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889A - 두루마리 필통 - Google Patents

두루마리 필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889A
KR20190065889A KR1020170165474A KR20170165474A KR20190065889A KR 20190065889 A KR20190065889 A KR 20190065889A KR 1020170165474 A KR1020170165474 A KR 1020170165474A KR 20170165474 A KR20170165474 A KR 20170165474A KR 20190065889 A KR20190065889 A KR 201900658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case
writing instrument
case
hard
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진
Original Assignee
박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진 filed Critical 박현진
Priority to KR102017016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5889A/ko
Publication of KR20190065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8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43M99/001Desk sets
    • B43M99/007Stands for pens with tubular or porous writing-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2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 B43K23/04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with means for preventing rolling enabling the writing implement to be set upr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incompressible or rigid rod-shaped or tubula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예전에 선조들이 다수의 붓을 들고 다니기 위해서 두루마리 형태로 붓을 감아 들고 다니던 습성과 버릇에서 창안한 두루마리형 필통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귀중한 필기구나 깨지기 쉬운 필기구의 경우 중심부에 확보하는 개방 가능한 하드필통의 내측에 그 커버를 해제한 상태에서 보관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하드필통의 외곽으로는 길게 늘어서 연장되는 피륙이나 직물류로 제작한 두루마리 필통부를 고정하고, 사용할 때에는 펼쳐서 사용을 하지만 이동을 위해서는 상기 두루마리 필통부가 하드필통의 외곽부에 둘둘 감겨 일몸체가 될 수 있도록 하며, 두루마리필통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묶음처리부를 통해서 상기 두루마리필통부와 하드필통을 탄성력으로 감싸 견고히 결합시키는 두루마리형 필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두루마리 필통 {A roller pencil case}
[0001] 본 고안은 예전에 선조들이 다수의 붓을 들고 다니기 위해서 두루마리 형태로 붓을 감아 들고 다니던 습성과 버릇에서 창안한 두루마리형 필통에 관한 것이다.
[0002] 특히 본 고안은 귀중한 필기구나 깨지기 쉬운 필기구의 경우 중심부에 확보하는 개방 가능한 하드필통의 내측에
그 커버를 해제한 상태에서 보관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하드필통의 외곽으로는 길게 늘어서 연장되는
피륙이나 직물류로 제작한 두루마리필통부를 고정하여, 이를 사용할 때에는 펼쳐서 사용을 하지만 이동을 위해
서는 상기 두루마리필통부가 하드필통의 외곽부에 둘둘 감겨 일 몸체가 될 수 있도록 하며, 두루마리필통부의 끝
단에 형성되는 묶음처리부를 통해서 상기 두루마리필통부와 하드필통을 탄성력으로 감싸 견고히 결합시키는 두루마리형 필통에 관한 것이다.
[0003] 일반적으로 필통은 필기구를 수용시켜 이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구이다. 종래 이러한 필통은 붓을 이동시키기 위한 붓통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 붓통의 전에는 다수의 붓을 두루마리의 형태로 둘둘 말아서 붓을 보관함은 물론 이동도 시키고 있었다.
[0004]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사용되던 붓 두루마리 보관방법에서 착안하여, 보다 혁신적인 필통을 제작하고자 했다.
[0005] 그럼 이러한 본 고안의 필통에 비견할 수 있는 종래 등록 고안의 하나인 공개실용신안 20-2000-0011773호(공개일자 2000. 07. 05) "개폐가 용이한 필통"을 먼저 살펴본다.
[0006] 제 1케이스(10)는 일 측이 개방된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방부에는 각각 돌출부(12,11)가 형성되어 있다.
제 1케이스(10)의 일 측벽 면에는 고리(40)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고리는 열쇄 고리 등 기타 장식을 걸기 위한 것이다.
[0007] 도시된 도 1에서처럼, 이 건 고안은 제 2케이스(20)는 일 측이 개방된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는데, 제 1케이스(10)보다 제 2케이스(20)의 길이는 작다, 제 2케이스(20)의 개방부에는 개구(21,21a)가 형성되어 상술한 제 1케이스(10)의 돌출부(11,12)와 접하게 된다. 힌지(30)는 제 1케이스(10)와 제 2케이스(20)를 연결하게 되는데, 힌지(30)를 기준으로 하여 제 2케이스(20)는 제 1케이스(10)에 대하여 선회 될 수 있다. 제 2케이스(20)가 선회됨에 따라 제 1케이스(10)의 개방 부는 개폐 될 수 있다. 한편, 힌지(30)에는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이 내장되어 있어, 제 1케이스(10)에 대하여 제 2케이스(20)가 원활하게 선회되도록 한다.
[0008] 제 1케이스(10) 및 제 2케이스(20)의 재질은 얇은 재질로 되어 있어서, 도 1(a)의 상태에서 작업자가 돌출부(12)의 하부를 누르면 한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제 2케이스(20)가 선회된다. 이때 제 1케이스(10)의 돌출부(11,12)가 제 2케이스(20)의 개구(21,21a)에서 분리된다. 이때 A, A'부가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된다. 한편, A, A'
부에도 돌출부 및 개구를 각각 형성 할 수 있다. 개폐수단(40)은 도 1 B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개폐수단(40)의 신뢰성을 향상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케이스(10)에 하우징(41)을 형성하고, 하우징(41)의 내부에 탄성체
(43)을 장착하였다. 탄성체(43)의 상부에는 버튼(42)을 장착하였다. 버튼(42)을 누름에 따라 버튼(42)과 일체로 형성된 돌출부(42a)가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제 2케이스(20)의 A'부가 선회되어 제 1케이스(10)의 A 부와 접하게 될 때, 개구(21a,21)에 돌출부(42a)가 걸리게 된다. 이때, 제 2케이스(20)는 제 1케이스(10)와 결합되어 필통이 닫히는 것이다. 이후에 버튼(42)들 누르면 제 2케이스(20)는 힌지(30)를 기점으로 하여 선회되어 제 1케이스(10)의 상부를 개방하게 된다.
[0009] 이러한 종래 고안의 경우 케이스의 개방이 용이하기는 하지만, 실질적으로 불편한 점이 많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도 해결하여, 사실 필통을 개방할 필요도, 필통의 커버를 밀폐시킬 필요도 없는 형태로 형상과 기능을 변형 하였다.
[0010] 본 고안은 예전에 선조들이 다수의 붓을 들고 다니기 위해서 두루마리 형태로 붓을 감아 들고 다니던 습성과 버릇에서 창안한 두루마리형 필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0011] 특히 본 고안은 귀중한 필기구나 깨지기 쉬운 필기구의 경우 중심부에 확보하는 개방 가능한 하드필통의 내측에 그 커버를 해제한 상태에서 보관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상기 하드필통의 외곽으로는 길게 늘어서 연장되는 피륙이나 직물류로 제작한 두루마리 필 통부를 고정하여, 이를 사용할 때에는 펼쳐서 사용을 하지만 이동을 위해서는 상기 두루마리필통부가 하드필통의 외곽부에 둘둘 감겨 일 몸체가 될 수 있도록 하며, 두루마리필통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묶음처리부를 통해서 상기 두루마리필통부와 하드필통을 탄성력으로 감싸 견고히 결합시키는 두루마리형 필통을 제공하고자 한다.
0012] 본 고안에 따른 두루마리형 필통은, 연필, 볼펜, 사인펜 및 문자를 새기거나 쓸 수 있는 필기구(1)를 보관하거나 기타 문구류를 보관하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필통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상부가 개방 될 수 있도록 최상단을 개방하여 필 기류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22)와 상기 개방부(22)측에서, 몸체의 지름에 비하여 작은 형태로 돌출되는 개방부(22)의 왜 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류부(21)로 이루어져, 필 기류와 문구류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필 통함(20)과, 상기 필 통함(20)의 개방부(22)에 스크루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형성되는 대응 스크류부(비도시)를 갖고 스크류 체결되어 상기 개방부(22)에 채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 통함(20)의 몸체와 수직되게 연장되는 상태로 개방부(22)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필통커버(10)로 이루어진 하드필통(A); 일측단에 상기 하드필통(A)이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의 삽입공간(19)이 형성되고, 하측으로는 필기구 저 장부(43)와 문구류 내장부(43)를 가지고, 여기에 연장되어 상기 하드필통(A)의 외주면 을 완벽하게 커버하는 커버부(36) 및 커버부(36) 끝단에 형성되는 묶음처리부(40a)를 두어 하드필통(a)과의 결합을 완성시키는 두루마리 필 통부(B);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드필통(A)은 두루마리 필 통부(B)의 일측단인 원형의 삽입 공간(19)에 끼워져 접착제나 별도의 끼움구조를 통해서 하드필통(A)이 삽입공간(19)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두루마리 필 통부(B)의 필기구 저 장부(43)는 피륙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직물류로 제작하되, 겹으로 이루어져 서로 포개어 결합하고 일정한 간격(h)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박음질 제한라인(32)을 통해서 서로 구분된 일정영역을 갖는 다수의 필기구 삽입곡(31)을 형성하며; 상기 두루마리 필 통부(B)의 문구류 내장부(33)는, 필기구 저 장부(43)와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하되 겹으로 이루어져 서로 포개어 결합하고 일정한 폭을 가져 내측에 문구유를 내장시킬 수 있도록 표면의 일정부분을 절단하여 결합시키는 지퍼(34)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루마리 필 통부(B)의 타단인 묶음처리부(40a)는, 둘둘 말려 필통을 감싸도록 하는 커버부(36)의 끝단 중심부분에서 연장되어 일정한 고리형의 끝단부(40)를 형성하고, 이 끝단부(40)에 걸리는 원형의 고리랑(41)을 결합시키며, 상기 고리랑(41)에 걸리는 고무줄인 묶음라인(42)을 체결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두루마리 필 통부(B)의 삽입 공간(19)에 하드필통(A)이 끼워진 상태에서 그 커버(10)를 착탈하는 방식으로 깨지기 쉬운 문구류나 고가의 필기구(1)를 내장의 방식으로 보관시킨 후, 상기 하드필통(A)의 외주면 으로 두루마리 필통부(B)를 감되, 필기구 저 장부(43)에 형성되는 다수의 필기구 삽입곡(31)에 다수의 필기구(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두루마리 필통부(B)를 둘둘 말아 하드필통(A)의 외곽으로 지름을 확대하는 형태로 필통의 부피를 가감시키도록 하고; 감겨진 두루마리 필 통부(B)는 그 끝단에 형성되는 고무줄의 형태인 묶음라인(42)을 이용하여 하드필통(A)과 두루마리 필 통부(B)의 외부를 감아 탄성력을 이용하여 서로 해체되지 않도록 유도한다.
[0013] 또한 본 고안 두루마리형 필통에 따른, 하드필통(A)은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하되, 재질은 합성수지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 필기구 삽입곡(31)은, 필기구 저 장부(43)에서 필기구 삽입곡(31)을 형성시키는 최상단은 겹으로 감싸지는 마감부(51)로 처리하되 내측에 고 탄성의 고무줄(52)을 내장시켜 필기구(1)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하고, 삽입곡(31)의 좌우 폭의 간격(h)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져 다양한 필기구(1)나 문구류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0014] 본 고안에 따라, 아주 간단하게 필기구를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펼쳐서 ] 사용하기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0015] 또한 본 고안에 따라, 필기구를 경우도 완벽하게 필통으로 패킹을 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다.
[0016] 또한 본 고안에 따라, 깨지기 쉬운 필기구는 별도의 하드필통에 비치하고, 간단하게 사용하기 위한 필기구의 경우 두루마리필통부에 간단하게 수용하고, 또 빼내어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에 필기구의 보관과 수용이 안전
하면서도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0017] 도 1은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필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필통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필통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하드필통을 완전히 탈착한 상태에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필통 요부인 필기구 삽입곡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필기구 삽입곡 사이의 간격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필기구를 전체적으로 단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0018] 본 고안은 연필, 볼펜, 사인펜 및 문자를 새기거나 쓸 수 있는 필기구(1)를 보관하거나 기타 문구류를 보관하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필통에 관한 것이다.
[0019] 따라서 본 고안의 필통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구성은 물론 그 작동의 방식도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최상단을 개방하여 필 기류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22)와 상기 개방부(22)측에서, 몸체의 지름에 비하여 작은 형태로 돌출되는 개방부(22)의 외주면 에 형성되는 스크류부(21)로 이루어져, 필 기류와 문구류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필 통함(20)과, 상기 필 통함(20)의 개방부(22)에 스크루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형성되는 대응 스크류부를 갖고 스크루 체결되어 상기 개방부(22)에 채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 통함(20)의 몸체와 수직되게 연장되는 상태로 개방부(22)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필통커버(10)로 이루어진 하드필통(A)이 있고, 일측단에 상기 하드필통(A)이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의 삽입공간(19)이 형성되고, 하측으로는 필기구 저 장부(43)와 문구류 내장부(33)를 가지고, 여기에 연장되어 상기하드필통(A)의 외주면 을 완벽하게 커버하는 커버부(36) 및 커버부(36) 끝단에 형성되는 묶음처리부(40a)를 두어 하드필통(a)과의 결합을 완성시키는 두루마리 필통부(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하드필통(A)은 두루마리 필 통부(B)의 일측단인 원형의 삽입 공간(19)에 끼워져 접착제나 별도의 끼움구조를 통해서 하드필통(A)이 삽입 공간(19)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두루마리 필 통부(B)의 필기구 저 장부(43)는 피륙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직물류로 제작하되, 겹으로 이루어져 서로 포개어 결합하고 일정한 간격(h)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박음질 제한라인(32)을 통해서 서로 구분된 일정영역을 갖는 다수의 필기구 삽입공(31)을 형성한다.
[0020] 또한 상기 두루마리 필 통부(B)의 문구류 내장부(33)는, 필기구 저 장부(43)와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하되 겹으로 이루어져 서로 포개어 결합하고 일정한 폭을 가져 내측에 문구류를 내장시킬 수 있도록 표면의 일정부분을 절단하여 결합시키는 지퍼(34)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루마리 필 통부(B)의 타단인 묶음처리부(40a)는, 둘둘 말려 필통을 감싸도록 하는 커버부(36)의 끝단 중심부분에서 연장되어 일정한 고리형의 끝단부(40)를 형성하고, 이 끝단부(40)에 걸리는 원형의 고리랑(41)을 결합시키며, 상기 고리랑(41)에 걸리는 고무줄인 묶음라인(42)을 체결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0021] 또한 상기 두루마리 필 통부(B)의 삽입 공간(19)에 하드필통(A)이 끼워진 상태에서 그 커버(10)를 착 탈하는 방식으로 깨지기 쉬운 문구류나 고가의 필기구(1)를 내장의 방식으로 보관시킨 후, 상기 하드필통(A)의 외주면 으로 두루마리 필통부(B)를 감되, 필기구 저 장부(43)에 형성되는 다수의 필기구 삽입공(31)에 다수의 필기구(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두루마리 필 통부(B)를 둘둘 말아 하드필통(A)의 외곽으로 지름을 확대하는 형태로 필통의 부피를 가감시키도록 하고, 감겨진 두루마리 필 통부(B)는 그 끝단에 형성되는 고무줄의 형태인 묶음라인(42)을 이용하여 하드필통(A)과 두루마리 필 통부(B)의 외부를 감아 탄성력을 이용하여 서로 해체되지 않도록 유도한다.
즉, 본 고안은 붓이나 필기구를 둘둘 말아서 보관하던 예전의 방식에서 착안해서, [0022] 다수의 필기구(1)를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도록 한 필통(100)이다.
[0023] 본 고안의 경우, 깨지기 쉬운 필기구(1)나 고가의 필기구(1)는 보관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하드필통(A)을 사용한다. 상기 하드필통(A)은 금속재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이 가능한데, 뚜껑을 개방할 수 있도록 한 형태이다. 도시된 도 2와 3에서처럼 내주면 에 대응 스크류부를 갖고 있는 필통커버(10)은 필 통함(20)의 몸체 외주면 에 형성한 스크류부(21)와 스크루 결합된다. 회전하여 결합시키고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 하드필통(A)의 내주면 에는 별도의 실리콘코팅을 하여 접촉이나 마찰에 의해서 필기구(1)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0024] 이러한 하드필통(A)은 도 4에 도시된 두루마리 필 통부(B)의 삽입 공간(19)에 끼워진다. 삽입 공간(19)은 도시된 도면에서처럼,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하드필통(A)을 완벽하게 수용할 수 있는 형태이다. 본 고안에서는 도시된 도면에서 하드필통(A)을 원형으로 실시했기에 원형의 단면만을 예정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반드시 이러한 원통형의 하드필통(A)만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8각의 형상이거나 10각의 형상으로 제작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아무튼 본 고안의 하드필통(A)은 전술한 것처럼, 두루마리 필 통부(B)의 삽입 공간(19)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두루마리 필 통부(B)는 넓게 펼치면 일체형으로 직물류로 제작되고, 둘둘 말을 수 있는 플렉시블한 재질적 특성이 있다.
[0025] 두루마리 필 통부(B)는 도시된 도 2와 3에서처럼 전술한 삽입공간(19)과 일체로 필기구 저 장부(43)가 형성되고, 상기 필기구 저 장부(43)에는 문구류 내장부(33)가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 문구류 내장부(33)에서 연장되어 별도의 커버부(36)가 마련되고, 커버부(36)의 끝단으로 묶음처리부(40a)가 형성된다.
[0026] 필기구 저 장부(43)는 겹으로 이루어진 제1 외피층(50A)과 제2 외피층(50A)으로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제1 외피층(50A)과 제2 외피층(50A)이 겹을 형성한다. 상기 겹으로 이루어진 제1 외피층(50A)과 제2 외피층(50A)은 일정한 간격을 가지며 박음질되어 도시된 도 2 내지 5에서와 같이 필기구 삽입곡(31)을 형성한다. 이 필기구 삽입곡(31)은 다수 개가 비치되는데, 이 삽입곡(31)에 사용자의 필기구(1)가 끼워져 삽입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필통은 사용하던 필기구(1)를 바로 삽입곡(31)에 끼워 둘둘 말아 견고하게 보관도 하면서, 이동과 유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필통(100)이다.
[0027]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이 필기구 저 장부(43)는 필요에 따라 그 길이를 다르게 형성할 수 있도록 했으며, 보다 많은 수의 필기구(1)를 사용하는 사람에게는 10개 내지 30개 정도의 삽입곡(31)이 형성된 필기구 저 장부(43)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물론 저학년이나 필요한 필기구(1)만을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위해서는 상기 삽입곡(31)이 약 8개 이내인 필기구 저 장부(43)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 필기구 저장부(43)의 특징은 도시된 것처럼 삽입곡(31)을 형성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장형의 박음질을 하게 되는데, 이는 필기구 저장 공간을 박음질을 통해서 구분하는 것이다. 도시된 도 6에는 그 박음질을 하는 간격을 서로 달리한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삽입곡(31)의 폭이 h1, h2로 서로 다른 형태의 필기구 저 장부(43)이다. 필기구(1)의 경우도 그 지름이서로 다르기에 이러한 모든 형태의 필기구(1)를 수용할 수 있는 삽입곡(31)의 조합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나의 삽입곡(31)에 반드시 필기구(1)만을 삽입하는 것이 아니고, 가위나 칼 등의 기타 문구류도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폭이 되도록 박음질 제한라인(32)을 형성한다.
[0028] 또한 본 고안의 필기구 저 장부(43)는 전술한 것처럼 제1 외피층(50A)과 제2 외피층(50A)으로 이루어진 겹의 형태이다. 이러한 제1 외피층(50A)과 제2 외피층(50A)의 경우도 도시된 도 5의 확대도에서처럼 3개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즉, 양단의 외층(56)과 그 내측에 존재하는 탄력층(55)이다. 필기구(1)가 삽입곡(31)에 끼워진 상태에서 필기구(1)에 가해지는 하중과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외층(56)의 내측에 스펀지나 부직포 및 우레탄이나 고무와 같은 탄성을 발휘할 수 있는 층을 내장시켰다.
[0029] 비록 모든 필기구(1)를 개별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다수의 삽입곡(31)을 형성하지만, 부피의 지나친 확대를 차단하기 위해서 얇은 막 형태로 내장시키고 융착시킨다.
[0030] 본 고안에서 사용하는 두루마리 필통부(B)는 삽입공간(19), 필기구 저 장부(43), 문구류 내장부(33), 커버부(36) 및묶음 처리부(40a)로 이루어진다. 전술된 내용은 필기구 저장부(43)에 관한 내용인데, 본 고안의 두루마리 필 통부(B)는 상기 필기구 저장부(43) 외에도 문구류 내장부(33), 커버부(36) 및 묶음처리부(40a)가 결합된 형태임이 중요하다.
문구류 내장부(33)는 필기구 저장부(43)에서 연장되어 피륙이나 합성수지 직물류로 [0031] 박음질하여 형성하는데, 외층의 일측으로 지퍼(34)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문구류 내장부(33)는 지퍼(34)를 개방한 상태에서 그 내측에 메모지나 간지 및 기타 사용자가 보관하고자 하는 문구류를 내장시킬 수 있다. 필기구 저 장부(43)의 경우 일정한 공간을 구획하고 있기에 넓은 폭의 문구류를 내장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필기구 저장부(43)와는 달리 문구류 내장부(33)는 내측에 별도의 공간을 구획하지 않고 넓은 폭을 가진 상태로 실시한다. 내부에 공간부에 필요한 문구나 학용품을 내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0032] 결국 본 고안의 필통(100)의 사용방법을 보면, 도시된 것처럼 하드필통(A)의 내측에 깨지기 쉽거나 고가의 필기구(1)를 내장시키고, 두루마리 필통부(B) 중 필기구 저장부(43)에 다수의 필기구(1)를 끼워 넣는다. 필기구 저장부(43)를 이루는 다수의 삽입곡(31)에 필기구(1)를 끼워 넣어 다수의 필기구(1)를 실질적으로 별도로 패킹하여 보관하는 방식을 취한다.
[0033] 이렇게 두루마리 필통부(B)를 펼쳐서 사용자가 필통(100)을 사용하다가, 이동을 위해서 필통(100)을 싸려고 한다면, 상기 두루마리 필통부(B)의 빈 삽입곡(31)에 필기구(1)를 다시 끼워 삽입하고, 두루마리 필통부(B)를 하드필통(A)의 외곽으로 둘둘 말아 보관한다. 만일 두루마리 필통부(B)에 형성되는 필기구 저장부(43)의 폭이 넓다면 상기 하드필통(A)들 겹으로 감을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필기구 저장부(B)의 폭이 작다면 하드필통(A)을 다수해 감기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서 서로 다르게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0034] 중요하게는 필기구(1)의 보관과 이동을 위해서는 하드필통(A)의 외곽으로 두루마리 필통부(B)를 감아주게 되면, 상기 필기구 저장부(43)와 문구류 내장부(33)가 하드필통을 감으면서 견고히 밀착되고, 두루마리 필통부(B)의 최끝단에 형성되는 커버부(36)가 최외각에서 층을 이루며 감기게 된다. 물론 상기 커버부(36)의 끝단에는 묶음처리부(40a)가 형성되는데, 이는 도시된 도 2와 3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0035] 도시된 것처럼, 묶음처리부(40a)는 커버부(36)의 끝단에 고리의 형태로 감겨진 끝단부(40)가 형성되는데, 이 끝단부(40)에 인형의 고리링(41)이 끼워진다. 물론 고리랑(41)에는 탄성의 탄성 고무줄(=묶음라인; 42)이 끼워진다. 따라서 만일 하드필통(A)의 외곽으로 필기구 저장부(43)가 감기고, 연장된 문구류 내장부(33)가 감기고 나서 커버부(36)가 마감하여 둘둘 감기게 되면, 하드필통(A)과 두루마리 필통부(B)는 둘둘 감긴 원통형의 형태로 형상이 완성된다.
[0036] 이 원통형의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본 고안에서는 탄성 고무줄의 탄성력을 이용하였다. 고무줄인 묶음라인(42)을 고리랑(41)에 걸어 항상 두루마리 필통부(B)와 함께 가지고 다니다가 둘둘 말린 상태에서 상기 묶음라인(42)으로 그 말린 두루마리 필통부(B)가 풀리지 않도록 감싸주는 것이다. 묶음라인(42)은 그 탄성력으로 인하여 하드필통(A)의 외곽 부를 둘둘 감은 두루마리 필통부(B)가 풀리지 않도록 하면서도, 서로 견고하게 밀착되어 내구성도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0037] 한편 본 고안에서 상기 하드필통(A)은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하되, 재질은 합성수지와 금속재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의 하드필통(A)의 단면은 도시된 도면과 같이 원형의 단면을 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유는 하드필통(A)의 외곽으로 감기게 될 두루마리 필통부(B)가 잘 감길 수 있는 형태인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원형의 단면이 전술된 것처럼, 완벽하게 한정될 필요가 없다. 감기기도 유리하고, 견고함도 담보할 수 있는 다각형의 형상을 하고 있어도 무방하다. 6각, 8각, 10각 정도의 다각형 하드필통(A)을 삽입공간(19)에 내장시키고, 하드필통(A)의 외주면 에 둘둘 말아 두루마리 필통부(B)를 감을 수 있도록 한다. 재질적으로도 특별하게 선택된 것은 없지만,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제작된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0038] 마지막으로 본 고안에서 상기 필기구 삽입곡(31)은, 필기구 저장부(43)에서 필기구 삽입곡(31)을 형성시키는 최상단은 겹으로 감싸지는 마감부(51)로 처리하되 내측에 고 탄성의 고무줄(52)을 내장시켜 필기구(1)를 잡아 줄 수 있도록 하고, 삽입곡(31)의 좌우 폭의 간격(h)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져 다양한 필기구(1)나 문구류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시된 도 5에서처럼 본 고안의 두루마리 필통부(B)의 경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박음질되는 제한라인(32)을 통해서 공간이 구획된다. 도시된 도 6과 같이 상기 제한라인(32)과의 간격이 넓은 경우도 있지만, 좁은 경우도 있다. 이는 상기 제한라인(32)으로 구분되는 삽입곡(31)에 끼워질 필기구(1)의 다양성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본 고안의 삽입곡(31)은 도시된 도 5에서처럼, 최상단에 마감부(51)가 형성되는데, 이 마감부(51)의 내측으로 고무줄이 내장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서로 간의 간격을 좁히고 있다. 즉, 만일 상기 제한라인(32)과의 간격이 다소 넓은 간격인 h2 정도의 삽입곡(31)에 지름이 작은 필기구(1)를 끼워 삽입하게 되면, 필기구(1)가 끼워진 상태에서도 공간이 남아도는 현상이 발생된다. 바로 이러한 때에도 일단 삽입곡(31)에 끼워진 필기구(1)는 의도치 않는다면 빠지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고안의 삽입곡(31) 최상단에는 겹으로 말아 마감한마감부(51)[0039] 가 형성되고, 이 마감부(51)의 내측으로 고무줄(52)을 내장시켜 고무줄(52)의 탄성력이 필기구(1)를 잡아 줄 수 있도록 한다.
[0040] 보다 넓은 간격으로 이루어진 h2일 지라도, 고무줄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삽입곡(31)을 좁히고 있기에 좁아진 삽입곡(31)에 끼워진 필기구(1)는 빠지지 않는 것이다. 물론 작은 간격으로 이루어진 h1 정도의 삽입곡(31)이라면 이 고무줄(52)의 탄성력은 물론 좁은 간격에서 발생되는 기압력으로 인하여 손쉽게 필기구(1)가 빠지지 않는다.
[0041] 미설 명된 부호인 35는 경사부를 칭하는데, 문구류 내장부(33)와 커버부(36)를 부드럽게 연결시키기 위하여 폭을 좁히는 테이퍼진 부분을 칭하고, 30번은 두루마리 필통부(B)에서 필기구 저장부(43)와 문구류 내장부(33)만을 층하는 두루마리주요부를 칭한다.
[0042] 1: 필기구 10: 필통커버
20: 필통함 21: 스크류부
22: 개방부 30: 두루마리주요부
31: 삽입공 32: 제한라인
33: 문구류 내장부 34: 지퍼
35: 경사부 40: 끝단부
40a: 묶음처리부 41: 고리링
42: 묶음라인 43: 필기구 저장부
51: 마감부 52: 고무줄
A: 하드필통 B: 두루마리 필통부

Claims (2)

  1. 연필, 볼펜, 사인펜 및 문자를 새기거나 쓸 수 있는 필기구(1)를 보관하거나 문구류를 보관하고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필통에 있어서,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몸체의 상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최상단을 개방하여 필기류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방부(22)와 상기 개방부(22)측에서 몸체의 지름에 비하여 작은 형태로 돌출되는 개방부(2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스크류부(21)로 이루어져, 필기류와 문구류의 저장 공간을 제공하는 필통함(20)과, 상기 필통함(20)의 개방부(22)에 스크류 결합할 수 있도록 내주면에 형성되는 대응 스크류부를 갖고 스크류 체결되어 상기 개방부(22)에 채결된 상태에서는 상기 필통함(20)의 몸체와 수직되게 연장되는 상태로 개방부(22)를 폐쇄시키도록 하는 필통커버(10)로 이루어진 하드필통(A); 일측단에 상기 하드필통(A)이 끼워질 수 있도록 원형의 삽입공간(19)이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필기구 저장부(43)와 문구류 내장부(33)를 가지고, 여기에 연장되어 상기 하드필통(A)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커버부(36) 및 커버
    부(36) 끝단에 형성되는 묶음처리부(40a)를 두어 하드필통(a)과의 결합을 완성시키는 두루마리 필통부(B);로 이루어지되,상기 하드필통(A)은 두루마리 필통부(B)의 일측단인 원형의 삽입공간(19)에 끼워져 접착제나 별도의 끼움구조를 통해서 하드필통(A)이 삽입공간(19)에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 두루마리 필통부(B)의 필기구 저장부(43)는 피륙이나 합성수지 재질의 직물류로 제작하되, 겹으로 이루어져
    서로 포개어 결합하고 일정한 간격(h)을 두고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박음질 제한라인(32)을 통해서 서로 구분된 일정영역을 갖는 다수의 필기구 삽입공(31)을 형성하며; 상기 두루마리 필통부(B)의 문구류 내장부(33)는, 필기구 저장부(43)와 일체로 연장되게 형성하되 겹으로 이루어져
    서로 포개어 결합하고 일정한 폭을 가져 내측에 문구류를 내장시킬 수 있도록 표면의 일정부분을 절단하여 결합시키는 지퍼(34)를 형성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루마리 필통부(B)의 타단인 묶음처리부(40a)는, 둘둘 말려 필통을 감싸도록 하는 커버부(36)의 끝단 중심부분에서 연장되어 일정한 고리형의 끝단부(40)를 형성하고, 상기 끝단부(40)에 걸리는 원형의 고리링(41)을 결합시키며, 상기 고리링(41)에 걸리는 고무줄인 묶음라인(42)을 체결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두루마리 필통부(B)의 삽입 공간(19)에 하드필통(A)이 끼워진 상태에서 그 커버(10)를 착탈하는 방식으로 깨지기 쉬운 문구류나 고가의 필기구(1)를 내장의 방식으로 보관시킨 후, 상기 하드필통(A)의 외주면으로 두루마리 필통부(B)를 감되, 필기구 저장부(43)에 형성되는 다수의 필기구 삽입공(31)에 다수의 필기구(1)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두루마리 필통부(B)를 둘둘 말아 하드필통(A)의 외곽으로 지름을 확대하는 형태로 필통의 부피를 가감시키도록 하고; 감겨진 두루마리 필통부(B)는 그 끝단에 형성되는 고무줄의 형태인 묶음라인(42)을 이용하여 하드필통(A)과 두루마리 필통부(B)의 외부를 감아 탄성력을 이용하여 서로 해체되지 않도록 유도하며, 필기구 삽입공(31)은, 필기구 저장부(43)에서 필기구 삽입공(31)을 형성시키는 최상단은 겹으로 감싸지는 마감부(51)로 처리하되 내측에 고무줄(52)을 내장시켜 필기구(1)를 잡아줄 수 있도록 하고, 삽입공(31)의 좌우 폭의 간격(h)은 서로 다른 형태로 이루어져 다양한 필기구(1)나 문구류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필통.
  2. 제1항에 있어서,
    하드필통(A)은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이나 다각형의 형태로 하되, 재질은 합성수지와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루마리형 필통.
KR1020170165474A 2017-12-04 2017-12-04 두루마리 필통 KR201900658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474A KR20190065889A (ko) 2017-12-04 2017-12-04 두루마리 필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5474A KR20190065889A (ko) 2017-12-04 2017-12-04 두루마리 필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889A true KR20190065889A (ko) 2019-06-12

Family

ID=66845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5474A KR20190065889A (ko) 2017-12-04 2017-12-04 두루마리 필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588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859A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리멤버 플래너 펜홀더가 구비된 다이어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7859A (ko) * 2020-05-11 2021-11-18 주식회사 리멤버 플래너 펜홀더가 구비된 다이어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3016B2 (en) Container with collapsible loops
US20080276430A1 (en) Ergonomic handle to carry shopping bags
JP5927197B2 (ja) 丸められるサンバイザー
US9072350B2 (en) Hair accessory organizer and storage device
US20070227929A1 (en) Ribbon-stabilized gift box
US20160219958A1 (en) Package assembly for hair extensions
KR20190065889A (ko) 두루마리 필통
US20090034884A1 (en) Convenient portable bag
KR200469210Y1 (ko) 두루마리형 필통
JP7054927B2 (ja) 物品入れ
JP3133648U (ja) 買物用再生バッグ
US9498038B2 (en) Handbag protection device
CN109414097A (zh) 一种蝴蝶形钥匙包
JP6159006B1 (ja) 柄付き円形扇子
KR102429356B1 (ko) 펜홀더가 구비된 다이어리
KR200397149Y1 (ko) 탄성스트립이 구비된 머리띠
JP3223654U (ja) 変形バッグ
US20170210547A1 (en) Storage Pouch
JP3153745U (ja) バッグ
JP3146260U (ja) 携帯バッグ
CN212139696U (zh) 一种柔性化妆品分配器外壳及包括其的化妆品分配系统
JP3101278U (ja) ペンケース
KR200489710Y1 (ko) 지류보관용 케이스
JP6640490B2 (ja) 手帳カバー
JP4601526B2 (ja) 傘布収束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