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179A -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 Google Patents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179A
KR20190066179A KR1020170165672A KR20170165672A KR20190066179A KR 20190066179 A KR20190066179 A KR 20190066179A KR 1020170165672 A KR1020170165672 A KR 1020170165672A KR 20170165672 A KR20170165672 A KR 20170165672A KR 20190066179 A KR20190066179 A KR 20190066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deletion
preference
user
recommen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준서
강예찬
김덕원
Original Assignee
윤준서
김덕원
강예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준서, 김덕원, 강예찬 filed Critical 윤준서
Priority to KR102017016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6179A/ko
Publication of KR20190066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70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 A63F13/79Game security or game management aspects involving player-related data, e.g. identities, accounts, preferences or play hist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06Q30/0271Personalized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모바일 게임이 삭제될 때 게임의 총 사용시간, 보유기간, 게임 소유시간 비율 등 게임 삭제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게임 삭제 정보의 통계에 따라 사용자에게 모바일 게임을 추천하는,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게임이 삭제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삭제정보 수집부; 해당 게임의 삭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의 선호도를 산출하는 게임선호 산출부; 각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유저그룹을 선택하는 유사유저 선정부; 유사 유저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사용한 게임들을 추천 후보로 선정하는 추천후보 선정부; 및, 추천 후보 중에서 게임을 추천하는 게임추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하면, 모바일 게임을 삭제할 때 해당 게임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게임 선호도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보다 적확한 게임을 추천할 수 있다.

Description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 A recommending system for mobile games using records of game delete }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모바일 게임이 삭제될 때 게임의 총 사용시간, 보유기간, 게임 소유시간 비율 등 게임 삭제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게임 삭제 정보의 통계에 따라 사용자에게 모바일 게임을 추천하는,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컴퓨터 관련 정보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게임 산업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종래의 컴퓨터 게임은 단순한 줄거리의 아케이드 게임이나 비디오 게임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으나, 멀티미디어 기술과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에 따라 현재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차원의 게임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특히, 초고속 인터넷과 무선인터넷의 보급은 모바일(mobile) 게임이라는 새로운 게임 분야를 탄생시킴으로써 게임 산업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게임의 유저군을 확보하는 방법은 초기에는 상품광고의 일반적인 홍보방법을 사용하여 초기 유저들을 확보하고, 그 게임의 유경험자들이 흥미를 느낄 경우 주변의 친지들에게 사용을 권하는 방법에 의하여 점차로 게임 유저군 사이즈를 확산해 나가는 방식에 의존하였다. 특히, 이미 수많은 게임이 출시되어 있는 모바일 게임에서는 그 특성상 신규 게임이 출시될 때 마다 별도로 대대적인 광고나 홍보 비용을 지출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에 게임 유경험자가 본인이 사용해 본 게임을 주변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방법은 주로 유/무선상으로 구두 설명하거나 또는 직접 대면하여 게임을 다운로드 받아 사용하도록 권유하는 방식에 의존하였으므로, 추천 기회가 매우 제한적이였으며, 피추천인이 모바일 게임에 대한 추천메시지를 받는다 해도 무분별한 대량 발송 메시지와 구별되지 아니하여, 이를 무시함으로써 추천의 효과가 반감되는 경우가 많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사용자의 게임이용 패턴을 파악하여 게임을 추천하는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따르면, 사용자가 설치하고 실행한 게임 데이터를 취합하여 유형으로 구분하여, 게임업체에서 새로운 모바일 게임이 출시되거나 기존의 모바일 게임을 프로모션할 경우 사용자의 유형 정보에 따라 타겟팅 된 모바일 게임의 프로모션을 진행한다[특허문헌 1]. 또한, 게임에 대한 사용자 평가 등 추천 기준 평가 정보를 누적 저장하고, 누적 저장된 추천 기준평가 정보에 따라 게임을 추천한다[특허문헌 2]. 또한, 모바일 게임 이용정보를 저장하여 유사한 사용자 패턴을 갖는 사용자 군집 정보를 생성하고, 모바일 게임에 대한 사용자 군집의 선호도를 예측하여, 모바일 게임을 추천한다[특허문헌 3].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주로 과거 사용자의 모바일 게임의 사용기록 만을 누적하여 판단하므로, 사용자가 모바일 게임에 대한 취향이 변한 경우를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게임을 찾고자 여러 게임을 설치하여 한두번 게임을 시도해 보는 경우도 많다. 이런 경우에도 해당 게임들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게임으로 오인하도록 하는 경우도 많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86569호(2015.07.29.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25578호(2013.03.12.공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2723호(2006.11.02.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서 모바일 게임이 삭제될 때 게임의 총 사용시간, 보유기간, 게임 소유시간 비율 등 게임 삭제 정보를 수집하여, 해당 게임 삭제 정보의 통계에 따라 사용자에게 모바일 게임을 추천하는,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게임이 삭제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삭제정보 수집부; 해당 게임의 삭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의 선호도를 산출하는 게임선호 산출부; 각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유저그룹을 선택하는 유사유저 선정부; 유사 유저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사용한 게임들을 추천 후보로 선정하는 추천후보 선정부; 및, 추천 후보 중에서 게임을 추천하는 게임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삭제정보 수집부는 해당 게임의 설치시간, 삭제시간, 게임을 설치하였다가 삭제할 때까지의 기간인 보유기간, 해당 게임을 실행한 총 시간인 사용시간, 해당 게임을 마지막 실행 후 삭제할 때까지의 보유기간(이하 삭제전 보유기간)을 수집하고, 해당 게임의 비용지출 유무에 대한 데이터, 해당 게임의 스테이지 구성 및 사용자가 수행한 스테이지 비율, 해당 게임의 출시일, 해당 게임의 광고 노출 형태 및 광고 노출 빈도를 포함하는 데이터, 게임의 삭제 이유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임선호 산출부는 삭제되는 각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항목별로 산출하여, 산출된 각 평가항목별 선호도를 합산하여 해당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평가항목은 해당 게임을 사용한 총 시간을 나타내는 총 사용시간, 해당 게임을 설치한 후 삭제할 때까지의 기간인 총 보유기간, 마지막 실행 후 삭제 까지의 기간인 삭제전 보유기간, 전체 게임 사용 시간 대비 해당 게임의 사용 시간의 비율인 사용비율, 해당 게임에서 수행한 정도를 나타내는 수행단계 정도, 해당 게임을 설치시 비용 지출 정도를 나타내는 비용지출 정도, 게임 출시일에서 삭제 까지의 기간인 게임출시 경과기간, 해당 게임 내에 광고 노출 정도를 나타내는 광고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게임선호 산출부는 삭제되는 각 게임의 삭제이유에 대하여 선호도를 삭제이유 항목별로 산출하여, 산출된 각 삭제이유 항목별 선호도와 상기 평가항목별 선호도를 모두 합산하여 해당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고,
상기 삭제이유 항목은 개인 사정에 의하여 삭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개인사정 항목, 해당 게임의 서비스 중지에 의한 삭제 이유를 나타내는 서비스중지 항목, 사용자가 해당 게임의 그래픽 스타일 또는 컨텐츠에 대하여 불만족하여 삭제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픽/컨텐츠 불만족 항목, 사용자 취향의 변경에 의한 삭제를 나타내는 사용자 취향 변경 항목, 및, 시스템의 포맷에 의한 삭제를 나타내는 포맷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에 의하면, 모바일 게임을 삭제할 때 해당 게임의 사용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게임 선호도를 파악함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보다 적확한 게임을 추천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선호도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및 선호도 점수를 나타낸 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선호도 평가를 위한 삭제이유 항목 및 그 선호도 점수를 나타낸 표.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모바일 게임을 설치하여 구동할 수 있는 스마트 단말(10),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되어 게임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추천앱(20), 게임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추천 서버(30), 및,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게임서비스 서버(50)로 구성된다. 이들 게임추천앱(20), 및, 게임추천 서버(30) 등은 인터넷, 이동통신망 등 네트워크(81)를 통해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추가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10)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모바일 단말로서, 스마트폰, 패블릿, 태블릿PC 등 통상의 컴퓨팅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단말이다. 특히, 스마트 단말(10)은 어플리케이션 또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이다.
다음으로, 게임추천앱(20)은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되어 수행되는 모바일용 어플리케이션(또는 앱, 어플)으로서, 게임추천 서버(30)와 연동하여 사용자에게 모바일 게임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 시스템이다.
구체적으로, 게임추천앱(20)은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된 모바일 게임에 대한 정보, 또는 스마트 단말(10)에서 해당 모바일 게임이 삭제되는 정보 등을 수집하고, 해당 삭제 정보를 게임추천 서버(30)로 전송한다. 또한, 게임추천입(20)은 게임추천 서버(30)로부터 해당 사용자에게 추처하는 게임 리스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게임 리스트에 따라 사용자에게 모바일 게임을 추천한다.
다음으로, 게임서비스 서버(50)는 게임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로서, 게임 앱들을 제공하는 통상의 앱 마켓 서버 등이다. 게임서비스 서버(50)는 다수의 게임 목록을 구비하고, 해당 게임들을 분류하여 제공하고, 등록된 게임들에 대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게임서비스 서버(5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게임에 대하여 해당 게임의 설치 서비스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게임추천 서버(30)는 사용자 또는 스마트 단말(10)에 게임을 추천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스마트 단말(10)의 사용자에 대한 게임 취향을 분석하여,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게임들을 추천한다.
이를 위해, 게임추천 서버(30)는 등록된 게임들을 분류하여 유사한 게임들을그룹화(군집화) 할 수 있다.
또한, 게임추천 서버(30)는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10) 상에서 게임의 설치, 사용, 삭제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의 게임 사용 패턴 또는 통계 데이터를 산출한다.
그리고 게임추천 서버(30)는 사용자 별로 해당 사용자가 각 게임 또는 게임 그룹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고, 선호도가 높은 순으로 게임 또는 게임 그룹을 선택하여 해당 게임들을 추천한다.
한편, 게임추천앱(20)과 게임추천 서버(30)는 통상의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구성 방법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체 시스템의 기능들을 클라이언트의 성능이나 서버와 통신 량 등에 따라 분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앱(20)이 스마트 단말(10) 상에서 게임 앱들의 설치, 사용, 삭제 등의 정보만을 수집하고, 서버(30)로부터 추천 앱들을 수신하여 해당 추천 앱들을 추천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그리고 서버(30)가 사용자의 사용패턴 등을 분석하여 추천한 앱들을 선택하는 작업 등을 수행한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앱(20)이 게임 앱들의 사용 또는 삭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따라 추천 앱들을 선택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서버(30)는 데이터나 백업 기능만 수행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게임추천 시스템으로 설명하나, 서버-클라이언트의 구성 방법에 따라 다양한 분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으로 구축될 수 있다.
도 2에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300)은 게임을 분류하여 군집화 하는 게임분류부(31),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된 게임이 삭제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삭제정보 수집부(32), 해당 게임의 삭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의 선호도를 산출하는 게임선호 산출부(33), 각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유저그룹을 선택하는 유사유저 선정부(34), 유사 유저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사용한 게임들을 추천 후보로 선정하는 추천후보 선정부(35), 및, 추천 후보 중에서 게임을 추천하는 게임추천부(36)로 구성된다.
먼저, 게임분류부(31)는 각 게임들을 분류하여 유사한 그룹으로 그룹화(또는 군집화) 한다.
각 게임들은 게임의 내용이나 수행 형태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즉, 각 게임들을 카테고리 화 하여 분류된다.
다음으로, 삭제정보 수집부(32)는 스마트 단말(10)에 설치되었다가 삭제되는 게임 각각에 대하여 해당 게임에 대한 사용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되는 사용 정보는 해당 게임의 설치시간 및 삭제시간, 게임을 설치하였다가 삭제할 때까지의 기간인 보유기간, 해당 게임을 실행한 총 시간인 사용시간, 해당 게임을 실행시킨 횟수인 사용횟수 등이다. 삭제정보 수집부(32)는 해당 게임이 설치되면 설치시간, 사용시간, 사용횟수 등을 누적하여 기록하다가 해당 게임이 삭제될 때 최종 사용 통계를 산출한다. 또한, 해당 게임을 마지막 실행 후 삭제할 때까지의 보유기간(이하 삭제전 보유기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또한, 삭제정보 수집부(32)는 해당 게임의 비용지출 유무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즉, 유료, 무료, 또는 데모 서비스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즉, 유료는 게임에 대하여 비용을 결제하고 설치하는 경우를 말하고, 무료는 비용 결제 없이 설치하는 경우를 말하며, 데모는 비용 결제가 없으나 게임 사용이 제한되는 경우를 말한다.
또한, 삭제정보 수집부(32)는 해당 게임의 단계(또는 스테이지)의 구성 및, 사용자가 수행한 단계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즉, 해당 게임이 다수의 스테이지(또는 단계)로 구성되어 단계별로 수행하는 게임인지, 전체가 하나의 스토리로 되어 전체를 수행하여 클리어(완료) 하는 게임인지를 수집한다.
또한, 삭제정보 수집부(32)는 해당 게임의 출시일을 게임 서버나 게임 마켓 등을 통해 수집한다.
또한, 삭제정보 수집부(32)는 해당 게임의 광고 노출 형태, 노출 빈도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다. 즉, 풀타임 광고로서, 스테이지 클리어 시 광고가 노출되는지, 이벤트 형식으로 노출되는지, 플레이어가 죽을 때마다 노출되는지 등을 수집한다. 또한, 팝업 광고인 경우, 게임 도중 노출되는지, 게임 화면의 일부 화면에서 노출되는지 등을 수집한다.
또한, 삭제정보 수집부(32)는 게임을 삭제할 때 사용자의 설문, 스마트 단말의 운영체제나 게임 마켓 등을 통해 게임의 삭제 이유를 수집한다. 삭제 이유는 크게 외부적 요인에 의한 삭제 이유와, 개인 취향에 의한 삭제 이유로 구분된다.
개인 취향에 의한 삭제 이유는 해당 게임을 완료 또는 싫증이 나서 삭제하는지, 사용자가 게임의 콘텐츠나 그래픽(그래픽 스타일)이 마음에 안들어 삭제하는지 등의 이유이다. 이들 이유들은 설문을 통해 수집한다.
또한, 외부적 요인에 의한 삭제는 공부 등 개인 사정에 의해 삭제하는지 등을 포함한다. 이들 이유들도 설문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외부적 삭제 요인에는 해당 게임의 업데이트 중지나 서비스 중지/종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삭제이유는 게임 마켓 서비스를 통해 수집된다. 또한, 외부적 삭제 요인에는 스마트 단말(10)의 포맷 등을 통해 삭제될 수 있고, 이러한 삭제 요인은 스마트 단말의 운영체제를 통해 수집된다.
다음으로, 게임선호 산출부(33)는 삭제되는 각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한다. 이때, 해당 게임의 삭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의 선호도를 산출한다.
게임선호 산출부(33)는 수집한 삭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한다. 각 수집한 삭제 정보들 각각이 평가항목이 되고, 해당 평가항목에 대하여 선호도 점수를 부가한다.
삭제 정보의 각 평가항목 및 해당 평가항목에 대한 선호도 점수의 일례가 도 3에 도시되고 있다.
총 사용시간은 해당 게임을 실행한 총 시간을 말한다. 해당 게임을 실행한 총 사용시간이 긴 만큼 선호도 점수를 높게 매긴다. 즉, 사용시간이 1일 이내이면 1점, 1일 초과 1주일 이내이면 2점, 1주일 초가 1개월 이내이면 4점, 1개월 초과 1년 이내이면 5점, 1년 이상이면 6점을 부여한다. 즉,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사용자는 해당 게임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보유기간은 게임을 설치한 후 삭제할 때 까지의 시간으로서, 보유 기간이 길수록 선호도 점수를 높게 부여한다. 즉, 보유기간이 길수록 해당 게임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을 반영한다.
다음으로, 삭제전 보유기간은 게임을 최종 실행한 후 해당 게임을 삭제할 때 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삭제전 보유기간이 길수록 높은 선호도 점수를 부여한다. 즉, 최종 실행 후에도 삭제하지 않고 오래 보유한다는 것은 그만큼 해당 게임에 대하여 선호도가 높다는 것을 반영한다.
다음으로, 사용비율은 사용자가 게임들을 수행하는 전체 사용시간 대비 해당 게임의 사용시간의 비율을 말한다. 즉, 해당 게임의 실행 비율이 높을수록 해당 게임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 것을 반영한다. 세부적으로, 해당 게임의 실행비율에서 해당 게임의 실행시간으로 세분화 하여, 선호도 점수를 세분화 할 수 있다. 즉, 실행비율이 20% 전후인 경우, 1일 미만인 경우 1점, 1주일 미만인 경우 2점, 1년 미만인 경우 2.5점, 1년 이상인 경우 3점 등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즉, 사용기간을 1일, 1주일 미만, 1년 미만, 1년 이상 등으로 세분화 하여 선호도 점수를 부여한다.
다음으로, 수행단계 정도 항목은 해당 게임을 수행한 정도에 따라 선호도 점수를 부여한다. 즉, 해당 게임의 수행 정도가 높을수록 해당 게임의 선호도가 높다는 것을 반영한다. 이때, 해당 게임이 다수의 단계로 구성된 스테이지 형태의 게임인지, 하나의 스토리로 구성되어 진행되는 게임인지에 따라 선호도 점수를 달리 부여한다. 즉, 스토리 형태의 게임인 경우, 해당 게임의 클리어(완료) 여부에 따라 선호도 점수를 부여한다. 반면, 스테이지 형태의 게임인 경우, 스테이지의 도달(또는 클리어) 비율에 따라 선호도 점수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스토리 형태의 게임은 클리어 한 것인지 안 한것인지에 따라 5점, 3점을 부여하고, 스테이지의 성취비율(클리어한 스테이지의 비율)이 20%, 40%, 60%, 80%, 90%의 각각에 대하여 1점, 2.5점, 3.5점, 4점, 5점 등으로 부여한다.
다음으로, 비용지출 여부 항목은 해당 게임이 비용을 지출한 유료 게임인지 비용지출 없이 설치한 무료 게임인지에 따라 선호도 점수를 달리 부여한다. 특히, 비용지출 여부의 선호도는 해당 게임의 수행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즉, 유료 게임인 경우, 클리어 여부에 따라, 또한, 클리어 되는 경우에도 추가 비용지불(DLC, Downloadable content) 여부에 따라 점수들 달리 부여한다. 특히, 비용을 많이 지불할수록 게임의 수행정도가 높을수록 선호도 점수는 높게 부여된다.
다음으로, 게임출시 경과기간 항목은 게임이 출시된지 얼마나 경과되었는지에 따라 선호도 점수를 부여한다. 즉, 1달, 1년, 2년, 그 이상의 기간에 따라 선호도 점수를 달리 부여한다. 즉, 최신의 게임일수록 높은 선호도 점수를 부여한다.
다음으로, 광고노출 항목은 광고가 많이 나오거나, 게임을 진행하는 중에 광고가 나오는 게임일수록 선호도 점수가 낮다. 즉, 광고가 적거나 스테이지 클리어 시 등 사용자가 집중하지 않을 때 노출되면, 선호도 점수가 상대적으로 높다. 예를 들어, 광고가 스마트 단말(10)의 화면 전체적으로 나오는 풀타임 광고는 스테이지 클리어시 광고가 나오면 3점, 이벤트 형식으로 광고가 나오면 2점, 플레이어가 아웃될 때마다 광고가 노출되면 1점으로 부여된다. 또한, 팝업 광고는 게임도중에 나오는 광고는 3점, 화면의 특정 일부분마다 나오는 광고는 4점이 부여된다.
또한, 게임선호 산출부(33)는 삭제되는 각 게임의 삭제 이유에 의한 각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한다. 이때, 해당 게임의 삭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의 선호도를 산출한다. 삭제 이유의 각 항목 및 해당 항목에 대한 선호도 점수의 일례가 도 4에 도시되고 있다.
도 4와 같이, 개인사정 항목은 게임과 무관한 개인 사정에 의하여 게임을 삭제하는 경우에 선호도 점수를 부여한다. 예를 들어, 공부를 하고 싶어 삭제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 이때, 한번에 모두 게임을 삭제하는 경우나, 일부의 게임(예를들어, 많이 하는 게임)을 삭제하는 경우이다. 한번에 삭제하는 경우에 더 많은 선호도를 부여한다. 즉, 일부 선택하여 게임을 삭제하는데 이들 일부 삭제 항목에 포함된다면 그만큼 해당 게임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서비스 중지 항목은 게임 서비스가 중지되어 게임을 삭제하는 경우의 선호도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게임 콘텐츠나 게임의 그래픽 스타일을 좋아하지 않아 삭제하는 경우의 선호도를 나타낸다. 게임 그래픽에 대해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와, 콘텐츠에 대해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 각각에 대하여 선호도 점수를 설정한다. 이때, 사용자가 선호하는 게임의 장르 인지 여부에 따라 선호도 점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게임 그래픽(또는 컨텐츠)에 대하여 마음에 들지 않으나 해당 장르를 좋아하는 경우에는 10점, 해당 장르를 좋아하지 않으면 5점으로 부여한다.
또한, 사용자 취향 변경 항목은 설치하는 게임의 장르가 유사한 면이 있는지에 따라 선호도 점수를 부여하거나, 사용자가 속한 그룹에 비슷한 유사 사용자가 있는지 여부에 따라 선호도 점수를 부여한다.
또한, 포맷 항목은 스마트 단말(10)이 포맷되는 등의 시스템 작업이 실행되어, 삭제되는 것을 말한다. 포맷 항목은 이후 게임이 다시 설치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선호도 점수가 달라질 수 있다.
게임선호 산출부(33)는 앞서 각 평가항목 또는 삭제이유 항목들의 선호도 점수들을 합산하여, 해당 게임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점수를 산출한다.
다음으로, 유사유저 선정부(34)는 각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유저그룹을 선택한다.
앞서 게임선호 산출부(33)에 의해 각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면, 각 게임에 대한 선호도가 유사한 사용자들을 선정한다. 선정된 사용자들을 유사 그룹으로 구성하고, 해당 유사 유저그룹을 선택한다.
이때, 임계치를 설정하여, 각 게임에 대한 선호도의 값이 임계치 이내로 유사하면, 해당 사용자와 유사하다고 판단한다. 삭제된 게임이 다수 개가 되므로, 각 게임의 선호도 차이에 대하여, 해당 각 차이의 절대값을 합산하거나, 제곱한 값을 합산하여 유사도를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추천후보 선정부(35)는 상기 유저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사용한 게임들을 추천 후보 게임으로 선정한다.
유사 유저그룹에 속하는 다른 사용자들이 설치했던 게임이면서, 해당 사용자가 아직 설치하지 아니한 게임을 후보 게임으로 선정한다.
다음으로, 게임추천부(36)는 추천 후보 게임 중에서 우선순위를 정하여, 상위 중 소정의 개수의 후보 게임을 선정하고, 선정된 후보 게임들을 추천한다.
우선순위는 해당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의 유사도와, 다른 사용자가 후보 게임에 대한 선호도에 의해 결정된다. 즉, 해당 사용자와 유사할수록 우선순위가 높고, 다른 사용자가 후보 게임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사용자 스마트 단말 20 : 게임추천앱
30 : 게임추천 서버 31 : 게임분류부
32 : 삭제정보 수집부 33 : 게임선호 산출부
34 : 유사유저 선정부 35 : 추천후보 선정부
36 : 게임추천부 40 : 데이터베이스
50 : 게임서비스 서버

Claims (5)

  1.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에 있어서,
    스마트 단말에 설치된 게임이 삭제되는 정보를 수집하는 삭제정보 수집부;
    해당 게임의 삭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게임의 선호도를 산출하는 게임선호 산출부;
    각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유사한 유사 유저그룹을 선택하는 유사유저 선정부;
    유사 유저그룹에 속하는 사용자들이 사용한 게임들을 추천 후보로 선정하는 추천후보 선정부; 및,
    추천 후보 중에서 게임을 추천하는 게임추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삭제정보 수집부는 해당 게임의 설치시간, 삭제시간, 게임을 설치하였다가 삭제할 때까지의 기간인 보유기간, 해당 게임을 실행한 총 시간인 사용시간, 해당 게임을 마지막 실행 후 삭제할 때까지의 보유기간(이하 삭제전 보유기간)을 수집하고, 해당 게임의 비용지출 유무에 대한 데이터, 해당 게임의 스테이지 구성 및 사용자가 수행한 스테이지 비율, 해당 게임의 출시일, 해당 게임의 광고 노출 형태 및 광고 노출 빈도를 포함하는 데이터, 게임의 삭제 이유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선호 산출부는 삭제되는 각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평가항목별로 산출하여, 산출된 각 평가항목별 선호도를 합산하여 해당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가항목은 해당 게임을 사용한 총 시간을 나타내는 총 사용시간, 해당 게임을 설치한 후 삭제할 때까지의 기간인 총 보유기간, 마지막 실행 후 삭제 까지의 기간인 삭제전 보유기간, 전체 게임 사용 시간 대비 해당 게임의 사용 시간의 비율인 사용비율, 해당 게임에서 수행한 정도를 나타내는 수행단계 정도, 해당 게임을 설치시 비용 지출 정도를 나타내는 비용지출 정도, 게임 출시일에서 삭제 까지의 기간인 게임출시 경과기간, 해당 게임 내에 광고 노출 정도를 나타내는 광고노출 정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임선호 산출부는 삭제되는 각 게임의 삭제이유에 대하여 선호도를 삭제이유 항목별로 산출하여, 산출된 각 삭제이유 항목별 선호도와 상기 평가항목별 선호도를 모두 합산하여 해당 게임에 대한 선호도를 산출하고,
    상기 삭제이유 항목은 개인 사정에 의하여 삭제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개인사정 항목, 해당 게임의 서비스 중지에 의한 삭제 이유를 나타내는 서비스중지 항목, 사용자가 해당 게임의 그래픽 스타일 또는 컨텐츠에 대하여 불만족하여 삭제하는 것을 나타내는 그래픽/컨텐츠 불만족 항목, 사용자 취향의 변경에 의한 삭제를 나타내는 사용자 취향 변경 항목, 및, 시스템의 포맷에 의한 삭제를 나타내는 포맷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KR1020170165672A 2017-12-05 2017-12-05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KR20190066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672A KR20190066179A (ko) 2017-12-05 2017-12-05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672A KR20190066179A (ko) 2017-12-05 2017-12-05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179A true KR20190066179A (ko) 2019-06-13

Family

ID=66847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672A KR20190066179A (ko) 2017-12-05 2017-12-05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617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25A (ko) * 2020-08-12 2022-02-21 (주)미니맵 사용자간 게임취향 일치도 산출을 통한 친구 및 게임 추천시스템
WO2022177319A1 (ko) * 2021-02-18 2022-08-25 (주)지엔에이컴퍼니 게임 플레이어의 군집화 방법
CN116485474A (zh) * 2023-04-29 2023-07-25 广州市安洛网络有限责任公司 一种游戏广告精准人群定向投放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723A (ko) 2005-04-27 2006-11-02 주식회사 팬택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25578A (ko) 2011-09-02 2013-03-12 주식회사 케이티 클라우드 게임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50086569A (ko) 2014-01-17 2015-07-29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모바일 게임 프로모션을 위한 타겟팅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2723A (ko) 2005-04-27 2006-11-02 주식회사 팬택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025578A (ko) 2011-09-02 2013-03-12 주식회사 케이티 클라우드 게임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150086569A (ko) 2014-01-17 2015-07-29 엔에이치엔엔터테인먼트 주식회사 모바일 게임 프로모션을 위한 타겟팅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0525A (ko) * 2020-08-12 2022-02-21 (주)미니맵 사용자간 게임취향 일치도 산출을 통한 친구 및 게임 추천시스템
WO2022177319A1 (ko) * 2021-02-18 2022-08-25 (주)지엔에이컴퍼니 게임 플레이어의 군집화 방법
KR20220117980A (ko) * 2021-02-18 2022-08-25 (주)지엔에이컴퍼니 게임 플레이어의 군집화 방법
CN116485474A (zh) * 2023-04-29 2023-07-25 广州市安洛网络有限责任公司 一种游戏广告精准人群定向投放系统
CN116485474B (zh) * 2023-04-29 2024-03-19 广州市安洛网络有限责任公司 一种游戏广告精准人群定向投放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72830B (zh) 直播频道中的互动方法及装置
CN107832437B (zh) 音/视频推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324909B1 (ko) 터치포인트 커스터마이제이션 시스템
CN106446078A (zh) 一种信息的推荐方法和推荐装置
CN108014496A (zh) 游戏记录分析方法
US7580853B2 (en) Methods of providing a marketing guidance report for a proposed electronic game
CN107679920A (zh) 一种广告的投放方法和装置
US201400044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motion expression service using emotion expression identifier
CN107526810B (zh) 建立点击率预估模型的方法及装置、展示方法及装置
KR20150135081A (ko) 코호트 기반의 사용자 분석 플랫폼과 마케팅 플랫폼을 이용한 광고방법 및 장치
KR102266517B1 (ko) 사용자의 실행 패턴을 이용한 상품 추천 시스템, 사용자의 실행 패턴을 이용한 상품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90066179A (ko) 게임 삭제 기록을 이용한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Slof et al. A competing risks model based o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for predicting churn reasons
CN104967690B (zh) 一种信息推送方法及装置
CN111798260A (zh) 用户行为预测模型构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287399A (zh) 直播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190108553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portable device advertising
US201601176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Ranking Schema to Calculate Effort Related to an Entity
KR20200065426A (ko) 모바일 게임 추천 시스템, 모바일 게임 추천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N110267086B (zh) 主播标签建立方法和装置、直播网络界面引擎接口和介质
Fernández del Río et al. A time series approach to player churn and conversion in videogames
KR101813082B1 (ko) 게임 보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4692002A (zh) 预测模型的更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PUŠNAR et al. Improving Direct Marketing Activities Effectiveness Using Analytical Models: rfm vs. Logit Model on a Casino Case.
CN114880094A (zh) 一种基于可穿戴设备的应用推荐方法及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