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59934A - 심리적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융합한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심리적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융합한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59934A
KR20230059934A KR1020210143607A KR20210143607A KR20230059934A KR 20230059934 A KR20230059934 A KR 20230059934A KR 1020210143607 A KR1020210143607 A KR 1020210143607A KR 20210143607 A KR20210143607 A KR 20210143607A KR 20230059934 A KR20230059934 A KR 20230059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user
electronic device
person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3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애랑
Original Assignee
(주)살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살림 filed Critical (주)살림
Priority to KR1020210143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59934A/ko
Publication of KR20230059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99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78Product apprais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212Image combination
    • G06T2207/20221Image fusion; Image mer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10/00Indexing scheme for image generation or computer graphics
    • G06T2210/04Architectural design, interior 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자 장치가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또는 성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가상 컨텐츠들이 배치될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서 상기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가상 컨텐츠를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 합성함으로써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심리적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융합한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RESIDENTIAL SPACE IMPROVEMENT SYSTEM USING PSYCHOLOGICAL INFORMATION AND AUGMENTED REALITY CONTENT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주거 공간 개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심리적 정보 및 증강 현실 컨텐츠를 기반으로 대상 공간의 인테리어 개선을 위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가정 및 가사에 할애하는 시간이 감소하고 있으며, 비효율적이고 무질서한 가구 배치 및 정리 상태는 가족 구성원들에게 기능적으로뿐만 아니라 심리적으로도 우울, 의욕 저하, 스트레스 등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구 판매 업체가 가상으로 가구를 배치해 볼 수 있는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출시한 바 있으나, 이는 마케팅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매뉴얼 없이 파견 인력의 판단에 의한 배치, 정리 수납이 이루어지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주거 공간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거주자의 심리적 안정과 생활의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고, 정서적 휴식 공간으로서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 및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9-0064706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따라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가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의 연령, 성별 또는 성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가상 컨텐츠들이 배치될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서 상기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가상 컨텐츠를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 합성함으로써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연령, 성별 또는 성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가상 컨텐츠들이 배치될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이드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결정하고,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서 상기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가상 컨텐츠를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 합성함으로써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가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연령, 성별 또는 성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가상 컨텐츠들이 배치될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서 상기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가상 컨텐츠를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 합성함으로써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주거 공간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인테리어 객체의 배치 및 색상 패턴에 기초하여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가구 선호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색상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색상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색상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색상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주거 공간 개선 시스템(10)은 전자 장치(1000) 및 서버(2000)를 포함할 수 있다. 주거 공간 개선 시스템(10)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기초하여 대상 공간의 인테리어를 개선하기 위한 결과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주거 공간 개선 시스템(10)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기반으로, 대상 공간의 인테리어를 개선하기 위한 결과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주거 공간 개선 시스템(10)은 전자 장치(1000)만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0) 및 서버(2000)는 서로 연동함으로써,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지만, 전자 장치(1000)는 단독으로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S11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또는 성격(예컨대 MBTI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심리적 성격 유형을 도출하거나, 심리적 성격 유형에 따른 사용자의 성격 특성을 결정할 수 있다.
S12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심리적 성격 유형 또는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기초하여 제1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심리적 성격 유형 또는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기초하여 대상 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가상 컨텐츠들이 배치될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130에서, 전자 장치(1000)는 가이드 배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시뮬레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인테리어 객체들이 배치될 대상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모바일 카메라를 통해 현실 3차원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 정보를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현실 공간을 인식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0)는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서 배치될 가상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0)는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소정의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0)는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서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위치 정보를 식별할 수도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가상 컨텐츠를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 합성함으로써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S14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제2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최종 결과물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0)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함과 함께 최종 결과물에 대한 추가 코칭 정보를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0)는 서버(200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디지털 카메라, 모바일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전자북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에 의해 착용될 수 있는 장치(wearable device)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0)는 헤드마운트 디스플레이(HMD), NON-HMD 또는 기타 핸드헬드(HAND-HELD) 컴퓨팅 장치일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20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자 장치(1000)와 연결됨으로써, 전자 장치(10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타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2000) 및 전자 장치(1000)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위성 통신망 및 이들의 상호 조합을 포함하고, 도 1에 도시된 각 네트워크 구성 주체가 서로 원활하게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데이터 통신망이며,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및 모바일 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S21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또는 성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소정의 인터뷰 설문 컨텐츠를 제공하고, 제공된 설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성별, 연령 또는 사용자의 성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220에서, 전자 장치(1000)는 대상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대상 공간에 대한 기 설정된 프레임 간격의 복수의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3영상 정보 내 픽셀 정보들을 3차원 공간 상에 매칭함으로써 영상 정보 내 픽셀들의 2차원 정보를 3차원 공간상으로 맵핑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3차원 공간상으로 맵핑을 통해 3차원 모델링을 수행하고, 3차원 모델링에 따라, 각 픽셀들의 입체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S23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라, 대상 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가상 컨텐츠들이 배치될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사용자 성격 특성을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 성격 특성의 유형에 기초하여 인테리어 객체들이 배치될 위치, 또는 상기 인테리어 객체들이 배치될 위치들의 패턴, 상기 인테리어 객체들 및 상기 인테리어 객체들 주변의 대상 공간 영역에 대한 색상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소정의 성격 특성에 따라 결정된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에, 상기 인테리어 객체 및 인테리어 객체에 인접한 바닥의 색상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240에서, 전자 장치(1000)는 가이드 배치 정보에 따라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대상 공간에 배치될 복수의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고, 증강 현실 기반으로 제공된 복수의 인테리어 객체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가상 컨텐츠를 결정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 장치(1000)는 3차원 대상 공간 컨텐츠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인테리어 객체 후보들에 대한 후보 가상 컨텐츠를 출력하고, 출력된 후보 가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S250에서, 전자 장치(1000)는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서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위치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3차원 대상 공간 컨텐츠의 적어도 일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위치를 식별하거나, 3차원 대상 공간에 대한 마커리스 증강현실 알고리즘을 적용함에 따라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상술한 방법에 따라 식별된 위치에 기초하여 가상 컨텐츠들이 배치될 장소를 결정하게 된다.
S26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가상 컨텐츠를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 합성함으로써,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영역을 식별하고, 식벽된 영역에 배치될 가상 컨텐츠를 렌더링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식별된 영역에 렌더링된 가상 컨텐츠를 병합함으로써,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전자 장치(1000)가 대상 공간의 인테리어를 개선하기 위해 제공된 증강 현실 컨텐츠에 더하여 코칭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S310에서, 전자 장치(1000)는 S260에서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S32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전자 장치와 연결된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S33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서버로부터 증강 현실 컨텐츠에 대한 평가 결과 또는 개선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성격에 기초하여 제공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전자 장치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증강 현실 컨텐츠에 대한 다른 사용자들의 평가 결과, 전문가들의 평가 결과 또는 증강 현실 컨텐츠에 대한 개선 컨텐츠를 포함하는 코칭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340에서, 전자 장치(1000)는 획득된 코칭 정보를 증강 현실 컨텐츠에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한 증강 현실 컨텐츠에 대한 코칭 정보를 기 제공된 증강 현실 컨텐츠에 중첩하여 제공함으로써, 더 현실감있는 대상 공간에 대한 인테리어 개선안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자 장치(1000)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증강 현실 컨텐츠 상에서, 가상 컨텐츠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객체들이 배치된 대상 공간의 공기 흐름 패턴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3차원 대상 공간 컨텐츠 상에 복수의 인테리어 객체들에 대한 가상 컨텐츠가 배치된 후, 3차원 대상 공간 내 소정의 공기 흐름을 제공함으로써, 공기 흐름패턴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3차원 공간 컨텐츠 내 나타나는 복수의 공기 흐름 패턴들 중, 이상을 나타내는 공기 흐름 패턴을 식별할 수 있고, 이상 공기 흐름 패턴으로 식별되는 공기 흐름 패턴이 기 설정된 횟수 이상으로 식별되는 경우, 출력된 증강 현실 컨텐츠의 공기 흐름이 좋지 않은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증강 현실 컨텐츠의 공기 흐름이 좋지 않은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증강 현실 컨텐츠에 대한 수정 개선안을 포함하는 코칭 정보를 다시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수정 개선안을 포함하는 코칭 정보는, 정상적인 공기 흐름 패턴이 나타나도록, 위치가 변경된 가상 컨텐츠들을 포함하는 증강 현실 컨텐츠일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S41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성격에 대한 제1 타입의 성격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성격 유형 및 유형별 대표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16가지 MBTI 성격 유형들 중 사용자에 해당하는 성격 유형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0)는 MBTI 성격 유형에 기초하여 제1 타입의 사용자 성격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MBTI성격 유형에 기초하여, MBTI의 4가지 이분 척도에 따른, 외향형, 내향형, 감각형, 직관형, 사고형, 감정형, 판단형, 인식형 범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타입의 사용자 성격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S42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성격에 대한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성격 기질 유형으로, 감성형, 수용형/조합형, 성취지향형, 자유주의자형/자유성취형, 원칙주의자형, 도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을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0)는 인테리어 객체들의 위치 변화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 결정을 위한 사용자 성격 특성과, 인테리어 객체들 및 상기 인테리어 객체들에 인접한 대상 공간의 바닥에 적용될 색상 패턴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성격 특성을 다르게 정의함으로써, 특정 사용자의 심리적 유형에 최적화된 인테리어 개선안을 제공할 수 있다.
S43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제1 타입의 성격 특성에 따른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소정의 인테리어 객체 배치 다이어 그램을 생성하고, 생성된 인테리어 객체 배치 다이어 그램에, 상기 제1 타입의 성격 특성을 반영함으로써,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S44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에 기초하여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 및 상기 인테리어 객체에 인접한 바닥의 색상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사용자의 성격 특성과 다른 색상 선정에 최적화된 사용자 성격 특성 유형을 정의하고, 해당 성격 특성 유형(예컨대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에 기초하여,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에 적용될 색상 또는 색상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색상 패턴은 하나의 색을 포함할 수 있으나, 2이상의 색이 경계 또는 그라데이션을 이루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S45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색상 패턴을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에 적용함으로써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제2 타입의 성격 특성 유형에 기초하여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에 최적화된 색상 또는 색상 패턴을 결정한 후, 결정된 색상 또는 색상 패턴을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에 적용함으로써, 색상 정보가 반영된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가 생성한 인테리어 객체 배치 다이어 그램(510)이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가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 이용하는 인테리어 객체 배치 다이어 그램은 실내 공간을 정의하는 메인 다이어그램(514) 및 상기 실내 공간과 상호 연결되는 부가 공간 영역(512)(예컨대 복도, 발코니, 정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성격 특성을 외향형, 내향형, 감각형, 직관형, 사고형, 감정형, 판단형 또는 인식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타입의 성격 특성(520)을 결정하고, 결정된 제1 타입의 성격 특성에 기초하여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을 결정하게 된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가 제1 타입의 성격 특성을 외향형, 내향형, 감각형, 직관형으로 식별한 경우, 해당 성격 특성 별 결정한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이 도시된다. 그림 (610)은 외향형 성격 특성의 경우, 선호하는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이고, 그림 (620)은 내향형 성격 특성의 경우, 선호하는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이며, 그림 (630)은 감각형 성격 특성의 경우, 선호하는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이고, 그림 (640)은 직관형 성격 특성의 경우, 선호하는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이다.
예를 들어, 외향형 성격 특성의 경우, 소파와 테이블을 담화 공간으로 배치하고, 에어컨 오디오장, 옷장 등을 복도에 인접 배치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운동 기구의 사용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길 원하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내향형 성격 특성이 선호하는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은, 에어컨, 오디오장, 옷장 등을 발코니에 인접 배치하길 원하는 경향을 보이며, 복도를 중심으로 정적이고 차분한 공간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고, 운동 기구에 대한 공간 배려는 상대적으로 적은 경향을 보인다.
또한, 감각형 성격 특성의 경우, 거실의 가구 배치에서 복도에서 먼 실의 안쪽에 주요 거실 가구를 배치하기를 선호하는 내부 지향적 특징을 주로 나타내며, 직관형 성격 특성의 경우, 실의 모든 방향에 걸쳐 고르게 이용하기를 선호하는 특징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가 제1 타입의 성격 특성을 사고형, 감정형, 판단형, 인식형으로 식별한 경우, 해당 성격 특성 별 결정한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이 도시된다. 그림 (710)은 사고형 성격 특성의 경우, 선호하는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이고, 그림 (720)은 감정형 성격 특성의 경우, 선호하는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이며, 그림 (730)은 판단형 성격 특성의 경우, 선호하는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이고, 그림 (740)은 인식형 성격 특성의 경우, 선호하는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이다.
예를 들어, 사고형 성격 특성의 경우, 논리적이고, 이성적이며, 기존의 질서와 규율을 중시하므로, 소파와 테이블을 하나의 세트로 이해하여 중앙에 인접배치하길 선호하는 반면, 감정형 성격 특성의 경우 소파를 테이블과 분리, 거실의 구석에 위치시키려는 경향을 나타낸다. 사고형은 어떤 체제를 형성하고자 하는 사실 보수적 성향을 나타내나, 감정형은 TV, 오디오 등의 오락용 가구를 중시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한, 예를 들어, 판단형 성격 특성의 경우, 그림 (7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파-테이블-TV/오디오/서랍장을 축으로 하는 체계적인 배치를 선호하나, 인식형 성격 특성의 경우, 이러한 체계적인 구성 보다는 TV와 발코니의 추과 소파와 테이블의 축을 겹쳐서 배치하는 보다 열려진 배치 패턴을 선호하는 경향이 많다.
도 6 내지 7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을 위한 제1 타입의 성격 특성을 정의하고, 정의된 제1 타입의 성격 특성 별 심리적 요인이 반영된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가구 선호 위치를 식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0)가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한 사용자의 MBTI 성격 유형별 가구 선호 위치 정보가 기재된 테이블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성격 특성(804)에 따른 구분 공간(802) 별 가구의 선호 위치 정보를 테이블 형식으로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성격 특성 별 및 구분 공간(802) 별 가구들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인테리어 객체 배치 다이어그램을 변환함으로써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색상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가 기질 유형(912)에 기초하여, 감성형, 수용형/조합형, 성취 지향형, 자유주의자형/자유성취형, 지도자형/완벽주의자형, 원칙주의자형 또는 도전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을 정의하고, 각 제2 타입의 성격 특성 별 키워드(914), 색상(916), 보조색 정보(918)를 매칭한 결과가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보조색 정보(918)은 배색법 또는 톤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기질 유형(912)에 기초하여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2 타입의 성격 별 색상, 보조색, 배색법 또는 톤에 대한 정보를 미리 매칭하여 저장해둘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 상에서 결정된 인테리어 객체 및 상기 인테리어 객체에, 상술한 방법에 따라 결정된 색상 또는 색상 패턴을 적용함으로써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0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색상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따른 기본 색상을 결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정된 기본 색상에 기초하여 색상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색상 패턴은 배색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에 기초하여 결정된 기본 색상을 바탕으로, 대상 공간의 면적 별,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의 종류 별 서로 다른 색상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에 매칭된 기본 색상을 분홍색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감성형 성격 특성에 매칭되는 색상인 분홍색상을 식별하고, 감성형 성격 특성에 매칭된 보조색, 배색법 또는 톤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감성헝 성격 특성에 매칭되는 기본 색상 정보, 보조색, 배색법 또는 톤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공간의 면적 별(소형, 중형, 대형)로 서로 다른 색상 패턴(1022, 1024, 1026)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0)는 성격 특성에 따라 결정된 기본 색상, 보조색, 배색법 또는 톤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더하여, 대상 공간의 면적 정보 및 대상 공간을 포함하는 건물의 종류를 더 고려하여 색상 패턴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성격 특성이 감성형인 경우, 이에 따른 배색 제안(1012)정보로써, 소형 대상공간에 대한 색상 패턴(1022), 중형 대상 공간에 대한 색상 패턴(1024), 대형 대상 공간에 대한 색상 패턴(1026), 오피스텔에 대한 색상 패턴(1028)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1은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색상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00)가 사용자의 성격 특성을 수용/조합형으로 식별한 경우의 배색 제안(1112) 정보가 도시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이 수용/조합형으로 식별되는 경우, 소형 대상 공간에 대한 색상 패턴(1122), 중형 대상 공간에 대한 색상 패턴(1124), 대형 대상 공간에 대한 색상 패턴(1126) 및 오피스텔에 대한 색상 패턴(1128)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사용자 성격 특성에 따른 색상 패턴을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0)는 대상 공간의 면적, 대상 공간을 포함하는 건물의 종류뿐만 아니라,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의 종류에 기초하여서도 서로 다른 색상 패턴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의 성격 특성이 감성형으로 식별되고,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의 종류가 수납함으로 식별되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감성형 배색 제안(1220)으로써, 그림 (1222) 또는 그림 (1224)와 같은 색상 패턴을 인테리어 객체에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의 흐름도이다.
S131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 컨텐츠가 배치될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서 일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식별하고, 식별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지점을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을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S132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상기 식별된 영역에 배치될 가상 컨텐츠를 렌더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3차원 대상 공간 컨텐츠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임의 인테리어 객체 후보들에 대한 후보 가상 컨텐츠를 출력하고, 출력된 후보 가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S1310에서, 식별된 가상 컨텐츠 배치 영역에, 상기 인테리어 객체 후보들에 대한 가상 컨텐츠 중 선택된 하나의 가상 컨텐츠를 합성하기 위해, 선택된 하나의 가상 컨텐츠를 렌더링할 수 있다.
S1330에서, 전자 장치(1000)는 식별된 영역에 렌더링된 가상 컨텐츠를 병합함으로써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0)는 S1310에서 식별된 영역에 렌더링된 가상 컨텐츠를 위치시킨 후, 가상 컨텐츠에 대한 3차원 픽셀 정보와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의 픽셀 정보를 병합함으로써,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0)는 프로세서(13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 및 메모리(170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고,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전자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전자 장치(10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장치(1000)는 프로세서(130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 및 메모리(1700)외에, 디스플레이부(1210), 카메라 모듈(161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장치(10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는, 사용자가 전자 장치 (1000)를 제어하기 위한 시퀀스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는 전자 장치(1000)가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한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시퀀스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는 디스플레이를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상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키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10)는 전자 장치(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하기 위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0)는 전자 장치에서 결정된 증강 현실 컨텐츠, 3차원 공간 컨텐츠,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10)는 최종 결정된 증강 현실 컨텐츠에 대한 코칭 정보를 시각적으로 더 출력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는 전자 장치(1000)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는 증강 현실 컨텐츠를 전자 장치(1000)와 연결된 서버로 전송하거나, 서버(2000)로부터 증강 현실 컨텐츠에 대한 코칭 정보를 더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는 전자 장치(1000)와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대상 공간을 촬영함으로써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0)는, 통상적으로 전자 장치(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미도시), 디스플레이부(12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500), 카메라 모듈(1610)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0)는 메모리(170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1 내지 도 13에 기재된 전자 장치(10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0)는 사용자 입력부를 제어함으로써 전자 장치의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또는 성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가상 컨텐츠들이 배치될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이드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결정하고,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서 상기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가상 컨텐츠를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 합성함으로써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에 대한 평가 결과 또는 개선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코칭 정보를 상기 출력된 증강 현실 컨텐츠에 중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0)는 소정의 인터뷰 설문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설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성별, 연령 또는 사용자의 성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0)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 정보를 소정의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입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프로세서(1300)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격에 대한 제1 타입의 성격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격에 대한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타입의 성격 특성에 따른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 및 상기 인테리어 객체에 인접한 바닥의 색상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색상 패턴을 상기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610)은 화상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대상 공간에 대한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프로세서(13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전자 장치(1000)로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700)는 전자 장치(1000)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한, 증강 현실 컨텐츠, 사용자 정보, 사용자 성격 특성, 가이드 배치 정보,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 색상 패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개시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일 실시 예에 다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개시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전자 장치가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연령, 성별 또는 성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가상 컨텐츠들이 배치될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서 상기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가상 컨텐츠를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 합성함으로써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에 대한 평가 결과 또는 개선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칭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코칭 정보를 상기 출력된 증강 현실 컨텐츠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소정의 인터뷰 설문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설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성별, 연령 또는 사용자의 성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영상 정보를 소정의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입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격에 대한 제1 타입의 성격 특성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격에 대한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1 타입의 성격 특성에 따른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 및 상기 인테리어 객체에 인접한 바닥의 색상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색상 패턴을 상기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될 상기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대상 공간 컨텐츠 상에 배치될 수 있는 인테리어 객체 후보들에 대한 후보 가상 컨텐츠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후보 가상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될 상기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서 상기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3차원 대상 공간 컨텐츠의 적어도 일 지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른 위치 또는 상기 3차원 대상 공간에 대해 마커리스 증강현실 알고리즘을 적용함에 따른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 상기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영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영역에 배치될 가상 컨텐츠를 렌더링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영역에 상기 렌더링된 가상 컨텐츠를 병합함으로써, 상기 증강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된 증강 현실 컨텐츠상의 상기 가상 컨텐츠에 대응되는 인테리어 객체들이 배치된 대상 공간의 공기 흐름 패턴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식별된 공기 흐름 패턴의 이상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이상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에 대한 수정 개선안을 포함하는 코칭 정보를 재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0.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연령, 성별 또는 성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가상 컨텐츠들이 배치될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가이드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결정하고,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서 상기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위치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가상 컨텐츠를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 합성함으로써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생성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상기 전자 장치와 연결된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증강 현실 컨텐츠에 대한 평가 결과 또는 개선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코칭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코칭 정보를 상기 출력된 증강 현실 컨텐츠에 중첩하여 출력하는, 전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소정의 인터뷰 설문 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설문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성별, 연령 또는 사용자의 성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전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영상 정보를 소정의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입체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격에 대한 제1 타입의 성격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성격에 대한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을 식별하고,
    상기 제1 타입의 성격 특성에 따른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타입의 성격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에 따라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 및 상기 인테리어 객체에 인접한 바닥의 색상 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색상 패턴을 상기 인테리어 객체 배치 패턴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전자 장치.
  15. 전자 장치가 인테리어 대상 공간에 대한 증강현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연령, 성별 또는 성격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공간에 대한 영상 정보를 3차원 모델링함으로써 3차원 공간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성격 특성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 인테리어를 위한 가상 컨텐츠들이 배치될 가이드 배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가이드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대상 공간에 배치될 인테리어 객체에 대한 가상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서 상기 가상 컨텐츠가 배치될 위치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3차원 가상 컨텐츠를 상기 3차원 공간 컨텐츠 상에 합성함으로써 증강 현실 컨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210143607A 2021-10-26 2021-10-26 심리적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융합한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KR202300599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607A KR20230059934A (ko) 2021-10-26 2021-10-26 심리적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융합한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3607A KR20230059934A (ko) 2021-10-26 2021-10-26 심리적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융합한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9934A true KR20230059934A (ko) 2023-05-04

Family

ID=86379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3607A KR20230059934A (ko) 2021-10-26 2021-10-26 심리적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융합한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5993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706A (ko) 2017-11-30 2019-06-11 (주)살림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706A (ko) 2017-11-30 2019-06-11 (주)살림 맞춤형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3256B2 (en) Virtual reality platform for retail environment simulation
CN107294838B (zh) 社交应用的动画生成方法、装置、系统以及终端
US92867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true product dimensions within an augmented real-world setting
CN110716645A (zh) 一种增强现实数据呈现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8909636B2 (en) Lifestyle collecting apparatus, user interface device, and lifestyle collecting method
US9058056B2 (en) System and method of dynamically generating a frequency pattern to realize the sense of touch in a computing device
US10755487B1 (en) Techniques for using perception profiles with augmented reality systems
US20140222627A1 (en) 3d virtual store
CN112596694B (zh) 一种房源信息的处理方法和装置
US11709593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a virtual keyboard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197771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sioning a collaborative virtual experience
US2021011704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eractive container
JP201813282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端末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US20160259539A1 (en) User terminal device, digital signage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KR20230059934A (ko) 심리적 정보 및 증강현실 컨텐츠를 융합한 주거공간 개선 시스템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200098012A1 (en) Recommendation Method and Reality Presenting Device
Reuksupasompon et al. Ar development for room design
JP6794740B2 (ja) プレゼンテーション資料生成装置、プレゼンテーション資料生成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プレゼンテーション資料生成方法
US20190339771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Brainwave and View Based Recommendations and Story Telling
TWM514071U (zh) 互動式擴增實境影音看屋系統
KR102610818B1 (ko) 사용자의 주관적 기호를 반영한 객체 생성 시스템 및 방법
US20240118103A1 (en) Method and server for generating spatial map
US20240104863A1 (en) Contextual presentation of extended reality content
WO2023103577A1 (zh) 生成目标会话表情的方法、装置、计算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US20230049225A1 (en) Emotion tag assign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