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706A -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 Google Patents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706A
KR20190064706A KR1020170163256A KR20170163256A KR20190064706A KR 20190064706 A KR20190064706 A KR 20190064706A KR 1020170163256 A KR1020170163256 A KR 1020170163256A KR 20170163256 A KR20170163256 A KR 20170163256A KR 20190064706 A KR20190064706 A KR 20190064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esidential
furniture
improvement
consu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애랑
Original Assignee
(주)살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살림 filed Critical (주)살림
Priority to KR102017016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4706A/ko
Publication of KR2019006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비자의 심리학적 유형 정보와 증강현실 콘텐츠를 융합하여 주거환경을 재배치하는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비자의 심리학적 유형 정보를 반영하여 소비자 개인에 가장 알맞도록 주거공간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종 개선 결과에 포함된 가구 및 집기 등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저비용으로 추가 코칭 시 소비자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CUSTOMIZES IMPROVEMENT SYSTEM FOR RESIDENTIAL SPACE}
본 발명은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비자의 심리학적 유형 정보와 증강현실 콘텐츠를 융합하여 주거환경을 재배치하는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최근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이후 상대적으로 가정 및 가사에 할애하는 시간이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가구 및 물품이 정리가 안되는 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가정 내 무질서한 가구배치 혹은 정리상태는 가족구성원들에게 기능적 혹은 심리적으로 부정적 영향(우울, 의욕 저하, 스트레스 등)을 미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정 내 정리수납 대행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현재 일정한 매뉴얼 없이 파견인력의 판단에 의한 배치, 정리수납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현재의 정리수납 대행서비스는 인력 1개조(5~7명 구성)로 직접 방문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컨설팅 혹은 대행서비스를 시행(5시간 이상 소요)하며, 사후관리 방안을 구두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와 같이 고착화된 정리수납 방식 및 습관이 1회의 컨설팅만으로 변화되기 어려우므로 근본적 원인 탐색과 지속적인 사후관리 및 이력관리가 필요하다. 다만, 사후관리 서비스의 경우 최초 컨설팅에 대한 후속 조치의 성격상 고비용의 책정이 어려운 편이나, 소요시간은 최초 컨설팅의 6~70%에 달해 현재 업무의 효율성 저하, 경비증가, 부가가치 창출의 어려움 등이 존재한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16183호(2014.07.01.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소비자 개인성향에 맞는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비용으로 고착화된 정리수납 방식 및 습관의 근본적 원인 탐색과 지속적인 사후관리 및 이력관리가 가능한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주거환경 영상을 획득하는 소비자 단말기와,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획득한 주거환경 영상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심리적 유형을 분석하고 증강현실을 통해 주거공간 개선 및 코칭 방안을 도출하는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을 포함하는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은,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획득한 주거환경 영상을 수신하는 자료 획득 모듈과, 상기 자료 획득 모듈이 수신한 주거환경 영상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주거환경을 진단하는 진단 모듈, 상기 진단 모듈에서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생성된 맞춤안을 기반으로 증강현실을 적용하여 개선 결과를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모듈, 및 상기 개선 결과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개선 결과 송신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주거환경 영상은 가구배치 및 수납정리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진단 모듈은, 주거환경 영상에 포함된 가구의 배치형태와 정리수납 현황을 분석하고 심리학적 기분유형 분석을 수행하여 기본안을 도출하는 기본안 도출 모듈과, 상기 기본안 도출 모듈에서 도출된 기본안에, 현황/정밀 분석 데이터베이스와 성격유형별 주거공간 배치선호 경향 데이터베이스 및 빅데이터를 통해 누적된 개인별 가이드 솔루션을 부가하여 성격유형과 소비자 개인성향에 따른 맞춤안을 도출하는 맞춤안 도출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은, 상기 정리수납에 대해 수납위치 및 형태를 재구성하는 주거공간 재구성 모듈과, 상기 주거공간에 위치한 가구를 재배치하여 모델링하는 가구 재배치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가구 재배치 모듈은, 상기 주거환경 영상에 포함된 주거공간 실내 내부를 3차원 입체로 모델링하는 입체형 모델링 모듈과, 상기 입체형 모델링 모듈에서 모델링된 실내 내부 영상에 상기 맞춤안에 따른 정리수납과 가구배치를 적용하여 개선 결과를 생성하는 마커리스 증강현실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개선 결과에 포함된 가구는 가구의 종류를 재선택하거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비자의 심리학적 유형 정보를 반영하여 소비자 개인에 가장 알맞도록 주거공간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종 개선 결과에 포함된 가구 및 집기 등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저비용으로 추가 코칭 시 소비자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의 개념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의 기본안 도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커리스 증강현실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의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거환경 영상을 획득하는 소비자 단말기(100)와, 소비자 단말기(100)로부터 주거환경 영상을 전송받아 소비자의 심리적 유형을 분석하고 증강현실을 통해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및 코칭 방안을 도출하는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200)을 포함한다.
소비자 단말기(100)는 소비자가 자료를 업로드하고 개선 결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는 소비자 단말기(100)로 스마트폰을 예시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비자 단말기(100)로 개인용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소비자 단말기(100)는 로그인 모듈(110)과, 자료 업로드 모듈(120), 개선 결과 수신 모듈(130), 및 개선 결과 표시 모듈(140)을 포함한다.
로그인 모듈(110)은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200)에 소비자 개인 인증을 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비자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받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이디와 비밀번호 대신 공인인증서 인증, 휴대폰 인증, 아이핀 인증 등의 방법으로 개인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로그인 모듈(110)을 통해 개인 인증을 받는 수단은 로그인 이전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200)으로부터 인증을 받아야 한다. 즉, 로그인 이전 회원가입을 수행해야 한다.
자료 업로드 모듈(120)은 소비자로부터 주거환경 영상을 획득하여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200)으로 업로드 한다. 이는 스마트폰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주거환경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주거환경 영상을 통신을 이용하여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200)으로 전송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비자가 별도로 촬영한 주거환경 영상을 자료 업로드 모듈(120)이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자료 업로드 모듈(120)은 로그인 모듈(110)을 통해 로그인 된 소비자를 구별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아이디를 주거환경 영상에 포함시켜 해당 주거환경 영상이 어떤 소비자의 것인지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선 결과 수신 모듈(130)은 자료 업로드 모듈(120)을 통해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200)으로 전송된 후 시뮬레이션 모듈(230)을 통해 맞춤형으로 시뮬레이션되어 개선 결과 송신 모듈(233)을 통해 송신된 개선 결과를 수신한다.
개선 결과 표시 모듈(140)은 개선 결과 수신 모듈(130)을 통해 수신된 개선 결과를 소비자가 볼 수 있도록 표시한다.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200)은 소비자 단말기(100)를 통해 업로드된 주거환경 영상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성향을 판단하여 주거공간을 개선한다. 이를 위해서,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200)은 자료 획득 모듈(210)과, 진단 모듈(220), 시뮬레이션 모듈(230), 및 개선 결과 송신 모듈(233)을 포함한다.
자료 획득 모듈(210)은 소비자 단말기(100)의 자료 업로드 모듈(120)이 전송한 주거환경 영상을 획득한다. 여기서, 획득된 주거환경 영상은 진단 모듈(220)에 전달된다.
진단 모듈(220)은 자료 획득 모듈(210)이 획득한 주거환경 영상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주거환경을 진단한다. 이를 위해서, 진단 모듈(220)은 기본안 도출 모듈(221)과, 맞춤안 도출 모듈(222), 및 데이터베이스(223)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의 기본안 도출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기본안 도출 모듈(221)은 주거환경 영상을 기반으로 주거환경 기본 분석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거환경은 가구배치형태와 정리수납 현황을 포함한다. 또한, 기본안 도출 모듈(221)은 주거환경 영상, 즉, 사진에 찍힌 가구의 배치형태 및 정리수납 현황을 분석하고, 심리학적 기반유형 분석과 전문가 분석 등을 통해 정밀분석을 수행한다. 이를 기반으로 기본적인 가구 배치형태 및 정리수납에 대한 주거환경 개선 및 코칭 기본안이 도출된다. 여기서, 심리학적 기반유형 분석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BTI(Myers Briggs Type Indicator), 다중지능(KMIQ)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유형테스트는 기본성향 분석이 어려울 경우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지와 바닥재 등의 인테리어에 색채 심리학을 적용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맞춤안 도출 모듈(222)은 기본안 도출 모듈(221)에서 도출된 기본안에, 현황/정밀 분석 데이터베이스(223)와 성격유형별 주거공간 배치선호 경향 데이터베이스(223) 및 빅데이터를 통해 누적된 개인별 가이드 솔루션을 부가하여 성격유형과 개인성향에 따른 맞춤안을 도출한다.
데이터베이스(223)는 정밀 분석 모듈이 정밀 분석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데이터는 현황/정밀 분석 데이터베이스(223)와, 성격유형별 주거공간 배치선호 경향 데이터베이스(223), 및 빅데이터를 포함한다.
시뮬레이션 모듈(230)은 진단 모듈(220)에서 진단되어 도출된 맞춤안에 따라 모델링을 수행하여 개선 결과를 생성하고 소비자 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서, 시뮬레이션 모듈(230)은 주거공간 재구성 모듈(231)과, 가구 재배치 모듈(232), 및 개선 결과 송신 모듈(233)을 포함한다.
주거공간 재구성 모듈(231)은 가구를 제외한 주거공간을 재구성하여 모델링한다. 여기서, 주거공간 재구성 모듈(231)은 물품의 정리수납에 대해 수납위치 및 형태를 재구성할 수 있다.
가구 재배치 모듈(232)은 주거공간에 위치한 가구를 재배치하여 모델링한다. 가구 재배치 모듈(232)은 전술된 진단 모듈(220)에서 도출된 맞춤안에 따라 가구의 배치형태를 변경하여 모델링한다. 또한, 이를 위해서 가구 재배치 모듈(232)은 입체형 모델링 모듈(232a)과 마커리스 증강현실 모듈(232b)을 포함한다.
입체형 모델링 모듈(232a)은 주거환경 영상에 찍힌 주거공간 실내 내부를 3차원 입체로 모델링한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주거공간이 3차원 입체로 모델링된 후 원하는 가구를 배치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커리스 증강현실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마커리스 증강현실 모듈(232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체형 모델링 모듈(232a)에서 입체로 모델링된 실내 내부 영상을 랜더링 한후 정리수납과 가구배치를 적용하여 개선 결과를 생성한다. 여기서, 마커리스 증강현실 모듈(232b)은 마커없이 물체를 인식하는 마커리스 증강현실 방법으로 라이브러리 기능을 부여하여 입체로 모델링된 실제공간과 3차원 모델 및 렌더링 과정을 거쳐 영상을 합성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마커리스 증강현실 모듈(232b)을 구비하여 실내 인테리어를 구성하고 있는 가구와 집기 등의 종류 선택과,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추가 코칭 시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인테리어 구현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마커리스 증강현실 모듈(232b)은 전술된 입체형 모델링 모듈(232a)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입체형 모델링 모듈(232a)은 생략된다.
개선 결과 송신 모듈(233)은 마커리스 증강현실 모듈(232b)에서 생성된 개선 결과를 소비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때, 개선 결과는 소비자 단말기(100)의 개선 결과 수신 모듈(130)로 전송되며, 전송된 개선 결과는 소비자 단말기(100)의 개선 결과 표시 모듈(140)에 의해 표시되어 소비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실내 인테리어를 구성하고 있는 가구와 집기 등에 대해 종류 선택, 위치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여 추가 코칭 시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인테리어 구현을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비자의 심리학적 유형 정보를 반영하여 소비자 개인에 가장 알맞도록 주거공간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종 개선 결과에 포함된 가구 및 집기 등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저비용으로 추가 코칭 시 소비자의 요구를 최대한 반영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소비자 단말기 110: 로그인 모듈
120: 자료 업로드 모듈 130: 개선 결과 수신 모듈
140: 개선 결과 표시 모듈 200: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210: 자료 획득 모듈 220: 진단 모듈
221: 기본안 도출 모듈 222: 맞춤안 도출 모듈
223: 데이터베이스 230: 시뮬레이션 모듈
231: 주거공간 재구성 모듈 232: 가구 재배치 모듈
232a: 입체형 모델링 모듈 232b: 마커리스 증강현실 모듈
233: 개선 결과 송신 모듈

Claims (5)

  1. 주거환경 영상을 획득하는 소비자 단말기와,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획득한 주거환경 영상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심리적 유형을 분석하고 증강현실을 통해 주거공간 개선 및 코칭 방안을 도출하는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을 포함하는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은,
    상기 소비자 단말기가 획득한 주거환경 영상을 수신하는 자료 획득 모듈과,
    상기 자료 획득 모듈이 수신한 주거환경 영상을 기반으로 소비자의 주거환경을 진단하는 진단 모듈,
    상기 진단 모듈에서 진단된 결과에 따라 생성된 맞춤안을 기반으로 증강현실을 적용하여 개선 결과를 생성하는 시뮬레이션 모듈, 및
    상기 개선 결과를 상기 소비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개선 결과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거환경 영상은 가구배치 및 수납정리 정보를 포함하는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모듈은,
    주거환경 영상에 포함된 가구의 배치형태와 정리수납 현황을 분석하고 심리학적 기분유형 분석을 수행하여 기본안을 도출하는 기본안 도출 모듈과,
    상기 기본안 도출 모듈에서 도출된 기본안에, 현황/정밀 분석 데이터베이스와 성격유형별 주거공간 배치선호 경향 데이터베이스 및 빅데이터를 통해 누적된 개인별 가이드 솔루션을 부가하여 성격유형과 소비자 개인성향에 따른 맞춤안을 도출하는 맞춤안 도출 모듈을 포함하는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뮬레이션 모듈은, 상기 정리수납에 대해 수납위치 및 형태를 재구성하는 주거공간 재구성 모듈과, 상기 주거공간에 위치한 가구를 재배치하여 모델링하는 가구 재배치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가구 재배치 모듈은, 상기 주거환경 영상에 포함된 주거공간 실내 내부를 3차원 입체로 모델링하는 입체형 모델링 모듈과, 상기 입체형 모델링 모듈에서 모델링된 실내 내부 영상에 상기 맞춤안에 따른 정리수납과 가구배치를 적용하여 개선 결과를 생성하는 마커리스 증강현실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개선 결과에 포함된 가구는 가구의 종류를 재선택하거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KR1020170163256A 2017-11-30 2017-11-30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KR20190064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256A KR20190064706A (ko) 2017-11-30 2017-11-30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256A KR20190064706A (ko) 2017-11-30 2017-11-30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706A true KR20190064706A (ko) 2019-06-11

Family

ID=66847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256A KR20190064706A (ko) 2017-11-30 2017-11-30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47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4119A (zh) * 2021-05-31 2021-08-20 江苏蓝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的彩膜纹路识别系统及其运行方法
KR20230059934A (ko) 2021-10-26 2023-05-04 (주)살림 심리적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융합한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183B1 (ko) 2013-09-23 2014-07-09 최민영 이동통신단말기의 앱을 이용한 가상의 실제 생활 체험 및 정보 습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183B1 (ko) 2013-09-23 2014-07-09 최민영 이동통신단말기의 앱을 이용한 가상의 실제 생활 체험 및 정보 습득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84119A (zh) * 2021-05-31 2021-08-20 江苏蓝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的彩膜纹路识别系统及其运行方法
CN113284119B (zh) * 2021-05-31 2024-01-26 江苏蓝针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的彩膜纹路识别系统及其运行方法
KR20230059934A (ko) 2021-10-26 2023-05-04 (주)살림 심리적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융합한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77971A (zh) 一种智能导诊方法及其装置
CN105579993B (zh) 用于物联网集成平台的数据整合机制
Torres-Sospedra et al. UJIIndoorLoc: A new multi-building and multi-floor database for WLAN fingerprint-based indoor localization problems
EP2549428A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behavioral studies of an individual
CN108369633A (zh) 相册的视觉表示
US11197639B2 (en) Diagnosis using a digital oral device
CN105635297A (zh) 终端设备控制方法和系统
US1093002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lor selection and auditing
KR20190064706A (ko)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Artacho et al. Analysis of the impact of slight changes in product formal attributes on user's emotions and configuration of an emotional space for successful design
Deng et al. Digital ID framework for human-centric monitoring and control of smart buildings
US20200286152A1 (en) Method for computer-assisted determination of a cosmetic product
KR20130024739A (ko) 실시간 경험 분석 시스템 및 방법
CN109727675A (zh) 一种基于电视机的健康状况检测方法、系统及电视机
CN109857829A (zh) 一种地理信息数据融合系统
CN110199359A (zh) 用于自动的包含或排除准则检测的方法和系统
KR20140028523A (ko) 무안경 3d 방식을 이용한 성형외과 운영 시스템 및 방법
CN102306240A (zh) 一种带自主食物冲突检查功能的触摸式智能动态点菜单系统
US2021021707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style recommendation
CN109961319A (zh) 一种户型改造信息的获取方法及装置
KR20200020127A (ko) 증강현실 컨텐츠 저작 방법 및 장치
KR20220054230A (ko) 식사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JP7216660B2 (ja) 下流のニーズを総合することにより読み取り環境を決定するためのデバイス、システム、及び方法
Yang et al. A framework for evaluating pervasive systems
Shinkuma et al. Relational network of peopl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similarity of brain ac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