동 거리를 단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at unit 420 may be positioned as close to the wheelchair as possible to short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patient by forming a through groove 125 through which the wheelchair foot plate passes at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120. [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1000)가 휠체어(700)에 결합되는 사용 상태가 나타나 있다.FIG.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wheelchair seat assisting apparatus 1000 is coupled to the wheelchair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브릿지 플레이트(500)가 휠체어(700)의 시트부(710)에 안착된 상태에서 시트 유닛(400)에 앉은 환자나 장애인이 휠체어(700)의 시트부(710)로 미끄러지듯 이동하여 안전하게 착석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when the patient or the handicapped person sitting on the seat unit 400 slides on the seat portion 710 of the wheelchair 700 in a state where the bridge plate 500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710 of the wheelchair 700 So that it can be safely seated.

이 경우, 이동 플레이트(415)가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한층 원활한 착석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moving plate 415 can slide backward, a more comfortable seating operation becomes possib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지지 프레임
200... 바퀴
300... 승강 구동부
310... 이송 스크류
320... 제1 이동 블록
330... 지지 기둥 조립체
340... 구동 모터
400... 시트 유닛
410... 시트
415... 이동 플레이트
420... 팔걸이
500... 브릿지 플레이트
600... 스위치 레버
1000...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100 ... support frame
200 ... wheels
300 ... lifting /
310 ... Feed Screw
320 ... first movable block
330 ... support column assembly
340 ... drive motor
400 ... Seat unit
410 ... sheet
415 ... moving plate
420 ... armrests
500 ... bridge plate
600 ... switch lever
1000 ... wheelchair seat assistant

Claims (8)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된 바퀴;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된 승강 구동부; 및,
상기 승강 구동부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시트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A support frame;
A wheel provided below the support frame;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frame; And
And a seat unit that is moved up and down by the elevation dr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수평으로 연장되는 하부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에 상하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고정되는 등받이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와 상기 시트 유닛 사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lower support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and a backrest fixed to the lower support portion so as to be vertically raised,
And the elevation driving unit is connected between the lower supporting unit and the seat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유닛은 시트와, 상기 시트의 위쪽에 배치되는 팔걸이와, 상기 시트와 팔걸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팔걸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eat unit comprises a seat, an armrest disposed above the seat,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seat and the armrest,
And the elevation driving unit is connected to the armres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상부에는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이동 플레이트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이동 플레이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a moving plate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at so as to be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nd a guide groove i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to guide movement of the moving pl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후단에는 브릿지 플레이트가 힌지부를 통해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에는 복원용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시트 유닛이 하강할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상기 등받이의 상단에 접촉하면서 접혀지고 시트 유닛이 상승하여 상기 등받이의 높이와 같게 될 때 상기 브릿지 플레이트가 상기 등받이의 상단에 걸쳐지면서 후방쪽으로 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bridge plate is provided on the rear end of the seat so as to be vertically rotatable through a hinge portion. A restoring spring is provided on the hinge portion. When the seat unit is lowered, the bridge plate is fold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top of the backrest Wherein when the seat unit is elevated to a height equal to the height of the backrest, the bridge plate extends over the top of the backrest and extends toward the rear side.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하부 지지부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좌우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이송 스크류;
각각의 이송 스크류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이송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한 쌍의 제1 이동 블록;
상기 한 쌍의 이송 스크류에 대응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일단은 상기 제1 이동 블록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시트 유닛의 팔걸이에 전후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되, 공통 힌지점을 중심으로 교차한 상태로 상대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기둥 조립체; 및,
상기 이송 스크류에 연결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5,
The lift-
A pair of feed screws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spaced laterally from the lower support;
A pair of first moving blocks threadedly engaged with the respective conveying screws and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onveying screws;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rmrest of the seat unit so as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armrest of the seat uni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 support column assembly coupled to b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And
And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conveying screw.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하단에는 휠체어 발판이 통과하는 관통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And a pass-through groove through which the wheelchair foot plate passes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res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 모터를 정역 회전시키거나 온오프하는 스위치 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착석 보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switch lever is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armrest so as to rotate the drive motor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r to turn the drive motor on and off.
KR1020170165678A 2017-12-05 2017-12-05 Assistance Apparatus for Seating on Wheelchair KR1020470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678A KR102047041B1 (en) 2017-12-05 2017-12-05 Assistance Apparatus for Seating on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678A KR102047041B1 (en) 2017-12-05 2017-12-05 Assistance Apparatus for Seating on Wheel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184A true KR20190066184A (en) 2019-06-13
KR102047041B1 KR102047041B1 (en) 2019-11-20

Family

ID=6684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678A KR102047041B1 (en) 2017-12-05 2017-12-05 Assistance Apparatus for Seating on Wheel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041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977A (en) * 1998-12-02 2000-06-20 Masaya Tatsuno Wheelchair with separating and uniting type transfer function
JP2002209948A (en) * 2001-01-17 2002-07-30 Takeo Oda Crotch-shaped raising/lowering pantograph wheelchair for seat attaching/detaching and rotary moving, and bathing device
KR20040074171A (en) 2003-02-17 2004-08-23 이상주 lifting apparatus for disabled person
KR101462378B1 (en) * 2014-04-10 2014-11-17 임윤택 Wheelchair with li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66977A (en) * 1998-12-02 2000-06-20 Masaya Tatsuno Wheelchair with separating and uniting type transfer function
JP2002209948A (en) * 2001-01-17 2002-07-30 Takeo Oda Crotch-shaped raising/lowering pantograph wheelchair for seat attaching/detaching and rotary moving, and bathing device
KR20040074171A (en) 2003-02-17 2004-08-23 이상주 lifting apparatus for disabled person
KR101462378B1 (en) * 2014-04-10 2014-11-17 임윤택 Wheelchair with li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7041B1 (en)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7374B1 (en) Variable type wheel chair
US4054319A (en) Stand-aid invalid wheelchair
CN205569196U (en) Can assist and leave bed can be like multi -functional wheelchair in lavatory
KR100960094B1 (en) Lift chair having lifting module hingedly jointed thereto
KR20160142548A (en) Seat height adjustable motor driven wheel chair
KR20200057977A (en) Wheelchair with vehicle boarding function
EP1286638A1 (en) A chair for handicapped or disabled persons
KR102150594B1 (en) Wheelchair
KR102361691B1 (en) Bed convertible wheelchair
KR20160129986A (en) Stand up assistance equipment
JP2000300611A (en) Standing-up helping chair
CN110840660B (en) Patient transfer device suitable for mobility-handicapped person
KR102461127B1 (en) Electric Wheel-chair
KR101588698B1 (en) Electrical shower trolley
CN107811776B (en) Intelligent wheelchair
KR20190066184A (en) Assistance Apparatus for Seating on Wheelchair
KR102423485B1 (en)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JP5771344B1 (en) Nursing wheelchair
KR20120114559A (en) Bed having conveyor belt, wheelchair, and assistan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CN113081520A (en) Transfer auxiliary wheelchair
TWI548546B (en) A combination of a wheelchair and a car seat
TW202023509A (en) Independent transport apparatus for weak person
KR101708123B1 (en) Wheelchair
JP6963005B2 (en) Assistance system, assistance method, and direction change assist device
TWI825266B (en) Track unit and bathing aid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