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125A - 아이솔레이터 - Google Patents

아이솔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125A
KR20190065125A KR1020180140451A KR20180140451A KR20190065125A KR 20190065125 A KR20190065125 A KR 20190065125A KR 1020180140451 A KR1020180140451 A KR 1020180140451A KR 20180140451 A KR20180140451 A KR 20180140451A KR 20190065125 A KR20190065125 A KR 201900651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ing
coil spring
case member
protrusions
su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03400B1 (ko
Inventor
다이치 테라우치
노부히로 하바
사토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구라시키 가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라시키 가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라시키 가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3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3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0Vibration or noise prevention at outdoor units

Abstract

아이솔레이터에 있어서 그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킨다. 아이솔레이터(5)는,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하측 케이스부재(6)와, 하측 케이스부재(6)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하방을 향해 개구하는 상측 케이스부재(7)와, 양 케이스부재(6, 7) 사이에 수용된 코일스프링(8)과, 코일스프링의 상하 양 끝단부에 접촉하도록 각각 배치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진 상하 한 쌍의 고리형상의 서징 방지 부재(9, 9)를 구비하고, 하측 케이스부재(6)의 바닥부(61)에는,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하측 연장돌출부(65)가 형성되고, 상측 케이스부재(7)의 천장부(71)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상측 연장돌출부(75)가 형성되고, 상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상단부는, 상측 연장돌출부(75)에 감합되고, 하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하단부는, 하측 연장돌출부(65)에 감합된다.

Description

아이솔레이터{ISOLATOR}
본 발명은 아이솔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예를 들어, 공기 조화장치에 있어서 압축기를 갖는 실외 유닛(진동원)을 기초 위에 설치하는 경우에, 그 설치면에 배치되는 직사각형 프레임체로 이루어진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과 대략 동일한 직사각형 프레임체로 이루어지며, 실외 유닛을 상면에 탑재하여 고정하는 가대를 구비하고, 양자 사이에 복수의 아이솔레이터를 개재시켜 연결한 구성의 방진대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아이솔레이터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외 유닛의 하중을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하고, 이 코일스프링의 탄성 변형에 의해 실외 유닛의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하거나, 또는 그 전달을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의 아이솔레이터는, 상하로 분할되는 원통형 스프링 케이스(상측 케이스부재 및 하측 케이스부재) 내부에 코일스프링과, 코일스프링 자체의 고유진동을 방지하기 위해 코일스프링의 루프 내에 내측에서 접촉하도록 배치된 탄성체로 이루어진 링 고무(서징(surging) 방지 부재)가 종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압축기 운전에 수반하는 진동으로 인해 아이솔레이터의 위치가 어긋나거나 그 자세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함과 더불어 고주파역의 진동을 흡수할 수도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 제4355539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의 것으로는, 하부 스프링 케이스의 바닥부에, 그 직경 상을 한쪽 외주단으로부터 다른 쪽 외주단까지 연장되도록 고정용 홀더가 배치되고, 이것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를 그 폭방향으로 걸침으로써, 아이솔레이터가 베이스 프레임에 유지된다. 이 아이솔레이터를 조립할 때는, 고정용 홀더를 링 고무의 링 부분 옆으로부터 삽입하여, 고정용 홀더의 중앙부분과 링 고무의 하단부를 걸어 맞춘다. 그리고, 이 링 고무를 코일스프링의 하측으로부터 코일스프링의 내부에 삽입하고, 링 고무의 상단부가 코일스프링의 상단부에 도달했을 때, 링 고무의 상단부를 상부 스프링 케이스에 배치된 클로부 사이에 끼움으로써 감합되어, 상부 스프링 케이스와 하부 스프링 케이스를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링 고무를 코일스프링의 내부에 삽입할 때, 링 고무를 코일스프링의 밑에서부터 서서히 삽입해야 하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이 악화된다.
또한, 링 고무를 상부 스프링 케이스의 클로부 사이에 끼움으로써 링 고무를 개재하여 상하의 스프링 케이스를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점으로도 조립 작업성이 악화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코일스프링을 상하 한 쌍의 케이스부재 사이에 수용한 아이솔레이터에 있어서, 그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발명에서는,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하측 케이스부재와, 상기 하측 케이스부재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하방을 향해 개구하는 상측 케이스부재와, 상기 양 케이스부재 사이에 수용된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하 양 끝단부에 접촉하도록 각각 배치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진 상하 한 쌍의 고리형상의 서징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케이스부재의 바닥부에는,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하측 연장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케이스부재의 천장부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상측 연장돌출부가 형성되고, 상측 서징 방지 부재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부는, 상기 상측 연장돌출부에 감합되고, 하측 서징 방지 부재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는, 상기 하측 연장돌출부에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측 서징 방지 부재 및 코일스프링의 상단부가, 상측 케이스부재의 상측 연장돌출부에 감합되고, 하측 서징 방지 부재 및 코일스프링의 하단부가, 하측 케이스부재의 하측 연장돌출부에 감합되므로, 감합이라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아이솔레이터를 조립할 수 있어, 아이솔레이터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하측 케이스부재는, 상기 바닥부 및 상기 하측 연장돌출부와 더불어, 당해 바닥부의 외주연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하측 주벽부를 갖고, 상기 하측 연장돌출부는, 상기 하측 주벽부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케이스부재는, 상기 천장부 및 상기 상측 연장돌출부와 더불어, 당해 천장부의 외주연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상측 주벽부를 갖고, 상기 상측 연장돌출부는, 상기 상측 주벽부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서징 방지 부재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부는, 이 순서로 상기 상측 연장돌출부에 외측 감합되고, 상기 하측 서징 방지 부재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는, 이 순서로 상기 하측 연장돌출부에 외측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상측 서징 방지 부재 및 코일스프링의 상단부가, 이 순서로 상측 케이스부재의 상측 연장돌출부에 외측 감합되고, 하측 서징 방지 부재 및 코일스프링의 하단부가, 이 순서로 하측 케이스부재의 하측 연장돌출부에 외측 감합되므로, 외측 감합이라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아이솔레이터를 조립할 수 있어, 아이솔레이터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연장돌출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각 서징 방지 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각 연장돌출부의 외주면, 또는 각 서징 방지 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므로, 아이솔레이터에, 상측 케이스부재 및 하측 케이스부재의 대향방향 외측에 가해지는 하중이 작용된 경우, 코일스프링의, 양 케이스부재의 대향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돌기부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솔레이터를 운반하는 경우나 아이솔레이터를 조립하기 전에 코일스프링이 각 케이스부재로부터 이탈되어 아이솔레이터가 분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한번 감은 부분보다도 당해 코일스프링의 상하방향 중앙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가 코일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한번 감은 부분보다도 코일스프링의 상하방향 중앙측에 배치되므로, 코일스프링을 서징 방지 부재에 외측 감합할 때, 적어도, 코일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한번 감은 부분이 서징 방지 부재에서의 돌기부에 대응하는 부분을 넘어가, 그 넘어갈 때의 감촉이 작업자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그 감촉으로 코일스프링이 서징 방지 부재에 외측 감합된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아이솔레이터의 조립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 5 발명에서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둘레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가 둘레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복수 배치되므로, 서징 방지 부재를 연장돌출부에 외측 감합할 때, 돌기부가 둘레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작업자가 받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징 방지 부재를 연장돌출부에 쉽게 외측 감합할 수 있어, 아이솔레이터의 조립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 6 발명에서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각 연장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 서징 방지 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각 연장돌출부의 돌기부와, 당해 각 연장돌출부에 대응하는 상기 각 서징 방지 부재의 돌기부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돌기부가, 각 연장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각 서징 방지 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각 연장돌출부의 돌기부와, 각 연장돌출부에 대응하는 각 서징 방지 부재의 돌기부가,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서징 방지 부재에서의 연장돌출부의 돌기부에 대응하는 부분과 더불어, 서징 방지 부재 자체의 돌기부도 코일스프링과 접촉하고, 서징 방지 부재 자체에 돌기부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서징 방지 부재와 코일스프링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서징 방지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서는, 제 1 발명 내지 제 6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측 케이스부재의 바닥부 및 상기 상측 케이스부재의 천장부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상기 서징 방지 부재와는 상이한 부재인 슬립 방지 부재가 각각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서징 방지 부재와 슬립 방지 부재가 일체로 되어 있는 경우, 하측 케이스부재의 바닥부 및 상측 케이스부재의 천장부에 배치된 관통구멍으로 슬립 방지 부재를 삽입하는 것이 생각되나, 그 경우, 서징 방지 부재를 연장돌출부에 감합할 때, 슬립 방지 부재의 삽입 위치를 확인하면서 그 감합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 7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하측 케이스부재의 바닥부 및 상측 케이스부재의 천장부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서징 방지 부재와는 상이한 부재인 슬립 방지 부재가 각각 매설되므로, 서징 방지 부재를 연장돌출부에 감합할 때, 슬립 방지 부재의 매설 위치를 확인하지 않고, 그 감합 작업을 독립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아이솔레이터의 조립 작업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아이솔레이터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아이솔레이터를 장착한 방진대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아이솔레이터를 장착한 방진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아이솔레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V-V선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아이솔레이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6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4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방진대(A)를 나타내고, 이 방진대(A)는, 예를 들어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압축기를 내장한 실외 유닛(도시하지 않음)을 진동원으로서 기초측 설치면 위에 설치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방진대(A)는, 개략 4개의 장척 형상의 금속제 프레임(10, 10, ?)을 직사각형의 프레임체로 조합시켜 이루어지고, 도시하지 않은 기초 볼트 등에 의해 설치면 위에 고정되는 베이스(1)와, 이 베이스(1)와 대략 동일 형상의 직사각형 프레임체로 이루어지며, 베이스(1) 위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상방에서 보면 겹쳐지도록 배치되는 가대(2)와, 이 가대(2)를 베이스(1)의 상방으로 이격시키며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복수(도시 예에서는 6개)의 아이솔레이터(5, 5, ?)와, 가대(2)의 상방으로 소정 이상의 이동을 규제하는 복수(도시 예에서는 4개)의 스토퍼기구(3, 3, ?)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대(2) 위에 실외 유닛이 탑재되어 장착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기구(3, 3, ?)는, 베이스(1)(가대(2))의 각 우각부 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아이솔레이터(5, 5, ?)는, 베이스(1) 및 가대(2)의 둘레방향, 즉 당해 베이스(1)의 프레임(10, 10, ?)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도 4에 확대시켜 상세히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아이솔레이터(5)는, 상기 베이스(1)의 프레임(10, 10, ?) 위에 탑재되고(편의상, 프레임(10)의 상면과 아이솔레이터(5)의 하면을 상하로 이격시켜 나타냄),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대략 컵 형상의 하측 케이스부재(6)와, 이 하측 케이스부재(6)의 상방에 이격하여 동심상으로 배치되고, 하방을 향해 개구함과 함께, 그 하단 개구부를 포함하는 하측 부분의 내경이 상기 하측 케이스부재(6)의 상단 개구부보다도 큰 대략 컵 형상의 상측 케이스부재(7)와, 이들 2개의 양 케이스부재(6, 7) 사이에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수용되고, 실외 유닛의 하중을 받는 코일스프링(8)과, 이 코일스프링(8)의 루프(8a, 8a, ?) 내에 내측에서 접촉하도록 감입된 상하 한 쌍의 고무 탄성체로 이루어진 서징 방지 부재(9, 9)를 구비한다.
상기 아이솔레이터(5)의 하측 케이스부재(6)는,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성형품이다. 하측 케이스부재(6)는, 바닥부(61)와, 이 바닥부(61)의 외주연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하측 주벽부(62)를 갖는 유저원통형이면서 그 하부에 유지부(12)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이 유지부(12)가 베이스(1)의 프레임(10, 10, ?)의 상부를 그 폭방향(도 4의 좌우방향)에 걸쳐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하측 케이스부재(6)의 바닥부(61)의 대략 중심부에는, 원형 단면의 관통구멍(6a)이 형성되고, 그 직경방향 외측에 고리형상부(6b)가 배치된다. 고리형상부(6b)의 직경방향 외측에는, 원호형의 오목부(6c) 및 관통구멍(6d)이 둘레방향으로 번갈아 3개씩 형성된다. 오목부(6c)는, 서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오목부(6c, 6c) 사이에 관통구멍(6d)이 배치된다.
그리고, 하측 케이스부재(6)의 바닥부(61)에는, 고무탄성체로 이루어진 개략 원고리형상의 슬립 방지 부재(11)가 하방으로부터 겹쳐 맞춰지고, 오목부(6c)에 내측 감합 상태로 고정된다. 슬립 방지 부재(11)의 하부는, 하측 케이스부재(6)의 바닥부(61)의 하면보다 돌출되고, 이 하측 슬립 방지 부재(11)의 하면에 베이스(1)의 상면을 당접시켜, 아이솔레이터(5)가 베이스(1) 위를 이동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하측 케이스부재(6)의 바닥부(61)에는, 고리형상부(6b)의 외주연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하측 연장돌출부(65)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하측 연장돌출부(65)는, 하측 주벽부(62)의 직경방향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된다. 하측 연장돌출부(65)의 외주면에는, 서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돌조 형상의 3개의 돌기부(66, 66, 66)가 배치된다. 즉, 돌기부(66)는 둘레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치된다. 돌기부(66)는, 코일스프링(8)의 하단으로부터 한번 감은 부분의 루프(8a)보다도 상방(코일스프링(8)의 상하방향 중앙측)에 배치된다. 돌기부(66)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관통구멍(6d)과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돌기부(66)의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의 길이는, 관통구멍(6d)의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의 길이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돌기부(66)의 크기를 관통구멍(6d)의 크기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돌기부(66)를 포함하는 하측 케이스부재(6)를 성형하는 금형의 돌기부(66)에 대응하는 부분을 관통구멍(6d)으로부터 뺄 수 있다.
상기 아이솔레이터(5)의 상측 케이스부재(7)도, 이 실시형태에서는, 수지 성형품이다. 상측 케이스부재(7)는, 상기 하측 케이스부재(6)의 하측 주벽부(62)의 2배 정도의 높이를 갖고, 천장부(71)와, 이 천장부(71)의 외주연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상측 주벽부(72)를 갖는 유개원통형이다. 상측 주벽부(72)의 상측 대략 절반에는, 상단부에서 하방을 향해 서서히 넓어지는 테이퍼면으로 이루어진 고리형상의 테이퍼부(7a)가 형성됨과 함께, 하측 대략 절반에는, 테이퍼부(7a)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연장부(7b)가 일체로 형성된다. 연장부(7b)의 외주면 하부에는, 연장부(7b)의 둘레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는 돌조 형상의 돌기부(7c)가 형성된다.
또한, 상측 케이스부재(7)의 천장부(71)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방향의 축선을 둘러싸는 대략 중심부에 원형 단면의 관통구멍(7d)이 형성되고, 그 직경방향 외측에 고리형상부(7e)가 배치된다. 고리형상부(7e)의 직경방향 외측에는, 원호형의 오목부(7f) 및 관통구멍(7g)이 둘레방향으로 번갈아 3개씩 형성된다. 오목부(7f)는, 서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되며,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오목부(7f, 7f) 사이에 관통구멍(7g)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측 케이스부재(7)의 천장부(71)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무탄성체로 이루어진 개략 원고리형상의 슬립 방지 부재(11)가 상방으로부터 겹쳐 맞춰지고, 오목부(7f)에 내측 감합 상태로 고정된다. 슬립 방지 부재(11)의 상부는, 상측 케이스부재(7)의 천장부(71)의 상면보다 돌출되고, 이 상측 슬립 방지 부재(11)의 상면에 가대(2)의 하면을 당접시켜, 실외 유닛의 하중을 각 아이솔레이터(5)로 받도록 되어 있다.
상측 케이스부재(7)의 천장부(71)에는, 고리형상부(7e)의 외주연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상측 연장돌출부(75)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측 연장돌출부(75)는, 상측 주벽부(72)의 직경방향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된다. 상측 연장돌출부(75)의 외주면에는, 서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3개의 돌기부(76, 76, 76)가 배치된다. 즉, 돌기부(76)는 둘레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치된다. 돌기부(76)는, 코일스프링(8)의 상단으로부터 한번 감은 부분의 루프(8a)보다도 하방(코일스프링(8)의 상하방향 중앙측)에 배치된다. 돌기부(76)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관통구멍(7g)과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돌기부(76)의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의 길이는, 관통구멍(7g)의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의 길이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돌기부(76)의 크기를 관통구멍(7g)의 크기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돌기부(76)를 포함하는 상측 케이스부재(7)를 성형하는 금형의 돌기부(76)에 대응하는 부분을 관통구멍(7g)으로부터 뺄 수 있다.
서징 방지 부재(9)는, 코일스프링(8) 자체의 공진(서징)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서징 방지 부재(9)는 고리형상이고, 그 내주면은, 하측 케이스부재(6)의 하측 연장돌출부(65)의 외주면에 당접하고, 그 하단면은, 하측 케이스부재(6)의 바닥부(61)의 상면과 당접한다. 하측 서징 방지 부재(9)는, 하측 연장돌출부(65)와 동심상으로 배치되고, 하측 서징 방지 부재(9)의 상하방향 길이는, 하측 연장돌출부(65)의 상하방향 길이와 동일하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서징 방지 부재(9)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 형상의 돌기부(91)가 서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3개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서징 방지 부재(9)의 돌기부(91)와 하측 연장돌출부(65)의 돌기부(66)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하측 서징 방지 부재(9)의 돌기부(91)는,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하측 연장돌출부(65)의 돌기부(66, 66) 사이로서, 이들 돌기부(66, 66) 중 한쪽 근처에 배치된다. 하측 서징 방지 부재(9)를 하측 연장돌출부(65)에 외측 감합하면, 하측 서징 방지 부재(9)에서의 하측 연장돌출부(65)의 돌기부(66)에 대응하는 부분이 팽출한다. 이 팽출부(93)에 의해, 하측 서징 방지 부재(9)가 코일스프링(8)에 충분히 접촉한다. 한편, 도 4에서는 도면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팽출부(93)의 도시를 생략한다.
상측 서징 방지 부재(9)도 하측 서징 방지 부재(9)와 마찬가지로 고리형상이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주면은, 상측 케이스부재(7)의 상측 연장돌출부(75)의 외주면에 당접하고, 그 상단면은, 상측 케이스부재(7)의 천장부(71)의 하면과 당접한다. 상측 서징 방지 부재(9)는, 상측 연장돌출부(75)와 동심상으로 배치되고, 상측 서징 방지 부재(9)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측 연장돌출부(75)의 상하방향 길이와 동일하다.
상측 서징 방지 부재(9)의 외주면에도 하측 서징 방지 부재(9)와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 형상의 돌기부(91)가 서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3개 형성된다. 상측 서징 방지 부재(9)의 돌기부(91)와 상측 연장돌출부(75)의 돌기부(76)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서징 방지 부재(9)의 돌기부(91)는,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상측 연장돌출부(75)의 돌기부(76, 76) 사이로서, 이들 돌기부(76, 76) 중 한쪽 근처에 배치된다. 상측 서징 방지 부재(9)를 상측 연장돌출부(75)에 외측 감합하면, 상측 서징 방지 부재(9)에서의 상측 연장돌출부(75)의 돌기부(76)에 대응하는 부분이 팽출한다. 이 팽출부(93)에 의해, 상측 서징 방지 부재(9)가 코일스프링(8)에 충분히 접촉한다. 한편, 도 4에서는 도면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팽출부(93)의 도시를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8)은, 양 케이스부재(6, 7) 사이에 수용되고, 그 양 끝단부의 루프(8a) 내에 내측에서 상하 한 쌍의 서징 방지 부재(9, 9)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아이솔레이터(5)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케이스부재(6)의 하측 연장돌출부(65)에 하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하단부를 이 순서로 외측 감합함과 함께, 상측 케이스부재(7)의 상측 연장돌출부(75)에 상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상단부를 이 순서로 외측 감합하고, 또한, 하측 케이스부재(6)의 바닥부(61) 및 상측 케이스부재(7)의 천장부(71)에 슬립 방지 부재(11)를 각각 매설함으로써 조립된다.
-효과-
이상으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상단부가, 이 순서로 상측 케이스부재(7)의 상측 연장돌출부(75)에 외측 감합되고, 하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하단부가, 이 순서로 하측 케이스부재(6)의 하측 연장돌출부(65)에 외측 감합되므로, 외측 감합이라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아이솔레이터(5)를 조립할 수 있어, 아이솔레이터(5)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연장돌출부(65, 75)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66, 76)가 형성되므로, 아이솔레이터(5)에, 양 케이스부재(6, 7)의 대향방향 외측에 가해지는 하중이 작용된 경우, 코일스프링(8)의, 양 케이스부재(6, 7)의 대향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을 돌기부(66, 76)에 의해 규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솔레이터(5)를 운반하는 경우나 아이솔레이터(5)를 방진대(A)에 조립하기 전에 코일스프링(8)이 각 케이스부재(6, 7)로부터 이탈되어 아이솔레이터(5)가 분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돌기부(66, 76)가 코일스프링(8)의 끝단으로부터 한번 감은 부분의 루프(8a)보다도 코일스프링의 상하방향 중앙측에 배치되므로, 코일스프링(8)을 서징 방지 부재(9)에 외측 감합할 때, 적어도, 코일스프링(8)의 끝단으로부터 한번 감은 부분의 루프(8a)가 서징 방지 부재(9)에서의 돌기부(66, 76)에 대응하는 부분을 넘어가, 그 넘어갈 때의 감촉이 작업자에게 전달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그 감촉으로 코일스프링(8)이 서징 방지 부재(9)에 외측 감합된 것을 인식할 수 있고, 아이솔레이터(5)의 조립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부(66, 76)가 둘레방향으로 단속적으로 3개 배치되므로, 서징 방지 부재(9)를 연장돌출부(65, 75)에 외측 감합할 때, 돌기부(66, 76)가 둘레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 비해, 작업자가 받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서징 방지 부재(9)를 연장돌출부(65, 75)에 쉽게 외측 감합할 수 있어, 아이솔레이터(5)의 조립 작업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부(66, 76)가, 각 연장돌출부(65, 75)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각 서징 방지 부재(9)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91, 91, 91)가 형성되고, 각 연장돌출부(65, 75)의 돌기부(66, 76)와, 각 연장돌출부(65, 75)에 대응하는 각 서징 방지 부재(9)의 돌기부(91, 91, 91)가,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므로, 서징 방지 부재(9)에서의 연장돌출부(65, 75)의 돌기부(66, 76)에 대응하는 부분과 더불어, 서징 방지 부재(9) 자체의 돌기부(91, 91, 91)도 코일스프링(8)과 접촉하고, 서징 방지 부재(9) 자체에 돌기부(91, 91, 91)가 없는 경우와 비교하여, 서징 방지 부재(9)와 코일스프링(8)과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서징 방지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그런데, 서징 방지 부재(9)와 슬립 방지 부재(11)가 일체로 되어 있는 경우, 하측 케이스부재(6)의 바닥부(61) 및 상측 케이스부재(7)의 천장부(71)에 배치된 관통구멍(6d, 7g)으로 슬립 방지 부재(11)를 삽입하는 것이 생각되나, 그 경우, 서징 방지 부재(9)를 연장돌출부(65, 75)에 외측 감합할 때, 슬립 방지 부재(11)의 삽입 위치를 확인하면서 그 외측 감합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의하면, 하측 케이스부재(6)의 바닥부(61) 및 상측 케이스부재(7)의 천장부(71)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서징 방지 부재(9)와는 상이한 부재인 슬립 방지 부재(11)가 각각 매설되므로, 서징 방지 부재(9)를 연장돌출부(65, 75)에 외측 감합할 때, 슬립 방지 부재(11)의 매설 위치를 확인하지 않고, 그 외측 감합 작업을 독립적으로 실시할 수 있어, 아이솔레이터(5)의 조립 작업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징 방지 부재(9)가 일체가 아니라, 상하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실외 유닛(진동원)으로부터의 진동을 기초측으로 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상측 케이스부재(7)에 돌기부(7c)가 형성되고, 하측 케이스부재(6)의 유지부(12)에서의 베이스(1)의 프레임(10)의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부분이 궁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방진대(A) 수송 시에 포장재 등과 마찰되어 하측 케이스부재(6) 및 상측 케이스부재(7)의 외주면에 생기는 손상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6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서징 방지 부재(9)와 슬립 방지 부재(11)를 상이한 부재로 하고 있는 것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 부재(9, 11)를 일체로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하측 서징 방지 부재(9)의 하단면에, 서로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원호형의 슬립 방지 부재(11)가 3개 형성된다. 각 슬립 방지 부재(11)의 하단부에는,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출부(11a)가 형성된다. 상측 서징 방지 부재(9)도 마찬가지로, 그 상단부에 슬립 방지 부재(11)가 3개 형성되고, 각 슬립 방지 부재(11)의 상단부에는, 돌출부(11a)가 형성된다.
하측 케이스부재(6)의 바닥부(61) 및 상측 케이스부재(7)의 천장부(71)에는, 슬립 방지 부재(11)가 삽입되는 관통구멍(7h)(상측 케이스부재(7)의 관통구멍(7h)만 도시)이 각 슬립 방지 부재(11)에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7h)과 둘레방향으로 인접하여 스토퍼부(7i)가 배치된다(상측 케이스부재(7)의 스토퍼부(7i)만 도시).
상측 슬립 방지 부재(11)를 상측 케이스부재(7)의 관통구멍(7h)에 삽입한 후, 상측 서징 방지 부재(9)를 둘레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토퍼부(7i)와 돌출부(11a)가 감합된다. 이에 의해, 서징 방지 부재(9) 및 슬립 방지 부재(11)가 상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측 슬립 방지 부재(11)도 마찬가지 구성으로 상기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케이스부재(6) 및 상측 케이스부재(7)에 배치된 각 연장돌출부(65, 75)에 돌기부(66, 76)가 형성됨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66, 76)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추가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한 쌍의 서징 방지 부재(9)의 외주면에 돌기부(91)가 형성됨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91)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에 의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상하 한 쌍의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이, 이 순서로 양 케이스부재(6, 7)의 각 연장돌출부(65, 75)에 외측 감합됨으로써, 외측 감합이라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아이솔레이터(5)를 조립할 수 있어, 아이솔레이터(5)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서징 방지 부재(9)와 슬립 방지 부재(11)를 일체로 함으로써, 구성부품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6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하단부는, 이 순서로 하측 연장돌출부(65)에 외측 감합됨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하단부는, 이 순서로 하측 주벽부(62)에 내측 감합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주벽부(62)가 본 발명의 하측 연장돌출부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하측 케이스부재(6)에 형성되어 있던 하측 연장돌출부(6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하측 주벽부(62)의 내주면에는, 서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돌조 형상의 3개의 돌기부(66, 66, 66)가 배치된다. 즉, 돌기부(66)는 둘레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치된다. 돌기부(66)는, 코일스프링(8)의 하단으로부터 한번 감은 부분의 루프(8a)보다도 상방(코일스프링(8)의 상하방향 중앙측)에 배치된다. 돌기부(66)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관통구멍(6d)과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돌기부(66)의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의 길이는, 관통구멍(6d)의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의 길이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돌기부(66)의 크기를 관통구멍(6d)의 크기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돌기부(66)를 포함하는 하측 케이스부재(6)를 성형하는 금형의 돌기부(66)에 대응하는 부분을 관통구멍(6d)으로부터 뺄 수 있다.
하측 서징 방지 부재(9)의 내주면은, 코일스프링(8)의 외주면에 당접한다. 이 내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 형상의 돌기부(91)가 서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3개 형성된다. 하측 서징 방지 부재(9)의 돌기부(91)와 하측 주벽부(62)의 돌기부(66)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하측 서징 방지 부재(9)의 돌기부(91)는,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하측 주벽부(62)의 돌기부(66, 66) 사이로서, 이들 돌기부(66, 66) 중 한쪽 근처에 배치된다. 하측 서징 방지 부재(9)를 하측 주벽부(62)에 내측 감합하면, 하측 서징 방지 부재(9)에서의 하측 주벽부(62)의 돌기부(66)에 대응하는 부분이 팽출한다. 이 팽출부(93)에 의해, 하측 서징 방지 부재(9)가 코일스프링(8)에 충분히 접촉한다. 한편, 도 8에서는 도면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팽출부(93)의 도시를 생략한다.
코일스프링(8)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케이스부재(6, 7) 사이에 수용되고, 그 하단부의 루프(8a)에 외측에서 하측 서징 방지 부재(9)가 접촉하고, 그 상단부의 루프(8a) 내에 내측에서 상측 서징 방지 부재(9)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아이솔레이터(5)는, 하측 케이스부재(6)의 하측 주벽부(62)에 하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하단부를 이 순서로 내측 감합함과 함께, 상측 케이스부재(7)의 상측 연장돌출부(75)에 상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상단부를 이 순서로 외측 감합하고, 또한, 하측 케이스부재(6)의 바닥부(61) 및 상측 케이스부재(7)의 천장부(71)에 슬립 방지 부재(11)를 각각 매설함으로써 조립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에 의해,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하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이, 이 순서로 하측 케이스부재(6)의 하측 주벽부(62)에 내측 감합되고, 상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이, 상측 케이스부재(7)의 상측 연장돌출부(75)에 외측 감합됨으로써, 감합이라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아이솔레이터(5)를 조립할 수 있어, 아이솔레이터(5)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6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상단부는, 이 순서로 상측 연장돌출부(75)에 외측 감합됨에 비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상단부는, 이 순서로 상측 주벽부(72)에 내측 감합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주벽부(72)가 본 발명의 상측 연장돌출부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3 실시형태에서 상측 케이스부재(7)에 형성되어 있던 상측 연장돌출부(75)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측 주벽부(72)의 내주면에는, 서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연장되는 돌조 형상의 3개의 돌기부(76, 76, 76)가 배치된다. 즉, 돌기부(76)는 둘레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배치된다. 돌기부(76)는, 코일스프링(8)의 상단으로부터 한번 감은 부분의 루프(8a)보다도 하방(코일스프링(8)의 상하방향 중앙측)에 배치된다. 돌기부(76)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관통구멍(7g)과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돌기부(76)의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의 길이는, 관통구멍(7g)의 직경방향 및 둘레방향의 길이보다도 작다. 이와 같이, 돌기부(76)의 크기를 관통구멍(7g)의 크기보다도 작게 함으로써, 돌기부(76)를 포함하는 상측 케이스부재(7)를 성형하는 금형의 돌기부(76)에 대응하는 부분을 관통구멍(7g)으로부터 뺄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케이스부재(7)의 상측 주벽부(72)가, 테이퍼부(7a)와 연장부(7b)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방을 향해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고리형상인 것이다.
또한, 상측 서징 방지 부재(9)의 내주면은, 코일스프링(8)의 외주면에 당접한다. 이 내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 형상의 돌기부(91)가 서로 둘레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3개 형성된다. 상측 서징 방지 부재(9)의 돌기부(91)와 상측 주벽부(72)의 돌기부(76)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상측 서징 방지 부재(9)의 돌기부(91)는,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상측 주벽부(72)의 돌기부(76, 76) 사이로서, 이들 돌기부(76, 76) 중 한쪽 근처에 배치된다. 상측 서징 방지 부재(9)를 상측 주벽부(72)에 내측 감합하면, 상측 서징 방지 부재(9)에서의 상측 주벽부(72)의 돌기부(76)에 대응하는 부분이 팽출한다. 이 팽출부(93)에 의해, 상측 서징 방지 부재(9)가 코일스프링(8)에 충분히 접촉한다. 한편, 도 9에서는 도면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팽출부(93)의 도시를 생략한다.
코일스프링(8)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케이스부재(6, 7) 사이에 수용되고, 그 양 끝단부의 루프(8a)에 외측에서 상하 한 쌍의 서징 방지 부재(9, 9)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아이솔레이터(5)는, 하측 케이스부재(6)의 하측 주벽부(62)에 하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하단부를 이 순서로 내측 감합함과 함께, 상측 케이스부재의 상측 주벽부(72)에 상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상단부를 이 순서로 내측 감합하고, 또한, 하측 케이스부재(6)의 바닥부(61) 및 상측 케이스부재(7)의 천장부(71)에 슬립 방지 부재(11)를 각각 매설함으로써 조립된다.
그 밖의 구성은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에 의해, 제 3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이, 이 순서로 양 케이스부재(6, 7)의 주벽부(62, 72)에 내측 감합됨으로써, 내측 감합이라는 비교적 간단한 작업으로 아이솔레이터(5)를 조립할 수 있어, 아이솔레이터(5)의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한편,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66, 76)를 연장돌출부(65, 75)에 둘레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복수 배치하였으나, 둘레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66, 76)를 연장돌출부(65, 75) 또는 주벽부(62, 72)에 형성하였으나, 서징 방지 부재(9)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코일스프링(8)이 각 케이스부재(6, 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91)를 돌기부(66, 66;76, 76) 중 한쪽 근처에 배치하였으나, 돌기부(66, 66;76, 76) 사이에 위치하는 한, 어디에 배치하여도 되며, 예를 들어, 돌기부(66, 66;76, 76) 중간부에 배치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돌기부(91)를 서징 방지 부재(9)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에 형성하였으나, 그 양면에 형성하여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서징 방지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서징 방지 부재(9)에 돌조 형상의 돌기부(91)를 형성하였으나, 둘레방향에 있어서 인접하는 돌기부(66, 66;76, 76) 사이에 위치하는 한, 돌기부(91)의 둘레방향 길이를 제 1 실시형태보다도 크게 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하단부를, 이 순서로 하측 주벽부(62)에 내측 감합하고, 상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상단부를, 이 순서로 상측 연장돌출부(75)에 외측 감합하였으나, 하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하단부를, 이 순서로 하측 연장돌출부(65)에 외측 감합하고, 상측 서징 방지 부재(9) 및 코일스프링(8)의 상단부를, 이 순서로 상측 주벽부(72)에 내측 감합하여도 된다.
5 : 아이솔레이터
6 : 하측 케이스부재
61 : 바닥부
62 : 하측 주벽부(하측 연장돌출부)
65 : 하측 연장돌출부
66 : 돌기부
7 : 상측 케이스부재
71 : 천장부
72 : 상측 주벽부(상측 연장돌출부)
75 : 상측 연장돌출부
76 : 돌기부
8 : 코일스프링
9 : 서징 방지 부재
91 : 돌기부
11 : 슬립 방지 부재

Claims (7)

  1. 상방을 향해 개구하는 하측 케이스부재와,
    상기 하측 케이스부재의 상방에 이격 배치되고, 하방을 향해 개구하는 상측 케이스부재와,
    상기 양 케이스부재 사이에 수용된 코일스프링과,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하 양 끝단부에 접촉하도록 각각 배치되며, 탄성체로 이루어진 상하 한 쌍의 고리형상의 서징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측 케이스부재의 바닥부에는,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하측 연장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측 케이스부재의 천장부에는,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상측 연장돌출부가 형성되고,
    상측 서징 방지 부재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부는, 상기 상측 연장돌출부에 감합되고,
    하측 서징 방지 부재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는, 상기 하측 연장돌출부에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측 케이스부재는, 상기 바닥부 및 상기 하측 연장돌출부와 더불어, 당해 바닥부의 외주연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하측 주벽부를 갖고,
    상기 하측 연장돌출부는, 상기 하측 주벽부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케이스부재는, 상기 천장부 및 상기 상측 연장돌출부와 더불어, 당해 천장부의 외주연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연장되는 고리형상의 상측 주벽부를 갖고,
    상기 상측 연장돌출부는, 상기 상측 주벽부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서징 방지 부재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상단부는, 이 순서로 상기 상측 연장돌출부에 외측 감합되고,
    상기 하측 서징 방지 부재 및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부는, 이 순서로 상기 하측 연장돌출부에 외측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 연장돌출부의 외주면, 또는 상기 각 서징 방지 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에는,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코일스프링의 끝단으로부터 한번 감은 부분보다도 당해 코일스프링의 상하방향 중앙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둘레방향으로 단속적으로 복수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각 연장돌출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각 서징 방지 부재의 내주면 및 외주면의 적어도 한쪽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연장돌출부의 돌기부와, 당해 각 연장돌출부에 대응하는 상기 각 서징 방지 부재의 돌기부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케이스부재의 바닥부 및 상기 상측 케이스부재의 천장부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상기 서징 방지 부재와는 상이한 부재인 슬립 방지 부재가 각각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솔레이터.
KR1020180140451A 2017-12-01 2018-11-15 아이솔레이터 KR102603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1393A JP6963479B2 (ja) 2017-12-01 2017-12-01 アイソレータ
JPJP-P-2017-231393 2017-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125A true KR20190065125A (ko) 2019-06-11
KR102603400B1 KR102603400B1 (ko) 2023-11-16

Family

ID=6684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0451A KR102603400B1 (ko) 2017-12-01 2018-11-15 아이솔레이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63479B2 (ko)
KR (1) KR1026034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957A (ko) * 2021-10-07 2023-04-14 전영환 판부재, 이를 이용한 smt용 탄성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143A (ja) * 1991-04-11 1993-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圧縮機の防振支持装置
JP2006200734A (ja) * 2004-12-21 2006-08-03 Tokkyokiki Corp 吸振体
JP2009262031A (ja) * 2008-04-24 2009-11-12 Hitachi Koki Co Ltd 遠心分離機
JP2011214707A (ja) * 2010-04-02 2011-10-27 Nabeya Co Ltd 除振マウント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0760U (ko) * 1978-07-27 1980-02-09
JPS6111550Y2 (ko) * 1981-03-04 1986-04-11
JPS61114079U (ko) * 1984-12-28 1986-07-18
JP2007333128A (ja) * 2006-06-16 2007-12-27 Swcc Showa Device Technology Co Ltd コイルスプリング及びこれを用いた防振装置
US8833511B2 (en) * 2010-07-30 2014-09-16 Tokkyokiki Corporation Insulator for audio and method for evaluating same
JP5993120B2 (ja) * 2010-07-30 2016-09-14 特許機器株式会社 オーディオ用インシュレータ及びその評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9143A (ja) * 1991-04-11 1993-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圧縮機の防振支持装置
JP2006200734A (ja) * 2004-12-21 2006-08-03 Tokkyokiki Corp 吸振体
JP2009262031A (ja) * 2008-04-24 2009-11-12 Hitachi Koki Co Ltd 遠心分離機
JP2011214707A (ja) * 2010-04-02 2011-10-27 Nabeya Co Ltd 除振マウン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957A (ko) * 2021-10-07 2023-04-14 전영환 판부재, 이를 이용한 smt용 탄성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100441A (ja) 2019-06-24
KR102603400B1 (ko) 2023-11-16
JP6963479B2 (ja)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14807T3 (es) Elemento de union.
EP3203108B1 (en) Vibration isolation device
US10280967B2 (en) Fixing structure and electrical connection box
US8764419B2 (en) Fuel pump module for damping vibration
US20160164369A1 (en) Motor mounting device
US20110303046A1 (en) Damper Element for Springs and Vehicle Pedal Assembly Incorporating the Same
KR20190065125A (ko) 아이솔레이터
US11143259B2 (en) Vibration absorber
US11073188B2 (en) Oscillation dam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scillation damper
KR20180093039A (ko)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
KR102026901B1 (ko) 코일의 단선 방지 구조를 포함하는 선형 진동발생장치.
WO2015060074A1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へのバンドクリップ取付構造
WO2016080047A1 (ja) 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および防振装置
US20110215209A1 (en) Supporting Tube With A Vibration Damper
US20190368523A1 (en) Mount assembly with clip
JP6442330B2 (ja) 防振装置
JP5094300B2 (ja) 複数種類の防振装置
US6523815B2 (en) Vibration-proof device
KR101845413B1 (ko) 차량용 동흡진기의 구조
JP5437116B2 (ja) 防振装置
JP2005093270A (ja) 自己調芯型コネクタ
JP7219171B2 (ja) ストッパ部材
JP2010001960A (ja) 防振ブッシュ
JP7280226B2 (ja) 隔壁装着機器
JP6479395B2 (ja) 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